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006B1 -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 Google Patents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006B1
KR100918006B1 KR1020087019083A KR20087019083A KR100918006B1 KR 100918006 B1 KR100918006 B1 KR 100918006B1 KR 1020087019083 A KR1020087019083 A KR 1020087019083A KR 20087019083 A KR20087019083 A KR 20087019083A KR 100918006 B1 KR100918006 B1 KR 100918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hread
stitch
sewing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497A (ko
Inventor
코우이치 사쿠마
토루 사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ublication of KR2008009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2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single-thread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2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single-thread seams
    • D05B1/04Running-stitch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2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single-thread seams
    • D05B1/06Single chain-stitch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1/00Loop holders; Loop spreaders; Stitch-forming fing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93/00Stitches; Stitch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5/00Needles
    • D05B85/006Hooked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5/00Needles
    • D05B85/02Needles with slotted eyes, i.e. with a slit leading to the eye for thread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바느질실을 바늘의 실포착구로 확실하게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바늘땀 형성을 할 수 있게 한다.
구침(鉤針) 13, 반회전 북집(a shuttle hook, 200), 실 인출 작동자(a thread draw out actuator, 401)의 협동에 의해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이면에 정봉 스티치를 스킵 스티치 세트(a skip sewing stitch)로서 형성하고, 구침 13의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a feed dog, 601)에 의해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하고, 구침(13)의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601)에 의해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 사이를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한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Description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METHOD AND SEWING MACHINE FOR FORMING SINGLE-THREAD LOCKED HANDSTITCHES}
본 발명은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느질실이 바늘의 실 포착구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한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 바늘땀을 형성하고 핀 포인트/새들 스티치라고 불리는 의사(擬似) 핸드 스티치에 적합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1개의 바느질실로 재봉대상의 한쪽에서 교대로 보이거나 숨겨지는 핀 포인트 스티치를 형성하고, 손바느질의 촉감을 빚어내는 바늘땀은, 국제 표준인 ISO 4915 스티치 타입 104 (체인 스티치) 및 ISO 4915 스티치 타입 209 (새들 스티치/핸드 스티치)로서 규격화되어 있다.
종래부터, 바늘에 꿴 1개의 바느질실이 꿰어진 봉침, 실 포착구를 측면에 설치한 구침, 루퍼(looper) 및 스프레더(spreader)를 이용하여, "104" 바늘땀을 핀 포인트 스티치(의사 핸드 스티치)로서 형성하고, 성봉(星縫) 등의 옷감 벗어남을 방지하는 핀 포인트 재봉틀이 알려져 있다(예로서, 특허문헌1 참조).
이 핀 포인트 재봉틀은, 1개의 바느질실이 꿰어진 봉침과 실 포착구를 측면 에 설치한 구침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바늘땀 피치는 봉침과 구침 사이의 간격으로 한정되는 결점이 있다. 또, 이 핀 포인트 재봉틀에 있어, 봉제시에, 옷감의 위쪽에는 벌룬 스티치(balloon stitch)가 형성되지만, 본래 봉제된 핀 포인트 스티치가 옷감의 아래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눈으로 볼 수 없는 상태에서 봉제 작업이 강요되므로, 핀 포인트 봉 위치를 확인하는 일이 곤란해서 정확한 봉제를 할 수 없는 결점도 있다. 또, 이 핀 포인트 재봉틀에 있어서 "104" 바늘땀으로는, 바늘땀을 형성하고 있는 바느질실을 끌어당기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풀리기 때문에, 상술한 성봉등의 옷감 벗어남을 방지하는 기능을 잃어버리고 만다는 결점도 있다.
이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 북집(釜)에 내장된 보빈에 권장된 1개의 바느질실로, 1개의 실 포착구를 측면에 설치한 구침, 실걸이 훅, 실 포착구로의 바느질실 안내 스프레더 및 천칭을 이용하여, "104" 바늘땀에 유사한 의사 핀 포인트 스티치를 형성하는 의사 핸드 스티치 재봉틀이 제안되어 있다(예로서, 특허문헌2 참조).
특허문헌 1 : 특공 소55-35481호 공보(도 5, 도 6, 도 7)
특허문헌 2 : 특공 평4-3234호 공보(미국 특허 4,590,878호와 동일) (도 11, 도 13, 도 14)
이 의사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 봉제시에, 옷감의 위쪽에는 2겹으로 된 바느질실이 핸드 스티치 모양으로 형성되고, 옷감의 아래쪽에는 정봉(錠縫) 바늘땀(locked stitch)이 형성된다. 그렇지만, 이 의사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는, 바늘의 실 포착구로의 바느질실 안내 스프레더가 옷감을 지지하는 바느질판과 회전 북집 사이에 배치될 필요가 있음에도, 천칭은 그 기능상, 바늘판의 바로 아래에 설치하고, 바늘판과 회전 북집의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바느질실 안내 스프레더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배치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는, 이와 같은 배치는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이 의사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회전 북집으로 안내되어 들어간 바느질실이 회전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바느질실을 실걸이 훅으로 옷감의 윗쪽 방향으로 끌어올리지 않으면 안 되고, 작업자가 옷감 위에서, 이러한 위치에 손을 갖다 대고 있는 것은 극히 위험하고, 옷감을 이동하는 봉제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난점이 있다. 따라서 이 의사 핸드 스티치 재봉틀을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퀼팅, 퀼트 또는 패치워크를 만드는 데 있어, 예부터 수작업으로 봉제가 행해지고 있다. 이것은 극히 막대한 수고를 필요로 하고, 중노동이 강요되는 작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 까닭으로, 록 스티치(ISO 4915 스티치 타입 301)로 봉제하는 재봉틀을 이용하여, 사용된 2개의 실 중 1개를 투명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언뜻 보아 핸드 스티치 바느질이 조성되도록 하는 수법도 채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 수법으로 봉제된 바늘땀은 기본적으로 록 스티치 재봉틀을 이용하고 있어, 실이 연속하여 꿰매지고 있기 때문에, 퀼팅, 퀼트 또는 패치워크를 만드는 데 필요한 봉제 후 재봉대상 표면에 생기는 요철을 수반하는 부드러움을 추구하는 본래의 핸드 스티치 바느질의 촉감을 얻을 수 없다는 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바느질실이 바늘의 실 포착구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한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바늘땀을 형성하고 핀 포인트/새들 스티치라고 불리는 의사 핸드 스티치에 적합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느질실이 바늘의 실 포착구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바늘땀을 형성함과 동시에, 바늘땀 피치 및 바늘땀간 피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로서 형성하고, 재봉대상의 이송 방향,즉 바느질 방향을 1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퀼팅, 퀼트 또는 패치워크를 만드는 데 적합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실 포착구가 측면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구침, 반회전 정전과 반회전 역전하는 반회전 북집, 천칭과 같이 왕복 운동하는 실 인출 작동자, 및 타원 운동하는 이송 톱니를 협동시켜, 바느질실을 바늘의 실 포착구에 확실하게 포착하고, 또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바늘땀을 형성하는 것으로,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각각 형성시키는 것에 있다. 또, 구침, 반회전 북집, 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로서 형성함에 있어, 이송 톱니에 의한 재봉대상의 이송량을 바늘땀 피치 이송과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따라 각각 변화시키는 것으로, 바늘땀 피치 및 바늘땀간 피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은,
(a) 실 포착구가 측면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구침이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上死点)에서 하강하여 바늘판에 놓인 봉재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下死点)에서 상승할 때, 바늘판의 아래쪽에 있는 실이 권장된 반회전 역전하는 북집의 사출구(絲出口)에서 인출되어 구침에 주접하여 긴장되어 있는 실을 실 포착구에 포착하는 것,
(b) 구침이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 상승되어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봉재대상을 1 바늘땀 피치 이송함과 동시에 실을 포착한 구침이 상승하는 것 및 북집이 또한 역전하는 것에 의하여 실을 죄는 것,
(c) 구침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로 포착되어 있던 실을 반회전 정전하는 북집의 검선으로 떠냄과 동시에, 포착되어 있던 실을 북집의 회전에 의하여 실 포착구로부터 해방하는 것,
(d)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어 해방된 실을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북집으로 안내하여 넣고 북집에 권장된 실에 교착시켜,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죄는 것,
(e) 구침을 제2 스트로크에 있어 봉재대상으로부터 빼내어 상승시켜 상사점을 통과시키는 사이에, 재봉대상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하는 것,
(f) (a) 내지 (e)의 공정을 반복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으로, 북집은 실이 권장된 보빈을 수납한 보빈 케이스를 내북집(內釜)에 내장하고, 보빈 케이스는 내북집과 함께 회전이 자유롭도록 외부에 로드(load)되고,
구침이 바늘판으로부터 상승할 때 북집이 역전하게 되어, 사출구는 바늘판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 및 위치로 보빈 케이스 속에 놓여있게 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으로, 구침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운동할 때에 북집은 회전 정지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으로, 실 포착구에 포착되어 있던 실이 북집의 검선으로 떠낸 후, 북집의 사출구에서 인출되어 있는 실을 걸어, 북집으로부터 인출하여 실을 죄고, 실 포착구에서 실을 포착한 후, 걸려 있는 실을 푼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으로, 제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이 상사점에서 하강할 때에 실 포착구로 포착된 실을 구침의 바늘끝과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실 포착구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옮긴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으로,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조임에 있어서, 바늘땀 피치에 따라 실 조임도(thread tightness)를 조절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으로, 구침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하여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재봉대상을 바늘판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압력을 해제하고 재봉대상의 이송 방향을 구침을 회동축으로서 수동 회동 조작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으로,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어 해방된 실을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북집으로 안내하여 넣고 북집에 권장된 실에 교착시킨 후에,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죄기 전에, 북집에 안내되어 들어가 있는 실을 상기 북집의 주위로 일시 체류시키어,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오는 실을 죄는 것에 의하여 일시 체류를 해제한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은,
구침, 반회전 북집, 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로서 형성하고, 구침의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하고, 구침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 사이를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함에 있어, 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설정하고,
1개의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바늘땀 피치 이송,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하는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로 순차적으로 바꾸고,
설정된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 이송 구동 기구에 전달하고 이송 톱니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보내는 것으로 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으로, 구침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갈 때, 재봉대상을 바늘판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압력을 해제하여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을 수동이송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으로, 구침이 재봉대상로부터 빠져나갈 때, 재봉대상을 이송하는 이송 톱니를 퇴피하여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을 수동이송한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바늘판에 놓인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 상승하여,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을 포착하고,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포착되어 있던 실을 해방하는 실 포착구를 측면에 설치한 구침과,
바늘판의 아래쪽에 있어 실이 권장되어 실이 사출구에서 인출되는 북집이고,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반회전 역전하고, 실 포착구로 실을 포착한 구침의 상승에 수반하여 또한 역전하는 것에 의하여 실을 조임과 동시에, 구침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로 포착되어 있던 실을 북집이 반회전 정전하고 떠내는 검선을 가지고, 포착되어 있던 실을 북집의 회전에 의하여 검선으로 떠내어 실 포착구로부터 해방하고, 해방된 실을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북집에 안내하여 넣고 북집에 권장된 실에 교착시키는 반회전 북집과,
실 포착구가 실을 포착할 때에 북집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사출구에서 인출되어 있는 실을 구침을 주접하여 긴장시킴과 동시에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죄는 실 인출 작동자와,
구침이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되어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을 1 바늘땀 피치 이송함과 동시에, 구침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되어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하는 이송 톱니를 구비하고,
이것에 의해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북집은 실이 권장된 보빈을 수납하는 보빈 케이스를 내북집에 내장하고, 보빈 케이스는 내북집과 함께 회전이 자유롭도록 외부에 로드(load)되고,
구침이 바늘판으로부터 상승할 때 북집이 역전하게 되어, 사출구는 바늘판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 및 위치로 보빈 케이스 속에 놓여있게 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구침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 운동할 때에 북집은 회전 정지하는 기간을 갖는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실 인출 작동자는, 실 포착구에 포착된 실이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진 후, 북집의 사출구에서 인출된 실을 걸어, 북집으로부터 인출하여 죄고, 실 포착구로 실을 포착한 후, 걸려 있는 실을 푸는 기능을 갖는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제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이 상사점에서 하강할 때에 실 포착구에 포착된 실을 구침의 바늘끝과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실포착구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옮기는 실 시프팅 기구(thread shifting mechanism)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이송량 설정 기구에 의하여 설정된 바늘땀 피치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의 실 조임도를 조절하는 실 조임도 조절 기구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재봉대상을 바늘판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노루발을 구비하고, 구침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갈 때, 노루발의 압력을 해제하여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을 수동으로 이송하는 압박 해제 기구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구침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갈 때, 재봉대상을 보내는 이송 톱니를 퇴피하고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을 수동이송하는 이송 톱니 퇴피 기구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구침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을 관통하여,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재봉대상을 바늘판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압력을 해제하고 재봉대상의 이송 방향을 구침을 회동축으로서 수동 회동 조작하기 위한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내북집을 반회전으로 정전, 역전하도록 구동하는 드라이버에, 구침이 재봉대상을 관통한 후, 구침이 재봉대상을 관통하는 것에 의하여 생기는 불규칙한 동작을 봉침 위치에 교정하는 바늘 보호구를 설치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사출구에서 인출되고 실 인출 작동자에 의하여 실 포착구에 위치 결정되어 구침을 주접시키고 긴장되어 있는 실을 실 포착구에 강제 삽입하는 실 삽입자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구침의 실 포착구가 구침의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바늘판을 넘기까지의 기간 및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바늘판을 넘어, 재봉대상을 빠져나가 상사점에 이를 때까지의 기간에 실 포착구를 막는 덮개침을 구동하는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북집의 주위의 일부에는,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어져 해방된 실을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북집으로부터 빠져나와 북집에 권장된 실에 교착된 후에, 북집으로부터 빠져 나온 실을 조이기 전에, 북집에서 빠져 나와 있는 실을 일시 체류시키고, 북집으로부터 빠져 나온 실을 조이는 것에 의해 일시 체류를 해방하는 실 체류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구침, 반회전 북집, 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로서 형성하고, 구침의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하여, 구침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간을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이고,
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설정한 이송량 설정 기구와,
1개의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바늘땀 피치 이송,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하는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로 순차적으로 바꾸는 이송 모드 전환 기구와,
설정된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 전달하고 이송 톱니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이송하는 이송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이송량 설정 기구는, 구침을 구동하는 상축으로부터 2분의 1 감속된 중간축에 축지된 지지팔에 축지된 역T자형 이송 조절체로 이루어지고, 역T자형 이송 조절체의 양팔에는 바늘땀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가 각각 축지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이송 모드 전환 기구는, 중간축에 고정되고 적어도 2개의 짝수개의 편위점을 갖는 이송 전환 캠 및 이송 전환 캠에 외접한 이송 전환 로드로 이루어지고, 이송 전환 로드의 연결단은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의 한 끝에 축지되고, 다른 끝은 역T자형 이송 조절체의 세포 팔 끝(縱腕端)에 축지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 이송 구동 기구는, 한 끝이 이송 전환 로드의 연결단에 축지된 수평 이송 연결 링크와, 제1의 팔이 수평 이송 연결 링크의 다른 끝에 축지된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와, 한 끝이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의 제2의 팔에 축지되고 다른 끝이 수평 이송 세로 로드에 축지된 수평 이송 로드 링크와, 상축에 고정되는 수평 이송 편심캠 및 수평 이송 로드 링크의 다른 끝에 축지되고 수평 이송 편심캠에 외접한 수평 이송 구동 로드로 된다.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의하면, 바느질실이 바늘의 실 포착구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한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을 형성하여 핀 포인트/새들 스티치라고 불리는 의사 핸드 스티치에 적합한 봉제를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의하면,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에 있어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볼 수 있는 상태에서 봉제 작업이 행해지고, 핸드 스티치봉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봉제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의하면,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을 형성하고 있는 바느질실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풀리는 것이 없기 때문에, 튼튼한 봉제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의하면, 구침, 반회전 북집, 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이 형성되기 때문에,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는 각각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례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구동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구침이 상사점에 있는 그림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B)는 구침이 하사점에 있는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구침과 덮개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구침의 실 포착구가 덮개침으로 닫힘상태가 된 그림, (B)는 구침의 실 포착구가 열린 상태가 된 그림이다.
도 6은 구침과 덮개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로서, (A)는 구침의 실 포착구가 덮개침으로 닫힘상태가 된 그림, (B)는 구침의 실 포착구가 열린 상태가 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누름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로 얻어지는 의사 핸드 스티치 바늘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옷감 이송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옷감 이송 구동 기구, 이송량 설정 기구 및 모드 전환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반회전 북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반회전 북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북집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북집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인출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인출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C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D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E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F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G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H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I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J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K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L은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M은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N은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O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P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Q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R은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S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T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U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V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W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구침, 반회전 북집, 실 인출 작동자, 덮개침 및 이송 톱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8H에 기재된 반회전 북집만을 위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3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인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구침이 상사점에 있는 그림이다.
도 25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인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구침이 하사점에 있는 그림이다.
도 26은 도 25A, B의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시프팅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시프팅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인 실 시프팅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인 실 시프팅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7A, B, 도 27A, B의 실 시프팅 기구의 실 시프터의 운동궤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반회전 북집에 사용된 바늘보호구를 설치한 내북집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의 (A)는 도 30의 내북집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B)는 그 내북집 드라이버에 설치된 바늘보호구를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조임 조절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조임 조절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A는 도 32, 도 33의 실 조임 조절 기구를 재봉틀의 아래에서 본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4B는 도 32, 도 33의 실 조임 조절 기구를 재봉틀의 아래에서 본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5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를 나타내며, 전환 레버가 직선 이송 변환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5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를 나타내며, 전환 레버가 회동 조작으로 변환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A, B의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5A, B, 도 36의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가 갖는 압박 해제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전환 레버가 직선 이송 변환되고 있는 상태의 압박 해제 캠과 압박 해제 캠용 팔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 (C)는 전환 레버가 회동 조작으로 변환되고 있는 상태의 압박 해제 캠과 압박 해제 캠용 팔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수동 이송/ 직선 이송 전환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를 나타내며, 전환 레버가 직선 이송 변환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0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를 나타내며, 전환 레버가 수동 이송 변환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8, 도 39의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가 가지는 압박 해제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전환 레버가 직선 이송 변환되고 있는 상태의 압박 해제 캠과 압박 해제 캠용 팔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 (C)는 전환 레버가 수동 이송 변환되고 있는 상태의 압박 해제 캠과 압박 해제 캠용 팔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삽입자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삽입자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18H에 기재된 반회전 북집과, 실 작동자 및 실 삽입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A)는 도 42, 도 43의 실 삽입자 구동 기구의 실 삽입자가 바느질실을 구침의 실 포착구에 강제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는 반회전 북집, 실 인출 작동자 및 실 삽입자를 위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반회전 북집의 내북집에 오목 모양 실 체류부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반회전 북집의 내북집에 양각 실 체류부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7은 반회전 북집의 내북집에 오목 모양 실 체류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도 18U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의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례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48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구동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인 북집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1은 도 50의 북집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2A는 도 48, 도 49, 도 53, 도 54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구침, 반회전 북집, 실 인출 작동자, 덮개침 및 실 체류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52B는 도 48, 도 49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구침, 반회전 북집, 실 시프터, 노루발 및 실 삽입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52C는 도 53, 도 54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구침, 반회전 북집, 실 시프터, 노루발 및 실 삽입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의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례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54는 도 53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구동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을 최선의 실시례와 관련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팔(arm) 2 및 베드(bed) 3으로 된 프레임(frame) 1에, 실 포착구 13a를 측면에 설치하고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며 재봉대상 21에 바느질실 20을 꿰는 구침(鉤針, open eye needle) 13, 반회전 정전과 반회전 역전하며 바느질실 20을 교차시켜 바늘땀을 만드는 반회전 북집(shuttle hook) 200, 천칭과 같이 왕복 운동하며 바느질실 20에 느슨함을 주었다가 바늘땀을 바싹 죄거나 하는 실 인출 작동자 401 및 타원 운동하며 재봉대상 21을 송출하는 이송 톱니 601등이 장착되어, 반회 전 북집 200에 권장된 1개의(단일의) 바느질실 20으로 재봉대상 21의 표면에는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는 정봉 바늘땀(locked stitch)을 각각 형성시키는 재봉틀(미싱)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권장"이란 감겨진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팔 2에는 상축 5 및 중간축 8이, 베드 3에는 수평 이송축 605, 상하 이송축 613 및 북집축 201이, 각각 축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축 5는 상축 전방 부싱(bushing) 7과 상축 후방 부싱 6에 의하여, 중간축 8은 중간축 전방 부싱 9와 중간축 후방 부싱 10에 의하여, 각각 팔 2 속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평 이송축 605는 수평 이송축 전방 부싱 606과 수평 이송축 후방 부싱 607에 의하여, 상하 이송축 613은 상하 이송축 전방 부싱 614과 상하 이송축 후방 부싱 611에 의하여, 각각 팔 2 속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북집축 201은 북집축 후방 부싱 225와 외북집 설치부 202c의 부싱(도 13 참조)에 의하여, 팔 2 속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드라이버 203에 고정되어 있다.
상축 5의 한 끝에는 종동(從動) 풀리 4가 설치되어 모터 M에 의해 무단 벨트(endless belt)인 구동 벨트 MB를 통해 구동된다. 또한, 상축 5의 다른 끝에는 구침 13을 구동하는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의 조합추(needle bar crank) 101이 설치되고, 상축 5의 중간에는 이송 톱니 601을 타원 운동시키며 옷감 이송 기구 600을 구동하는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이 연결되고, 상축 5의 종동 풀리 4에는 근접한 부위에 바늘땀 피치·바늘땀간 피치의 이송량 설정 기구 300을 구동하기 위 한 상축 구동 풀리 25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축 8에는 반회전 북집 200을 구동하는 북집 구동 기구 220 및 실 인출 작동자 401을 구동하는 실 인출 구동 기구 400가 연결되어 있다.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은, 구침 13을,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여 바늘판 12에 놓인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 하사점으로부터 다시 재봉대상 21을 빠져나와 상승하며,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 1 스트로크(stroke)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 다시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바느질실 20을 실 포착구 13a로 포착하고, 다음 제 2 스트로크로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 13a에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을 푸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구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구침 13의 제 1 스트로크"란 구침 13이 바늘 상사점→바늘 하사점→바늘 상사점에 이르기까지의 제 1 바늘땀(the first stitch), "구침 13의 제 2 스트로크"란 구침 13이 바늘 상사점→바늘 하사점→바늘 상사점에 이르기까지의 제 2 바늘땀(the second stitch)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이 구침 13은, 도 3(A), (B) 및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침류(針留, needle clamp, 107)에 고정되고, 침류 107은 침봉 상방 부싱 105 및 침봉 하방 부싱 106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한 상태에서 팔 2에 설치된 침봉 11의 하단부에, 침류 고정 나사(needle clamp screw) 108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침봉 상방 부싱 105 및 침봉 하방 부싱 106 사이의 침봉 11에는 침봉포(針棒抱, needle bar holder, 104)가 고정되고, 이 침봉포 104에 형성된 크랭크 로드 핀 104a는 침 봉 크랭크 로드 103의 한 끝이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고, 침봉 크랭크 로드 103의 다른 끝은 상축 5의 다른 끝에 고정된 조합추 101에 크랭크 로드 핀 102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침봉 크랭크 로드 103이 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조합추 101을 통해 크랭크 운동하기 때문에, 구침 13이 침류 107로 고정된 침봉 11이 침봉포 104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한다.
또한,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는, 덮개침 14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 덮개침(latch wire) 14는 덮개침류(latch wire clamp) 111에 덮개침류 고정 나사(latch wire clamp screw) 112로 고정되고, 덮개침류 111은 덮개침봉 상방 부싱 113 및 덮개침봉 하방 부싱 114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한 상태에서 팔 2에 설치된 덮개침봉(latch wire bar) 15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덮개침봉 상방 부싱 113 및 덮개침봉 하방 부싱 114 사이의 덮개침봉 15에는 덮개침봉 수용체(latch wire bar receiver) 116가 고정되어 있다. 덮개침봉 수용체 116 및 덮개침봉 상방 부싱 113 사이의 덮개침봉 15에는, 침봉 상방 부싱 105 및 침봉포 104 사이의 침봉 11에 고정된 덮개침봉 지지 윗팔(latch wire bar supporting upper arm) 118이 이동가능하게 간극을 가진 채 끼워져 있다. 덮개침봉 지지 윗팔 118 및 덮개침봉 상방 부싱 113 사이의 덮개침봉 15에는 덮개침봉 회전 스톱퍼(latch wire bar rotation stopper) 120이 고정되고, 이 덮개침봉 회전 스톱퍼 120에 형성된 절결(notch) 120a는, 팔 2에 돌출하도록 고정된 덮개침봉 안내(latch wire bar guide) 121이 끌려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넣어져 있다. 따라서, 덮개침봉 회전 스톱퍼 120이 고정된 덮개침봉 15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덮개침봉 회전 스톱 퍼 120은 팔 2에 한 끝이 고정된 덮개침봉 스프링(latch wire bar spring) 119의 다른 끝이 고정되어, 평상시 아래쪽으로 끌려가게 되어 있다. 또한, 덮개침봉 회전 스톱퍼 120의 하부측에는 O링 117이 덮개침봉 15에 끼워 넣어지고, 덮개침봉 하방 부싱 114의 위쪽에는 O링 115가 덮개침봉 15에 끼워 넣어져 있다. O링 117은 덮개침봉 회전 스톱퍼 120과 덮개침봉 지지 윗팔 118이 접합할 때의 완충재로서, O링 115는 덮개침봉 하방 부싱 114와 덮개침봉 수용체 116이 접합할 때의 완충재로서 각각 기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은, 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침봉 11이 상승한 경우에 도 3A에 나타난 것과 같이, 덮개침봉 지지 윗팔 118이 덮개침봉 회전 스톱퍼 120을 덮개침봉 스프링 11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승시킨다. 이때, 구침 13의 상승과 함께 덮개침 14도 상승하기 때문에, 도 5(A),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는 덮개침 14에 의하여 닫힘상태가 된다. 즉, 구침 13이 하사점에서 상사점을 향해 가는 때에 실 포착구 13a는 덮개침 14에 의하여 닫히는 것이 된다. 또한, 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침봉 11이 하강한 경우에는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덮개침봉 지지 윗팔 118도 하강하기 때문에, 덮개침봉 회전 스톱퍼 120은 덮개침봉스프링 119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강한다. 이때, 덮개침 14는 덮개침봉 15에 고정된 덮개침봉 수용체 116이 덮개침봉 하방 부싱 114에 접합하기 때문에, 도 5(B),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는 열린 상태가 된다. 즉,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관통한 후, 실 포착구 13a는 바늘판 12의 아래쪽에서 덮개침 14로부터 개방되는 것이 된다.
이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의 부근에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대상 21을 바늘판 12에 누르기 위한 노루발(presser foot) 501을 동작시키는 누름 기구 500이 마련되어 있다. 누름 기구 5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막대 503이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팔 2에 설치되어, 누름 막대 503의 하단부에, 노루발 501이 요동 자유롭게 장착된 노루다리(presser foot leg) 502가 누름 멈춤 나사(presser stopper screw) 509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누름 막대 503의 상부에는 누름 압력 조절 나사(presser bar pressure adjusting screw) 508이 고정되고, 누름 압력 조절 나사 508은 팔 2의 상부에 나합(螺合)되어 있다. 누름막대 503에는 누름막대 보유체(presser bar holder) 505가 고정되어, 누름막대 보유체 505와 팔 2의 아랫면과의 사이에는 누름 압력 조절 스프링(presser bar pressure adjusting spring) 504이 누름막대 503에 끼워져 있다. 이 누름 압력 조절 스프링 504에 의한 노루발 501의 재봉대상 21에 대한 누름압력은 누름 압력 조절 나사 508을 돌리는 것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노루발 501을 상하로 하기 위해, 누름막대 보유체 505에 결합하는 노루발 올림 레버(presser upholding lever) 506이 팔 2에 고정된 노루발 올림 레버 축(presser upholding lever shaft) 507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노루발 올림 레버 506을 상승시키면 누름막대 보유체 505가 상승하고, 하강시키면 누름막대 보유체 505가 하강한다. 따라서, 노루발 올림 레버 506을 상승시켜 노루발 501 및 바늘판 12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재봉대상 21을 바늘판 12 위에 놓고 노루발 올림 레버 506을 하강시켜 해당 재봉대상 21을 노루발 501로 바늘판 12에 눌러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서, 재봉대상 21을 바늘판 12위에 세트할 수 있다.
옷감 이송 기구 600은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침 13을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에서 빠져나가게 한 후 상승시켜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바늘땀 피치 이송함과 동시에, 구침 13을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에서 빠져나가게 한 후 상승시켜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하는 이송 톱니 60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옷감 이송 기구 600은 도 2,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판 12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이송 톱니(feed dog) 601이 이송 토대(feed base) 602의 대략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송 토대 602의 한 끝은, 수평이송축 605의 한쪽에 고정된 수평이송팔 604에 수평이송팔 축 603에 의하여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이송축 605을 왕복 회전시키는 것으로 수평이송팔 604이 왕복 요동함으로써, 이송 톱니 601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 토대 602의 다른 끝에는 상하 이송 롤러축 609이 고정되고, 상하 이송 롤러축 609에 상하 이송 롤러 608이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 이송 롤러 608은, 상하 이송축 613의 한편에 고정된 상하 이송 드라이브 포크(drive fork) 616의 포크 부분 616a에 끌려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이송축 613을 왕복 회전하는 것으로 상하 이송 드라이브 포크 616이 왕복 요동함으로써, 상하 이송 드라이브 포크 616에 감입하는 상하 이송 롤러 608이 이송 토대 602의 다른 끝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8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땀 이송의 1 바늘땀 피치 P1이란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형성된 핸드 스티치 바늘땀의 가로 길이이고, 바늘땀간 이송의 1 바늘땀간 피치 P2란 연속하는 2개의 핸드 스티치 바늘땀 사이의 땀 길이이다.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량 설정 기구 300로 설정된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 전달하고 이송 톱니 601에 의하여 재봉대상 21을 보내는 것으로, 상축 5에, 수평이송축 605를 왕복 회전시키는 수평 이송캠(cam) 701과, 상축 5에 고정되고 상하 이송축 613을 왕복 회전시키는 상하 이송캠(cam) 717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란 바늘땀 피치 이송과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수평 이송캠 701은 편심캠으로, 캠부 701a에는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가 회동 자유롭게 끼워지고,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의 팔끝 702a에는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한 끝이 연결핀 703으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다른 끝은, 수평 이송축 605의 다른 방향에 고정된 수평 이송축 구동팔 705에 연결핀 706으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축 5가 회전하면 수평 이송캠 701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편심 운동시키므로,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가 상하 운동하여 수평 이동축 구동팔 705가 수평 이송축 605를 왕복 회전시킬 수 있다.
상하 이송캠 717은 편심캠으로, 캠부 717a에는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14의 한 끝이 회동 자유롭게 끼워지고,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14의 다른 끝은, 상하 이송축 613의 다른 방향에 고정된 상하 이송축 구동팔 715에 연결핀 716으로 회동 자 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축 5가 회전하면 상하 이송캠 717이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14의 한 끝을 편심 운동시키므로,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14 자체가 상하 운동하여 상하 이송축 구동팔 715가 상하 이송축 613을 왕복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 이송축 605를 왕복 회전시키는 것으로, 수평 이송팔 604가 왕복 요동하고 이송 토대 602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고, 상하 이송축 613을 왕복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하 이송축 드라이브 포크 616이 왕복 요동하고 상하 이송 드라이브 포크 616에 감입한 상하 이송 롤러 608이 이송 토대 602의 다른 끝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따라서 이송 토대 602에 고정된 이송 톱니 601은, 상승→전진→하강→후퇴라고 하는 이른바 이송 4공정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송량 설정 기구 3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설정하는 것으로, 구침 13을 구동하는 상축 5로부터 2분의 1 감속된 중간축 8에 축지된(pivotally supported) 지지팔 311, 다시 지지팔 311에 축지된 역T자형의 이송 조절체 310으로 이루어진다. 역T자형의 이송 조절체 310의 가로 팔로 된 양팔에는, 바늘땀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인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인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가 각각 같은 축을 중심으로 부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팔 311의 팔끝 311a는 역T자형의 이송 조절체 310의 가로 팔과 세로 팔이 교차하는 부위를 이송 조절체 핀 309으로 회동 자유롭게 연결함과 동시에, 중간축 8에 회동 자유롭게 서로 끼워져 있다.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쪽 방향 가로팔 끝 310a에는, 연결핀 308A로 제1 조절 레버 링크 307의 한 끝이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고, 제1 조절 레버 링크 307의 다른 끝에는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가 연결핀 308B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역T자형 이송조절체 310의 다른 방향의 가로팔 끝 310b에는, 연결핀 308C로 제2 조절 레버 링크 307'의 한 끝이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고, 제2 조절 레버 링크 307'의 다른 끝에는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작용점이 되는 부위가 연결핀 308D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 및 바늘땀 조절 레버 301은 각각 지점으로 되는 부위가, 팔 2에 고정된 조절 레버축 303에 회동 자유롭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조절 레버축 303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 및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사이에는, T자형의 조절 레버 칸막이판 304의 세로팔 끝 304a가 조절 레버축 303에 구비되고, 가로팔로 되는 한쪽 방향의 가로팔 끝 304b는, 다른 방향의 가로팔 끝 304c가 아래로 되도록 멈춤 나사 313A, 313B로 팔 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쪽 방향의 가로팔 끝 304b에는 멈춤 나사 313A로 칸막이판 위 스페이서 305가 고정되고, 다른 방향의 가로팔 끝 304c에는 멈춤 나사 313B로 칸막이판 아래 스페이서 306이 고정되어 있다. 칸막이판 위 스페이서 305는,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 및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역점(力点)이 되는 부위의 상승 위치 리미터(limiter)이고, 칸막이판 아래 스페이서 306은,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 및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역점으로 되는 부위의 하강 위치 리미터(limiter)이다. 또한,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 버 302 및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은, 지점으로 되는 부위를 팔 2에 고정시킨 조절 레버축 303에 축지되고, 조작 손잡이(operating finger grip)가 되는 역점 부위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위치에 물결 와셔(wavelike washer) 등의 탄발부재(elastic member)로 압박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하, 이 정지상태를 반고정이라 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바늘땀 피치 이송,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하는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스킵 스티치 세트(skip stitch set)"란 1조의 핸드 스티치 바늘땀 및 정봉 바늘땀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축 8에 고정되고 2개의 편위점을 갖는 이송 전환 삼각캠 351과, 이송 전환 삼각캠 351에 외접하는 이송 전환 로드 352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에 같은 축을 중심으로 부착되고,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다른 끝은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 끝310c에 같은 축을 중심으로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은 이송 전환 로드 352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의 캠 구멍 352b에 외접하고,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는 연결핀 354로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에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다른 끝은 연결핀 312로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 끝 310c가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은, 2개의 짝수개의 편위점을 갖고 1개의 스킵 스티치 세트를 형성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4개 이상의 짝수개의 편위점을 갖는 이송 전환 캠으로서, 여러 개의 스킵 스티치 세트를 형성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끝이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에 같은 축을 중심으로 부착된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와, 제1의 팔 709a가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다른 끝에 축지된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와, 한 끝이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에 같은 축을 중심으로 부착되고 다른 끝이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 같은 축을 중심으로 부착된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한 끝은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에 연결핀 354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고,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다른 끝은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1의 팔 709a에 연결핀 711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며,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는 연결핀 708로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한 끝을 회동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다.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다른 끝은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 및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의 팔 끝 702a를 연결핀 703으로 회동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중간축 8의 한 끝에는 중간축을 따라 움직이는 풀리 26이 고정되고, 이 중간축을 따라 움직이는 풀리 26과 상축 5에 고정된 상축 구동 풀리 25에 무단 벨트인 타이밍 벨트TB가 감겨져 있다. 이 중간축을 따라 움직이는 풀리 26과 상축 구동 풀리25는 상축 5로부터 2분의 1 감속되어 중간축 8에 회전 운동이 전달된다.
또한,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의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동작 설명에 있어 상세히 서술한다.
반회전 북집 200 및 북집 구동 기구 220은 도 1,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바늘판 12의 아래쪽에 있는 바느질실 20이 권장되고 바느질실 20이 사출구 212a로부터 인출되는 북집이고,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 21을 관통하여,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반회전 역전하고, 실 포착구 13a로 바느질실 20을 포착한 구침 13의 상승에 수반하고 나아가 역전하는 것에 의하여 바느질실 20을 조이는 것과 동시에, 구침 13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을 북집이 반회전 정전하고 떠내는 검선 205a를 갖고,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을 북집의 회전에 의하여 검선 205a로 떠내어 실 포착구 13a로부터 해방하고, 해방된 바느질실 20을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북집으로 안내하여 넣고 북집에 권장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에 교착시킬 수 있는 기구 구성이다.
이와 같은 반회전 북집 200은 도 12, 도 13에 나타난 것처럼, 바느질실 20이 권장된 보빈 211을 수납한 보빈 케이스 212를 내북집 205에 내장하고, 보빈 케이스 212는 내북집 205와 함께 회전 자유롭게 외북집 202에 로드(load)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로드(load)됨"은 걸쳐 놓고 장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바느질실 20을 권장한 보빈 211을 수용한 보빈 케이스 212와, 보빈 케이스 212를 분리하여 자유롭게 수용함과 동시에 검선(loop taker point) 205a를 갖는 내 북집(inner shuttle hook) 205와, 내북집을 회전 자유롭게 내장하고 베드 3에 대하여 회전 고정된 외북집(shuttle race body) 202를 구비하고 있다. 내북집 205는 보빈 케이스 212를 수용하는 보빈 케이스 수용부(bobbin case housing) 205b를 갖고, 이 보빈 케이스 수용부 205b에 보빈 케이스 212를 분리하고 자유롭게 수용한다. 외북집 202는,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 및 내북집 205를 수용하는 내북집 수용부(inner shuttle hook housing) 202a를 갖고 있다. 또, 외북집 202에는, 북집축 201의 한 끝을 회동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북집축 구멍 202b가 설치된 설치 보스부(shuttle race body attaching portion) 202c를 갖고, 이 북집축 구멍 202b 및 내북집 수용부 202a의 회전 중심은, 북집축 201의 회전 중심과 일치한다.
이 외북집 202의 내북집 수용부 202a에, 내북집 드라이버 203을 수용하고 북집축 구멍 202b에는 삽입되는 북집축 201을 고정한다. 또한, 내북집 수용부 202a에 내북집 205 및 내북집 보유체(inner shuttle hook holder) 206을 수용하고, 오른쪽 내북집 보유체 멈춤쇠(inner shuttle hook holder pawl) 208, 왼쪽 내북집 보유체 멈춤쇠(inner shuttle hook holder pawl) 209로 내북집 보유체 206을, 내북집 보유체 멈춤쇠 스프링 210으로 용수철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고정한다. 또한, 내북집 205와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내북집 드라이버 203의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와 내북집 205와의 관계는,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의 양 끝에서 내북집205의 자유 회동을 규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북집 드라이버 203이 북집축 201로 반회전 정전하면,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의 한 끝이 내북집 205에 접합하고,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의 다른 끝이 내북집 205와 간극 O2(도 18O 참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 내북집 드라이버 203이 북집축 201로 반회전 역전하면,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의 다른 끝이 내북집 205에 접합하여,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의 한 끝이 내북집 205와 간극 O1(도 18E 참조)을 갖는 것이 된다. 또, 내북집 보유체(inner shuttle hook holder) 206의 봉침 방향(needle dropping direction)으로는, 바느질실 20의 느슨함을 조정하기 위한 윗 스프링 207이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보빈 케이스 212에서, 구침 13이 바늘판 12로부터 상승할 때 반회전 북집 200이 역전하게 되어, 사출구 212a는 바늘판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 및 위치에 놓여있게 된다.
북집 구동 기구 220은 도 14, 도 15에 나타난 것처럼, 중간축 8의 다른 쪽 끝측에 고정되고 편심캠인 북집 구동 삼각 캠 230과, 북집 구동 삼각 캠 230에 외접하는 북집 구동 드라이브 포크 231과, 한 끝이 북집 구동 드라이브 포크 231의 역점으로 되는 부위에 연결된 북집 구동 세로 로드 228과, 팔 233a가 북집 구동 세로 로드 228의 다른 끝에 연결되고 부채형 톱니바퀴 축 221에 고정된 북집 구동 부채형 톱니바퀴 233과, 북집 구동 부채형 톱니바퀴 233에 맞물리게 되고 북집축 201에 고정된 북집축 톱니바퀴 224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북집 구동 삼각 캠 230은 북집 구동 드라이브 포크 231에 형성된 사각형꼴의 캠홈 231a에 외접하고, 북집 구동 드라이브 포크 231의 역점으로 되는 부위에는 연결핀 229로 북집 구동 세로 로드 228의 한 끝이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고, 북집 구동 세로 로드 228의 다른 끝은 연결핀 227로 북집 구동 부채형 톱니바퀴 233의 팔 233a에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또, 북집 구동 드라이브 포크 231의 지점으로 되는 부위가 북집 구동 드라이브 포크축 232에 의하여 축지되고, 이 북집 구동 드라이브 포크축 232는 팔 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부채형 톱니바퀴 축 221은, 베드 3에 축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부채형 톱니바퀴축 전방 부싱 222 및 부채형 톱니바퀴축 후방 부싱 223으로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북집 구동 기구 220은 중간축 8이 회전하면, 북집 구동 삼각 캠 230이 편심 운동하는 것으로 북집 구동 드라이브 포크 231가 북집 구동 드라이브 포크축 232을 지점으로 하여 북집 구동 세로 로드 228을 상하 운동시키기 때문에, 북집 구동 부채형 톱니바퀴 233을 왕복 요동시킨다. 이 북집 구동 부채형 톱니바퀴 233의 왕복 요동에 근거하여 북집축 톱니바퀴 224가 고정된 북집축 201도 일정한 회전각으로 왕복 회전 운동하기 때문에,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206을 반회전 정전, 반회전 역전시킬 수 있다.
실 인출 구동 기구 400은 도 1,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실 인출 작동자 401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가 바느질실 20을 포착할 때에 반회전 북집 20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사출구 212a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을 구침 13을 주접하여 긴장시킴과 동시에 반회전 북집 200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바느질실 20을 죌 수 있는 기구 구성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주접"이란 어느 부위의 주변에 접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실 인출 작동자 401은,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이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205a로 떠내어진 후, 반회전 북집 200의 사출구 212a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을 걸어, 반회전 북집 200으로부터 인출하여 죄고, 실 포착구 13a로 바느질실 20을 포착한 후, 걸고 있는 바느질실 20을 푸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실 인출 구동 기구 400은 도 16,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축 8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 회전 운동을 수직 방향에 있어서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나사 톱니바퀴 410과, 나사 톱니바퀴 410로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변환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축 408과,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축 408의 회전 운동을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상술한 기능을 가지게 하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나사 톱니바퀴 410의 제1 톱니바퀴 410A가 중간축 8에 고정되고, 제2 나사 톱니바퀴 410B가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축 408의 한 끝(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축 408의 다른 끝(하단측)에는 캠홈 407a가 형성된 정면 캠인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이 고정되어 있다. 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은, 팔 2에 고정되어 있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축통 409에 장착된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상부 부싱 411 및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하방 부싱 412로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실 인출 구동 기구 40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의 캠홈 407a에 결합하는 캠 팔로워(cam follower) 506이 캠 팔로워 핀(cam follower fin) 413으로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한쪽 끝이 실 인출 작 동자 구동 로드대 405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의 팔끝 403a에 단(段)핀 414로 회동 자유롭게 고정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04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한쪽 끝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이 실 인출 작동자 401에 고정된실 인출 작동자 요동축 4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는, 가운데가 빈 긴 구멍 405a가 형성되어, 이 긴 구멍 405a에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이 삽입되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 407의 아래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스러스트 칼라(thrust collar) 415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축 408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 인출 구동 기구 400은 중간축 8이 회전하면, 나사 톱니바퀴 410으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축 408이 회전하기 때문에,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 및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04는 캠 팔로워 406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 407의 캠홈 407a의 형상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 401을 요동시킨다. 이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요동 운동은,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가 바느질실 20을 포착할 때에 반회전 북집 20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사출구 212a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을 구침 13에 주접하여 긴장시킴과 동시에 반회전 북집 200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바느질실 20을 죔과 동시에, 바느질실 20이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205a로 떠내어진 후, 반회전 북집 200의 사출구 212a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을 걸어, 반회전 북집 200으로부터 인출하여 조이고, 실 포착구 13a로 바느질실 20을 포착한 후, 걸려 있던 바느질실 20을 해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구침 13, 반회전 북 집 200, 실 인출 작동자 401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로서 형성하고,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 601에 의하여 재봉대상 21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하고,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 601에 의하여 재봉대상 21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간을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하는 것이다. 또,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설정하여, 1개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바늘땀 피치 이송,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한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로 순차적으로 바꾸고, 설정된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 이송 구동 기구 700에 전달하고 이송 톱니 601에 의하여 재봉대상 21을 보내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협동"이란 다른 부분과 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을,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중심으로 하여 도 18A ~ W, 도 19, 도 2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8A ~ W는 구침 13, 반회전 북집 200 및 실 인출 작동자 401의 동작 설명도이고, 도 19는 구침 13, 반회전 북집 200, 실 인출 작동자 401, 덮개침 14 및 이송 톱니 601의 모션 다이어그램(motion diagram)이다. 이 동작 설명에 있어,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도 18A ~ W를 정면에서 보는 상태에서 설명한다. 또, 도18A ~ W에 있어, 이송 톱니 601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18A ~ W에 있어서는, 반회전 북집 200의 반회전 역전이란 내북집 20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반회전 북집 200의 반회전 정전이란 내북집 20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한다. 또, 편의상, 바느질실 20이 실 포착 구 13a에 포착되어 있지 않는 구침 13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또한 내북집 205의 검선 205a가 수직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도 18A)로부터 동작 설명을 하기로 한다. 이 도 18A의 상태에서는, 반회전 북집 200은 정지한 상태, 실 인출 작동자 401은 보빈 211로부터 보빈 케이스 212의 사출구 212a를 이용하여 바느질실 20을 인출하고 있는 상태, 덮개침 14는 닫힘상태, 이송 톱니 601은 바늘땀간 이송 상태이다. 재봉대상 21의 이송 방향은 왼쪽이라고 한다. 또, 도 19에 있어서는, 풀리 4가 2회전으로 스킵 스티치 세트로서 형성하기 때문에, 봉제의 1 사이클은 상축 5에 있어서 720도로 나타나고, 도 18A는 상축 5가 0도(720도)의 상태로 한다. 상축 5가 0도로 구침 13은 상사점, 180도로 구침 13은 하사점, 360도로 구침 13은 상사점, 540도로 구침 13은 하사점이 된다.
도 1에 있어, 모터M에 의하여 구동 벨트MB를 이용하여 구동된 종동(從動) 풀리 4가, 구침 13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 북집 구동 기구 220 및실 인출 구동 기구 400이 구동한다.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이 구동하면 구침 13을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키고,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이 구동하면 옷감 이송 기구 600을 이송 톱니 601가 이송의 네 단계 공정 운동을 하게끔 시키고, 북집 구동 기구 220이 구동하면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206이 반회전 정전, 반회전 역전하고, 실 인출 구동 기구 400이 구동하면 실 인출 작동자 401이 요동한 다. 또한, 각 기구의 동작 설명은 상술한 구성 설명으로 상세히 기술했으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구침 13, 반회전 북집 200, 실 인출 작동자 401 및 이송 톱니 601은 아래와 같이 협동하고, 1개의 바느질실 20으로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각각 형성시킨다.
(a)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구침 13이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상축 5:0도)으로부터 하강하여 바늘판 12에 놓인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도 18A ~ 도 18F, 도 19), 하사점(상축 5 : 180도)으로부터 상승할 때에, 바늘판 12의 아래쪽에 있고 반회전 역전하는 반회전 북집 200의 사출구 212a로부터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하여 인출되고 구침 13에 주접하여 긴장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을 실 포착구 13a로 포착한다(도 18G, 도 18H, 도 19). 이때, 반회전 북집 200이 지닌 보빈 케이스 212의 사출구 212a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침 13이 바늘판 12로부터 상승할 때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205가 역전하여 바늘판 12로부터 벗어나는 방향 및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하여 인출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을 구침 13에 주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구침 13이 실질적으로 상사점(상축 5:0도)로부터 하사점(상축 5:180도)으로 운동할 때에 반회점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반회전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키는 것은, 제1 스트로크에 있어서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바느질실 20을 실걸이하기 위해서이고, 제2 스트로크에 있어 반회전 정전했던 북집을 반회전 역전시키는 타이밍을 얻기 위해서이다.
또한,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고 나서 반회전 역전을 시작한다(상축 5:130도)(도 18E, 도 19).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기 전에 맨 앞으로 나아가 정지한다(상축 5:80도)(도 18D, 도 19).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면 열린 상태가 된다(도 18E, 도 19). 이송 톱니 6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기 전에 재봉대상 21의 옷감 이송을 정지한다(도 18D, 도 19).
(b) 구침 13이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하여 상사점(상축 5:360도)를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이송 톱니 601로 1 바늘땀 피치 이송함과 동시에 바느질실 20을 포착한 구침 13이 상승하는 것 및 반회전 북집 200이 더 역전하는 것에 의하여 실 조임이 이루어진다(도 18I ~ 도 18M, 도 19).
또한,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상사점(상축 5:360도)을 통과하고 나서 반회전 역전을 정지한다(상축 5:367도)(도 18M, 도 19).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하사점(상축 5:180도)에 도달하면 바느질실 20을 풀어낼 수 있도록 후퇴하는 요동을 개시하고(도 18F, 도 19), 구침 13이 상사점(상축 5:360도)을 통과하기 전에 후퇴를 정지한다(도 18L, 도 19).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하사점(상축 5:180도)로부터 상사점(상축 5:360도)으로 이동할 때, 해당 구침 13이 바늘판 12를 통과한 후에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를 닫힘상태로 하여 재봉대상 21을 구침 13과 함께 통과한다(도 18J, 도 18K, 도 19). 이송 톱니 601은 구침 13이 상사점(상축 5:360도)을 통과하기 직전에 1 바늘땀 피치 이송을 시작한다(도 18L, 도 19).
(c) 구침 13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상축 5:360도)로부터 하강하고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도 18N, 도 18O, 도 19), 하사점(상축 5:540도)으로부터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 13a에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을 반회전 정전하는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205a로 떠냄과 동시에,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을 반회전 북집 200의 회전에 의하여 실 포착구 13a로부터 해방한다(도 18P, 도 19). 또한, 구침 13이 실질적으로 상사점(상축 5:360도)으로부터 하사점(상축 5:540도)로 운동할 때에 반회전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반회전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키는 것은, 제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걸린 바느질실 20을 북집의 검선 205a로 실 포착구 13a로부터 개방하기 위해서이고, 제1 스트로크에 있어 반회전 역전한 북집을 반회전 정전시키는 타이밍을 얻기 위해서이다.
또한,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하사점(상축 5:540도)에 도달하면 반회전 정전을 시작한다(도 18P, 도 19).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고 나서, 후퇴하여 바느질실 20을 풀어내도록 요동을 시작한다(도 18N, 도 19).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통과하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한다(도 18O, 도 19). 이송 톱니 6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기 전에 1 바늘땀 피치 이송을 정지한다(도 18N, 도 19).
(d)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205a로 떠내어져 해방된 바느질실 20을 반회전 북집 200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의 다른 끝과 내북집 205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 극 O2로 안내하여 넣고 반회전 북집 200에 권장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에 교착(interlace)시키고,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의 한 끝과 내북집 205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 O1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바느질실 20을 실 인출 작동자 401로 조인다(도 18Q ~ 도 18W, 도 19).
또한,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으로부터 빠져 나와 상사점(상축 5: 720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반회전 정전을 정지한다(도 18V, 도 19).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 나오면 바느질실 20을 당겨 조일 수 있도록 전진하도록 요동을 시작한다(도 18T, 도 19).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하사점에서 상승하여 재봉대상 21을 통과하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를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한다(도 18T, 도 19). 이송 톱니 601은 구침 13이 상사점(상축 5:720도)을 통과하기 직전에 1 바늘땀간 피치 이송을 시작한다(도 18W, 도 19).
(e) 구침 13을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와 상승시켜 상사점(상축 5:720도)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한다(도 18W, 도 19).
(f) (a) 내지 (e)의 공정을 반복하여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바느질실 20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한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을 형성하고 핀 포인트/새들 스티치 라고 불리는 의사 핸드 스티치에 적합한 봉제를 할 수 있다. 또,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에 있어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볼 수 있는 상태에서 봉제 작업이 이루어지고, 핸드 스티치봉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봉제를 할 수 있다. 또,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을 형성하고 있는 바느질실 20을 인장함으로써 용이하게 풀리는 일은 없으므로, 강고한 봉제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에 의하여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의 동작에 관하여 도 21 ~ 도 2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1 ~ 도 24는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모드 전환 기구 350, 옷감 이송 기구 600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또, 도 21 ~ 도 24에 있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는 각각 상하로 요동하고,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상단점 a's,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상단점 as에서 각각 최소 이송 피치로 되고,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하단점 a'd,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하단점 ad에서는, 각각 최대 이송 피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동작 설명에 있어, 방향을 나타낼 경우에는 도 21 ~ 도 24를 이송 톱니 601 방향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에서 보는 상태에서 설명한다.
<바늘땀 이송 피치 및 바늘땀간 이송 피치의 최소 이송의 설정례>
먼저, 바늘땀 이송의 1 바늘땀 피치와 바늘땀간 이송의 1 바늘땀 피치를 최소 이송한 경우에 관하여 도 2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를 조작하여 양쪽 모두 최소 이송 피치의 상단점 a's, as로 설정하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각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 b는 각각 최하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결되어 있는 조절 레버 링크 307', 307이 각각, 지지 팔 311에 의하여 지지된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을 직립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 위치가 이송 조절체 310의 최하 위치로 된다.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이 직립 상태에서 최하 위치에 위치하면,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가로팔끝에 같은 축을 중심으로 부착되어(축지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를 이용하여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와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를 각각 아래 방향으로 내린다. 이 이동 위치가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와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최하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이 편심 운동하기 때에, 이송 전환 로드 352는 거의 수평 방향의 좌우 2개의 위치 q, q'사이를 변위량 Q로 왕복 간헐 요동한다. 또한,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의 캠 형상은,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이동 위치 q, q'에 있어, 간헐 정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 위치 q, q'에 있어서 이송 전환 로드 352의 간헐 정지시간은 이송 전환 삼각캠 351에 의하여 정해진다. 또, 중간축 8은 상축 5가 2회전하는 동안 1회전하기 때문에, 상축의 1회전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는 이동 위치 q방향으로, 또한 상축의 1 회전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는 이동 위치 q'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된다.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오른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최하 위치로 이동한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방향의 가로팔끝 310b인 c'점와 일치하고,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왼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최하 위치로 이동한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끝 310a인 c점과 일치한다. 따라서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의하여 각각 설정된 이송 조절체 310의 한쪽 방향의 가로팔끝 310a인 c점과 다른 방향의 가로팔끝 310b인 c'점에,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한 끝인 h점을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설정을 순차적으로 바꿀 수 있다. 이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설정은, 이송 전환 로드 352가 하고 있다. 이 재봉대상 이송 모드마다 옷감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가 각각 최소 이송 피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1의 팔 709a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로 내려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의 하단인 j점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정지해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한 끝인 j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고,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다른 끝 l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된다. 또한,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정지하는 위치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한 끝인 j점이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 위치에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 e는 전달되어도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요동 중심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이 겹쳐지기 때문에,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 전달된 상하 운동은 극히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서는, 이송 톱니 602의 수평 이송량은 발생하지 않고 재봉대상 21은 최소 이송으로 된다.
<바늘땀 이송 피치 및 바늘땀간 이송 피치의 최대 이송의 설정례>
다음으로, 바늘땀 이송의 1 바늘땀 피치와 바늘땀간 이송의 1 바늘땀 피치를 최대 이송한 경우에 관하여 도 2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를 조작하여 양쪽 모두 최대 이송 피치의 하단점 a'd, ad로 설정하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각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 b는 각각 최상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결되어 있는 조절 레버 링크 307', 307이 각각, 지지팔 311에 의해 지지된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을 직립 상태에서 윗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 위치가 이송 조절체 310의 최상 위치로 된다.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이 직립 상태에서 최상 위치에 위치하면,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가로팔끝 310c에 같은 축을 중심으로 부착되어(축지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를 이용하여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와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를 각각 윗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이 이동 위치가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와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최상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술한 최소 이송의 설정례와 마찬가지로,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이 편심 운동하기 때문에, 이송 전환 로드 352는 거의 수평 방향의 좌우 2개의 위치 q, q'사이를 변위량 Q로 왕복 간헐 요동한다. 또한,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의 캠 형상은,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이동 위치 q, q'에 있어서 간헐 정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 위치 q, q'에 있어서 이송 전환 로드 352의 간헐 정지시간은 이송 전환 삼각캠 351에 의하여 정해진다. 또, 중간축 8은 상축 5가 2회전하는 사이에 1회전하기 때문에, 상축의 1회전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는 이동 위치 q방향으로, 또한 상축의 1회전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는 이동 위치 q'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된다.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오른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최상 위치에 이동한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방향의 가로팔끝 310b인 c'점에 일치하고,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왼쪽 방향 위치q에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최상 위치에 이동한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끝 310a인 c점에 일치한다. 따라서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의하여 각각 설정된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끝 310a인 c점과 다른 쪽의 가로팔끝 310b인 c'점으로,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한 끝인 h점을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설정을 순 차적으로 바꿀 수 있다. 이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설정은, 이송 전환 로드 352가 하고 있다. 이 재봉대상 이송 모드마다 옷감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가 각각 최대 이송 피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1의 팔 709a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로 밀어 올려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의 하단인 j점은 오른쪽 방향으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왼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다른 끝 l은 좌측 아래로 요동하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오른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다른 끝 l은 오른쪽 위로 요동하는 것이 된다. 그 결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는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한 왕복 요동 운동이 최대의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서는, 이송 톱니 602의 수평 이송량은 최대 피치로 되고 재봉대상 21은 최대 피치로 옷감 이송된다.
<바늘땀 이송 피치 최소, 바늘땀간 이송 피치 최대의 설정례>
다음으로, 도 8(B)에 나타나듯이, 바늘땀 이송의 1 바늘땀 피치 P1을 최소 이송하고, 바늘땀간 이송의 1 바늘땀 피치 P2를 최대 이송한 경우에 관하여 도 23A, 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3A에 나타나듯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을 최소 이송 피치의 최상점 a's로,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를 최대 이송 피치의 최하점 ad로 각각 조작하고 설정하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는 최하점에 위치하고,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는 최상점에 위치한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에 연결된 조절 레버 링크 307'는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방향의 가로팔끝 310b를 내리고,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연결된 조절 레버 링크 307은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끝 310a를 밀어올린다. 그 결과,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은 지지팔 311에 의하여 축을 중심으로 지지되는 축지점(pivotally supporting point) d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상태에서는,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끝 310c는 오른쪽 방향으로 기울고, 세로팔끝 310c에 연결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는,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이 편심 운동하는 것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왼쪽 방향 위치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끝 310a인 c점에 일치한다. 즉,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연결핀 312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왼쪽 위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다른 끝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는 윗 방향으로 밀어 올려져, 이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1의 팔 709a는 밀어 올려지고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의 하단인 j점은 오른쪽 방향으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왼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다른 끝 l은 왼쪽 아래로 요동하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오른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다른 끝 l은 오른쪽 위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그 결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는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한 왕복 요동 운동이 최대의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고 전달된다. 따라서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의하여 설정된 바늘땀간의 이송이 최대 이송 피치의 이송량으로 된다.
한편, 도 23B에 나타나듯이,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끝 310c는 오른쪽 방향으로 기울고, 세로팔끝 310c에 연결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는,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이 편심 운동하는 것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오른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방향의 가로팔끝 310b인 c'점에 일치한다. 즉,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연결핀 312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다른 끝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는 아래 방향으로 내려져, 이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1의 팔 709a는 내려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의 하단인 j점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한 끝인 j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고,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다른 끝 l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된다. 또한,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정지하는 위치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한 끝인 j점이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 위치에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e는 전달되어도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요동 중심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이 겹쳐지기 때문에,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 전달된 상하 운동은 극히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송 톱니 602의 수평 이송량도 극히 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재봉대상 21은 약간 옷감 이송된다. 즉,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에 의하여 설정된 최소 이송 피치의 이송량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각각의 설정을 순차적으로 바꾸는 것을 할 수 있다.
<바늘땀 이송 피치 최대, 바늘땀간 이송 피치 최소의 설정례>
다음으로, 도 8(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늘땀 이송의 1 바늘땀 피치 P1을 최대 이송하고, 바늘땀간 이송의 1 바늘땀 피치 P2를 최소 이송한 경우에 관하여 도 24A, 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4A에 나타나듯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을 최대 이송 피치의 최하점 a'd로,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를 최소 이송 피치의 최상점 as로 각각 조작하고 설정하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는 최상점에 위치하고,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는 최하점에 위치한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에 연결된 조절 레버 링크 307'는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방향의 가로팔끝 310b를 밀어올리고,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연결된 조절 레버 링크 307은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 방향의 가로팔끝단 310a를 내린다. 그 결과,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은 지지팔 311에 의하여 축을 중심으로 지지되는 축지점 d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상태에서는,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끝 310c는 왼쪽 방향으로 기울고, 세로팔끝 310c에 연결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는,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이 편심 운동하는 것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왼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쪽의 가로팔끝 310a인 c점에 일치한다. 즉,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연결핀 312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왼쪽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다른 끝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는 아래 방향으로 인하되어, 이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 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1의 팔 709a는 인하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의 하단인 j점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한 끝인 j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고,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다른 끝 l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된다. 또한,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정지하는 위치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한 끝인 j점이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 위치에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e는 전달되어도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요동 중심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이 겹쳐지기 때문에,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 전달된 상하 운동은 극히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송 톱니 602의 수평 이송량도 극히 적어지기 때문에, 재봉대상 21은 약간 옷감 이송된다. 즉,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의하여 설정된 최소 이송 피치의 이송량으로 된다.
한편, 도 24B에 나타나듯,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끝 310c는 왼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세로팔끝 310c에 연결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는,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전환 삼각 캠 351이 편심 운동하는 것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오른쪽 방향 위치 q'에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역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방향의 가로팔끝 310b인 c'점과 일치한다. 즉,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한 끝인 h점은, 연결핀 312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오른쪽 위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다른 끝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는 윗 방향으로 밀어 올려져, 이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1의 팔 709a는 밀어 올려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2의 팔 709b의 하단인 j점은 오른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왼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다른 끝 l은 왼쪽 아래로 요동하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오른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다른 끝 l은 오른쪽 위로 요동하고 정지하고 있다. 그 결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는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한 왕복 요동 운동이 최대의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고 전달된다. 따라서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에 의하여 설정된 바늘땀간의 이송이 최대 이송 피치의 이송량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각각의 설정을 순차적으로 바꾸는 것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에 의한 1 바 늘땀 피치 이송과 1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각 이송량은, 각 조절 레버 301, 302의 위치 설정에 의하여 각각 설정된 이송량을 교대로 바꾸고 재봉대상 21을 이송 톱니 601로 옷감 이송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침 13, 반회전 북집 200, 실 인출 작동자 401의 협동에 의하여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이 형성되기 때문에,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는 각각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는,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로 바느질실 20을 포착 후, 바느질실 20이 실 포착구 13a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덮개침 14를, 구침 13이 바느질판 12를 통과한 후로부터 구침 13의 상사점까지의 기간 및 구침 13의 상사점에서 재봉대상 21을 찌르기까지의 기간에 있어 실 포착구 13a를 닫는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은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도 25A, B, 도 26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30으로, 덮개침 14를 구동해도 좋다. 또한, 도 25A, B, 도 26에 있어, 도 3A, B, 도 4에 나타난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30은, 침봉 11에 한 끝이 축을 중심으로 부착되고 다른 끝에 롤러 팔로워(roller follower) 134를 갖는 덮개침 구동 링크(latch wire drive link) 132와, 덮개침봉 15에 고정되고 롤러 팔로워 134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우는 홈 138a를 갖는 덮개침봉 구동팔(latch wire drive arm) 138과, 롤러 팔로워 134를 감입하여 구침 13의 상사점에서 하사점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하사점을 향해 이동하는 롤러 팔로워 134를 소정 위치 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홈(vertical groove) 135a, 수평 홈(horizontal groove) 135b가 형성되고 팔 2에 고정된 판홈(板溝) 캠(plate groove cam) 135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침 구동 링크(latch wire drive link) 132의 한 끝은, 침봉 홀더(needle bar holder) 131의 한 끝에 형성된 핀 131a에 의하여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침봉 홀더 131의 다른 끝에는 크랭크 로드 핀(crank rod pin) 131b가 형성되어, 이 크랭크 로드 핀 131b에는 침봉 크랭크 로드(needle bar crank rod) 103의 한 끝이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 침봉 홀더 131은 침봉 상방 부싱 105 및 침봉 하방 부싱 106 사이의 침봉 11에 고정되어 있다. 또, 덮개침 구동 링크 132의 다른 끝에는 롤러 축(roller shaft) 133이 형성되고, 롤러 134a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것으로 롤러 팔로워 134가 구성된다.
덮개침봉 구동팔(latch wire drive arm) 138은, 덮개침봉 상방 부싱(latch wire bar upper bushing) 113 및 덮개침봉 하방 부싱(latch wire bar lower bushing) 114 사이의 덮개침봉 15에 고정되어 있다. 또, 판홈 캠 135는, 수직 홈 135a, 수평 홈 135b가 곡선 홈으로 연결되어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30은,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가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바느질판 12를 넘기까지의 기간 및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바느질판 12를 넘고, 재봉대상을 빠져나가 상사점에 이를 때까지의 기간에 실 포착구 13a를 닫는 덮개침 14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침봉 11이 상승한 경우에는 도 25A에 나타나듯이, 덮개침 구동 링크 132의 롤러 팔로워 134가 판홈 캠 135의 수직홈 135a를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덮개침봉 구동팔 138을 상승시킨다. 이때, 구침 13의 상승과 함께 덮개침봉 구동팔 138이 고정된 덮개침봉 15를 통해 덮개침 14도 상승하기 때문에, 도 5A, 도 6A에 나타나듯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는 덮개침 14에 의하여 닫힘 상태가 된다. 즉,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가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바느질판 12를 넘기까지의 기간 및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바느질판 12를 넘고, 재봉대상을 빠져나가 상사점에 이를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 실 포착구 13a는 덮개침 14에 의하여 닫히는 것이 된다. 또, 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침봉 11이 하강한 경우에는 도 25B에 나타나듯이, 덮개침 구동 링크 132의 롤러 팔로워 134가 판홈 캠 135의 수직홈 135a를 따라 하강 후, 수평 홈 135b를 따라 수평 이동한다. 이때, 구침 13은 강하하지만 덮개침봉 구동팔 138은 정지하기 때문에, 도 5B, 도 6B에 나타나듯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는 열린 상태가 된다. 즉,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가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가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바느질판 12를 넘고 나서 해당 실 포착구 13a는 덮개침 14로부터 개방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덮개침 14를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30으로 구동하는 것은, 구침 13이 재봉대상을 관통할 때에, 실 포착구 13a가 재봉대상의 방직실을 걸어 그 실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포착한 실이 실 포착구 13a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는 도 18M, N에 나타나듯이,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내려가면, 구침 13의 바늘끝과 재봉대상 21과의 사이에서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포착된 바느질실 20이 팽팽한 상태에서 느슨해진 상태가 되어 실처짐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그 실처짐 상태의 바느질실 20을, 하강하는 구침 13의 바늘끝으로 꿰어 통과해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27A, B, 도 28A, B에 나타나 있듯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할 때에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된 바느질실을 구침 13의 바늘끝과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실 포착구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옮기는 실 시프팅 기구(thread shifting mechanism) 800A, 800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 시프팅 기구(thread shifting mechanism) 800A는 도 27A, B에 나타나 있듯이, 구침 13의 바늘끝과 재봉대상 21과의 사이에서 실처짐 상태에 있는 바느질실을 걸치는 L자형으로 형성된 실 시프터(thread shifter) 801과, 상축 5에 장착되어 수평 평면에서 운동 궤적이 타원형이 되는 타원 구동 기구(elliptical drive mechanism) 802와, 타원 구동 기구 802에 의한 타원 운동을 실 시프터(thread shifter)에 전달하는 링크 기구(link mechanism) 803을 구비하고 있다.
타원 구동 기구 802는, 상축 5에 편심한 상태에서 고정되고 캠홈(cam groove) 804a가 원주 위의 일주에 걸쳐 형성된 원주형 실 시프팅 구동캠(colum-shaped thread shifting drive cam) 804와, 실 시프팅 구동캠 804를 덮기 위해 끼워 넣은, 링크 기구 803이 연결된 실 시프팅 구동팔 805a가 형성된 원통 형태의 실 시프팅 구동체(cylindrical thread shifting drive member) 805와, 실 시프팅 구동체 805에 편입되어 실 시프팅 구동캠 804의 캠홈 804a에 감입하는 캠 팔로워(cam follower) 806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 시프팅 구동캠 804의 캠홈(cam groove) 804a는, 실 시프팅 구동체 805가 상축 5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캠 팔로워 806은, 실 시프팅 구동체 805의 내주벽에서 일부 돌출하도록 해당 실 시프팅 구동체 805에 고정된 롤러 축 806a와, 롤러 축 806a의 선단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실 시프팅 구동 캠 804의 캠 홈 804a에 감입하는 롤러 806b로 구성되어 있다.
링크 기구 803은, 실 시프팅 구동체 805의 실 시프팅 구동팔 805a에 설치된 축구멍 805a'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실 시프팅 구동팔 축(thread shifting drive arm shaft) 807과, 실 시프팅 구동팔 축 807의 선단에 한 끝이 굴곡 자유롭게 연결된 실 시프팅 조절축(thread shifting adjusting shaft) 808과, 실 시프팅 조절축 808의 다른 끝에 설치된 수나사(male screw) 808a가 체결되는 암나사(female screw) 809a가 한 끝에 설치되고 다른 끝에 실 시프터 801이 고정된 실 시프팅 설치축(thread shifting attachment shaft) 809와, 팔 2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암나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체결되는 수나사 810a가 설치되어 실 시프팅 설치축 809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실 시프팅 설치축 홀더(thread shifting attachement shaft holder) 8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 시프팅 조절축 808의 수나사 808a와 실 시프팅 설치축 809의 암나사 809a가, 완전히 단단히 조이는 일 없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 시프팅 조절축 808과 실 시프팅 설치축 809는 회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팔 2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암나사와 실 시프팅 설치부 홀더 810의 수나사 810a는, 완전히 단단히 조이는 일 없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 시프팅 설치축 홀더 810은 팔 2에 대하여 회동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 시프팅 기구 800A는 도 29에 나타낸 것처럼, 상축 5가 1 회전하는 사이에 실 시프터 801의 선단부 801a를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에 의하여 노루발 501상에 일주시키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구침 13에 간섭하는 일 없이 실 시프터 801의 선단부 801a를 타원 운동시키는 것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축 5가 회전하면, 해당 상축 5에 편심하여 고정된 실 시프팅 구동캠 804도 회전하기 때문에, 실 시프팅 구동캠 804의 캠홈 804a에 맞물리는 캠 팔로워 806을 가지는 실 시프팅 구동체 805가, 상축 5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실 시프팅 구동 캠 804의 편심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하, "편심 왕복 운동"이라 한다.)한다.
실 시프팅 구동체 805의 직선 왕복 운동이 링크 기구 803에 전달되면, 링크 기구 803의 실 시프팅 구동팔 축 807과 실 시프팅 조절축 808은 굴곡한다. 이 굴곡 운동에 의하여, 실 시프팅 설치축 홀더 810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실 시프팅 조절축 808의 실 시프팅 구동팔 축 807과의 연결점이 역점(力点)으로 되고 실 시프팅 설치축 809에 고정된 실 시프터 801의 선단부 801a가 작용점으로 되기 때문에, 실 시프터(thread shifter) 801의 선단부 801a는 실 시프팅 구동체 805의 직선 왕복 운동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요동한다. 또, 실 시프팅 구동체 805의 편심 왕복 운동이 링크 기구 803에 전달되면, 링크 기구 803의 실 시프팅 구동팔 축 807과 실 시프팅 조절축 808은 굴곡 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그 상태를 유지하지만, 실 시프팅 설치축 홀더 810과 실 시프팅 설치축 809와의 연결점을 지점으로 하여 실 시프팅 구동체 805의 실 시프팅 구동팔 805a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실 시프팅 구동팔 축 807이 역점이 되고 실 시프팅 설치축 809에 고정된 실 시프팅 801의 선단부 801a가 작용점으로 되기 때문에, 실 시프터 801의 선단부 801a는 실 시프팅 구동체 805의 편심 왕복 운동에 대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실 시프팅 구동체 805에 의하여 운동 방향이 직교하는 2개의 왕복 운동이 합성되면, 실 시프터 801의 선단부 801a는 도 29에 나타낸 것과 같은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을 수평 평면에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할 때에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된 바느질실을 구침 13의 바늘끝과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실 시프터 801의 선단부 801a로 떠올려 실 포착구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옮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 시프팅 기구 800B는 도 28A,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구침 13의 바늘끝과 재봉대상 21과의 사이에서 실처짐 상태에 있는 바느질실을 걸치는 L자형으로 형성된 실 시프터(thread shifter) 811과, 상축 5의 회전 운동을 편심 운동으로 변환하는 편심 기구(eccentric mechanism) 812와, 편심 기구 812에 연결되고 해당 편심 기구의 편심 운동을 수평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의 링크 기구(first link mechansim) 813과, 편심 기구 812에 연결되고 해당 편심 기구의 편심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의 링크 기구(second link mechanism) 814와, 제1의 링크 기구 813 및 제2의 링크 기구 814에 연결되어, 제1의 링크 기구 813의 수평 운동 및 제2의 링크 기구 814의 상하 운동을 합성하고 수평 방향에 있어 운동 궤적을 타원형으로 하여, 그 타원 운동을 실 시프터 811에 전달하는 실 시프팅 설치팔(thread shifting attachment arm) 815를 구비하고 있다.
편심 기구 812는, 상술한 도 3A, B, 도 4에 나타나는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의 침봉 크랭크 로드 103을 조합추 101에 연결하는 크랭크 로드 핀 102 대용으로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thread shifting drive eccentric shaft) 816을 이용한다.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은, 침봉 크랭크 로드 103을 조합추 101에 연결하는 크랭크 로드 핀(crank rod pin) 816a와, 한 끝에 크랭크 로드 핀 816a가 고정되고 다른 끝에 편심축(eccentric shaft) 816c가 고정된 팔부(arm portion) 816b로 구성되어 있다.
제1의 링크 기구 813은,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편심축 816c에 맞물리는 긴 구멍 817a가 한 끝에 형성된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thread shifting horizontal rocking arm) 817을 구비하고 있다. 긴 구멍 817a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은, 한 끝으로 된 긴 구멍 817a가 역점, 다른 끝이 작용점, 한 끝과 다른 끝과의 사이가 지점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지점을 지지하는 실 시프팅 기구 설치대(thread shifting mechanism attachment board) 818이 팔 2에 고정되어 있다.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지점으로 되는 부위는, 실 시프팅 기구 설치대 818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실 시프팅 지축(thread shifting spindle) 819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다른 끝은 실 시프팅 지축 819를 지점으로 하여 이송 톱니 601의 이송 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요동할 수 있다.
제 2의 링크 기구 814는,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편심축 816c에 맞물리는 긴 구멍 820a가 한 끝에 형성된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thread shifting up-and-down drive arm) 820을 구비하고 있다. 긴 구멍 820a는 길이 방향이 거의 수평 방향으로 되도록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은, 한 끝으로 된 긴 구멍 820a가 역점, 다른 끝이 작용점, 한 끝과 다른 끝과의 사이가 지점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지점은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한 끝에 연결핀 등의 연결 부재 821에 의하여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또,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작용점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thread shifting up-and-down rocking arm) 822의 상단 822a가 연결핀 등의 연결 부재 823에 의하여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다른 끝은 연결 부재 821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다른 끝에 연결된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 822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실 시프팅 설치팔(thread shifting attachment arm) 815는, T자형으로 형성되고 가로팔의 배치 방향이 이송 톱니 601 이송 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한 쪽의 가로팔끝 815a는 연결핀 등의 연결 부재 824로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다른 끝에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고, 다른 쪽의 가로팔끝 815b에는 연결핀 등의 연결 부재 825로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 822의 하단 822b가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또, 실 시프팅 설치팔 815의 세로팔의 배치 방향은 수직 방향으로, 선단 815c에 실 시프터 811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 시프팅 기구 800B는 실 시프팅 기구 800A와 마찬가지로 도 29에 나타낸 것처럼, 상축 5가 1 회전하는 사이에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를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에 의하여 노루발 501상에 일주시키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구침 13에 간섭하지 않고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를 타원 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합추 101이 상축 5에 의하여 회전하면,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크랭크 로드 핀 816a의 축 중심과 편심축 816c의 축 중심과의 거리가, 조합추 101의 상축 5에 의한 회전 중심과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크랭크 로드 핀 816a를 감입한 구멍의 중심과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편심축 816c는 원운동한다.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편심축 816c가 원운동하면,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다른 끝은 긴 구멍 817a에 의하여 실 시프팅 지축 819를 지점으로 하여 이송 톱니 601 이송 운동 방향과 동일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기 때문에, 해당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다른 끝에 연결된 실 시프팅 설치팔 815의 세로팔끝 815c도 이송 톱니 601 이송 운동 방향과 동일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요동을 하게 된다. 또,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편심축 816c가 원운동하면,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다른 끝은 긴 구멍 820a에 의하여 연결핀 821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기 때문에,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다른 끝에 연결된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 822는 상하 방향으로서 왕복 운동하는 것이 된다.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 822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 해당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 822의 하단 822b에 연결된 실 시프팅 설치팔 815의 다른 끝 815b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기 때문에, 해당 실 시프팅 설치팔 815의 세로팔끝 815c는 이송 톱니 601 이송의 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요동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1의 링크 기구 및 813 및 제2의 링크 기구 814에 의한 2개의 왕복 요동이 합성되면,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는 도 29에 나타나는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을 수평 방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할 때에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된 바느질실을 구침 13의 바늘끝과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로 떠올려 실 포착구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옮기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는, 구침 13이 균질하지 않은 재봉대상 또는 매우 두꺼운 재봉대상를 관통하는 경우에는 굴곡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을 반회전 정전하는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205a로 떠냄에 있어 구침 13이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205a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봉침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 도 30, 도 31A, B에 나타나듯이, 내북집 205를 반회전으로 정전, 역전하도록 구동하는 내북집 드라이버 241에, 구침 13이 재봉대상을 관통한 후, 구침 13이 재봉대상을 관통하는 것에 의하여 생기는 불규칙한 동작을 봉침 위치로 교정하는 바늘보호구(needle guard) 242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내북집 드라이버 241 및 바늘보호구 242는, 상술한 반회전 북집 200에서 내북집 드라이버 203과 교환하는 것으로 이용 할 수 있다.
통상, 일반적인 재봉틀 바늘과 반회전 북집으로 재봉대상을 봉제함에 있어, 바늘의 구멍에 꿴 바느질실을 검선으로 떠낼 때, 바느질실에 루프가 만들어지고 그 루프를 검선으로 떠내기 때문에, 다소 구침이 봉침 위치에서 어긋나도 바늘땀을 건너뛰는 일이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바늘이 반회전 북집의 검선 방향으로 굴곡해 그 검선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북집 드라이버가 가지는 봉침 팔의 봉침 위치측의 모서리를 둥글게 하고 있다.
따라서, 바늘보호구 242가 설치된 내북집 드라이버 241은, 구침 13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을 관통할 때에 구침 13의 봉침 위치에 위치하는 만곡한 봉침팔(needle guard arm) 241a를 구비하고, 구침 13이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방향으로 굴곡하여 그 검선 205a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봉침팔 241a의 봉침 위치측의 모서리 241b를 둥글게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으로는,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을 반회전 정전한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205a로 떠내는 것은(도 18P), 바느질실 20에 루프가 생기지 않는 타이밍에 하기 때문에, 구침 13의 굴곡에 의하여 바늘땀을 건너뛰는 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런 까닭으로, 바늘보호구 242는 만곡하여 형성하고 봉침팔 241a와 거의 평행이 되도록 내북집 드라이버 241의 소정 위치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구침 13을 봉침 위치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바늘땀을 건너뛰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늘보호구 242에도 구침 13의 봉침 위치측에 모서리 242a를 둥글게 하여, 구침 13이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바늘땀을 건너뛰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는, 천칭과 같이 왕복 운동하고 바느질실 20에 느슨함을 주었다가 바늘땀을 바싹 죄거나 하는 실 인출 작동자 401을 구비하고 있지만, 바늘땀 피치를 이송량 설정 기구(feed quantity setting mechanism) 300으로 변경해도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한 실 조임도(thread tightness quantity)가 평상시 일정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32, 도 33에 나타낸 것처럼, 이송량 설정 기구 300에 의하여 설정된 바늘땀 피치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실 조임량을 조절하는 실 조임 조절 기구(thread tightness adjusting mechansim) 420을 구비하여도 좋다.
실 조임 조절 기구(thread tightness adjusting mechansism) 420은, 실 인출 구동 기구 400의 구성 요소인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thread draw out actuator drive rod) 404 대용으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의 한 끝을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thread draw out actuator drive rod base) 405에 고정하여, 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의 다른 끝과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의 팔끝 403a를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thread draw out actuator adjusting rod) 424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의 다른 끝과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의 한 끝이 연결 각구축(connecting square piece shaft) 422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의 다른 끝과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의 팔끝 403a와 단(段)핀 414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 다. 또, 연결 각구축 422에는 수평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거의 직방체로 형성된 각구(square piece) 421이 회동 자유롭게 끼워 넣어지고, 각구 421은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연결 각구축 422는 플랜지(flange)를 중심으로 하여 축이 양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한 것으로, 각구 421과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을 분리시킬 수 있다. 각구 421은 수평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된 거의 직방체로 형성된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홈 있는 블록, thread draw out actuator adjusting groove block) 425의 아랫면에 형성된 コ자형 홈 425a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있다. 이 コ자형 홈 425a도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의 윗면에는 T자형의 실 인출 작동자 조절판(thread draw out actuator adjusting plate) 426의 가로팔 426a가 고정되어 있다.
실 인출 작동자 조절판 426이 고정된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는, 베드 3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실 인출 작동자 조절대 판(thread draw out actuator adjusting board plate) 428에 스러스트 칼라(thrust collar) 429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되고 있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축 427에 회동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있다. 또,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축 427은 실 인출 작동자 조절판 426의 구멍 426c를 관통하여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의 구멍 425b에 삽입하고 고정되어, 실 인출 작동자 조절대 판 428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덜커덕거림 없게 회동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있다. 또한,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는 각구 421에 실린 상태이므로,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축 427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실 인출 작동자 조절판 426의 세로팔끝 426b와,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은 조절 와이어(adjusting wire) 43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조절 와이어 431은, 예를 들면, 와이어 가드(wire guard) 430에 삽입되고, 양끝에는 와이어 단자(wire terminal) 432가 고정되어 있다. 한 쪽의 와이어 단자 432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판 426의 세로팔끝 426b에 고정되고, 다른 편의 와이어 단자 432는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역점으로 되는 부위와 지점으로 되는 부위와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또, 조절 와이어 431의 한 쪽의 와이어 단자 432측은 와이어 가이드 스톱퍼(wire guard stopper) 433에 의하여 실 인출 작동자 조절대 판 428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쪽의 와이어 단자 432측은 와이어 가이드 스톱퍼 433이 설치판(mounting plate) 434에 의하여 팔 2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역점으로 되는 부위에는 이송 조절 레버 손잡이(feed adjusting lever knob) 323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에 의한 실 조임 조절 동작에 관하여, 도 34A, 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34A는,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을 재봉틀의 아래에서 본 그림으로, 위쪽에 위치한 도면은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으로 바늘땀을 바짝 죄는 경우를, 아래쪽에 위치한 도면은 바늘땀에 느슨함을 주는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4B는,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을 재봉틀의 아래에서 본 그림으로, a점은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 407의 회전 중심, b점은 캠 팔로워 406의 회전 중심, c점은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의 회전 중심, d점은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과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를 연결한 연결 각구축 422의 중심점, e 점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와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을 연결한 연결 중심점, f점은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의 회전 중심점이다. 또, 도 34B에 나타내는 L1은, a점에서 d점까지의 길이로, 캠홈 407a의 최대 지름 CamRl로부터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의 캠 팔로워 406으로부터의 고정까지의 길이와,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의 고정으로부터의 길이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의 길이를 가산한 길이이고, L2는, L1이 a점을 중심으로 각도β만큼 회전한 경우에 있어서 a점에서 d'점까지의 길이로, L2=cosβ×L1이다.
이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은, 조절 와이어 431이 끌려가면 실 인출 작동자 조절판 426의 세로팔끝 426b를 잡아당기기 때문에,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축 427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 34A, B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길이 방향을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맞출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중간축 8(도 32, 도 33)이 회전하면,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는 캠 팔로워 406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 407의 캠 홈 407a의 형상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기 때문에, 실 인출 작동자 401을 요동시킬 수 있다. 이때,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의 길이 방향과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의 길이 방향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 및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와 연결 각구축 422에 의하여 장착된 각구 421은,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의 コ자형 홈 425a 안을 최대 이동 거리에 의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4B에 나타나듯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 407의 캠홈 407a에 의한 변이량 H가, 해당 캠홈 407a의 최대 지름 CamRl로부터 최소 지름 CamRs를 감산한 값으로 되기 때문에(H=CamRl-CamRs),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가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의 길이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면, 캠홈 407a에 의한 변이량 H는 그대로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에 전달되고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에 연결된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을 요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길이 L1으로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의 팔끝 403a를 요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이 고정된 실 인출 작동자 요동축 402에 고정된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실걸이부(絲掛部) 401a의 요동 기준 위치를 Np라고 한다면 요동폭이 최대인 Pa가 되어, 바늘땀을 바짝 죄는 것을 할 수 있다.
또, 이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은, 조절 와이어 431이 눌러진다면 실 인출 작동자 조절판 426의 세로팔끝 426b를 누르기 때문에,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축 427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길이 방향을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각도θ만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중간축 8이 회전하면,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는 캠 팔로워 406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 407의 캠홈 407a의 형상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기 때문에, 실 인출 작동자 401을 요동시킬 수 있다. 이때,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의 길이 방향은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각도θ만큼 경사지도록 하여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 및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와 연결 각구축 422에 의하여 장착된 각구 421은,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의 コ자형 홈 425a 안을 기울어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4B에 나타나듯이,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가 각도 θ만큼 기울어진 위치에 배치되면,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과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를 연결한 연결 각구축 422의 중심 d점이 각구 422의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의 홈 425a 안을 미끄러져 움직이기 때문에, 연결 각구축 422의 중심점으로 되는 d점이 d'점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연결 각구축 422의 중심점으로 되는 d점이 d'점으로 이동하면, 연결된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도 이동하여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와 연결한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을 요동시키는 이동량 H가 감소한 것이 되기 때문에,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와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의 팔끝 403a를 연결하는 연결 중심점으로 되는 e점이 e'점까지밖에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 인출 작동자 구동팔 403이 고정된 실 인출 작동자 요동축 402에 고정된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요동량은 적어지기 때문에, 요동 기준 위치 Np로부터의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실걸이부 401a까지의 요동폭 Pa가 Pb로 되어, 바늘땀에 느슨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도 34A, B에 있어서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의 경사 방향이 위쪽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의 설정대로 아래쪽으로 경사시키고 바늘땀에 느슨함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34B에 나타나듯이, 캠홈 407a의 최소 지름 CamRs에 의한 타이밍 위치에서 연결 각구축 422의 중심점과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의 회전 중심이 동일점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캠홈 407a의 최소 지름 CamRs에 의한 타 이밍 위치에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 423과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를 연결한 연결 각구축 422의 중심점과 실 인출 작동자 조절되 425의 회전 중심은 동일점이 아니어도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는, 재봉대상을 직선 이송만 할 수 있었다. 거기서, 도 35A, B에 나타나듯이,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재봉대상을 바늘판 12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하고 재봉대상의 이송 방향을, 구침 13을 회동축으로서 수동 회동 조작하기 위한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 540을 구비해도 좋다. 이와 같은 회동 조작 이송하는 것을, "프리 커브 봉제(free curve sewing)"라 한다. 프리 커프 봉제는, 재봉대상의 이송 방향을 봉제자의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일정한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의 소(小) 회전 곡선 봉제(small turned curve sewing)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rotating operation/linear feed changeover mechanism) 540은 도 35A, B, 도 36에 나타낸 것처럼, 상축 5의 회전 운동을 누름 기구 500에 전달시켜,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하여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재봉대상을 바늘판 12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하고 구침 13을 회동축으로서 수동 회동 조작 가능하게 하는 압박 해제 기구(pressing force release mechanism) 520을 갖고 있다.
압박 해제 기구(pressing force release mechanism) 520은, 상축 5의 다른 끝쪽에 압박 해제 캠 구동대(pressing force release cam drive board) 530이 고정되고, 압박 해제 캠 구동대 530의 측면측(도면에서 좌측)에는 압박 해제 캠(pressing force release cam) 528이 상축 5 위를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해당 상축 5에 끼워넣어져 있다. 압박 해제 캠 528은 평면 캠으로, 요홈부(concave portion) 528a가 원주면상에 형성된 풀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528b와, 본체 528b의 한편의 측면(도면에서 좌측)에 폴리 다인 곡선(Polydyne curve)과 같은 달걀꼴로 형성된 원호 캠부(circular arc cam portion) 528c와, 원호 캠부 528c의 측면(도면에서 좌측)에 설치되고 본체 528b의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된 원통부 528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원호 캠부 528c의 최소 지름 원호의 반경과 원통부 528d의 반경은 같은 지름이므로, 그 부위에 있어서는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이 압박 해제 캠 528은 상축 5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상축 5 위에 고정된 압박 해제 캠 구동대 530의 측면(도면에서 좌측)에 돌출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핀 529를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감입하고 상축 5의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는 핀 구멍 528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박 해제 기구 520은, 누름 기구 500의 누름 막대 보유체(presser bar holder) 505와 노루다리(presser foot leg) 502와의 사이에 압박 해제판(pressing force release plate) 522가 누름 막대(presser bar) 503에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 넣어져 있다. 압박 해제판 522와 누름 막대 보유체 505와의 사이에는 압박 해제 스프링 521이 누름 막대 503에 끼워 넣어져, 압박 해제판 522를 아래쪽 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력을 줄 수 있다. 또, 팔 2에는 상축 5의 회전 운동을 누름 기구 500에 전달시키기 위한 해제축(release shaft) 526이, 축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해제축 526은 축 부싱(shaft bushing) 525로 팔 2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해제축 526의 한 끝에는 압박 해제 캠 528의 원호 캠 부 528c와 원통부 528d에 개별적으로 접촉시키는 압박 해제 캠용 팔 527이 고정되고, 다른 끝에는 압박 해제팔 523이 고정되어 있다. 압박 해제팔 523의 팔끝 523a는 압박 해제판 522에 요동 가능하게 단(段) 나사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압박 해제 기구 520을 조작하고, 직선 이송과 수동 회동 조작 이송을 바꾸기 위해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 540은, 직선 이송과 수동 회동 조작 이송을 바꾸는 전환 레버(changeover lever) 542와, 압박 해제 캠 528의 요홈부 528a에 감입함과 동시에 전환 레버 542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는 전환핀(changeover pin) 546과, 전환 레버 542 및 전환핀 546이 설치되고 팔 2에 고정된 전환 베이스(changeover base) 541을 구비하고 있다.
전환 베이스 541은 예를 들어 コ자형으로 형성되어져 있고,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판면이 팔 2에 고정되며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판면에는 1개의 구멍 541a와, 구멍 541a의 주변에 배치된 2개의 원 반달 모양의 긴 구멍 541b, 541c가 설치되고, 상축 5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으로 된 판면의 구멍 541a의 상부에는 스위칭 레버 545가 요동 가능하도록 한 끝 545a를 단 나사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레버 545의 다른 끝 545b에는 전환핀 546이 고정되고 긴 구멍 541b를 끼워 관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환핀 546은 스위칭 레버 545가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요동하는 범위가 긴 구멍 541b의 길이 방향의 길이로 한정되고 있다. 이 스위칭 레버 545의 한 끝 545a와 다른 끝 545b와의 사이에는 긴 구멍 545c가 설치되어, 이 긴 구멍 545c에는 구멍 54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환 베이스 541에 고정된 전환축 부싱(changeover shaft bushing) 544가 삽입되어 있다. 전환축 부싱 544에는, 한 끝에 전환 레버 542가 고정되고 다른 끝에 2개의 팔 543a, 543b가 형성된 전환축 543이 회동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전환 레버 542는 전환 베이스 541의 스위칭 레버 545가 설치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환축 543의 한편의 팔 543a는 전환 베이스 541의 긴 구멍 541c에 요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이 한편의 팔 543a는, 전환축 543이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요동하는 범위가 긴 구멍 541c의 길이 방향의 길이로 한정되고 있다. 또, 전환축 543의 다른 방향의 팔 543b에는 스프링 걸이(spring stud) 549가 고정되고, 스프링 걸이 549에는 전환 스프링 548의 한 끝이 걸려 고정되고, 전환 스프링 548의 다른 끝은 전환핀 546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 전환 스프링 548은 평상시, 스프링 걸이 549와 전환핀 546과를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 540은, 전환 레버 542가 도 35A의 위치(도면에서 좌측 방향)에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우측으로 경도(傾倒)한 전환축 543의 다른 방향의 팔 543b의 스프링 걸이 549에 걸려 고정되었던 전환 스프링 548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위칭 레버 545의 전환핀 546이 압박 해제 캠 528을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압박 해제 캠 528과 압박 해제 캠 구동 대 530는 접촉한다. 또, 전환 레버 542가 도 35B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좌측으로 경도한 전환축 543의 다른 방향의 팔 543b의 스프링 걸이 549에 걸어 고정되었던 전환 스프링 548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위칭 레버 545의 전환핀 546이 압박 해제 캠 528을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압박 해제 캠 528과 압박 해제 캠 구동대 530은 서로 떨어지게 된다.
이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 540으로 "프리 커브 봉제"를 하는 경우에는, 전환 레버 542를 도 35A의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좌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 35B의 위치로 바꾼다.
이때, 압박 해제 캠 528의 원호 캠부 528c의 원통부 528d와 동일면으로 되어 있는 부분 이외가 위쪽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원호 캠부 528c가 압박 해제 캠용 팔 527의 팔부로 평행 이동할 때에, 해당 팔부에 접합하기 때문에, 압박 해제 캠 528은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 전환축 543의 다른 방향의 팔 543b는, 전환 레버 54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를 회전하면, 압박 해제 캠 528의 원호 캠부 528c의 원통부 528d와 동일면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압박 해제 캠용 팔 527의 팔부에 회전 이동해 오기 때문에, 원호 캠부 528c는 압박 해제 캠용 팔 527의 팔부에 평행 이동 가능해지고, 다른 편의 팔 543b의 스프링 걸이 549와 전환 스프링 548에 의하여 연결된 스위칭 레버 545의 전환핀 546은, 전환 스프링 548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 방향(우회전 방향)으로 요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전환축 543의 다른 방향의 팔 543b가 해당 전환축 54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다른 편의 팔 543b가 전환축 54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환핀 546이 전환 스프링 548의 탄성력에 의하여 끌려가서, 스위칭 레버 545의 전환 베이스 541에 대한 연결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이 된다. 전환핀 546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전환핀 546이 맞물리는 압박 해제 캠 528이 도 35A의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되는 도 35B의 위치로 이동한다. 압박 해제 캠 528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박 해제 캠용 팔 527의 팔부가 원호 캠부 528c에 접촉하기 때문에, 원호 캠부 528c의 캠 형상에 기초한 압박 해제 캠용 팔 527의 팔부를, 해제축 526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시킨다. 압박 해제 캠용 팔 527의 팔부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면, 압박 해제팔 523의 팔끝 523a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기 때문에, 팔끝 523a에 연결되어 있는 압박 해제판 522는 압박 해제 스프링 521의 탄성력에 의하여 노루발 501을 상하 운동시킬 수 있다(도 37B, C). 따라서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하여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재봉대상을 바늘판 12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박 해제판 522는 원호 캠부 528c의 캠 형상에 근거하여 상승하면, 압박 해제 스프링 521의 탄성력이 누름 압력 조절 스프링 504의 탄성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누름 막대 보유체 505는 상승하여 누름 막대 503에 고정된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 압력 조절 나사 508을 완화하면 누름 압력 조절 스프링 504의 탄성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노루발 501의 상승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프리 커브 봉제로 설정되어 있는 전환 레버 542를 도 35B의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35A의 위치로 바꾸면, 직선 재봉이 가능하게 된다. 전환 레버 5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환축 543의 다른 방향의 팔 543b가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이 다른 쪽의 팔 543b의 스프링 걸이 549와 전환 스프링 548에 의하여 연결된 스위칭 레버 545의 전환핀 546은, 전환 스프링 548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전환축 543의 다른 방향의 팔 543b가 해당 전환축 54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다른 쪽의 팔 543b가 전환축 54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환핀 546이 전환 스프링 548의 탄성력에 의하여 끌려가서, 스위칭 레버 545의 전환 베이스 541에 대한 연결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이 된다. 전환핀 546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전환핀 546이 맞물리는 압박 해제 캠 528이 도 35B의 위치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된 도 35A의 위치로 이동한다. 압박 해제 캠 528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박 해제 캠용 팔 527의 팔부가 원호 캠부 528c로부터 벗어나서 원통부 528d에 접촉하기 때문에, 압박 해제 캠용 팔 527의 팔부는 그 위치에서 정지한 채로 있다. 따라서 노루발 501은 압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37A).
또,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는,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 601, 노루발 501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하고,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 601, 노루발 501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간을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하고 있기 때문에,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었다. 그러면, 도 38, 도 41에 나타낸 것처럼, 구침 13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고 있을 때,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재봉대상을 보내는 이송 톱니 601을 퇴피(退避)하고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을 수동 이송하기 위한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hand feed/linear feed changeover mechanism) 740을 구비해도 좋다. 이와 같은 수동 이송을, "프리 모션 봉제(free motion sewing)"라고 한다. 프리 모션 봉제는, 재봉대상의 이송 방향을 봉제자의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를 임의로 변경하면서 소(小) 회전 곡선 봉제(small turned curve sewing)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 740은 도 38, 도 39에 나타낸 것처럼, 상축 5의 회전 운동을 누름 기구 500 및 옷감 이송 기구 600에 전달시켜, 구침 13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고 있을 때,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하고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을 수동 이송하는 압박 해제 기구(pressing force release mechanism) 720A와, 구침 13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고 있을 때, 재봉대상을 보내는 이송 톱니 601을 퇴피하고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을 수동 이송하는 이송 톱니 퇴피 기구(feed dog evacuate mechanism) 720B를 구비하고 있다.
압박 해제 기구 720A는, 상축 5의 다른 쪽 끝측에 원판형의 압박 해제 캠 구동대(pressing force release cam drive board) 730이 고정되고, 압박 해제 캠 구 동대 730의 측면측에는 압박 해제 캠(pressing force release cam) 728이 상축 5 위를 미끄러지며 움직일 수 있도록 해당 상축 5에 끼워 넣어져 있다. 압박 해제 캠 728은 편심캠으로, 요홈부 728a가 원주면 내에 형성된 풀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728b와, 본체 728b의 한편의 측면(도면에서 좌측)에 설치되는 본체 728b의 회전 중심은 편심한 위치에 회전 중심을 갖는 원통 모양의 캠부 728c와, 캠 부 728c의 측면(도면에서 좌측)에 설치되고 본체 728b의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캠 부 728c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부 728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부 728c와 원통부 728d는 동일면으로 된 부분이 있다. 이 압박 해제 캠 728은 상축 5 위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압박 해제 캠 구동대 730의 측면(도면에서 좌측)에 돌출한 상태에서 고정된 핀 729를 미끄러지며 움직일 수 있도록 감입하는 것이 가능한 핀 구멍 728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압박 해제 기구 720A는, 압박 해제 기구 520과 마찬가지로, 누름막대 보유체 505와 노루다리 502와의 사이에 압박 해제판 522가 누름막대 503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 넣어져 있다. 압박 해제판 522와 누름막대 보유체 505와의 사이에는 압박 해제 스프링 521이 누름막대 503에 끼워 넣어지고, 압박 해제판 52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력을 주는 것을 할 수 있다. 또, 팔 2에는 상축 5의 회전 운동을 누름 기구 500에 전달시키기 위한 해제축 526이, 축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해제축 526은 축 부싱 525로 팔 2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해제축 526의 한 끝에는 압박 해제 캠 728의 캠부 728c와 원통부 728d에 개별적으로 접촉시키는 압박 해제용 포크(fork for pressing force release) 731이 고정되고, 다른 끝에는 압박 해제팔 523이 고정되어 있다. 압박 해제용 포크 731은 상부의 팔 731a와 하부의 팔 731b가, 압박 해제 캠 728의 캠부 728c를 거의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끼워, 원통부 728d에 대해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압박 해제팔 523의 팔끝 523a는 압박 해제판 522에 요동 가능하게 나사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압박 해제 기구 720A를 조작하고, 직선 이송과 수동 이송을 전환하기 위해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 740은, 직선 이송과 수동 이송을 바꾸는 전환 레버 742와, 압박 해제 캠 728의 요홈부 728a에 감입함과 동시에 전환 레버 742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는 전환핀 746과, 전환 레버 742 및 전환핀 746이 설치되고 팔 2에 고정되는 전환 베이스 741을 구비하고 있다.
전환 베이스 741은 예를 들어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판면이 팔 2에 고정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판면의 좌측에는 1개의 구멍 741a와, 구멍 741a의 주변에 배치된 2개의 원반 모양의 긴 구멍 741b, 741c가 설치되고, 재봉틀의 전면측으로 되는 판면의 구멍 741a의 상부에는 스위칭 레버 745가 요동 가능하도록 한 끝 745a를 단 나사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레버 745의 다른 끝 745b에는 전환핀 746이 고정되고 긴 구멍 741b를 끼워 관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환핀 746은 스위칭 레버 745가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요동하는 범위가 긴 구멍 741b의 길이 방향의 길이로 한정되어 있다. 이 스위칭 레버 745의 한 끝 745a와 다른 끝 745b와의 사이에는 긴 구멍 745c가 설치되어, 이 긴 구멍 745c에는 구멍 74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환 베이스 741에 고정 된 전환축 부싱 744를 삽입하고 있다. 전환축 부싱 744는, 한 끝에 전환 레버 742가 고정되고 다른 끝에 2개의 팔 743a, 743b가 형성된 전환축 743이 회동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전환 레버 742는 전환 베이스 741의 스위칭 레버 745가 설치된 재봉틀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환축 743의 한편의 팔 743a는 전환 베이스 741의 긴 구멍 741c에 요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 한편의 팔 743a는, 전환축 743이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요동하는 범위가 긴 구멍 741c의 길이 방향의 길이로 한정되어 있다. 또, 전환축 743의 다른 방향의 팔 743b에는 스프링 걸이 749가 고정되고, 스프링 걸이 749에는 전환 스프링 748의 한 끝이 걸려 고정되며, 전환 스프링 748의 다른 끝은 전환핀 746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 전환 스프링 748은 평상시, 스프링 걸이 749와 전환핀 746을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주고 있다.
이송 톱니 퇴피 기구(feed dog evacuate mechanism) 720B는, 압박 해제 캠 구동대 730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떨어진 상축 5에 이송 톱니 퇴피 캠 구동대(feed dog evacuate cam drive board) 723이 고정되고, 이송 톱니 퇴피 캠 구동대 723의 측면측(도면에서 우측)에는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이 상축 5 위를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해당 상축 5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은 편심캠으로, 요홈부 721a가 원주면 위에 형성된 풀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721b와, 본체 721b의 한편의 측면(도면에서 우측)에 설치되고 본체 721b의 회전 중심은 편심한 위치에 회전 중심을 갖는 원통 모양의 캠부 721c와, 캠부 721c의 측면(도면에서 우측)에 설치되고 본체 721b의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캠부 721c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부 721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 721d의 반경은 캠 부 721c의 최소 반경과 동일 지름이므로, 캠부 721c와 원통부 721d는 동일면으로 되는 부분이 있다. 이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은 상축 5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고 해당 상축 5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이송 톱니 퇴피 캠 구동대 723의 측면(도면에서 오른쪽)에 돌출한 상태에서 고정된 핀 722를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감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핀(pin) 구멍 721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송 톱니 퇴피 기구 720B는,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의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14에 대체하여 상하 이송 세로 로드(feed dog up and down drive vertical rod) 726을 사용한다. 이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한 끝에는 장방형의 구멍 726a가 형성되고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의 캠부 721c가 짧은 변에 대해 거의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감합되고, 그 상부에는 긴 구멍 726b가 형성되어 팔 2에 고정된 세로 로드 안내대 724에 세로 로드 안내 핀 725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멍 726a에 캠부 721c가 감합되어도, 해당 구멍 726a의 긴 변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되어, 이 수평 방향으로 큰 공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이 회전하고 캠부 721c가 편심 운동하면,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은 수평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지만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하는 것이 된다. 또,긴 구멍 726b에 세로 로드 안내핀 725가 삽입되어도 해당 긴 구멍 726b의 길이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되어, 이 수직 방향으로 큰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구멍 726a가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의 캠부 721c로부터 원통부 721d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을 내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다른 끝은 상하 이송축 613의 다른 방향으로 고정된 상하 이송축 구동팔 715에 연결핀 716으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축 5가 회전하면,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의 캠부 721c가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한 끝을 상하 운동시키기 때문에, 상하 이송축 구동팔 715가 상하 이송축 613을 왕복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상하 이송축 613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이송 톱니 퇴피 스프링(feed dog evacuate spring) 727이 끼워 넣어지고, 한편의 팔 727a가 베드 3에 고정되고 다른 편의 팔 727b가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다른 끝과 상하 이송축 구동팔 715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핀 716에 걸려 있고, 연결핀 716을 평상시 아래쪽으로 누르도록 탄성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구멍 726a가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의 캠부 721c로부터 원통부 721d로 이동한 경우에는, 이송 톱니 퇴피 스프링 727이 상하 이송축 구동팔 715의 연결핀 716의 연결단을 평상시 아래쪽으로 내리고 있기 때문에,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을 내려간 상태로 정지시킴과 동시에 이송 톱니 601을 퇴피시키는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 톱니 퇴피 기구 720B로서, 전환 베이스 741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판면의 우측에는 1개의 구멍 741d가 설치되고, 재봉틀의 전면측으로 된 판면의 구멍 741d의 상부에는 스위칭 레버 750이 요동 가능하도록 한 끝 750a를 단(段) 나사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레버 750의 다른 끝 750b에는,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의 요홈부 721a에 감입하는 전환핀 751이 고정되고, 이 전환핀 751이 전환 베이스 741의 밖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스위칭 레버 750이 구성 되어 있다. 이 스위칭 레버 750의 한 끝 750a와 다른 끝 750b와의 사이에는 긴 구멍 750c가 설치되고, 이 긴 구멍 750c에는 구멍 741d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환 베이스 741에 고정된 전환축 부싱 752가 삽입되어 있다. 전환축 부싱 752는, 한 끝에 2개의 팔 753a, 753b가 형성된 전환축 753이 회동 자유롭게 삽입되고 있다. 또한, 전환축 753의 2개의 팔 753a, 753b는,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 740의 전환축 743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환축 753의 한편의 팔 753a는, 전환 베이스 741의 밖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해당 전환 베이스 741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전환축 753의 다른 방향의 팔 753b에는 스프링 걸이 754가 고정되고, 스프링 걸이 754에는 전환 스프링 755의 한 끝이 걸려 고정되며, 전환 스프링 755의 다른 끝은 전환핀 751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 전환 스프링 755는 평상시, 스프링 걸이 754와 전환핀 751을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주고 있다. 또, 전환축 753의 다른 방향의 팔 753b에 고정된 스프링 걸이 754와, 전환축 743의 다른 방향의 팔 743b에 고정된 스프링 걸이 749는 연결 링크 75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압박 해제 기구 720A에 있어서 압박 해제 캠 728의 캠부 728c의 형상과, 압박 해제 기구 520에 있어서 압박 해제 캠 528의 원호 캠부 528c의 형상이 다른 것은, 압박 해제 기구 720A는 구침 13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가고 있는 사이에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하지만, 압박 해제 기구 520은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 21을 관통하여,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의 사이에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 740은, 전환 레버 742가 도 40A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압박 해제 캠 728과 압박 해제 캠 구동대 730이 접촉하고 이송 톱니 퇴피 캠 구동대 723과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은 서로 떨어져 있고, 전환 레버 742가 도 40B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압박 해제 캠 728과 압박 해제 캠 구동대 730은 서로 떨어져 있고 이송 톱니 퇴피 캠 구동대 723과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은 접촉하고 있다.
이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 740으로 프리 모션 봉제를 행하는 경우에는, 전환 레버 742를 도 40A의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좌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40B의 위치로 바꾼다. 이때, 압박 해제 캠 728의 캠부 728c의 원통부 728d와 동일면으로 되어 있는 부분 이외가 윗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캠부 728c가 압박 해제용 포크 731의 상부의 팔 731a로 평행 이동할 때에, 해당 상부의 팔 731a에 걸리기 때문에, 압박 해제 캠 728은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 전환축 743의 다른 방향의 팔 743b는, 전환 레버 74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를 회전하면, 압박 해제 캠 728의 캠 부 728c의 원통부 728d와 동일면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압박 해제용 포크 731의 상부의 팔 731a로 회전 이동해 오기 때문에, 캠부 728c는 압박 해제용 포크 731의 상부의 팔 731a로 평행 이동 가능해지고, 다른 편의 팔 743b의 스프링 걸이 749와 전환 스프링 748에 의하여 연결된 스위칭 레버 745의 전환핀 746은, 전환 스프링 748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 방향(우회전 방향)으로 요동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전환축 743의 다른 방향의 팔 743b가 해당 전환축 74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다른 편의 팔 743b가 전환축 74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환핀 746이 전환 스프링 748의 탄성력에 의하여 끌려가서, 스위칭 레버 745의 전환 베이스 741에 대한 연결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이 된다. 전환핀 746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전환핀 746이 맞물리는 압박 해제 캠 728이 도 40A의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되는 도 40B의 위치로 이동한다.
압박 해제 캠 728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박 해제 캠 728의 원통부 728d와 캠부 728c의 동일 반지름점으로 해당 압박 해제 캠 728이 상축 5 위를 미끄러져 움직이고 압박 해제용 포크 731이 캠부 728c에 맞물리기 때문에, 캠부 728c가 편심한 캠 형상에 근거하여 압박 해제용 포크 731의 상부의 팔 731a를, 해제축 526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시킨다. 압박 해제용 포크 731의 상부의 팔 731a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면, 압박 해제팔 523의 팔끝 523a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기 때문에, 팔끝 523a에 연결되어 있는 압박 해제판 522는 압박 해제 스프링 521의 탄성력에 의하여 노루발 501을 상하 운동시키는 것을 할 수 있다(도 41B, C).
또, 전환 레버 742를 도 40A의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좌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 40B의 위치로 바꾸면, 스프링 걸이 749에 한편이 연결된 연결 링크 756도 끌려가고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연결 링크 756의 다른 방향으로 연결된 스프링 걸이 754가 전환축 753의 다른 방향의 팔 753b를, 해당 전환축 75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전환축 753의 다른 방향의 팔 753b가 해당 전환축 75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다른 편의 팔 753b가 전환축 75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환핀 751이 전환 스프링 755의 탄성력에 의하여 끌려가서, 스위칭 레버 750의 전환 베이스 741에 대한 연결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이 된다. 전환핀 751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전환핀 751이 맞물리는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이 도 40A의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된 도 40B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해당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의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구멍 726a에 위치한 부위가 캠부 721c로부터 원통부 721d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은 이송 톱니 퇴피 스프링 727 보다 내려간 상태로 정지하고, 이송 톱니 601은 항상 퇴피한 위치에 정지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전환 레버 742를 프리 모션 봉제로 바꾼 경우에는, 구침 13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고 있을 때,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재봉대상을 보내는 이송 톱니 601을 퇴피하고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을 수동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 프리 모션 봉제로 설정되어 있는 전환 레버 742를 도 40B의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40A의 위치로 바꾸면, 직선 봉제를 할 수 있게 된다. 전환 레버 7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환축 743의 다른 방향의 팔 743b가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이 다른 쪽의 팔 743b의 스프링 걸이 749와 전환 스프링 748에 의하여 연결된 스위칭 레버 745의 전환핀 746은, 전환 스프링 748의 탄성 력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전환축 743의 다른 방향의 팔 743b가 해당 전환축 74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다른 편의 팔 743b가 전환축 74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환핀 746이 전환 스프링 748의 탄성력에 의하여 끌려가서, 스위칭 레버 745의 전환 베이스 741에 대한 연결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이 된다. 전환핀 746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전환핀 746이 맞물리는 압박 해제 캠 728이 도 40B의 위치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된 도 40A의 위치로 이동한다. 압박 해제 캠 728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박 해제용 포크 731의 팔 731a, 731b가 캠부 728c로부터 벗어나고 원통부 728d에 접촉하기 때문에, 압박 해제용 포크 731은 그 위치에서 정지한 채로 있다. 따라서 노루발 501은 압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41A).
또, 전환 레버 742를 도 40B의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40A의 위치로 바꾸면, 스프링 걸이 749에 한편이 연결된 연결 링크 756이 눌러져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연결 링크 756의 다른 방향으로 연결된 스프링 걸이 754가 전환축 753의 다른 방향의 팔 753b를, 해당 전환축 75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한다. 전환축 753의 다른 방향의 팔 753b가 해당 전환축 75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다른 편의 팔 753b가 전환축 75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환핀 751이 전환 스프링 755의 탄성력에 의하여 끌려가서, 스위칭 레버 750의 전환 베이스 741에 대한 연결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이 된다.
전환핀 751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전환핀 751이 맞물리는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이 도 40B의 위치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되는 도 40A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의 캠부 721c의 원통부 721d와 동일면으로 되어 있는 부분 이외가 윗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캠부 721c가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구멍 726a으로 평행 이동할 때에, 해당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구멍 726a의 주위에 걸리기 때문에,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은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전환축 753의 다른 방향의 팔 753b는, 전환 레버 7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를 회전하면,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의 캠부 721c의 원통부 721d와 동일면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구멍 726a에 회전 이동해 오기 때문에, 캠부 721c는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구멍 726a에 평행 이동 가능해지고, 다른 편의 팔 753b의 스프링 걸이 754와 전환 스프링 755에 의하여 연결된 스위칭 레버 750의 전환핀 751은, 전환 스프링 755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전환축 753의 다른 방향의 팔 753b가 해당 전환축 75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다른 편의 팔 753b가 전환축 75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환핀 751이 전환 스프링 755의 탄성력에 의하여 끌려가서, 스위칭 레버 750의 전환 베이스 741에 대한 연결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이 된다. 전환핀 751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해당 전환핀 751이 맞물리는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이 도 40B의 위치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되는 도 40A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송 톱니 퇴피 캠 721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의 구멍 726a의 벽면이 캠부 721c에 접촉하기 때문에, 캠부 721c가 편심한 캠 형상에 기초하여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시킨다.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26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면, 상하 이송축 구동팔 715가 상하 이송축 613을 왕복 회전시키는 것을 할 수 있다. 상하 이송축 613이 왕복 회전하는 것으로, 상하 이송 포크 616이 왕복 요동하고 상하 이송 포크 616에 감입한 상하 이송 롤러 608이 이송 토대 602의 다른 끝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이와 같이, 이송 톱니 퇴피 기구 720B로 이송 토대 602의 다른 끝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킴과 동시에, 수평 이송축 605 및 수평 이송팔 604로 이송 토대 602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이송 토대 602에 고정된 이송 톱니 601은, "상승→전진→하강→후퇴"라는 이송의 네 개의 공정 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환 레버 742를 직선 이송으로 전환한 경우에는, 직선 봉제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박 해제 기구 720A와 이송 톱니 퇴피 기구 720B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프리 모션 봉제(free motion sewing)는 가능하다. 압박 해제 기구 720A만의 경우에는, 구침 13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고 있을 때,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하고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을 수동 이송한다. 또, 이송 톱니 퇴피 기구 720B만의 경우에는, 누름 압력 조절 나사 508을 완화하고 노루발 501의 압박력을 약하게 조정 설정한 것으로, 구침 13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고 있을 때, 재봉대상을 보내는 이송 톱니 601을 퇴피하고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를 수동 이송한다.
또,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는, 굵은 실이나 꼬임이 적은 바느질실로 봉제하는 경우에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로 바느질실을 포착할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있다. 그러면, 도 42, 도 43에 나타낸 것처럼, 반회전 북집 200의 사출구 212a로부터 인출되어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하여 실 포착구 13a으로 위치 결정되어 구침 13에 주접하여 긴장되어 있는 실을 실 포착구 13a로 강제 삽입하는 실 삽입자(thread insert actuator) 451의 실 삽입자 구동 기구(thread insert actuator drive mechanism) 450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실 삽입자 451의 선단 451a는 바느질실을 걸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바늘판 12의 아래쪽에서 왕복 운동하는 것이다.
실 삽입자 구동 기구(thread insert actuator drive mechanism) 450은, 실 인출 구동 기구(thread draw out drive mechanism) 400의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thread draw out actuator drive cam) 407을 이용하는 것으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 407의 윗면에 실 삽입자 451을 요동하기 위한 정면 캠인 실 삽입자 구동 캠 홈(thread draw out actuator drive cam groove) 456을 형성시킨다. 또한, 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 407의 아랫면에는 실 인출 작동자 401을 요동시키기 위한 캠 홈 407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실 삽입자 구동 기구 45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한 끝 452a에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 407의 실 삽입자 구동 캠 홈 456에 맞물리는 캠 팔로워 455가 설치되고 다른 끝 452b에 실 삽입자 451이 고정된 실 삽입자 구동팔(thread insert actuator drive arm) 452와, 실 삽입자 구동팔 452를 베드 3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한 실 삽입자 구동팔대(thread insert actuator drive arm board) 453을 구비하고 있다. 캠 팔로워(cam follower) 455는, 실 삽입자 구동팔 452의 한 끝 452a에 설치된 롤러 축 452c와, 롤러 축 452c의 선단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 407의 실 삽입자 구동 캠 홈 456에 감입하는 롤러 457로 구성되어 있다. 또, 실 삽입자 구동팔대 453에는 구동팔 축 454가 고정되어, 이 구동팔 축 454에 실 삽입자 구동팔 452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 삽입자 구동 기구 450은, 실 삽입자 구동팔 452가 구동팔 축 454를 지점으로 하여 캠 팔로워 455가 작용점으로 되고 실 삽입자 451이 역점으로 되어, 캠 팔로워 455가 실 인출 작동자 구동 캠 407의 실 삽입자 구동 캠 홈 456의 형상에 따라 실 삽입자 구동팔 452를 회동시키기 때문에, 실 삽입자 451의 선단 451a는 구침 13이 바늘판 12에 놓인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하는 사이에, 반회전 북집 200의 측방에 대해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또,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의 다른 끝과 내북집 205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 O2로 안내하여 넣은 바느질실 20이, 도 18U에 나타낸 것 같은 내북집 205의 반회전 정전에 의하여 긴장 상태로부터 이완 상태로 이행한다. 그러면,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205 주위의 일부에는, 내북집 205의 검 선 205a로 떠내어지고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로부터 해방된 바느질실을 내북집 205가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반회전 북집 200으로 안내하여 넣고 반회전 북집 200에 권장되어 있는 바느질실에 교착시킨 후에, 반회전 북집 200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오는 실을 조이기 전에, 반회전 북집 200에 안내되어 들어가 있는 바느질실을 일시 체류시켜, 반회전 북집 200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오는 바느질실을 실 인출 작동자 401이 조이는 것에 의하여 일시 체류를 해제하는 오목 모양의 실 체류부(concave thread accumulating portion) 205f(도 45),또는 양각 모양의 실 체류부(convex thread accumulating portion) 205g(도 46)를 구비하여도 좋다.
오목 모양의 실 체류부 205f나 양각 모양의 실 체류부 205g를 구비하는 내북집 205는 도 45,도 46에 나타낸 것처럼, 반회전 북집이므로 반원 형상이고 회전 방향의 한 끝쪽에 형성된 검선 205a의 부근에는 실걸이부(thread grapple portion) 205c와 함께 상부 발톱(upper claw) 205d, 하부 발톱(lower claw) 205e가 형성되고, 상부 발톱 205d와 하부 발톱 205e로 형성되는 간극은 봉침 홈(needle guard groove) 205h로 된다. 오목 모양의 실 체류부 205f는 도 45에 나타낸 것처럼, 원호 모양의 하부 발톱 205e의 봉침 홈 205h측과는 반대되는 측면에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은 실 체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새겨져 형성되어 있다. 또, 양각 모양의 실 체류부 205g는 도 46에 나타낸 것처럼, 원호 모양의 상부 발톱 205d의 봉침 홈 205h측과는 반대되는 측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실 체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오목 모양의 실 체류부 205f, 양각 모양의 실 체류부 205g 는, 도 18U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북집 205가 반회전 정전한 위치가 되더라도 도 47에 나타낸 것처럼, 각각 바느질실을 걸었던 채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회전 북집 200에 안내되어 들어가 있는 바느질실을 일시 체류시킬 수 있고,그 후, 실 인출 작동자 401로 반회전 북집 200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오는 바느질실을 조이는 것으로 바느질실의 일시 체류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의 다른 끝과 내북집 205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 O2에 안내하여 들어가도록 한 바느질실 20은, 내북집 205가 반회전 정전해도 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반회전 북집 200에 안내되어 들어가 있는 바느질실 20과 사출구 212a로부터 인출된 바느질실 20을 이완시키는 일 없이,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실걸이부 401a로 포착할 수 있다. 또한, 오목 모양의 실 체류부 205f, 양각 모양의 실 체류부 205g는 어느 쪽이든 하나가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다음으로, 상술한 덮개침 구동 기구 130, 실 시프팅 기구 800A, 800B, 바늘보호구 242, 실 조임 조절 기구 420,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 540,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 740, 실 삽입자 구동 기구 450, 오목 모양의 실 체류부 205f나 양각 모양의 실 체류부 205g를 구비한 내북집 205를 적절히 선택하고 편입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을,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가능한 프리 커브 봉제용 1개 실 정봉 화 스티치 재봉틀에 관하여, 주로 도 48, 도 49, 도 18A ~ W, 도 52A, 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48은 프리 커브 봉제용 1개 실 정봉화 스티치 재봉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49는 프리 커브 봉제용 1개 실 정봉화 스티치 재봉틀의 구동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2 A는 구침 13, 반회전 북집 200, 실 인출 작동자 401, 덮개침 14 및 내북집 205의 모션 다이어그램이고, 도 52B는 구침 13, 반회전 북집 200, 실 시프터(thread shifter) 801 및 실 삽입자 451의 모션 다이어그램이다. 또한, 도 18A ~ W는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48에 나타낸 전체 사시도는 상술한 도 1에 나타낸 전체 사시도와,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으로 사용한 부품의 형상 등이 다르지만, 제품화에 있어 형상을 개량하고 있는 것뿐이고, 구성 및 동작은 동일하고, 또, 내북집 205를 제외한 반회전 북집 200, 누름 기구 500, 옷감 이송 기구 600, 실 인출 구동 기구 400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이 프리 커브 봉제용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로는, 실 시프팅 기구 800A와, 압박 해제 기구 520을 갖는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 540을 사용한다.
또, 북집 구동 기구 220은 도 1에 나타낸 전체 사시도에 있어서는, 북집 구동 부채형 톱니바퀴 233이 북집축 톱니바퀴 224의 아래쪽에서 서로 맞물려 있지만, 도 48에 나타낸 전체 사시도에서는 북집 구동 기구 220은, 북집 구동 부채형 톱니바퀴 233이 북집축 톱니바퀴 224의 아래쪽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북집 구동 기구 220은 도 50, 도 51에 나타낸 것처럼, 도 14, 도 15에 나 타낸 북집 구동 기구 220의 부채형 톱니바퀴축 221 대신에, 북집 구동 부채형 톱니바퀴 233이 북집축 톱니바퀴 224의 아래쪽에서 서로 맞물리는 베드 3의 위치에 설치된 부채형 톱니바퀴축 235가 사용된다. 따라서 도 50, 도 51에 나타낸 북집 구동 세로 로드 228은 도 14, 도 15에 나타낸 북집 구동 세로 로드 228보다 짧아지고 있다.
또한,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역점으로 되는 부위에는, 이송 조절 레버 손잡이 323이 장착되어 있다.
도 48, 도 49에 있어,모터M에 의하여 구동 벨트 MB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종동(從動) 풀리 4가, 구침 13측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30,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 북집 구동 기구 220, 실 인출 구동 기구 400,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 540, 실 시프팅 기구 800A 및 실 삽입자 구동 기구 450이 구동한다.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30이 구동하면 구침 13을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키고,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이 구동하면 옷감 이송 기구 600으로 이송 톱니 601을 이송 4 공정 운동을 시키고, 북집 구동 기구 220이 구동하면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206을 반회전 정전, 반회전 역전시키고, 실 인출 구동 기구 400이 구동하면 실 인출 작동자 401을 요동시키고,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 540이 구동하면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 및 제2 스트로크마다 노루발 501의 압력을 소정 시간만 해제시키고, 실 시프팅 기구 800A가 구동한다면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 및 제2 스트로크마다 실 시프터 801을 구침 13의 부근에서 타원 운동시키고, 실 삽입자 구동 기구 450이 구동한다면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 및 제2 스트로크마다 실 삽입자 451을 왕복 운동시킨다. 또한, 각 기구의 동작 설명은 상술한 구성 설명으로 상세히 서술했으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구침 13, 반회전 북집 200, 실 인출 작동자 401, 이송 톱니 601, 노루발 501 및 실 삽입자 451가 서로 협동함으로써, 1개의 바느질실 20으로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각각 형성시킨다. 또한, 직선 이송의 경우는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도 1, 도 2)과 동일한 봉제 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전환 레버 542를 회동 조작 이송(프리 커브 봉제)으로 바꾸어 재봉틀을 구동시키면,
(a)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구침 13이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상축5:0도)으로부터 하강하고 바늘판 12에 놓인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도 18A ~ 도 18F, 도 52A), 하사점(상축5:180도)으로부터 상승할 때에, 바늘판 12의 아래쪽에 있고 반회전 역전하는 반회전 북집 200의 사출구 212a로부터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하여 인출되어 구침 13에 주접하여 긴장되고 있는 바느질실 20을 실 포착구 13a로 포착한다(도 18G, 도 18H, 도 52A). 이때, 도 44B에 나타나듯이, 구침 13이 바늘판 12로부터 상승할 때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205가 역전하게 되어, 반회전 북집 200이 가지는 보빈 케이스 212의 사출구 212a는 바늘판 12로부터 벗어나는 방향 및 위치에 놓여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하여 인출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을 구침 13에 주접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하여 보빈 케이스 212의 사출구 212a로부터 인출함과 동시에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해 구침 13에 주접하여 긴장되고 있는 바느질실 20을, 실 삽입자 451을 요동시켜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강제 삽입한다(도 18F ~ 도 18K, 도 44, 도 52B). 또, 구침 13이 실질적으로 상사점(상축5:0도)으로부터 하사점(상축5:180도)으로 운동할 때에 반회전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반회전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키는 것은, 제1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바느질실 20을 실걸이 하기 위해서이고, 제2 스트로크에 있어 반회전 정전한 가마를 반회전 역전시키는 타이밍을 얻기 위해서이다. 또한,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재봉대상 21을 바늘판 12상에 압력 유지시키는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한다(도 18H ~ 도 18K, 도 52B). 이것에 의하여,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의 이송 방향을 구침 13을 회동축으로서 수동 회동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고 나서 반회전 역전을 시작한다(상축5:130도)(도 18E, 도 52A).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기 전에 맨 앞으로 나아가 정지한다(상축5:80도)(도 18D, 도 52A).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면 열린 상태가 된다(도 18E, 도 52A). 이송 톱니 6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기 전에 재봉대상 21의 옷감 이송을 정지한다(도 18D, 도 52A).
(b) 구침 13이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와 상승되어 상사점(상축5:360도)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이송 톱니 601로 1 바늘땀 피치 이송함과 동시에 바느질실 20을 포착한 구침 13이 상승하는 것 및 반회전 북집 200이 또한 역전하는 것에 의하여 실 조임이 이루어진다(도 18I ~ 도 18M, 도 52A).
또한,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상사점(상축5:360도)를 통과하고 나서 반회전 역전을 정지한다(상축5:367도)(도 18M, 도 52A).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하사점(상축5:180도)에 도달하면 바느질실 20을 계속 풀어낼 수 있도록 후퇴하는 요동을 시작하고(도 18F, 도 52A), 구침 13이 상사점(상축5:360도)를 통과하기 전에 후퇴를 정지한다(도 18L, 도 52A).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하사점(상축5:180도)으로부터 상사점(상축5:360도)으로 이동할 때, 해당 구침 13이 바늘판 12를 통과한 후에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를 닫힘상태로 하여 재봉대상 21을 구침 13과 함께 통과한다(도 18J, 도 18K, 도 52A). 이송 톱니 601은 구침 13이 상사점(상축5:360도)을 통과하기 직전에 1 바늘땀 피치 이송을 시작한다(도 18L, 도 52A). 또, 실 시프터 801은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에 있더라도 선단부 801a를 도 29에 나타낸 것과 같은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을 수평 방향으로 1회전만 하게 하지만(도 18A ~ 도 18M, 도 52B), 이때는 구침 13이 하강하여도 실 포착구 13a에는 바느질실 20은 포착되지 않는다.
(c) 구침 13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상축5:360도)으로부터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도 18N, 도 18O, 도 52A), 하사점(상축5:540도)으로부터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 13a에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을 반회전 정전한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205a로 떠냄과 동시에,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을 반회전 북집 200의 회전에 의하여 실 포착구 13a로부터 해방한다(도 18P, 도 52A). 또한, 구침 13이 실질적으로 상사점(상축5:360도)으로부터 하사점(상축5:540도)으로 운동할 때에 반회전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반회전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키는 것은, 제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걸린 바느질실 20을 북집의 검선 205a로 실 포착구 13a로부터 개방하기 위해서이고, 제1 스트로크에 있어 반회전 역전한 북집을 반회전 정전시키는 타이밍을 취함이기 때문이다.
또한,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하사점(상축5:540도)에 도달하면 반회전 정전을 시작한다(도 18P, 도 52A).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기 직전에 정지한다(도 18N,도 52A). 그 후,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통과하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한다(도 18O, 도 52A). 이송 톱니 6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기 전에 1 바늘땀 피치 이송을 정지한다(도 18N,도 52A).
또, 실 시프터 801은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선단부 801a를 도 29에 나타낸 것과 같은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을 수평 방향으로 1 회전만 하게 한다(도 18M ~ 도 18W, 도 52B). 이때, 구침 13이 하강해 가면, 구침 13의 바늘끝과 재봉대상 21과의 사이에서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포착된 바느질실 20이 긴장된 상태에서 느슨해진 상태가 되어 실처짐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실처짐 상태에 있는 바느질실을 구침 13의 바늘끝과 재봉대상 21의 사이에서 실 포착구 13a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실 시프터 801의 선단부 801a로 옮기게 된다(도 18M, N, 도 52B). 구체적으로는 도 29에 나타낸 것처럼, 실 시프터 801의 선단부 801a의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은, 노루발 501을 위에서 보면 시계 방향이 되어, 이 운동 궤적 830의 실 옮긴점으로 되는 위치 830a의 부근에서 바느질실 20의 고리를, 실 포착구 13a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실 시프터 801의 선단부 801a로 옮기는 것에 의해, 해당 선단부 801a로 걸칠 수 있다. 또한, 도 52B에 나타나는 운동 궤적 830의 위치 830b는 도 29에 나타나는 위치이다.
또,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하여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재봉대상 21을 바늘판 12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한다(도 18P ~ 도 18T, 도 52B). 이것에 의하여,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의 이송 방향을 구침 13을 회동축으로서 수동 회동 조작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또, 반회전 북집 200에 있어 내북집 205에, 예를 들어 양각 모양의 실 체류부 205g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8U에 나타낸 것과 같은 내북집 205의 반회전 정전하는 위치가 되어도 도 47에 나타낸 것처럼, 양각 모양의 실 체류부 205g가 바느질실 20을 걸었던 채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회전 북집 200에 안내되어 들어가 있는 바느질실을 일시 체류시킬 수 있고, 그 후, 실 인출 작동자 401로 반회전 북집 200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바느질실을 조이는 것으로 바느질실의 일시 체류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의 다른 끝과 내북집 205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 O2에 안내되어 넣어진 바느질실 20은, 내북집 205가 반회 전 정전해도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서도 실 삽입자 451은 요동하지만(도 18O ~ 도 18S, 도 52B), 이때는 바느질실 20은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로 위치 결정되어 있지 않다.
(d)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205a로 떠내어져 해방된 바느질실 20을 반회전 북집 200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의 다른 끝과 내북집 205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 O2에 안내하여 넣고 반회전 북집 200에 권장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에 교착시켜,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의 한 끝과 내북집 205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 O1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바느질실 20을 실 인출 작동자 401로 조인다(도 18Q ~ 도 18W, 도 52A).
또한,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와 상사점(상축5:720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반회전 정전을 정지한다(도 18V, 도 52A).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으로부터 빠지면 바느질실 20을 바짝 죄어질 수 있도록 전진하게끔 요동을 시작한다((도 18T,도 52A).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재봉대상 21을 통과하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를 닫힘상태로 만든다(도 18T,도 52A). 이송 톱니 601은 구침 13이 상사점(상축5:720도)를 통과하기 직전에 1 바늘땀간 피치 이송을 시작한다(도 18W, 도 52A).
(e) 구침 13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와 상승하여 상사점(상축5:720도)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한다(도 18W, 도 52A).
(f) (a)내지 (e)의 공정을 반복하고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바느질실 20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한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1개 실 정봉화 바늘땀 형성을 하고 핀 포인트/새들 스티치라고 불리는 의사 핸드 스티치에 적합한 봉제를 할 수 있고, 또, 재봉대상 21의 봉 방향을 1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가변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퀼팅, 퀼트 또는 패치워크를 만드는 데 있어 적합한 봉제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표면에서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볼 수 있는 상태에서 봉제 작업이 행해지고, 핸드 스티치봉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봉제를 할 수 있다. 또,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을 형성하고 있는 바느질실 20을 인장함으로써 용이하게 풀리는 일은 없으므로, 강고한 봉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은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의 조정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가능한 프리 모션 봉제용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관하여, 주로 도 53, 도 54, 도 18A ~ W, 도 52A, C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53은 프리 모션 봉제용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49는 프리 모션 봉제용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구동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2C는 구침 13, 반회전 북집 200, 실 시프터 811 및 노루발 501의 모션 다이어그램이다. 도 18A ~ W, 도 52A는 프리 커브 봉제용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과 동일한 내용이다. 또한, 도 53에 나타낸 전체 사시도는 상술한 도 1에 나타낸 전체 사시도와,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에 사용하는 부품의 형상 등이 다르지만, 제품화에 있어 형상을 개량한 것뿐이고, 구성 및 동작은 동일하고, 또, 내북집 205를 제외한 반회전 북집 200, 누름 기구 500, 옷감 이송 기구 600, 실 인출 구동 기구 400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 프리 모션 봉제용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실 시프팅 기구 800B와, 압박 해제 기구 720A, 이송 톱니 퇴피 기구 720B를 구비한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 740A를 사용한다.
또, 북집 구동 기구 220은 프리 커브 봉제용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과 마찬가지로, 도 50, 도 51에 나타나는 북집 구동 부채형 톱니바퀴 233이 북집축 톱니바퀴 224의 아래쪽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북집 구동 부채형 톱니바퀴 233이 부채형 톱니바퀴축 23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50, 도 51에 나타난 북집 구동 세로 로드 228은 도 14, 도 15에 나타나는 북집 구동 세로 로드 228보다 짧아지고 있다.
또한, 프리 커브 봉제용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과 마찬가지로,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역점으로 되는 부위에는, 이송 조절 레버 손잡이 323이 장착되어 있다.
도 53, 도 54에 있어, 모터M에 의하여 구동 벨트 MB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종동 풀리 4가, 구침 13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30,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 북집 구동 기구 220, 실 인출 구동 기구 400, 수동 이송/직선 이송 전환 기구 740, 실 시프팅 기구 800B 및 실 삽입자 구동 기구 450이 구동한다. 구침·바늪덮개 구동 기구 130이 구동하면 구침 13을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키고, 북집 구동 기구 220이 구동하면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206을 반회전 정전, 반회전 역전시키고, 실 인출 구동 기구 400이 구동하면 실 인출 작동자 401을 요동시키고,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 740이 구동하면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 및 제2 스트로크마다 노루발 501의 압력을 소정 시간만 해제시킴과 동시에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이송 톱니 601을 평상시 퇴피시키고, 실 시프팅 기구 800B가 구동하면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 및 제2 스트로크마다 실 시프터 811을 구침 13의 부근에서 타원 운동시키고, 실 삽입자 구동 기구 450이 구동하면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 및 제2 스트로크마다 실 삽입자 451을 왕복 운동시킨다. 또한, 각 기구의 동작 설명은 상술한 구성 설명으로 상세히 설명했으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구침 13, 반회전 북집 200, 실 인출 작동자 401, 이송 톱니 601, 노루발 501, 실 인출 작동자 401 및 실 삽입자 451은 아래와 같이 협동하고, 1개의 바느질실 20으로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각각 형성시킨다. 또한, 직선 이송의 경우에는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도 1, 도 2)과 동일한 봉제 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전환 레버 542를 회동 조작 이송(프리 모션 봉제)으로 바꾸고 재봉틀을 구동시키면,
(a)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구침 13이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상축 5:0도)으로부터 하강하여 바늘판 12에 놓인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도 18A ~ 도 18F, 도 52A), 하사점(상축 5:180도)으로부터 상승할 때에, 바늘판 12의 아래쪽에 있고 반회전 역전하는 반회전 북집 200의 사출구 212a로부터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하여 인출되어 구침 13에 주접하여 긴장되고 있는 바느질실 20을 실 포착구 13a로 포착한다(도 18G, 도 18H, 도 52A). 이때, 도 20에 나타나듯이, 구침 13이 바늘판 12로부터 상승할 때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205가 역전하게 되어, 반회전 북집 200이 가지는 보빈 케이스 212의 사출구 212a는 바늘판 12로부터 벗어나는 방향 및 위치에 놓여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하여 인출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을 구침 13에 주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하여 보빈 케이스 212의 사출구 212a로부터 인출함과 동시에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위치 결정하는 것으로 구침 13에 주접하여 긴장되고 있는 바느질실 20을, 실 삽입자 451을 요동시켜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강제 삽입한다(도 18F ~ 도 18K, 도 44, 도 52C). 또, 구침 13이 실질적으로 상사점(상축 5:0도)으로부터 하사점(상축 5:180도)으로 운동할 때에 반회전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반회전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키는 것은, 제1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바느질실 20을 실걸이 하기 위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반회전 정전하는 북집을 반회전 역전시키는 타이밍을 취하기 때문이다. 또한,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가고 있을 때,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재봉대상 21을 이송하는 이송 톱니 601을 퇴피한다(도 18J ~ 도 18N, 도 52C). 이것에 의하여,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에 있어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 21을 수동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이송 톱니 601은, 수동 이송하는 동안, 이송 톱니 퇴피 기구 720B가 평상시 퇴피시키고 있다.
또,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고 나서 반회전 역전을 시작한다(상축 5:130도)(도 18E, 도 52A).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기 전에 맨 앞으로 나아가 정지한다(상축 5:80도)(도 18D, 도 52A).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면 열린 상태가 된다(도 18E, 도 52A).
(b) 구침 13이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가 상승하여 상사점(상축 5:360도)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이송 톱니 601로 1 바늘땀 피치 이송함과 동시에 바느질실 20을 포착한 구침 13이 상승하는 것 및 반회전 북집 200이 또한 역전하는 것에 의하여 실 조임이 이루어진다(도 18I ~ 도 18M, 도 52A).
또한,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상사점(상축 5:360도)을 통과하고 나서 반회전 역전을 정지한다(상축 5:367도)(도 18M, 도 52A).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하사점(상축 5:180도)에 도달하면 바느질실 20을 계속 풀어낼 수 있도록 후퇴하는 요동을 시작하고(도 18F, 도 52A), 구침 13이 상사점(상축 5:360도)을 통과하기 전에 후퇴를 정지한다(도 18L, 도 52A).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하사점(상축 5:180도)으로부터 상사점(상축 5:360도)으로 이동할 때, 해당 구침 13이 바늘판 12를 통과한 후에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를 닫힘상태로 하여 재봉대상 21을 구침 13과 함께 통과한다(도 18J, 도 18K, 도 52A). 또, 실 시프터 811은 구침 13의 제1 스트로크에 있어서도 선단부 811a를 도 29에 나타낸 것 같은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을 수평 방향으로 1 회전만 하게 하지만(도 18A ~ 도 18M, 도 52C), 이때는 구침 13이 하강해도 실 포착구 13a에는 바느질실 20은 포착되어 있지 않다.
(c) 구침 13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상축 5:360도)으로부터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도 18N, 도 18O, 도 52A), 하사점(상축 5:540도)로부터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을 반회전 정전하는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205a로 떠냄과 동시에, 포착되어 있던 바느질실 20을 반회전 북집 200의 회전에 의하여 실 포착구 13a로부터 해방한다(도 18P, 도 52A). 또한, 구침 13이 실질적으로 상사점(상축 5:360도)으로부터 하사점(상축 5:540도)으로 운동할 때에 반회전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반회전 북집 200을 회전 정지시키는 것은, 제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걸린 바느질실 20을 북집의 검선 205a로 실 포착구 13a로부터 개방하기 위해서이고, 제1 스트로크에 있어 반회전 역전한 북집을 반회전 정전시키는 타이밍을 취하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또한,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하사점(상축 5:540도)에 도달하면 반회전 정전을 시작한다(도 18P, 도 52A).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고 나서, 후퇴하여 바느질실 20을 계속 풀어내도록 요동을 시작한다(도 18(N), 도 52A).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재봉대상 21을 통과하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를 열린 상태로 만든다(도 18O, 도 52A).
또, 실 시프터 811은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선단부 811a를 도 29에 나타낸 것과 같은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을 수평 방향으로 1 회전만 하게 한다(도 18M∼도 18W, 도 52C). 이때, 구침 13이 하강해 가면, 구침 13의 바늘끝과 재봉대상 21과의 사이에서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포착된 바느질실 20이 긴장된 상태에서 느슨해진 상태가 되어 실처짐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실처짐 상태에 있는 바느질실을 구침 13의 바늘끝과 재봉대상 21의 사이에서 실 포착구 13a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로 옮기게 된다(도 18M, N, 도 52C). 구체적으로는 도 29에 나타낸 것처럼,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의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은, 노루발 501을 위에서 보면 시계 방향이 되고, 이 운동 궤적 830의 실 옮긴점으로 되는 위치 830a의 부근에서 바느질실 20의 고리를, 실 포착구 13a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로 옮기는 것에 의해, 해당 선단부 811a로 걸칠 수 있다. 또한, 도 52C에 나타나는 운동 궤적 830의 위치 830b는 도 29에 나타나는 위치이다.
또,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가고 있을 때, 노루발 501의 압력을 해제하면, 재봉대상 21을 이송하는 이송 톱니 601은 퇴피하고 있기 때문에(도 18T ~ 도 18E, 도 52C),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재봉대상 21을 수동 이송할 수 있다.
또, 반회전 북집 200에 있어 내북집 205에, 예를 들어 양각 모양의 실 체류부 205g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8U에 나타낸 것과 같은 내북집 205의 반회전 정전하는 위치가 되어도 도 47에 나타낸 것처럼, 양각 모양의 실 체류부 205g가 바느질실 20을 걸었던 채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회전 북집 200에 안내되어 들어가 있는 바느질실을 일시 체류시킬 수 있고, 그 후, 실 인출 작동자 401로 반회전 북집 200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바느질실을 조이는 것으로 바느질실의 일시 체류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의 다른 끝과 내북집 205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 O2에 안내되어 넣은 바느질실 20은, 내북집 205가 반회전 정전해도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반회전 북집 200에 안내되어 들어가 있는 바느질실 20과 사출구 212a로부터 인출된 바느질실 20을 이완시키는 일 없이,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선단 실걸이부 401a로 포착할 수 있다.
또한, 구침 13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도 실 삽입자 451은 요동하지만(도 18O ~ 도 18S, 도 52C), 이때는 바느질실 20은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로 위치 결정되어 있지 않다.
(d) 반회전 북집 200의 검선 205a로 떠내어져 해방된 바느질실 20을 반회전 북집 200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반회전 북집 200의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의 다른 끝과 내북집 205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 극 O2에 안내되어 넣고 반회전 북집 200에 권장되어 있는 바느질실 20에 교착시켜, 내북집 드라이버 스프링 204가 고정된 내북집 드라이버 203의 한 끝과 내북집 205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 O1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바느질실 20을 실 인출 작동자 401로 조인다(도 18Q ~ 도 18W, 도 52A).
또한, 반회전 북집 200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와 상사점(상축5:720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반회전 정전을 정지한다(도 18V, 도 52A).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으로부터 빠지면 바느질실 20을 바짝 죄어질 수 있도록 전진하게끔 요동을 시작한다(도 18T, 도 52A).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재봉대상 21을 통과하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를 닫힘상태로 만든다(도 18T, 도 52A).
(e) 구침 13이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와 상승하여 상사점(상축5:720도)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한다(도 18W, 도 52A).
(f) (a)내지 (e)의 공정을 반복하고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바느질실 20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한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1개 실 정봉화 바늘땀 형성을 하고 핀 포인트/새들 스티치라고 불리는 의사 핸드 스티치에 적합한 봉제를 할 수 있고, 또, 재봉대상 21의 봉 방향을 1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가변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퀼팅, 퀼트 또는 패치 워크를 만드는 데 있어 적합한 봉제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표면에서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볼 수 있는 상태에서 봉제 작업이 행해지고, 핸드 스티치봉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봉제를 할 수 있다. 또,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을 형성하고 있는 바느질실 20을 인장함으로써 용이하게 풀리는 일은 없으므로, 강고한 봉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은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의 조정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관하여 도면에 나타낸 특정한 실시의 형태로써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이루는 한, 지금까지 알려진 어떠한 구성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28)

  1. (a) 실 포착구가 측면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구침이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上死点)에서 하강하여 바늘판에 놓인 재봉대상으로 관통하고, 하사점(下死点)에서 상승할 때, 상기 바늘판의 아래쪽에 있는 실이 권장된 반회전 역전하는 북집(釜, 가마)의 사출구(絲出口)에서 인출되어 상기 구침을 주접하고 긴장되어 있는 실을 상기 실포착구에 포착하는 것,
    (b) 상기 구침이 상기 제 1 스트로크에 있어서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되어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상기 재봉대상을 1 바늘땀 피치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실을 포착한 상기 구침이 상승하는 것 및 상기 북집(釜, 가마)이 또한 역전하는 것에 의해 실을 죄는 것,
    (c) 상기 구침이 제 2 스트로크에 있어서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으로부터 상승할 때에, 상기 실포착구에 포착되어 있던 실을 정방향으로 반회전하는 상기 북집의 검선으로 떠냄과 동시에, 포착되어 있던 실을 상기 북집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실 포착구로부터 해방하는 것,
    (d) 상기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어져 해방된 실을 상기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북집으로 안내하여 넣고 상기 북집에 권장된 실에 교착시키고,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죄는 것,
    (e) 상기 구침을 상기 제 2 스트로크에 있어서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빼내어 상승시켜 상사점을 통과시키는 사이에, 상기 재봉대상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 하는 것,
    (f) 상기 (a) 내지 (e)의 공정을 반복하여 상기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북집은 실이 권장된 보빈을 수납한 보빈 케이스를 내북집(內釜)에 내장하고, 상기 보빈 케이스는 상기 내북집과 일체로 회전이 자유롭게 외북집에 로드(load)되고,
    상기 구침이 상기 바늘판으로부터 상승할 때 상기 북집이 역회전하게 되어, 상기 사출구는 상기 바늘판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 및 위치로 상기 보빈 케이스 속에 놓여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침이 상기 상사점으로부터 상기 하사점으로 운동하는 때에 상기 북집을 회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포착구에 포착되어 있던 실이 상기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어진 후, 상기 북집의 사출구에서 인출되어 있는 실을 걸어, 상기 북집으로부터 인출하여 실을 조이고, 상기 실포착구에서 상기 인출되어 있는 실을 포착한 후, 걸려 있는 실을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로크에 있어서 상기 구침이 상기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할 때에 상기 실포착구로 포착된 실을 상기 구침의 바늘끝과 상기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상기 실포착구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옮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북집으로부터 빠져 나온 실을 죔에 있어서, 상기 바늘땀 피치에 따라 실 조임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침이 상기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재봉대상으로 관통하고, 하사점으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재봉대상을 바늘판 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압력을 해제하고 상기 재봉대상의 이송 방향을 상기 구침을 회동축으로서 하여 수동 회동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어져 해방된 실을 상기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북집으로 안내하여 넣고 상기 북집에 권장된 실에 교착시킨 후에,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죄기 전에, 상기 북집으로 안내하여 넣은 실을 상기 북집의 주위로 일시 체류시키어,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오는 실을 죄는 것에 의해 상기 일시 체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9. 구침, 반회전 북집, 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a skip sewing stitch)로서 형성하고, 상기 구침의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에 의해 상기 재봉대상을 상기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하고, 상기 구침의 제 2 스 트로크에 있어 상기 이송 톱니에 의해 상기 재봉대상을 상기 핸드 스티치 바늘땀 사이를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함에 있어,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이송량을 각각 설정하고,
    1개의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하는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로 순차적으로 바꾸고,
    설정된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량,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 이송 구동 기구에 전달하여 상기 이송 톱니에 의해 상기 재봉대상을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침이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갈 때, 상기 재봉대상을 바늘판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상기 재봉대상을 수동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침이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갈 때, 상기 재봉대상을 이송하는 상기 이송 톱니를 퇴피하여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상기 재봉대상을 수동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12.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바늘판에 놓인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 상승하여,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을 포착하고,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포착되어 있던 실을 해방하는 실 포착구를 측면에 설치한 구침과,
    상기 바늘판의 아래쪽에 있어 실이 권장되어 상기 실이 사출구에서 인출되는 북집이고, 상기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상기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반회전 역전하고, 상기 실 포착구로 실을 포착한 상기 구침의 상승에 수반하여 역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실을 죔과 동시에, 상기 구침이 상기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고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상기 실 포착구에 포착되어 있던 실을 상기 북집이 반회전 정전하여 떠내는 검선을 가지고, 포착되어 있던 실을 상기 북집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어 상기 실 포착구로부터 해방하고, 해방된 실을 상기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북집으로 안내하여 넣고 상기 북집에 권장된 실에 교착시키는 반회전 북집과,
    상기 실 포착구가 상기 실을 포착할 때에 상기 북집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사출구에서 인출되고 있는 실을 상기 구침을 주접하고 긴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죄는 실 인출 작동자와,
    상기 구침이 상기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되어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상기 재봉대상을 1 바늘땀 피치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구침이 상기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되어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상기 재봉대상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하는 이송 톱니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북집은 실이 권장된 보빈을 수납하는 보빈 케이스를 내북집에 내장하고, 상기 보빈 케이스는 상기 내북집과 함께 회전이 자유롭게 외북집에 로드(load)되고,
    상기 구침이 상기 바늘판으로부터 상승할 때 상기 북집이 역전하게 되어, 상기 사출구는 상기 바늘판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 및 위치로 상기 보빈 케이스 속에 놓여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침이 상기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 운동할 때에 상기 북집은 회전 정지하는 기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인출 작동자는, 상기 실 포착구에 포착된 실이 상기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어진 후, 상기 북집의 사출구에서 인출된 실을 걸어, 상기 북집으로부터 인출하여 조이고, 상기 실 포착구로 상기 실을 포착한 후, 걸려 있는 실을 푸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구침이 상기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할 때에 상기 실 포착구에 포착된 실을 상기 구침의 바늘끝과 상기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실 포착구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옮기는 실 시프팅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7. 제 12 항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바늘땀 피치에 따라 상기 실 인출 작동자의 실 조임도(thread tightness)를 조절하는 실 조임 조절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대상을 바늘판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노루발을 구비하고, 상기 구침이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갈 때, 상기 노루발의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임의로 주면서 상기 재봉대상을 수동으로 이송하는 압박 해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침이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갈 때, 상기 재봉대상을 이송하는 상기 이송 톱니를 퇴피하고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 량을 임의로 주면서 상기 재봉대상을 수동으로 이송하는 이송 톱니 퇴피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침이 상기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고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여,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재봉대상을 바늘판상에 눌러 유지시키는 압력을 해제하고 상기 재봉대상의 이송 방향을 상기 구침을 회동축으로서 수동 회동 조작하기 위한 회동 조작/직선 이송 전환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북집을 반회전으로 정전, 역전하도록 구동하는 드라이버에, 상기 구침이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한 후, 상기 구침이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여 생기는 불규칙한 동작을 봉침 위치로 교정하는 바늘 보호구(침수, 針受)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구에서 인출되고 상기 실 인출 작동자에 의하여 상기 실 포착구에 위치가 결정되어 상기 구침을 주접하고 긴장되어 있는 실을 상기 실 포착구에 강제 삽입하는 실 삽입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침의 상기 실 포착구가 상기 구침의 상기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고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여, 상기 바늘판을 넘기까지의 기간 및 상기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상기 실 포착구가 상기 실을 포착한 후, 상기 바늘판을 넘어, 상기 재봉대상을 빠져나가 상기 상사점에 이를 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실 포착구를 막는 덮개침을 구동하는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2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북집의 주위의 일부에는, 상기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어져 해방된 실을 상기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북집으로부터 빠져 나와 상기 북집에 권장된 실에 교착된 후에, 상기 북집으로부터 빠져 나온 실을 조이기 전에, 상기 북집에서 빠져 나와 있는 실을 일시적으로 체류시키고, 상기 북집으로부터 빠져 나온 실을 조이는 것에 의해 상기 일시 체류를 해방하는 실 체류부(滯留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25. 구침,반회전 북집,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a skip sewing stitch)로 서 형성하고, 상기 구침의 제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에 의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상기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하고, 상기 구침의 제2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이송 톱니에 의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상기 핸드 스티치 바늘땀 사이를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이고,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설정하는 이송량 설정 기구와,
    1개의 스킵 스티치 세트(a skip sewing stitch)마다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하는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로 순차적으로 바꾸는 이송 모드 전환 기구와,
    설정된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량, 상기 바늘땀간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 전달하고 상기 이송 톱니에 의해 상기 재봉대상을 이송하는 이송 구동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26. 제 25 항에 있어,
    상기 이송량 설정 기구는, 상기 구침을 구동하는 상축(上軸)으로부터 2분의 1 감속된 중간축에 축지된 지지팔(a supporting arm)에 축지된 역T자형의 이송 조절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T자형 이송 조절체의 양팔에는 바늘땀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가 각각 같은 축을 중심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드 전환 기구는, 상기 구침을 구동하는 상축(上軸)으로부터 2분의 1 감속된 중간축에 고정되고 적어도 2개의 짝수개의 편위점을 갖는 이송 전환 캠 및 상기 이송 전환 캠에 외접하는 이송 전환 로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 전환 로드의 연결단은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의 한 끝에 축지되고, 다른 끝은 역T자형의 이송 조절체의 세로 팔 끝(縱腕端)에 축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구동 기구는 한 끝이 상기 이송 전환 로드의 연결단에 축지된 수평 이송 연결 링크와, 제1의 팔이 상기 수평 이송 연결 링크의 다른 끝에 축지된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와, 한 끝이 상기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의 제2의 팔에 축지되고 다른 끝이 수평 이송 세로 로드에 축지된 수평 이송 로드 링크와, 상기 상축에 고정되는 수평 이송 편심캠 및 상기 수평 이송 로드 링크의 다른 끝에 축지되고 상기 수평 이송 편심캠에 외접한 수평 이송 구동 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KR1020087019083A 2006-02-03 2007-01-31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KR100918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6678 2006-02-03
JPJP-P-2006-00026678 2006-02-03
JP2006356152A JP3963939B1 (ja) 2006-02-03 2006-12-28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形成方法及びミシン
JPJP-P-2006-00356152 2006-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497A KR20080090497A (ko) 2008-10-08
KR100918006B1 true KR100918006B1 (ko) 2009-09-18

Family

ID=3832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083A KR100918006B1 (ko) 2006-02-03 2007-01-31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91307B2 (ko)
EP (1) EP1990454B1 (ko)
JP (1) JP3963939B1 (ko)
KR (1) KR100918006B1 (ko)
CN (1) CN101395317B (ko)
WO (1) WO2007088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7595B2 (ja) 2007-08-08 2013-07-17 株式会社鈴木製作所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2010000233A (ja) * 2008-06-20 2010-01-07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釜駆動装置及び多頭ミシン
JP5408645B2 (ja) * 2008-10-17 2014-02-05 株式会社鈴木製作所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5481624B2 (ja) * 2009-03-11 2014-04-23 株式会社鈴木製作所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5353338B2 (ja) * 2009-03-16 2013-11-27 株式会社鈴木製作所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US20100282149A1 (en) * 2009-04-08 2010-11-11 Anthony Luberto Sewing Machine
US8646397B2 (en) * 2010-12-17 2014-02-11 Midcon Cables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achine stitched flat wiring harness
JP2014058398A (ja) * 2012-09-19 2014-04-03 Yokohama Rubber Co Ltd:The コンベヤベルト搬送用保持具
CN102926137B (zh) * 2012-11-13 2014-01-08 天津工业大学 一种三维复合材料预制件单边缝合线迹的形成方法
WO2015032741A1 (en) * 2013-09-05 2015-03-1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Needle insertion and retraction arrangement with manually triggered, spring-loaded drive mechanism
JP6187410B2 (ja) * 2014-08-04 2017-08-30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ッチラインの形成方法
JP5945050B1 (ja) * 2015-03-24 2016-07-05 株式会社アックスヤマザキ 複数枚の布の縫合及びその縫合用ミシン
JP6606929B2 (ja) * 2015-09-04 2019-1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CN205605050U (zh) 2016-01-22 2016-09-28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的阻尼装置
CN106048918B (zh) * 2016-07-28 2019-11-26 佛山市南海烨欣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活结式缝纫机
US11504945B2 (en) * 2018-05-09 2022-11-22 Apple Inc. Items formed using stitching equipment with adjustable-shape fixtures
JP2024004098A (ja) * 2022-06-28 2024-0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CN115287826B (zh) * 2022-07-28 2023-08-08 佛山市科华智缝设备有限公司 一种有梭机头剪线装置及有梭缝制机头
JP2024078286A (ja) * 2022-11-29 2024-06-10 Juki株式会社 ミシ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983C (de) * 1932-10-23 1934-10-12 Emil Hoffmann Einfaden-Naehmaschine mit von unten den Stoff durchdringender OEhrnadel
JPS5159556A (en) * 1974-11-19 1976-05-24 Toray Industries Wafukuniokeru zobenuihoho
US4590878A (en) 1983-07-29 1986-05-27 Complett S.P.A. Decorative stitch type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9689A (en) 1959-09-23 1964-06-03 Jose Castany Ferr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wing
US3224399A (en) * 1963-12-05 1965-12-21 Singer Co Single thread locking seam
SE323864B (ko) * 1966-06-09 1970-05-11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US3513796A (en) * 1967-12-30 1970-05-26 Sugawara Sewing Machine Co Ltd Method of mechanically forming stitches resembling manually formed stitches in appearance
IT1042317B (it) * 1975-09-05 1980-01-30 Conti R Metodo per la formazione meccanica del punto a filza e macchina da cucire con ago speciale per la ese cuzione di detto metodo
JPS5535481A (en) 1978-09-05 1980-03-12 Shiyuuichi Sakai Heating unit for heater
JPS5599473U (ko) * 1978-12-28 1980-07-10
JPS5599473A (en) 1979-01-18 1980-07-29 Iseki & Co Ltd Controlling apparatus of side clutch for combine etc.
US4366765A (en) * 1980-08-14 1983-01-04 The Reece Corporation Combination single thread chain and lock stitch
JPS59160488A (ja) * 1983-03-04 1984-09-11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複合縁かがり縫目及びその形成方法
IT1163874B (it) * 1983-07-29 1987-04-08 Complett Spa Procedimento di cucitura di stoffa o materiali equivalenti con punto annodato ad un filo e punto annodato
JPH043234A (ja) 1990-04-20 1992-01-08 Hitachi Eng Co Ltd 固定長型レコードのファイリング制御方法
JP2885530B2 (ja) * 1991-04-12 1999-04-26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かがり方式変換装置
JP2687950B2 (ja) 1995-12-15 1997-12-08 五郎 小澤 間歇ステッチ縫い方法及びそのミシン
JPH10328461A (ja) * 1997-06-02 1998-12-15 Brother Ind Ltd ミシンの半回転釜
JPH1147472A (ja) 1997-08-02 1999-02-23 Juki Corp ミシンの制御方法
ITMI20010336A1 (it) * 2001-02-19 2002-08-19 Conti Complett Spa Macchina per cucire per la realizzazione di cuciture con punto a filza
JP5237595B2 (ja) * 2007-08-08 2013-07-17 株式会社鈴木製作所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983C (de) * 1932-10-23 1934-10-12 Emil Hoffmann Einfaden-Naehmaschine mit von unten den Stoff durchdringender OEhrnadel
JPS5159556A (en) * 1974-11-19 1976-05-24 Toray Industries Wafukuniokeru zobenuihoho
US4590878A (en) 1983-07-29 1986-05-27 Complett S.P.A. Decorative stitch type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63939B1 (ja) 2007-08-22
EP1990454A1 (en) 2008-11-12
WO2007088708A1 (ja) 2007-08-09
JP2007229444A (ja) 2007-09-13
KR20080090497A (ko) 2008-10-08
US20090007830A1 (en) 2009-01-08
CN101395317B (zh) 2012-07-18
CN101395317A (zh) 2009-03-25
US7891307B2 (en) 2011-02-22
EP1990454B1 (en) 2016-08-24
EP1990454A4 (en)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006B1 (ko)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KR101425775B1 (ko)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RU2555807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и тип шва
CN100347371C (zh) 用于形成单线链式缝合的端部结头的方法和装置
EP1184503A3 (en)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US3844234A (en) Work clamp feed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5086730B2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2762064B2 (ja) ミシン
TWI314171B (ko)
JP5481624B2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2974557B2 (ja) 二重環縫いミシンの縫い目形成方法および装置
JP5545505B2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5408645B2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4971004B2 (ja) ミシンのフレーム構造
RU49535U1 (ru) Малогабаритная швейная машина
KR20080055693A (ko) 침송 재봉기
RU2176695C2 (ru) Приставка обметочно-стачного шва
KR200406490Y1 (ko) 직조장치
US322571A (en) Island
USRE6933E (en) Improvement in sewing-machines
JP2006181176A (ja) ミシンのオープナー機構
JP2001070683A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JPH1085472A (ja) 縫い目およびその形成装置
PL213104B1 (pl) Automatyczna maszyna haftująca
JPH0639172A (ja) 下糸用ルーパの下糸張力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