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648B1 - 접착제 릴 - Google Patents

접착제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648B1
KR100889648B1 KR1020060079857A KR20060079857A KR100889648B1 KR 100889648 B1 KR100889648 B1 KR 100889648B1 KR 1020060079857 A KR1020060079857 A KR 1020060079857A KR 20060079857 A KR20060079857 A KR 20060079857A KR 100889648 B1 KR100889648 B1 KR 100889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reel
adhesive tape
tape
suppor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029A (ko
Inventor
미츠루 히라오
코우이치 카와마타
타카시 세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Adhesive Tape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면(2b) 및 이것과 반대측의 제2면(2a)을 갖는 지지필름(2)의 제1면(2b) 위에 접착제층(1)을 설치한 접착제 테이프(20)를 가지고, 접착제 테이프(20)가 권심(13)의 양단에 릴판(5a), (5b)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조체의 권심(13)에 감겨 있는 접착제 릴(3)에 있어서,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4)에 있어서의 지지필름(2)의 제2면(2a)에 점착부재(7)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제 릴이다.

Description

접착제 릴{REEL FOR ADHESI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일부 절단 평면도, 및 (b)는 접착제 릴의 시단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점착부재의 고착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 (b)는 점착부재의 다른 고착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접착제 테이프 시단에 점착시킨 점착테이프의 점착부 길이와 인장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접착제 릴의 선단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접착제 릴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접착제 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접착제 릴을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접착제 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접착제 릴을 나타내는 평면도면이며, (a)는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를 릴판에 고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b)는 (a)의 상태에서 일어나는 불량을 나타낸다.
도 13은, 종래의 접착제 릴을 나타내는 평면도면이며, (a)는 도 12의 (a)의 상태에서 일어나는 불량을 나타내고, (b)는 불량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끼리를 접착 고정함과 동시에 양자의 전극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착제 테이프 및 리드 프레임의 고정이나 리드 프레임의 다이, 반도체소자 탑재용 지지기판에 반도체소자(칩)를 접착ㆍ고정하는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착제 테이프를 릴상으로 감은 접착제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L(형광 디스플레이)패널, 페어칩 실장 등의 전자부품과 회로기판, 회로기판끼리를 접착 고정하고, 양자의 전극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회로접속부재)로서 접착제 테이프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지지필름과, 그 위에 설치 되는 접착제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 접착제로서, 최근에는, 접착제 조성물중에 도전입자를 분산시킨 이방도전성 접착제가, 매우 정밀하고 미세한 회로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부터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 테이프는, 리드 프레임의 리드 고정 테이프, LOC테이프, 다이본드 테이프, 마이크로 BGAㆍCSP 등의 접착에 이용되고, 반도체장치 전체의 생산성,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일본국 특개 2001-284005호 공보에는, 지지필름 위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제 테이프를 릴상으로 권취한 것(이하, 간단히 「접착제 릴이라고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류의 종래의 접착제 테이프는, 접착제가 지지필름에 고착하지 않도록,혹은 접착제를 지지필름으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지지필름에는 실리콘 등에 의한 박리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지지필름 중 접착제가 도포되는 면(이하, 「도포면」이라 한다)과, 그 반대면(이하, 「배면」이라 한다)의 박리 용이성에는 차이가 있다. 즉, 접착제를 내측으로 해서 접착제 테이프를 릴상으로 감아서 접착제 릴이 형성된 경우, 접착제가 접촉하는 한번 감기 전의 지지필름 배면쪽을 도포면보다도 접착제가 박리하기 쉽게 함으로써, 릴로부터 접착제 테이프를 인출했을 때에 접착제 테이프가 한번 감기기 전의 지지필름의 배면에 고착해 버리는 소위 배면전착을 방지하고 있다.
발명의 개요
도 10은, 종래의 접착제 릴을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접착제 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릴(300)은, 권심(13)의 양단에 릴판(5a), (5b)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체의 권심(13)에, 접착제 테이프(20)가 릴상으로 감겨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착제 테이프(20)는, 지지필름(2)의 편면에 접착제층이 도포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10, 도 11에 나타낸 접착제층(1)과 지지필름(2)의 배면(2a)은 고착하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 릴(3)의 시단부(4)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버린다. 이 상태에서, 접착제 릴(300)을 운반 또는 반송했을 경우, 접착제 릴(3)의 감긴 상태가 느슨해지거나, 접착제 테이프(20)이 릴판(5a), (5b)로부터 일탈하거나, 릴판(5a) 또는 (5b)와 접착제 릴(300)과의 사이의 극간에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4)가 탈락해버려, 접착제 릴(300)로부터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4)를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한 경우, 상기 불량에 의해 접착제 테이프(20)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회로접속부재와 같이 대량생산의 라인에 사용되는 경우,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4)를 릴판(5a) 또는 (5b)의 테두리단에 구부려서 고착을 멈추는 것에 의해, 접착제 릴(300)을 운반이나 반송할 경우의 접착제 릴(300)의 감긴 상태의 느슨함을 방지함과 동시에, 곧 사용할 수 있도록 스탠바이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층(1)은, 실리콘 등에 의한 박리처리를 실시하고 있는 도포면(2b)보다도, 실리 콘 수지 등에 의한 박리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있는 릴판(5a) 또는 (5b)에 강고하게 밀착하기 때문에, 접착제와 도포면(2b)과의 계면에서, 지지필름(2)이 보다 박리하기 쉬워지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접착제 테이프(20)를 인출하면,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필름(2)만이 인출되고, 접착제층(1)은, 릴판(5a) 또는 (5b)에 고착된 그대로 되고, 접착제 테이프(20)가 정상적으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정상적으로 인출되는」은,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층(1)이 지지필름(2)의 도포면(2b)에 밀착한 상태에서 인출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릴판(5a) 또는 (5b) 중 접착제 테이프 시단부(4)가 고착하는 부분에 실리콘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 경우도 결국, 시단부(4)가 고착할 수 없어,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해결책으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접착제 테이프의 감긴 상태가 느슨해지는 일 없이 운반 또는 반송할 수 있고, 접착제 테이프 릴판으로부터의 일탈 및 접착제 릴과 릴판 사이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착제 테이프를 정상적으로 인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릴판으로의 전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접착제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면 및 이것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 지지필름의 상기 제1면 위에 접착제층을 설치한 접착제 테이프를 가지고, 상기 접착제 테이프가 권심의 양단에 릴판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조체의 상기 권심에 감겨 있는 접착제 릴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필름의 상기 제2면 위에 점착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접착 제 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에 의하면,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를, 점착부재를 개재하여, 예컨대 한번 감기 전의 접착제 테이프의 지지필름에 있어서의 제2면에 고착시킬 수 있으므로, 운반 및/또는 반송할 때에, 접착제 릴의 감긴 상태가 느슨해지는 경우가 없고, 또한 접착제 테이프가 릴판으로부터 일탈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가 릴판과 접착제 릴과의 사이의 극간에 탈락할 경우도 없으므로, 감기 시작해서 사용할 때에 상기 불량에 의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접착제 테이프의 감긴 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 대신에 점착부재가, 릴판의 테두리단에 고착된다.이것 때문에, 점착부재를 릴판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접착제 테이프의 지지필름과 접착제층과의 분리가 일어나는 경우가 없다. 즉, 접착제층이 릴판으로 전사되는 것이 충분히 방지된다. 따라서, 접착제 테이프를 정상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릴에 있어서는, 점착부재와 지지필름의 제2면과의 접촉부분의 면적이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접착제 릴에 의하면, 회로접속의 용도에 사용되는 경우, 감기 시작할 때의 인장강도에 견딜 수 있을 만큼의 점착력이 얻어진다. 이것 때문에, 이 접착제 릴은, 사용시에 점착부재가 접착제 테이프로부터 빠져서, 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감기 시작하는 기계화에 유효하다.
상기 접착제 릴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의 시단에 비점착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점착부재는, 한번 감기 전의 접착제 테이프에 고착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용이하게 포착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비점착부재를 개재하여, 접착제 테이프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비점착부가, 기계에 의한 감기 시작하는 조작시의 잡기값으로서도 유용하게 된다.
상기 접착제 릴은, 상기 점착부재를 복수 가지고, 복수의 점착부재가 상기 접착제 테이프의 연장선상에 따라 배열되어, 이웃하는 점착부재끼리가 연결부재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점착부재 중 상기 접착제 테이프로부터 가장 먼 점착부재의 시단에 비점착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접착제 릴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제2면에 점착가능한 점착면을 편면에만 가지고, 상기 점착부재의 선단이, 상기 점착면끼리가 서로 마주 향하도록 두겹으로 접혀져 있고, 점착면의 일부가 상기 제2면에 점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점착부재의 점착면과 반대측의 면은 비점착면으로 되어 있어, 점착부재의 선단부가 두겹으로 접혀지는 것에 의해 점착면의 일부가 비점착면으로 된다. 이 경우, 점착부재와는 별개의 비점착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손쉽게 비점착부를 형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에 의하면, 접착제 테이프의 감긴 상태가 느슨해지지 않고 운반 또는 반송할 수 있고, 접착제 테이프 릴판으로의 일탈 및 접착제 릴과 릴판 사이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착제 테이프를 정상적으로 인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릴판으로의 전사를 방지할 수 있다.
적당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 (b)는,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의 (a) 또는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릴(3)은, 권심(13)의 양단에 릴판(5a), (5b)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조체의 권심(13)에, 접착제 테이프(20)가 릴상으로 감기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환언하면, 접착제 테이프(20)는, 접착제층(1)을 내측으로 해서 권심(13)의 주위에, 접착제 테이프(20)끼리가 서로 겹치도록 감겨 있다. 접착제 테이프(20)는, 지지필름(2)의 편면인 도포면(제1면)(2b)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접착제층(1)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필름 배면(제2면)(2a)에는 실리콘 수지 등에 의한 박리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필름(2)의 배면(2a)에는 점착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점착부재(7)는, 지지필름(2)의 배면(2a)에 점착가능하고, 통상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부재(7)의 일부가, 지지필름(2)의 배면(2a)에 점착되고, 잔부가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에서 돌출하고 있다. 또, 점착부재(7)는, 편면에만 점착성을 갖는 점착부재이더라도, 양면에 점착성을 갖는 점착부재이더라도 좋다.
접착제 릴(3)은,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4)에, 실리콘 수지 등에 의해 박리처리된 지지필름(2)에도 점착가능한 점착면을 갖는 점착부재(7)를 설치하는 것 에 의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접착제 릴(3)은, 점착부재(7)의 점착면의 일부를,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4)에 있어서의 지지필름(2)의 배면(2a)에 접촉시켜서 점착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4) 중 접착제층(1)측에 점착부재(7)를 설치하는 구조도 고려되지만, 접착제 테이프(20)는 그 사용방법으로부터, 접착 대상물에 첩부한 후, 지지필름(2)만을 벗겨 떨어지도록 지지필름(2)과 접착제층(1)과의 사이의 박리력은 비교적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접착제층(1)에 점착부재(7)를 설치한 경우, 접착제층(1)과 점착부재(7)가 강고하게 밀착하고, 접착제 테이프(20)를 인출할 때에 접착제층(1)이 지지필름(2)으로부터 벗겨져 버릴 경우가 있다.
또한, 이 구조의 경우, 점착부재(7)로서, 상기한 편면에만 점착성을 갖는 점착부재를 사용했을 때에, 접착제 테이프(20)에 점착부재(7)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점착부재(7)의 점착면이 접착제 테이프(20)의 접착제층(1)측을 향해서 점착된다.즉, 점착성을 갖지 않는 비점착면이, 지지필름(2)의 배면(2a)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것 때문에, 한번 감기 전의 지지필름 배면(2a)에 점착부재(7)를 고착시킬 때, 점착부재(7)의 점착면을 180° 비틀지 않으면 붙일 수 없다. 더욱이, 그 때에 지지필름(2)으로부터 접착제 테이프(20)가 벗겨지는 경우가 있다는 등의 이유로부터, 실용적이지는 않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점착부재(7)는,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4)에 있어서의 지지필름(2)의 배면(2a)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접착제 릴(3)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도 1의 (a) 또는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필름(2) 중 실리콘 등에 의한 박리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지지필름 배면(제2면)(2a)에 점착가능한 점착부재(7)를 설치하므로써,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부재(7)의 선단(이하, 「점착부 선단 」이라 한다)(8)을 지지필름의 배면(2a)에 점착시켜서, 고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4)를 자유로운 상태로 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의 접착제 릴(3)에 의하면,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부 선단(8)을, 예컨대 릴판(5a)에 첩부해서 고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지필름 배면(2a)에 실리콘 수지 등에 의한 박리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4)를 지지필름(2)의 배면(2a) 또는 릴판(5a), (5b)에 고착시킬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운반 및/또는 반송할 때에, 접착제 릴(3)의 감긴 상태가 느슨해지지 않고, 또한 접착제 테이프(20)가 릴판(5a)으로부터 일탈할 경우도 없다. 또한 릴판(5a)과 접착제 릴(3)과의 사이의 극간에 접착제 테이프(20)의 시단부(4)가 탈락할 경우도 없으므로, 접착제 테이프(20)를 인출해서 사용할 때에 상기 불량에 의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릴판(5a), (5b)의 테두리 단부에 고착시킨 점착부재(7)를 릴판(5a), (5b)로부터 박리할 때에, 릴판(5a), (5b)의 테두리 단부에 고착되어 있는 것은, 접착제 테이프(20)가 아니라 점착부재(7)이다. 이것 때문에, 접착제 테이프(20)의 지지필름(2)과 접착제층(1)이 분리하는 경우가 없다. 즉, 접착제층이 릴판(5a), (5b) 에 전사되는 것이 충분히 방지된다. 따라서, 접착제 테이프(20)를 정상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착제 릴(3)로부터 접착제 테이프(20)를 인출하는 방법에는, 사람의 손에 의한 경우나 기계에 의한 경우가 고려된다. 특히, 종래의 기술에 기재한 액정 패널이나 PDP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회로접속부재의 경우, 기계가 릴(3)로부터 접착제 테이프(20)를 인출할 때의 힘은 최저에서도 약 500gf이기 때문에, 점착부재(7)는, 이 인장강도에 견딜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고, 즉 이 인장강도이어도 접착제 테이프(20)로부터 벗겨지지 않는다고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인장강도, 점착부 길이 L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은, 접착제 테이프(20)를 2개 준비해서 이들을 점착부재(7)로 연결하고, 양자를 서로 반대 방향에 잡아 당겨서, 점착부재(7)가 접착제 테이프(20)로부터 벗겨질 때의 인장강도를 구하는 것에 의해 행하였다. 이 인장강도는, 점착부재(7) 중, 접착제 테이프(20)에 점착하는 점착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길이 L을 여러가지로 바꾸어서 구했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강도 점착부 길이 L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은, 인장강도가 500gf인 직선과 교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폭 1mm의 접착제 테이프(20)의 경우, 점착부가 15mm 이상의 길이를 갖고 있으면, 즉, 면적으로 해서 15㎟ 이상을 갖고 있으면, 인장강도가 500gf 이상으로 되고, 점착부재(7)가 접착제 테이프(20)로부터 벗겨지지 않고, 접착제 테이프(20)를 정상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점착부재(7)와 상기 지지필름 배면(2a)과의 접촉부분의 면적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착제 릴(3)로부터 접착제 테이프(20)를 인출할 때, 그 인출력에 대하여, 점착부재(7)의 점착력이, 접촉부분의 면적이 15㎟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보다 커진다. 이것 때문에, 점착부재(7)가 접착제 테이프(20)의 지지필름 배면(2a)으로부터 벗겨지는 사태가 방지된다. 점착부의 길이 L은, 격차(점착부 길이 L에 대한 인장강도의 값의 격차)를 고려하면 20mm 이상인 것, 즉 접착제 테이프(20)와 점착부재(7)와의 접촉부분이 20㎟ 이상의 면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접촉부분이 25㎟ 이상(즉, 폭 1mm의 경우, 길이 25mm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이 지표는 어디까지나 접착제 테이프(20)의 용도가 회로접속부재일 때인 것이며, 용도가 회로접속부재가 아닐 경우, 필요한 인장강도가 500gf 이하 또는 이상인 경우나 접착제 테이프(20)의 폭이 상당히 좁은 또는 넓은 등의 경우, 또한 지지필름(2)의 박리성 등에 따라, 15㎟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점착부의 길이 L이나 면적(점착부재와 접착제 테이프와의 접촉부분의 면적)은, 도 3과 동일한 시험을 한 결과를 참고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접착제 릴(3)의 각 구성요소에 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필름(2)으로서는, 강도 및 접착제의 박리성의 면으로부터 OPP(연신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적절하게 이용되고, 지지필름(2)의 배면(2a)에는, 이형제로 표면처리(박리처리)가 실시 되어 있다.
상기 이형제로서는, 올레핀계 이형제, 에틸렌글리콜몬탄산 에스테르, 칼나우바로우, 석유계 왁스 등의 저융점 왁스, 저분자량 불소수지,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의 계면활성제, 오일, 왁스, 레진, 폴리에스테르 변성실리콘 수지 등이 이용되고, 특히 실리콘 수지가 일반적이다.
접착제층(1)은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와의 혼합계(혼합수지) 등의 수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지의 대표적인 것에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스티렌 수지계, 폴리에스테르 수지계를 들 수 있고,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계, 아크릴 수지계, 실리콘 수지계가 이용된다.
접착제층(1)은, 액정 패널이나 PDP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소위 이방도전성 접착제이어도 좋다. 즉, 접착제층(1)은, 상기 수지 이외에, 상기 수지중에 분산되는 도전입자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도전입자로서는, Au, Ag, Pt, Ni, Cu, W, Sb, Sn, 땜납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입자,또는 카본, 흑연 등의 탄소재료로 이루어지는 탄소입자가 있다. 또는, 상기 도전입자로서, 비도전성의 유리, 세라믹스,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핵재 등에, 상기 금속의 도전층을 피복 등에 의해 형성한 복합입자이어도 좋다. 더욱이, 도전입자는, 상기 금속입자, 탄소입자, 복합입자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또한, 접착제층(1)에서는, 상기 도전입자와 절연입자를 병용해도 좋다.
더욱이, 접착제층(1)은 이방도전성 접착제일 필요는 없고, 그 경우에는, 도 전입자 대신에, 상기한 바와 같은 도전입자를 절연층에서 피복해서 이루어지는 절연 피복 입자를 이용해도 좋다.
점착부재(7)는, 전술한 대로 실리콘 수지 등에 의해 박리처리된 지지필름 배면(2a) 및 릴판(5a), (5b)에 점착가능한 것이며, 또한 지지필름 배면(2a)에 대하여 점착부재(7)를 인출할 때에 벗겨지지 않는 점착력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점착부재(7)로서는, 취급성이 좋은 것으로부터, 편면에만 점착성을 갖는 것이 적절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은 점착부재(7)로서는, 예컨대 상기 이형제와 같은 계열의 실리콘계 점착제가 이용된다. 점착부재(7)로서, 편면에만 점착성을 갖는 점착부재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 등이 비점착성의 필름의 편면에 도포된 점착테이프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 점착테이프의 폭은 통상, 접착제 테이프와 동일한 폭으로 하지만, 릴판(5a), (5b) 사이에 간섭하지 않는 폭이면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테이프(20)의 배면(2a)과 접촉시켜서 점착시키는 부분(접촉부분)(7a)의 길이(점착부재(7)의 늘어난 방향의 길이)는, 도 3의 그래프로부터, 접촉부분의 폭이 1mm인 경우, 500gf의 인출강도에 견디는 길이, 즉 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촉부분의 면적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폭이 2mm인 경우는 접촉부분의 길이는 대략 7∼8mm에서 좋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분의 폭이나 용도에 의해, 접촉부분(10a)의 길이는 바꿀 수 있다.
이 점착부재(7)의 접착제 테이프(20)의 배면(2a)에의 설치는, 미리 원하는 폭과 길이로 절단한 점착부재(7)를, 접착제 테이프(20)를 릴상으로 한 후, 그 시단부(4)에, 미리 정한 접촉부분(7a)를 첩부하므로써 설치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착제 릴(30)은, 점착부재(7)의 선단(8)에 비점착부로서의 비점착부재(9)가 설치되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접착제 릴(3)과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접착제 릴(30)은, 점착부재(7)의 선단부(8)에 비점착부재(9)를 점착시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의 접착제 릴(3)과 서로 다르다.
여기에서, 비점착부재(9)의 재질은, 점착부재(7)에 충분히 점착하는 부재에서, 접착제 릴(30)을 형성함과 동시에서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두께 및 강성을 갖고 있으면 사용가능하다. 또한, 비점착부재(9)의 폭은 통상, 점착부재(7)와 동일하게 하지만, 릴판(5a), (5b)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이면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접착제 릴(30)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접착제 릴(3)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게 됨과 동시에, 점착부재(7)의 선단부(8)에 비점착부재(9)가 설치되기 때문에, 접착제 테이프(20)의 한번 감기 전의 지지필름 배면(2a)에 점착부재(7)를 고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장 시단부인 비점착부재(9)만 지지필름 배면(2a)에 점착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착제 테이프(20)를 릴(30)로부터 인출할 때, 선단부인 비점착부재(9)를 용이하게 포착할 수 있고, 비점착부재(9)의 시단부(11)를 인장하는 것에 의해, 점착부재(7)를 지지필름 배면(2a)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그 결과, 접착제 테이프(2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 릴 사용시의 준비가 정확하고 또한 단시간일 수 있다.
비점착부재(9)가 지지필름(2)과 동일하게 박리처리된 것일 경우에는, 전술한 점착부재(7)의 인장강도와 접촉부분(7a)의 길이 L과의 관계에 관한 실험과 동일하게, 최저에서도 500gf의 인장강도를 얻기 위해서 비점착부재(9)와 점착부재(7)와의 접촉 면적을 1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여기에서 사용되는 비점착부재(9)는, 지지필름(2)과는 달리 접착제층(1)을 설치하거나, 릴상으로 감기거나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특히 박리처리가 실시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 비점착부재(9)가 박리처리되지 않고 있는 것이면, 접촉 면적은 15㎟ 이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접촉부분(7a)의 길이 L이나 면적은 도 3과 동일한 실험을 한 결과를 참고로 결정할 수 있다.
또, 점착부재(7)로서, 편면에만 점착성을 갖는 점착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점착면의 일부는, 지지필름 배면(2a)에 점착하고 있고, 점착부재(7)의 점착면과 반대측의 면은 비점착면으로 되어 있다. 이것 때문에, 점착부재(7)의 선단부(8)가, 점착면끼리가 서로 마주 향하도록 두겹으로 접혀지므로써, 점착면의 일부가 비점착면으로 된다. 이 경우, 점착부재와는 별개의 비점착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손쉽게 비점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접착제 테이프의 인출도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제2 실 시형태에서는, 비점착부재(9)와 접착제 테이프(20)가, 1개의 점착부재(7)만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점착부재(9)와 접착제 테이프(20)는 복수의 점착부재(7)를 개재하여 연결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점착부재(7)를 복수 준비하고, 이들을 접착제 테이프(20)의 연장선상에 따라 직렬로 배열하고, 이웃하는 점착부재(7)끼리를 연결하여 테이프(연결부재)(12)로 연결하고, 접착제 테이프(20)로부터 가장 먼 점착부재(7)의 시단에 비점착부재(9)를 점착시키면 좋다.여기에서, 연결 테이프(12)는, 점착부재(7)끼리를 연결할 수 있는 테이프이면, 점착성을 갖지 않는 테이프라도 좋다. 이와 같은 연결 테이프(12)로서는, 예컨대 PET나 종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접착제 릴은, 당해 접착제 릴을 기계에 설치해서 감기 시작하고, 기계의 권취기에 신단을 세트할 때까지의 어느 길이의 부분에 관해서는 접착제가 없는 부분이 필요할 경우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비점착부재(9)의 선단(1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판(5a)과 릴판(5b)과의 사이의 공간의 외측으로 나오도록 하면 좋다. 이 경우, 접착제 테이프(20)를 인출할 때에 선단(11)을 잡아 쉽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 테이프의 제작]
(실시예 1)
필름 형성재로서 페녹시 수지(고분자량 에폭시 수지) 50g 및 아크릴레이트 50g, 과산화물 5g을 아세트산에틸에 첨가하여, 수지 30중량%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제작하고, 이것에 평균 입경 2.5㎛의 Ni분말을 5부피% 첨가했다. 한편, 지지필름으로서, 양면을 실리콘 수지로 박리처리한 두께 50㎛의 PET필름(UH2:테이진듀퐁필름(주)제)을 준비했다. 그리고, 얻어진 용액을 PET필름의 편면에 롤코터에 의해 도포했다.
다음에, 대기중, 110℃에서 20분간 건조하고, 상기 지지필름의 편면 위에 두께 50㎛의 접착제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이방도전성 접착제 필름을 얻었다. 더욱이, 이 접착제 필름을 폭 1mm로 슬릿하여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
한편, 폭 1.5mm, 내경 40mm, 외경 65mm의 권심을 준비했다. 한편, 두께 2mm, 내경 40mm, 외경 125mm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릴판을 2매 준비했다. 그리고, 2매의 리드판의 각 개구에 권심의 단부를 끼워 넣어, 구조체를 얻었다. 계속해서, 이 구조체의 권심에 대하여, 상기 접착제 테이프를 접착제면을 내측으로 해서 릴상으로 감아 넣었다.
다음에, 미리 폭 1mm×길이 30mm×두께 55㎛로 잘라 둔 점착부재(스플라이싱 테이프: (주)데라오카제작소제)를, 상기한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의 지지필름 배면과 길이방향으로 15mm 겹치도록 고착했다(즉, 접촉부분의 면적을 15㎟로 했다).
이상과 같이 하여, 길이 50m 및 폭 1mm의 이방도전성의 접착제 테이프를 구조체의 권심에 릴상으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접착제 릴을 얻었다.
(실시예 2)
점착부재와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의 지지필름 배면과의 길이방향의 겹치기를 10mm로 한(즉, 접촉부분의 면적을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접착제 릴을 얻었다.
(실시예 3)
점착부재와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의 지지필름 배면과의 길이방향의 겹치기를 20mm로 한(즉, 접촉부분의 면적을 2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접착제 릴을 얻었다.
(실시예 4)
점착부재를, 폭 1mm×길이 60mm×두께 55㎛로 하고,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의 지지필름 배면과 길이방향에 20mm 겹침(즉, 접촉부분의 면적을 20㎟로 함)과 동시에, 비점착재로서 박리처리되어 있지 않은 PET[U2:테이진듀퐁필름(주)]를 폭 1mm×길이 40mm×두께 50㎛로 자르고, 이것을, 당해 점착부재의 선단부에, 점착부재와 길이방향으로 10mm 겹치도록 한(즉, 접촉부분의 면적을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접착제 릴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이방도전성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에 점착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접착제 테이프를 감아 종료한 후,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를 그대로 방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접착제 릴을 얻었다.
(비교예 2)
점착부재를, 지지필름 배면 대신 접착제의 표면에 20mm 겹치도록 한(즉, 접촉부분의 면적을 2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접착제 릴을 얻었다.
[평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에서 얻어진 접착제 릴을, 각각 10개 릴 준비하고, 실시예 1∼4에 있어서는 점착부재를, 비교예 1∼2에 있어서는 접착제층을, 릴판 및 한번 감기 전의 지지필름 배면에 첩부한 상태에서 23℃의 환경하에서 10일간 정치하고, 작업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표 1에 있어서, 각 실시예, 비교예는, 상하 2단으로 나뉘어져 있지만, 상단은, 시단부 고착성을, 하단은 접착제 테이프의 인출성을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서는, 시단부 고착성은 모두 양호해서, 접착제 테이프가 벗겨지지 않고 시단부가 고정되어 있었다. 또한, 인출성에 관해서도 양호해서, 인출할 때에 접착제 테이프가 벗겨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인출할 수 있었다. 실시예 2에서는, 점착부재의 겹쳐진 면적이 10㎟이었기 때문, 인출할 때에 한번만 점착부재가 벗겨져 버렸지만, 접착제 테이프는 벗겨지지 않고, 그대로 인출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에서는, 점착부재를 설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지필름에는 모두 고착할 수 없었다. 이것 때문에, 감기의 느슨함ㆍ테이프의 일탈이 발생하고, 6개가 정상적으로는 인출되지 않았다. 또, 릴판에는 모두 고착할 수 있었지만, 릴판에 고착한 것에서는, 인출할 때에 모두 접착제 테이프가 벗겨져 버렸다.
비교예 2에서는, 점착부재를 접착제층 표면에 첩부하고 있기 때문에, 시단부를 고정할 때에도, 인출할 때에도, 대부분 접착제 테이프의 벗겨짐을 야기해 버렸다.
시단부 고착성 인출성 비고
실시예 1
실시예 2
1/10 점착부재가 벗겨져 버렸다.
실시예 3
실시예 4
인출시의 시단부 취출 작업성 양호
비교예 1 지지필름 배면에는, 시단부가 고착할 수 없다. 다만, 릴판에는 가능하다.
× 시단부가 고착할 수 없는 것은, 감기의 느슨함ㆍ테이프의 일탈이 발생하고, 6/10 정상적으로 인출할 수 없었다. 릴판에 고착시킨 것은, 인출할 때에, 접착재 테이프가 박리되었다.
비교예 2 × 8/10 접착재 테이프가 벗겨졌다.
× 9/10 접착재 테이프가 벗겨졌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릴에 의하면, 접착제 테이프의 감긴 상태가 느슨해지지 않고 운반 또는 반송할 수 있고, 접착제 테이프 릴판으로의 일탈 및 접착제 릴과 릴판 사이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착제 테이프를 정상적으로 인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릴판으로의 전사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제1면 및 이것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 지지필름의 상기 제1면 위에 접착제층을 설치한 접착제 테이프를 가지고, 상기 접착제 테이프가, 권심의 양단에 릴판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조체의 상기 권심에 감겨 있는 접착제 릴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테이프의 시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필름의 상기 제2면 위에 점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점착부재와 상기 지지필름의 상기 제2면과의 접촉부분의 면적이 15㎟ 이상인 접착제 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를 복수 가지고, 복수의 점착부재가 상기 접착제 테이프의 연장선상에 따라 배열되어, 이웃하는 점착부재끼리가 연결부재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접착제 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의 시단에 비점착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접착제 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점착부재 중 상기 접착제 테이프로부터 가장 먼 점착부재의 시단에 비점착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접착제 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가, 상기 제2면에 점착가능한 점착면을 편면에만 가지고, 상기 점착부재의 선단이, 상기 점착면끼리가 서로 마주 향하도록 두겹으로 접혀져 있고, 상기 점착면의 일부가 상기 제2면에 점착하고 있는 접착제 릴.
KR1020060079857A 2005-08-31 2006-08-23 접착제 릴 KR100889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1268 2005-08-31
JP2005251268 2005-08-31
JP2006179765A JP4238885B2 (ja) 2005-08-31 2006-06-29 接着剤リール及び接着剤テープ
JPJP-P-2006-00179765 2006-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029A KR20070026029A (ko) 2007-03-08
KR100889648B1 true KR100889648B1 (ko) 2009-03-19

Family

ID=3797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857A KR100889648B1 (ko) 2005-08-31 2006-08-23 접착제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38885B2 (ko)
KR (1) KR100889648B1 (ko)
CN (5) CN102514986B (ko)
TW (1) TW2007156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0832B2 (ja) * 2007-12-19 2012-10-17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テープ用リール
CN102017816A (zh) * 2008-04-28 2011-04-13 日立化成工业株式会社 电路连接材料、膜状粘接剂、粘接剂卷以及电路连接结构体
US20110300326A1 (en) * 2009-02-27 2011-12-08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Adhesive material reel
WO2013024544A1 (ja) * 2011-08-18 2013-02-2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材リール
KR101568659B1 (ko) * 2013-03-29 2015-11-12 제일모직주식회사 도전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상기 필름에 의해 접속된 반도체 장치
JP2016160027A (ja) * 2015-02-27 2016-09-0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用リール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連結体
CN107207181B (zh) * 2015-02-27 2020-10-20 迪睿合株式会社 卷筒体、薄膜连结体、薄膜卷装体及薄膜连结体的制造方法
CN107298330B (zh) * 2016-04-14 2020-06-12 康菲德斯合股公司 在芯上布置材料幅的方法
JP6668164B2 (ja) * 2016-05-20 2020-03-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テープ構造体
CN109575829B (zh) * 2017-12-29 2021-05-07 宁波大榭开发区综研化学有限公司 一种段差多层复合膜和卷材及其制备方法
EP4000769A4 (en) * 2019-08-26 2023-08-16 Lintec Corporation LAMINATE MANUFACTURING PROCE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355A (ko) * 2002-07-30 2005-03-09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착재 테이프, 그 접속방법, 제조방법, 압착방법, 접착재 릴, 접착장치, 접착재 테이프 카세트, 이것을 사용한 접착제의 압착방법 및 이방도전재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2782A (ja) * 1991-05-07 1992-11-19 Sekisui Chem Co Ltd ロール状粘着テープ
JPH05330722A (ja) * 1992-05-25 1993-12-14 Nitto Denko Corp 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JPH0724947U (ja) * 1993-10-07 1995-05-12 祐久 小松 粘着テープ
CH689482A5 (de) * 1995-07-31 1999-05-14 Tela Papierfabrik Ag Papierrolle mit einem Endblattverschluss.
JP4465788B2 (ja) * 2000-03-28 2010-05-1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異方導電材テープ及びリール
EP1249729A3 (en) * 2001-04-12 2005-07-13 Fuji Photo Film Co., Ltd. Rolled article,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olled article
DE10123980B4 (de) * 2001-05-17 2008-01-10 Tesa Ag Abschlussbandage
JP4239585B2 (ja) * 2002-12-24 2009-03-18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剤テープの接続方法及び接着剤テープ接続体
JP2004077789A (ja) * 2002-08-19 2004-03-1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遮光フランジ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355A (ko) * 2002-07-30 2005-03-09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착재 테이프, 그 접속방법, 제조방법, 압착방법, 접착재 릴, 접착장치, 접착재 테이프 카세트, 이것을 사용한 접착제의 압착방법 및 이방도전재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14986B (zh) 2016-04-27
CN101665195A (zh) 2010-03-10
TWI301339B (ko) 2008-09-21
JP4238885B2 (ja) 2009-03-18
TW200715672A (en) 2007-04-16
CN101683934A (zh) 2010-03-31
CN1923654A (zh) 2007-03-07
CN101665195B (zh) 2012-07-25
CN101683934B (zh) 2012-06-13
CN102514986A (zh) 2012-06-27
CN101792075A (zh) 2010-08-04
JP2007092028A (ja) 2007-04-12
KR20070026029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648B1 (ko) 접착제 릴
JP4465788B2 (ja) 異方導電材テープ及びリール
EP2315314B1 (en) Reel for adhesive tape
KR20180084039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382781B1 (ko)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접착 시트
JP2010248485A (ja) 接着材リール
JP2003142505A (ja) ウエハダイシング・接着用シー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8066336A (ja) ウエハ加工用シート
JP2013213127A (ja) 接着シート
JP5074940B2 (ja) 基板の処理方法
WO2015087883A1 (ja) 接着テープ構造体及び接着テープ収容体
JP2007122965A (ja) 導電接合シート用の絶縁シート、導電接合シート、導電接合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複合部品の製造方法
KR102092530B1 (ko) 필름 권장체, 및 필름 권장체의 제조 방법
CN212025242U (zh) 一种uv减粘膜
JP6407060B2 (ja) ウエハ加工用テープ
JP6696827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CN110534647B (zh) 柔性衬底、显示基板和显示面板
KR102144724B1 (ko) 접착 테이프 구조체
JP4639988B2 (ja) エンドマーク用樹脂フィルム及びエンドマーク付き接着テープ
JP6696826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JP6696828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TWI774850B (zh) 接著帶和接著帶捲繞捲筒
JP6668164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CN115472089A (zh) 一种支撑结构和显示装置
JP2012169413A (ja) 両面粘着物を有する構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