KR100749784B1 - 정음형 미니 릴레이 - Google Patents

정음형 미니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784B1
KR100749784B1 KR1020060038514A KR20060038514A KR100749784B1 KR 100749784 B1 KR100749784 B1 KR 100749784B1 KR 1020060038514 A KR1020060038514 A KR 1020060038514A KR 20060038514 A KR20060038514 A KR 20060038514A KR 100749784 B1 KR100749784 B1 KR 100749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iron
bobbin
iron piece
contact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병
전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784B1/ko
Priority to CNB2007100964971A priority patent/CN100573769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16Form of contacts universal; mod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36Minimise he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기타 산업용 기기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규격화된 릴레이의 접촉자 또는 가동철편의 구조 및 형상을 개선하여, 공정이 간소화되고 접촉 소음이 감소된 정음형 미니 릴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베이스부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단자부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4,5단자부를 구비하는 규격의 미니 릴레이에 있어서, 코일이 감기는 보빈부, 상기 보빈부의 일부 면을 감싸는 요크, 상기 보빈부의 일 면과 대면하여 위치하는 가동철편, 상기 가동철편이 부착되고, 상기 가동철편이 상기 보빈부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상기 가동철편측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가동접점,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접촉자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빈부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동철편은 상기 보빈부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촉자는 상기 베이스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단부가 상기 제1단자부이며,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단이 수평하게 되도록 절곡되며, 상단의 수평 부분의 하측면에 상기 고정접점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접촉자의 형상으로 인해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릴레이의 구동에 따른 반복적인 접촉소음이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성능이 향상되고, 전체적인 릴레이의 외관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미니 릴레이, ISO, 접촉 소음, 방열

Description

정음형 미니 릴레이 {Anti-noise Mini Relay Structure}
도 1은 미니 릴레이의 저면 구조 규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미니 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종래의 미니 릴레이에 사용되는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스토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미니 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미니 릴레이에 사용되는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판스프링, 가동철편과 본 발명의 판스프링, 가동철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가동철편과 본 고안의 가동철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근접시키기 위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커버를 씌운 본 발명의 릴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요크 20 : 코일
30 : 보빈부 40 : 판스프링
42 : 가동접점 44 : 설부
50 : 접촉자 51 : 제1단자부
56 : 접점부 57 : 스톱접점
58 : 고정접점 70 : 베이스부
80 : 커버 110 : 요크
120 : 코일 130 : 가동철편
140 : 판스프링 150 : 접촉자
151 : 제1단자부 152 : 제2단자부
153 : 제3단자부 154 : 제4단자부
155 : 제5단자부 156 : 수직접점부
160 : 접촉자(또는 스토퍼) 170 : 베이스부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기타 산업용 기기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규격화된 릴레이의 접촉자 또는 가동철편의 구조 및 형상을 개선하여, 공정이 간소화되고 접촉 소음이 감소된 정음형 미니 릴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릴레이(Relay)는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했을 때 작동하여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는 접점이 있는 릴레이 중 ISO 7588 의 국제 표준 규격에 의해 5개 단자의 간격 및 위치가 정해져 있는 소위, 미니 릴레이에 대한 것이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미니 릴레이의 저면 구조 규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릴레이의 베이스부(170) 하방으로 돌출되는 5개의 단자부 중 2개의 제1, 2단자부(151)(152)는 일측 중앙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주위를 제1, 2단자부(151)(152)와 수직 방향으로 3개의 제3, 4, 5단자부(153)(154)(155)가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5개의 단자부 배치 구조와 각 단자부의 크기는 ISO 국제 규격으로 정해진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치 형식의 릴레이를 미니 릴레이라고 통칭한다. 미니 릴레이는 단자부가 가지고 있는 간극 배치 형식 및 기능 특성이 상기 규격을 만족하는 경우 다양한 연결 조합으로 각각의 단자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미니 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미니 릴레이(100)는 코일(120)이 수평하게 누운 보빈(미도시)에 권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접점이 있는 릴레이는 보빈부와 보빈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70)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빈부 외측에 장착되는 요크(110)와, 코일(120)이 감겨져 있는 원기둥 상태로 요크(110)에 고정되는 보빈과, 보빈을 관통하는 형태로 보빈부와 요크(110)에 장착되어 보빈에 감겨진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원 통전에 따라 자화되는 철심(미도시)과, 요크(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면서 철심의 자기력에 의해 움직이는 가동철편(130)과, 가동철편(130)을 요크(110)에 연결시키면서 가동철편(130)에 작용되는 자기력에 따라 가동철편(130)의 가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는 판스프링(140)을 구비한다.
그리고 판스프링(40)의 끝단에는 접촉자(150)의 일 단부와 접촉되는 가동접점(미도시)이 구비된다. 릴레이는 보빈에 감긴 코일(120)에 전류를 인가시키면 기전력이 발생되므로 철심이 자화되어 전자석이 된다. 이에 따라 철심이 일측에 위치된 가동철편(130)을 흡인하게 되므로 가동철편(130)은 판스프링(140)을 안쪽 방향으로 변형시키면서 회전하여 판스프링(140)에 붙어 있는 가동접점을 접촉자(150)의 일 단부 고정접점에 접촉시킨다. 즉, 보빈에 감겨진 코일(120)에 전원을 통전시키면 철심에 자력이 발생하면서 가동철편(130)과 흡착하게 되므로 가동철편(130)에 부착된 통전용 판스프링(140)이 접점과 연결되면서 연결되어 있지 않던 일측과 타측의 접촉자를 접속, 전원을 통전시킨다.
반대로 코일(120)에 흐르는 전원을 끊어주면 철심의 자력이 없어지면서 판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철편(130)이 철심과 떨어지게 된다. 이 때 판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이 끊어지면서 이동할 때, 판스프링(140)을 바깥쪽에서 지지하기 위해 다른 접촉자 또는 스토퍼(160)를 구비한다. 접촉자(160)는 베이스부(170) 측에 결합되어, 다른 접촉 단자로의 접촉점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단순히 베이스부(170)에 결합되는 스토퍼 용도 만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미니 릴레이 구조에 사용되는 접촉자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도 3a를 참조하면, 접촉자(160)는 제2단자부(152)로 사용되는 동시에 상방으로는 수직접점부(156)를 구비하고, 결합을 위해 별도의 돌출 단자(151a)를 구비한다. 수직접점부(156) 도 2에서 보듯이 판스프링(140)의 가동접점과 마주보는 동시에 접촉자(150)와 나란히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접촉자(16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편평하게 형성된 접촉자(160)를 여러 차례 절곡시켜야 한다. 제2단자부(152)가 가동접점과 연결되는 동시에 돌출 단자(151a)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수직접점부(156)가 돌출 단자(151a)의 상방으로 수직된 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제2단자부(152)는 평행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a 위치에서 한 번, b 위치에서 두 번, c 위치에서 세 번 절곡하여야 하는데, 하나의 접촉자에 세 번의 절곡 공정이 가해져야 하므로 다소 번거로운 제조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단자부(151)와 연결되는 제1접촉자(150)와 접촉되는 가동접점을 바깥쪽에서 지지하는 역할의 스토퍼 기능만 필요한 경우에는, 도 3b와 같이 하단이 베이스부(170)에 결합되기만 할 뿐 별도의 다른 단자와 통전되지 않는 스토퍼(160)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릴레이 구조 상에서는 충격 및 접촉으로 인한 소음이 다소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가동철편(130)과 코어(미도시) 사이,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사 이, 가동철편(130)과 판스프링(140) 사이에서 주로 발생한다. 소음은 작동시에는 물론 복귀시에도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접촉 소음은 90cm 거리에서 52dB 정도로 측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접촉자의 형상을 개선하여 제조 공정이 보다 간소화된 미니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 소음이 감소된 구조의 미니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베이스부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단자부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4,5단자부를 구비하는 규격의 미니 릴레이에 있어서, 코일이 감기는 보빈부; 상기 보빈부의 일부 면을 감싸는 요크; 상기 보빈부의 일 면과 대면하여 위치하는 가동철편; 상기 가동철편이 부착되고, 상기 가동철편이 상기 보빈부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상기 가동철편측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가동접점;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접촉자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빈부는 코일이 감기지 않는 양단부측의 면이 각각 상방 및 하방을 수직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철편은 상기 보빈부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촉자는: 상기 베이스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단부가 상기 제1단자부이며,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단이 수평하게 되도록 절곡되며, 상단의 수평 부분의 하측면에 상기 고정접점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의 하방 위치에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스톱접점이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가동철편과 결합되는 부분부터 상기 가동접점이 형성된 사이의 일정 위치에, 상기 가동철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설부를 형성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철편은: 상기 판스프링의 가동접점측 단부에 상기 판스프링과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가동철편과 결합되는 부분부터 상기 가동접점이 형성된 사이의 일정 위치에서 상기 고정접점에 근접하도록 절곡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철편은: 상기 판스프링의 가동접점측 단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단차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부 및 상기 가동철편을 포함한 본체의 구성을 정음 특성의 커버를 사용하여 씌우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 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미니 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빈부(30)는 원기둥형의 본체가 세워져 있어 수직으로 배치되고, 코일(2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원기둥형의 본체 외부에 수평 방향의 층층으로 권취되어 있으며, 릴레이 구동을 위한 접점은 코일(20)이 감긴 보빈부(30)의 하측에 위치한다. 가동철편(미도시) 및 가동접점(42)은 보빈부(30)의 하방, 베이스부(70)의 상방에 숨겨져 위치되어, 접촉 동작은 안쪽에서 이루어 진다. 이러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접촉자의 형상도 이에 맞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보빈부(30)가 코일(20)이 감기지 않는 양단부측의 면이 각각 상방 및 하방을 수직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면서, 이에 감긴 코일(20)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20)의 열 방출 성능이 향상되므로, 보빈부(30)를 보다 납작하게 하면서, 코일(30) 보다 두껍게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보빈부(30)가 납작해 지면서, 릴레이는 종래의 용량을 유지하면서도 전체적인 외관 크기가 작아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미니 릴레이의 경우 평면 사이즈에 규격이 있으므로, 종래의 수평형 보빈부를 갖는 미니 릴레이에서는 보빈부의 사이즈를 줄여도 전체적인 크기가 줄어들 수는 없었으나, 본 발명의 수직형 보빈부를 갖는 미니 릴레이에서는 보빈부의 길이가 줄어들면 전체 미니 릴레이의 높이가 감소하게 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접촉자를 수직으로 길게 형성하거나, 스토퍼를 수직으로 결합하여야 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성이 단순화되고, 조립이 간편해 지며 제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미니 릴레이에 사용되는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촉자(50)는 상단부가 절곡된 T자 형으로서, 하단부는 제1단자(15)로 사용되고, A부분이 절곡되어 수평하게 위치되는 부분은 접점부(56)로서 가동접점(42)과의 접촉시에 사용된다.
이 때 제2단자는 다른 접점과 연결되도록 조합을 변경하여, 하나의 접촉자에 제1단자와 제2단자가 동시에 구성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보빈부(30)의 위치가 수직으로 바뀌고, 가동접점(42)이 보빈부(30)의 하측 안쪽에 위치되도록 변형되면서, 접촉자(50)의 형상이 단순화되었고, 이로 인해 접촉자(50) 제조시 간단한 1회의 절곡만으로 마무리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단순해 지고, 조립이 용이해진다.
도 6은 종래의 판스프링, 가동철편과 본 발명의 판스프링, 가동철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는 종래의 가동철편(30)의 하측면과 판스프링(40)의 상측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접촉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b)는 이러한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판스프링(40)의 형상을 변형한 상태의 접촉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릴레이의 코일(20)에 흐르던 전류가 멈춘 경우, 가동철편(30)은 판스프링(40)의 복원력에 따라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하방의 스토접점(미도시)에 의해 먼저 판스프링(40)의 이동이 갑자기 중단되면서 관성에 의해 가동철편(30)과 판스프링(40) 사이의 C부분에서 충돌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된다. 이는 가동철편(30)과 판스프링(40)이 완전 밀착된 것이 아니고, 미세한 틈이 있는 상태에서 일 부분만 핀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b)와 같이, 미세한 틈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기 위한 설부(44)를 구비한다. 설부(44)는 비교적 회동각 및 거리가 큰 판스프링(40)의 가동접점 쪽에 형성되며, 원래 면에 비해 소정 각도 절곡되어 가동철편(30)에 맞닿아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부(44)는 혀와 같이 일 부분만이 판스프링(40)과 연결되고 다른 부분은 분리되어 다른 면과 다른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설부(44)는 가동철편(30) 쪽으로 절곡되어 접촉되므로, 가동철편(30)과 판스프링(40)사이에서 항상 긴장을 유지하고 있게 되며,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설부(44)의 탄성, 완충 작용에 의해 충격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설부(44)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판스프링(40)의 면보다 가동철편(30) 쪽으로 절곡 또는 돌출되어 탄성력을 유지하며 접촉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면 된다.
도 7은 종래의 가동철편과 본 고안의 가동철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는 종래의 가동철편(30)이 판스프링(40)에 부착된 상태 및 가동철편(30)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가동철편(30)이 판스프링(40)에 부착된 상태 및 개선된 가동철편(30)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가동철편(30)은 두께(t1)도 두껍고 무게도 많이 나갔다. 따라서 가동철편(30)과 코어 간의 마찰시에 충격량도 크고 소음도 많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철편(30)과 판스프링(40)의 사이에서도 소음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가동철편(30)은 첫째로 두께(t2)를 감소시키고 전체적인 중량을 줄여, 가동철편(30)과 코어 간의 마찰시에 충격량이 적도록 한다. 둘째로는 가동철편(30)의 단부 측에 홈을 형성하거나, 단차를 형성하여 이격된 공간(F)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경우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되거나 떨어질 때 양 방향으로 판스프링이 흔들리더라도 판스프링(40)이 가동철편(30)과 충돌,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홈, 단차는 가동철편(30)과 판스프링(40)이 상호 결합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가동접점 쪽에 형성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근접시키기 위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는 고정접점(58), 가동접점(42) 및 접촉자(50)의 접점부(56)의 배치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b)는 고정접점(58)과 가동접점(42) 간의 형상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a)를 참조하면, 접촉자(50)는 베이스부(70)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의 절곡된 접점부(56)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접점부(56)의 하방으로는 고정접점(58)이 형성된다.
고정접점(58)과 접촉하게 되는 가동접점(42)은 고정접점(58)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판스프링(40)의 단부에 형성되며, 판스프링(40)은 가동철편(30)이 코어(22)와 마주보도록 고정시킨다. 통전, 단전에 따라 가동철편(30)은 코어(22)에 접촉되면서 상방으로 회동되고, 분리되면서 하방으로 회동된다.
가동접점(42)의 하방에는 스톱접점(57)이 위치한다. 스톱접점(57)은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동시에, 별도의 접촉자의 일부로 연결 형성된다. 통전, 단 전에 따라 가동접점(42)은 고정접점(58)과 접촉하거나, 스톱접점(57)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 동작이 베이스부(70)와 보빈부(30) 사이의 안쪽 공간에서 이루어 지므로, 외부로 유출되는 접촉 소음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스톱접점(57)이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고정접점(58)과 스톱접점(57) 사이의 가동 폭이 감소되고, 가동접점(42), 가동철편(30)의 이동 범위는 줄어들게 되므로, 판스프링(40)의 탄성에 따른 가동접점(42), 가동철편(30)의 충격량이 감소하게 되면서, 접촉 소음이 줄어들게 된다.
(b)를 참조하면, 판스프링(40)의 가동접점(42) 측의 소정 부분을 절곡(F부분)하여 고정접점(58) 쪽으로 근접시켜, 가동접점(42)과 고정접점(58) 간의 간격(G)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써 가동철편(30)은 코어(22)쪽으로 약간만 접근하더라도 고정접점(58)과 가동접점(42)이 상호 접촉하도록 한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가동철편(30)의 이동 범위는 감소하게 되며, 소음이 발생할 여지도 감소하게 된다.
도 9는 커버를 씌운 본 발명의 릴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소음이 주로 발생되는 보빈부(30)와 베이스부(70)의 상측 구성, 즉, 가동철편(30), 판스프링(40)을 포함한 본체의 구성을 정음 특성의 커버(80)를 씌워 베이스부(70)에 결합시킴으로써 소음이 외측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차단한다.
특히 커버(80)의 재질로 정음 특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여, 가동철편(30), 판스프링(40)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커버(80)로 인해 차단될 뿐만 아니라, 흡수되 기도 한다. 이를 위해 커버(70)의 재질로 흡음 기능을 갖는 재료 및 구성을 사용하는데, 미세한 다공성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커버(70)를 제조하는 경우, 흡음 성능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구성 및 방법을 통해, 릴레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다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90cm 떨어진 거리에서 52dB 정도의 소음이 발생되는 종래의 릴레이 구조를 상기와 같이 개선하는 경우 이를 45dB 이하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개선된 접촉자의 형상으로 인해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릴레이의 구동에 따른 반복적인 접촉소음이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성능이 향상되고, 전체적인 릴레이의 외관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베이스부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단자부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4,5단자부를 구비하는 규격의 미니 릴레이에 있어서,
    코일이 감기는 보빈부;
    상기 보빈부의 일부 면을 감싸는 요크;
    상기 보빈부의 일 면과 대면하여 위치하는 가동철편;
    상기 가동철편이 부착되고, 상기 가동철편이 상기 보빈부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상기 가동철편측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가동접점;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접촉자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빈부는 코일이 감기지 않는 양단부측의 면이 각각 상방 및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동철편은 상기 보빈부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촉자는:
    상기 베이스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단부가 상기 제1단자부이며,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단이 수평하게 되도록 절곡되며,
    상단의 수평 부분의 하측면에 상기 고정접점이 위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가동철편과 결합되는 부분부터 상기 가동접점이 형성된 사이의 일정 위치에, 상기 가동철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설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음형 미니 릴레이.
  4. 베이스부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단자부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4,5단자부를 구비하는 규격의 미니 릴레이에 있어서,
    코일이 감기는 보빈부;
    상기 보빈부의 일부 면을 감싸는 요크;
    상기 보빈부의 일 면과 대면하여 위치하는 가동철편;
    상기 가동철편이 부착되고, 상기 가동철편이 상기 보빈부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상기 가동철편측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가동접점;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접촉자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빈부는 코일이 감기지 않는 양단부측의 면이 각각 상방 및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동철편은 상기 보빈부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촉자는:
    상기 베이스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단부가 상기 제1단자부이며,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단이 수평하게 되도록 절곡되며,
    상단의 수평 부분의 하측면에 상기 고정접점이 위치되고,
    상기 가동철편은:
    상기 판스프링의 가동접점측 단부에 상기 판스프링과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음형 미니 릴레이.
  5. 베이스부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단자부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4,5단자부를 구비하는 규격의 미니 릴레이에 있어서,
    코일이 감기는 보빈부;
    상기 보빈부의 일부 면을 감싸는 요크;
    상기 보빈부의 일 면과 대면하여 위치하는 가동철편;
    상기 가동철편이 부착되고, 상기 가동철편이 상기 보빈부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상기 가동철편측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가동접점;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접촉자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빈부는 코일이 감기지 않는 양단부측의 면이 각각 상방 및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동철편은 상기 보빈부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촉자는:
    상기 베이스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단부가 상기 제1단자부이며,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단이 수평하게 되도록 절곡되며,
    상단의 수평 부분의 하측면에 상기 고정접점이 위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가동철편과 결합되는 부분부터 상기 가동접점이 형성된 사이의 일정 위치에서 상기 고정접점에 근접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음형 미니 릴레이.
  6. 베이스부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단자부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4,5단자부를 구비하는 규격의 미니 릴레이에 있어서,
    코일이 감기는 보빈부;
    상기 보빈부의 일부 면을 감싸는 요크;
    상기 보빈부의 일 면과 대면하여 위치하는 가동철편;
    상기 가동철편이 부착되고, 상기 가동철편이 상기 보빈부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상기 가동철편측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가동접점;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접촉자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빈부는 코일이 감기지 않는 양단부측의 면이 각각 상방 및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동철편은 상기 보빈부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촉자는:
    상기 베이스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단부가 상기 제1단자부이며,
    상기 베이스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단이 수평하게 되도록 절곡되며,
    상단의 수평 부분의 하측면에 상기 고정접점이 위치되고,
    상기 가동철편은:
    상기 판스프링의 가동접점측 단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단차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음형 미니 릴레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 및 상기 가동철편을 포함한 본체의 구성을 정음 특성의 커버를 사용하여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음형 미니 릴레이.
KR1020060038514A 2006-04-28 2006-04-28 정음형 미니 릴레이 KR100749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14A KR100749784B1 (ko) 2006-04-28 2006-04-28 정음형 미니 릴레이
CNB2007100964971A CN100573769C (zh) 2006-04-28 2007-04-19 静音式小型继电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14A KR100749784B1 (ko) 2006-04-28 2006-04-28 정음형 미니 릴레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475U Division KR200425067Y1 (ko) 2006-04-28 2006-04-28 정음형 미니 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784B1 true KR100749784B1 (ko) 2007-08-17

Family

ID=3861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514A KR100749784B1 (ko) 2006-04-28 2006-04-28 정음형 미니 릴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49784B1 (ko)
CN (1) CN10057376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3564A (ja) * 2014-02-13 2015-08-24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4364A2 (en) 1993-08-03 1995-02-09 Otter Controls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JP2000323001A (ja) 1999-05-10 2000-11-24 Omron Corp 端子構造
JP2001126601A (ja) 1999-10-26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リレー
JP2002110014A (ja) 2000-09-29 2002-04-12 Anden 電磁継電器
WO2004049368A1 (ja) 2002-11-27 2004-06-10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磁接触器
KR20190000920U (ko) * 2017-10-11 2019-04-19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4364A2 (en) 1993-08-03 1995-02-09 Otter Controls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JP2000323001A (ja) 1999-05-10 2000-11-24 Omron Corp 端子構造
JP2001126601A (ja) 1999-10-26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リレー
JP2002110014A (ja) 2000-09-29 2002-04-12 Anden 電磁継電器
WO2004049368A1 (ja) 2002-11-27 2004-06-10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磁接触器
KR20190000920U (ko) * 2017-10-11 2019-04-19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71699A (zh) 2007-11-14
CN100573769C (zh)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2795B2 (en) Silent electromagnetic relay
US8884727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4116022B2 (ja) 電磁リレー
US8963660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200425067Y1 (ko) 정음형 미니 릴레이
KR100749784B1 (ko) 정음형 미니 릴레이
JP4458064B2 (ja) 電磁開閉装置
JPS6324521A (ja) 電磁式の継電器
KR100676346B1 (ko) 정음형 릴레이
JP5494896B1 (ja) 電磁接触器
KR200388598Y1 (ko) 정음형 릴레이
KR100676345B1 (ko) 정음형 릴레이
JP2004139750A (ja) 電磁継電器
KR200384749Y1 (ko) 정음형 릴레이
JP6719220B2 (ja) 電気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のための装置
KR100637678B1 (ko) 저소음형 릴레이
JPS6245009A (ja) 並行移動直流電磁石
KR200378615Y1 (ko) 저소음형 릴레이
JP2007287572A (ja) 電磁開閉装置
JP2002216605A (ja) 電磁継電器
JP3799622B2 (ja) 電磁リレー
JP3852159B2 (ja) 電磁接触器
JPH059800Y2 (ko)
JP5546932B2 (ja) 電磁継電器
JP2000222991A (ja) 電磁リ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