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101B1 - 글로브박스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글로브박스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101B1
KR100921101B1 KR1020040109194A KR20040109194A KR100921101B1 KR 100921101 B1 KR100921101 B1 KR 100921101B1 KR 1020040109194 A KR1020040109194 A KR 1020040109194A KR 20040109194 A KR20040109194 A KR 20040109194A KR 100921101 B1 KR100921101 B1 KR 100921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hook
locking
locking member
instru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653A (ko
Inventor
이근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1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7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4Arrangemen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which engage one another are mounted respectively on the wing and the frame and are both movable, e.g. for release by moving either of them
    • E05B63/248Arrangemen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which engage one another are mounted respectively on the wing and the frame and are both movable, e.g. for release by moving either of them the striker being movable for latching, and pushed back by a member on the wing for unlatching, or vice versa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인 글로브박스를 개폐하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글로브박스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후방으로 걸쳐져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갈라져 연장되어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 글로브박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홈에 걸려져 글로브박스를 로킹시키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후크와; 상기 걸림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폐곡선을 이루며,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글로브박스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이동제한부재를 구비하여, 글로브박스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와 후크의 상대적인 위치 변경을 통해서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가 걸림부재의 걸림홈에 걸려지거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어 글로브박스를 개폐시킬 수 있다.
글로브박스, 인스트루먼트 패널

Description

글로브박스 개폐 구조{Glove box open/closing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글로브박스 개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로킹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글로브 박스 20 : 인스트루먼트 패널
30 : 걸림부재 31 : 걸림홈
40 : 후크 41 : 걸림돌기
50 : 이동제한부재 60 : 스톱퍼
본 발명은 차량의 조수석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작은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인 글로브박스(glove box)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글로브박스(1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운전자 및 탑승자가 필요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인스트루먼트 패널(20)의 내측으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 하단부 모서리(23)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글로브박스(10)는 중앙 상부에서 인스트루먼트 패널(20)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1)에 걸려져 잠겨지게 된다. 상기 스트라이커(21)는 스트라이커 고정패드(22)에 의해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0)에 고정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글로브박스(10)의 리드(11)의 상부 중앙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면 내측 단부에 걸림홈(120)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재(12)의 걸림홈(120)은 상기 스트라이커(21)에 걸려져 글로브박스(10)를 잠금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스트라이커(21)는 금속재의 와이어를 'U'자형으로 형성하여 그 단부에 상기 잠금부재(12)의 걸림홈(120)이 걸려지게 된다. 상기 금속재의 와이어는 보통 지름이 3 mm인 스틸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쉽게 변형이 되어 잠겨진 상태에서 인스트루먼트 패널(20)과 글로브박스(10)의 리드(11)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는 고정패드(2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라이커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고정패드(22)를 함께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글로브박스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가이드 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에 걸려지는 후크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후크가 가이드 홈에 걸려져 글로브박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 조작에 의해서 글로브박스를 개폐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인 글로브박스를 개폐하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로서, 상기 글로브박스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후방으로 걸쳐져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갈라져 연장되어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 글로브박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홈에 걸려져 글로브박스를 로킹시키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후크와; 상기 걸림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폐곡선을 이루며,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글로브박스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이동제한부재를 구비하여, 글로브박스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와 후크의 상대적인 위치 변경을 통해서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가 걸림부재의 걸림홈에 걸려지거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어 글로브박스를 개폐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림부재의 후방에는 후방 단부로부터 하부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하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의 연장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글로브박스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연장부로 인해서 연장부의 반대측으로만 제한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가 걸림부재의 하부에서 상부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여 후크의 상대적인 위치가 상기 걸림부재의 하부에서 상부로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상부에서 하부로의 이동은 불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글로브박스 개페장치의 로킹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는 글로브박스(10) 양측면(13)에 형성되는 걸림부재(30)와, 상기 글로브박스(10)의 측면(13)과 대응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측면(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40)와, 그리고 상기 글로브박스(10)의 양측면(13)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30)의 외측을 감싸는 폐곡선 형상의 이동제한부재(5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걸림부재(30)는 전후방(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2의 우측 즉 글로브박스가 회전하여 개방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며, 도 2의 좌측을 후방이라고 한다.)에 걸쳐서 위치하는 긴 막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전방측에서 상하로 갈라져 중앙부에 걸림홈(3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후방 단부에는 후방 하부를 향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일체로 연장하는 연장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30)는 글로브박스(10)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다.
상기 걸림부재(30)는 폐곡선을 이루는 이동제한부재(50)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이동제한부재(50)는 글로브박스(10)와 일체로 형성되며 글로브박스(1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후크(40)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단(40a)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측면(24)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40b)은 글로브박스(10)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40)는 일단(40a)의 주위에 회전돌기(42)가 되어 있으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측면(24)에는 상기 회전돌기(42)가 삽입되어 회전돌기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홈(241)과,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41)가 삽입되는 관통홈(2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40)는 일단(40a)의 회전돌기(42)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회전홈(24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걸림돌기(41)는 상기 관통홈(242)을 통해서 상기 글로브박스(10)의 측면까지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30)의 걸림홈(31)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41)는 도 3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글로브박스(10)의 측면(13)에 형성된 걸림부재(30)의 걸림홈(31)에 삽입되어 글로브박스(10)의 개방을 방지하며, 상기 걸림홈(31)으로부터 이탈되면 글로브박스(10)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후크(40)의 걸림돌기(41)는 상기 이동제한부재(50)의 내측으로 그 이동 영 역이 제한된다.
상기 걸림부재(30)의 후방 단부의 연장부(32)와 인접하는 위치에 스톱퍼(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60)는 글로브박스(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32)로 인해서 연장부(32) 측으로는 회전할 수 없고, 연장부(32) 반대측으로만 제한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톱퍼(60)는 상기 후크(40)의 걸림돌기(41)가 걸림부재(30)의 하부에서 상부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한다. 상기 스톱터(60)는 상기 걸림부재(30)의 연장부(32)와 탄성부재(62)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 회전 후에 상기 탄성부재(62)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작동을 살펴본다.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b는 글로브 박스의 걸림부재(30)가 정지된 상태에서 후크(40)가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는 글로브 박스가 회전함에 따라 걸림부재(30)의 위치가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후크(40)의 위치가 이동한다. 상기 도면들은 설명의 편의상 걸림부재(30)를 중심으로 하여 글로브 박스의 개폐동작에 따른 후크(40)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의 (a)는 글로브박스가 잠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걸림부재(30)의 걸림홈(31)에 후크(40)의 걸림돌기(41)가 걸려져 있다.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글로브박스(10)를 살짝 밀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30)가 후방(도 4a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0)로부터 상기 걸림돌기(41)가 빠져나오게 된다. 이후 상기 후크(40)는 자중에 의해서 도 4b에 도 시한 것과 같이 하부로 회전하여 이동제한부재(50)에 닿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글로브박스(10)를 놓게 되면 글로브박스(10)가 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30) 및 상기 이동제한부재(5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후크(40)의 걸림돌기(41)가 걸림부재(30)의 후방 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도 4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걸림돌기(41)는 스톱퍼(60)를 회전시켜 스톱퍼(6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톱퍼(6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 후 탄성부재(62)에 의해서 다시 원위치로 복귀된다.
사용자가 글로브박스(10)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도 5a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후크(40)의 걸림돌기(41)가 스톱퍼(60)의 후방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글로브박스(10)를 밀게 되면,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걸림돌기(41)가 상기 스톱퍼(60)를 타고 걸림부재(30)의 상부측을 따라 상대적으로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톱퍼(60)는 걸림부재(30)의 연장부(32)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에 걸림돌기(41)가 용이하게 스톱퍼(60)를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이후 글로브박스(10)를 완전히 가압한 상태가 되면 도 5c와 같이 걸림돌기(41)가 걸림부재(3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후크(40)의 자중에 의해서 걸림돌기(41)가 하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글로브박스(10)를 살짝 놓게 되면 글로브박스(10)의 걸림부재(3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도 5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걸림돌기(41)가 걸림부재(30)의 걸림홈(31)에 걸려지게 되어 글로브박스(10)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잠겨지게 된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걸림부재 및 이동제한부재를 글로브박스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후크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글로브박스의 개폐동작시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부재 및 이동제한부재와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면서 걸림부재의 걸림홈에 걸려지거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글로브 박스의 개폐동작을 단순하게 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공정을 축소할 수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인 글로브박스를 개폐하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로서,
    상기 글로브박스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후방으로 걸쳐져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갈라져 연장되어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 글로브박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홈에 걸려져 글로브박스를 로킹시키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후크와;
    상기 걸림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폐곡선을 이루며,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글로브박스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이동제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후방에는 후방 단부로부터 하부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하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의 연장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글로브박스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연장부로 인해서 연장부의 반대측으로만 제한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가 걸림부재의 하부에서 상부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KR1020040109194A 2004-12-21 2004-12-21 글로브박스 개폐 구조 KR100921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194A KR100921101B1 (ko) 2004-12-21 2004-12-21 글로브박스 개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194A KR100921101B1 (ko) 2004-12-21 2004-12-21 글로브박스 개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653A KR20060070653A (ko) 2006-06-26
KR100921101B1 true KR100921101B1 (ko) 2009-10-08

Family

ID=3716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194A KR100921101B1 (ko) 2004-12-21 2004-12-21 글로브박스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1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136A (ja) * 1990-08-31 1992-04-14 Taisho Pharmaceut Co Ltd 物品の搬送装置
KR0132628Y1 (ko) * 1996-03-20 1998-12-15 김영귀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
KR19990003143A (ko) * 1997-06-24 1999-01-15 김영환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
KR19990003143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글로브박스의 격막구조
KR20010060117A (ko) * 1999-12-31 2001-07-06 이계안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136A (ja) * 1990-08-31 1992-04-14 Taisho Pharmaceut Co Ltd 物品の搬送装置
KR0132628Y1 (ko) * 1996-03-20 1998-12-15 김영귀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
KR19990003143A (ko) * 1997-06-24 1999-01-15 김영환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
KR19990003143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글로브박스의 격막구조
KR20010060117A (ko) * 1999-12-31 2001-07-06 이계안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653A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7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5004268B2 (ja) 押上装置
KR101172576B1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KR20090107438A (ko)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차량용 소품상자
JPH05338496A (ja) 蓋開閉装置
JP4276101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100921101B1 (ko) 글로브박스 개폐 구조
US10093376B2 (en) Motorcycle cargo storage system
JP5966586B2 (ja) 車両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構造
KR100381482B1 (ko) 자동차의 콘솔 록킹 장치
JP2006290163A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868420B1 (ko)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열림방지장치
KR100579641B1 (ko) 센터 패시어 트레이 잠금장치
JP6628627B2 (ja) ロック構造
CN112389854B (zh) 冷藏箱
JP7221660B2 (ja) 箱型荷台用ドアストッパー
KR20190050542A (ko)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JP2009154749A (ja) 車両用収納装置
JP4956050B2 (ja) 収納容器
US8820573B2 (en) Mechanism to hold cover open or closed
US7513554B2 (en) Cup holder
JP3763362B2 (ja) 家具における抽斗のロック装置
KR0114540Y1 (ko) 트럭의 적재함 옆문 고정용 지지대
JP2017077760A (ja) グラブボックスの開閉構造
JP5197313B2 (ja) 車両用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