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342B1 - 안걸리는 원터치스냅 - Google Patents

안걸리는 원터치스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342B1
KR102306342B1 KR1020190043408A KR20190043408A KR102306342B1 KR 102306342 B1 KR102306342 B1 KR 102306342B1 KR 1020190043408 A KR1020190043408 A KR 1020190043408A KR 20190043408 A KR20190043408 A KR 20190043408A KR 102306342 B1 KR102306342 B1 KR 102306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nap
fishing line
fish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850A (ko
Inventor
권태화
Original Assignee
권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화 filed Critical 권태화
Priority to KR102019004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3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에 사용되는 스냅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스냅은 낚싯줄 또는 낚시 소품에 체결되는 방법이 불편하고, 장애물이 스냅에 걸리는 문제가 있다.
낚싯줄 또는 낚시 소품의 고리에 쉽게 결합 될 수 있고, 장애물이 걸리지 않는 스냅을 안출하게 되었다.

Description

안걸리는 원터치스냅{ One-touch snap not taken}
낚시채비를 할 때에 낚시 소품을 낚싯줄에 체결하기 위하여 스냅을 사용한다.
스냅을 낚싯줄에 묶고, 루어 또는 부력찌 등의 낚시 소품을 스냅에 결합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스냅에서, 사용이 편리하게 개선된 스냅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스냅 중에서, 낚시 소품을 편리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원터치스냅이 있다.
(이하 상기의 스냅을 "원터치스냅"이라고 지칭함)
원터치스냅에서 몸체부(12)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결합부(10)는 개방이 불가능하게 폐쇄되어있고,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부(15)는 개방이 가능한 형태이다.
상기 원터치스냅의 하부결합부(15)는 몸체부(12)와 결합돌기(11)가 탄성에 의하여 접촉되어 있다.
원터치스냅에서 결합돌기(11)에 루어의 고리를 걸고 잡아당기면, 루어의 고리가 스냅에 간단하게 결합 된다.
따라서 원터치스냅은 루어를 수시로 교체하는 루어낚시에 흔히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원터치스냅은 사용상에 불편한 요소가 있어서, 낚시하는 사람들이 불편을 격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터치스냅의 불편한 점을 극복하고, 보다 더 편리한 스냅을 제공하고자 안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2002077840000 (출원일 2000.10.11)
기존의 원터치스냅에서 상부결합부(10)는 개방되지 않는 폐쇄형이다.
따라서 상부결합부(10)에 낚싯줄을 체결할 때, 낚싯줄을 묶어야함으로, 낚싯줄을 체결하는 것이 불편하다.
또한 낚시채비를 완성한 후에, 낚싯줄의 중간에 스냅을 이용하여 낚시찌 등의 낚시 소품을 추가로 결합해야 하거나 이미 낚싯줄에 체결된 낚시소품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했을 때, 낚싯줄을 잘라내고 채비를 다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의 원터치스냅에서 결합돌기(11)가 몸체부(12)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루어낚시에서 릴을 감아서 루어를 회수하면, 수초 등의 이물질이 돌출된 결합돌기(11)에 걸려서 따라오는 경우가 많다.
수시로 걸려오는 이물질을 떼어 내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또한 걸려있는 이물질로 인하여 물고기가 루어를 외면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제1결합부(20)와 제2결합부(30)를 모두, 원터치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따라서 낚싯줄 또는 낚시소품을 제1결합고리(22) 또는 제2결합고리(32)에 걸고 스냅을 당기면 간단하게 결합 되게 하였다.
또한 낚시채비가 완성된 후에 낚싯줄의 중간에 낚시소품을 결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했을 때에도, 낚싯줄 중간에 제1결합고리(22) 또는 제2결합고리(32)를 걸고 스냅을 당기면, 간편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제2결합고리(32)는 제1결합고리(22)에 의하여 커버되어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20)에 낚싯줄을 결합하고 제2결합부(30)에 루어를 결합하고, 루어를 던진후에 릴을 감아서 낚싯줄을 회수할 때, 제1결합고리(22)의 커버 기능에 의하여 이물질이 스냅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게 하였다.
첫째 낚싯줄 또는 낚시채비를 스냅에 쉽게 체결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낚시채비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 낚싯줄을 자르지 않고, 낚시채비를 수정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 스냅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따라서 낚시가 한층 더 편리해졌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은 기존의 원터치스냅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부의 명칭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용어의 정의
원터치스냅 : 낚시 소품의 고리를 결합고리에 걸고, 당기면 간단하게 낚시 소품의 고리와 스냅이 결합되는 스냅.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몸통부(40) 제1결합부(20) 제2결합부(30)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성의 소재로 제작된다.
몸통부(40)는 본 발명의 몸통 기능을 수행하며, 몸통부(40)의 상부에는 제1결합부(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제2결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20)는 낚싯줄 또는 도래 등이 결합 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1결합홀 제1결합고리(22) 제1결합접점(21)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통부(40)와 제1결합고리(22)는 탄성에 의하여 제1결합접점(21)에서 서로 접촉되어 있으며, 제1결합접점(21)에서 몸통부(40)와 제1결합고리(22)는 일정한 경사각(1도 이상 90도 미만)을 이룬다.
제1결합접점(21)에서 몸통부(40)와 제1결합고리(22)가 이루는 경사각의 크기는 아래와 같이 설정된다.
낚싯줄을 제1결합접점(21)을 향하여 당길 때, 몸통부(40)와 제1결합고리(22)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제1결합접점(21)에서 몸통부(40)와 제1결합고리(22)가 이격 되고, 낚싯줄이 통과될 수 있어야 한다.
낚싯줄이 제1결합부(20)에 체결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 손으로 본 발명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낚싯줄을 잡는다.
둘째 낚싯줄을 제1결합접점(21)의 근접한 위치에 위치시킨다.
셋째 낚싯줄을 제1결합접점(21)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당긴다.
이때 제1결합고리(22)와 몸통부(40)가 제1결합접점(21)에서 이격되며, 낚싯줄이 제1결합접점(21)을 통과하여 결합 된다.
제1결합부(20)에서 낚싯줄이 본 발명으로부터 탈거 될 때에도 상기 체결될 때와 마찬가지이다.
제2결합부(30)는 낚싯줄 또는 도래 등이 결합 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2결합고리(32) 제2결합접점(31)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통부(40)와 제2결합고리(32)는 탄성에 의하여 서로 접촉되어 있으며, 제2결합접점(31)에서 일정한 경사각을(1도 이상 90도 미만)를 이룬다.
제2결합접점(31)에서 몸통부(40)와 제2결합고리(32)가 이루는 경사각의 크기는 아래와 같이 설정된다.
낚싯줄을 제2결합접점(31)을 향하여 당길 때, 몸통부(40)와 제2결합고리(32)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제2결합접점(31)에서 몸통부(40)와 제2결합고리(32)가 이격되고, 낚싯줄이 통과될 수 있어야 한다.
제2결합부(30)가 낚시 소품에 탈부착 되는 방법은 상기 제1결합부(20)가 낚싯줄에 탈부착되는 방법과 같다.
아래는 기존 스냅의 문제점에 관한 설명 이다.
첫째 기존의 스냅은 결합고리의 돌출된 부분에, 수초 등의 이물질이 많이 걸린다.
둘째 기존의 스냅은 낚싯줄을 스냅에 체결할 때, 낚싯줄을 스냅에 묶어서 결합해야 함으로, 스냅에 낚싯줄을 묶는 것이 불편하다.
셋째 채비가 완성된 후에 낚싯줄 중간에 부력찌 등의 낚시소품을 추가로 체결해야 하거나 제거해야 하는 경우, 낚싯줄을 잘라내고 채비를 다시 셋팅해야 하므로 불편하다.
아래는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다.
첫째 제1결합고리(22)가 제2결합고리(32)의 끝부분을 커버하고 있다.
따라서 낚싯줄을 잡아당길 때, 수초 등의 이물질이 스냅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둘째 결합고리에 낚싯줄을 걸고당기면 스냅과 낚싯줄이 결합되는 원터치 결합 방식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스냅을 낚싯줄에 결합하는 것이 간편해 졌다.
셋째 채비가 완성된 후에 낚싯줄 중간에 부력찌 등의 낚시소품을 추가로 체결해야 할 경우, 낚싯줄의 원하는 부분에 결합고리를 걸고 당김으로서, 낚싯줄의 옆면을 통해서 낚시 소품이 결합된다.
따라서 낚싯줄을 잘라내고 채비를 처음부터 다시해야하는, 불편이 제거되었다.
아래는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다.
첫째 제1결합고리(22)가 제2결합고리(32)의 끝부분을 커버하고 있다.
따라서 낚싯줄을 잡아당길 때, 수초 등의 이물질이 스냅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둘째 결합고리에 낚싯줄을 걸고당기면 스냅과 낚싯줄이 결합되는 원터치 결합 방식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스냅을 낚싯줄에 결합하는 것이 간편해 졌다.
셋째 채비가 완성된 후에 낚싯줄 중간에 부력찌 등의 낚시소품을 추가로 체결해야 할 경우, 낚싯줄의 원하는 부분에 결합고리를 걸고 당김으로서, 낚싯줄의 옆면을 통해서 낚시 소품이 결합된다.
따라서 낚싯줄을 잘라내고 채비를 처음부터 다시해야하는, 불편이 제거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재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8 : 도래
10 : 상부결합부
11 : 결합돌기
12 : 몸체부
15 : 하부결합부
20 : 제1결합부
21 : 제1결합접점
22 : 제1결합고리
30 : 제2결합부
31 : 제2결합접점
32 : 제2결합고리
40 : 몸통부

Claims (2)

  1. 몸통 기능을 수행하는 몸통부(40);와
    몸통부(40)의 한쪽 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결합접점(21)의 근접한 위치에서 낚싯줄 또는 낚시소품의 고리가 제1결합접점(21)을 향해서 당겨지면,
    제1결합접점(21)이 개방되어 낚싯줄 또는 낚시소품의 고리가 제1결합부(20)의 내부로 통과되어 체결되는 제1결합부(20);와
    몸통부(40)의 다른 한쪽 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결합접점(31)의 근접한 위치에서 낚싯줄 또는 낚시소품의 고리가 제2결합접점(31)을 향해서 당겨지면,
    제2결합접점(31)이 개방되어 낚싯줄 또는 낚시소품의 고리가 제2결합부(30)의 내부로 통과되어 체결되는 제2결합부(30);로 구성되며,
    장애물이 스냅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결합고리(32)가 제1결합고리(22)에 의하여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걸리는 원터치스냅.
  2. 삭제
KR1020190043408A 2019-04-14 2019-04-14 안걸리는 원터치스냅 KR102306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08A KR102306342B1 (ko) 2019-04-14 2019-04-14 안걸리는 원터치스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08A KR102306342B1 (ko) 2019-04-14 2019-04-14 안걸리는 원터치스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850A KR20200120850A (ko) 2020-10-22
KR102306342B1 true KR102306342B1 (ko) 2021-11-11

Family

ID=7303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408A KR102306342B1 (ko) 2019-04-14 2019-04-14 안걸리는 원터치스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95599A1 (en) * 2020-09-25 2022-03-31 Thomas Lin Easy-tie fishing hoo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535B2 (ja) 1998-10-07 2001-04-09 シグノーデ ベルンパ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固定用支持装置
JP2015006157A (ja) 2013-06-24 2015-01-15 株式会社鈴木スプリング製作所 釣り用スナ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1972A (en) * 1996-06-24 1998-07-21 Steed; John David Fishing snap
KR200207784Y1 (ko) 2000-06-28 2000-12-15 김원근 낚시용 다용도 연결구
JP3153535U (ja) * 2009-06-19 2009-09-10 義之 後藤 ロック付きスナップ
KR20170078151A (ko) * 2015-12-29 2017-07-07 영 균 김 루어낚시용 연결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535B2 (ja) 1998-10-07 2001-04-09 シグノーデ ベルンパ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固定用支持装置
JP2015006157A (ja) 2013-06-24 2015-01-15 株式会社鈴木スプリング製作所 釣り用スナ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850A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93337A1 (en) Scooping Implement for Aquarium Fish, Etc.
US3184880A (en) Line attachment and safety device for fishing tackle
US4703579A (en) Fishing lure
KR102306342B1 (ko) 안걸리는 원터치스냅
US5237772A (en) Double barbed fishhook improvement
US2938296A (en) Fishhook
US2823486A (en) Easily removable fishhook
US2097536A (en) Retriever for fish lures
US4785572A (en) Combined sinker and fishing lure
JP2012090622A (ja) 遠投用天秤付きコマセ籠
US10888072B2 (en) Handheld crabtrap system
US1766279A (en) Fishhook and weed guard
US4862632A (en) Fish hook structure
US3464138A (en) Device for releasing a snagged fishing lure
US7254917B2 (en) Fishing lure
US2804247A (en) Fish stringer
US1231742A (en) Snap-hook.
US3430378A (en) Weight and bait holder for fishhooks
US10034469B2 (en) Fishing lure retrieval apparatus and method
US498094A (en) Fish-hook disgorger
US7272907B1 (en) Method of attaching a leader to a snelled fly
US8479437B2 (en) Automatic hook setting device
US2171050A (en) Cutting device for fishermen
US3392476A (en) Fishing tackle
GB2373982A (en) Fishing tackle device for releasably retaining a fishing w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