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369B1 - 라벨 및 그를 구비한 약제 백과 수용용기 - Google Patents

라벨 및 그를 구비한 약제 백과 수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369B1
KR100916369B1 KR20077025997A KR20077025997A KR100916369B1 KR 100916369 B1 KR100916369 B1 KR 100916369B1 KR 20077025997 A KR20077025997 A KR 20077025997A KR 20077025997 A KR20077025997 A KR 20077025997A KR 100916369 B1 KR100916369 B1 KR 10091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
label
base
medicin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2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407A (ko
Inventor
신야 다나카
기요코 에노사키
가쯔노리 다카수기
요시하루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18Thread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2Containers with provisions for hanging, e.g. integral adaptations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8Arrangement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container contents, e.g. steril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8Labels or ticket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part, e.g. with address of sender or other reference on separate section to main label; Multi-copy lab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30Printed lab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5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icons or symbolic figures, e.g. by a graphical representation symbolising the type of pathology or the organ by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Forms or constructions used to hang up an item, e.g. a perfusion bott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5Sheet, web, or layer weakened to permit separation through thick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약제 백의 사용시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라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적어도 약제 백(1)에 수용되는 약제의 성분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표시하는 기부(12)와, 상기 기부(12)에 대해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절단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14)는 약제 백(1)상의 영역으로, 그 표면이 피복됨으로써 약제 백(1)이 사용곤란한 영역에 점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절단부(14)에는 적어도 약제 백(1)의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특성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약제 백, 라벨,

Description

라벨 및 그를 구비한 약제 백과 수용용기{LABEL, MEDICINE BAG AND STORAGE CONTAINER WITH THE LABEL}
본 발명은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탠드 폴 등에 매달아 사용하는 약제 백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런 종류의 약제 백은 그의 일단부에 매달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에 약액 토출용 포트가 형성된 주머니형상의 약재용기이며, 상기 구멍을 이용하여 스탠드 폴 등에 매달린 상태로 상기 포트로부터 약액을 토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약제 백은, 그 내부를 개봉가능한 격벽에 의해 두 개의 수용실로 구획하여, 이들 수용실 내에 종류가 다른 약제를 개별적으로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수용실을 약제 백의 사용 전에 연통시킴으로써 약제 백의 내부에서 각 약제를 혼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약제 백에는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성분 등, 약제 백 자체의 정보(이하 기본정보라 한다)를 표시하는 라벨이 점착되어 있는 것이 많다. 상기 라벨에는 수용실의 연통 등, 약제 백의 사용방법 등에 관한 정보(이하 특성정 보라 한다)도 약제 성분 등과 함께 병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라벨에는 기본정보와 특성정보가 같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 백을 사용할 때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특히 필요한 특성정보를, 약제 백 사용시에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약제 백 사용시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라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실공평 6-39713호 공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백에 점착되는 라벨로서, 적어도 약제 백에 수용되는 약제의 성분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표시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절단부를 구비하며, 이 절단부는 약제 백 상의 영역으로, 그 표면이 피복됨으로써 약제 백이 사용곤란해지는 영역에 점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절단부에는 적어도 약제 백의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특성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라벨에 따르면, 라벨에 별도로 형성된 절단부에 특성정보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라벨 상의 레이아웃에 있어서 상기 특성정보와 기부에 표시된 기본정보의 차별화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절단부를 약제 백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영역에 점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상기 특성정보를 확실히 인식시킬 수 있다.
즉, 약제 백을 사용할 때에, 사용자는 상기 영역에 점착된 상기 절단부를 기부로부터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절단부에 특성정보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에게 상기 특성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라벨에 따르면 약제 백의 사용시에 필요한 특성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라벨과, 한쪽 단에 매달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 약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다른 쪽 단에 형성된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라벨의 절단부는 상기 매달기용 구멍이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점착되며, 상기 매달기용 구멍에 의해 용기 본체를 매단 상태에서 이 용기 본체내의 약제를 상기 포트를 통해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약제 백에 따르면, 절단부가 매달기용 구멍을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 백의 사용시에 매달기용 구멍을 개방시키기 위해 절단부를 박리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해, 해당 절단부에 표시된 특성정보를 확실히 인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의 조작 잊음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라벨과 한쪽 단에 매달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 약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다른 쪽 단에 형성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라벨의 절단부는 상기 포트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점착되어, 상기 매달기용 구멍에 의해 용기 본체를 매단 상태에서 이 용기 본체내의 약제를 상기 포트를 통해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약제 백에 따르면, 절단부가 포트를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 백의 사용시에 포트를 개방시키기 위해 절단부를 박리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해, 해당 절단부에 표시된 특성정보를 확실히 인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의 조작 잊음 등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대상물에 점착되는 라벨로서, 기부와, 절단방향이 규정된 절단선을 통해 상기 기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에는 이들 양자에 걸치는 R형상의 저부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절단선은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단에서 상기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가 자유롭게 분단되게 하는 절단 슬릿과, 상기 절단방향을 따라 이 절단 슬릿의 하류측에 배치된 절취선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라벨에 의하면,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절단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단부에 대해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측에서 부여된 힘을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절단부의 모서리부를 따라 전달함과 동시에, 이 절단부의 저부에서 상기 교차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절단 슬릿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단부에 부여된 힘을 상기 절단방향을 따른 힘으로써 효율적으로 절단 슬릿에 전달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부와 절단부를 용이하게 분단할 수 있다.
즉, 절단부에 부여된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의 측부(저부보다 앞측 부분)을 구성하는 상기 절단부의 모서리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절단 슬릿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렇게 하면 절단부에 부여된 힘은 상기 측부와 저부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절단 슬릿에 전달되지 않고 저부측에 전달돼 버려, 이 저부에서 절단돼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반대로, 상기 오목부의 측부를 구성하는 상기 기부의 모서리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절단 슬릿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절단부에 부여된 힘은 상기 측부와 저부의 경계부분까지 전달되기 전에, 해당 저부에서 라벨이 절단되는 힘으로써 작용돼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라벨에서는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도록 절단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단부에 부여된 힘을 상기 절단 방향을 따른 힘으로써 효율적으로 절단 슬릿에 전달시킬 수가 있고, 이에 따라 기부와 절단부를 용이하게 분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절단 슬릿에 대해서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가 자유롭게 분단되게 한다」라고 하는 것은, 해당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가 소정범위에서 미리 분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로부터 극소 사이즈만큼 떨어진 상기 절단 방향의 하류위치에 기부 및 절단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을 형성하는 것, 즉 상기 손잡이부에 소정의 힘이 부여됐을 때, 기부와 절단부를 상기 극소 사이즈만큼 분단시키기 위한 슬릿을 형성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이란, R형상의 저부의 접선방향을 제외한 방향을 일컫는 것으로, 해당 저부와 절단 슬릿을 따른 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를 밀봉함과 동시에 해당 용기 본체에 대해 특정의 개봉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를 개봉가능한 덮개체와, 상기 라벨을 구비한 수용용기로서, 상기 라벨의 절단선의 절단방향과 상기 덮개체의 개봉방향이 합치한 상태에서, 상기 라벨의 기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점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라벨의 절단부가 상기 덮개체에 점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체의 개봉방향과 절단선의 절단방향이 합치된 상태에서 라벨이 용기 본체 및 덮개체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덮개체를 개봉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절단부와 기부를 절단할 수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약제 백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1b는 도1a의 약제 백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제 백에 점착된 라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라벨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 일부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라벨의 절단부의 점착층이 형성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점착층의 비설치 영역을 2개소에 형성한 도면이며, 도 4b는 점착층의 비설치 영역을 1개소에 형성한 도면이다.
도 5는 절단부를 절단가능하게 구성한 라벨을 도시한 평면전개도이다.
도 6은 절단부를 둘로 분단한 라벨을 도시한 평면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 백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벨을 확대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9는 절단선을 2개 형성한 라벨을 도시한 평면전개도이다.
도 10은 절단선의 위치를 변경한 라벨을 도시한 평면전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전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라벨을 용기 본체에 점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라벨을 덮개부착 용기에 점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라벨로서, 도 14a는 전개상태, 도 14b는 바이얼용기에 점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라벨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약제 백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약제 백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약제 백(1)은 약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2)와 이 용기 본체(2)내의 약제를 토출 가능한 포트(3)와, 상기 용기 본체(2)의 표면에 점착된 라벨(4)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는 분말 약제를 수용하는 분말용기(5)와, 액체 약제를 수용하는 액체용기(6)가 약한 밀봉부(7)를 통해 직렬로 연결된 기본구성을 가지며, 상기 약한 밀봉부(7)를 개방함으로써 해당 용기 본체(2) 내에서 상기 분말 약제와 액체 약제를 혼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분말용기(5)의 배열 설치측을 임의로 상측으로하여 설명한다.
분말용기(5)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시트(8)(도면에서는 한 장만 도시한다)가 강한 밀봉부(5a)에 의해 역ㄷ자형으로 접합됨으로써 하측으로 개구하는 용기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분말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양 시트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매달기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액체용기(6)는 통형상 시트(10)의 서로 대향하는 시트가 상하로 각각 접합됨으로써 용기형상을 이룬 것이다.
상기 통형상 시트(10)의 하부 개구에는 서로 대향하는 시트간에 포트(3)가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해당 서로 대향하는 시트의 내면끼리 또는 이들 내면과 포트(3)의 외면이 강한 밀봉부(10a)에 의해 상호 접합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용기 본체(2)내에는 약제 수용실(S)이 형성되고, 이 약제 수용실(S)이 분말용기(5)와 액체용기(6) 사이에 형성된 약한 밀봉부(7)에 의해 분말 수용실(S1)과 액체 수용실(S2)로 구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한 밀봉부(7)는 상기 서로 대향하는 시트(8)끼리 또는 시트(10)끼리를 상기 강한 밀봉부(5a 또는 10a)보다도 약한 접합강도로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약제 백(1)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액체용기(6)를 외측에서 압박하여 그 내부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약한 밀봉부(7)를 박리시켜 분말 수용 실(S1)과 액체 수용실(S2)을 연통시킬 수가 있다.
상기 포트(3)는 상기 약액 수용실(S)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이 포트(3)에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하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으며, 이 탄성 부재에 바늘(미도시)을 천자(穿刺)함으로써 상기 약제 수용실(S)내의 약제를 배출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포트(3)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를 피복하고, 해당 포트(3)가 미개봉 상태임을 증명하는 템퍼시일(11,temper seal)이 점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약제 백(1)에 점착된 라벨(4)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라벨(4)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일부약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라벨(4)은 대략 직사각형의 기부(12)와, 이 기부(12)에서 좌우 견부(12a 및 12b)를 통해 상측으로 뻗어 설치된 절단부(14)를 구비하고, 이들 기부(12)와 절단부(14) 사이에는 절단 방향(Y1)(도면에서는 좌에서 우)이 규정된 절단선(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부(12)와 절단부(14) 사이에는 이들 양부(12 및 14)에 걸친 대략 반원형상(R형상)의 저부(16)를 갖고 좌측으로 열리는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오목부(17)는 절단부(14)의 좌측 모서리부로부터 절단선(15)측으로 만곡하는 만곡부(18)에서 상기 저부(16)로 이어지며, 이 저부(16)가 상기 기부(12)의 견부(12a)로 이어지는 U자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선(15)은 상기 절단방향(Y1)의 상류단에서 상기 기부(12)와 절단부(14)의 좌측 모서리부를 분단하는 절단 슬릿(19)과, 이 절단 슬릿(19)보 다도 하측(기부(12) 가까이)으로 레이아웃된 절취선(20)을 구비하고 있다.
절단 슬릿(19)은 상기 저부(16)의 정점(T1)에서 뻗는 도입부(21)와, 이 도입부(21)로부터 굴곡하는 굴곡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입부(21)는 상기 절단부(14)측으로 열리는 각도(θ1)가 둔각이 되도록 상기 저부(16)와 교차하고 있다. 상기 굴곡부(22)는 상기 절단부(14)측으로 열리는 각도(θ2)가 둔각이 되도록 상기 도입부(21)에 대해 굴곡하고, 상기 절취선(20)을 따른 절단 방향(Y2)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라벨(4)에서는 절단 개시 위치(저부(16)의 정점(T1))와 절취선(20)을 상하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한 다음, 이들 양자를 완만하게 연결하는 절단 슬릿(19)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절단부(14)에 부여된 힘은 저부(16)의 원호에서 절단 슬릿(19)까지, 및 절단 슬릿(19)에서 절취선(20)까지의 2단계에서 각각 완만하게 방향 전환하면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라벨에 따르면 기부(12)와 절단부(14)를 절단할 시에, 절단선(15) 이외의 부분이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절취선(20)은 라벨(4)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절단선(23)이 상기 절단방향(Y2)을 따라 배열 설치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각 절단선(23)은 Y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각부(23a)가 상기 절단방향(Y2)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V자부(23b)가 좌측으로 열리도록 배치되어, 이 V자부(23b)에 의해 절단선(15)을 좌측에서 절단했을 때의 파단부분이 절단방향(Y2)으로부터 탈선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상기 각부(23a)를 따라 라벨(4)을 자유롭게 절단되게 하고 있다.
상기 기부(12)는 그 이면의 대략 전역에 형성된 점착층에 의해 상기 분말 수용실(S1)의 표면 영역에 점착되어 있다. 이 기부(12)의 표면에는 절단부(14)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품명 등 표시영역(E1), 성분 등 표시영역(E2), 제조번호 등 표시영역(E3)이 설정되어 있다.
품명 등 표시영역(E1)에는 약제 백의 제품명, 제품 종별 등이 표시되어 있다.
성분 등 표시영역(E2)에는 상기 약제 수용실(S)내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성분, 내용량, 제조판매원 혹은 판매원 또는 사용상의 주의 등의 기본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제조번호 등 표시영역(E3)에는 약제 백(1)의 제조번호, 사용기한 또는 약제 백(1)이 사용되는 환자명 등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단부(14)는 상기 매달기 구멍(9)을 피복하도록 분말용기(5)의 표면에 점착되어 있다. 이 절단부(14)에는 그 이면의 대략 전역에 점착층을 형성해도 좋지만, 도 4a 및 도 4b의 해칭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층을 생략한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단부(14)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좌측 모서리부와 상기 저부(16)의 정점(T)에서 상측으로 뻗는 경계선 사이의 이면영역(해칭 영역)에 대해 점착층이 비설치로 되며, 이 영역이 손잡이부(24)가 된다. 또 절단부(14)의 이면에는, 상기 매달기 구멍(9)에 대응하는 영역(E4)도 점착층이 비설치로 되며, 이에 따라 매달기 구멍(9)을 통해 절단부(14)의 이면에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억 제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한 일례에서는 손잡이부(24)에 대응하는 영역, 및 영역(E4)의 각각에 대해 점착층을 비설치로 하고 있는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E5)에 대해 절단부(14)의 이면에 점착층을 비설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14)의 표면에는 적어도 약제 백(1)의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특성정보를 표시하는 특성정보 표시영역(E6)이 설정되어 있다.
특성정보 표시영역(E6)에는 약제 백(1)의 사용 전에 반드시 약한 밀봉부(7)를 개통하는 등, 약제 백(1)의 사용방법에 관해 사용자에게 통지해야할 정보(특성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약제 백(1)을 스탠드 폴(미도시) 등에 매달고자 할 때, 상기 절단부(14)에 의해 매달기 구멍(9)이 피복되어 있음을 알아채고, 이를 박리(절단)하려고 하는데, 이때 상기 특성정보 표시영역(E6)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약한 밀봉부(7)를 박리해야함을 인식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 백(1)에 따르면, 절단부(14)가 매달기 구멍(9)을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 백(1)의 사용시에 매달기 구멍(9)을 개방시키기 위해 절단부(14)를 박리시키려고 하는 사용자에 대해, 해당 절단부(14)에 표시된 특성정보를 확실히 인식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의 조작 잊음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라벨(4)에 따르면, 별도 형성된 절단부(14)에 특성정보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라벨(4)상의 레이아웃에서 특성정보와 기부(12)에 표시된 정보의 차별화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절단부(14)를 약제 백(1)의 매달기 구멍(9)을 피복하도록 점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해 상기 특성정보를 확실히 인식시킬 수 있다.
즉, 약제 백(1)을 사용할 시에, 사용자는 매달기 구멍(9)을 피복하도록 점착된 절단부(4)를 기부(12)로부터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절단부(14)에 특성정보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에게 상기 특성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라벨(4)에 따르면 약제 백(1)의 사용시에 필요한 특성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라벨(4)에 손잡이부(24)를 설치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손잡이부(24)를 잡고 기부(12)로부터 절단부(14)를 용이하게 잘라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절단 슬릿(19)의 절단 개시 위치와 절취선(20)을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절단 슬릿(19)을 오목부(17)의 저부(16) 및 절취선(20)을 따른 절단 방향(Y2)의 양자에 대해 각각 둔각(도3의 θ1 및 θ2 참조)으로 형성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24)에 부여된 힘을 오목부(17)를 형성하는 절단부(14)의 모서리부, 절단 슬릿(19), 절취선(20)의 순서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24)의 상승 개시 단계에서 상기 절단선(15) 이외의 부분이 파단돼 버리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즉, 기부(12)에서 절단부(14)를 깨끗하게 절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절단 부(14) 및 기부(12)의 모서리부에 저부를 뾰족하게 만든 오목부(예를 들면, V자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에지(저부)에서 절단선(15)을 배열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실제로는 라벨형성용의 칼날형으로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예각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엄밀히는 상기 오목부(17)의 저부(16)는 R형상이 된다.
그리고, 오목부(17)의 저부(16)이 R형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R형상의 정점(T1)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선을 형성해도, 상기 손잡이부(24)에 부여된 힘이 R형상의 원호의 도중부까지 전달된 후, 절단선에서 약 90° 방향 전환하게 되므로, 이 방향전환시에 절단선(15) 이외의 부분이 파단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절단 개시 위치(저부(16)의 정점(T1))와 절취선(20)을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한 다음, 이들 양자를 완만하게 연결하는 절단 슬릿(19)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부(24)에 부여된 힘은, 저부(16)의 원호에서 절단 슬릿(19)까지, 및 절단 슬릿(19)에서 절취선(20)까지의 2단계에서 각각 완만하게 방향 전환하면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의 라벨(4)에 따르면, 기부(12)와 절단부(14)를 절단할 때, 절단선(15) 이외의 부분이 파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7)의 저부(16)에 대해 둔각으로 교차하는 절단 슬릿(19)을 예시하고 있는데, 절단 슬릿(19)은 적어도 상기 저부(16)와 교차하는 방향, 즉 상기 둔각(θ1)이 180°이외의 각도(예를 들면 예각)가 되도록 저부(16)와 교차하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24)에 부여된 힘을 상기 오목 부(17)를 형성하는 절단부(14)의 모서리부를 따라 전달함과 동시에, 이 절단부(14)의 저부(16)에서 상기 교차방향으로 방향전환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부(24)에 부여된 힘을 상기 절단 방향(Y1)의 힘으로써 효율적으로 절단 슬릿(19)에 전달시킬 수 있어, 기부(12)와 절단부(14)를 용이하게 분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절단 슬릿(19)은 상기 저부(16)에 대해 둔각(각도(θ1) 참조)으로 교차하는 도입부(21)와, 이 도입부(21)에서 둔각(각도(θ2) 참조)으로 굴곡하여 상기 절취선(20)을 따른 절단방향(Y2)의 연장선상에 배치된 굴곡부(2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부(24)에 부여된 힘을 보다 확실하게 절취선(20)에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부(12)에 대해 단일의 절단부(14)를 설치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 절단부(14)를 분단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라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5에 있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라벨(40)은 상기 기부(12)와 상기 절단선(15)을 통해 절단가능하게 연결된 절단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부(41)는 상기 절단 방향(Y1)과 직교하는 절취선(제2 절단선)(42)을 통해 좌우로 절단가능하게 연결된 제1 절단편(43) 및 제2 절단편(44)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절단편(43)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매달기 구멍(9)을 막도 록 약재 백(1)에 점착가능하게 되어있다. 또 제1 절단부(43)에는 상기 특성정보 표시영역(E6)이 설정되어 있다. 이 특성정보 표시영역(E6)에는 예를 들면, 약제 백(1)내의 약제의 주사에 대한 사용을 금지한다는 취지, 또는 분말 수용실(S1)과 액체 수용실(S2)이 개통되어 있음을 확인해야 한다는 취지의 표시가 되어 있다.
제2 절단편(44)은 상기 매달기 구멍(9)의 좌측위치에서 약제 백(1)상에 점착되어 있다. 이 제2 절단편(44)에는 상기 각 표시영역(E1~E3)과 마찬가지로 기본정보를 표시하는 기본정보 표시영역(E9)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24)를 잡고 좌측에서 제1 절단편(43)을 기부(12)로부터 절단하고, 이 제1 절단편(43)을 절취선(42)을 따라 제2 절단편(44)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절단편(44)은 약제 백(1)의 사용기록, 즉 환자에의 약제투여 기록 등을 할 때, 상기 기부(12)에서 절단되어, 진료부 등에 점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처럼 제2 절단편(44)을 사용함으로써 약제 투여를 기록하는 의료종사자의 수고를 덜어줌과 동시에 투여된 약제를 잘못 기재하는 등의 불상사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절단편(43)과 제2 절단편(44)이 절취선(4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데, 이들 절단편(43, 44)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45)에 의해 미리 분단되어도 좋다.
그리고, 이처럼 각 절단편(43, 44)을 분단했을 경우에는, 또한 해당 절단편(43)의 절단방향과 절단편(44)의 절단방향을 좌우 상반된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 다.
즉, 도 6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기부(12) 및 절단부(41)의 우측 모서리부에도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6)는 상기 오목부(17)와 좌우대칭의 평면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오목부(17)에서 슬릿(45)까지의 범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절단 방향(Y1)이 규정된 절단선(15)이 설치되고, 오목부(46)에서 슬릿(45)까지의 범위에 대해서는 상기 절단 방향(Y1)과 좌우대칭의 절단 방향(Y4)이 규정된 절단선(4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절단편(44)에는 우측으로 뻗는 손잡이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48)는 제1 절단편(43)의 손잡이부(24)와 좌우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24)를 잡고 좌측에서 제1 절단편(43)을 기부(12)로부터 절단할 수 있는 한편, 손잡이부(48)를 잡고 우측에서 제2 절단편(44)을 기부(12)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성정보 표시영역(E6)에 표시된 특성정보는, 약제 백(1)에서 점착대상이 되는 개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절단부(14)를 매달기 구멍(9)을 피복하도록 점착한 실시형태를 예시했는데, 해당 절단부(14)의 점착 개소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 백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벨을 확대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약제 백(25)은 용기 본체(2)와, 포트(3)와, 라벨(2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2) 및 포트(3)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라벨(26)은 대략 직사각형의 기부(27)와, 이 기부(27)로부터 좌우 견부(27a 및 27b)를 통해 하측으로 뻗어 설치된 절단부(28)을 구비하고, 이들 기부(27)와 절단부(28) 사이에는 절단 방향(Y3)(도면에서는 우에서 좌)이 규정된 절단선(29)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라벨(26)은 용기 본체(2)에 대한 점착자세가, 상기 실시형태의 라벨(4)에 대해 상하 반전된 자세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라벨(4)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해당 라벨(4)과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기부(27)에는 그 이면의 대략 전역에 형성된 점착층에 의해 상기 액체 용기(6)의 표면에 점착되어 있다. 이 기부(27)의 표면에는 절단부(28)와 반대측의 모서리부(상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상기 품명 표시영역(E1), 상기 성분 등 표시영역(E2), 상기 제조번호 등 표시영역(E3)이 설정되어 있다. 이들 각 표시영역(E1~E3)의 표시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다.
절단부(28)는 상기 기부(27)에서 하측으로 뻗어 상기 포트(3)의 개구부를 폐 색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절단부(28)는 그 이면의 상하영역(E7)에 형성된 점착층에 의해 상기 기부(27)로부터 하측 범위에서 액체 용기(6)에 점착되어 있다. 이 절단부(28)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점착층의 비설치 영역(도 4의 해칭영역 참조)이 설정되어, 이 비설치 부분에 의해 손잡이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단부(28)의 하단부는 상기 포트(3)의 하단부를 따라 접어 젖혀진 상태로, 해당 포트(3)의 하면에 대해 접합영역(E8)에서 자유롭게 박리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 접합영역(E8)에 대응하여 절단부(28)의 이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이 점착층에 의해 포트(3)에 대해 절단부(28)를 점착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28)의 표면에는 상기 접어 젖혀진 앞측(기부(27) 측) 영역에 상기 특성정보 표시영역(E6)이 설정되어 있다. 이 특성정보 표시영역(E6)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절단부(28)를 템퍼시일로서 겸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포트(3)에 대해 바늘을 천자(穿刺)할 때, 이 절단부(28)를 포트(3)에서 박리하여 절단선(29)을 따라 절단하려 하는데, 이때 상기 특성정보 표시영역(E6)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약한 밀봉부(7)를 개통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즉, 이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 백(25)에 따르면, 절단부(28)가 포트(3)을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 백(25)의 사용시에 포트(3)를 개방시키기 위해 절단부(28)를 박리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해, 해당 절단부(28)에 표시된 특성정보를 확실히 인식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의 조작 잊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 백(25)에서는 절단부(28)를 직접 포트(3)에 점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포트(3)에 점착된 템퍼시일(11)(도 1 참조)의 위에서부터 절단부(28)를 점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포트(3) 또는 템퍼시일(11)에 절단부(28)를 점착하도록 한 라벨(26)에 있어서는 해당 절단부(28)에 하나의 절단선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라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라벨(49)은 상기 기부(27)와 이 기부(27)로부터 하측으로 뻗어 설치된 절단부(50)를 구비하고, 이들 기부(27)와 절단부(50) 사이에는 상기 절단선(29) 및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절단부(50)에는 상기 손잡이부(24)의 상하방향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로 선대칭이 되는 절단 방향(Y6)으로 규정된 절단선(51) 및 오목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절단선(51)과 상기 절단선(29)은 상기 손잡이부(24)의 시작부분의 상하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단선(51)은 절단 방향(Y6)이 절단 방향(Y3)과 상하 반전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절단선(29)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즉, 절단 슬릿(72)도 상기 절단 슬릿(19)과 상하로 반전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처럼 손잡이부(24)의 상하위치에 절단선(29) 및 절단선(51)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의 절단 방향(Y3) 및 절단 방향(Y6)이 손잡이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 선대칭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24)에 부여된 힘(우에서 좌로의 힘)은, 손잡이부(24)의 양단 방향(상하 방향)으로 동시에 전달되게 된다.
즉, 손잡이부(24)에 부여된 힘은, 오목부(17)의 원호에서 절단 슬릿(19)까지, 그리고 절단 슬릿(19)에서 절취선(20)까지의 2단계에서 완만하게 방향 전환하면서 전달되며, 이와 동시에 오목부(71)의 원호에서 절단 슬릿(72)까지, 그리고 절단 슬릿(72)에서 절취선(73)까지의 2단계에서 완만하게 방향 전환하면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절단부(50)는 기부(27)에 대해 절단선(29)을 통해 절단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연결부(52)와, 이 제1 연결부(52)에 대해 절단선(51)을 통해 절단가능하게 연결된 제2 연결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결부(52)에는 제1 특성정보 표시영역(E61)이 설정되어 있는 한편, 제2 연결부(53)에는 포트(3)측으로 접혀 젖혀지는 앞측(제2 연결부(53) 측)의 영역에 제2 특성정보 표시영역(E62)이 설정되어 있다.
제2 연결부(53)는 그 선단부의 접합영역(E8)이 포트(3)와, 또는 그 선단부 이면이 템퍼시일(11)(도1 참조)과 접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라벨(49)에 따르면, 포트(3) 또는 템퍼시일(11)에 점착된 제2 연결부(53)와 기부(27)가 제1 연결부(52)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라벨(49)이 점착된 용기 본체(2)를 사용하는 자는, 우선 제1 연결부(52)를 기부(27) 및 제2 연결부(53)에서 절단하여, 해당 기부(27)와 제2 연결부(53)를 분단한 다음, 이 제2 연결부(53)를 용기 본체에서 떼어낼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2)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절차가 늘어나는 만큼 사용자의 절단부(50)에 대한 관심을 한층 더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1 특성정보 표시영역(E61)과 제2 특성정보 표시영역(E62)으로 각각의 특성정보, 예를 들면 용기 본체(2)내의 약제의 주사에 대한 사용을 금지한다는 취지와, 분말 수용실(S1)내의 약제를 액체 수용실(S2)내의 약제로 용해시킨 다음 주입을 개시한다는 취지를 표시하도록 한다면, 이들 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실히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절단선(29)과 손잡이부(24)를 끼운 위치에 절단선(51)을 설치한 구성을 취하고 있는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3) 또는 템퍼시일(11)에 대한 접합 개소의 근방에 절취선(54)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0의 실시형태에 관한 라벨(55)은 상기 기부(27)와 이 기부(27)에서 하측으로 뻗어 설치된 절단부(56)를 구비하고, 이들 기부(27)와 절단부(56) 사이에는 상기 절단선(29) 및 오목부(17)(도 8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단부(56)는 기부(27)에서 뻗는 제1 연결부(57)와 이 제1 연결부(57)의 선단부(하단부)에 형성된 제2 연결부(58)를 구비하고, 이들 제1 연결부(57)와 제2 연결부(58)는 좌우방향으로 뻗는 절취선(54)을 따라 절단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연결부(57)에는 상기 제1 특성정보 표시영역(E61)이 설정되어 있는 한편, 제2 연결부(58)에는 상기 제2 특성정보 표시영역(E62)이 설정되어 있다. 즉 라벨(55)이 용기 본체(2)에 점착된 상태에서는 해당 용기 본체(2)의 정면측에 제1 정 보표시부(E61)가, 용기 본체(2)의 하면측에 제2 표시영역(E62)이 배치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라벨(55)이 점착된 용기 본체(2)를 사용할 경우, 우선 제1 연결부(57)를 기부(27) 및 제2 연결부(58)로부터 박리하고, 해당 기부(27)와 제2 연결부(58)를 분단한다.
이어서 포트(3) 또는 템퍼시일(11)(도 1 참조)에 점착된 채로 남겨진 제2 연결부(58)를 포트(3) 또는 템퍼시일(11)로부터 박리한다.
즉, 라벨(55)이 점착된 용기 본체(2)를 사용할 경우에는 우선 제1 연결부(57)에 관심을 집중하여, 해당 제1 연결부(57)에 설정된 제1 정보표시부(E61)에 표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고, 이어 포트(3)측에 남은 제2 연결부(58)에 관심을 집중하여, 해당 제2 연결부(58)에 설정된 제2 정보표시부(E62)에 표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기부(27)를 용기 본체(2)의 표면에 점착하고, 절단부(28, 50, 56)의 선단부(하단부)를 포트(3) 또는 템퍼시일(11)에 점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도 11에 도시한 라벨(59)을 이용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표리(表裏) 양면에 절단부를 점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라벨(59)은 상기 기부(27)와 이 기부(27)에서 하측으로 뻗어 설치된 절단부(60)를 구비하고, 이들 기부(27)와 절단부(60) 사이에는 상기 절단선(29) 및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절단부(60)는, 그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위치가 상기 포 트(3) 또는 템퍼시일(11)(도 1 참조)에 점착되게 되어 있다.
즉, 절단부(6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3)를 걸치도록 하여 용기 본체(2)의 표면에서 이면에 걸쳐 점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길이 사이즈로 설정되며, 그 도중부가 포트(3) 또는 템퍼시일(11)(도 1 참조)의 하면에 점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단부(60)에는 포트(3) 또는 템퍼시일(11)에 점착되는 부분의 양측에 상기 제1 특성정보 표시영역(E61) 및 제2 특성정보 표시영역(E62)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구성된 라벨(59)이 점착된 용기 본체(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절단부(60)의 선단부를 용기 본체(2)의 이면으로부터 떼어내고, 이어 용기 본체(2)의 표면측에서 절단부(60)와 기부(27)를 절단선(29)을 따라 절단한다.
즉, 라벨(59)이 점착된 용기 본체(2)를 사용할 경우에는, 우선 용기 본체(2)의 이면에 점착된 절단부(60)의 선단부측에 관심을 집중하여, 해당 절단부(60)의 선단부에 설정된 제2 특성정보 표시영역(E62)에 표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고, 이어서 용기 본체(2)의 표면에 점착된 기부(27)와 절단부(60)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선(29)에 관심을 집중하여, 해당 절단부의 기단부측에 설정된 제1 특성정보 표시영역(E61)에 표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60)를 포트(3) 또는 템퍼시일(11)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용기 본체(2)가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특성정보 표시영역(E61, E62) 사이에 제3 특성정보 표시영역(E6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절단부(60)를 포트(3) 또는 템퍼시일(11)로부터 박리할 때에도, 또한 제3 특성정보 표시영역(E63)에 의해 표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백에 점착하기 위한 라벨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도 13에 도시한 덮개부착용기(수용용기)(61)에 라벨을 점착해도 좋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라벨(4)을 덮개부착용기(61)에 점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덮개부착용기(61)는 용기 본체(62)와, 이 용기 본체(62)의 상부에 피복된 상태로 나사 결합하여 해당 용기 본체(62)를 밀봉하는 덮개체(6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라벨(4)은 그 절취선(20)의 절단 방향(Y2)을 덮개체(63)의 하측 모서리부를 따르도록 하여, 용기 본체(62)와 덮개체(63)에 걸친 상태로 점착되어 있다.
용기 본체(62)에서 덮개체(63)을 떼어낼 때, 즉 덮개체(63)를 용기 본체(62)에 대해 개방 방향(Y5)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라벨(4)은 절단선(15)을 따라 기부(12)와 절단부(14)로 절단된다.
따라서, 라벨(4)을 덮개부착용기(61)에 점착했을 경우, 절단부(14)가 기부(12)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덮개부착용기(61)가 개봉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4b에 도시한 바이얼 용기(64)에 적합한 라벨(65)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이얼 용기(64)는 시약병(66)과 이 시약병(66)을 밀봉하는 덮개체(67)를 구비하고, 이 덮개체(67)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측으로 개방된 고무마개를 주사바늘(미도시)로 관통함으로써, 시약병(66)내의 약제를 분리할 수 있는 한편, 주사바늘을 빼냄으로써 시약병(66)이 다시 밀봉되게 되어 있다.
라벨(65)은 대략 직사각형의 기부(68)와 이 기부(68)에서 좌우의 견부(68a) 및 견부(68b)를 통해 상측으로 뻗어 설치된 절단부(69)를 구비하고, 이들 기부(68)와 절단부(69) 사이에는 상기 절단선(15) 및 오목부(17)(도 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68)에는 상기 기본정보를 표시하는 기본정보 표시영역(E10)이 설정되어 있다.
절단부(69)에는 그 기단부 좌측에 상기 손잡이부(24)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선단부에 대략 원형의 규제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규제부(70)는 상기 바이얼 용기(64)의 덮개체(67)의 고무마개 또는 고무마개를 덮는 캡상에 점착되고, 해당 고무마개에 대해 주사바늘(미도시)이 천자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절단부(69)에는 상기 손잡이부(24)의 근방위치에 제1 특성정보 표시영역(E61)이, 상기 규제부(70)에 제2 특성정보 표시영역(E62)이 설정되어 있다.
이처럼 라벨(65)이 점착된 바이얼 용기(64)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덮개체(67)의 고무마개가 규제부(70)에 의해 숨겨져 있음을 알아챔과 동시에, 해당 규 제부(70)에 설정된 제2 특성정보 표시영역(E62)에 의해 표시된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규제부(70)를 떼어내기 위해, 손잡이부(24)를 잡고 절단부(69)와 기부(68)를 절단하려고 한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부(24)의 근방에 설정된 제1 특성정보 표시영역(E61)에 표시된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라벨(65)에 따르면, 바이얼 용기(64)의 사용 방지가 되는 위치에 규제부(70)를 점착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얼 용기(64)의 사용자에 대해, 제1 특성정보 표시영역(E61) 및 제2 특성정보 표시영역(E62)에 의해 표시된 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각 수용실(S1 및 S2)에 각각 분말 약제 및 액체 약제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약제 백(1 및 25)에 대해 예시하고 있는데, 이들 각 수용실(S1 및 S2) 쌍방에 액체 약제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의 라벨(4, 26 및 40)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병(30)에 감아 점착할 수도 있다(도 15에서는 라벨(4)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절단부(14)의 특성정보 표시영역(E6)에는 기부(12)의 각 표시영역(E1~E3)의 내용을 택일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약제 병(30)내에 수용된 약제를 환자에게 투여할 때 절단부(14)를 기부(12)에서 분리하여, 이를 해당 환자의 진료부 등에 점착시킴으로써, 환자의 치료에 대한 이력을 확실히 진료부상에 보존할 수가 있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는 라벨(4)을 약제 병(3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표시영역(E1~E3)은 종열로 레이아웃되어 있다. 또 약제병(30)에 대해 라벨(4)을 점착할 경우에는 상기 절단부(14)에 상기 특성정보를 반드시 표시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반원형상의 저부(16)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저부(16)는 적어도 R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면 4분의 1 원호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절단 슬릿(19)이 도입부(21)와 굴곡부(22)를 갖는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절단 슬릿(19)은 그 자체를 만곡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만곡형상의 열림각도(상기 각도(θ2)에 해당하는 각도)를 둔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각 표시영역(E1~E3)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들 표시영역(E1~E3)과 이에 표시하는 정보의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조합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약제 백(1)에서는, 적어도 상기 기부(12 또는 27)에 대해 상기 기본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Y자형의 절단선(23)을 갖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절단선(23)은 Y자형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직선형상(상기 실시형태의 각부(23a)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절단 슬릿(19)이 저부(16)의 정점(T1)으로부 터 뻗어있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반드시 정점으로부터 뻗을 필요는 없으며, 정점(T1)의 근방으로부터 뻗은 구성으로 했을 경우라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의 라벨(4, 26 및 40)에 따르면, 오목부(17)의 저부(16)와 교차하도록 절단 슬릿(1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단부(14, 28 및 41)에 부여된 힘을, 상기 오목부(17)를 형성하는 절단부(14, 28 및 41)의 모서리부를 따라 전달함과 동시에, 이 절단부(14, 28 및 41)의 저부(16)에서 상기 교차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절단 슬릿(19)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라벨(4, 26 및 40)에 따르면, 상기 절단부(14, 28 및 41)에 부여된 힘을 상기 절단방향(Y1)을 따른 힘으로써 효율적으로 절단 슬릿(19)에 전달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부(12 및 27)와 절단부(14, 28 및 41)를 용이하게 분단할 수 있다.
즉, 절단부(14, 28 및 41)에 부여된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17)의 만곡부(18)(저부(16)보다 앞측 부분)을 구성하는 상기 절단부(14, 28 및 41)의 모서리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절단 슬릿(19)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절단부(14, 28 및 41)에 부여된 힘은, 상기 만곡부(18)와 저부(16)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절단 슬릿(19)에 전달되지 않고, 저부(16)측으로 전달돼 버려, 이 저부(16)에서 절단돼 버리는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었다.
반대로, 상기 오목부(17)의 측부를 구성하는 상기 기부(12 및 27)의 견부(12a)의 연장선상에 절단 슬릿(19)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절단부(14, 28 및 41)에 부여된 힘은, 상기 견부(12a)와 저부(16)의 경계부분까지 전달되기 전에, 해당 저부에서 라벨(4, 26 및 40)이 절단되는 힘으로 작용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라벨(4, 26 및 40)에서는, 오목부(17)의 저부(16)와 교차하도록 절단 슬릿(1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단부(14, 28 및 41)에 부여된 힘을 상기 절단 방향(Y1)을 따른 힘으로써 효율적으로 절단 슬릿(19)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부(12 및 27)와 절단부(14, 28 및 41)를 용이하게 분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본 발명은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백에 점착된 라벨로서, 적어도 약제 백에 수용되는 약제의 성분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표시하는 기부와, 이 기부에 대해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절단부를 구비하여, 이 절단부는 약제 백 상의 영역으로, 그 표면이 피복됨으로써 약제 백이 사용곤란해지는 영역에 점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절단부에는 적어도 약제 백의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특성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라벨에 따르면, 라벨에 별도로 형성된 절단부에 특성정보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라벨상의 레이아웃에 있어 상기 특성정보와 기부에 표시된 기본정보와의 차별화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절단부를 약제 백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영역에 점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상기 특성정보를 확실히 인식시킬 수 있다.
즉, 약제 백을 사용할 때에, 사용자는 상기 영역에 점착된 상기 절단부를 기 부로부터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절단부에 특성정보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에게 상기 특성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라벨에 따르면 약제 백의 사용시에 필요한 특성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실히 인식시킬 수 있다.
상기 라벨에 있어, 상기 기부와 상기 절단부는 절단방향이 규정된 절단선을 따라 자유롭게 절단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부에는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측의 단부에 있어, 그 이면의 점착층이 비설치로 됨으로써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절단선을 따른 절단방향을 한쪽으로 한정함과 동시에, 이 절단방향의 상류측에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잡이부를 잡고 기부로부터 절단부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라벨에서는 상기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에는 이들 양자에 걸친 R형상의 저부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절단선은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단에서 상기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를 자유롭게 분단되게 하는 절단 슬릿과, 상기 절단방향을 따라 이 절단 슬릿의 하류측에 배치된 절취선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절단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부에 부여된 힘을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절단부의 모서리부를 따라 전달함과 동시에, 이 절단부의 저부에서 상기 교차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절단 슬릿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에 부여된 힘을 상기 절단방향을 따른 힘으로써 효율적으로 절단 슬릿에 전달할 수가 있기 때문에, 기부와 절단부를 용이하게 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절단 슬릿에 대해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를 자유롭게 분단되게 한다」라고 하는 것은, 해당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가 소정범위에서 미리 분단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에서 극소 사이즈만큼 떨어진 상기 절단방향의 하류 위치에 기부 및 절단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을 형성하는 것, 즉 상기 오목부에 소정의 힘이 부여되었을 때에, 기부와 절단부를 상기 극소 사이즈만큼 분단시키기 위한 슬릿을 형성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이란, R형상을 이루는 저부의 접선방향을 제외한 방향을 일컫는 것으로, 해당 저부와 절단 슬릿을 따른 방향이 소정각도로 교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상기 라벨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절단 슬릿보다도 상기 기부 쪽으로 레이아웃되며,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절단부측으로 열리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상기 저부의 정점근방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뻗음과 동시에, 상기 절취선을 따른 절단방향에 대해서도 둔각으로 연속되는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절단 슬릿의 절단 개시 위치와 절취선을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절단 슬릿을 R형상의 저부 및 절취선을 따른 절단방향의 양자에 대해 각각 둔각을 이루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부에 부여된 힘을 오목부를 형성하는 절단부의 모서리부, 절단 슬릿, 절취선의 순서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의 상승개시 단계에서 상기 절단선 이외의 부분이 파단해 버리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즉, 기부에서 절단부를 깨끗하게 절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절단부 및 기부의 모서리부에 저부를 뾰족하게 한 오목부(예를 들면, V자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에지부터 절단선을 배열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실제로는 라벨형성용의 칼날형으로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예각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엄밀히는 상기 오목부의 저부는 R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오목부의 저부가 R형상일 경우에는, R형상의 정점에서 수직으로 절단선을 형성해도, 상기 손잡이부에 부여된 힘이 R형상의 원호의 도중부까지 전달된 후, 절단선에서 대략 90°방향 전환하게 되므로, 이 방향 전환시에 절단선 이외의 부분이 파단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서는 절단 개시 위치(저부의 정점 부근)와 절취선을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한 다음, 이들 양자를 완만하게 연결하는 절단 슬릿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부에 부여된 힘은 저부의 원호에서 절단 슬릿까지, 및 절단 슬릿에서 절취선까지의 2단계에서 각각 완만하게 방향 전환하면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저부의 정점 부근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저부의 정점 부근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형성된 절단 슬릿을, 해당 저부 및 절취선을 따른 절단방향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했기 때문에, 기부와 절단부를 절단할 때, 절단선 이외의 부분이 파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라벨에 있어서,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저부에 대해 둔각으로 교차하는 도입부와, 이 도입부에서 둔각으로 굴곡되어 상기 절취선을 따른 절단방향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단 슬릿의 도입부 및 굴곡부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에 부여된 힘을 상기 절취선에 대해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기부와 절단부 사이에 설치된 절단선과 교차하는 절단방향이 규정된 제2 절단선을 통해 상호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제1 절단편 및 제2 절단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절단편이 약제 백상의 영역으로, 그 표면이 피복됨으로써 약제 백이 사용곤란해지는 영역에 점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절단부의 일부인 제1 절단편을 떼어냄으로써 약제 백을 사용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이 상태에서도 제2 절단편은 약제 백에 점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2 절단편에 상기 특성정보를 표시해 둠으로써, 제1 절단편의 박리 후에라도 계속해서 사용자에게 특성정보를 표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라벨에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단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슬릿을 통해 상호 분단된 제1 절단편 및 제2 절단편을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 절단편이 약제 백 상의 영역으로, 그 표면이 피복됨으로써 약제 백이 사용곤란해지는 영역에 점착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오목부 및 절단 슬릿은 상기 기부 및 절단부의 양 모서리부의 각각에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오목부 중 한쪽에서 상기 슬릿까지의 범위와, 다른 쪽 오목부에서 상기 슬릿까지의 범위에서, 상기 절단선의 절단방향이 상반되는 방향으로 규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제1 절단편의 박리 후에, 계속해서 제2 절단편에 표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구성에 따르면, 슬릿을 사이에 두고 절단선의 절단방향이 상반되는 방향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라벨 한쪽의 모서리부측에서 제1 절단편을 절단함과 동시에, 다른 쪽의 모서리부측에서 제2 절단편을 절단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제1 절단편을 절단한 후에 동방향으로 제2 절단편을 절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오목부가 형성된 측에서 제2 절단편을 절단하는 것이 가능한 만큼 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절단편에 상기 기본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면, 해당 약제 백에 관한 약제를 환자에게 투여한 것을 진료부 등에 기록할 때, 제2 절단편을 절단하여, 이를 진료부 등에 점착함으로써 해당 기록에 요하는 의료종사자의 수고를 경감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라벨에 있어, 상기 절단부는 상기 기부에 대해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제1 연결부와, 이 제1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이 제2 연결부가 약제 백 상의 영역으로, 그 표면이 피복됨으로써 약제 백이 사용곤란해지는 영역에 점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약제 백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영역에 점착된 제2 연결부와 기부가 제1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라벨이 점착된 약제 백을 사용하는 자는, 우선 제1 연결부를 기부 및 제2 연결부로부터 절단하여 해당 기부와 제2 연결부를 분단한 다음, 이 제2 연결부를 약제 백으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약제 백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절차가 늘어나는 만큼, 사용자의 절단부에 대한 관심을 한층 더 집중시킬 수가 있다.
특히,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상기 특성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전술의 준비작업 단계에서의 관심이 집중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이용하여, 특성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실히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성정보에는 상기 약제 백내의 약제를 주사에 대해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취지의 정보, 상기 약제 백내에 수용된 2종류의 약제를 혼합한 다음 사용해야 한다는 취지의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약제 백의 사용방법이나 금지사항을 확실히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본 발명은 상기 라벨과 한쪽 단에 매달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 약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다른 쪽 단에 형성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라벨의 절단부는 상기 매달기용 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점착되어, 상기 매달기용 구멍에 의해 용기 본체를 매단 상태로 이 용기 본체내의 약제를 상기 포트를 통해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약제 백에 따르면, 절단부가 매달기용 구멍을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 백의 사용시에 매달기용 구멍을 개방시키기 위해 절단부를 박리시키려고 하는 사용자에 대해, 해당 절단부에 표시된 특성정보를 확실히 인식시킬수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의 조작 잊음 등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본 발명은 상기 라벨과, 한쪽 단에 매달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 약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다른 쪽 단에 형성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라벨의 절단부는 상기 포트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점착되어, 상기 매달기용 구멍에 의해 용기 본체를 매단 상태에서 이 용기 본체의 약제를 상기 포트를 통해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약제 백에 따르면, 절단부가 포트를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 백의 사용시에 포트를 개방시키기 위해 절단부를 박리시키려고 하는 사용자에 대해, 해당 절단부에 표시된 특성정보를 확실히 인식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의 조작 잊음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약제 백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기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에 점착되며, 상기 라벨의 절단부는 그 도중부가 상기 포트에 점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선단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이면에 점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절단부를 약제 백의 표리에 걸치도록 점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약제 백의 표리양면에서 특성정보를 표시할 수가 있어, 해당 특성정보 를 보다 확실하게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본 발명은 특정 대상물에 점착되는 라벨로서, 기부와 절단방향이 규정된 절단선을 통해 상기 기부에 대해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에는 이들 양자에 걸친 R형상의 저부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절단선은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단에서 상기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를 자유롭게 절단되게 하는 절단 슬릿과, 상기 절단방향을 따라 이 절단 슬릿의 하류측에 배치된 절취선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라벨에 따르면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절단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단부에 대해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측에서 부여된 힘을,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절단부의 모서리부를 따라 전달함과 동시에, 이 절단부의 저부에서 상기 교차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절단 슬릿으로 전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단부에 부여된 힘을 상기 절단방향을 따른 힘으로써 효율적으로 절단 슬릿에 전달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기부와 절단부를 용이하게 분단할 수 있다.
즉, 절단부에 부여된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의 측부(저부보다 앞측 부분)을 구성하는 상기 절단부의 모서리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절단 슬릿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절단부에 부여된 힘은 상기 측부와 저부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절단 슬릿에 전달되지 않고 저부측으로 전달돼 버려, 이 저부에서 절단돼 버리는 문제가 생겨버리는 일이 있었다.
반대로, 상기 오목부의 측부를 구성하는 상기 기부의 모서리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절단 슬릿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절단부에 부여된 힘은 상기 측부와 저부의 경계부분까지 전달하기 전에, 해당 저부에서 라벨이 절단되는 힘으로 작용해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라벨에서는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도록 절단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단부에 부여된 힘을 상기 절단방향을 따른 힘으로써 효율적으로 절단 슬릿에 전달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기부와 절단부를 용이하게 분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절단 슬릿에 대해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를 자유롭게 분단되게 한다」라고 하는 것은, 해당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가 소정범위에서 미리 분단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에서 극소 사이즈만큼 떨어진 상기 절단방향의 하류위치에 기부 및 절단부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을 형성하는 것, 즉 상기 손잡이부에 소정의 힘이 부여됐을 때, 기부와 절단부를 상기 극소 사이즈만큼 분단시키기 위한 슬릿을 형성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이란, R형상을 이루는 저부의 접선방향을 제외한 방향을 일컫는 것으로, 해당 저부와 절단 슬릿을 따른 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라벨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절단 슬릿보다도 상기 기부 쪽으로 레이아웃되고,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절단부측으로 열리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상기 저부의 정점 근방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뻗음과 동시에, 상기 절취선을 따른 절단방향에 대해서도 둔각으로 연속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절단 슬릿의 절단 개시 위치와 절취선을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절단 슬릿을 R형상의 저부 및 절취선을 따른 절단방향의 양자에 대해 각각 둔각을 이루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절단부에 대해 절단방향을 따라 부여된 힘을, 오목부를 형성하는 절단부의 모서리부, 절단 슬릿, 절취선의 순서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단부의 상승 개시 단계에서 상기 절단선 이외의 부분이 파단되어 버리는 문제를 억제할 수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 절단부의 모서리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를 따라 절단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오목부의 저부를 뾰족하게 만들어 이 에지상에 절단선을 배열 설치하는 것이 상기 기부에서 절단부를 깨끗하게 절단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라벨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칼날형을 이용하여 시트를 관통하여 라벨의 윤곽형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 틀형에서는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둔각의 선단부로 하는 것이 곤란하며, 비용 대비 효과면을 가미하면, 상기 오목부형상의 저부에 약간의 R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
그 때문에, 상기 원칙에 의거하면, 오목부에는 R형상의 정점에서 뻗는 절단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절단부에 부여된 힘은 상기 정점에서 대략 90° 방향 전환하게 되므로, 단순히 R형상의 정점에서 뻗는 절단선을 형 성하는 것만으로는, 기부와 절단부의 절단시에 절단선 이외의 부분이 파단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절단 개시 위치를 상기 R형상의 정점 근방에 배열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절취선을 상기 R형상보다도 약간 기부 쪽으로 치우치게 하는 레이아웃에 생각이 미쳤다. 이에 따라 상기 절단부에 부여된 힘은 저부의 원호에서 절단 슬릿까지, 및 절단 슬릿에서 절취선까지의 2단계로 각각 완만하게 방향 전환하면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라벨에 따르면 상기 저부의 정점 근방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저부의 정점 근방에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형성된 절단 슬릿을, 해당 저부 및 절취선을 따른 절단방향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했기 때문에 절단선 이외의 부분에서 파단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기부로부터 절단부를 깨끗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상기 라벨에서 상기 절단부에는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측의 단부에서 그 이면의 점착층이 비설치로 됨에 따라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절단방향의 상류측에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잡이부를 잡고 기부로부터 절단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
상기 라벨에 있어서,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저부에 대해 둔각으로 교차하는 도입부와, 이 도입부에서 둔각으로 굴곡하여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단방향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단 슬릿의 도입부 및 굴곡부에 의해, 상기 손잡이 부에 부여된 힘을 상기 절취선에 대해 확실히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를 밀봉함과 동시에, 해당 용기 본체에 대해 특정 개봉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를 개봉가능한 덮개체와, 상기 라벨을 구비한 수용용기로서, 상기 라벨의 절단선의 절단방향과 상기 덮개체의 개봉방향이 합치된 상태로, 상기 라벨의 기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점착됨과 동시에, 상기 라벨의 절단부가 상기 덮개체에 점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체의 개봉방향과 절단선의 절단방향이 합치된 상태로 라벨이 용기 본체 및 덮개체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덮개체를 개봉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절단부와 기부를 절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백의 사용시에 필요한 특성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실히 인식시킬 수가 있다.

Claims (19)

  1.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백에 점착되는 라벨에 있어서,
    적어도 약제 백에 수용되는 약제의 성분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표시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대해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약제 백 상의 영역으로, 그 표면이 피복됨으로써 약제 백이 사용곤란해지는 영역에 점착할 수 있는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절단부에는 적어도 약제 백의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특성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기부를 약제 백의 소정 위치에 점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액제 백이 사용 곤란해지는 영역에 상기 절단부가 점착되게 하고, 상기 절단부를 기부로부터 절단하는 일에 따라서, 상기 절단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영역이 노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와 상기 절단부는 절단방향이 규정된 절단선을 따라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부에는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측의 단부에서, 그의 이면의 점착층이 비설치로 됨에 따라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및 절단부에는 이들 양자에 걸친 R형상의 저부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절단선은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단에서 상기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가 자유롭게 분단되게 하는 절단 슬릿과, 상기 절단방향을 따라 이 절단 슬릿의 하류측에 배치된 절취선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 슬 릿은 상기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절단 슬릿보다도 상기 기부 쪽으로 레이아웃되며,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절단부측으로 열리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상기 저부의 정점 근방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뻗음과 동시에, 상기 절취선을 따른 절단방향에 대해서도 둔각으로 연속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저부에 대해 둔각으로 교차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에서 둔각으로 굴곡하여 상기 절취선을 따른 절단방향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굴곡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기부와 절단부 사이에 설치된 절단선과 교차하는 절단방향이 규정된 제2 절단선을 통해 상호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제1 절단편 및 제2 절단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절단편이 약제 백상의 영역으로, 그 표면이 피복됨으로써 약제 백이 사용곤란해지는 영역에 점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7.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단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슬릿을 통해 상호 분단된 제1 절단편 및 제2 절단편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절단편이 약재 백 상의 영역으로, 그 표면이 피복됨으로써 약제 백이 사용곤란해지는 영역에 점착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 및 절단 슬릿은 상기 기부 및 절단부의 양 모서리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오목부 중 한쪽에서 상기 슬릿까지의 범위와, 다른 쪽 오목부에서 상기 슬릿까지의 범위에서, 상기 절단선의 절단방향이 상반되는 방향으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단편에는 상기 기본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기부에 대해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가 약제 백 상의 영역으로, 그 표면이 피복됨으로써 약제 백이 사용곤란해지는 영역에 점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는 각각 상기 특성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정보에는 상기 약제 백 내의 약제를 주사에 대하여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취지의 정보, 상기 약제 백 내에 수용된 2종류의 약제를 혼합한 다음 사용해야 한다는 취지의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12. 제1항에 기재된 라벨과, 일단부에 매달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 약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라벨의 절단부는 상기 매달기용 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점착되고, 상기 매달기용 구멍에 의해 용기 본체를 매단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약제를 상기 포트를 통해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백.
  13. 제1항에 기재된 라벨과, 일단부에 매달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 약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라벨의 절단부는 상기 포트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점착되어, 상기 매달기용 구멍에 의해 용기 본체를 매단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내의 약제를 상기 포트를 통해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백.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기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에 점착되며, 상기 라벨의 절단부는 그의 도중부가 상기 포트에 점착됨과 동시에 그의 선단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이면에 점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백.
  15. 특정 대상물에 점착되는 라벨에 있어서,
    기부와,
    절단방향이 규정된 절단선을 통해 상기 기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절단되도록 연결된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에는 이들 양자에 걸쳐지게 하고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오목한 R형상의 저부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절단선은,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단에서 상기 기부 및 절단부의 모서리부가 자유롭게 분단되게 하는 절단 슬릿과, 상기 절단방향을 따라 상기 절단 슬릿의 하류측에 배치된 절취선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오목부의 저부와 교차하고, 상기 절취선을 따른 절단방향과의 사이로 되는 상기 절단부 측으로 열리는 각도가 둔각이 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절단 슬릿보다도 상기 기부 쪽으로 레이아웃되며,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절단부측으로 열리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상기 저부의 정점 근방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슬릿은 상기 저부에 대해서 둔각으로 교차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에서 둔각으로 굴곡하여 상기 절취선을 따른 절단방향의 연장선상에 배치된 굴곡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는 상기 절단방향의 상류측의 단부에 있어서, 그 이면의 점착층이 비설치로 됨에 따라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19.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를 밀봉함과 동시에 해당 용기 본체에 대해 특정 개봉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를 개봉가능한 덮개체와, 제15항에 기재된 라벨을 구비한 수용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절단선의 절단방향과, 상기 덮개체의 개봉방향이 합치된 상태에서, 상기 라벨의 기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점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라벨의 절단부가 상기 덮개체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용기.
KR20077025997A 2005-04-28 2006-04-28 라벨 및 그를 구비한 약제 백과 수용용기 KR100916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2915 2005-04-28
JP2005132915 2005-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407A KR20080003407A (ko) 2008-01-07
KR100916369B1 true KR100916369B1 (ko) 2009-09-07

Family

ID=3730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25997A KR100916369B1 (ko) 2005-04-28 2006-04-28 라벨 및 그를 구비한 약제 백과 수용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33750B2 (ko)
EP (1) EP1880704B1 (ko)
KR (1) KR100916369B1 (ko)
CN (1) CN101166505B (ko)
DE (1) DE602006020854D1 (ko)
WO (1) WO2006118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9254B2 (ja) * 2007-01-25 2012-09-05 東洋製罐株式会社 分岐型パウチ
ES2322741B1 (es) * 2007-06-08 2010-04-19 Girnet International, S.L. "etiqueta laminar colgante y rollo de etiquetas".
JP2009240592A (ja) * 2008-03-31 2009-10-22 Ajinomoto Co Inc 医療用複室容器
US9308151B2 (en) 2011-10-06 2016-04-12 Nantworks, LLC Sensor equipped medicinal container
DE102014113959A1 (de) * 2014-09-26 2016-03-31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individuellen Kennzeichnen eines unter Folie oder in einem Beutel vorliegenden medizinischen Produkts und gekennzeichnetes Produkt
DE102015203073B4 (de) 2015-02-20 2017-06-29 Trumpf Laser- Und Systemtechnik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über die Kettenglieder überstehendem Abdeckband für eine Bearbeitungsmaschine zur Werkstückbearbeitung
ITUA20163642A1 (it) * 2016-05-20 2017-11-20 Pilot Italia Etichetta e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EP3476766B1 (en) 2016-06-28 2023-06-21 Kyoto University Frozen storage container and frozen storage container system
US10588601B2 (en) 2016-11-09 2020-03-17 Dale Sell Ultrasound probe sanitization indicator and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use
CA3198615A1 (en) * 2020-10-15 2022-04-21 Gourgen AMBARTSOUMIAN Label for matrix tub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885U (ja) * 2000-07-17 2001-01-26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開封確認用シールを備えた医療用複室容器
JP3105885U (ja) * 2004-06-11 2004-12-02 塩野義製薬株式会社 貼着ラベ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30358Y1 (ko) * 1967-07-17 1970-11-20
US4526404A (en) 1983-04-29 1985-07-02 Vazquez Richard M Container for clinical product
JPH0639713Y2 (ja) 1989-12-19 1994-10-19 石塚硝子株式会社 輸液バッグ
US5217307A (en) 1990-12-07 1993-06-08 Morgan Adhesives Company Container with an easy opening indicator or security break indicator
ES2070005T3 (es) 1991-05-08 1995-05-16 Baxter Int Recipiente para la irradiacion de productos de la sangre.
JPH0633172U (ja) * 1991-06-28 1994-04-28 有限会社シンクドリーム ラベル
US5782495A (en) * 1996-01-11 1998-07-21 Westlake Ventures, L.L.C. Hanger label
JP2002132161A (ja) 2000-10-25 2002-05-09 Dainippon Printing Co Ltd 筒状ラベル
JP2004173810A (ja) * 2002-11-26 2004-06-24 Central Uni Co Ltd 医薬施用管理方法
US7243787B2 (en) 2003-03-26 2007-07-17 Nipro Corporation Medicine bag
JP2004305722A (ja) * 2003-03-26 2004-11-04 Nipro Corp 薬剤バッグ
JP4711613B2 (ja) * 2003-09-30 2011-06-29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タックラベル付き容器
JP4501478B2 (ja) 2004-02-06 2010-07-14 味の素株式会社 医療用複室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885U (ja) * 2000-07-17 2001-01-26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開封確認用シールを備えた医療用複室容器
JP3105885U (ja) * 2004-06-11 2004-12-02 塩野義製薬株式会社 貼着ラ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20854D1 (de) 2011-05-05
EP1880704B1 (en) 2011-03-23
WO2006118252A1 (ja) 2006-11-09
CN101166505A (zh) 2008-04-23
US8333750B2 (en) 2012-12-18
KR20080003407A (ko) 2008-01-07
CN101166505B (zh) 2011-12-28
EP1880704A4 (en) 2009-09-02
US20080275421A1 (en) 2008-11-06
EP1880704A1 (en)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369B1 (ko) 라벨 및 그를 구비한 약제 백과 수용용기
KR101963098B1 (ko) 의료용 연질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
JP2006521124A (ja) 医療用液体を収容するパック用のコネクタおよび医療用液体のパック
JP4819565B2 (ja) 薬剤バッグ
JPH09502906A (ja) 両用アクセスポートを備えた液剤容器
EP2568948B1 (en) Port device
EP3006367B1 (en) Sealing label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and container wrapped with said sealing label
AU2011252213A1 (en) Port device
JP4706276B2 (ja) 流体容器用注出装置
JP2016078941A (ja) 識別表示を有する点眼容器
US20220081176A1 (en) Labelling arrangement for a multi-par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labelling arrangement to a multi-part container
JP5920339B2 (ja) 医療用ポ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JP4501478B2 (ja) 医療用複室容器
WO2000002618A1 (en) A system for administration of infusion and irrigation liquids and a device incorporated in the system
WO2000044422A1 (fr) Boite d'emballage d'article du type comprime a injection et comprime a injection range dans ladite boite d'emballage
JP4336971B2 (ja) 薬剤容器
US20030083640A1 (en) IV Safety assembly
JP3151078U (ja) 包装容器用表示ラベルおよびそれを貼付した円筒状包装容器
JP2008033115A (ja) ラベル
EP1967457B1 (en) Adhesive label and hanging handle construction, in particular for medical vessels
JP2019201808A (ja) 医療用バッグ
JP2007175442A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5218661A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18153369A (ja) 医療用容器
JP4930138B2 (ja) 医療用複室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