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400B1 -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400B1
KR100891400B1 KR1020037005311A KR20037005311A KR100891400B1 KR 100891400 B1 KR100891400 B1 KR 100891400B1 KR 1020037005311 A KR1020037005311 A KR 1020037005311A KR 20037005311 A KR20037005311 A KR 20037005311A KR 100891400 B1 KR100891400 B1 KR 10089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lead
area
disc
optical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445A (ko
Inventor
엔도사토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1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carrier data forma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35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session, i.e. a contiguous area having its own lead-in area, program area and lead-out are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83Optical discs wherein two standards are used on a single disc, e.g. one DVD section and one CD s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Abstract

멀티세션 디스크상의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을 판정하고, 본래의 재생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재생장치는, 멀티세션 디스크에 수용되어 있는 각각의 프로그램 트랙의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크 최내주 위치로부터 계측한 재생 개시 시각의 정보를 포함하는 목차 정보가 기록된 리드인 영역, 재생 대상인 콘텐츠 데이터를 수용한 프로그램 트랙이 기록된 프로그램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세션을 복수 구성한 멀티세션 디스크를 재생한다. 그리고, 재생장치는, 소정의 세션의 목차 정보를 판독하는 광 픽업과, 광 픽업이 판독한 목차 정보에 포함되는 재생 개시 시각의 정보에 따라서, 그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멀티세션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세션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재생장치{RE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의 재생에 관한 것이고, 특히 멀티세션 (multisession; 공동 이용 세션) 디스크의 제1세션 리드인(lead-in)에 액세스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팩트 디스크(이하, CD라고 한다)는, 음악 데이터를 기록해서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음악 데이터 이외에, 컴퓨터로써 판독 가능한 데이터(영상 데이터 등)도 기록한 CD-EXTRA라고 하는 멀티세션의 디스크도 판매되게 되었다.
또한 일반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인 CD-R(Compact Disc Recordable; 기록 가능 콤팩트 디스크)(이하,「CD-R」이라고 칭한다)에 기록하는 기회도 많게 되었다. CD-R에는 여러가지 포맷으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기록 가능한 CD-R의 주요 포맷으로서는, 음악 CD의 포맷인 CD-DA(Compact Disc-Digital Audio), 데이터의 포맷인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등이 있다. CD-R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시스템은, CD-R 시스템이라고 불리고, 통상, 퍼스널 컴퓨터에 CD-R 리코더를 설치하여 실현한다.
초기의 CD는 주로 음악용 CD-DA 포맷을 채용하여, 단일 세션의 멀티트랙 (single session multi track) 방식에 의해서 기록되었다. 도 6은, 음악용 CD-DA 디스크를 재생하는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60)의 블록도이다.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2)는, 재생을 위한 디스크(1)를 장착할 수 있고, 장착된 디스크(1)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픽업(pickup) 등의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재생부(2)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신호처리부(5)에서 복조하여, DA 변환부(10)에서 아날로그 음악 신호로 복원하고, 오디오 신호증폭부(11)에서 충분히 큰 전기신호로서 스피커(12)로부터 출력한다. 제어부(4)는 디스크 재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크(1)에는, 목차(目次) 정보로서의 테이블 오브 콘텐츠 정보(이하, "TOC(table of contents) 정보"라고 부른다)가 기록되어 있다. 제어부(4)는 디스크 재생장치(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신호처리부(5)로부터 서브코드(sub-code) 검출부(6)를 거쳐서 TOC 정보를 판독하여, TOC 정보기억부(7)에 저장한다. 제어부(4)는, 디스크(1)의 재생시에는 이 TOC 정보 중에서 재생해야 하는 트랙의 개시 시각 정보를 선택하여, 그 위치에 광 픽업을 이동해서 음악 데이터 신호를 판독한다. 이러한 동작은, 제어부(4)가 갖는 프로그램의 처리에 따라서 실행된다. 제어부(4)의 동작은, 소위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해서 실현되고, TOC 정보기억부(7)는 소위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이다.
도 7은, 단일 세션으로 기록한 디스크의 데이터 레이아웃 예를 나타낸다. 디스크의 영역은, 리드인(lead-in) 영역 LIN, 프로그램 영역 PGM, 리드아웃(lead-out) 영역 LOT로 대별된다. 상기의 TOC 정보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일 세션으로 기록된 디스크의 내주측(內周側)의 리드인 영역 LIN에 기록되어 있다.
디스크 재생장치(60)(도 6)는, 디스크(1)로부터 최초에 TOC 정보를 판독하여, 디스크(1)에 기록된 어느 트랙에 관한 정보를,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부(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표시해서 이용자에게 연주 희망곡의 선택을 독촉한다. 따라서, 디스크(1)를 디스크 재생장치(60)에 장착하면, 디스크 재생장치(60)는 TOC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리드인 영역 LIN에 픽업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실행한다.
이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재생장치(60)가 현재의 픽업 위치를 인식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60)용의 고급 메커니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의 고급 메커니즘에서는 디스크(1)(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는 턴테이블(도시하지 않음)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81)를 일단(一端)으로 하여, 광 픽업 트래버스(traverse)(82)가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자석부(磁石部)(83)와 리니어 모터 코일부(85)와의 전자적 작용에 의해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메커니즘에서는 슬라이더(slider)(87)가 광 픽업 트래버스(82)와 연결되어 있어서, 광 픽업 트래버스(82)가 움직이면, 전위차계(potentiometer)(86)의 슬라이더(87)도 움직인다. 따라서 광 픽업 트래버스(8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검출 전압을 위치검출 전압 출력단자(88)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위차계를 이용해서 항상 픽업 위치를 인식하고, 구동용 모터로서 리니어 모터를 채용하여 고속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재생장치도 존재한다. 그러나, 전위차계나 리니어 모터를 채용하면 비용이 높아지므로, 디스크 재생장치(60)(도 6)에서는, 간략화한 메커니즘을 채용하고 있다. 즉, 염가 메커니즘이다. 예로서, 도 2는, 염가 메커니즘의 구조를 나타낸다.
염가 메커니즘에서는, 광 픽업(23)의 위치검출용으로 고가인 전위차계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염가 메커니즘에서는, 광 픽업 트래버스(22)가 디스크(1)의 대략 최내주(最內周)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ON이 되는 저렴한 위치검출용의 푸시(push) 스위치(최내주 위치검출 스위치(20))를 채용하고 있다. 최내주 위치검출 스위치(20)는, 최내주 위치검출부(3)(도 6)로서 제어부(4)(도 6)에 접속된다. 또한 염가 메커니즘에서는, 고가인 리니어 모터 대신에, 저렴한 모형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식의 속도제어 메커니즘이 없는 브러시 부착 DC 모터를 트래버스 모터(24)로서 채용하고 있다.
디스크(1)는 턴테이블(21)에 장착되어서 스핀들 모터(25)에 의해서 구동된다. 광 픽업(23)은 광 픽업 트래버스(22)에 내장(內藏)되어 있다. 트래버스 모터(24)가 회전하면 트래버스 이송 기어 샤프트(26)가 회전하고, 광 픽업 트래버스(22)는, 슬라이드 샤프트(27)에 의해서 안내되어서, 흔들림이 거의 없는 상태로 이동한다.
이하, 염가 메커니즘(도 2)을 사용한 구성의 디스크 재생장치(60)(도 6)가, 시판되는 음악용 오디오 CD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음악용 오디오 CD는, CD-DA를 단일 세션으로 알루미늄 증착 기록한 디스크이다. 염가 메커니즘에서는, 광 픽업(23)의 위치를 항상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음악용 오디오 CD(CD-DA)를 장착했을 때, 디스크 재생장치(60)는, 이하의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순서로 동작한다.
도 9 및 도 10은, 디스크 재생장치(60)(도 6)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4)(도 6)는, 염가 메커니즘의 트래버스 모터(24)(도 2)를 구동시켜서, 광 픽업 트래버스(22)(도 2)를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 22). 이에 따라서 디스크(1)의 대략 최내주에 광 픽업 트래버스(22)(도 2)를 위치시킬 수 있다. 광 픽업(23)(도 2)이 디스크의 대략 최내주에 위치하면, 최내주 위치검출 스위치(20)가 ON이 되고, 그것이 검출된다(단계 23). 그러면 제어부(4)(도 6)는, 트래버스 모터(24)를 정지시키고(단계 24), 트래버스 모터(24)의 구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를 240mS로 설정한다(단계 26).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다음은 역방향(외주(外周) 방향)으로 트래버스 모터(24)를 구동시킨다(단계 27). 그리고 트래버스 모터(24)의 구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의 시간 길이 T(본 종래예의 경우는 240mS)가 경과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고(단계 28), 경과되지 않았으면 그대로 트래버스 모터(24)의 구동을 계속한다. 경과된 경우에는 트래버스 모터(24)를 정지시킨다(단계 29). 이에 따라서 광 픽업(23)을 적어도 디스크(1)의 리드인 LIN의 개시 위치보다도 외주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시간 길이 T는 통상 리드인 LIN의 개시 위치보다도 상당히 외주측의 위치, 즉, 프로그램 영역 PGM으로 이동하는 값을 선택해서 설계한다. 그 이유는, 이하에 나타내는 3가지의 원인에 의해서, 고장시 안전(fail safe)의 면에서 상당한 여유를 예상한 길이로 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3가지의 원인이라는 것은, (1) 최내주 위치검출 스위치(20)의 ON 위치가, 유닛 본체(28)에의 최내주 위치검출 스위치(20)의 부착 오차(나사 고정 위치의 정밀도의 편차)나, 최내주 위치검출 스위치(20)의 구조적인 개별적 차이에 의해서, 미묘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일정하지 않은 것), (2) 트래버스 모터(24)로서 속도제어 메커니즘이 없는 브러시 부착 DC 모터를 사용하므로, 공급 전압의 변동이나 모터의 개별적 차이에 의해서 회전속도가 분산되는 것(일정하지 않은 것), (3) 또한 환경 온도에 따라서 회전속도가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하는 것이다.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60)는, 서브코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온에서 리드인 LIN의 종료점으로부터 약 3분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T의 길이를 T=240mS에 설정하고 있다.
광 픽업(23)을 서브코드 정보가 약 3분인 위치에 이동시키면, 이어서 TOC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리드인 LIN에 액세스해야 한다. 그래서 다시 서브코드 정보를 판독해서(단계 30), 현재의 위치가 리드인 영역내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31). 현재는 프로그램 영역 PGM내에 위치하고 있고, 리드인 영역이 아니므로, 단계 31의 "NO"로 진행한다. 그리고 내주 방향으로 32 킥 동작(kick operation)을 실행한다(단계 32). 이 처리를 필요하면 몇 회 반복함으로써, 리드인 영역 LIN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 후, 서브코드로써 리드인 영역 LIN내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여, 해당 TOC 정보를 판독함으로써(단계 33), 필요한 정보가 모두 판독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34). 판정 결과가 "YES"가 되면 TOC 정보의 판독은 완료되고, 이후의 처리로서, 예로서 디스크에는 전부 3곡이 기록되어 있고 전부를 재생하면 약 55분 걸린다고 하는, TOC 정보의 일부가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된다.
그 후, 이용자가 재생 키(도시하지 않음)를 누르는 등의 재생 조작을 실행하면, TOC 정보를 참조해서 지정된 곡의 개시 위치를 취득하고, 그 위치에 액세스해서 재생을 개시한다.
디스크 재생장치(60)는, 멀티세션으로 기록된 디스크의 재생의 경우에, 제1세션의 수록 데이터 용량이 적은 경우, 본래의 재생 대상이 아닌 데이터를 잘못 재생하는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제1세션의 수록 데이터 용량이 적으므로, 제1세션의 TOC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액세스했음에도 불구하고, 제1세션의 수록 부분을 건너뛰어서 다른 세션의 리드인에 진입하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이 다른 세션의 TOC 정보를 판독해서 기억하게 된다. 이러한 오동작의 근본적인 원인은, 시판되고 있는 음악용 오디오 CD는, 대부분이 단일 세션으로서 멀티세션이 아닌 것, 및 디스크 재생장치(60)가 단일 세션의 디스크의 재생밖에 고려하지 않는 것에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멀티세션으로 기록한 디스크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멀티세션은 각각의 세션이 리드인 영역, 프로그램 영역, 리드아웃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다수 개의 세션이 디스크(1)에 기록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에는 멀티세션 디스크(1)에 기록된 TOC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예도 나타내고 있다. 멀티세션(제2세션 이후)의 리드인 영역은 1분간, 멀티세션의 리드아웃 영역은 30초간, 제1세션의 리드아웃 영역 LOT1은 1분 30초간으로 규격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제1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PGM1이 극단적으로 짧아서 0초간이라고 해도, 제2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PGM2가 시작하는 위치는 적어도 2분 30초를 초과한 절대 어드레스 위치인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디스크 재생장치(60)가, 멀티세션으로 기록한 CD-EXTRA라고 하는 멀티세션 디스크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CD-EXTRA는, 도 3에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설명에서는, 제1세션에 20초의 짧은 CD-DA 곡이 기록되고, 제2세션에 CD-ROM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디스크(1)를 장착하면, 도 9와 도 10을 참조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우선 광 픽업(23)을 디스크(1)의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디스크(1)의 대략 최내주에 광 픽업(23)이 위치하면, 트래버스 모터(24)를 일단 정지시킨다. 그 후, 외주 방향으로 240mS 만큼 구동시켜서 서브코드가 약 3분인 위치로 광 픽업(23)을 이동시킨다. 이어서 TOC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제1세션의 리드인 LIN1에 액세스하려고 한다.
이 예에서는, 이 디스크는 제1세션에 20초의 짧은 CD-DA 곡이 기록되고, 제2세션에 CD-ROM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서브코드가 약 3분인 위치에는 제2세션 리드인 영역 LIN2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미 디스크(1)의 제2세션 리드인 LIN2에 광 픽업(23)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단계 32에서의 내주 방향으로 32 킥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그대로의 상태에서 TOC 정보를 판독한다. 그런데, 판독하는 것은 제2세션 리드인 LIN2의 TOC 정보이다. 따라서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에는, TOC 정보의 일부인 제2세션의 정보(예로서 총 곡수 1, 총 재생 시간 약 52분)가 표시된다.
이용자가 재생 키(도시하지 않음)를 누르는 등의 재생 조작을 실행하면, 디스크 재생장치(60)는, 기억하고 있는 TOC 정보를 참조해서 재생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목적으로 하는 제1세션의 음악(CD-DA)이 아니고, 제2세션의 CD-ROM 데이터의 재생이 시작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세션 디스크상의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을 판정하고, 본래의 재생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재생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세션 이외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 제1세션의 리드인에의 액세스를 재시행(retry)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재생장치는, 멀티세션 디스크에 수용되어 있는 각각의 프로그램 트랙(track)의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크 최내주 위치로부터 계측한 재생 개시 시각의 정보를 포함하는 목차 정보가 기록된 리드인 영역, 재생 대상인 콘텐츠 데이터를 수용한 프로그램 트랙이 기록된 프로그램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세션을 복수 구성한 멀티세션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장치로서, 소정의 세션의 상기 목차 정보를 판독하는 광 픽업과, 상기 광 픽업이 판독한 상기 목차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개시 시각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멀티세션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세션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디스크의 TOC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에, 광 픽업이 제1세션의 수록 데이터 부분을 건너뛰어서, 다른 세션의 리드인에 진입해도, 제1세션의 리드인인가 아닌가를 판별하여 제1세션의 리드인에 다시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하려고 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의 제1세션의 수록 데이터가 극히 소용량인 경우에도, 재생에 필요한 TOC 정보를 올바로 판독할 수 있다. TOC 정보를 올바로 판독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위치검출 푸시 스위치나, 속도제어 메커니즘이 없는 브러시 부착 DC 모터를 사용한, 멀티세션 디스크의 재생시에도, 액세스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저렴한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세션 판정부는, 상기 소정의 세션의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소정의 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 것으로 판정해도 좋다.
상기 세션 판정부는, 상기 소정의 세션의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소정의 값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정해도 좋다.
상기 세션 판정부가, 상기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광 픽업을, 디스크의 더욱 내주에 위치하는 다른 세션에 액세스시키는 액세스 재시행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재시행부에 의한 액세스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세션 판정부는, 상기 다른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멀티세션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더 판정해도 좋다.
상기 광 픽업은 디스크의 최내주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최내주 위치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재시행부는, 상기 광 픽업을 디스크의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최내주 위치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 상기 광 픽업이 디스크의 최내주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디스크의 최내주 위치로부터 소정의 양만큼 이격된 상기 다른 세션에, 상기 광 픽업을 이동시켜도 좋다.
상기 액세스 재시행부는, 상기 광 픽업을 디스크의 더욱 내주의 세션에 반복해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이동량을 상기 소정의 양으로부터 서서히 적게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재생장치의 블록도.
도 2A∼2C는, 염가 메커니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멀티세션으로 기록한 디스크의 레이아웃.
도 4는, 디스크 재생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디스크 재생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6은, 음악용 CD-DA 디스크를 재생하는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단일 세션으로 기록한 디스크의 데이터 레이아웃.
도 8은,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용의 고급 메커니즘의 구조.
도 9는, 디스크 재생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0은, 디스크 재생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재생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디스크 재생장치(100)는, 장착된 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디스크(1)는, 복수의 세션이 형성된 멀티세션 디스크이다. 여기서 세션이라는 것은, 리드인 영역, 프로그램 영역, 리드아웃 영역의 3개의 기록 영역으로 구성되는 기록 단위이다. 각각의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에는, 콘텐츠 데이터(예로서, 음악, 영상, 및/또는 컴퓨터로써 이용하는 데이터)를 수용한 프로그램 트랙이 기록된다. 컴퓨터로써 이용하는 데이터에는, 음악 신호를 압축한 MP3 포맷 등의 CD-ROM 데이터도 포함된다. 리드인 영역에는,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프로그램 트랙)의 개시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목차 정보로서의 테이블 오브 콘텐츠 정보(이하,「TOC 정보」라고 한다)가 기록되어 있다. 데이터의 개시 위치는, 디스크 최내주로부터, 또는, 어떤 기준점으로부터 통상 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재생 시각의 정보에 의해서 특정된다. 한편, 디스크(1)에는, 디스크 최내주로부터 재생했을 때의 재생 시각을 특정할 수 있는 서브코드 정보가 규칙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디스크 재생장치(100)는, 서브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TOC 정보에 따라서 표시되는 디스크 최내주로부터의 재생 개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를 특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필요한 위치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시각」이라는 것이 디스크의 최내주로부터, 또는 기준점으로부터 재생을 개시했을 때의 재생 개시 시각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서브코드 정보는, 시각만이 아니고, 곡의 번호, 인덱스, 시간, 문자 등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시각을 특정 가능한 서브코드 정보를 이용한다.
디스크 재생장치(100)는, 재생부(2)와, 최내주 위치검출부(3)와, 제어부(4)와, 신호처리부(5)와, 서브코드 검출부(6)와, TOC 정보기억부(7)와, 제1세션 판정부(8)와, 제1세션 액세스 재시행부(9)와, DA 변환부(10)와, 오디오 신호증폭부(11)와, 스피커(12)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디스크 재생장치(100)의 각각의 구성 요소를 설명한다. 재생부(2)는, 재생의 대상이 되는 디스크(1)를 장착하고, 장착된 디스크(1)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픽업 등의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부(2)는, 도 2에 나타내는 기구(염가 메커니즘)에 의해서 실현된다. 염가 메커니즘에서는, 광 픽업 트래버스(22)가 디스크(1)의 대략 최내주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만 ON이 되는 저렴한 위치검출용 푸시 스위치(최내주 위치검출 스위치(20))를 채용한다. 최내주 위치검출 스위치(20)는, 최내주 위치검출부(3)(도 1)로서 제어부(4)(도 1)에 접속된다. 또한 염가 메커니즘에서는, 고가인 리니어 모터 대신에, 저렴한 모형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식의 속도제어 메커니즘이 없는 브러시 부착 DC 모터를 트래버스 모터(24)로서 채용한다.
디스크(1)는 턴테이블(21)에 장착되어서, 도 2C에 나타내는 스핀들 모터(25)에 의해서 구동된다. 광 픽업(23)은 광 픽업 트래버스(22)에 내장되어 있다. 즉, 광 픽업 트래버스(22)를 이동시키면, 광 픽업(23)도 이동하게 된다. 트래버스 모터(24)가 회전하면 트래버스 이송 기어 샤프트(26)가 회전하고, 광 픽업 트래버스(22)가, 슬라이드 샤프트(27)에 의해서 안내되어서, 흔들림이 거의 없는 상태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은 기본 동작에 의해서, 재생부(2)(도 1)는, 장착된 디스크(1)의 데이터를 재생한 재생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재생」이라는 것은, 이용자가 시청 가능한 상태로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디스크(1)의 피트(pit) 정보 등에 따라서, 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를 인출하는 것을 말한다. 최내주 위치검출부(3)는, 디스크(1)의 최내주 위치를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를 제어부(4)에 보낸다.
신호처리부(5)는, 재생부(2)로부터의 재생 신호를 디지털 재생 데이터 신호로서 복조한다. 재생 데이터 신호가 음악 데이터 신호인 경우에는, DA 변환부(10)는, 재생부(2)로부터의 디지털 재생 신호를 아날로그 음악 신호로 복원한다. 오디오 신호증폭부(11)는, DA 변환부(10)가 변환한 아날로그 음악 신호를 충분히 큰 전기신호로 증폭하여, 스피커(12)로부터 출력한다. 재생 데이터 신호가 음악 데이터 신호 이외의 경우에는, 그 신호에 따라서 영상 등을 표시하고, 또는 컴퓨터로써 이용 가능한 데이터로서 컴퓨터의 메모리 등에 보내어진다.
제어부(4)는, 디스크 재생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실행한다. 액세스시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4)는, 신호처리부(5)로부터 TOC 정보를 판독하여, TOC 정보기억부(7)(소위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는, 기억한 TOC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해야 하는 트랙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인출한다.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디스크(1)에 기록된 서브코드 정보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는, 현재의 광 픽업(23)(도 2A)의 위치에 있어서의 서브코드 정보를 판독하고, 서브코드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 ta와,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 tb를 비교한다. 시각 ta<시각 tb이면, 제어부(4)는, 광 픽업(23)을 더욱 외주측으로 이동시킨다. 시각 ta>시각 tb이면, 제어부(4)는, 광 픽업(23)을 더욱 내주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시각 ta=시각 tb가 되면, 그 위치가, 재생 개시 위치가 된다. 그리고 제어부(4)는, 그 위치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러한 동작은, 제어부(4)가 갖는 프로그램의 처리에 따라서 실행된다. 제어부(4)의 동작은, 소위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해서 실현된다.
제1세션 판정부(8)는, 액세스 동작에 의해서 도달한 리드인 영역이,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동작에 의해서 도달한 리드인 영역의 TOC 정보에 의해서 표시된, 그 세션에서의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소정의 값 이내인가 아닌가에 따라서, 해당 리드인 영역이,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소정의 값」이라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는 1분이다. 제1세션 판정부(8)가, 해당 영역이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제1세션 액세스 재시행부(9)는, 다시 광 픽업을 디스크의 최내주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그 후의 외주 방향으로의 광 픽업의 이동 시간을 최초의 액세스 동작에서의 이동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으로 변경하여, 제1세션을 목표로 하여 다시 광 픽업을 이동시켜서, 액세스 동작을 실행하게 한다. 한편, 제1세션 판정부(8)가, 해당 영역이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제어부(4)는, 광 픽업에, 해당 영역으로의 액세스를 계속시켜서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하게 한다.
이어서, 디스크 재생장치(100)(도 1)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스크 재생장치(100)(도 1)는, 도 3에 기재된 데이터 레이아웃을 갖는 디스크(예로서, CD-EXTRA)를 재생한다. 도 3은, 멀티세션으로 기록한 디스크의 데이터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제1세션에 20초의 짧은 CD-DA 데이터의 곡이 기록되고, 제2세션에 CD-ROM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 1(LIN1)에는, 트랙 1의 CD-DA 데이터에 관한 TOC 정보 1이 기록되고, 리드인 영역 2(LIN2)에는, 트랙 2의 CD-ROM 데이터에 관한 TOC 정보 2가 기록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디스크 재생장치(100)(도 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에서, 디스크(1)를 장착하면 최초의 데이터 초기화 동작으로서 LI 액세스 재시행 플래그를 0에 재설정한다(단계 20). LI 액세스 재시행 플래그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디스크(1)를 장착했을 때, 도 2에 나타내는 염가 메커니즘에서는, 광 픽업(23)의 위치를 항상 인식할 수는 없다. 그래서, 우선, 제어부(4)(도 1)는, 염가 메커니즘의 트래버스 모터(24)를 구동시켜서, 광 픽업 트래버스(22)를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 22). 이에 따라서 디스크(1)의 대략 최내주에 광 픽업 트래버스(22)(도 2)를 위치시킬 수 있다. 광 픽업(23)(도 2)이 디스크의 대략 최내주에 위치하면, 최내주 위치검출 스위치(20)가 ON이 되고, 그것이 검출된다(단계 23). 그러면, 제어부(4)(도 6)는, 트래버스 모터(24)를 정지시키고(단계 24), LI 액세스 재시행 플래그가 1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단계 25). 최초의 동작시에는 LI 액세스 재시행 플래그는 0이다. 따라서, 트래버스 모터(24)의 구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를 240mS에 설정한다(단계 26). 단계 21의 경우는 이후에 설명한다.
후속해서 도 5를 참조하여, 다음은 역방향(외주 방향)으로 트래버스 모터 (24)를 구동한다(단계 27). 그리고 트래버스 모터(24)의 구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의 시간 길이 T(본 실시형태에서는 T=240mS)가 경과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여(단계 28), 경과되지 않았으면 그대로 트래버스 모터(24)의 구동을 계속한다. 경과한 경우에는 트래버스 모터(24)를 정지시킨다(단계 29). 이에 따라서 광 픽업(23)을 적어도 디스크(1)의 리드인 LIN의 개시 위치보다도 외주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디스크 재생장치(100)(도 1)에서는, T=240mS에 설정하면, 상온에서 리드인 LIN1의 종료점으로부터, 서브코드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이 약 3분을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위치에 광 픽업(23)을 이동시킨 후에는, 이어서 TOC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리드인 LIN에 액세스해야 한다. 그래서 다시 서브코드 정보를 판독해서(단계 30), 현재의 위치가 리드인 영역내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3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디스크의 제1세션에는 20초의 짧은 CD-DA 데이터의 곡이 기록되고, 제2세션에는 CD-ROM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코드 정보가 약 3분을 나타내는 위치에는 제2세션의 리드인 영역 2(LIN2)가 존재하게 된다. 현재, 광 픽업(23)은 제2세션의 리드인 영역 2(LIN2)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세션의 리드인 영역 2(LIN2)의 TOC 정보(TOC2)의 판독을 개시하고(단계 33), 판독을 완료한다(단계 34). 결국, 단계 32에서의 내주 방향으로 32 킥 동작을 실행하는 일은 없다.
제어부(4)(도 1)는, 판독한 TOC 정보(TOC2) 중에서 그 세션의 START TNO(해당 세션의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 번호)를 검출하여, 최초의 트랙의 개시 위치를 검출한다(단계 35). 검출 결과, 제어부(4)(도 1)는, 트랙의 개시 시각이, 디스크의 최초의 재생으로부터 1분 이내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단계 36). 1분 이내이면, 판독한 TOC 정보는 제1세션의 리드인 정보인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36). 이 예의 경우에는, 액세스한 세션은 제2세션이고, 그 리드인 영역 2(LIN2)에 대하여는 2분 54초라고 하는 값이 취득된 결과, 개시 시각이 1분 이내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36). 즉, 제1세션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1분 이내」라고 한 것은, 멀티세션 디스크의 포맷에 의하면, 제2세션은, 시각이 약 1분의 위치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후는, LI 액세스 재시행 플래그에 1을 설정하고(단계 37), 단계 22(도 4)로 되돌아간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도 1)는 트래버스 모터(24)를 구동시켜서 광 픽업 트래버스(22)를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켜서(단계 22), 디스크(1)의 대략 최내주에 광 픽업 트래버스(22)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디스크의 대략 최내주에 광 픽업이 위치하면 최내주 위치검출 스위치(20)가 ON으로 된다. 그래서, 위치검출 스위치(20)가 ON인 것을 검출하면(단계 23), 트래버스 모터(24)를 정지시키고(단계 24), LI 액세스 재시행 플래그가 1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단계 25).
현재, LI 액세스 재시행 플래그는 1이므로, 트래버스 모터(24)의 구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를 180mS에 설정한다(단계 21).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다음은 역방향(외주 방향)으로 트래버스 모터(24)를 구동시킨다(단계 27). 그리고 트래버스 모터(24)의 구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의 시간 길이 T(이 경우는 180mS)가 경과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여(단계 28), 경과되지 않았으면 그대로 트래버스 모터(24)의 구동을 계속한다. 경과된 경우에는 트래버스 모터(24)를 정지시킨다(단계 29). 이에 따라서 광 픽업(23)을 적어도 세션 1의 리드인 영역 1(LIN1)의 개시 위치보다도 외주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래버스 모터(24)를 180mS 만큼 구동시키면, 서브코드가 약 1분 전에 상당하는 위치에 광 픽업(23)이 이동하는 것으로 한다. 광 픽업(23)의 이동에 의해서, 광 픽업(23)은, 디스크(1)의 제2세션의 리드인 영역 2(LIN2)보다도 전(내주측)의 세션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내주 방향으로 32 킥 동작을 실행하여(단계 32),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 1(LIN1)에 액세스해서 TOC 정보 1의 판독을 완료한다.
제어부(4)(도 1)는, 판독한 TOC 정보(TOC1) 중에서 그 세션의 START TNO를 검출하여, 그 TNO의 개시 절대 어드레스 값에 상당하는 개시 시각을 검출한다(단계 35). 검출 결과, 제어부(4)(도 1)는,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디스크의 최초의 재생으로부터 1분 이내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단계 36). 1분 이내이면, 판독한 TOC 정보는, 제1세션의 리드인의 정보인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36). 이 예의 경우에는, 실제로 액세스한 세션은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의 TOC 정보(TOC1)이고, 그 최초의 트랙(TNO1)의 개시 시각에 대하여는 0분 2초라고 하는 값이 취득된 결과, 개시 시각이 1분 이내인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36). 즉, 정확하게 제1세션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에는, TOC 정보 1의 일부인 제1세션의 정보(총 곡수 1, 총 재생 시간 20초)가 표시된다.
이용자가 재생 키(도시하지 않음)를 누르는 등의 재생 조작을 실행하면, 디스크 재생장치(60)는, 기억하고 있는 TOC 정보 1을 참조하여, 지정된 곡의 개시 시각을 조사해서 그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올바로 액세스해서 재생을 개시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단계 36에서는, 리드인 중의 정보에 따라서 그 세션 의 START TNO를 검출하고, 그 TNO의 개시 시각이 디스크의 재생 개시로부터 1분 이하의 위치를 나타내는가 아닌가에 따라서, 제1세션의 리드인인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 값은 3초 이상이고 2분 35초 미만의 값이면, 임의의 값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제1세션 판정부(8)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리드인 중의 정보를 기본으로 그 세션의 START TNO를 검출하고, 그 TNO의 개시 시각이 어느 값 이상(예로서 4초 이상)이면 제2세션 이후의 리드인의 정보인 것으로 판정하여, 제1세션의 리드인에 액세스를 재시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1세션의 리드인에 재시행하기 위한 트래버스 모터의 구동 시간을, 240mS 및 180mS의 2회만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값은 메커니즘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재시행 횟수도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로서, 반복해서 재시행하는 경우, 240mS, 180ms, 150mS, 120mS 등과 같이, 구동 시간을 서서히 적게 하면, 광 픽업의 이동량도 서서히 적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멀티세션 디스크에 수용되어 있는 각각의 프로그램 트랙의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크 최내주 위치로부터 계측한 재생 개시 시각의 정보를 포함하는 목차 정보가 기록된 리드인 영역, 재생 대상인 콘텐츠 데이터를 수용한 프로그램 트랙이 기록된 프로그램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세션을 복수 구성한 멀티세션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세션의 상기 목차 정보를 판독하는 광 픽업과,
    상기 광 픽업이 판독한 상기 목차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개시 시각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멀티세션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세션 판정부를 포함하는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판정부는, 상기 소정의 세션의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소정의 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 것으로 판정하는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판정부는, 상기 소정의 세션의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소정의 값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는 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판정부가, 상기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광 픽업을, 디스크의 더욱 내주에 위치하는 다른 세션에 액세스시키는 액세스 재시행부를 더 포함하는 재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재시행부에 의한 액세스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세션 판정부는, 상기 다른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멀티세션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더 판정하는 재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 픽업은 디스크의 최내주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최내주 위치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재시행부는, 상기 광 픽업을 디스크의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최내주 위치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 상기 광 픽업이 디스크의 최내주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디스크의 최내주 위치로부터 소정의 양만큼 이격된 상기 다른 세션에, 상기 광 픽업을 이동시키는 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재시행부는, 상기 광 픽업을 디스크의 더욱 내주의 세션에 반복해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이동량을 상기 소정의 양으로부터 서서히 적게 하는 재생장치.
KR1020037005311A 2001-07-24 2002-07-24 재생장치 KR100891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23106A JP4226233B2 (ja) 2001-07-24 2001-07-24 再生装置
JPJP-P-2001-00223106 2001-07-24
PCT/JP2002/007459 WO2003010769A1 (fr) 2001-07-24 2002-07-24 Appareil de re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445A KR20040016445A (ko) 2004-02-21
KR100891400B1 true KR100891400B1 (ko) 2009-04-02

Family

ID=1905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311A KR100891400B1 (ko) 2001-07-24 2002-07-24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68570B2 (ko)
JP (1) JP4226233B2 (ko)
KR (1) KR100891400B1 (ko)
CN (1) CN1468434A (ko)
WO (1) WO2003010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5846A (ja) * 2003-07-01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セッションディスクの音声サーチ制御装置、音声サーチ制御方法、音声サーチ制御用記録媒体および音声サーチ制御用プログラム
KR20050036228A (ko) * 2003-10-15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재생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46990B1 (ko) 2003-11-25 2010-03-10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복사 방지용 cd 재생을 위한 toc 판독 방법
CN101820542A (zh) * 2010-03-04 2010-09-01 上海大学 一种不均等功耗有效控制的视频传输方法
JP2013175255A (ja) * 2012-02-24 2013-09-05 Clarion Co Ltd 光ディスクのセッション解析装置、解析方法、解析プログラム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20180229407A1 (en) * 2017-02-03 2018-08-16 Marhaygue, Llc Structural Composition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9252A (ja) * 1993-06-07 1994-12-22 Hitachi Ltd 録再型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10228754A (ja) 1997-02-12 1998-08-25 Funai Techno Syst Kk マルチセッションディスクのセッションサーチ方法
JPH11185391A (ja) 1997-12-24 1999-07-09 Yamaha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9388B2 (ja) * 1991-09-27 2001-12-17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記録装置、デイスク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
MY114518A (en) * 1994-03-19 2002-11-30 Sony Corp Optical dis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then playing information back from that disk
TW250565B (en) * 1994-10-20 1995-07-01 Digital Audio Disc Corp Mass production of multisession discs
JPH08161754A (ja) * 1994-11-30 1996-06-21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記録円盤及びその再生装置
KR0183160B1 (ko) * 1995-09-30 1999-05-15 김광호 멀티 세션 디스크 및 고속 억세스 방법
US5978812A (en) * 1995-11-10 1999-11-0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or and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US6009058A (en) * 1997-05-13 1999-12-28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reducing formatting time for rewritable compact disks by pre-formatting less than the entire standard logical format
JP3546654B2 (ja) * 1997-08-07 2004-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1093150A (ja) * 1999-09-20 2001-04-06 Yamaha Corp Cd−rディスクの記録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9252A (ja) * 1993-06-07 1994-12-22 Hitachi Ltd 録再型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10228754A (ja) 1997-02-12 1998-08-25 Funai Techno Syst Kk マルチセッションディスクのセッションサーチ方法
JPH11185391A (ja) 1997-12-24 1999-07-09 Yamaha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36651A (ja) 2003-02-07
US7068570B2 (en) 2006-06-27
WO2003010769A1 (fr) 2003-02-06
US20040022138A1 (en) 2004-02-05
JP4226233B2 (ja) 2009-02-18
KR20040016445A (ko) 2004-02-21
CN1468434A (zh) 200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9082B2 (ja) オーディオデータの区切り位置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2851756B2 (ja) ダブルデッキ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
US6654863B2 (en) Disc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930009689B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오기록 방지 방법
KR100891400B1 (ko) 재생장치
KR100881489B1 (ko) 재생장치
JPH06111548A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のチェンジャーシステム
KR100283244B1 (ko) 광 디스크 유형에 따른 적응 재생방법 및 그 장치
US6928037B1 (en) Method for playing back recording medium
US7020060B2 (en)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disc
JP3724477B2 (ja) 再生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638335B2 (ja) 車載用記録担体の再生装置
JP3037066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894560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JP2596623B2 (ja) データ記録方法
JP2704997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4051920B2 (ja) 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H0250352A (ja) 記録媒体ドライブ装置
JP2566325Y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11288559A (ja) 記録再生装置
JPS59107459A (ja) 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
JPH087453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87544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3109316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H02122483A (ja) Cd−rom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