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489B1 -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489B1
KR100881489B1 KR1020037010947A KR20037010947A KR100881489B1 KR 100881489 B1 KR100881489 B1 KR 100881489B1 KR 1020037010947 A KR1020037010947 A KR 1020037010947A KR 20037010947 A KR20037010947 A KR 20037010947A KR 100881489 B1 KR100881489 B1 KR 100881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data
lead
area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841A (ko
Inventor
하리가에신이치
엔도사토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1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mixed data, i.e.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7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 G11B2020/10888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the kind of data being the selection criter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오디오 세션과 데이터 세션의 양쪽을 포함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 세션을 확실하게 인식하여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재생장치는, 제1데이터를 기록한 제1종류의 세션, 및 제1데이터와는 상이한 제2데이터를 기록한 제2종류의 세션이 혼재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의 재생장치로서, 제1종류의 세션, 및 제2종류의 세션에 액세스하는 광 픽업과, 광 픽업으로써 액세스한 세션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판정부가 판정한 제2종류의 세션이, 제1종류의 세션보다 뒤의 액세스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 제1종류의 세션을 재생 가능한 세션으로 제한하는 한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재생장치{RE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세션(multisession) 디스크의 재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콤팩트 디스크(CD)는 사용자가 기록을 할 수 없는 매체이다. 그러나, 현재는, 기록 가능한 매체인, CD-R(compact disk recordable) 또는 CD-RW(compact disk rewritable)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매체는, 그 매체용의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로써 제작 및 재생할 수 있다.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는, CD-R 및 CD-RW를, 통상의 단일 세션(single session) CD 이외에, 멀티세션 CD로서도 제작할 수 있다. 「세션」이라는 것은, 디스크 1장에 형성되는 기록 단위이다. 도 5는, 단일 세션으로 기록한 디스크의 데이터 레이아웃 예를 나타낸다. 단일 세션 디스크는, 1개의 리드인(lead-in) LI, 프로그램 영역 PA, 리드아웃(lead-out) LO로써 구성된다. 리드인 LI에는, 목차 정보로서의 콘텐츠 테이블 정보(이하,「TOC(table of contents) 정보」라고 칭한다)가 기록되어 있다. 종래의 CD나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은 단일 세션 CD이다. 한편, 멀티세션 CD는, CD-R 및 CD-RW에 일단 부분적으로 기록을 실시한 후에, 이미 기록 완료된 부분 이후에 세션을 추가 기록함으로써 제작된, 복수 세션으로써 구성되는 CD이다. 도 6은, 멀티세션으로 기록한 디스크의 데이터 레이아웃 예 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멀티세션 디스크에는, 리드인 LI(k), 프로그램 영역 PA(k), 리드아웃 LO(k)로 구성되는 세션이 복수 개(M개(k=1∼M))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리드인에는, 각각 목차 정보로서의 TOC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멀티세션 CD의 각각의 리드인 영역 LI내의 TOC 정보는, 해당 세션의 위치 정보 이외에,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PA의 개시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단일 세션 CD의 TOC 정보와는 상이하다.
멀티세션 CD에는, 세션 마다 데이터나 오디오(CD-DA)를 기록할 수 있고, 이러한 세션을 각각 데이터 세션, 오디오 세션이라고 부른다. 멀티세션 CD에는, 데이터 세션과 오디오 세션을 동일 디스크내에 함께 기록할 수도 있다.
도 7은, 오디오 세션을 최후에 포함하는 멀티세션 CD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8은, 오디오 세션을 사이에 포함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멀티세션 CD는, 각각의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PA에 1개 또는 복수의 트랙을 기록하고, 및 ISO 9660 파일 시스템을 기록하고, 해당하는 세션의 트랙 정보와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의 개시 시간 정보를 해당 세션의 리드인 영역 LI에 기록하고 종료하는 순서로 제작된다. 상기 과정에 있어서 디스크에 추가 기록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는, 리드인 영역 LI에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의 개시 시간 정보를 기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디스크상에, 컴퓨터로써 판독 가능한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는 ISO 9660 파일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 시스템을 사용해서 기록한 것이 데이터 세션이 된다. ISO 9660 파일 시스템은 파일 단위로써 데이터를 관리하고, 디렉토리를 이용해서 계층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세션으로 구성되는 멀티세션 CD에서는, 내주측의 데이터 세션에 기술되는 ISO 9660 파일 시스템 정보를 다음 데이터 세션의 ISO 9660 파일 시스템 정보에 부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멀티세션 CD의 최종 세션의 ISO 9660 파일 시스템을 해석함으로써, 멀티세션 CD의 모든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멀티세션 CD에서는, 세션 1로부터 세션 M까지 모두가 데이터 세션이면, 최종 세션 M의 ISO 9660 파일 시스템을 해석함으로써, 멀티세션 CD의 모든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이나 도 8과 같이 동일 디스크상에 오디오 세션을 기록하면, 그것보다도 내주측의 데이터 세션에 기술되는 ISO 9660 파일 시스템 정보를, 다음 오디오 세션의 ISO 9660 파일 시스템 정보에 부가할 수는 없다. 따라서, 멀티세션 CD의 최종 세션의 ISO 9660 파일 시스템을 해석해도, 멀티세션 CD의 모든 파일에 액세스할 수는 없다. 도 7과 도 8의 예에서는, 최종 세션(세션 5)으로부터 그 이전의 세션을 참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어서,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2)는, 재생을 위한 디스크(1)를 장착할 수 있고, 장착된 디스크(1)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픽업등의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재생부(2)는 최내주측의 리드인 영역으로부터 프로그램 영역의 개시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그 위치에 광 픽업을 이송하여 프로그램 영역으로부터 신호를 검출한다. 신호처리부(5)는, 재생부(2)로부터의 데이터를, 기록 형태의 데이터 포맷으로부터 복조(디코드)한다. 데이터 기억부(10)는, 복조한 재생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제어부(4)는 디스크 재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4)는, 디스크 재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제어부(4)는, 신호처리부(5)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부(10)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멀티세션 CD를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60)로써 재생하려고 하면, 디스크 재생장치(60)는, 우선, 멀티세션 CD의 리드인 영역을 순차적으로 검사해서 최종 세션을 확인하고, 그 후 재생동작을 실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즉, 디스크 재생장치(60)에 멀티세션 CD(도 6)를 삽입하면, 제어부(4)는, 광 픽업(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디스크 최내주 부분의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 LI(1)에 위치시키고, 여기부터 제2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PA(2)의 개시 어드레스를 확인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픽업을 제2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PA(2)에 이동시켜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사한다. 이 경우, 프로그램 영역 PA(2)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되면, 픽업을 다시 CD의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2세션의 리드인 영역 LI(2)의 위치로부터 다음의 제3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PA(3)의 개시 어드레스를 판독한다. 그리고, 또한, 프로그램 영역 PA(3)에 픽업을 이동시켜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다시 검사한다. 이와 같이 하여, 디스크 재생장치(60)는, 최후의 세션인 세션 M까지 반복하면서 각각의 세션의 상태를 검사한다.
이 반복 검사의 경우에, 제k세션의 리드인 영역 LI(k)에 다음 세션 개시 시간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또는 제(k+1)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PA(k+1)에 데이 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이 판명되면, 그 시점에서, 디스크 재생장치(60)는 제k세션이 최후의 세션인 것으로 판정하고, 픽업을 기록 데이터가 있는 제k세션 이전의 영역에 이동시켜서 ISO 9660 파일 시스템의 해석을 시작한다.
이어서, 디스크상의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순서는 이하와 같다. 제어부(4)는, 데이터 기억부(10)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 복조증폭부(11)에서 아날로그 음악 신호로 복조하는 동시에, 충분히 큰 전기 신호로서 스피커(12)로부터 출력시킨다. 제어부(4)는 디스크 재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디스크(1)의 내주측의 리드인 영역에 있는 TOC 정보를 신호처리부(5)와 서브코드 검출부(6)를 통해서 일단 판독하고, TOC 정보기억부(7)에 기억시킨다. TOC 정보를 우선 판독하고, 디스크(1)에 있는 트랙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함으로써, 디스크 재생장치(60)는, 사용자에게 연주 희망곡의 선택을 독촉한다. 사용자가 곡을 선택하면, 제어부(4)는, TOC 정보 중에서, 프로그램 영역내의 재생해야 하는 트랙의 개시 어드레스 정보를 선택하여, 그 위치에 광 픽업을 이동해서 음악 데이터 신호를 판독한다. 제어부(4)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이러한 동작을 실행한다.
따라서, 디스크를 디스크 재생장치(60)에 장착하면, 디스크 재생장치(60)는, TOC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리드인 영역 LI에 픽업을 이동시킨다. 이 동작에는 현재의 픽업 위치를 인식하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픽업 위치는, 예로서, 픽업 위치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전위차계(potentiometer)의 검출 전압을 이용해서 인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위차계의 검출 전압에 따라서, 스테핑 모터, 리니어 모터 등을 구동시켜서, 광 픽업을 고정밀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위차계나 리니어 모터등의 채용은 고비용을 초래한다. 그 때문에, 전위차계와 같은 위치 센서에 대신하여, 광 픽업이 디스크(1)의 거의 최내주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만 ON이 되는 염가의 위치 검출용 푸시 스위치를 이용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도 10A~도 10C는, 이 기술을 이용한 염가 메커니즘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디스크 재생장치(60)(도 9)에, 데이터 세션만 기록한 멀티세션 CD(도 6)를 장착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디스크 재생장치(60)가 멀티세션 CD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플로차트이다. 디스크 재생장치(60)(도 9)의 메커니즘에서는, 멀티세션 CD를 장착하면, 제어부(4)(도 9)는, 광 픽업의 위치를 항상 인식할 수는 없다. 그래서, 우선, 제어부(4)는, 디스크(1)의 거의 최내주에 광 픽업을 위치시키기 위해서 광 픽업을 내장한 트래버스(traverse)를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 21). 그리고 디스크의 거의 최내주에 광 픽업이 위치하면, 트래버스를 외주 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동시킨 다음 정지시킨다(단계 22). 광 픽업을 최초의 리드인 LI(1)에 액세스시키면, 서브코드를 읽어서 TOC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23), 그 세션이 데이터 세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26). 데이터 세션이 아닌 경우(단계 26의 NO의 경우)에는, 오디오 세션인 것으로 판정하여, CD-DA 신호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35). 한편, 데이터 세션인 경우(단계 26의 YES의 경우)에는, TOC 정보 중에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개시위치 정보가 존재하는가 아닌가에 따라서, 멀티세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27).
TOC 정보 중에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개시위치 정보가 없고, 멀티세션 디스크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27의 NO의 경우)에는, 단일 세션 디스크인 것으로 하여, 단일 세션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34). 한편, TOC 정보 중에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개시위치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멀티세션 디스크인 것으로 판정하여(단계 27의 YES), 다음 세션에 액세스한다(단계 28). 그리고, 다음 세션의 서브코드의 TOC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29), 이 세션이 최종 세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32). 이 단계 32에서의 판정은, 현재의 세션의 TOC 정보에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개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또는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개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어도 실제로는 다음 세션의 기록이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함으로써 실행된다.
검출 결과, 최종 세션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32의 NO의 경우)에는, 다음 세션이 반드시 있으므로 단계 28에 복귀하여, 단계 28, 단계 29, 단계 32의 처리를 반복한다. 최종 세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32의 YES의 경우)에는, 현재의 세션(예로서, 도 6의 세션 M)을 최종 세션으로 하는, 소정의 멀티세션에 액세스하기 위한 멀티세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33).
디스크 재생장치(60)(도 9)에 있어서, 멀티세션 디스크(도 7)를 재생하려고 한 경우에는, 디스크 재생장치(60)는, 세션 5까지 액세스하여 다음 세션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려고 한다. 그러나, 다음 세션의 어드레스 정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세션 5를 최종 세션으로서 파일 시스템을 해석하려고 한다. 세션 5는 오디오 세션이고, 오디오 데이터(CD-DA)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세션 1∼세션 4의 데이터 세션에 관한 파일 시스템 정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세션 1∼세션 4의 재생용 데이터에는 액세스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디스크 재생장치(60)(도 9)에 있어서, 멀티세션 디스크(도 8)를 재생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재생장치(60)는, 세션 4까지 액세스하여 다음 세션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려고 한다. 그러나, 다음 세션의 어드레스 정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세션 4를 최종 세션으로 하여 파일 시스템을 해석하려고 한다. 세션 4는 오디오 세션이고, 오디오 데이터(CD-DA)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세션 1∼세션 3의 데이터 세션에 관한 파일 시스템 정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세션 1∼세션 3의 재생용 데이터에는 액세스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60)에서는, 최종 세션의 ISO 9660 파일 시스템의 해석을 실행해도, 오디오 세션보다도 내주측의 데이터 세션의 정보를 취득할 수 없고, 이들 내주측의 데이터 세션에는 액세스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60)(도 9)에는, 추가로 또 하나의 문제가 존재한다. 즉, 디스크 재생장치(60)는, 멀티세션으로 기록된 디스크의 재생의 경우에, 제1세션의 수록 데이터 용량이 작은 경우, 본래의 재생 대상이 아닌 데이터를 잘못해서 재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 이유는, 제1세션의 수록 데이터 용량이 작으므로, 제1세션의 TOC 정보를 판독하기 위하여 액세스했음에도 불구하고, 제1세션의 수록 부분을 건너뛰어서 다음 세션 2의 리드인에 진입하는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해당하는 기타의 세션의 TOC 정보를 판독하여 기억하게 된다. 이러한 오동작의 근본적인 원인은, 시판되고 있는 음악용 오디오 CD는, 많은 것이 단일 세션으로서 멀티세션이 아니므로, 디스크 재생장치(60)가 단일 세션의 디스크의 재생밖에 고려하지 않는 것에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오디오 세션을 포함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의 좌단 부분(세션 1과 세션 2의 부분)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디스크의 세션 1에는, 매우 짧은 20초간의 오디오 세션이 기록되어 있다.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60)(도 9)에 있어서 이 디스크를 재생하면, 단계 22(도 11)에서, 세션 1(오디오 세션)을 건너뛰어서 세션 2의 리드인 LI(2)에 진입한다. 그리고, 단계 23(도 11)의 TOC 정보를 판독하는 동작이 실행되었을 때, 세션 2 이후만이 인식되어서 원래 실행되어야 하는 세션 1의 CD-DA 처리(단계 35)가 실행되지 않는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세션과 데이터 세션의 양쪽을 포함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 세션을 확실하게 인식해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을 판정하여, 본래의 재생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재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재생장치는, 제1데이터를 기록한 제1종류의 세션, 및 제1데이터와는 상이한 제2데이터를 기록한 제2종류의 세션이 혼재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의 재생장치로서, 제1종류의 세션, 및 제2종류의 세션에 액세스하는 광 픽업과, 광 픽업으로써 액세스한 세션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판정부가 판정한 상기 제2종류의 세션이, 상기 제1종류의 세션보다 뒤의 액세스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1종류의 세션을 재생 가능한 세션으로 제한하는 한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데이터 세션이 기록되고, 데이터 세션에 이어서 디스크 외주 방향으로 오디오 세션이 기록되어 있는 멀티세션 CD를 재생할 때에, 오디오 세션의 직전의 데이터 세션까지를 액세스하는 유효 세션으로 설정하므로, 오디오 세션에의 액세스를 제한하여, 오디오 세션보다도 내주측의 데이터 세션을 확실하게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세션 디스크의 제1세션의 수록 데이터가 극히 소용량인 경우에, 디스크의 TOC 정보의 판독시에, 광 픽업이 제1세션의 수록 데이터 부분을 건너뛰어서, 다른 세션의 리드인에 진입해도, 제1세션의 리드인인가 아닌가를 판별하여 제1세션의 리드인에 다시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하려고 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의 제1세션의 수록 데이터가 극히 소용량인 경우에도, 재생에 필요한 TOC 정보를 올바로 판독할 수 있다. TOC 정보를 올바로 판독할 수 있으므로, 염가의 위치검출 푸시 스위치나, 속도제어 메커니즘이 없는 브러시 부착 DC 모터를 사용한 멀티세션 디스크 사용시에도 액세스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저렴한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한정부는, 상기 제2종류의 세션의 직전에 존재하는 상기 제1종류의 세션을, 최후의 세션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제1종류의 세션만을 재생 가능한 세션으로 제한해도 좋다.
상기 제1데이터는 컴퓨터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2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CD-DA)라도 좋다.
상기 제1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CD-DA)이고, 상기 제2데이터는 컴퓨터에서 이용하는 데이터라도 좋다.
상기 제1종류의 세션, 및 제2종류의 세션은, 각각의 프로그램 트랙의 개시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크 최내주위치로부터 계측한 재생 개시 시각의 정보를 포함하는 목차 정보가 기록된 리드인 영역, 데이터를 수용한 프로그램 트랙이 기록된 프로그램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 픽업이 판독한 상기 목차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개시 시각 정보에 따라서, 그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멀티세션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세션 판정부를 추가로 포함해도 좋다.
세션 판정부는, 상기 소정의 세션의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소정의 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그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 것으로 판정해도 좋다.
세션 판정부는, 상기 소정의 세션의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소정의 값보다도 큰 경우에, 그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정해도 좋다.
세션 판정부가, 상기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광 픽업을, 디스크의 더욱 내주에 위치하는 다른 세션에 액세스시키는 액세스 재실행부(retry unit)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액세스 재실행부에 의한 액세스 결과에 따라서, 세션 판정부는, 상기 다른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멀티세션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추가로 판정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재생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디스크 재생장치의 세션의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은 디스크 재생장치의 액세스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는 디스크 재생장치의 액세스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단일 세션으로 기록한 디스크의 데이터 레이아웃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멀티세션으로 기록한 디스크의 데이터 레이아웃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오디오 세션을 최후에 포함하는 멀티세션 CD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오디오 세션을 사이에 포함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A~도 10C는 염가 메커니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디스크 재생장치가 멀티세션 CD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플로차트.
도 12는 오디오 세션을 포함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좌단 부분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재생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디스크 재생장치(100)는, 장착된 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디스크(1)는, 복수의 세션이 구성된 멀티세션 디스크이다. 여기서 「세션」은, 리드인 영역, 프로그램 영역, 리드아웃 영역의 3개의 기록 영역으로 구성되는 기록 단위이다. 각각의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에는, 콘텐츠 데이터(예로서, 오디오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또는 컴퓨터에서 이용하는 데이터)를 수용한 프로그램 트랙이 기록된다. 컴퓨터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에는, 오디오 신호를 압축한 MP3 포맷 등의 CD-ROM 데이터도 포함된다.
리드인 영역에는,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프로그램 트랙)의 개시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목차 정보로서의 콘텐츠 테이블 정보(이하,「TOC 정보」라고 칭한다)가 기록되어 있다. 데이터의 개시위치는, 디스크 최내주로부터, 또는, 어떤 기준점으로부터 통상적인 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재생 시각 정보에 의해서 특정된다. 한편, 디스크(1)에는, 디스크 최내주로부터 재생했을 때의 재생 시각을 특정 가능한 서브코드 정보가 규칙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디스크 재생장치(100)는, 서브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TOC 정보에 의해서 표시되는 디스크 최내주로부터의 재생 개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를 특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필요한 위치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시각」이라는 것은, 디스크의 최내주로부터, 또는, 기준점으로부터 계측했을 때의 재생 개시 시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서브코드 정보는, 시각뿐만 아니라, 그 세션의 종류(오디오 세션, 또는, 데이터 세 션), 곡의 번호, 인덱스, 시간, 문자 등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시각, 및, 세션의 종류를 특정 가능한 서브코드 정보를 이용한다.
디스크 재생장치(100)는, 재생부(2)와, 최내주위치 검출부(3)와, 제어부(4)와, 신호처리부(5)와, 서브코드 검출부(6)와, TOC 정보기억부(7)와, 제1세션 판정부(8)와, 제1세션 액세스 재실행부(9)와, 데이터 기억부(10)와, 오디오 복조증폭부(11)와, 스피커(12)와, 세션 종류 판정부(13)와, 재생 세션 한정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디스크 재생장치(100)의 각각의 구성 요소를 설명한다. 재생부(2)는, 재생의 대상이 되는 디스크(1)를 장착하고, 장착된 디스크(1)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픽업 등의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부(2)는, 도 10A~도 10C에 나타내는 기구(염가 메커니즘)로써 실현된다. 도 10A~도 10C는, 염가 메커니즘의 구조를 나타낸다.
염가 메커니즘에서는, 광 픽업 트래버스(62)가 디스크(1)의 거의 최내주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만 ON이 되는 염가의 위치 검출용 푸시 스위치(최내주위치 검출 스위치(60))를 채용한다. 최내주위치 검출 스위치(60)는, 최내주위치 검출부(3)(도 1)로서 제어부(4)(도 1)에 접속된다. 또한 염가 메커니즘에서는, 고가인 리니어 모터 대신에, 염가의 모델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식의 속도제어 메커니즘이 없는 브러시 부착 DC 모터를 트래버스 모터(64)로서 채용한다.
디스크(1)는 턴테이블(61)에 장착되고, 도 10C에 나타내는 스핀들 모터(65)에 의해서 구동된다. 광 픽업(63)은 광 픽업 트래버스(62)에 내장되어 있다. 즉, 광 픽업 트래버스(62)를 이동시키면, 광 픽업(63)도 이동하게 된다. 트래버스 모터(64)가 회전하면 트래버스 이송 기어 샤프트(66)가 회전하고, 광 픽업 트래버스(62)가, 슬라이드 샤프트(67)에 의해서 가이드되어서, 흔들림이 거의 없는 상태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은 기본 동작에 의해서, 재생부(2)(도 1)는, 장착된 디스크(1)의 데이터를 재생한 재생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재생」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상태로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디스크(1)의 피트(pit) 정보 등에 따라서, 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를 인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내주위치 검출부(3)는, 디스크(1)의 최내주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제어부(4)에 보낸다.
신호처리부(5)는, 재생부(2)로부터의 재생 신호를 디지털 재생 데이터 신호로서 복조한다. 복조된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기억부(10)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재생 데이터 신호가 음악 데이터 신호인 경우에는, 오디오 복조증폭부(11)는, 재생부(2)로부터의 디지털 재생 신호를 아날로그 음악 신호로 복원하고, 그 아날로그 음악 신호를 충분히 큰 전기 신호로 증폭한다. 스피커(12)는, 증폭된 아날로그 음악 신호를 음(音)으로서 출력한다. 재생 데이터 신호가 음악 데이터 신호 이외의 경우에는, 그 신호에 따라서 영상 등을 표시하거나, 또는 컴퓨터에서 이용하는 데이터로서 컴퓨터의 메모리 등에 보내어진다.
제어부(4)는, 디스크 재생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실행한다. 액세스시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4)는, 신호처리부(5) 및 서브코드 검출부(6)를 통하여 TOC 정보를 판독하여, TOC 정보기억부(7)(소위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는, 기억한 TOC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해야 하는 트랙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인출하고, 그 위치에 광 픽업을 이동시켜서 음악 데이터 신호를 판독한다.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디스크(1)에 기록된 서브코드 정보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는, 현재의 광 픽업(63)(도 10A)의 위치에 있어서의 서브코드 정보를 판독하고, 서브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각 ta와,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 tb를 비교한다. 시각 ta<시각 tb이면, 제어부(4)는, 광 픽업(63)을 더욱 외주측으로 이동시킨다. 시간 ta>시각 tb이면, 제어부(4)는, 광 픽업(63)을 더욱 내주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시각 ta=시각 tb가 되면, 그 위치가, 재생의 개시위치가 된다. 그리고 제어부(4)는, 그 위치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러한 동작은, 제어부(4)가 구비한 프로그램의 처리에 따라서 실행된다. 제어부(4)의 동작은, 소위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해서 실현된다.
제1세션 판정부(8)는, 액세스 동작에 의해서 도달한 리드인 영역이,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동작에 의해서 도달한 리드인 영역의 TOC 정보에 의해서 표시된, 그 세션에서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소정의 값 이내인가 아닌가에 따라서, 해당 리드인 영역이,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소정의 값」은, 본 명세서에서는 1분이다. 제1세션 판정부(8)는, 해당 영역이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제1세션 액세스 재실행부(9)가, 다시 광 픽업을 디스크의 최내주위치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그 후의 외주 방향에의 광 픽업의 이동 시간을 최초의 액세스 동작에서의 이동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으로 변경해서, 제1세션을 목표로 하여 다시 광 픽업을 이동시키고, 액세스 동작을 실행시킨다. 한편, 제1세션 판정부(8)가 이 영역을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제어부(4)는, 광 픽업에, 이 영역에의 액세스를 계속시켜서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하게 한다.
세션 종류 판정부(13)는, 액세스한 세션의 서브코드 정보의 내용으로부터 그 세션이 오디오 세션인가 데이터 세션인가를 판정한다. 재생 세션 한정부(14)는, 세션 종류 판정부(13)의 출력에 따라서, 필요하면 그 디스크에서 재생해야 하는 세션을 한정한다.
이어서, 디스크 재생장치(100)(도 1)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스크 재생장치(100)는, 도 6에 나타내는 세션 구조를 갖는 멀티세션 디스크(1)를 재생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CD의 리드인 영역을 순차적으로 검사해서 최종 세션을 확인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크 재생장치(100)의 세션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재생부(2)(도 1)에 멀티세션 CD를 장착하면, 제어부(4)(도 1)는, 우선 디스크(1)의 거의 최내주에 광 픽업을 위치시키기 위해서, 광 픽업을 내장한 트래버스를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 21). 이것은, 디스크 재생장치(100)에 구비되어 있는 염가 메커니즘(도 10A~도 10C)에서는, 광 픽업의 위치를 항상 인식할 수는 없으므로, 우선, 디스크(1)의 거의 최내주에 이동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디스크의 거의 최내주에 광 픽업이 위치하면, 트래버스를 외주 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동시킨 다음 정지시킨다(단계 22). 그리고, 제1세션 판정부(8)는, 신호처리부(5) 및 서브코드 검출부(6)를 통해서 서브코드를 읽어서, TOC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세션이 최초의 세션, 즉, 세션 1(도 6)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24).
제1세션 판정부(8)가, 최초의 세션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24에서 NO의 경우)에는, 제1세션 액세스 재실행부(9)에 의해서, 더욱 내주의 세션에 다시 액세스해서(단계 25), 단계 23과 단계 24를 반복한다. 한편, 제1세션 판정부(8)가, 최초의 세션인 것으로 검출한 경우(단계 24에서 YES의 경우)에는, 이어서, 세션 종류 판정부(13)가, 그 세션이 데이터 세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26). 데이터 세션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26에서 NO의 경우)에는, 세션 종류 판정부(13)는, 현재의 세션은 오디오 세션인 것으로 판정하고, CD-DA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35). 데이터 세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26에서 YES의 경우)에는, 세션 종류 판정부(13)는, TOC 정보 중에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개시위치 정보가 존재하는가 아닌가에 따라서, 이 디스크가 멀티세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27).
판정 결과, TOC 정보 중에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개시위치 정보가 없고, 멀티세션 디스크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27의 NO의 경우)에는, 단일 세션 디스크인 것으로 하여, 단일 세션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34). 한 편, TOC 정보 중에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개시위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멀티세션 디스크인 것으로 판정하여(단계 27의 YES), 다음 세션에 액세스한다(단계 28). 그리고 다음 세션의 서브코드의 TOC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29), 현재 액세스중인 그 세션이 데이터 세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30).
판정 결과, 현재 액세스중인 세션이 데이터 세션이 아닌 경우(단계 30의 NO의 경우)에는, 그 세션은 오디오 세션이 되고, 재생 세션 한정부(14)(도 1)는, 현재의 세션 앞의 세션을 최종 세션으로서 설정한다(단계 31). 이러한 설정을 실행하는 의미는, 디스크 재생장치(100)(도 1)가 재생 가능한 세션을 현재의 세션 이전의 영역으로 한정시키는 것에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디오 세션에의 액세스가 실행되지 않게 되고, 디스크의 데이터 세션만을 적절하게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설정이 종료되면, 제어부(4)(도 1)는, 멀티세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33).
한편, 현재 액세스중인 세션이 데이터 세션인 경우(단계 30의 YES의 경우)에는, 현재의 세션도 데이터 세션인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세션이 최종 세션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추가로 실행한다(단계 32). 이 판정은, 현재의 세션의 TOC 정보에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개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다음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 개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어도 실제로는 다음 세션의 기록이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함으로써 실행된다. 최종 세션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32의 NO의 경우)에는, 다음 세션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최종 세션이 될 때까지 단계 28, 단계 29, 단계 30, 단계 32의 처리를 반복한다. 최종 세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32의 YES의 경우)에는, 제어부(4)(도 1)는, 현재의 세션(예로서, 도 6의 세션 M)을 최종 세션으로 하는 멀티세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33).
멀티세션 처리로서는, 예로서, 이하와 같은 규격을 고려할 수 있다. 즉, 모든 세션에 수록되어 있는 파일 중에서, 이 디스크 재생장치로써 재생할 수 있는 곡의 정보(예로서 MP3 형식의 파일)가 몇 개 있는가를 조사하고, 예로서 전부 100곡이 이 디스크에 수용되어 있어서 전부를 재생하면 255분 30초 걸린다고 하는, 일부의 중요 정보를 표시부(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가 PLAY 키(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누르는 등의 재생 개시 조작을 실행하면, 최종 세션(세션 M)의 파일 시스템 정보를 참조하여, 지정된 곡 파일의 개시위치를 조사하고, 그 위치에 액세스해서 재생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멀티세션 디스크로서, 도 7에 나타내는 세션 구조를 갖는 멀티세션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디스크 재생장치(100)의 세션 종류 판정부(13)(도 1)는, 최초의 데이터 세션 1을 인식한 후, 데이터 세션 4까지를 순서대로 인식한다. 그리고, 세션 5가 오디오 세션인 것으로 인식한 시점에서, 재생 세션 한정부(14)(도 1)는, 세션 4가 최종 세션인 것으로 설정한다. 그 결과, 오디오 세션 5에의 액세스는 제한되고, 멀티세션 처리는, 데이터 세션 1∼4만을 대상으로 하여 실행되게 된다. 즉, 데이터 세션 1∼4의 범위에서 파일의 액세스 및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세션 1∼세션 4의 데이터 세션에 관한 파일 시스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오디오 세션(세션 5)에는 액세스하지 않고, 최종 세션으로서의 데이터 세션 4의 TOC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 세션 1∼4의 파일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세션에 기록된 데이터에 확실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멀티세션 디스크로서, 도 8에 나타내는 세션 구조를 갖는 멀티세션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세션 종류 판정부(13)가, 세션 4가 오디오 세션인 것으로 인식한 시점에서, 재생 세션 한정부(14)는, 세션 3이 최종 세션인 것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서, 데이터 세션 1∼3의 범위에서 파일의 액세스와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디스크 내주로부터 액세스한 경우의 액세스 위치에 관해서, 데이터 세션이 오디오 세션보다 앞에 존재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예이며, 데이터 세션과 오디오 세션을 바꿔 넣어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내주로부터 액세스한 경우의 액세스 위치에 관해서, 오디오 세션이 데이터 세션보다 앞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최초의 오디오 세션만을 재생 가능한 세션으로 설정해도 좋다.
이어서, 제1세션의 수록 데이터가 소용량인 멀티세션 디스크의 재생을 설명한다. 도 12는, 오디오 세션을 포함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의 좌단 부분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디스크의 세션 1에는, 매우 짧은(20초의) 오디오 세션이 기록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디스크 재생장치(100)(도 1)의 액세스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크(1)를 장착하면, 최초의 데이터 초기화 동작으로서 LI 액세스 재실행 플래그를 0에 재설정한다(단계 41). LI 액세스 재실행 플 래그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디스크(1)를 장착했을 때, 도 10A~도 10C에 나타내는 염가 메커니즘에서는, 광 픽업(63)의 위치를 항상 인식할 수는 없다. 그래서, 우선, 제어부(4)(도 1)는, 염가 메커니즘의 트래버스 모터(64)를 구동하여, 광 픽업 트래버스(62)를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 42). 이에 따라서 디스크(1)의 거의 최내주에 광 픽업 트래버스(62)(도 2)를 위치시킬 수 있다. 광 픽업(63)(도 2)이 디스크의 거의 최내주에 위치하면, 최내주위치 검출 스위치(60)가 ON이 되고, 그것이 검출된다(단계 43). 그러면, 제어부(4)(도 6)는, 트래버스 모터(64)를 정지시키고(단계 44), LI 액세스 재실행 플래그가 1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단계 45). 최초의 동작시에는 LI 액세스 재실행 플래그는 0이고 1은 아니다. 따라서, 트래버스 모터(64)의 구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를 240mS에 설정한다(단계 46). LI 액세스 재실행 플래그가 1인 경우에 실행되는 단계 47의 처리는 이후에 설명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다음은 역방향(외주 방향)으로 트래버스 모터(64)를 구동시킨다(단계 48). 그리고, 트래버스 모터(64)의 구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의 시간 길이 T(본 실시형태에서는 T=240mS)가 경과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고(단계 49), 경과되지 않았으면 그대로 트래버스 모터(64)의 구동을 계속한다. 경과된 경우에는 트래버스 모터(64)를 정지시킨다(단계 50). 이에 따라서 광 픽업(63)을 적어도 디스크(1)의 리드인 LI(1)(도 13)의 개시위치보다도 외주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디스크 재생장치(100)(도 1)에서는, T=240mS에 설정하면, 상온(常溫)에서 리 드인 LI(1)(도 13)의 종료점으로부터, 서브코드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이 약 3분을 나타내는 위치에 이동한다. 이 위치에 광 픽업(63)을 이동시킨 후는, 이어서 TOC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리드인 LI(1)(도 13)에 액세스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다시 서브코드 정보를 판독하여(단계 51), 현재의 위치가 리드인 영역내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5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디스크의 제1세션에는 20초의 짧은 CD-DA 데이터의 곡이 기록되고, 제2세션에는 CD-ROM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코드 정보가 약 3분인 위치에는 제2세션의 리드인 영역 LI(2)(도 13)가 존재하게 된다. 현재, 광 픽업(63)은 제2세션의 리드인 영역 LI(2)(도 13)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세션의 리드인 영역 LI(2)(도 13)의 TOC 정보(TOC 2)의 판독을 개시하고(단계 53), 판독을 완료한다(단계 55). 즉, 단계 53에서의, 내주 방향으로 32번의 킥(kick) 동작을 실행할 일은 없다.
제어부(4)(도 1)는, 판독한 TOC 정보(TOC 2) 중에서 그 세션의 START TNO(해당 세션의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 번호)를 검출하여, 최초의 트랙의 개시위치를 검출한다(단계 56). 검출 결과, 제1세션 판정부(8)(도 1)는, 트랙의 개시 시각이, 디스크의 최초의 재생으로부터 1분 이내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단계 57). 1 분 이내이면, 판독한 TOC 정보는, 제1세션의 리드인의 정보인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57). 이 예의 경우에는, 액세스한 세션은 제2세션이고, 그 리드인 영역 LI(2)에 대하여는 2분 54초라고 하는 값을 얻은 결과, 개시 시각이 1분 이내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57의 NO). 즉 제1세션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1분 이내」로 한 것은, 멀티세션 디스크의 포맷 규격에 의하면, 제2세션은, 시각이 약 1분의 위치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후는, LI 액세스 재실행 플래그에 1을 설정하고(단계 58), 단계 42(도 3)에 복귀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4)(도 1)는 트래버스 모터(64)를 구동하여 광 픽업 트래버스(62)를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키고(단계 42), 디스크(1)의 거의 최내주에 광 픽업 트래버스(62)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디스크의 거의 최내주에 광 픽업이 위치하면 최내주위치 검출 스위치(60)가 ON이 된다. 그래서, 위치 검출 스위치(60)가 ON인 것을 검출하면(단계 43), 트래버스 모터(64)를 정지시키고(단계 44), LI 액세스 재실행 플래그가 1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단계 45).
현재, LI 액세스 재실행 플래그는 1이므로, 트래버스 모터(64)의 구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를 180mS에 설정한다(단계 47).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다음은 역방향(외주 방향)으로 트래버스 모터(64)를 구동시킨다(단계 48). 그리고 트래버스 모터(64)의 구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의 시간 길이 T(이 경우는 180mS)가 경과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여(단계 49), 경과되지 않았으면 그대로 트래버스 모터(64)의 구동을 계속한다. 경과된 경우에는 트래버스 모터(64)를 정지시킨다(단계 50). 이에 따라서 광 픽업(63)을 적어도 세션 1의 리드인 영역 LI(1)(도 13)의 개시위치보다도 외주측에 이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래버스 모터(64)를 180mS 만큼 구동시키면, 서브코드가 약 1분에 상당하는 위치에 광 픽업(63)이 이동하는 것으로 한다. 광 픽업(63)의 이동에 따라서, 광 픽업(63)은, 디스크(1)의 제2세션의 리드인 영역 LI(2)(도 13) 보다도 앞(내주측)의 세션내에 위치하므로, 내주 방향으로 32번의 킥(kick) 동작을 실행하여(단계 53),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 LI(1)(도 13)에 액세스해서 TOC 정보 1의 판독을 완료한다. 이 처리는, 단계 51, 52, 54, 55에서 실현된다.
제어부(4)(도 1)는, 판독한 TOC 정보(TOC 1) 중에서 그 세션의 START TNO를 검출하고, 그 TNO의 개시 절대 어드레스 값에 상당하는 개시 시각을 검출한다(단계 56). 검출 결과, 제1세션 판정부(8)(도 1)는,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디스크의 최초의 재생으로부터 1분 이내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단계 57). 1분 이내이면, 판독한 TOC 정보는, 제1세션의 리드인 정보인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57의 YES). 이 예의 경우에는, 실제로 액세스한 세션은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의 TOC 정보(TOC 1)이고, 그 최초의 트랙(TNO 1)의 개시 시각에 대해서는 0분 2초라고 하는 값을 얻은 결과, 개시 시각이 1분 이내인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36). 즉, 정확하게 제1세션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에는, TOC 정보 1의 일부인 제1세션의 정보(총 곡수 1, 총 재생 시간 20초)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PLAY 키(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누르는 등의 재생 조작을 실행하면, 디스크 재생장치(60)는, 기억하고 있는 TOC 정보 1을 참조하여, 지정된 곡의 개시 시각을 조사하여 그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올바로 액세스해서 재생을 개시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의 설명의 단계 57에서는, 리드인내의 정보를 기본으로 그 세션의 START TNO를 검출하고, 그 TNO의 개시 시각이 디스크의 재생 개시로부터 1분 이하의 위치를 나타내는가 아닌가에 따라서, 제1세션의 리드인인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 값은 3초 이상이고 2분 35초 미만의 값이면, 임의의 값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제1세션 판정부(8)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리드인내의 정보를 기본으로 그 세션의 START TNO를 검출하고, 그 TNO의 개시 시각이 어느 값 이상(예로서 4초 이상)이면 제2세션 이후의 리드인 정보인 것으로 판정하여, 제1세션의 리드인에 액세스를 재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1세션의 리드인에 재실행하기 위한 트래버스 모터의 구동 시간을, 240mS 및 180mS의 2회만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값은 메커니즘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재실행 회수도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로서, 반복해서 재실행하는 경우, 240mS, 180mS, 150mS, 120mS 등과 같이, 구동 시간을 서서히 적게 하면, 광 픽업의 이동량을 서서히 적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제1데이터를 기록한 제1종류의 세션, 및 제1데이터와는 상이한 제2데이터를 기록한 제2종류의 세션이 혼재하는 멀티세션 디스크의 재생장치로서,
    제1종류의 세션, 및 제2종류의 세션에 액세스하는 광 픽업과,
    광 픽업으로써 액세스한 세션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판정부가 판정한 상기 제2종류의 세션이, 상기 제1종류의 세션보다 뒤의 액세스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1종류의 세션을 재생 가능한 세션으로 제한하는 한정부를 구비한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정부는, 상기 제2종류의 세션의 직전에 존재하는 상기 제1종류의 세션을, 최후의 세션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제1종류의 세션만을 재생 가능한 세션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는 컴퓨터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2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이고, 상기 제2데이터는 컴퓨터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류의 세션, 및 제2종류의 세션은, 각각의 프로그램 트랙의 개시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크 최내주위치로부터 계측한 재생 개시 시각의 정보를 포함하는 목차 정보가 기록된 리드인 영역, 데이터를 수용한 프로그램 트랙이 기록된 프로그램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 픽업이 판독한 상기 목차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개시 시각의 정보에 따라서, 그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멀티세션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세션 판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세션 판정부는, 상기 소정의 세션의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소정의 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그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세션 판정부는, 상기 소정의 세션의 최초의 프로그램 트랙의 재생 개시 시각이 소정의 값보다도 큰 경우에, 그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세션 판정부가, 상기 소정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상기 제1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광 픽업을, 디스크의 더욱 내주에 위치하는 다른 세션에 액세스시키는 액세스 재실행부(retry unit)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액세스 재실행부에 의한 액세스 결과에 따라서, 세션 판정부는, 상기 다른 세션의 리드인 영역이, 멀티세션 디스크의 최초의 세션의 리드인 영역인가 아닌가를 추가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KR1020037010947A 2001-08-06 2002-08-05 재생장치 KR100881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38143 2001-08-06
JP2001238143A JP4220143B2 (ja) 2001-08-06 2001-08-06 再生装置
PCT/JP2002/007945 WO2003015092A1 (fr) 2001-08-06 2002-08-05 Appareil de re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841A KR20040016841A (ko) 2004-02-25
KR100881489B1 true KR100881489B1 (ko) 2009-02-05

Family

ID=1906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947A KR100881489B1 (ko) 2001-08-06 2002-08-05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06674B2 (ko)
JP (1) JP4220143B2 (ko)
KR (1) KR100881489B1 (ko)
CN (1) CN1282182C (ko)
WO (1) WO2003015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3080A1 (de) * 2002-05-17 2003-12-04 Ahead Software Ag Wahleinrichtung für Lese- und/oder Schreibeinrichtungen für beschreibbare Digital Versatile Disk (DVD)
US20040179449A1 (en) * 2003-03-13 2004-09-16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ystems, Inc. Method of playing copy-controlled audio discs in PC-based optical disc drives
JP2005025846A (ja) * 2003-07-01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セッションディスクの音声サーチ制御装置、音声サーチ制御方法、音声サーチ制御用記録媒体および音声サーチ制御用プログラム
KR100946990B1 (ko) 2003-11-25 2010-03-10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복사 방지용 cd 재생을 위한 toc 판독 방법
CN101361132B (zh) * 2006-01-12 2014-09-03 三菱电机株式会社 追记型基于文件盘片再生装置和追记型基于文件盘片再生方法
KR100833878B1 (ko) 2006-10-30 2008-06-02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
US20100232274A1 (en) * 2009-03-12 2010-09-16 Ping-Tsai Tsai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isc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341A (ja) 1998-03-31 1999-10-15 Canon Inc 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媒体
JP2000285462A (ja) 1999-03-29 2000-10-13 Yamaha Corp 光ディスクのディスク情報取得方法、アクセス制御方法、記録制御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3469A (ja) * 2000-09-07 2002-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の記録制御方法,ドライブ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
JP2002230786A (ja) * 2001-01-31 2002-08-16 Sony Corp 記録媒体、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再生装置及び再生制御方法
KR100888785B1 (ko) * 2001-05-24 2009-03-1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과 데이터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341A (ja) 1998-03-31 1999-10-15 Canon Inc 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媒体
JP2000285462A (ja) 1999-03-29 2000-10-13 Yamaha Corp 光ディスクのディスク情報取得方法、アクセス制御方法、記録制御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15092A1 (fr) 2003-02-20
CN1496565A (zh) 2004-05-12
KR20040016841A (ko) 2004-02-25
US20040071062A1 (en) 2004-04-15
US7106674B2 (en) 2006-09-12
JP2003051177A (ja) 2003-02-21
JP4220143B2 (ja) 2009-02-04
CN1282182C (zh)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78159B2 (ja) 光ディスクのディスク情報取得方法、アクセス制御方法、記録制御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H0237180Y2 (ko)
KR100881489B1 (ko) 재생장치
US6654863B2 (en) Disc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H05205448A (ja) Cd再生装置
JPH04216371A (ja) 情報再生装置
JP4226233B2 (ja) 再生装置
KR100283244B1 (ko) 광 디스크 유형에 따른 적응 재생방법 및 그 장치
US71134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a multisession disc
US6928037B1 (en) Method for playing back recording medium
JP3986856B2 (ja) 情報再生装置とプログラム
JP2576964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704997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704998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3894560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JP2704996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3849651B2 (ja) 再生方法及び再生用プログラム
JP4104573B2 (ja) リードアウトエリア開始位置復元方法およ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4051920B2 (ja) 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4403439B2 (ja) 再生方法
KR960035539A (ko) 광 디스크 무순서 반복 재생 방법
WO2007080675A1 (ja) 追記型ファイル対応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追記型ファイル対応ディスク再生方法
JPH087544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9980036880A (ko) 대화형 콤팩트 디스크 데이터 트랙(cd-i data track)의 스타트(start) 정보 기록 방법
JPH0294190A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再生方法とコンパクトディスクとその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