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411B1 - 인쇄회로기판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분리판 복합소자 및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분리판 복합소자 및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411B1
KR100912411B1 KR1020047007263A KR20047007263A KR100912411B1 KR 100912411 B1 KR100912411 B1 KR 100912411B1 KR 1020047007263 A KR1020047007263 A KR 1020047007263A KR 20047007263 A KR20047007263 A KR 20047007263A KR 100912411 B1 KR100912411 B1 KR 100912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plate
composite device
adhesive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182A (ko
Inventor
토마쉬츠클라우스
바크하우스에른스트-디터
Original Assignee
씨2씨 테크놀로지 퍼 라이터플라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889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124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씨2씨 테크놀로지 퍼 라이터플라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씨2씨 테크놀로지 퍼 라이터플라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3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12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30Iron, e.g.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08PCBs, i.e.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17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metal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04Next to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복합소자(1)로 적층된 콤팩팅 다층(2)을 압착하면서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는 분리판-복합소자(1)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복합소자(1)는 구리 호일(5)사이에 위치된 분리판(3)을 가지며, 이에 의해, 접착방지층(6)들이 상기 분리판과 상기 구리 호일(5)사이의 상기 분리판(3)위에 놓여진다.
분리판, 구리 호일, 인쇄회로기판, 접착방지층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분리판 복합소자 및 그 제조방법{Separating plate-composite component for producing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component of this typ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복합소자를 포함하여 적층된 개별층들을 압착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분리판을 포함하는 복합소자에 관한 것이며, 상기 복합소자는 구리호일 사이에 분리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인쇄회로기판 소자, 특히 소위 다층회로기판 (multilayer circuit boards) 또는 간단하게 다층(multilayers)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대략 180℃의 온도에서 적절한 다층으로 또는 진공으로 각각의 층 프레스 파일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알려져왔다. 상기 개개의 배열은 각각 합성수지층(프리플랙(prepreg)층, 통상적으로 에폭시 수지층), 또는 얇은 판층(laminate layers) 뿐만 아니라 전도체 트랙을 생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구리호일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다수의 상기 프레스 파일은 하나의 프레스 파일이 다른 프레스 파일위에 배열되며, 이러한 파일들은 분리함에 의하여 서로 또는 플레스 판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판들은 고품질의 인쇄회로기판 제품을 얻기 위하여, 주로 상 기 다층을 압착하는 동안 균일한 압력 및 온도분포를 달성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대부분의 예에서, 상기 분리판은 스틸 시트 또는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되며, 따라서 종종 분리시트라고 불린다. 상술한 기능때문에 그들은 상기 구리호일보다 단단할 것이다. 다층회로기판에 비교될 만한 생산은, 전도층(특히, 구리호일)에 의하여 하나 또는 양 측면의 위에 덮여진 주로 합성수지층(프리플랙층)인 인쇄회로기판용 소위 베이스 재료로부터 상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베이스 재료는 소위 "내부층"으로 불리는 다층회로기판의 제조에 이용되며, 또한 그들 스스로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 소자를 형성한다.
상기 분리판 또는 분리시트는 그 제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조공정에서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비싼 공정이기 때문에, 그것을 반복해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은 종종 상기 각각의 층들이 압착될때, 상기 프리플랙층내의 상기 합성수지재료의 가열동안에 상기 합성수지재료가 상기 분리판의 가장자리로 흘러나오고, 또한 부분적으로 상기 분리판의 보다 큰 영역으로 흘러나오며, 냉각되고 고화된 후의 상기 합성수지재료는 상기 분리판으로부터 제거되기 어렵다는 사실때문에 불가능하다. 이러한 사실은 예를들면 US 5 153 050 A의 복합소자에 적용되며,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알루미늄판이 분리판으로 이용되고, 구리 호일이 모서리측 접착 스트립을 경유하여 상기 알루미늄판에 직접 접착된다. 비록 상기 접착 스트립이 먼지의 상기 합성수지로의 침입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상기 액체 합성수지에 의한 상기 가장자리에서의 분리판의 오염은 피할 수가 없다. 또한, 여기에서 또 다른 문제는 알루미늄과 구리의 열팽창계수가 다르고, 이로 인하여 압착공정동안 Cu-Al-Cu 층에서 열응력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DE 198 31 461 C,에서, 알루미늄 분리시트가 2개의 상대적으로 더 큰 구리호일 사이에 넣어지고, 상기 구리호일은 접착에 의하여 상기 알루미늄 분리판이 외부적으로 상호연결된 백형태인 복합소자가 제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체 합성수지는 상기 알루미늄 분리시트로부터 분리되며, 또한 상기 구리호일 및 상기 알루미늄 분리판은 상기 압착공정동안 예를들면 대략 180℃로 온도가 올라가면 그들의 다른 열팽창계수에 따라 다르게 팽창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리호일 백(copper foil bag)의 구리호일은 상기 수지가 가압공정동안 액체이며 그 모서리 밖으로 흐르기 때문에 수지코팅될 수가 없고, 그러므로 상기 압착시 바람직하지 못한 부착을 초래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구리호일의 돌출된 모서리 영역은 상기 압착공정 이후에 잘려서 제거되어야만 하고, 이러한 구리호일의 재활용은 상기 합성수지재료가 압착공정동안 그 위에 놓여지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별층들에 대한 압착동안 액체수지에 의해 초래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접착을 간단한 방법으로 피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복합소자를 위하여 -인접하는 개별층들과의 연결을 위하여- 수지코팅된 구리 호일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분리판 복합소자, 및 이러한 분리판 복합소자를 제조하는 유익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복합소자는 단순하고 값싸게 생산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정의된 바와 같은 분리 판 복합소자를 제공한다.
이러한 복합소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 및 추가적인 개량은 청구항 1에 종속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방법에 관한 독립청구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유익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 있어서, 상기 개별층들에 의해 형성된 파일로부터 흘러나온 수지가 상기 분리판상의 접착방지층에 의해 받아지며, 상기 분리판 자체의 접착 또는 오염이 확실하게 예방된다. 이는 바람직한 바와 같이, 구리 호일이 상기 접착방지층으로 부터 떨어진 그 측면(반대측면)에 코팅된 경우에도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구리호일은 예컨데 압력-감지성(pressure-sensitive) 접착제 또는 열가소성 접착제, 특히, 고온 용융(hot-melt) 타입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접착방지층에 간단히 접착될 수 있으며, 이는 압착공정동안 상기 접착방지층상에서 충분한 접착을 보증하며, 또한 이후 상기 구리호일로 부터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한 변형으로 채용된 온도에서 압착동안 분해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접착방지층은 분리층(separator layers) 또는 분리 파일(separator piles)로도 불리우며, 그들은 상기 액체 수지를 받는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분리판상에 상기 액체 수지의 접착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접착방지층상의 상기 구리 호일의 상술한 접착이 아주 가능한 정도로, 적합한 접착제가 종래기술에서 충분히 잘 알려져 있다. 실제적으로 대부분의 잘 알려진 압력-감지성 접착제 또는 열가소성 접착제 각각을 여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연결 가능성은 상기 구리호일이 예컨데 레이저빔에 의한 점용접(spot welding)으로 관통되는 상기 접착방지층을 가지면서 상기 금속 분리판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판은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강 시트 또는 알루미늄 시트, 강 시트 또는 고급 강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적어도 400MPa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분리판은 다른 적합한 경한 재료(금속 이외의)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압착공정중, 즉, 내층의 전도트렉을 그 외부 구리 호일을 통하여 압착하는, 소위 상전사(image transfer)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위에 적층되는 상기 구리 호일보다 경하여야 함이 단지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접착방지층들은, 그 모서리영역에 의해 상기 분리판 밖으로 돌출하는 별개의 분리 호일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하는 모서리영역내에서 상호 연결되며, 이에 의해 상기 분리판이 분리 호일벡내에 밀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분리판은 이러한 분리 호일백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분리 호일은 예컨데 PET 또는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s)와 같은 합성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2개의 분리 호일의 재료에 따라서, 후자의 경우에는 적절한 접착제 또는 접착성 심(seam)에 의하여 상호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리 호일백의 접착성 심(seam)은 바람직하게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압력-감지성 접착제 또는 열가소성 접착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연속적인 스트립의 형태로 상기 분리 호일 의 모서리영역에 부과될 수 있다.
한편, 만일 상기 접착방지층들이 상기 분리판의 양면에 부과된 접착방지 코팅에 의해 형성되고 그 접착방지코팅을 포함하는 상기 분리판이 그 모든 방면에서 상기 구리 호일밖으로 돌출하면, 그 구조 및 낮은 비용 측면에서 특히 적합한 복합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 위에 부과된 접합방지코팅을 갖는 상기 분리판은 상기 구리 호일보다 크므로 그위에서 흘러나오는 합성수지를 받을 수 있으며, 또한 그 위에 제공된 접합방지코팅상에서 수지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분리호일백내에 제공된 분리판을 갖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과 상기 구리 호일이 같은 크기일 수 있는데, 이는 그 경우 상기 분리 호일이 상기 분리판 및 상기 분리 호일의 모서리 밖으로 돌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흘러나오는 합성수지를 받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접착방지 코팅은 테플론 또는 폴리올레핀과 같은 전혀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바니스(varnish)로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면에서 묘사된 특히 유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복수의 개별층과 분리판 복합소자를 포함하는 다층 프레스 파일(pile) 조립체의 개략도,
도 2는 분리 호일백(foil bag)을 포함하는 분리판 복합소자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것과 같은 복합소자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분리판 복합소자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로서, 접착방치층을 직접 구비한 형태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것과 같은 복합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에는, 압착될 다층 적층체가 개략적이고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그림을 보면 분리판 복합소자(1)가 다층 회로기판용으로 개별층 배열체(2)(이하, 간략히 배열체(2)라 칭함)와 교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점선 직사각형으로 도시된 분리판 복합소자(1) 각각은 분리판(3)(가압판이라고도 칭함), 분리 시트(sheet) 또는 가압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위에는 수지 코팅(4)을 구비한 구리 호일(5)이 여기서는 분리 호일 형태인 접착방치층(6)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한편으로 도 2 및 3에 의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도 4 및 5에 의하여 두 개의 실시예에서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수지 코팅된 구리 호일(5, 4), 분리 호일(6), 분리 시트(3), 다시 분리 호일(6) 및 합성 수지(4)가 코팅된 구리 호일(5)로 이루어진 전체 유니트는 미리 결합되어 복합소자(1)를 제공한다.
수지(5)로 코팅된 복합소자(1)의 구리 호일(4)은 다층 회로기판의 일부가 될 것이고, 그 회로 기판에는 배열체(2)의 에칭된 내층(7)(기재)과 합성 수지층(프리플랙 층)(8)이 포함된다.
이러한 분리판 복합소자(1)가 유니트로 제공되고 그리고 인쇄 회로기판(소자)를 제조할 때 겹쳐져서 다층의 개별층과 번갈아서 적층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5개의 소자(4/5;6;3;6,5/4)가 하나의 단일 공정에서 한번에 놓여질 수 있으므 로 프레스에서 적층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간단하게 된다. 이것은 조작시간을 대체로 줄인다. 에칭된 내층(7)은 각각 원하는 회로 또는 회로 구조를 구현하고, 그리고 이들은 프리플랙층(8)의 도움으로 서로 부착된다. 이러한 결합은 고온 및 가압하 또는 진공에서 프레스 내에서 구현된다. 도 1에서 부분적으로 개략 도시된 것처럼, 이러한 프레스 패키지(20) 배열체(2)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적층된 형태인 것이 매우 당연하다. 분리 시트 복합 소재(1)는 개별 배열체(2)들 사이에 놓여지고, 평탄하고, 청정한 다층 회로 기판 표면을 제공하는 분리 시트(3)가 제조된다.
소정의 가압 싸이클(cycle) 동안, 프리플랙층(8)의 합성 수지가 유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접착방치층 또는 분리층(6)이 제공되기 때문에, 층(8)의 수지는 분리 시트 위로 또는 일반적으로, 분리판(3) 상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수지는 또한 분리 판(3)의 모서리로 흐르지 않게 되어야 한다.
도 2 및 3에 따른 실시예에서, 개별적인 분리 호일들은 접착방치층(6)으로 제공되고, 그리고 이러한 분리 호일(6)들은 분리판(3) 보다 크고 수지층(4)를 구비한 구리 호일(5)보다도 역시 크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이 때 구리 호일(5)과 분리판(3)은 구리 호일(5)이 분리판(3)보다 약간 작을 수는 있지만,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분리 호일(6)은 모든 방면에서 분리판(3) 밖으로 돌출하여 액상 수지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수지가 또한 분리 호일(6)사이에서 분리판(3)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분리 호일들은 압력-감지성 접착제, 아크릴 수지 접착제, 또는 열가소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성 심 (9)(seam)을 따라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판(3)은 백(bag) 형태로 서로 연결된 분리 호일(6)사이에서 밀봉되며, 즉, 분리판(3)은 분리 호일 백내에 제공되며, 이러한 분리 호일 백내에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한편, 구리 호일(5)도 역시 접착제, 즉, 열가소성 접착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 용융 타입 접착제, 또는 아크릴 수지 접착제에 의해, 접착성 심(seam)(10) 방식으로 분리 호일(6)에 접착된다.
도 2 및 3에 따른 이러한 분리 판 복합 소자(1)를 제조할 때, 분리판(3)은 하부의, 보다 큰 분리 호일(6)의 상부에 놓여지고, 그리고 접착성 심(9)은 이러한 하부의 분리 호일(6)에 부과된다. 이어, 상부 분리 호일(6)이 분리판(3)과 하부 분리호일(6)에 걸쳐서 부과되며, 그리고 그 하부 분리 호일(6)위 접착성 심(9)에서 압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분리호일 백내에 있는 분리판(3)은 보호되며 그리고 더이상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후속하여, 수지(4)로 코팅된 구리 호일(5)이 소위 말하는 광택면인 그 구리면과 함께 각각의 상부 또는 하부 분리 호일(6)에 접착되며, 그 외부 모서리에서 접착성 심(10)은 계속적으로 제공된다. 수지 면, 즉 수지층(4)은 도 1의 인접하는 배열체(2)와 마주하며, 따라서 수지 코팅된 구리 호일(5)는 생산될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변형에서는, 구리 호일(5)보다 큰 분리판(3)이 사용되며, 이러한 분리판은 그 모든 방면에서 구리 호일(3)의 모서리밖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분리판(3)이 압착공정중 흘러나오는 프리플랙층(8)의 수지를 다시 받는 역할을 하는 접착방지층(16)에 의해 직접 코팅된다. 이러한 수지의 수집(collection)은 이 경우 분리판(3)이 잔류하는 적층 조립체 보다 크기 때문에 가능하다. 구리 호일(5)은 접착성 심(10)을 경유하여 접착방지코팅(16)상에서 그 모서리면에서 분리판(3)에 다시 접착된다. 접착방지코팅을 위한 재료로는, Tadco Inc., Woodinville, WA, USA로 부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폴리올레핀 에멀젼 제품, TUF-LUBE-3C와 같은 수-기초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올레핀은 실리콘을 함유치 않으며 아주 환경친화적이므로 바람직하다. 분리판(3)은 예컨데 강, 특히 ,특수강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과 같은 어떠한 적절한 재료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소위 상전사(image transfer)을 피하기 위해서는 최소강도 400mPa를 갖는 강과 같은 금속이 바람직하다.
분리 호일(6)은 예컨데 PET, 또는 플루오르폴리머와 같은 어떠한 적합한 합성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성 심(9 및 10) 각각을 위한 접착제로서는, 특히 ATO FINNERY로 부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TSP353M이라는 이름의 접착제와 같은 통상의 압력-감지성 접착제, 또는 열가소성 접착제 각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데 DELO Industrie Klebstoffe, Landsberg, Germany로 부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알콕시-알킬-기초 접착제 DELO-CA?과 같은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이며, 이는 압착공정중 분해되며, 즉, 그 접착기능을 잃는다.
상술한 분리 호일(6) 또는 분리 층 각각의 적용, 또는 압착공정중 합성수지를 붙잡는 접착방지층(6)으로 작용하는 접착방지코팅의 적용에 의해, 분리판, 또는 분리 시트(3) 각각에 대한 오염은 안전하게 피해진다. 이는 어떠한 문제없이 이러 한 분리판(3)의 다중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종래 요구되던 합성수지를 긁어 제거하는 어려운 세정공정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합성수지 코팅된 구리 호일(5)의 사용은 인쇄회로기판의 생산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에서, 또다른 변형으로서, 접착성 심에 의한 연결대신에, 접착방지코팅(16)을 관통는 레이저 용접사이트(10')에 의해, 구리 호일(5)이 또한 분리 금속판(3)에 연결될 수 있음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복합소자로 적층된 개별층(7,8)을 압착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구리 호일(5) 사이에 분리판(3)을 포함하는 분리판 복합소자에 있어서, 접착방지층(6)들이 상기 분리판과 상기 구리 호일(5)들사이의 상기 분리판(3)상에 배열되고, 상기 구리 호일(5)들은 상기 접착방치층(6)들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호일(5)들은 상기 접착방치층(6)으로 부터 떨어진 그 측면이 수지(4)로 피복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호일(5)들은 열가소성 접착제로 상기 접착방치층(6)들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호일(5)들은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상기 접착방치층(6)들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3)이 강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방치층(6)들은, 상기 분리판(3)밖의 모서리 영역으로 돌출하여 이러한 돌출하는 모서리 영역내에서 상호연결되는 별개의 분리 호일(separator foil)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분리판(3)은 분리 호일백(separator foil bag)내에서 밀봉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3)은 상기 분리 호일백내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분리 호일(6)들이 접착성 심(seam)(9)을 경유하여 상호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9.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방치층(6)들은 상기 분리판(3)의 양면위에 부과된 접착방지코팅(16)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방지코팅을 포함하는 상기 분리판(3)은 그 모든 방면에서 상기 구리 호일(5) 밖으로 돌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잡착방지코팅(16)은 테프론(Teflon)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방지코팅(16)은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방지코팅(16)은 바니스(varnish)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13. 적어도 하나의 복합소자로 적층된 개별층(7,8)을 압착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구리 호일(5) 사이에 분리판(3)을 포함하는 분리판 복합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리판(3)이 상기 분리판(3)에 비해 보다 큰 접착방지층(6)위에 놓여져 있고 접착성 심(9)이 상기 분리 호일(6) 주위에 부과되며; 그 위에 상기 분리판(3)에 비해 보다 큰 상부 접착방지 분리 호일(6)이 또한 놓여지며, 그리고 접착성 심(9)에서 분리판(3)밖으로 돌출하는 모서리영역을 가지며 압착되어; 구리 호일(5)이 상기 분리 호일(6)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심(9)은 열가소성 접착제에 의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심(9)은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의 제조방법
  1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방치층(6)들은, 상기 분리판(3)밖의 모서리 영역으로 돌출하여 이러한 돌출하는 모서리 영역내에서 상호연결되는 별개의 분리 호일(separator foil)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분리판(3)은 분리 호일백(separator foil bag)내에서 밀봉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3)은 상기 분리 호일백내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분리 호일(6)들이 접착성 심(seam)(9)을 경유하여 상호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1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방치층(6)들은 상기 분리판(3)의 양면위에 부과된 접착방지코팅(16)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방지코팅을 포함하는 상기 분리판(3)은 그 모든 방면에서 상기 구리 호일(5) 밖으로 돌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2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접착제는 고온 용융 타입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복합소자.
KR1020047007263A 2001-11-14 2002-10-10 인쇄회로기판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분리판 복합소자 및그 제조방법 KR100912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179701A AT414335B (de) 2001-11-14 2001-11-14 Trennplatten-verbundkomponente zum herstellen von leiterplat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verbundkomponente
ATATA1797/2001 2001-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182A KR20050035182A (ko) 2005-04-15
KR100912411B1 true KR100912411B1 (ko) 2009-08-14

Family

ID=368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263A KR100912411B1 (ko) 2001-11-14 2002-10-10 인쇄회로기판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분리판 복합소자 및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037182A1 (ko)
EP (1) EP1448378B1 (ko)
KR (1) KR100912411B1 (ko)
CN (1) CN1325247C (ko)
AT (2) AT414335B (ko)
DE (1) DE50206498D1 (ko)
TW (1) TW595299B (ko)
WO (1) WO2003041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2322U1 (de) * 2009-01-27 2012-03-15 Dcc Dev Circuits & Component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hrlagigen leiterplatte, haftverhinderungsmaterial sowie mehrlagige leiterplatte und verwendung eines derartigen verfahrens
CN102625586A (zh) * 2012-04-19 2012-08-01 苏州市嘉明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油压式铜箔导电压合机
CN102909912A (zh) * 2012-10-25 2013-02-06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绝缘板及其制备方法
CN103857212A (zh) * 2012-11-30 2014-06-11 深南电路有限公司 多层电路板的制造方法及电路板
CN105420660A (zh) * 2015-12-10 2016-03-23 苏州市嘉明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等离子喷涂的耐磨绝缘镜板的制造方法
CN114615829A (zh) * 2022-02-10 2022-06-10 福莱盈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叠构三层挠性印刷线路板及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3669A1 (en) * 1984-02-22 1985-08-29 Gila River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minat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US4875283A (en) 1986-11-13 1989-10-24 Johnston Jam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s
US5153050A (en) 1991-08-27 1992-10-06 Johnston James A Component of printed circuit board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2380B2 (ko) * 1973-05-30 1977-06-17
US4857400A (en) * 1984-02-22 1989-08-15 Gila River Products, Inc. Stratiform press pad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in laminat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DE3541977A1 (de) * 1985-11-28 1986-05-22 Manfred 7341 Amstetten Roth Mehrschicht-laminat zum verpressen von gedruckten schaltungsteilen untereinander oder mit folien
DE19831461C1 (de) * 1998-07-14 2000-02-24 Dieter Backhaus Verfahren zur partiellen Verbindung von Kupferfolien und Trennblechen (CuAI-Verfahr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3669A1 (en) * 1984-02-22 1985-08-29 Gila River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minat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US4875283A (en) 1986-11-13 1989-10-24 Johnston Jam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s
US5153050A (en) 1991-08-27 1992-10-06 Johnston James A Component of printed circuit bo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95299B (en) 2004-06-21
CN1325247C (zh) 2007-07-11
EP1448378B1 (de) 2006-04-19
ATE323595T1 (de) 2006-05-15
EP1448378A1 (de) 2004-08-25
US20050037182A1 (en) 2005-02-17
AT414335B (de) 2008-07-15
ATA17972001A (de) 2003-01-15
KR20050035182A (ko) 2005-04-15
DE50206498D1 (de) 2006-05-24
CN1604846A (zh) 2005-04-06
WO2003041956A1 (de)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6822A1 (en) Method Of Laminating Adherend
JP2556897B2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外層材及び製造方法
JP3885638B2 (ja) プレス工法およびプレス用部材の作製方法
KR100912411B1 (ko) 인쇄회로기판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분리판 복합소자 및그 제조방법
JP2010098075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
CN100380653C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JP2004311628A (ja) 多層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18696B1 (ko) 회로 기판 제조용 분리판
JP4548210B2 (ja) 多層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5191549A (ja) 部品内蔵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部品内蔵モジュール
JP2004063701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6516065B2 (ja) 樹脂多層基板の製造方法
US20050064222A1 (en)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s
JP3387016B2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接着シート片付補強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83981A (ja)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3838108B2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11031506A (ja) 印刷用版
CN117082764A (zh) 阶梯电路板的制备方法及阶梯电路板
JPH07115282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多層化接着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治具
KR200168281Y1 (ko) 다층회로기판제조용커버판
JP2003249753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18085429A (ja) 支持板付き配線基板、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H01235633A (ja) セラミックス多層基板の製造方法
JP2004064009A (ja) 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JP2005101189A (ja) プリント回路基板製造用離型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