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755U -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 Google Patents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755U
KR20190000755U KR2020170004879U KR20170004879U KR20190000755U KR 20190000755 U KR20190000755 U KR 20190000755U KR 2020170004879 U KR2020170004879 U KR 2020170004879U KR 20170004879 U KR20170004879 U KR 20170004879U KR 20190000755 U KR20190000755 U KR 201900007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pick
fishing
funnel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751Y1 (ko
Inventor
덕왕 현 빌리안
Original Assignee
덕왕 현 빌리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왕 현 빌리안 filed Critical 덕왕 현 빌리안
Priority to KR2020170004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5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2Devices for laying ground-bait, e.g. chum dispensers, e.g. also for throwing ground-ba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낚시줄에 파도 또는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밑밥을 조금씩 배출함은 물론, 부력부를 통해 수면 또는 수중에서의 위치가 조절되는 밑밥통을 결합 구성한 것이고, 이에따라 밑밥통내에 투입되어 외부로 조금씩 배출되는 밑밥의 냄새를 이용하여 어류들을 집어(集魚)하고, 집어된 어류들을 미끼를 통해 손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밑밥이 급격하게 소진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한편, 어류의 종류에 따라 낚시줄에 결합되는 밑밥통을 수면이나 수중의 중간에 위치시키면서 어류 종류에 따른 집어 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Fish luring ground bait basket for fishing line connection}
본 고안은 집어 밑밥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줄에 밑밥을 조금씩 배출하는 밑밥통을 결합시켜, 밑밥통내에 투입되어 외부로 조금씩 배출되는 밑밥의 냄새를 이용하여 어류들을 집어(集魚)하고, 집어된 어류들을 미끼를 통해 손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낚시를 살펴보면, 낚싯대에 연결된 낚시채비로서 낚시줄, 낚시찌, 봉돌(던질 추), 도래, 낚시바늘 순서로 연계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통상 물에 잠기는 낚시줄에는 중량체로 이루어진 봉돌이 물속에서 가라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낚시줄의 하부에는 낚시바늘이 목줄에 연결되어 낚시를 하고 있다.
현재의 중층, 내림 등의 민물 밑밥 낚시나 벵에돔 등 부상성 어종을 대상으로 하는 바다낚시 등에서 사용하는 집어용 낚시밑밥(떡밥)은 물속에서 쉽게 풀려야 하는 등의 이유로 점성이 높지 않은 종류를 사용하므로, 낚시밑밥 모형을 성형하기가 어렵다.
또한, 성형된 낚시밑밥도 현재의 낚시 방법으로는 낚시 집어제를 달기 위하여 별도로 준비한 낚싯바늘에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미끼 투척의 경우 이 집어 바늘에 부착된 낚시밑밥이 낚시바늘과의 접촉 면적이 작은 관계로 투척과정 중 쉽게 떨어져 버리거나, 수중에서는 낚시바늘과 낚시밑밥과의 밀착성이 다하는 순간 일시에 낚시밑밥이 바닥으로 떨어져 버리므로 집어 효과가 미미하여 계속적인 투척이 이루어지는 바 많은 양의 낚시밑밥이 사용되어 낚시밑밥의 허실이 심하고 낚시하는 사람에게도 번거롭고 피곤한 일일 수밖에 없었다.
특히, 낚시 투척지점에 밑밥통에서 낚시밑밥을 주걱으로 꺼내 정확하게 투척 한 후, 투척지점에서 밑밥에 의해 고기를 유인하면서 낚시밑밥과 미끼와의 동조(同調)를 하며 낚시를 하고 있다.
그러나, 낚시밑밥 투척 후 같은 투척지점에 낚시채비를 정확히 투척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낚시밑밥과 같은 투척지점에 낚시채비가 투척되었다 하더라도 낚시채비의 비중 등, 여러 요소에 의해 낚시 밑밥과 낚시 미끼가 동조되지 않고 따로 따로 내려가거나 낚시 밑밥이 수중으로 쉽게 가라앉게 되어 어류들이 낚시밑밥을 식별하기 어렵게 되었고, 낚시밑밥의 상부에만 고기들이 접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집어(고기떼를 모으는 일)효과가 저조할 수밖에 없었다.
더불어, 한 번의 투척에 너무 많은 양의 낚시밑밥이 사용되어 낚시밑밥의 허실이 심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환경오염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인해 낚시집어의 과정에서 낚시밑밥과 낚시미끼의 동조(같이 움직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354호(등록일 2004.06.14)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8734호(공개일 2009.08.31)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8684호(공개일 2015.09.30)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낚시줄에 파도 또는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밑밥을 조금씩 배출하는 밑밥통을 결합 구성함으로써, 밑밥통내에 투입되어 외부로 조금씩 배출되는 밑밥의 냄새를 이용하여 어류들을 집어(集魚)하고, 집어된 어류들을 미끼를 통해 손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밑밥이 급격하게 소진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밑밥통의 상하단에 각각 부력 조절이 가능한 부력부를 구성하여, 어류의 종류에 따라 낚시줄에 결합되는 밑밥통을 수면이나 수중의 중간에 위치시키면서 어류 종류에 따른 집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은, 낚시줄에 결합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밑밥이 채워지는 집어 밑밥통; 상기 집어 밑밥통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부력부; 상기 집어 밑밥통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부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집어 밑밥통과 상기 제 1,2 부력부의 내부에는 각각 상기 낚시줄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낚시줄 관체를 구성하며, 상기 집어 밑밥통에는 파도 또는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밑밥을 조금씩 외부로 배출시키는 각형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제 1,2 배출구와 원형으로 이루는 복수의 제 3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어 밑밥통의 상단 외주면에는 홈 타입의 제 1 결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부력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 1 결속부에 결속되면서, 상기 제 1 부력부를 상기 집어 밑밥통으로 결합 고정시키는 돌기 타입의 제 2 결속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부력부는 수심의 상층과 중간층 및 하층으로 그 잠수 위치가 가변되도록 내부로의 공기 충진량에 따라 부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낚시줄에는 상기 집어 밑밥통으로부터 밑밥이 모두 배출시, 상기 집어 밑밥통이 수면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수심 조절용 고무봉돌을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어 밑밥통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2 배출구는 상기 집어 밑밥통의 내부로 밑밥을 투입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2 손잡이에 형성되는 제 1,2 집게편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손잡이에는 바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U자형의 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어 밑밥통에는 깔대기를 통해 밑밥을 투입하되, 상기 깔대기에는 상기 제 1 손잡이와 밑밥을 밀어주기 위한 막대봉이 줄로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낚시줄에 파도 또는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밑밥을 조금씩 배출함은 물론, 부력부를 통해 수면 또는 수중에서의 위치가 조절되는 밑밥통을 결합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밑밥통내에 투입되어 외부로 조금씩 배출되는 밑밥의 냄새를 이용하여 어류들을 집어(集魚)하고, 집어된 어류들을 미끼를 통해 손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밑밥이 급격하게 소진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한편, 어류의 종류에 따라 낚시줄에 결합되는 밑밥통을 수면이나 수중의 중간에 위치시키면서 어류 종류에 따른 집어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의 구조를 보안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집게부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집어 밑밥통의 배출구를 집게부로 밀폐시키는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배출구가 밀폐된 집어 밑밥통에 밑밥을 투입하는 상태를 보인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집어 밑밥통을 통해 어류를 집어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의 구조를 보안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집게부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집어 밑밥통의 배출구를 집게부로 밀폐시키는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배출구가 밀폐된 집어 밑밥통에 밑밥을 투입하는 상태를 보인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은, 집어 밑밥통(10)와 제 1,2 부력부(20)(30) 및 낚시줄 관체(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집어 밑밥통(10)은 상기 낚시줄 관체(40)를 이용하여 낚시줄(100)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에는 일정량의 밑밥이 채워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어 밑밥통(10)에는 파도 또는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유체(예; 물)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밑밥을 조금씩 외부로 배출시키는 각형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제 1,2 배출구(51)(52)와 원형으로 이루는 복수의 제 3 배출구(53)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배출구(51)의 크기는 상기 제 2 배출구(52)의 크기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배출구(51)는 기본으로 유체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지만 이와 동시에 일정크기의 밑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배출구(52)는 기본으로 상기 제 1 배출구(51)에서 배출되는 밑밥의 크기보다 큰 밑밥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3 배출구(53)는 다수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2 배출구(51)(52)보다 크기가 아주 작은 밑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집어 밑밥통(10)은 파도 또는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낚지줄(100)이 흔들릴 때, 상기 제 1,2,3 배출구(51)(52)(53)를 통해 밑밥을 서서히 조금씩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이에따라 상기 집어 밑밥통(10)내의 밑밥 또는 조금씩 외부로 배출되는 밑밥에 의해 어류의 집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상기 낚시줄(100)에 형성되는 미끼가 상기 밑밥과의 동조가 가능하게 되면서, 낚시바늘(200)에 의한 어류 포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부력부(20)는 상기 집어 밑밥통(10)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부력부(20)내의 공기 충진량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이고, 그 조절은 어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집어 밑밥통(10)의 잠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 집어 밑밥통(10)의 상단 외주면에는 홈 타입의 제 1 결속부(6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력부(20)의 하단에는 돌기 타입의 제 2 결속부(62)를 형성하여, 상기 제 1,2 결속부(61)(62)의 결속력으로부터 상기 제 1 부력부(20)는 상기 집어 밑밥통(10)의 상단에 결합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부력부(30)는 상기 집어 밑밥통(10)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부력부(30)내의 공기 충진량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이고, 그 조절은 어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집어 밑밥통(10)의 잠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낚시줄 관체(40)는 상기 집어 밑밥통(10)과 상기 제 1,2 부력부(20)(30)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낚시줄(100)이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낚시줄(100)이 상기 낚시줄 관체(40)를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낚시줄(100)에 상기 집어 밑밥통(10)이 결합 구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낚시줄(100)에는 상기 집어 밑밥통(10)으로부터 밑밥이 모두 배출시, 상기 집어 밑밥통(10)이 수면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수심 조절용으로 통상의 고무봉돌(70)이 결합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집어 밑밥통(10)과 제 1,2 부력부(20)(30)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낚시줄 관체(40)에 낚시줄(100)을 통과시켜, 상기 낚시줄(100)에 상기 집어 밑밥통(10)은 물론 상기 제 1,2 부력부(20)(30)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집게부로서 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2 손잡이(81)(82)를 통해 제 1,2 집게편(81a)(82a)으로 집어 밑밥통(10)의 제 1,2 배출구(51)(52)는 물론 원형의 제 3 배출구(53)를 밀폐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집어 밑밥통(10)의 상단에 깔대기(91)를 투입한 후, 상기 깔대기(91)에 밑밥을 투입하고 이를 막대봉(92)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집어 밑밥통(10)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밑밥이 채워진다.
다음으로, 상기 집어 밑밥통(10)의 상단에 상기 제 1 부력부(2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부력부(20)에 형성되는 돌기 타입의 제 2 결속부(62)를 상기 집어 밑밥통(10)에 형성되는 홈 타입의 제 1 결속부(61)에 결속시켜, 상기 집어 밑밥통(10)의 상단에 상기 제 1 부력부(2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집어 밑밥통(10)에서 제 1,2 손잡이(81)(82)를 이용하여 상기 집게편(81a)(82a)을 분리시킨 이후에, 상기 제 1 손잡이(81)는 U자형의 고정부(81b)를 이용하여 바위틈에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낚시줄(100)에는 수심 조절용으로서 고무봉돌(70)은 물론, 미끼와 낚시찌(200) 그리고 낚시바늘(300)을 연결하여둔다.
이후, 상기 낚시줄(100)을 바다에 투척하게 되면, 상기 집어 밑밥통(10)은 그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 1,2 부력부(20)(30)내의 공기 충진량에 따라 바다의 상층 수심이나 중간층 수심 또는 하층 수심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바닥에서 파도가 치거나 또는 바람에 의해 상기 낚시줄(100)이 흔들리게 되면, 상층 수심이나 중간층 수심 또는 하층 수심에 위치한 집어 밑밥통(10)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각형의 제 1,2 배출구(51)(52)는 물론 원형의 제 3 배출구(53)를 통해 밑밥을 조금씩 배출하게 되면서, 상기 밑밥의 냄새를 통해 어류들을 집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밑밥의 냄새로 인해 어류 집어가 이루어질 때, 상기 낚시바늘(300)에 끼워진 미끼가 동조하게 되면서, 어류에 대한 포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어 밑밥통(10)에 채워진 밑밥이 조금씩 모두 배출되더라도, 상기 낚시줄(100)에 연결되는 고무봉돌(70)에 의해 상기 집어 밑밥통(10)은 수면으로 부상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집어 밑밥통(10)을 통해 장시간 어류를 포획하는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집어 밑밥통 20; 제 1 부력부
30; 제 2 부력부 40; 낚시줄 관체
51,52,53; 제 1,2,3 배출구 61,62; 제 1,2 결속부
70; 고무봉돌 81,82; 제 1,2 손잡이
81a,82a; 제 1,2 집게편 81b; 고정부
91; 깔대기 92; 막대봉
100; 낚시줄 200; 낚시찌
300; 낚시바늘

Claims (7)

  1. 낚시줄에 결합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밑밥이 채워지는 집어 밑밥통; 상기 집어 밑밥통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부력부; 상기 집어 밑밥통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부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집어 밑밥통과 상기 제 1,2 부력부의 내부에는 각각 상기 낚시줄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낚시줄 관체를 구성하며,
    상기 집어 밑밥통에는 파도 또는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밑밥을 조금씩 외부로 배출시키는 각형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제 1,2 배출구와 원형으로 이루는 복수의 제 3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어 밑밥통의 상단 외주면에는 홈 타입의 제 1 결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부력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 1 결속부에 결속되면서, 상기 제 1 부력부를 상기 집어 밑밥통으로 결합 고정시키는 돌기 타입의 제 2 결속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부력부는 수심의 상층과 중간층 및 하층으로 그 잠수 위치가 가변되도록 내부로의 공기 충진량에 따라 부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에는 상기 집어 밑밥통으로부터 밑밥이 모두 배출시, 상기 집어 밑밥통이 수면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수심 조절용 고무봉돌을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어 밑밥통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2 배출구는 상기 집어 밑밥통의 내부로 밑밥을 투입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2 손잡이에 형성되는 제 1,2 집게편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잡이에는 바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U자형의 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집어 밑밥통에는 깔대기를 통해 밑밥을 투입하되, 상기 깔대기에는 상기 제 1 손잡이와 밑밥을 밀어주기 위한 막대봉이 줄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KR2020170004879U 2017-09-15 2017-09-15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KR200489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79U KR200489751Y1 (ko) 2017-09-15 2017-09-15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79U KR200489751Y1 (ko) 2017-09-15 2017-09-15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55U true KR20190000755U (ko) 2019-03-25
KR200489751Y1 KR200489751Y1 (ko) 2019-08-01

Family

ID=6589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879U KR200489751Y1 (ko) 2017-09-15 2017-09-15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768A (zh) * 2019-04-19 2019-07-26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自动发光的鱿钓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26Y1 (ko) 2020-03-10 2022-09-22 김천호 집어용 밑밥 살포구
KR20230127746A (ko) 2022-02-25 2023-09-01 노종현 크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 밑밥통
KR200497196Y1 (ko) 2023-03-22 2023-08-28 박지성 집어 효율성이 향상된 낚시용 집어통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653A (ja) * 1996-10-22 1998-05-12 Pirion:Kk まきえ容器
KR200157322Y1 (ko) * 1997-02-04 1999-10-01 이종철 수질 오염 방지를 위한 떡밥 보호망을 이용한 추(납) 없는 낚시
JP2000093058A (ja) * 1998-09-18 2000-04-04 Masaki Miyasako 魚釣用錘、浮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魚釣用仕掛け
KR200354354Y1 (ko) 2004-03-30 2004-06-29 이병곤 다기능 낚시용 밑밥통
KR200428770Y1 (ko) * 2006-07-19 2006-10-16 오건부 피싱 카고
KR20070041075A (ko) * 2005-10-14 2007-04-18 이주헌 집어기
KR20090008734U (ko) 2008-02-26 2009-08-31 이성진 낚시용 밑밥통
JP2012187090A (ja) * 2011-03-09 2012-10-04 Fujiwara:Kk 撒き餌籠
KR20150108684A (ko) 2014-03-18 2015-09-30 주식회사 에스케이엠 낚시용 밑밥통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653A (ja) * 1996-10-22 1998-05-12 Pirion:Kk まきえ容器
KR200157322Y1 (ko) * 1997-02-04 1999-10-01 이종철 수질 오염 방지를 위한 떡밥 보호망을 이용한 추(납) 없는 낚시
JP2000093058A (ja) * 1998-09-18 2000-04-04 Masaki Miyasako 魚釣用錘、浮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魚釣用仕掛け
KR200354354Y1 (ko) 2004-03-30 2004-06-29 이병곤 다기능 낚시용 밑밥통
KR20070041075A (ko) * 2005-10-14 2007-04-18 이주헌 집어기
KR200428770Y1 (ko) * 2006-07-19 2006-10-16 오건부 피싱 카고
KR20090008734U (ko) 2008-02-26 2009-08-31 이성진 낚시용 밑밥통
JP2012187090A (ja) * 2011-03-09 2012-10-04 Fujiwara:Kk 撒き餌籠
KR20150108684A (ko) 2014-03-18 2015-09-30 주식회사 에스케이엠 낚시용 밑밥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768A (zh) * 2019-04-19 2019-07-26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自动发光的鱿钓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751Y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751Y1 (ko) 낚시줄 연결용 집어 밑밥통
EP3079465B1 (en) Bait dispensing device for use in fishing
US4257182A (en) Variable-ballast chumming lure
CA2895775A1 (en) Container for the delivery and distribution of the lure or food or pharmaceutical substance for fish or for the dissolution of the substance in the aquatic environment
JP3813977B1 (ja) 底蓋及び引っ掛け金具を有する中通し撒き餌カゴを用いた釣り具及び釣り方
US7225584B1 (en) Hand-held chum distributing device
US20090178329A1 (en) Air cannon bait shooter
KR20200002665U (ko) 낚시채비
US20060005457A1 (en) Fish scent dispensing fishing device
US20090178328A1 (en) Air cannon bait shooter
JP2012217406A (ja) 遠投用コマセ籠
US20090119976A1 (en) Bait bucket having a funnel for cast netting
KR200484050Y1 (ko) 낚시찌
WO2008013865A2 (en) Weight-forward fishing sinker for use in a bait projectil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uch projectile
AU756476B1 (en) A fishing accessory that can be a float or a sinker
US20100037510A1 (en) Float device
JP3191007B2 (ja) フィッシング用寄せえさかご
KR100479178B1 (ko) 낚시용 찌
ITPI20000031A1 (it) Dispensatore di pastura per pescatori
CN217884846U (zh) 一种可更换鱼头并可调整自身重量的仿生鱼饵
KR102609356B1 (ko) 낚시용 수중찌
US10398137B2 (en) Chumming device
KR200327142Y1 (ko) 낚시용 찌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JP2003061534A (ja) 浮 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