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193B1 - 기능성 혼합곡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혼합곡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193B1
KR100904193B1 KR1020080003704A KR20080003704A KR100904193B1 KR 100904193 B1 KR100904193 B1 KR 100904193B1 KR 1020080003704 A KR1020080003704 A KR 1020080003704A KR 20080003704 A KR20080003704 A KR 20080003704A KR 100904193 B1 KR100904193 B1 KR 10090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rice
mixture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경
Original Assignee
한농마을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농마을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한농마을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08000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혼합곡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리새싹분말, 야콘분말, 케일분말, 모로헤이야분말, 브로콜리분말, 솔잎분말, 함초분말, 뽕잎분말, 다시마분말의 생식혼합물을 섭취가능한 쌀알모양으로 과립화하여 곡물에 혼합하여 제조됨으로서 영양적 효능이 우수한 건강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있어 분말도가 각각 150∼200메쉬로 이루어진 보리새싹분말 5∼15중량%, 야콘분말 5∼15중량%, 케일분말 5∼15중량%, 모로헤이야분말 5∼15중량%, 브로콜리분말 5∼15중량%, 솔잎분말 5∼15중량%, 함초분말 5∼15중량%, 뽕잎분말 5∼15중량%, 다시마분말 5∼15중량%를 혼합하여 생식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생식혼합물과 상지차(桑枝茶)를 10:7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하여 쌀알형태로 제조하여 상기 쌀알형태를 45∼55℃에서 수분 8%로 건조하여 생식혼합곡물을 완성하고, 상기 생식혼합곡물 5∼15중량%, 현미찹쌀 5∼15중량%, 현미맵쌀 5∼15중량%, 흑찰미 5∼15중량%, 발아현미 5∼15중량%, 보리 5∼15중량%, 수수 5∼15중량%, 율무 5∼15중량%, 백태 5∼15중량%, 서리태 5∼15중량%, 홍미 5∼15중량%를 혼합하여 기능성 혼합곡물을 제조하게 된다.
곡물, 생식, 보리새싹분말, 야콘분말, 케일분말, 모로헤이야분말, 브로콜리분말, 솔잎분말, 함초분말, 뽕잎분말, 다시마분말

Description

기능성 혼합곡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mixing cereal composition and the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혼합곡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리새싹분말, 야콘분말, 케일분말, 모로헤이야분말, 브로콜리분말, 솔잎분말, 함초분말, 뽕잎분말, 다시마분말의 생식혼합물을 섭취가능한 쌀알모양으로 과립화하여 곡물에 혼합하여 제조됨으로서 영양적 효능이 우수한 건강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평균 신장이 신장하고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암, 당뇨병, 비만, 고혈압성 질환 등의 성인병이 함께 늘어나고 있다. 특히 통계청의 2005년 사망원인 통계결과에 따르면,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암)이 전체의 27%로 가장 많았고, 뇌혈관질환 12.3%, 심장질환 3.2% 순이다. 그 중 50대와 60대가 암 사망자중 전체의 67.4%를 차지하며 사인별로는 암질환이 제1위의 사망원인 이었으며,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은 10년 전에 비해 204.7%나 증가하였고, 당뇨병은 126.3% 증가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영양섭취 수준의 향상에 따른 지방질 섭취의 증가가 큰 원인중의 하 나이며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도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추세 속에서 생활의 여유와 함께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욕구와 관심의 고조가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으로 발전하여 사회적인 물의를 동반하기는 하지만 건강식품산업이 번창일로에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사회현상 속에서 기능성 쌀 또는 혼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부터 쌀에 곡류 및 두류를 혼합하여 취반한 혼식이 쌀밥에 부족한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및 식이섬유 등의 영양성분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쌀밥만을 섭취할 때 발생되는 영양결핍 또는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곡류와 두류는 취반속도가 다르고 조리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요즈음 두류의 이질감으로 인해 혼식을 기피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아울러, 국내의 식생활에 있어서 현미와 같이 정제되지 않은 곡류의 섭취가 요구되고 있으나 현대의 식생활에서는 식미상정백도가 높은 백미나 고도로 정제된 밀가루를 선호하게 되어 최근에는 식이섬유를 인위적으로 식품에 첨가할 필요성까지 대두되고 있다. 현재 곡물의 수요형태는 백미, 보리쌀 그리고 소포장하여 판매되고 있는 잡곡류 등 각각의 곡류를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최근에 곡물의 균형적인 혼합섭취를 위해 각종 곡물을 반죽으로 혼합한 후 압착식 성형방식으로 제조한 인조미가 제품으로 생산되고 있고 압출/성형하여 쌀알형태로 성형하여 제조한 혼합곡 제품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268570호에서는 식용 쑥의 변질이나 변색 또는 탈취방지를 위하여 이온교환수지로 통과시켜 정제한 순수 이온수를 산도(pH)를 중성으로 엄격히 조정한 다음, 천연정유(아니스유, 세트로넬라유, 텔레반유 등)와 글리신을 적량씩 첨가하여 혼련 교반한 혼합물에 정련 세척된 식용 쑥을 세정액 조에 일정시간 침지하고 이를 즙액 추출하여 중탄산나트륨과 소금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자연 쑥의 천연엽록소 및 성분을 그대로 추출한 쑥즙액 추출공정과, 농산물로 그 배합을 중량비로 일정상태로 으깨어진 생쑥 약 25%, 현미분말 약 10%, 밤분말 약 5%, 콩분말 약 5%, 소맥 약 9.5%, 쌀분말 약 25.5%, 보리분말 약 10%, 수수분말 약 5%, 글루텐 약 5%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쑥즙액 추출공정에서 얻어진 쑥즙액으로 반죽시킨 혼합 반죽 물을 공지의 제조장치에서 국수발로 압착 성형하여 현미크기로 절단하고 열풍 건조하는 쑥인조미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나, 종래에 기능성 쌀의 재료로 사용된 바 없는 보리새싹분말, 야콘분말, 케일분말, 모로헤이야분말, 브로콜리분말, 솔잎분말, 함초분말, 뽕잎분말, 다시마분말의 생식혼합물을 섭취가능한 쌀알모양으로 과립화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여 활용하고, 그 자체가 영양성분이면서 상기 혼합물의 영양성분을 인체에 섭취가 용이하도록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성분과 다양한 유효 영양성분을 충분히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인 불균형을 조절하고, 이에 상기 생식혼합곡물을 곡물과 혼합하여 기능성 쌀의 고른 영양성분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용도가 없는 상기 혼합물을 최대한 활용하여 체중감소, 변비개선, 콜레스테롤 감소 및 혈당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성인병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여 취반후 퍼짐 현상 등이 없는 기능성 혼합곡물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쌀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분말도가 각각 150∼200메쉬로 이루어진 보리새싹분말 5∼15중량%, 야콘분말 5∼15중량%, 케일분말 5∼15중량%, 모로헤이야분말 5∼15중량%, 브로콜리분말 5∼15중량%, 솔잎분말 5∼15중량%, 함초분말 5∼15중량%, 뽕잎분말 5∼15중량%, 다시마분말 5∼15중량%를 혼합하여 생식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생식혼합물과 상지 차(桑枝茶)를 10:7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하여 쌀알형태로 제조하여 상기 쌀알형태를 45∼55℃에서 수분 8%로 건조하여 생식혼합곡물을 완성하고, 상기 생식혼합곡물 5∼15중량%, 현미찹쌀 5∼15중량%, 현미맵쌀 5∼15중량%, 흑찰미 5∼15중량%, 발아현미 5∼15중량%, 보리 5∼15중량%, 수수 5∼15중량%, 율무 5∼15중량%, 백태 5∼15중량%, 서리태 5∼15중량%, 홍미 5∼15중량%를 혼합하여 기능성 혼합곡물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혼합곡물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1) 건조된 보리새싹분, 야콘, 케일, 모로헤이야, 브로콜리분말, 솔잎분말, 함초, 뽕잎, 다시마를 각각 150∼200메쉬로 분말화하는 단계,
2) 각각 분말화된 보리새싹분말 5∼15중량%, 야콘분말 5∼15중량%, 케일분말 5∼15중량%, 모로헤이야분말 5∼15중량%, 브로콜리분말 5∼15중량%, 솔잎분말 5∼15중량%, 함초분말 5∼15중량%, 뽕잎분말 5∼15중량%, 다시마분말 5∼15중량%를 혼합하여 생식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제조된 생식혼합물과 상지차를 10:7의 중량 비율로 반죽하여 쌀알형태의 생식혼합곡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쌀알형태의 생식혼합곡물을 45∼55℃에서 수분 8%로 건조하여 건조된 생식혼합곡물을 제조하는 단계,
5) 건조된 생식혼합곡물 5∼15중량%, 현미찹쌀 5∼15중량%, 현미맵쌀 5∼15중량%, 흑찰미 5∼15중량%, 발아현미 5∼15중량%, 보리 5∼15중량%, 수수 5∼15중량%, 율 무 5∼15중량%, 백태 5∼15중량%, 서리태 5∼15중량%, 홍미 5∼15중량%를 혼합하여 기능성 혼합곡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곡물의 조성물은 물에 불릴 필요가 없어 취반의 편리성과, 특히 일반 쌀과 혼합하여도 쌀과의 이질감이 없고 퍼짐성이 없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1) 건조된 보리새싹분, 야콘, 케일, 모로헤이야, 브로콜리분말, 솔잎분말, 함초, 뽕잎, 다시마를 각각 150∼200메쉬로 분말화하는 단계, 2) 각각 분말화된 보리새싹분말 5∼15중량%, 야콘분말 5∼15중량%, 케일분말 5∼15중량%, 모로헤이야분말 5∼15중량%, 브로콜리분말 5∼15중량%, 솔잎분말 5∼15중량%, 함초분말 5∼15중량%, 뽕잎분말 5∼15중량%, 다시마분말 5∼15중량%를 혼합하여 생식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제조된 생식혼합물과 상지차를 10:7의 중량 비율로 반죽하여 쌀알형태의 생식혼합곡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쌀알형태의 생식혼합곡물을 45∼55℃에서 수분 8%로 건조하여 건조된 생식혼합곡물을 제조하는 단계, 5) 건조된 생식혼합곡물 5∼15중량%, 현미찹쌀 5∼15중량%, 현미맵쌀 5∼15중량%, 흑찰미 5∼15중량%, 발아현미 5∼15중량%, 보리 5∼15중량%, 수수 5∼15중량%, 율무 5∼15중량%, 백태 5∼15중량%, 서리태 5∼15중량%, 홍미 5∼15중량%를 혼합하여 기능성 혼합곡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혼합곡물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곡물의 건조 및 분쇄과정)
건조된 보리새싹분, 야콘, 케일, 모로헤이야, 브로콜리분말, 솔잎분말, 함초, 뽕잎, 다시마를 각각 준비하여 일반적인 곡물분쇄기계를 이용하여 각각 150∼200메쉬가 되도록 분말화 한다.
제2단계 (생식혼합물의 제조단계)
각각 분말화된 보리새싹분말 5∼15중량%, 야콘분말 5∼15중량%, 케일분말 5∼15중량%, 모로헤이야분말 5∼15중량%, 브로콜리분말 5∼15중량%, 솔잎분말 5∼15중량%, 함초분말 5∼15중량%, 뽕잎분말 5∼15중량%, 다시마분말 5∼15중량%를 용기에 넣어 혼합하여 생식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제3단계 (쌀알형태의 생식혼합곡물 제조단계)
제조된 생식혼합물과 상지차(桑枝茶)를 10:7의 중량 비율로 반죽하여 쌀알형태의 생식혼합곡물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상지차(桑枝茶)에 사용되는 뽕나무(Mulberry, Morus spp.)는 뽕나무과, 뽕나무속의 교목성 활엽수로서, 한대에서 열대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분포해 있다. 뽕나무는 예로부터 재배해 오고 있는 중요한 작물로서 농가에서는 그 뽕잎을 누에의 사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그 상근백피를 중요한 생약제로 이용하고 있다.
뽕나무는 현재 양잠, 뽕잎차, 뽕국수, 뽕과자류, 누에 번데기 술, 실크 국수, 실크 분말 및 실크 비누 등의 가공품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그 약리작용을 이용하여 유행성 이하선염, 폐결핵, 만성요퇴통, 타박상, 급성관절염, 악창, 강장, 중풍, 이뇨, 진해 등의 치료약으로 사용되고 있고, 상근백피는 발모촉진제, 오디 를 이용한 천연 염색제와 항당뇨제 및 누에를 이용한 대체 의약품 개발(천연강장제 등)등의 소재로서 활용되고 있다.
뽕나무의 효능은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상지차는 인체내부와 혈관속의 노폐물을 없애주는 역할을 하므로 중풍, 비만, 관절염, 부종, 해수 및 천식 등의 질병을 치료, 예방하고, 혈당과 혈압의 강하작용, 소화기능을 촉진시켜 소변을 잘 보게 하며 갈증도 없애 준다고 하였다. 그 오형편, 내강편 및 잡병편에 수록된 효능은 습(염증)을 없애고, 여위게 하니 살찐 사람이 늘 먹으면 좋고, 각기와 소변에 효과가 뛰어나며, 편풍과 일체의 풍을 예방하고, 음식을 소화시키며, 기를 내려 입이 마르는 것을 예방하니 차를 만들어 먹으면 좋고, 자양강장제로서 여러 가지 질환을 예방하는데 대단히 유익한 식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뽕나무 가지를 볶은 다음, 볶은 뽕나무 가지 30g에 물 500㏄의 비율로 물의 양이 2/3정도가 될 때까지 끓여 상지차((桑枝茶)를 만들게 된다.
제4단계 (생식혼합곡물 건조단계)
쌀알형태의 생식혼합곡물을 45∼55℃에서 수분 8%로 건조하여 건조된 생식혼합곡물을 제조하게 된다.
제5단계 (혼합곡물 제조단계)
건조된 생식혼합곡물 5∼15중량%, 현미찹쌀 5∼15중량%, 현미맵쌀 5∼15중량%, 흑찰미 5∼15중량%, 발아현미 5∼15중량%, 보리 5∼15중량%, 수수 5∼15중량%, 율무 5∼15중량%, 백태 5∼15중량%, 서리태 5∼15중량%, 홍미 5∼15중량%를 혼합하여 혼합곡물을 제조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품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1
분말도가 각각 180메쉬로 이루어진 보리새싹분말 5∼15중량%, 야콘분말 5∼15중량%, 케일분말 5∼15중량%, 모로헤이야분말 5∼15중량%, 브로콜리분말 5∼15중량%, 솔잎분말 5∼15중량%, 함초분말 5∼15중량%, 뽕잎분말 5∼15중량%, 다시마분말 5∼15중량%를 혼합하여 호바트 믹서기(Hovart mixer)를 사용하여 8분간 잘 혼합하였다. 혼합된 원료는 압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쌀알의 형태로 성형하였으며, 이때 혼합원료는 트윈 스크류 휘더(twin-screw feeder)를 사용하여 약 380g/min로 투입하였고 스크류 속도465rpm, 배럴온도 75℃에서의 성형기의 토출부로 7.4㎜×1.5 ㎜ 직사각형의 토출구명 14개를 사용하여 절단칼의 회전속도를 1600rpm으로 절단하여 쌀알형태로 성형하였다. 성형 후 55℃의 열풍건조기에서 12시간 건조한 다음 도정기를 사용하여 표면이 부드러워 지도록 약 30초간 도정 처리를 하여 생식혼합곡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생식혼합곡물 5∼15중량%, 현미찹쌀 5∼15중량%, 현미맵쌀 5∼15중량%, 흑찰미 5∼15중량%, 발아현미 5∼15중량%, 보리 5∼15중량%, 수수 5∼15중량%, 율무 5∼15중량%, 백태 5∼15중량%, 서리태 5∼15중량%, 홍미 5∼15중량%를 혼합하여 기능성 혼합곡물을 제조하게 된다.

Claims (2)

  1. 보리새싹분말 5∼15중량%, 야콘분말 5∼15중량%, 케일분말 5∼15중량%, 모로헤이야분말 5∼15중량%, 브로콜리분말 5∼15중량%, 솔잎분말 5∼15중량%, 함초분말 5∼15중량%, 뽕잎분말 5∼15중량%, 다시마분말 5∼15중량%를 혼합하여 생식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생식혼합물과 상지차(桑枝茶)를 10:7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하여 쌀알형태로 제조하여 상기 쌀알형태를 45∼55℃에서 수분 8%로 건조하여 제조된 생식혼합곡물과,
    상기 생식혼합곡물 5∼15중량%, 현미찹쌀 5∼15중량%, 현미맵쌀 5∼15중량%, 흑찰미 5∼15중량%, 발아현미 5∼15중량%, 보리 5∼15중량%, 수수 5∼15중량%, 율무 5∼15중량%, 백태 5∼15중량%, 서리태 5∼15중량%, 홍미 5∼15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곡물.
  2. 혼합곡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생식혼합물의 조성을 이루는 건조된 보리새싹분, 야콘, 케일, 모로헤이야, 브로콜리분말, 솔잎분말, 함초, 뽕잎, 다시마를 각각 150∼200메쉬로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 각각 분말화된 보리새싹분말 5∼15중량%, 야콘분말 5∼15중량%, 케일분말 5∼15중량%, 모로헤이야분말 5∼15중량%, 브로콜리분말 5∼15중량%, 솔잎분말 5∼15중량%, 함초분말 5∼15중량%, 뽕잎분말 5∼15중량%, 다시마분말 5∼15중량%를 혼합하여 생식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생식혼합물과 상지차를 10:7의 중량 비율로 반죽하여 쌀알형태의 생식혼합곡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쌀알형태의 생식혼합곡물을 45∼55℃서 수분 8%로 건조하여 건조된 생식혼합곡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생식혼합곡물 5∼15중량%, 현미찹쌀 5∼15중량%, 현미맵쌀 5∼15중량%, 흑찰미 5∼15중량%, 발아현미 5∼15중량%, 보리 5∼15중량%, 수수 5∼15중량%, 율무 5∼15중량%, 백태 5∼15중량%, 서리태 5∼15중량%, 홍미 5∼15중량%를 혼합하여 기능성 혼합곡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곡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80003704A 2008-01-13 2008-01-13 기능성 혼합곡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0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704A KR100904193B1 (ko) 2008-01-13 2008-01-13 기능성 혼합곡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704A KR100904193B1 (ko) 2008-01-13 2008-01-13 기능성 혼합곡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4193B1 true KR100904193B1 (ko) 2009-06-22

Family

ID=4098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704A KR100904193B1 (ko) 2008-01-13 2008-01-13 기능성 혼합곡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1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6705A (zh) * 2012-10-18 2014-05-07 柳州市京阳节能科技研发有限公司 三八特优粥
WO2017078207A1 (ko) * 2015-11-02 2017-05-11 이은희 현미 생식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830A (ko) * 1999-05-14 2000-12-05 김정자 검정색 곡물을 주원료로 하는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3347A (ko) * 2002-04-22 2003-10-30 이동길 생식 및 선식 조성물
KR20040063707A (ko) * 2003-01-08 2004-07-14 손영석 기능성 수산물가공식품
KR20060100130A (ko) * 2005-03-16 2006-09-20 김종국 당뇨병 환자를 위한 기능성 선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830A (ko) * 1999-05-14 2000-12-05 김정자 검정색 곡물을 주원료로 하는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3347A (ko) * 2002-04-22 2003-10-30 이동길 생식 및 선식 조성물
KR20040063707A (ko) * 2003-01-08 2004-07-14 손영석 기능성 수산물가공식품
KR20060100130A (ko) * 2005-03-16 2006-09-20 김종국 당뇨병 환자를 위한 기능성 선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6705A (zh) * 2012-10-18 2014-05-07 柳州市京阳节能科技研发有限公司 三八特优粥
WO2017078207A1 (ko) * 2015-11-02 2017-05-11 이은희 현미 생식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404751A (zh) 保健粉丝、粉条、粉皮
CN105105006B (zh) 一种马铃薯为主要原料制备的马铃薯热干面及其制备方法
CN105581246A (zh) 一种翡翠面条的加工工艺
CN102696967A (zh) 老年型系列杂粮杂豆免煮面与其制备方法
CN108477609A (zh) 一种牛蒡减肥代餐棒及其制备方法
CN108902732A (zh) 一种青汁面条及其制备方法
CN108740750A (zh) 谷物改良粉的制备方法及谷物改良粉、无麸质面条的制备方法及无麸质面条
KR100904193B1 (ko) 기능성 혼합곡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685815A (zh) 一种藕粉挂面及其加工方法
KR101766288B1 (ko)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CN102987402B (zh) 一种均衡营养的高原天然植物食品及其制备方法
CN106666713B (zh) 一种婴幼儿辅食及其制备方法
CN104171916B (zh) 一种含虾蛄头、虾蛄壳的保健挂面及其制作方法
CN103876126B (zh) 食用菌玉米健康素食及其生产方法
CN106616317A (zh) 一种桂香莲藕面条及其制备方法
KR20170130756A (ko) 대추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다식 제조방법
KR101032507B1 (ko) 키토산, 콜라겐이 함유된 홍삼우유쌀 및 그 제조방법
CN105053839A (zh) 一种紫葡萄味紫薯面条及其制备方法
KR20050111460A (ko) 견과류가 함유된 호떡반죽물 및 그호떡반죽물을 이용한호떡 제조방법
CN110810716A (zh) 一种葛根杂粮面条
KR100448661B1 (ko) 미나리 쌀국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942666A (zh) 一种红薯山药水晶粉丝及其制备方法
CN106819616A (zh) 一种提高乌龟食欲的饲料
KR20100045301A (ko) 함초 가래떡 및 절편 제조방법
KR101890139B1 (ko) 해삼을 포함하는 영양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