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659B1 -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659B1
KR100898659B1 KR1020060075201A KR20060075201A KR100898659B1 KR 100898659 B1 KR100898659 B1 KR 100898659B1 KR 1020060075201 A KR1020060075201 A KR 1020060075201A KR 20060075201 A KR20060075201 A KR 20060075201A KR 100898659 B1 KR100898659 B1 KR 100898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polysilicon
spacer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542A (ko
Inventor
안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7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659B1/ko
Priority to US11/768,724 priority patent/US7494874B2/en
Priority to JP2007184063A priority patent/JP2008042188A/ja
Publication of KR2008001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01L21/7623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of trenches having a shape other than rectangular or V-shape, e.g. rounded corners, oblique or rounded trench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에 터널 산화막,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고 시각하여 패턴 및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 트랜치에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전체구조 상부에 폴리 실리콘 스페이서막을 형성하고, 한번의 식각 공정으로 소정 영역을 식각하여 소자 분리막의 중앙부에 리세스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폴리 실리콘 스페이서막을 모두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a-카본막을 제 1 폴리 실리콘막의 스페이서로 사용함으로써 식각 공정 단계를 줄이고 원하는 깊이로 리세스 공정을 실시하여 공정 비용을 줄이고 수율 및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다.
플래쉬 메모리 소자, 리세스, 간섭, a-카본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01 : 반도체 기판 102 : 터널 산화막
103 : 폴리 실리콘막 104 : 소자 분리막
105 : a-카본막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자분리막의 리세스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70nm 이하급의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경우, 단일 레벨 소자(single level cell; SLC)에 비해 멀티 레벨 소자(multi level cell; MLC)에 있어서 소자간 의 간섭이 많이 발생한다. 소자에 영향을 주는 주요 간섭 중에서 특히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 간의 간섭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를 최소화해야 소자의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 종래의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공정에서는 소자 분리막 상부를 리세스(recess) 함으로써 전극 간의 간섭을 줄이도록 하였다. 그러나, 공정 단계가 많고 두께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수율 및 신뢰도를 개선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a-카본막을 제 1 폴리 실리콘막의 스페이서로 사용함으로써 식각 공정 단계를 줄이고 원하는 깊이로 리세스 공정을 실시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에 터널 산화막,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고 시각하여 패턴 및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 트랜치에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전체구조 상부에 폴리 실리콘 스페이서막을 형성하고, 한번의 식각 공정으로 소정 영역을 식각하여 소자 분리막의 중앙부에 리세스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폴리 실리콘 스페이서막을 모두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기 정렬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self aligned floating gate scheme; SA-FG) 및 자기 정렬 소자분리법(self aligned shallow trench isolation; SA-STI)으로 반도체 기판(101) 상부에 터널 산화막(102) 및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 실리콘막(103)을 형성한다. 즉, 반도체 기판(101)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102) 및 폴리 실리콘막(103)을 형성하고, 소정의 식각 공정에 의해 게이트 패턴을 형성한 후 반도체 기판(101)에 트랜치(200)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체구조 상부에 소자 분리막(104)으로 산화막을 형성하여 매립한다. 형성된 소자 분리막(104)을 폴리 실리콘막(103)이 드러날 때까지 CMP 공정으로 평탄하게 연마한다. 건식 또는 습식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소자 분리막(104)을 일정 깊이까지 식각한다. 식각 깊이는 터널 산화막(102)으로 부터 소자 분리막(104) 상부까지의 높이(EFH; effective floating gate oxide height)가 100 내지 600Å이 되도록 한다. 이는 최종 형성될 높이로써 후속 식각공정시의 손실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체구조 상부에 폴리 실리콘막(103)의 스페이서 용으로 a-카본막(105)을 형성한다. 또한, a-카본막(105) 대신 저유전체 물질(low-k) 또는 습식 식각 속도가 매우 빠른 USG(undoped silicate glass)등의 산화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a-카본막(105)을 형성한 후 건식 식각 공정으로 리세스할 부위를 식각하여 리세스 홀(RFC)을 형성한다. 리세스 홀(RFC)의 하부 깊이는 반도체 기판(101)의 액티브 상부를 기준으로 하여 -300 내지 300Å가 되도록 하고, 폭은 100 내지 500Å이 되도록 한다. 리세스 홀(RFC)의 두께 즉, 측벽과 액티브간의 간격(A)은 액티브에서 소자 분리막(104)의 상부까지의 높이(EFC)와 같다. 가스로는 SF6, NF3, 탄화플루오루(fluorocarbon) 계열(CxFy;x, y는 자연수, 예를 들면 CF4), 탄화수소플루오루(fluoro-hydrocarbon) 계열(CxHyFz;x, y, z는 자연수), Cl2, BCL3, HBr, HI 등을 하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식각속도 및 식각모양 조절을 위해서 O2, N2, CO 및 H2 등을 하나 또는 혼합하여 상기 식각 가스에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카본막(105)을 모두 제거한다. 제거 공정은 포토 레지스트 제거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식각법으로 O2, N2 및 H2 중 어느 하나 또는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식각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 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a-카본막을 제 1 폴리 실리콘막의 스페이서로 사용함으로써 식각 공정 단계를 줄이고 원하는 깊이로 리세스 공정을 실시하여 공정 비용을 줄이고 수율 및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다.

Claims (8)

  1. 반도체 기판에 터널 산화막,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 실리콘막 및 상기 터널 산화막을 패터닝하고,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 실리콘막의 상부 및 측벽이 드러나도록 상기 트랜치의 내부에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폴리 실리콘막의 측벽에 스페이서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 분리막의 중앙부에 리세스 홀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페이서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산화막의 하부면과 상기 소자 분리막의 상부면의 높이 차이는 100Å 내지 600Å이 되도록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막은 a-카본막, USG 또는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카본막을 형성할 경우, 건식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리세스 홀을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공정은 SF6, NF3 또는 탄화플루오루(fluorocarbon)를 포함하는 가스, 탄화수소플루오루(fluoro-hydrocarbon)를 포함하는 가스, Cl2, BCL3, HBr 또는 HI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된 식각 가스를 사용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공정은 상기 식각 가스에 O2, N2, CO 및 H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를 더 혼합하여 실시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홀의 하부면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액티브 상부면의 높이 차는 -300Å 내지 300Å이 되도록 하고, 상기 리세스 홀의 폭은 100Å 내지 500Å이 되도록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O2, N2 및 H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를 사용한 건식 식각 공정으로 실시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60075201A 2006-08-09 2006-08-0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98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201A KR100898659B1 (ko) 2006-08-09 2006-08-0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11/768,724 US7494874B2 (en) 2006-08-09 2007-06-26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JP2007184063A JP2008042188A (ja) 2006-08-09 2007-07-13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201A KR100898659B1 (ko) 2006-08-09 2006-08-0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542A KR20080013542A (ko) 2008-02-13
KR100898659B1 true KR100898659B1 (ko) 2009-05-22

Family

ID=3905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201A KR100898659B1 (ko) 2006-08-09 2006-08-0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94874B2 (ko)
JP (1) JP2008042188A (ko)
KR (1) KR100898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599B1 (ko) * 2007-11-01 2010-05-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1096976B1 (ko) * 2009-12-09 2011-12-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방법
US9257505B2 (en) * 2014-05-09 2016-02-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tructures and formation methods of finFE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878A (ko) * 2003-12-27 2005-06-30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트랜치 아이솔레이션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06331A (ko) * 2004-07-15 2006-0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KR20060074177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7063B2 (ja) * 2002-11-21 2007-05-2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105431B2 (en) * 2003-08-22 2006-09-12 Micron Technology, Inc. Masking methods
JP2005079165A (ja) * 2003-08-28 2005-03-24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製造方法、電子カードおよび電子装置
JP2005150502A (ja) * 2003-11-18 2005-06-0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60008555A (ko) * 2004-07-21 200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878A (ko) * 2003-12-27 2005-06-30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트랜치 아이솔레이션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06331A (ko) * 2004-07-15 2006-0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KR20060074177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542A (ko) 2008-02-13
US20080038899A1 (en) 2008-02-14
JP2008042188A (ja) 2008-02-21
US7494874B2 (en) 2009-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03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80456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833891B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100870339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5158737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電極形成方法
KR20070059732A (ko) 플래쉬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0898659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99030B1 (ko)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1001466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93065B1 (ko) 트렌치 게이트형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및그 제조 방법
CN100546016C (zh) 制造半导体器件的方法
KR100673195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KR20080000785A (ko)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90936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2007006981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9905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86185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78189A (ko)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01793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그 구동 방법 및 제조 방법
KR20070052440A (ko) Nand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06123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090077297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KR20070054873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60553A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02498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