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878B1 -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878B1
KR100833878B1 KR1020060105452A KR20060105452A KR100833878B1 KR 100833878 B1 KR100833878 B1 KR 100833878B1 KR 1020060105452 A KR1020060105452 A KR 1020060105452A KR 20060105452 A KR20060105452 A KR 20060105452A KR 100833878 B1 KR100833878 B1 KR 100833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information
last
disc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8499A (ko
Inventor
나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6010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8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3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35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session, i.e. a contiguous area having its own lead-in area, program area and lead-out are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세션(Multi session)의 광디스크에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다음 세션을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방법은, 마지막 세션의 인식을 정확히 하고, 마지막 세션 이후 더미 데이터와 같은 정보에 의해서 존재하지 않는 세션을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세션의 제어정보(네비게이션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를 비교하고, 두 정보가 동일할 때 현재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로 본 발명은 마지막 세션을 정확히 인식하여, 존재하지 않는 세션을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멀티 세션 디스크, 세션 인식,

Description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Session recognizing method of multi session disc}
도 1은 일반적인 광디스크드라이브의 제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 멀티 세션 디스크의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종래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을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을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세션 디스크의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을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광디스크 11 : 광픽업
12 : 기록/재생 시스템 13 : 마이컴
14 : 메모리 16 : 서보
본 발명은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세션(Multi session)의 광디스크에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다음 세션을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이 사용하는 광디스크로써 디브이디(DVD)를 들 수 있다. 상기 디브이디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브이디는, 하나의 디스크에 다수의 타이틀을 기록 저장할 수 있으며, 각 타이틀마다 화면표시모드, 오디오 및 오디오 채널 수 등을 지원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 그리고 디스크 복제여부에 대한 저작권 정보, 양면 디스크 또는 단면 디스크 임을 나타내는 디스크 유형 정보 등이 함께 기록 저장된다. 이 외에도 디브이디는 새로운 기능 및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들이 추가 기록되어, 디브이디마다 다양한 특성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디브이디는, 리드 인 영역(Lead in area), 데이터 영역(Data area) 그리고 리드 아웃 영역(Lead out area)으로 구분되는 세션(session)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디브이디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드라이브는, 상기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는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의 재생 또는 기록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브이디의 다른 형태로서 상기 세션을 다수개 구비하는 멀티 세션 디스크가 구현되고 있다. 상기 멀티 세션 디스크는, 상기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그리고 리드 아웃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세션을 다수개 구비하고 있는 디스크이다. 따라서 상기 멀티 세션 디스크는, 각 세션으로 구분하여 데이터의 기록과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 세션 디스크를 재생 또는 기록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광픽업(11), 기록/재생 시스템(12), 마이컴(13), 메모리(14), 서보부(15)가 포함 구성된다.
상기 마이컴(13)은, 장치 내에서 광디스크(10)가 삽입 안착되는 경우, 상기 광디스크의 첫번째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14)에 저장하는 일련의 다운로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운로드 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광디스크(10)의 첫번째 세션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디스크의 첫번째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는 도 2에 도시하고 있 는 바와 같이, 다음 세션의 리드 인 영역 시작위치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따라서 첫번째 세션의 데이터 재생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다음 세션의 리드 인 영역 시작위치정보를 참조해서 다음 세션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 세션으로 이동된 후, 상기 첫번째 세션의 재생과정과 동일하게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 참조해서 동일 세션 내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종래 멀티 세션 디스크에서 세션을 인식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멀티 세션 디스크에서 멀티 세션을 인식하여 각 세션의 데이터의 재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 3의 과정을 통해야만 이루어질 수 있었다.
먼저, 멀티 세션 디스크(10)가 장치 내에 삽입 안착되면, 마이컴(13)은 광디스크의 첫번째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control data zone)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14)에 저장하는 일련의 다운로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운로드 된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집한다(S10).
그리고 제 1 세션의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S10 단계에서 다운로드 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광디스크(10)의 첫번째 세션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게 된다.
상기 제 10 단계에서와 같이 제 1 세션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세션의 재생을 제어한 이후에는 제 2 세션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S10 단계에서 다운로드된 제 1 세션의 네비게이션 정보에는 다음 세션의 리드 인 영역의 시작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마이컴(13)은 다음 세션을 찾아가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세션의 네비게이션 정보에 포함된 다음 세션의 리드 인 영역의 시작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세션을 찾아가게 된다. 상기 세션 간의 이동은, 상기 과정과 같이 이전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포함되고 있는 다음 세션의 시작위치정보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멀티세션의 경우, 세션의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세션의 크기만큼 픽업을 이동시키는 제어로 세션간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광픽업(11)을 이동시키면, 세션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것은 세션이 존재하는 경우에서는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게 되고, 세션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재생을 종료하는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세션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세션의 리드 인 영역의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동일 세션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세션의 데이
터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제 2 세션의 리드 인 영역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세션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세션의 리드 인 영역으로 이동하고, 리드 인 영역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다운로드해서 동일 세션에 대한 제어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세션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는 현재 세션의 시작위치(start of current session) 정보가 포함되어진다.
따라서 마이컴(13)은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세션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현재 세션의 시작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인가를 확인한다(S11).
상기 S11 단계에서 확인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인 경우는 세션이 없는 경우로, 세션을 구성하고 있는 임의의 데이터가 없어서, 광픽업의 독출한 재생신호를 RF처리하면 신호가 "없는 상태(0)"으로 나와야 한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마지막 세션이후로부터 광픽업의 독출신호를 RF 처리한 이후, 기록/재생 시스템(1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없는상태(0)"가 되어야 하고, 마이컴(13)은 이를 인식하여 세션이 없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S11 단계에서 확인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이 아닌 경우에서는 세션을 구성하는 임의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서 세션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 S11 단계의 판단과정에서 임의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때, 세션이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14)에 저장하는 일련의 다운로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운로드 된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현재 세션의 제어정보를 수집한다(S12). 상기 S12 단계에서 수집한 해당 세션에 대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해당세션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S12 단계에서 수집한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다음 세션의 시작위치정보를 확인하고, 다음 세션의 리드 인 영역 시작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는 세션의 크기만큼 일정량 픽업을 이동시켜서 다음 세션이 존재하는 리드 인 영역 위치로 픽업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광픽업으로부터 독출되는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현재 세션의 시작(start of current session)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인가를 확인한다(S13).
상기 S13 단계에서 확인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이 아닌 경우에서는 세션을 구성하는 임의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서 세션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S12 단계 및 S13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마지막 세션의 재생이 종료되기까지 제어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S13 단계에서 확인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인 경우는 세션이 없는 경우로, 세션을 구성하고 있는 임의의 데이터가 없어서, 광픽업의 독출한 재생신호를 RF처리하면 신호가 "없는 상태(0)"가 된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마지막 세션이후로부터 광픽업의 독출신호를 RF 처리한 이후, 기록/재생 시스템(1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없는상태(0)"가 되어야 하고, 마이컴(13)은 이를 인식하여 세션이 없는 상태를 확인한다(S13).
상기 S13 단계에서 더 이상의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을 인식하는 과정이 종료되어진다.
즉, 종래는 각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현재 세션 시작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현재 세션 시작정보의 값이 "0"일 때까지 다음 세션을 인식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는 멀티 세션 디스크에서 각 세션의 인식 및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에 어떤 값이라도 기록이 되어 있으면 세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멀티 세션 디스크에서, 마지막 세션 이후에 더미 데이터 또는 광디스크드라이브 자체의 필요에 의한 임의의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는 마지막 세션의 판단을 위해,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인가를 판단하는 정보에만 기초하기 때문에, 마지막 세션 이후 디스크의 일정위치(세션의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기록되는 위치)에 더미 데이터(Dummy data) 또는 광디스크드라이브 자체의 필요에 의한 임의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다음 세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멀티 세션 디스크에서 존재하지 않는 세션을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 세션 디스크의 인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은, 멀티 세션 디스크의 각 세션의 제어정보를 읽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어정보에서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를 확인하고, 두 정보가 같을 때 현재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정보에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이면 이전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이 아닐 때 상기 제 2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단계에서 읽은 제어정보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해당 세션에 대한 커맨드 수행시에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정보에 기초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세션의 제어정보는,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은, 멀티 세션 디스크에서, 임의의 세션의 위치로 픽업을 이동시키는 제 1 단계; 멀티 세션 디스크의 각 세션의 제어정보를 읽는 제 2 단계; 상기 제어정보에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이면 이전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이 아닐 때, 제어정보에서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를 확인하고, 두 정보가 같을 때 현재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세션의 제어정보는,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에서 읽은 제어정보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해당 세션에 대한 커맨드 수행시에 상기 제 5 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정보에 기초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멀티세션 디스크를 인식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광픽업(11), 기록/재생 시스템(12), 마이컴(13), 메모리(14), 서보부(15)가 포함 구성된다.
상기 마이컴(13)은, 장치 내에서 광디스크(10)가 삽입 안착되는 경우, 상기 광디스크의 첫번째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14)에 저장하는 일련의 다운로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운로드 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광디스크(10)의 첫번째 세션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디스크의 첫번째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음 세션의 리드 인 영역 시작위치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따라서 첫번째 세션의 데이터 재생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다음 세션의 리드 인 영역 시작위치정보를 참조해서 다음 세션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멀티 세션 디스크는 세션의 크기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세션 사이에서 픽업의 이동은, 세션의 크기만큼 이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세션 간의 이동은 어떤 제어로 상관없으며, 단지 픽업의 이동 후, 세션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본다.
그리고 다음 세션으로 이동된 후, 상기 첫번째 세션의 재생과정과 동일하게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 참조해서 동일 세션 내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션은, 앞서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이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그리고 리드 아웃 영역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디스크(10)는 상기와 같은 세션이 다수개 구비된 멀티 세션 디스크이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정보(control data zone)가 기록되는 리드 인 영역에는, 현재 세션의 시작 정보(start of current session),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End of current session), 그리고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End PSN of data zone)가 포함되어진다.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는, 현재 세션의 시작위치에 존재하는 섹터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이 아닌 상태, 즉 광픽업을 통해서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를 읽고 임의의 데이터(0이 아닌 다른 모든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세션이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는, 현재 세션의 마지막 위치에 존재하는 섹터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는, 현재 세션 내에서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는 마지막 섹터번호이다. 따라서 상기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현재 세션의 마지막 위치의 데이터 정보를 확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는, 디스크 전체적으로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위치에 존재하는 섹터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는, 디스크에서 데이터가 기록되는 마지막 위치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된다.
따라서 마이컴(13)은, 본 발명에서 마지막 세션을 인식할 때, 상기 현재 세 션의 시작 정보가 "0"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즉 더 이상 광픽업을 통해서 읽혀지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서 마이컴에서 인식되는 정보가 없는 상태"0"로 판단되는 경우에 이전 세션이 마지막 세션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마이컴(13)은,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를 비교하고, 두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서는 현재 세션이 마지막 세션으로 판단한다. 즉,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는, 세션의 리드 인 위치에 스크래치, 또는 더미 데이터, 또는 광드라이브 자체의 필요에 의한 임의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세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과 같이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세션의 인식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세션의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를 확인하고, 두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마지막 세션임을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마이컴(13)은, 상기 두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현재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한다.
상기 메모리(14)는 각 세션의 재생을 제어할 때 이용되어지는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임시 저장한다. 이렇게 다운로드된 네비게이션 정보는, 각 세션을 재생할 때 이용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세션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때 이용되는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 등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 즉 제어정보에 포함되어진다.
상기 광픽업(11)은, 상기 마이컴(13)의 제어하에 세션간에 이동되어져서 세션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온다. 상기 기록/재생 시스템(12)은 상기 광픽업(11)으로부터 읽어온 데이터를 RF신호로 변환시켜서 재생신호로 이용하거나 마이컴(13)에 제공하여, 세션의 존재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기초정보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픽업(11)에서 읽어오는 정보가 없는 경우, 즉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록/재생 시스템(12)에서 마이컴(13)에 제공되는 신호는 신호가 없는 상태, "0"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임의의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서는 세션이 존재하는 상태로 인식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세션 디스크를 리딩 또는 재생 그리고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디스크드라이브는, 모든 동작의 앞서서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을 위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멀티 세션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해서도 세션의 존재를 인식해야만 하고, 멀티 세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도 세션의 존재를 인식해야만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멀티 세션 디스크에서 각종 커맨드 수행을 위하여 그 전에 필요한 세션의 존재여부를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을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광디스크(10)가 장착되어져서 광픽업(11)의 초기설정된 오프셋 조정후, 레이저를 온시키면, 픽업구동부(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통해 대물렌즈(도시하지 않음)에 집광된 광 빔이 광디스크(10)의 정보기록 트랙 상에 조사되도록 하고, 정보기록 트랙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대물렌즈를 통해 집광하여 포커스 에러신호와 트랙킹 에러신호의 검출을 위한 광 검출소자(도시하지 않음)로 입사되도록 한다.
상기 기록/재생 시스템(12)은, 상기 광픽업(11)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여파하여 이진화시킨다. 상기 이진화된 재생신호는, 마이컴(13)에 제공되어져서 이후 세션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정보로 이용되어진다.
한편, 멀티 세션 디스크(10)가 장치 내에 삽입 안착되면, 마이컴(13)은 광디스크의 첫번째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14)에 저장하는 일련의 다운로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운로드 된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집한다(S20).
상기 S20 단계에서 수집된 네비게이션 정보는, 제 1 세션에 대한 커맨드를 수행할 때 제어정보 이용되어진다. 일 예로, 제 1 세션의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S20 단계에서 다운로드 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광디스크(10)의 첫번째 세션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 출 재생하게 된다.
상기 제 20 단계에서와 같이 제 1 세션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세션의 재생을 제어한 이후에는 제 2 세션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만일 제 1 세션에 대한 커맨드가 존재하지 않을 때는 재생동작과 같은 커맨드 동작 수행없이 제 2 세션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S20 단계에서 다운로드된 제 1 세션의 네비게이션 정보에는 다음 세션의 리드 인 영역의 시작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마이컴(13)은 다음 세션을 찾아가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세션의 네비게이션 정보에 포함된 다음 세션의 리드 인 영역의 시작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세션을 찾아가게 된다. 상기 세션 간의 이동은, 상기 과정과 같이 이전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포함되고 있는 다음 세션의 시작위치정보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멀티세션의 경우, 세션의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세션의 크기만큼 픽업을 이동시키는 제어로 세션간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S21).
상기와 같이 광픽업(11)을 이동시키고, 세션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세션의 존재여부 확인과정은, 앞서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커맨드의 동작 수행을 위하여 필요로 한다. 즉, 입력된 임의의 커맨드 동작 수행을 위해 해당 세션으로 이동되는 것이 우선 동작되야 하고, 이동되는 상태에서 세션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커맨드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세션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세션의 리드 인 영역의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동일 세션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세션의 데이
터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제 2 세션의 리드 인 영역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세션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세션의 리드 인 영역으로 이동하고, 리드 인 영역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다운로드해서 동일 세션에 대한 제어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세션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는 현재 세션의 시작 정보(start of current session)가 포함되어진다.
따라서 마이컴(13)은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세션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인가를 확인한다(S22).
상기 S22 단계에서 확인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인 경우는 세션이 없는 경우로, 세션을 구성하고 있는 임의의 데이터가 없어서, 광픽업(11)의 독출한 재생신호를 RF처리하면 신호가 "없는 상태(0)"으로 나와야 한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마지막 세션 이후로부터 광픽업의 독출신호를 RF 처리한 이후, 기록/재생 시스템(1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없는상태(0)"가 되어야 하고, 마이컴(13)은 이를 인식하여 세션이 없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S22 단계에서 확인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이 아닌 경우에서는 세션을 구성하는 임의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서 세션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상기 S22 단계에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이 아닌 경우, 마이컴(13)은 광픽업(11)의 독출정보로부터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를 확인한다(S23). 상기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는, 현재 세션에서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는 마지막 섹터 번호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는, 디스크에서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는 마지막 섹터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두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서는 현재 세션이 마지막 세션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S22 단계에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이 아니고, 상기 S23 단계에서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때, 현재 세션은 마지막 세션이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S22 단계와 S23 단계에서 현재 세션이 마지막 세션이 아닌 경우, 이후 세션이 더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현재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14)에 저장하는 일련의 다운로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운로드 된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현재 세션의 제어정보를 수집한다(S24). 상기 S24 단계에서 수집한 해당 세션에 대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해당세션에 대한 커맨드의 동작 수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S24 단계까지 수행하고, 다시 광픽업의 이동이 제어된 후, 광픽업의 독출정보로부터 다음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포함되고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현재 세션의 시작(start of current session) 정보를 확인하고(S25),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인가를 확인한다(S26).
상기 S26 단계에서 확인한 세션이 마지막 세션인 경우에서,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은 "0"이 아닌 상태가 된다. 이것은 마지막 세션에도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마지막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은 당연히 "0"이 아닌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S24 단계에서 확인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의 값이 "0"이 아닌 경우에, 현재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7).
이때, 마지막 세션인 경우이므로, 상기S27 단계에서 비교되는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는 동일 정보이다. 이렇게 하여 마이컴(13)은 현재 세션이 마지막 세션임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상기 S24 단계까지 수행하고 다시 S25 단계에서 광픽업의 이동이 제어된 후, 광픽업의 독출정보로부터 다음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포함되고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인 경우에도 이전 세션이 마지막세 션임을 확인하게 된다(S26).
그리고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은, 도 4의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나, S22 단계 즉, 현재 세션의 시작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실시예에서는,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를 비교하고, 두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방법은, 마지막 세션의 인식을 정확히 하고, 마지막 세션 이후 더미 데이터와 같은 정보에 의해서 존재하지 않는 세션을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세션의 제어정보(네비게이션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를 비교하고, 두 정보가 동일할 때 현재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로 본 발명은 마지막 세션을 정확히 인식하여, 존재하지 않는 세션을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멀티 세션 디스크에서 마지막 세션을 정확히 인식하고, 존재하지 않는 세션을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업자 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방법은, 마지막 세션의 인식을 정확히 하고, 마지막 세션 이후 더미 데이터와 같은 정보에 의해서 존재하지 않는 세션을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세션의 제어정보(네비게이션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를 비교하고, 두 정보가 동일할 때 현재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로 본 발명은 마지막 세션을 정확히 인식하여, 존재하지 않는 세션을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멀티 세션 디스크의 각 세션의 제어정보를 읽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현재 세션의 시작 정보와,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 그리고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 중,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 정보가 "0"이 아니면, 상기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가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동일하면, 현재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현재 세션의 시작 정보와,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 그리고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 중, 상기 현재 세션의 시작 정보가 "0"이면, 이전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읽은 제어정보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해당 세션에 대한 커맨드 수행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의 제어정보는,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방법.
  5. 멀티 세션 디스크에서, 임의의 세션의 위치로 픽업을 이동시키는 제 1 단계;
    멀티 세션 디스크의 각 세션의 제어정보를 읽는 제 2 단계;
    상기 제어정보에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이면 이전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현재 세션의 시작정보가 "0"이 아닐 때, 제어정보에서 현재 세션의 마지막 정보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정보를 확인하고, 두 정보가 같을 때 현재 세션을 마지막 세션으로 인식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의 제어정보는, 세션의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읽은 제어정보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해당 세션에 대한 커맨드 수행시에 상기 제 5 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정보에 기초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 디스크의 세션 인식방법.
KR1020060105452A 2006-10-30 2006-10-30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 KR100833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452A KR100833878B1 (ko) 2006-10-30 2006-10-30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452A KR100833878B1 (ko) 2006-10-30 2006-10-30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499A KR20080038499A (ko) 2008-05-07
KR100833878B1 true KR100833878B1 (ko) 2008-06-02

Family

ID=3964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452A KR100833878B1 (ko) 2006-10-30 2006-10-30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8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824B1 (ko) * 1994-09-22 1997-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팩트 디스크의 멀티세션 판별방법 및 장치
KR19990061586A (ko) * 1997-12-27 1999-07-26 구자홍 재기록 광 디스크의 연속 재생방법
JP2003051177A (ja) 2001-08-06 2003-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再生装置
JP2005044455A (ja) * 2003-07-24 2005-02-17 Sony Corp 最終セッション判定回路及び再生装置
KR20050043400A (ko) * 2003-11-06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824B1 (ko) * 1994-09-22 1997-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팩트 디스크의 멀티세션 판별방법 및 장치
KR19990061586A (ko) * 1997-12-27 1999-07-26 구자홍 재기록 광 디스크의 연속 재생방법
JP2003051177A (ja) 2001-08-06 2003-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再生装置
JP2005044455A (ja) * 2003-07-24 2005-02-17 Sony Corp 最終セッション判定回路及び再生装置
KR20050043400A (ko) * 2003-11-06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499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7473B1 (en) CD player
JP4713839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フォーカスジャンプ制御方法
JP2008090902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JPH08273162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833878B1 (ko) 멀티세션 디스크의 세션인식방법
US20050249060A1 (en) Optical disk reading apparatus
US6560170B2 (en) Track search control apparatus, track search control method,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production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medium
KR100510534B1 (ko) 디스크의 틸트 검출 장치 및 방법
US7719941B2 (en) Method for identifying recording contents of an optical disk
US807286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completeness of optical disc and method for playing optical disc
US7609600B2 (en) Optical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data early
US20070268802A1 (en) Optical dis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272377B1 (ko) 기록형 디스크의 데이터 재생방법
JP3477711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同装置に使用されるレイヤ誤り補正用プログラム
US20100220569A1 (en) Final area retrieving apparatus,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final area retrieving method, and final area retrieving program
CN101154413B (zh) 一种判断盘片型态的方法
KR20050115575A (ko) 광 디스크의 틸트 서보 제어 방법
JP2009277283A (ja) 光ディスク装置
JP3301605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7018642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212406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40085361A (ko) 1회 기록 가능한 광 기록매체의 결함 영역 처리 방법
US20060280067A1 (en) Audio data search control device
JP2008310870A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20088145A (ko) 광디스크 재생정보 독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