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143A -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143A
KR19990003143A KR1019970026946A KR19970026946A KR19990003143A KR 19990003143 A KR19990003143 A KR 19990003143A KR 1019970026946 A KR1019970026946 A KR 1019970026946A KR 19970026946 A KR19970026946 A KR 19970026946A KR 19990003143 A KR19990003143 A KR 19990003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processor
mobile communication
occurred
mai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덕재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2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143A/ko
Publication of KR1999000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143A/ko

Links

Landscapes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 교환기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장치에서 디바이스 경보를 취합하는 경보 취합 장치나 디바이스 경보를 감지하는 경보 취합 프로세서에 장애가 발생되면 디바이스의 경보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부 프로세서에서 일정주기로 디바이스 경보 정보를 읽어들여 경보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경보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슬립하는 제1 단계(ST1-ST2)와, 상기 판단결과 디바이스 경보가 발생되었다면 주 프로세서에 통보하고 약정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 단계(ST3-ST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에 적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
본 발명은 부 프로세서에 연결된 티디-버스(TD-BUS)를 통해 디바이스의 경보를 수집하고 이를 부 프로세서에서 감지하게 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벙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는 디바이스의 경보를 경보 취합 장치에서 취합하고 이를 경보 프로세서가 감지한 후 주 프로세서에서 경보를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디바이스 경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한 종래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장치는, 경보를 발생하는 디바이스부와, 상기 디바이스부에서 발생된 경보를 경보 케이블을 통해 취합하는 경보 취합 장치와, 상기 경보 취합장치에서 취합된 경보를 감지하는 경보 취합 프로세서와, 상기 경보 취합 프로세서에서 감지된 디바이스 경보를 처리하는 주 프로세서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바이스부가 경보를 발생하면 경보 취합 장치는 경보 케이블을 통해 각 디바이스의 경보를 취합하며, 경보 취합 프로세서는 이 취합된 경보를 감지하여 주 프로세서로 전달한다. 그러면 주 프로세서는 해당 디바이스 경보를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장치는 경보 취합 장치나 경보 취합 프로세서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디바이스의 경보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 경우 디바이스의 경보를 처리하지 못하므로 안정적인 서비스의 제공도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 프로세서에 연결된 티디-버스(TD-BUS)를 통해 디바이스의 경보를 수집하고 부 프로세서에서 경보를 감지하게 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부프로세서에서 일정주기로 디바이스 경보 정보를 읽어들여 경보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경보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슬립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경보가 발생되었다면 주 프로세서에 통보하고 약정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애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 프로세서, 20 : 부 프로세서, 30 : 제 1 디바이스, 40: 제 2 디바이스, 50 : 제 3디바이스, 60 : 제 4디바이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 프로세서에서 일정주기로 디바이스 경보를 읽은 후 전에 읽은 경보와 비교하여 변화가 없으면 슬립하는 제1 단계(ST1-ST2)와, 상기 비교 결과 변화가 있으면 주 프로세서에 통보하고 약정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 단계(ST3-ST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장치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를 발생하는 제1 내지 제4 디바이스(10-40)와, 상기 제1 내지 제4 디바이스(10-40)에 각각 연결된 티디-버스(제1 내지 제4 TD-BUS)를 통해 디바이스 경보를 취합하고 경보를 감지하는 부 프로세서(50)와, 상기 부 프로세서(50)로부터 전달되는 디바이스 경보를 처리하는 주 프로세서(6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부 프로세서(50)는 내부의 특정 메모리에 저장된 디바이스 경보 정보를 읽어 이전값과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 상위 주 프로세서에 보고하는 부 프로세서 상태/경보 처리부(51)를 구비한다.
또한 주 프로세서(60)는 상기 부 프로세서 상태/경보 처리부(51)로부터 전달된 경보를 비교분석하여 처리하는 주 프로세서 경보 처리부(61)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나의 디바이스에 연결된 티디-버스를 통해 전달되는 디바이스 경보는 2바이트이며 따라서 부 프로세서(50)에서 취합되는 디바이스 경보는 8바이트가 되고 각 비트는 디바이스 경보 소스가 되어 하나의 부 프로세서당 64개의 경보 정보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장치의 작용은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 프로세서 상태/경보 처리부(51)는 부 프로세서내 특정 메모리에 저장된 8바이트 단위의 경보 정보를 100 밀리초(100ms) 주기로 읽는데 두번 읽은 경보 정보중 전 경보 정보와 현재의 경보 정보를 비교하여 200밀리초 내에 짧게 변화된 경보 정보(일종의 잡음)를 제거한다. 따라서 실제적인 경보 검출 주기는 200밀리초가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내지 제4 디바이스(10-40)중 어느 한 디바이스에서 경보가 발생하면(여기서는 제2 디바이스(20)에 경보가 발생된 경우를 설명한다.) 그 디바이스에 연결된 티디-버스를 통해 디바이스 경보 정보가 부 프로세서(50)로 전달되어 내부의 특정 메모리에 저장된다.
부 프로세서 상태/경보 처리부(51)는 부 프로세서(50) 내 특정한 메모리에 저장된 8바이트 단위의 경보 정보를 주기적으로 읽어 들인 후, 읽은 경보 정보를 이전의 경보 정보와 비교한다(ST1-ST2).
상기 비교 결과 각 비트에 변화가 있으면 즉, 디바이스에 발생된 경보를 감지하면 주 프로세서(60)에 통보하고 부 프로세서(50)의 응용프로그램이 참조하도록 약정된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ST3-ST4)
주 프로세서 경보 처리부(61)는 부 프로세서 상태/경보 처리부(51)로부터 통보받은 8바이트 경보 정보를 비트별로 분석하여 변화된 비트의 경보 소스의 상태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운용자 터미널에 출력한다. 또한 디바이스 상태를 관리하는 통화로계 장비 유지 보수 처리부(Telephony Device Maintenance Handling software block), 연결망 유지 보수 처리부(Interconnection network Maintenance Handling software block)등에 경보 정보를 전달한다. 이리하여 부 프로세서에서 티디-버스를 통해 각 디바이스의 경보를 취합하여 주 프로세서에서 빠짐없이 처리되는 것이다.
부연으로 상기한 주 프로세서(60)내에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보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첫번째 키(Key)는 하나의 주 프로세서(60)에 여러개의 부 프로세서가 연결되어 있는데 기능별로 분류된 각 부 프로세서의 주소값이 할당되며, 부 프로세서가 이중화로 구성되어 같은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되므로 주 프로세서(60)에서의 첫번째 키는 32개(1개의 주 프로세서 자체 경보 정보와 31개의 부 프로세서 경보 정보)로 구성된다. 또한 경보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두번째 키(Key)는 8바이트내의 디바이스 경보 비트 위치값이 되므로 이 첫번째 키 및 두번째 키에 의해 각 디바이스 경보 정보는 주 프로세서내(60)에서 유일한 키(Key)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는 디바이스 명칭과 각 보드의 이름, 셀프(Self) 정보, 슬롯(Slot)정보, 경보 등급, 제어 정보 등을 정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주 프로세서(60)는 부 프로세서(50)로부터 경보 정보가 통보되면 신속하게 부 프로세서의 주소값과 변화된 비트로 키(Key)를 추출하여 해당 경보 소스를 읽어 적절한 경보 처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디바이스에 연결된 티디-버스(TD-BUS)를 통해 디바이스 경보를 부 프로세서에서 취합하여 경보를 감지하게 함으로써 디바이스에 발생된 경보를 빠짐없이 처리하여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바이스 경보 발생시 주 프로세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한번에 모든 경보 정보를 알 수 있어 경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함으로써 장애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부 프로세서에서 일정주기로 디바이스 경보 정보를 읽어들여 경보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경보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슬립하는 제 1단계(ST1-ST2)와;
    상기 판단 결과 디바이스 경보가 발생되었다면 주 프로세서에 통보하고 약정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 단계(ST3-ST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
KR1019970026946A 1997-06-24 1997-06-24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 KR19990003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946A KR19990003143A (ko) 1997-06-24 1997-06-24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946A KR19990003143A (ko) 1997-06-24 1997-06-24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143A true KR19990003143A (ko) 1999-01-15

Family

ID=6598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946A KR19990003143A (ko) 1997-06-24 1997-06-24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1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101B1 (ko) * 2004-12-21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로브박스 개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101B1 (ko) * 2004-12-21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로브박스 개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2206B1 (en) Multi-processor switch and main processor switching method
CN105549508B (zh) 一种基于信息合并的报警方法及装置
EP0361387B1 (en) Automatic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computer system
KR19990003143A (ko) 이동통신교환기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 방법
KR100485991B1 (ko)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CN107180390A (zh) 用于数据处理的设备
JP3248483B2 (ja) アラーム処理装置
KR0175470B1 (ko) 지능망 서비스 제어/관리시스템에서의 경보처리 장치 및 방법
JP3378975B2 (ja) 障害診断器
KR940017589A (ko)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망에서 노드의 경보발생 노드 확인 방법
KR100235570B1 (ko) 2이상의 주전산기를 병립 연결한 시스템의 클러스터 관리 마스터 시스템의 클러스터 관리방법
KR20040026934A (ko) 교환기의 장애 처리 방법 및 장치
JPS63250746A (ja) 障害自動通報方式
KR20030058447A (ko) 서비스 데이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H0879192A (ja) 通信網設備監視オペ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H10228313A (ja) 監視装置
KR100497893B1 (ko) 교환기의 장애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214145B1 (ko) 넘버 세븐 신호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신호단말의 알람검출 및 관리장치
KR100318305B1 (ko) 광시스템에서의유니트실장정보관리방법
KR20010056513A (ko) 알람 메시지 마스킹 방법
KR20000042924A (ko) 교환시스템의 경보/장애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30172B1 (ko) 교환 시스템의 통화로계 장비 경보 감사 장치
JPH0525019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のヘルスチェック制御方式
JPH0583366A (ja) ネツトワーク管理方式
JPH04275663A (ja) 障害プロセッサの判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