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733B1 - 낚시용 물통 - Google Patents

낚시용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733B1
KR100890733B1 KR1020070056667A KR20070056667A KR100890733B1 KR 100890733 B1 KR100890733 B1 KR 100890733B1 KR 1020070056667 A KR1020070056667 A KR 1020070056667A KR 20070056667 A KR20070056667 A KR 20070056667A KR 100890733 B1 KR100890733 B1 KR 100890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fishing
opening
seawa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510A (ko
Inventor
야스오 호소미
요코 키무라
타쿠로 야마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11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낚시에 이용되는 낚시 미끼와 해수를 수용한 상태에서 물통 본체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면서 해수만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낚시용 물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본 낚시용 물통(1)은 상면(上面)에 개구(開口, 17)를 가지는 용기(容器) 형상의 물통 본체(10)와, 이 상면에 설치된 상부 덮개(11)를 가진다. 물통 본체(10)의 측면(26)에 손잡이(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26)에 대향하는 측면(27)에는 상부 덮개(11)와 물통 본체(10)를 결합하는 시트편(sheet 片, 70)이 봉합되어 있다. 상부 덮개(11)는 메시 개구(92)를 가진다. 이 메시 개구(92)는 상부 덮개(11)에서 시트편(70) 측에 설치되어 있다. 메시 개구(92)는 개구(17)의 시트편(70) 측이 메시 시트(91)로 피복(被覆)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물통, 낚시, 미끼, 덮개, 메시

Description

낚시용 물통{BUCKET FOR FISH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용 물통(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용 물통(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장착 스테이(12)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손잡이(22)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손잡이(6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메시 개구(92)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낚시용 물통(1)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개구(17)가 반열림 상태로 된 낚시용 물통(1)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개구(17)가 8할 열림 상태로 된 낚시용 물통(1)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개구(17)가 전열림 상태로 된 낚시용 물통(1)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물통 본체(10)의 측면(27)의 확대 사시도이며, (a)는 암버튼(76)의 비계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암버튼(76)의 계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용 물통(11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낚시용 물통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시용 물통
10 : 물통 본체
11 : 상부 덮개
17 : 개구
24, 25, 26, 27 : 측면
70 : 시트편
71 : 슬라이드 파스너
80 : 고정구
81 : 설상 시트 
82 : 수버튼
90 : 덮개 본체
91 : 메시 시트
92 : 메시 개구
93 : 면(面)
94 : 면(面)
95 : 수버튼
96 : 암버튼
97 : 고정구
98 : 암버튼
본 발명은 낚시를 할 때에 사용되는 낚시용 물통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밑밥을 사용하는 찌낚시에 있어서는 낚시꾼은 필요한 양의 밑밥을 바칸(bakkan)이라고 칭해지는 낚시용 물통에 수용한다. 밑밥을 뿌릴 때에는, 밑밥 주걱 등을 이용하여 낚시용 물통으로부터 밑밥을 퍼내어 소정의 포인트에 투입한다. 도 12는 종래의 낚시용 물통의 사시도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를 참조).
도 1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시용 물통(130)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물통 본체(131)와, 물통 본체(131)의 양 측면(132)에 장착된 한 쌍의 손잡이(133)와, 물통 본체(131)의 상면(上面)에 설치된 덮개(136)를 가진다. 물통 본체(131)는 직방체의 용기(容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 개구(開口)를 가진다. 이 물통 본체(131)의 내부에 크릴새우 등의 밑밥이 수용된다. 물통 본체(131)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덮개(1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136)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통 본체(131)의 개구 주연(周緣)에 파스너(fastener, 137)로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손잡이(133)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이나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133)는 장착용 스테이(stay)(134)를 통하여 물통 본체(131)에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133)의 기단(基端)부(138)는 장착용 스테이(134)에 설치된 보스(boss)부(135)에 끼워 넣어져 있고, 당해 손잡이(133)는 보스부(135)를 중심으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 운동 함)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래부터, 낚시에 이용되는 밑밥으로서는 냉동된 생(生) 크릴새우 등에 집어제(集魚劑)나 해수 등을 혼합한 소위 혼합 미끼가 주류이다. 낚시꾼은 실제 낚시 시의 기후나 기온, 어영(魚影, 물고기가 모인 정도) 밀도 등에 따라, 스스로의 경험에 기초하여, 첨가하는 집어제나 해수의 양을 조정한다.
또한, 삶아진 크릴새우(이하, 「보일(boil) 크릴새우」라고 칭한다)만을 밑밥으로서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보일 크릴새우만을 사용하여 행하는 낚시법은, 통칭 보일 낚시법이라 불리고 있다. 이 보일 낚시법은, 집어제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 미끼를 이용한 낚시법과 비교하여, 밑밥과 떡밥의 침하 속도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떡밥과 밑밥의 동조성이 뛰어나고, 게다가, 집어제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해수나 낚시터를 더럽히지 않아, 환경에 친화적이다는 점에서 근년 주목되고 있다.
그런데 낚시터에서는 갑자기 비가 내리거나 강풍에 흔들려 물결이 높아지는 일도 드물지 않고, 실제 낚시 중에 낚시용 물통에 빗물이나 해수 등이 들어가 밑밥이 침수되는 일도 자주 있다. 또한, 상술한 혼합 미끼를 만들 때에 실수로 해수를 지나치게 넣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경우, 낚시꾼은 낚시용 물통을 기울여 해수를 배출해야만 한다. 이때, 해수와 함께 밑밥도 배출된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 가능한 낚시용 물통으로서, 본원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낚시용 물통이 공지되어 있다. 이 낚시용 물통은 덮개에 메시(mesh) 구조의 창부(窓部)가 구비된 것이다. 당해 낚시용 물통을 이용하면, 낚 시용 물통을 기울이는 것만으로 밑밥을 낚시용 물통 내에 둔 상태에서 해수만을 배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9019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04301호 공보
하지만,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낚시용 물통은 덮개와 물통 본체를 파스너로 완전하게 연결하지 않으면 덮개에 설치된 창부에 의한 물빼기를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만일 적당한 물대중의 밑밥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적당량의 해수를 낚시용 물통에 남기도록 하여 물빼기를 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물통 본체 내의 해수의 양을 확인하면서 배수하려면, 물빼기 작업을 행할 때마다 덮개를 개폐하여야 해서 매우 번거롭다.
또한, 상기한 보일 낚시법에서 이용되는 보일 크릴새우에는 삶을 때에 체내에 기포가 진입한 개체가 포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판의 보일 크릴새우를 그대로의 상태로 밑밥으로서 이용하면, 기포를 포함하는 개체가 해면에 떠오른다. 해면을 떠다니는 밑밥은 갈매기 등의 해조(海鳥)를 불러 모으게 되고, 오히려 대상어(對象魚)를 흩뜨리는 결과로 된다. 따라서, 보일 낚시법에 있어서는 떠오르는 보일 크릴새우를 미리 없애 두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그 제거 작업이 낚시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준다. 이 제거 작업은 낚시용 물통에 보일 크릴새우를 넣은 후, 보일 크릴새우가 완전하게 잠길 때까지 해수를 따라 넣고, 그리고 떠올라 온 크릴새우를 제거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한편, 보일 크릴새우가 낚시용 물통 내에서 장 시간 해수에 잠긴 채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일 크릴새우가 물을 지나치게 흡수(吸收)하여 버려, 바다 속에서 침하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 반면, 완전하게 물빼기를 하여 버리면, 밑밥 주걱으로 밑밥을 퍼내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보일 크릴새우가 건조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상기 제거 작업 후에 낚시용 물통 내의 해수를 빼낼 때는 낚시용 물통 내에 적당량의 해수를 남기도록 하여 행해진다. 하지만, 낚시용 물통 내의 해수의 양을 확인하면서 배수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빼기 작업을 행할 때마다 덮개를 개폐하여야 해서 그 작업은 극히 번거롭다.
또한, 보일 낚시법에 있어서는 낚시용 물통 내의 보일 크릴새우가 감소하면, 낚시용 물통 내의 해수의 양이 보일 크릴새우의 양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이 경우, 낚시꾼은 보일 크릴새우의 과도한 흡수(吸水)를 피하기 위하여 과잉분의 해수를 배출해야 한다. 하지만, 해수를 배출하는 물빼기 작업은 덮개를 개폐하면서, 낚시용 물통 내의 밑밥 및 해수의 양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낚시꾼은 일단 낚시 조작을 중단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낚시에 이용되는 미끼와 해수를 수용한 상태에서 물통 본체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면서 해수만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낚시용 물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물통은 상면에 제1 개구를 가지고, 낚시 미끼 및 해수를 수용할 수 있는 물통 본체와, 상기 제1 개구의 주연(周緣)부의 일부에 경첩을 통하여 결합되고, 당해 제1 개구를 개폐하는 제1 덮개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덮개 부재는 상기 물통 본체에 수용된 낚시 미끼 및 해수 중 해수만을 통과시키는 통수(通水)부를 가지고, 또한, 당해 통수부는 적어도 상기 경첩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덮개 부재 중, 상기 경첩과는 반대측이고 또한 상기 통수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통수부를 통하여 해수만을 배출할 수 있다.
낚시에 이용되는 밑밥은 물통 본체에 수용된다. 이 물통 본체에 대하여 제1 덮개 부재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물통 본체의 제1 개구가 폐색되고, 제1 덮개 부재가 열리는 것에 의하여 당해 제1 개구가 개방된다. 제1 덮개 부재는 물통 본체와 경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 경첩을 기준으로 하여 제1 덮개 부재는 개폐된다. 제1 덮개 부재에는 물통 본체에 수용된 낚시 미끼 및 해수 중 해수만을 통과시키는 통수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통수부는 제1 덮개 부재에서 경첩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낚시꾼은 만일 제1 덮개 부재가 닫혀져 있어도, 경첩 측을 아래로 하여 물통 본체를 기울이는 것에 의하여 물통 본체에 고인 해수만을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실제 낚시에서는 낚시용 물통은 제1 개구의 일부분, 즉 제1 개구 중 상기 경첩이 설치된 측과 반대측 부분을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본 낚시용 물통에서는 통수부가 경첩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꾼은 물통 본체를 상술한 바와 같이 기울이는 것만으로, 제1 덮개 부재를 개폐한다는 번잡한 작업을 하는 일 없이 해수만을 배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낚시꾼은 낚시 조작을 중단하는 일 없이 물빼기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밑밥 상태나 해수량을 개방된 제1 개구의 일부를 통하여 눈으로 보면서 물 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물통 본체 내의 해수를 지나치게 버리거나, 반대로 배수 부족으로 되는 것이 방지된다.
덧붙여, 통수부가 경첩의 근방이 아닌, 제1 덮개 부재에서의 경첩의 설치 위치와는 반대측의 단부(端部)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고 하면, 제1 덮개 부재로 제1 개구를 모두 닫지 않으면, 해수만을 배출한다는 물빼기 작업을 행할 수 없다. 만일, 제1 개구의 일부를 개구하려면, 제1 덮개 부재 및 경첩의 기구 상, 제1 개구 중 경첩과는 반대측의 부분으로부터 열어야 한다. 이 경우, 해수뿐만 아니라, 물통 본체에 수용된 낚시 미끼도 해수와 함께 배출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것에 대하여, 본 낚시용 물통에 있어서는 통수부는 상기 경첩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개구 중 상기 경첩이 설치된 측과 반대측의 부분을 개방한 상태에서 물빼기 작업을 행하여도, 해수만이 배출되고 낚시 미끼는 배출되지 않는다.
(2) 여기서, 상기 제1 덮개 부재는 슬라이드 파스너(slide fastener)를 통하여 상기 제1 개구의 주연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파스너가 설치되어 있으면, 물통 본체의 제1 개구의 일부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3) 상기 통수부는 상기 제1 덮개 부재에 복수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성이면, 제1 덮개 부재에 관통 구멍을 형성한다는 간단한 가공에 의하여 통수부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덧붙여, 관통 구멍의 크기는 밑밥으로서 이용되는 크릴새우 등이 빠져 나갈 수 없는 정도로 미리 설계되어 있다.
(4) 또한, 상기 통수부는 상기 제1 덮개 부재에 설치되고, 낚시 미끼 및 해수를 배출 할 수 있는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봉지(封止)하는 통수성 시트재(sheet 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이어도, 통수부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통수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시트재를 미리 준비하여 두면, 사용되는 먹이의 크기에 따라 복수 종류의 타입의 낚시용 물통을 구현화할 수 있어 호적하다.
(5) 이 경우, 상기 통수성 시트재는 낚시 미끼 및 해수 중 해수만을 통과시키는 메시 구조 또는 슬릿(slit)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시트재를 이용하면, 메시의 눈의 크기나 슬릿의 간격을 바꾸는 등 하는 것으로, 다종(多種) 다양한 통수 특성을 가지는 시트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6) 또한, 상기 제1 덮개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하는 제2 덮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덮개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개구로부터 파도 비말이나 빗물 또는 직사 광선이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밑밥의 상태 변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밑밥을 낚시꾼이 희망하는 상태로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7) 이 경우, 상기 제2 덮개 부재의 외면에서의 상기 경첩측의 단부 부근에 설치된 제1 계합(係合, 걸어서 맞춤)부와, 상기 제1 덮개 부재의 외면에서의 상기 경첩과 대향하는 측의 단부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 해제 가능하게 계합할 수 있는 제1 피계합부와, 상기 제1 덮개 부재의 내면에서의 중앙부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 해제 가능하게 계합할 수 있는 제2 피계합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낚시꾼은 낚시용 물통에 밑밥을 수용하고, 그 밑밥을 밑밥 주걱으로 퍼내어 희망하는 포인트에 투입한다. 예를 들면, 낚시용 물통 내에 다량의 밑밥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는 밑밥 주걱을 물통 본체의 깊은 안쪽 바닥까지 삽입하지 않더라도 밑밥을 퍼낼 수 있다. 이 경우는, 물통 본체의 제1 개구는 그다지 개방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밑밥의 양이 줄어 오면, 밑밥 주걱을 물통 본체의 깊은 안쪽 바닥까지 삽입하여 긁어 올리지 않으면 밑밥을 퍼올릴 수 없다. 이 경우는, 제1 개구가 전(全)열림으로 되어 있는 편이 조작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물론, 항상 제1 개구를 전열림으로 하여 두면 밑밥을 퍼올리는 조작은 용이해지지만, 기상(氣象) 상태에 따라서는 밑밥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낚시용 물통에 있어서는 물통 본체의 제1 개구의 개방 상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낚시용 물통에서는, 제1 계합부에 제1 피계합부를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물통 본체의 제1 개구를 대략 반분(半分)만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덮개 부재를 감는 등 하여 제1 계합부에 제2 피계합부를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물통 본체의 제1 개구를 반분 이상 개방할 수 있다.
(8) 여기서, 상기 제2 덮개 부재의 상기 경첩 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설상편(舌狀片)과, 상기 설상편의 선단(先端)부에 설치된 제2 계합부와, 상기 물통 본체의 상기 경첩 측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계합부와 계합 해제 가능하게 계합할 수 있는 제3 피계합부를 더 구비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설상편에 설치된 제2 계합부를 제3 피계합부에 계합하는 것으로, 제2 덮개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바람 등에 의하여 제2 덮개 부재가 젖혀져 올라가거나 펄럭거리거나 하는 일이 없어진다.
(9) 또한, 상기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는 스터드(stud)부를 가지는 수(雄)버튼 또는 당해 스터드부와 계합하는 소켓부를 가지는 암(雌)버튼 중 어느 일방(一方)이며, 상기 제1 피계합부, 제2 피계합부 및 제3 피계합부는 스터드부를 가지는 수버튼 또는 당해 스터드부와 계합하는 소켓(socket)부를 가지는 암버튼 중 어느 타방(他方)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극히 간단하게 계합부 및 피계합부가 구성된다. 덧붙여, 이와 같은 수버튼 및 암버튼의 전형으로서는 소위 도트(dot) 버튼이 해당한다.
(10) 상기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와, 상기 제1 피계합부, 제2 피계합부 및 제3 피계합부는 각각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낚시용 물통은, 종래 물품보다도 다수의 계합 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계합부에 대하여 계합 가능한 피계합부를 한번에 찾아내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계합부와 피계합부를 색을 다르게 하여 구별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꾼은 계합 가능한 한 쌍의 계합부 및 피계 합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11) 상기 물통 본체에서 상기 경첩이 설치된 측의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의 외측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밑밥이 수용된 물통 본체는 비교적 무겁고, 해수 등으로 젖은 손으로는 낚시용 물통을 용이하게 기울일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첩이 설치된 측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의 외측, 즉 배수할 때에 들어올려지는 측의 측면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으로, 낚시꾼은 손잡이를 쥐고 상방(上方)으로 들어올리는 것으로, 낚시용 물통을 용이하게 경사시킬 수 있다.
이하, 적당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용 물통(1)의 사시도이며, 도 1은 손잡이(60)가 장착된 측면(26)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시트편(sheet 片, 70)이 장착된 측면(27)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본 낚시용 물통(1)은, 예를 들면 낚시도구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또는 잡은 물고기를 살려 두기 위한 활어조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주로 낚시 시에 이용되는 밑밥이라고 칭해지는 낚시 미끼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사용된다. 이하, 낚시용 물통(1)의 구성에 관하여 상술(詳述)한다.
낚시용 물통(1)은,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통 본체(10)와 당해 물통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 덮개(11, 본 발명의 제1 덮개 부재에 상 당)를 구비하고 있다.
물통 본체(10)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을 개방하는 개구(17, 본 발명의 제1 개구에 상당, 도 7 참조)를 가지는 용기 형상을 나타낸다. 이 물통 본체(10)에 밑밥 등의 낚시 미끼나 해수 등이 수용된다. 그 때문에, 물통 본체(10)는 방수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물통 본체(10)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밑밥으로서 많이 사용되는 냉동 크릴새우나 냉동 보일 크릴새우의 토막이 수용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어, 예를 들면 장경(長徑)이 30cm로부터 50cm 정도인 것으로 한다. 물론, 이와 같은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낚시용 물통에 적용될 수 있다.
물통 본체(10)는 직사각형의 평판상(平板狀)의 저면(底面)부(14)와, 이 저면부(14)의 주연에 세워져 설치된 측벽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저면부(14) 및 측벽부(15)는 시트 형상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가 호적하게 채용된다. 저면부(14)의 두께 치수는 0.75mm ~ 2.0mm 정도로 설정되고, 측벽부(15)의 두께 치수도 0.75mm ~ 2.0m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측벽부(15)는 시트 형상의 합성 수지가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下端)이 상기 저면부(14)의 주연부에 용착되는 것에 의하여 물통 본체(10)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물통 본체(10)의 상면에 저면부(14)와 대략 같은 형상으로 같은 크기, 즉 직사각형의 개구(17, 도 7 참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개구(17)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물통 본체(10)의 강성(剛性)이 향상되고, 낚시용 물통(1)의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측벽부(15)의 상단부(16, 도 7 참조)는 물통 본체(10)의 외측으로 접혀 겹쳐져 있고, 소정 위치에서 당해 측벽부(15)의 외면에 용착되어 있다. 상기 측벽부(15)의 상단부(16)는 물통 본체(10) 주위 전체에 걸쳐 연속하여 용착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간헐적으로 용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벽부(15)의 상단부(16)는 도시하지 않는 심재(芯材)에 둘러싸여 있다. 이 심재는 환상(環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17, 도 7 참조)의 주연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심재가 상기 개구(17)를 구획하고 있다. 상기 심재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심재가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물통 본체(10)의 개구(17)의 주연부의 강성이 향상되고, 그 결과 낚시용 물통(1)이 미끼의 용기로서 한층 사용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통 본체(10)는 한 쌍의 손잡이(22, 23)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22)는 물통 본체(10)의 장변(長邊)을 포함하는 일방의 측면(24)에 설치되고(도 1 참조), 손잡이(23)는 측면(24)에 대향하는 측면(25)에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손잡이(22)는 장착 스테이(stay)(12)를 통하여 물통 본체(10)의 측면(24)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23)는 장착 스테이(13)를 통하여 물통 본체(10)의 측면(25)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손잡이(22, 23)는 물통 본체(10)와 같은 소재인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장착 스테이(12)의 확대 사시도이다. 동(同) 도면에서는, 물통 본체(10)의 측면(24)에 설치된 장착 스테이(12)가 도시되어 있지만, 물통 본체(10)의 측면(25)에 설치된 장착 스테이(13)도 동일한 형상이다. 그 때문에, 장착 스테이(13)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스테이(12)는 물통 본체(10)의 측면(24)에 고정되는 베이스부(30)와, 이 베이스부(30)의 중앙부에 형성된 브리지부(31)와, 이 브리지부(31)의 양 측방(側方)에 각각 형성된 베어링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장착 스테이(12)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사출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부(30), 브리지부(31) 및 베어링부(32)가 일체(一體)로 형성된다. 장착 스테이(12)는 시트 형상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물통 본체(10)와 같은 소재,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가 호적하게 채용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 스테이(12)가 사출 성형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물론 상기 베이스부(30), 브리지부(31) 및 베어링부(32)가 따로 형성되고, 각각이 조립되는 것으로, 장착 스테이(12)가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베이스부(30)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부(30)는 측면(24)에 용착 등에 의하여 장착된다. 브리지부(31)는 편평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부(30)로부터 바깥 방향, 즉 측면(24)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브리지부(31)와 베이스부(30)의 사이에 일정한 높이의 공간이 형성된다. 낚시꾼은 이 브리지부(31)에 수건이나 밑밥 커터, 떡밥 케이스, 밑밥 주걱 홀더 등을 걸고, 이들 각 도구를 편리하게 사용한다. 베어링부(32)는 상기 브리지부(31)의 양 측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32) 는 베이스부(30)로부터 바깥 방향, 즉 측면(24)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베어링부(32)에는 베이스부(30)의 긴쪽 방향을 따라 원통상의 축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부(32)는 후술되는 손잡이(22)의 축(46, 도 4 참조)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이스부(30)에서의 베어링부(32)의 하방(下方)에는 당해 베어링부(32)에 연속하도록 하여 노치(notch, 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33)가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베어링부(32)의 하측 부분이 베이스부(30)로부터 떨어지도록 변형할 수 있다. 베어링부(32)의 하측 부분이 베이스부(30)로부터 떨어지도록 변형한 상태에서 베어링부(32)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손잡이(22)의 축(46, 도 4 참조)이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베어링부(32)를 외방(外方)으로 넓히면서 축(46)이 축 구멍(34)으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축(46)이 축 구멍(34)에 끼워넣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손잡이(22)의 축(46)이 베어링부(32)에 끼워넣어진 후에 베어링부(32)가 물통 본체(10)에 용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손잡이(22)는 장착 스테이(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도 4는 손잡이(22)의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는, 물통 본체(10)의 일방의 측면(24)에 장착되는 손잡이(22)가 도시되어 있지만, 타방의 측면(25)에 장착되는 손잡이(23)도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그 때문에, 손잡이(23)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손잡이(22)에 후술하는 연결구(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손잡이(23)에는 연결구(5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만 양자(兩者)는 상위(相違)하다.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22)는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손잡이(22)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灣曲)된 만곡부(40)와 당해 만곡부(4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어 돌출된 암부(arm 部, 4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22)는 상기 장착 스테이(12)와 동일하게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사출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덧붙여,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가 호적하게 채용된다.
만곡부(40)에는 대략 환봉상(丸棒狀)의 파지부(43)가 설치되어 있다. 낚시꾼은 이 파지부(43)를 파지하여 낚시용 물통(1)을 운반할 수 있다. 암부(41)의 단부(42)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단부(42) 각각의 선단에 원기둥 형상의 축(46)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단부(42)의 선단은 각각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축(46)은 각 단부(42)의 선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파지부(43)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단부(42)의 선단은 각각 속이 빈 공간(44)을 가지고, 각 축(46)은 이 공간(44)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공간(44)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각 축(46)이 상기 베어링부(32)에 용이하게 끼워넣어진다. 또한, 각 단부(42)는 소정 부위(45)에서 굴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단부(42)가 굴곡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22)가 상방으로 회동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43)가 낚시용 물통(1)의 상방 중앙에 배치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소정 부위(45)는 손잡이(22)가 상방으로 회동 기립되었을 때에 물통 본체(10)의 상단부(측벽부(15)의 상단부(16))에 접촉하는 위치에 대체로 설정되어 있다.
손잡이(22)의 암부(41)에는 손잡이(22)가 상방으로 회동 기립된 상태에서 타방의 손잡이(23)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구(50)는,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형성된 단책상(短冊狀, 짧은 책 형상)의 시트(51)와, 서로 계합 해제 가능하게 구성된 한 쌍의 도트 버튼을 가진다. 도트 버튼은 수버튼(52)과 암버튼(53)을 가진다. 연결구(50)는,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51)의 일방 끝이 암부(41)에 감기는 것에 의하여 암부(41)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암부(41)에 감기고 접혀 겹쳐진 시트(51)의 일방 끝이 시트(51)에 겹쳐진 상태에서 암버튼(53)과 당해 암버튼(53)을 고정하는 고정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그 중합 부분이 합쳐져 고정되어 있다. 시트(51)의 선단에는 고정구로 고정된 수버튼(52)이 설치되어 있다.
도트 버튼을 구성하는 수버튼(52) 및 암버튼(53)은 기지(旣知)의 구조이다. 즉, 수버튼(52)은 스터드부를 구비하고, 암버튼(53)은 소켓부를 구비하고 있고, 스터드부가 소켓부에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하여, 양자는 소정의 감합(嵌合)력으로 계합한다. 그리고 이 소정의 감합력에 저항하여 수버튼(52)과 암버튼(53)의 감합을 해제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는 양자의 계합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연결구(50)가 손잡이(2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22) 및 손잡이(23)가 상방으로 회동 기립되었을 때는 각 손잡이(22, 23)를 하나로 모아 묶을 수 있다. 즉, 시트(51)의 자유단 측을 손잡이(23)의 암부(41)에 감고 접어 겹친 후에 수버튼(52)과 암버튼(53)을 계합하는 것 으로, 각 손잡이(22, 23)를 하나로 모아 결속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2개의 손잡이(22, 23)의 양방을 동시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꾼은 낚시용 물통(1)의 운반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도 5는 낚시용 물통(1)의 하나의 편측을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6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통 본체(10)의 단변(短邊)을 포함하는 측면(26)에 손잡이(60)가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60)는 주로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섬유로 구성된 벨트(61)와 당해 벨트(61)의 중앙 부분에 감겨진 고무 시트(63)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무 시트(6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젖은 손으로 손잡이(60)를 잡았을 때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물통 본체(10)의 측면(26)에는 대략 원형의 2개의 장착좌(座)(62)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 장착좌(62)는, 예를 들면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좌(62)는 벨트(61)를 봉합하기 위한 것이며, 장착좌(62)의 주연이 용착되는 것에 의하여 측면(26)에 고정된다.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좌(62)에는 이중으로 접힌 벨트(61)의 양단이 봉합된다. 이와 같이 장착좌(62)에 벨트(61)가 봉합되어 손잡이(60)가 측면(26)에 장착되기 때문에, 물통 본체(10)에 솔기 구멍이 뚫리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물통 본체(10)의 방수성이 유지된다. 덧붙여, 상기 손잡이(60)가 설치된 것에 의한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11)는 물통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17, 도 7 참조)를 덮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 덮개(11)는 개구(17)에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덮개(11)는 개구(17)를 개폐하는 것이며, 개구(17)를 개방하는 상태와 당해 개구(17)를 폐색하는 상태로 자세 변화된다. 이 상부 덮개(11)는 상기 물통 본체(10)와 동일하게 시트 형상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가 호적하게 채용된다.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11)는 개구(17)의 주연부, 즉 측벽부(15)의 상단부에 합성 수지 등의 시트편(70, 본 발명의 경첩에 상당)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부 덮개(11)와 물통 본체(10)는 시트편(7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60)가 장착된 측면(26)에 대향하는 측면(27)의 상단부의 대략 중앙부에서 상부 덮개(11)와 물통 본체(10)가 시트편(7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 시트편(70)은 당해 시트편(70)의 상단 측이 상부 덮개(11)의 단부에 봉합되는 것으로 고정되어 있고, 당해 시트편(70)의 하단 측이 측면(26)의 상단부에 봉합되는 것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덮개(11)와 물통 본체(10)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시트편(70)을 회동 축으로 하여, 상기 물통 본체(10)의 개구(17)에 대하여 상부 덮개(11)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편(70)은 상기 물통 본체(10)의 개구(17)에 대하여 상부 덮개(11)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경첩으로서의 역할을 완수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편(70)을 봉합하는 것으로, 상부 덮개(11)와 물통 본체(10)를 결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하여 각각을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통 본체(10)의 측면(27)에는 암버튼(76, 본 발명의 제3 피계합 부재에 상당)이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암버튼(76)은 측면(27)에 고정된 장착좌(77)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물통 본체(10)의 측면(27)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동 도의 (a)는 암버튼(76)의 비계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동 도의 (b)는 암버튼(76)의 계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좌(77)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단책상의 시트(78)로 이루어진다. 이 시트(78)가 U자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양단이 측면(27)에 용착되는 것으로 장착좌(7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장착좌(77)에 암버튼(76)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암버튼(76)은 장착좌(77)가 휘는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다. 암버튼(76)은 후술되는 설상(舌狀) 시트(81, 도 10의 (b) 참조)에 설치된 수버튼(82)과 쌍을 이루며, 도트 버튼을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암버튼(76)은 소켓부를 구비하고 있고, 수버튼(82)의 스터드부가 소켓부에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하여 당해 수버튼(82)과 계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좌(77)가 휘는 범위에서 암버튼(76)은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수버튼(82)을 암버튼(76)에 계합할 때의 위치 맞춤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11)는 슬라이드 파스너(이하, 「파스너」라고 약칭한다, 71)를 통하여 개구(17, 도 7 참조)의 주연부에 연결되어 있다. 파스너(71)의 기단 및 종단(終端)은 시트편(70)의 안쪽에 넣어져 있고, 시트편(70)과 함께 측면(27)의 상단부에 봉합되어 있다. 파스너(71)는,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슬라이더(72)를 가진다. 각각의 슬라이더(72)가 시트편(70)의 양단을 기점으로 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에 의 하여 상부 덮개(11)와 물통 본체(10)가 연결된다. 또한, 슬라이더(72) 각각이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으로, 연결이 해제되고, 물통 본체(10)의 개구(17)가 개방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각 슬라이더(72)에는 손잡이(73)가 장착되어 있고, 나아가 이 손잡이(73)에는 신축 가능한 환상의 고무끈(74)이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72)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어, 낚시꾼은 슬라이더(7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덮개(11)의 구조에 관한 것이며, 물통 본체(10)에 수용된 낚시 미끼 및 해수 중 해수만을 통과시키는 메시 개구(92, 본 발명의 통수부에 상당, 도 6 참조)가 상부 덮개(11)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진다. 이하, 상부 덮개(11)의 구성과 함께, 상기 메시 개구(92)의 구체적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메시 개구(92)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낚시용 물통(1)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11)는 대별하면, 덮개 본체(90)와 메시 시트(91, 도 6 참조)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덮개 본체(90)는 물통 본체(10)와 같은 소재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시트 형상의 부재이며, 적당한 가요성과 탄성을 가진다. 이 덮개 본체(90)는 개구(17, 도 7 참조)에 상응하여, 당해 개구(17)와 대략 같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본체(90)의 외측의 면(외면, 93)에는 당해 덮개 본체(90)의 각 단변의 중점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2개의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편(70) 측의 단부 부근에 수버튼(95, 본 발명의 제1 계합 부에 상당)이 설치되고, 시트편(70)과 대향하는 측의 단부, 즉 손잡이(60)측의 단부 부근에 암버튼(96, 본 발명의 제1 피계합부에 상당)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버튼(95, 96)은, 내측의 면(내면, 94)으로부터 덮개 본체(90)를 관통하여 각 버튼(95, 96)을 외측의 면(93)에 압착하는 고정구(97, 도 6, 도 7 참조)에 의하여, 당해 덮개 본체(9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본체(90)의 내측의 면(94)의 중앙부 부근, 상세하게는 수버튼(95)과 암버튼(96)의 중간점보다 약간 손잡이(60) 측의 위치에 암버튼(98, 본 발명의 제2 피계합부에 상당)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암버튼(98)은,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의 면(93)으로부터 덮개 본체(90)를 관통하여 당해 암버튼(98)을 내측의 면(94)에 압착하는 고정구(97)에 의하여, 당해 덮개 본체(90)에 고정되어 있다.
수버튼(95)과 암버튼(96)은 서로 계합 해제 가능하게 구성된 도트 버튼이다. 또한, 수버튼(95)과 암버튼(98, 도 7 참조)도 서로 계합 해제 가능하게 구성된 도트 버튼이다. 이들 버튼은 기지의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수버튼(95)은 스터드부를 구비하고, 암버튼(96, 98)은 소켓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스터드부가 소켓부에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하여 양자는 소정의 감합력으로 계합한다. 그리고 이 소정의 감합력에 저항하여 수버튼(95)과 암버튼(96, 98)의 감합을 해제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는 양자의 계합은 해제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수버튼(95)의 색과 암버튼(96, 98)의 색을 다른 색으로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수버튼(95)을 흑색으로, 암버튼(96, 98)을 백 색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낚시용 물통(1)에서는, 덮개 본체(90)에 복수의 버튼을 배설(配設)하고 있다. 이 경우, 계합 가능한 쌍으로 되는 버튼을 분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계합 가능한 쌍으로 되는 버튼의 색을 각각 다르게 하는 것으로, 계합 가능한 버튼을 한번에 분별할 수 있다.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본체(90)의 시트편(70) 측의 단부에는 덮개 본체(90)를 측면(27)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구(80)는 덮개 본체(90)의 시트편(70) 측 단부의 중앙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설상 시트(81, 본 발명의 설상편에 상당)와, 당해 설상 시트(81)의 선단부에 설치된 수버튼(82)을 가진다. 상기 설상 시트(81)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단책상의 시트 부재이며, 가요성을 가진다. 설상 시트(81)의 길이는 개구(17, 도 7 참조)가 상부 덮개(11)로 폐색된 상태에서 덮개 본체(90)의 시트편(70) 측 단부로부터 측면(27)에 설치된 암버튼(76, 도 10 참조)에 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수버튼(82)은 암버튼(76)과 쌍을 이루며 도트 버튼을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버튼(82)은 스터드부를 구비하고 있고, 암버튼(76)의 소켓부에 스터드부가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하여 암버튼(76)과 계합한다. 도 2 및 도 10의 (b)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버튼(82)과 암버튼(76)이 계합하는 것으로, 덮개 본체(90)가 측면(27)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본체(90)의 내측의 면(94)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메시 시트(91, 본 발명의 통수성 시트 부재에 상당)의 일단이 용착 등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본체(90)를 장변 방향으로 대략 균등하게 분단(分斷)하는 중심선(102)을 따라 메시 시트(91)의 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메시 시트(91)의 접합 수법으로서는 용착, 봉합,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이 채용 가능하다. 메시 시트(91)는 개구(17, 도 7 참조)의 시트편(70) 측의 반분을 덮는 것이다. 그 때문에, 메시 시트(91)는 개구(17)의 반분의 크기에 상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메시 시트(91)는 메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당해 메시 시트(91)는 통수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메시 시트(91)는, 예를 들면 면사(綿絲)나 나일론사(nylon 絲) 등으로 격자 형상으로 짜인 코어(core) 부재에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수지나 러버(rubber) 등이 코팅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메시 시트(91)의 직물 눈(메시 눈)은 해수가 빠져 나가고, 또한, 크릴새우 등의 밑밥(낚시 미끼)이 통과하기 어려운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메시 시트(91)의 메시 눈의 크기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밑밥으로서 크릴새우를 사용한 경우에 당해 크릴새우가 빠져 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하여, 메시 시트(91)의 메시 눈은 약 3.5mm × 4.5 mm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수성 시트 부재로서 상기 메시 시트(91)가 예시되었지만, 이 메시 시트(91)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슬릿 구조의 시트 부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크릴새우 등의 낚시 미끼를 통과시키지 않고, 해수만을 통과시키는 성질을 가지는 시트 부재이면, 어떤 것이라도 통수성 시트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시 시트(91)는 개구(17, 도 7 참조)의 시트편(70) 측의 반분을 덮는 것으로 하여 설명되지만, 예를 들면 이것보다 적은 영역을 덮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또한,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시 시트(91)는 개구(17)의 단변 방향의 전역(全域)을 덮도록 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시트편(70)의 어느 일방의 코너를 덮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결국, 경첩으로서 기능하는 시트편(70)의 근방에 메시 시트(91)가 설치되어 있으면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덮개(11)는 파스너(71)를 통하여 개구(17, 도 7 참조)의 주연부에 연결되어 있다. 개구(17)의 주연부에 대한 상부 덮개(11)의 연결 방법은 덮개 본체(90)를 장변 방향으로 대략 균등하게 분단하는 중심선(102)으로부터 손잡이(60) 측의 반분의 영역(100)과 시트편(70) 측의 반분의 영역(101)의 사이에서 차이가 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11)에서의 상기 영역(100)에서는 덮개 본체(90)의 주연이 파스너(71)를 통하여 개구(17)의 주연부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부 덮개(11)에서의 상기 영역(101)에서는 시트편(70) 측의 덮개 본체(90)는 개구(17)의 주연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부 덮개(11)에서의 상기 영역(101)에는 실질적으로 개구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개구가 본 발명의 제2 개구에 상당한다.
상부 덮개(11)에서의 상기 영역(101)에서는 메시 시트(91)의 주연이 파스너(71)를 통하여 개구(17)의 주연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영역(101)에 형성된 본 발명의 제2 개구에 상당하는 상기 개구는 메시 시트(91)에 의하여 봉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 본체(90)의 시트편(70) 측의 부분(상기 영역(101) 에 대응하는 부분)은 어느 개소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도 2, 도 6 참조), 덮개 본체(90)의 시트편(70) 측의 부분은 중심선(102)을 회동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동 변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덮개 본체(90)가 메시 시트(91)의 상방에 배설되게 된다. 덧붙여, 메시 시트(91)의 상방에 배설되는 덮개 본체(90)의 시트편(70) 측의 부분이 본 발명의 제2 덮개 부재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상부 덮개(11)가 개구(17)의 주연부에 파스너(7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파스너(71)가 닫힌 상태이더라도, 상기 영역(101)은 메시 시트(91)를 통하여 물통 본체(10)의 내부와 외부가 통수 가능하게 연통하게 된다.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역(101)이 메시 시트(91)로 덮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통수부에 상당하는 메시 개구(92, 도 6 참조)가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이와 같은 메시 개구(92)가 설치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낚시용 물통(1)은, 주로 크릴새우 등의 밑밥을 적당량의 해수와 함께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된다. 낚시꾼은 낚시 미끼와 적당량의 해수를 낚시용 물통(1)에 넣어 밑밥으로서 사용한다. 실제 낚시 중에는 밑밥 주걱을 이용하여 낚시용 물통(1)으로부터 밑밥을 퍼내어 소정의 포인트에 투입한다. 따라서, 낚시꾼은 실제 낚시 중에 밑밥의 투입 조작을 재빠르게 행하기 위하여, 상면의 개구(17, 도 7 참조)를 개방시킨 상태로 하여 낚시용 물통(1)을 사용한다. 본 낚시용 물통(1)에서는, 개구(17)가 개방되었을 때에 상부 덮개(11)를 묶어서 고정하는 수법으로서 3개의 고정 태양(態樣)을 채용할 수 있다. 이 3개의 태양마다 개구(17)의 개방 면적은 다르다. 따라서, 낚시꾼은 상부 덮개(11)의 고정 방법을 다 르게 하는 것만으로, 개구(17)의 열림 상태를 희망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하, 도 7부터 도 9를 참조하여 상부 덮개(11)의 고정 태양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개구(17)의 손잡이(60) 측이 대체로 반분 정도 개방된 상태(이하 「반열림 상태」라고 칭한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개구(17)의 손잡이(60) 측이 약 8할 정도 개방된 상태(이하 「8할 열림 상태」라고 칭한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개구(17)가 모두 개방된 상태(이하 「전열림 상태」라고 칭한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7이 도시하는 상기 반열림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파스너(71)가 닫혀져 개구(17)가 상부 덮개(11)로 폐색된 상태(도 2 참조)로부터 슬라이더(72)를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리고 상부 덮개(11)의 장변 방향의 중심 부근의 위치까지 각 슬라이더(72)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파스너(71)에 의한 연결이 해제되고, 개구(17)의 손잡이(60) 측의 반분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손잡이(60) 측의 덮개 본체(90)를 끌어올리고, 덮개 본체(90)의 중심선(102)에서 절곡하도록 하여, 당해 덮개 본체(90)를 시트편(70) 측으로 반전(反轉)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개구(17)가 반열림 상태로 된다. 이때, 잡은 손을 놓으면, 반전된 덮개 본체(90)는 당해 덮개 본체(90)의 복원력에 의하여 개구(17)를 막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반열림 상태를 유지한 채로 낚시용 물통(1)을 사용하는 경우는 덮개 본체(90)의 손잡이(60) 측의 단부에 설치된 암버튼(96)을 시트편(70) 측의 단부에 설치된 수버튼(95)에 위치를 맞춘 후에 각각을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물통(1)의 개구(17)를 반열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열림 상태는, 예를 들면 맑은 날씨일 때의 실제 낚시에서 밑밥의 건조를 억제하고 싶은 경우나, 악천후 시의 실제 낚시에서 빗물의 침수를 억제하고 싶은 경우에 호적하다. 덧붙여, 상기 반열림 상태나, 이하에 설명되는 8할 열림 상태, 전열림 상태에 있어서 공통되는 것이지만, 고정구(80)는 측면(27)의 암버튼(76)에 고정하여 둘 필요가 있다. 고정구(80)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면, 덮개 본체(90)가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진다.
다음으로, 도 8이 도시하는 상기 8할 열림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개구(17)를 8할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7이 도시하는 상기 반열림 상태로부터 우선, 암버튼(96)과 수버튼(95)의 계합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반열림 상태로부터 슬라이더(72)를 시트편(7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한층 더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파스너(71)에 의한 연결이 한층 더 해제된다. 개구(17)가 8할 정도 개방할 수 있는 위치까지 슬라이더(72)를 슬라이드시키면, 이어서, 덮개 본체(90)를 손잡이(60) 측의 단부로부터 감아올린다. 서서히 덮개 본체(90)를 감아올라가면, 덮개 본체(90)의 내측의 면(94)에 설치된 암버튼(98)이 표면에 나타난다. 이 암버튼(98)을 수버튼(95)에 위치를 맞춘 후에 각각을 계합하면, 도 8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물통(1)의 개구(17)를 8할 열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8할 열림 상태는, 예를 들면 실제 낚시 중에 밑밥이 감소하여, 반열림 상태대로는 밑밥 주걱으로 밑밥을 퍼내리기 어려운 것과 같은 경우에 호적하다.
다음으로, 도 9가 도시하는 상기 전열림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개구(17) 를 전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8이 도시하는 상기 8할 열림 상태로부터 슬라이더(72)를 한층 더 슬라이드시킨다. 슬라이더(72)가 시트편(70)의 양단까지 슬라이드되면, 개구(17)가 전열림 상태로 된다. 이때, 감아올려진 덮개 본체(90)는 물통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측면(27) 측으로 밀리지만, 고정구(80)에 의하여 매달린 상태에서 유지된다. 낚시꾼은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전열림 상태에서의 사용을 바라는 경우도 있는데, 8할 열림 상태와 전열림 상태의 전환은 버튼의 계합 해제를 수반하지 않고, 슬라이더(72)의 조작만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꾼에게 편리하다. 또한, 전열림 상태에서 상부 덮개(11)는 고정구(80)로 매달려 있기 때문에, 당해 상부 덮개(11)는 지면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덮개(11)에 흙이나 자갈 등이 부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9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11)를 감아올린 상태에서 당해 상부 덮개(11)를 고무끈(74)에 통과하는 것으로, 상부 덮개(11)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 덮개(11)의 펄럭임이 방지된다. 또한, 만일 상기 고정구(80)의 계합이 해제되었다고 하여도, 상부 덮개(11)가 지면에 떨어지는 일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용 물통(1)은 주로 크릴새우 등의 밑밥을 적당량의 해수와 함께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된다. 낚시꾼은 낚시용 물통(1)에 밑밥을 넣고, 낚시터의 상황에 따라 적당한 해수를 혼합한다. 이때, 부주의로 해수를 지나치게 넣는 경우가 자주 있다. 또한, 갑작스러운 높은 파도나 강우에 의하여 낚시용 물통(1) 내에 해수 또는 빗물이 들어가, 밑밥이 침수되기도 한다. 본 낚시용 물통(1)은, 상부 덮개(11)에 상기 메시 개구(92)가 설치되어 있 다. 따라서, 낚시꾼은 시트편(70) 측을 아래로 하여 낚시용 물통(1)을 기울이는 것에 의하여, 낚시용 물통(1) 내의 해수만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다. 또한, 메시 개구(92)는 경첩으로서 기능하는 시트편(70)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편(70)과는 반대측이 상부 덮개(11)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해수만을 배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낚시꾼은 낚시용 물통(1) 내의 해수의 양을 가늠하면서, 미끼를 낚시용 물통(1) 내에 남기면서 해수만을 배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용 물통(1) 내의 밑밥 상태나 해수량을 눈으로 보면서 확인할 수 있어, 1회의 배수 작업으로 적당량의 배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보일 낚시법에 의한 실제 낚시 중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낚시용 물통(1) 내의 보일 크릴새우를 해수에 담그고, 떠올라 오는 크릴새우를 제거하는 작업을 행한다. 떠올라 온 크릴새우를 제거한 후에는 적당량의 해수를 남기도록 해수를 배출하거나, 모든 해수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배수 작업을 수반하는 보일 낚시법에서는, 메시 개구(92)로부터 해수만을 배출할 수 있는 본 낚시용 물통(1)은 낚시꾼에게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보일 낚시법에서는 낚시용 물통(1) 내의 보일 크릴새우가 감소하면, 낚시용 물통(1) 내의 해수의 양이 보일 크릴새우의 양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이 경우, 낚시꾼은 보일 크릴새우의 과도한 흡수(吸水)를 피하기 위하여, 적당히 해수를 배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빈번하게 배수 작업을 수반하는 보일 낚시법에서는, 본 낚시용 물통(1)은 조작성 및 작업성이라는 관점에서 호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낚시용 물통(1)에는, 상기 측면(26, 도 1 참조)에 손잡이(6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낚시꾼은 손잡이(60)를 잡고 상방으로 끌어올린다는 간편한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낚시용 물통(1)을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물통(1)의 메시 개구(92)는 덮개 본체(90)에 의하여 덮여 있다. 따라서, 메시 개구(92)로부터 빗물이 침수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직사 광선이 덮개 본체(90)로 차단되기 때문에, 낚시용 물통(1) 내의 밑밥의 건조가 방지된다. 그 결과, 밑밥의 상태 변화가 억제되므로, 낚시꾼이 희망하는 최상의 상태로 밑밥을 장시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시 개구(92)를 덮는 덮개 본체(90)는 고정구(80)에 의하여 측면(27)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강풍에 의하여 덮개 본체(90)가 젖혀져 올라가거나 펄럭거리거나 하는 일이 없어진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용 물통(1)은, 상부 덮개(11)의 고정 방법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 개구(17)를 전술한 반열림 상태(도 7 참조), 8할 열림 상태(도 8 참조), 전열림 상태(도 9 참조)의 3 태양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낚시꾼은 기후, 밑밥의 양 등에 따라 희망하는 크기의 개구(17)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 태양 중 어느 상태이더라도, 상부 덮개(11)는 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묶여져 있기 때문에, 흙이나 자갈 등의 부착이 방지된다.
《제2의 실시예》
이하,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용 물 통(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용 물통(11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용 물통(11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낚시용 물통(1)과는 달리, 메시 개구(92)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상부 덮개(11)의 시트편(70) 측의 단부에 상부 덮개(11)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11)의 구멍 지름은 해수가 빠져 나갈 수 있고, 또한, 크릴새우 등의 밑밥(낚시 미끼)이 통과하기 어려운 크기로 치수 설계되어 있다. 덧붙여, 도 1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관통 구멍(111)에는, 예를 들면 고리 모양의 금속구 등을 압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관통 구멍(111)이 보강된다. 이와 같은 관통 구멍(111)이 상부 덮개(11)에 설치된 낚시용 물통(110)이어도, 낚시꾼은 낚시용 물통(1) 내의 해수의 양을 가늠하면서 배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용 물통(1) 내의 밑밥 상태나 해수량을 눈으로 보면서 확인할 수 있어, 1회의 배수 작업으로 적당량의 배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꾼은, 예를 들면 제1 개구 중 경첩 설치 위치와는 반대측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이더라도, 경첩 측을 아래로 하여 물통 본체를 기울이는 것에 의하여 물통 본체에 고인 해수만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물빼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덮개 부재를 개폐한다는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결과, 낚시꾼은 낚시 조작을 중단하는 일 없이, 물빼기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물통 본체 내의 밑밥 상태나 해수량을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눈으로 봐서 확인하면서 물빼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물통 본체 내의 해수를 지나치게 버리거나, 반대로 배수 부족으로 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11)

  1. 상면(上面)에 제1 개구(開口)를 가지고, 낚시 미끼 및 해수를 수용할 수 있는 물통 본체와,
    상기 제1 개구의 주연(周緣)부의 일부에 경첩을 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제1 덮개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덮개 부재는 상기 물통 본체에 수용된 낚시 미끼 및 해수 중 해수만을 통과시키는 통수(通水)부를 가지고, 상기 통수부는 적어도 상기 경첩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덮개 부재 중, 상기 경첩과는 반대측이고 또한 상기 통수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통수부를 통하여 해수만을 배출할 수 있는,
    낚시용 물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 부재는 슬라이드 파스너(slide fastener)를 통하여 상기 제1 개구의 주연부에 연결되어 있는 낚시용 물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부는 상기 제1 덮개 부재에 복수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낚시용 물통.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부는
    상기 제1 덮개 부재에 설치되고, 낚시 미끼 및 해수를 배출할 수 있는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봉지(封止)하는 통수성 시트재(sheet 材)를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물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성 시트재는 낚시 미끼 및 해수 중 해수만을 통과시키는 메시(mesh) 구조 또는 슬릿(slit)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물통.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하는 제2 덮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물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 부재의 외면에서의 상기 경첩 측의 단부(端部) 부근에 설치된 제1 계합(係合)부와,
    상기 제1 덮개 부재의 외면에서의 상기 경첩과 대향하는 측의 단부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 해제 가능하게 계합할 수 있는 제1 피계합부와,
    상기 제1 덮개 부재의 내면에서의 중앙부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 해제 가능하게 계합할 수 있는 제2 피계합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물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 부재의 상기 경첩 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설상편(舌狀片)과,
    상기 설상편의 선단(先端)부에 설치된 제2 계합부와,
    상기 물통 본체의 상기 경첩 측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계합부와 계합 해제 가능하게 계합할 수 있는 제3 피계합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물통.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는 스터드(stud)부를 가지는 수(雄)버튼 또는 상기 스터드부와 계합하는 소켓(socket)부를 가지는 암(雌)버튼 중 어느 일방(一方)이며,
    상기 제1 피계합부, 제2 피계합부 및 제3 피계합부는 스터드부를 가지는 수버튼 또는 상기 스터드부와 계합하는 소켓부를 가지는 암버튼 중 어느 타방(他方)인 낚시용 물통.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와, 상기 제1 피계합부, 제2 피계합부 및 제3 피계합부는 각각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낚시용 물통.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본체에서 상기 경첩이 설치된 측의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의 외측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낚시용 물통.
KR1020070056667A 2006-06-14 2007-06-11 낚시용 물통 KR100890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5058A JP4573807B2 (ja) 2006-06-14 2006-06-14 釣用バケツ
JPJP-P-2006-00165058 2006-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510A KR20070119510A (ko) 2007-12-20
KR100890733B1 true KR100890733B1 (ko) 2009-03-27

Family

ID=3893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667A KR100890733B1 (ko) 2006-06-14 2007-06-11 낚시용 물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73807B2 (ko)
KR (1) KR100890733B1 (ko)
CN (1) CN101088332A (ko)
TW (1) TW2008081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8007B2 (ja) * 2009-02-04 2013-06-12 第一精工株式会社 釣り用餌入れバッグ
CN104738003A (zh) * 2013-12-27 2015-07-01 株式会社岛野 钓鱼用容器
CN103988822B (zh) * 2014-06-11 2016-03-30 浙江泰普森休闲用品有限公司 撑鱼垫
DE202022105776U1 (de) * 2022-10-12 2024-01-15 Ninkaplast Gmbh Tasche mit Bügelgrif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680A (ja) 2000-08-11 2002-02-19 Gamakatsu Co Ltd 釣用バケツ
KR20030077926A (ko) * 2002-03-26 2003-10-04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낚시용 양동이
JP2004089045A (ja) 2002-08-30 2004-03-25 Daiwa Seiko Inc 釣り用バケツ
JP2004194557A (ja) 2002-12-18 2004-07-15 Daiwa Seiko Inc 釣り用バッグ
JP2004267142A (ja) * 2003-03-11 2004-09-30 Daiwa Seiko Inc 釣り用バケ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369U (ko) * 1990-07-17 1992-03-18
JP3540381B2 (ja) * 1994-09-02 2004-07-07 株式会社シマノ 容器及びその吊り下げ構造
JP3118700B2 (ja) * 1997-06-27 2000-12-18 モリト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付きテープ
JP4416439B2 (ja) * 2003-06-06 2010-02-17 株式会社シマノ フローティングベスト
JP4316415B2 (ja) * 2004-04-16 2009-08-19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バケ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680A (ja) 2000-08-11 2002-02-19 Gamakatsu Co Ltd 釣用バケツ
KR20030077926A (ko) * 2002-03-26 2003-10-04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낚시용 양동이
JP2004089045A (ja) 2002-08-30 2004-03-25 Daiwa Seiko Inc 釣り用バケツ
JP2004194557A (ja) 2002-12-18 2004-07-15 Daiwa Seiko Inc 釣り用バッグ
JP2004267142A (ja) * 2003-03-11 2004-09-30 Daiwa Seiko Inc 釣り用バケ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510A (ko) 2007-12-20
JP4573807B2 (ja) 2010-11-04
JP2007330141A (ja) 2007-12-27
TW200808170A (en) 2008-02-16
CN101088332A (zh) 200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734B1 (ko) 낚시용 가방
KR100890733B1 (ko) 낚시용 물통
US20120110890A1 (en) Bucket containing floating net for fishing
US20090293337A1 (en) Scooping Implement for Aquarium Fish, Etc.
AU2011231456A1 (en) Fishing lure
KR20190000755U (ko)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US7596901B1 (en) Fishing rig drogue apparatus
US8296992B1 (en) Saltwater fly fishing surf/jetty stripping basket
US20140165451A1 (en) Hands-Free Bait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JP2012217406A (ja) 遠投用コマセ籠
NZ546749A (en) Fishing apparatus
KR102306342B1 (ko) 안걸리는 원터치스냅
KR101930574B1 (ko) 뜰채
JP2008212129A (ja) イカ釣り用疑似餌
JP5401625B1 (ja) ズックビク
JP3191007B2 (ja) フィッシング用寄せえさかご
JP3146029U (ja) 釣り用小物入れ
JP3736834B2 (ja) 釣り用バケツ
JP4757121B2 (ja) 釣用バケツ
JPH0755905Y2 (ja) こませ籠
CN215123484U (zh) 一种改进型钓具
JP3837369B2 (ja) 生簀袋およびタモ網
JP2007312654A (ja) 釣用バッグ
JP2004215587A (ja) 釣り用バケツ
JP2008212015A (ja) スカ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