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747B1 - 광픽업장치 및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 및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747B1
KR100887747B1 KR1020037003351A KR20037003351A KR100887747B1 KR 100887747 B1 KR100887747 B1 KR 100887747B1 KR 1020037003351 A KR1020037003351 A KR 1020037003351A KR 20037003351 A KR20037003351 A KR 20037003351A KR 100887747 B1 KR100887747 B1 KR 100887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ve lens
optical pickup
optical
slide member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9935A (ko
Inventor
오사다야스오
시마다유타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9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7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using the near-field effec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82Sled-type positio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1Protecting the head, e.g. against dust or impact with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32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Head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대물렌즈(14)가 설치된 광픽업(11)을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나사(22)와, 셔터(47)가 대물렌즈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코일스프링(25)에 의해 광픽업에 접속되고, 광픽업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재(24)와, 이송나사와 슬라이드부재를 접속하는 전달부재(51)를 갖춘다. 슬라이드부재는, 이송나사가 회전하였을 때, 광픽업을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고, 리드인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 다시 코일스프링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하고, 셔터에 의해 대물렌즈를 폐색(閉塞)한다.

Description

광픽업장치 및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Optical pickup device,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 등의 광학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신호를 기록하고, 또는 광학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광픽업장치 및 이 광픽업장치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학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광픽업장치에는, 대물렌즈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防塵)기구를 갖춘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방진기구를 갖춘 광픽업장치는, 베이스에 대하여 광학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광픽업과, 이 광픽업을 광학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기구를 갖춘다. 그리고, 이 광픽업장치는 또한 광픽업 전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춘다. 이와 같은 광픽업장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비사용시에 있어서, 광픽업의 대물렌즈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픽업을 수납부에 수납하도록 이동기구를 제어하고 있다.
그렇지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비사용시에 있어서, 광픽업 전체를 수납부에 수납하는 방진기구는, 광픽업의 크기 이상으로 수납부를 설치하지 않으면 아 니 되고, 광픽업장치가 대형화하게 되어, 소형의 픽업장치에 사용할 수 없다.
또 방진기구는, 대물렌즈에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대물렌즈만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비사용시에 폐색(閉塞)할 수 있으면 되고, 광픽업 전체를 수납할 필요는 없다.
또, 기록매체가 되는 광학디스크는, 고밀도로 정보신호가 기록되도록 이루어지고, 이것에 수반하여, 대물렌즈도 고개구수의 것이 사용되어, 광디스크와 대물렌즈와의 거리가 근접하게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납부에 광픽업을 수납할 때나 수납부에서 광픽업을 추출할 때, 대물렌즈는 수납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상처 등이 날 우려가 있다. 대물렌즈에 상처 등이 났을 때에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신호를 정확히 독출할 수 없게 되고, 또, 광디스크에 정보신호를 정확히 기록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진기구를 간소화하는 것으로,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광픽업장치 및 이 광픽업장치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물렌즈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셔터로 대물렌즈를 폐색할 때에, 대물렌즈에 상처 등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픽업장치 및 이 광픽업장치를 갖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픽업장치는, 베이스에 설치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직선형의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집광하는 대물렌즈가 설치된 광픽업과, 광픽업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광픽업을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나사와, 이송나사에 전달부가 결합함으로써 이송나사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대물렌즈를 폐색하는 셔터부가 설치되고, 셔터부가 대물렌즈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에 의해 광픽업에 접속되고, 광픽업에 대하여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재를 갖춘다. 슬라이드부재는, 전달부가 결합된 이송나사가 회전하였을 때, 광픽업과 함께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고, 대기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 광픽업의 이동이 베이스에 설치된 규제부에 의해 규제되고,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광픽업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셔터부에 의해 대물렌즈를 폐색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베이스에 설치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직선형의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집광하는 대물렌즈가 설치된 광픽업과, 광픽업을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갖춘다. 그리고, 이동기구는 광픽업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광픽업을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나사와, 이송나사에 전달부가 결합함으로써 이송나사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대물렌즈를 폐색하는 셔터부가 설치되고, 셔터부가 대물렌즈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에 의해 광픽업에 접속되고, 광픽업에 대하여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재를 가지며, 슬라이드부재는, 전달부가 결합된 이송나사가 회전하였을 때, 광픽업과 함께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고, 대기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 광픽업의 이동이 베이스에 설치된 규제부에 의해 규제되고,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광픽업에 대하여 슬라이드 하는 것으로, 셔터부에 의해 대물렌즈를 폐색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다른 광픽업장치는,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집광하는 대물렌즈가 설치된 광픽업과, 대물렌즈를 외부에서 개폐하는 셔터와, 대물렌즈를 이 대물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 대물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수단을 갖춘다. 이동제어수단은, 대물렌즈를 셔터로 개폐할 때, 소정위치에 있는 대물렌즈를 다시 광디스크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다른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집광하는 대물렌즈가 설치된 광픽업과, 광픽업을 이 광픽업이 설치되는 베이스에 설치된 가이드부를 따라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기구와, 대물렌즈를 외부에서 개폐하는 셔터와, 대물렌즈를 이 대물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 대물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수단을 갖춘다. 이동제어수단은, 광픽업이 이동기구에 의해 광디스크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의 대기위치로 이동하고, 대물렌즈를 셔터로 폐색할 때, 소정 위치에 있는 대물렌즈를 다시 광디스크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광픽업의 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이동기구의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광픽업을 광디스크(D)의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송나사를 회전하는 구동모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CD를 재생할 때의 대물렌즈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DVD를 재생할 때의 대물렌즈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광디스크(D)의 재생중의 이동기구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의 독출을 행할 때의 이동기구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셔터가 대물렌즈를 폐색한 상태의 이동기구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셔터가 대물렌즈의 폐색위치에 있을 때의 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광픽업을 광디스크의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송나사를 회전하는 구동모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광픽업장치의 다른 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광픽업장치가 갖추는 지지부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광픽업장치가 갖추는 지지부재의 랙부 및 슬라이드부재의 랙부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광픽업장치가 갖추는 개폐기구의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광픽업장치가 갖추는 개폐기구의 개폐부재가 폐색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광픽업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광픽업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광픽업기구가 갖추는 지지베이스의 랙부 및 슬라이드부재의 랙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지지베이스의 랙부의 한 톱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광픽업기구가 갖추는 개폐판이 폐색위치에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개폐판이 개방위치에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광픽업의 대물렌즈가 광디스크의 리드인영역에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광픽업의 대물렌즈가 광디스크의 기록영역에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 기 위해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독출을 행하는 장치이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는, 구체적으로 소위 콤팩트디스크(CD:Compact Disc)나 소위 디지털·버사타일·디스크(DVD:Digital Versatile Disc)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독출을 행한다. 광디스크에는, 내주측의 리드인영역에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장소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정보 등을 관리하는 관리데이터인 TOC(Table of Contents) 등이 기록되고, 리드인영역의 외주측의 프로그램영역에, 화상데이터, 영상데이터, 음성데이터,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로 처리되는 처리데이터 등의 정보신호가 기록된다. 이 프로그램영역의 외주측에 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에 설치되는 광픽업은, 이 광디스크(D)의 내외주에 걸쳐서 이동됨으로써, 각 기록영역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독출을 행한다.
이와 같은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는, 광디스크(D)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광픽업기구(2)와, 광학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구동기구(3)를 갖춘다.
광픽업기구(2)는, 광디스크(D)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독출을 행하는 광픽업(11)과, 이 광픽업(11)을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기구(12)와, 광픽업(11)이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13)를 갖춘다.
광픽업(1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13)에 광픽업(11)이 광디스크(D)의 내외주, 즉 도 1 및 도 2 중 화살표 A1 및 화살표 A2 방향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광픽업(11)의 이동용 개구부(16)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광픽업(11)은, 광원인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을 대물렌즈(14)로 집광하고, 광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조사하는 동시에, 광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서 반사된 복귀의 광빔을 광검출기로 검출하는 광학계블록과, 대물렌즈(14)를 대물렌즈(14)의 광축방향인 포커싱방향과 대물렌즈(14)의 광축에 직교하는 트래킹방향으로 구동 변위하는 대물렌즈 구동부를 가진다. 이들 광학블록과, 대물렌즈 구동부는, 커버(15) 내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15)는, 예를 들면 ABS수지 등의 수지재료에 의해, 광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대략 평행한 주면부(15a)를 가지는 대략 상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15)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면부(15a)의 대략 중앙에, 렌즈홀더에 유지된 대물렌즈(14)를 광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을 향하게 하기 위한 개구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18)는,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긴 지름으로 된 대략 타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대물렌즈(14)를 외부를 향하게 하는 개구부(18)의 주위에는, 대물렌즈(14)의 정상부보다 높은 돌기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17)는, 대물렌즈(14)의 정상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후술하는 셔터가 대물렌즈(14)를 개폐할 때, 대물렌즈(14)의 정상부와 셔터가 접촉하고, 대물렌즈(14)에 상처 등이 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광픽업(11)을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기구(1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1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1)와, 광픽업(11)이 설치된 지지부재(21)를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송조작하기 위한 이송나사(22)와, 광픽업(11)이 설치된 지지부재(21)를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송조작할 때에 지지부재(21)의 가이드를 행하는 가이드부(23)와, 지지부재(21)에 설치되는 동시에 이송나사(22)에 접속되어서 지지부재(21)를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재(24)와, 지지부재(21)와 슬라이드부재(24)를 접속하는 코일스프링(25)을 갖춘다.
지지부재(2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면 상에 광픽업(11)이 설치되어 있고, 하측에 이송나사(22)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이 설치되고, 측면부에, 베이스(13)에 설치된 개구부(16)의 광픽업(11)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측연부에 형성된 가이드부(2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가이드편(32, 32)이 설치되어 있다.
삽입공(31)에 삽입되는 이송나사(22)는, 금속 등의 봉형부재의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것이며, 광픽업(11)의 이동방향에 걸쳐서, 베이스(13)의 이면측에 설치된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나사(22)의 일단부에는 기어(33)가 설치되고, 이 기어(33)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열(34)을 통하여 구동원이 되는 구동모터(35)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재(21)는, 삽입공(31)을 관통하는 이송나사(22)의 중도(中途)부가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개구부(40)가 형성된다.
광픽업(11)의 일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편(32, 32)은, 베이스(13)의 개구부(16)의 측연부에 설치된 가이드부(23)를 끼워 넣는 것같이 결합된다. 한 쌍의 가이드편(32, 32)은, 베이스(13)의 가이드부(23)를 끼워 넣는 것같이 결합하는 것으로, 광픽업(11)의 지름방향이 되는 도 2중 화살표 A1 및 화살표 A2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베이스(13)의 주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진동 등이 가해졌을 때에도, 광픽업(11)이 덜컹거리지 않게 하고 있다.
지지부재(21)에는, 광디스크(D)의 외주측이 되는 일단부에, 코일스프링(25)이 계지되는 계지편(36)이 설치되고, 광디스크(D)의 내주측이 되는 타단측에, 슬라이드부재(24)의 슬라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편(3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계지편(36)은, 슬라이드부재(24)의 슬라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편으로서도 기능한다.
또, 지지부재(21)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D)의 내주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부재(21)가 광디스크(D)의 내주측의 도 2중 화살표 A1 방향으로 지나치게 이동하여, 디스크 구동기구(3)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주측 스토퍼편(38)에 설치되어 있다. 이 내주측 스토퍼편(38)은, 지지부재(21)의 광디스크(D)의 내주측의 측면에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13)에는, 광픽업(11)의 이동용의 개구부(16)의 디스크 구동기구(3)에 근접 하는 측연부에, 내주측 스토퍼편(38)이 당접되는 내주측 규제오목부(3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지지부재(21)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D)의 외주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부재(21)가 광디스크(D)의 외주측의 도 2중 화살표 A2 방향으로 지나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주측 스토퍼편(3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13)에는, 광픽업(11)의 이동용의 개구부(16)의 내주측 규제오목부(39)가 설치된 측연부와 대향하는 측연부, 즉 광디스크(D)의 외주측에 대응하는 측연부에, 외주측 스토퍼편(41)이 당접되는 외주측 규제오목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21)에 지지된 광픽업(11)은, 내주측 스토퍼편(38)이 내주측 규제오목부(39)에 당접하고, 외주측 스토퍼편(41)이 외주측 규제오목부(42)에 당접하는 것으로,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의 이동 가능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지지부재(21)에 부착되는 슬라이드부재(2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체로 이루어지고, 이송나사(22)의 축선방향이 되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를 가이드 하는 제 1가이드공(43)과 제 2가이드공(44)이 설치되어 있다. 제 1가이드공(43)에는, 코일스프링(25)이 계지되는 지지부재(21)의 계지편(36)이 결합된다. 또, 제 1가이드공(43)의 도 2중 화살표 A2 방향의 단부에는, 제 1가이드공(43)에 결합된 계지편(36)이 당접되고, 슬라이드부재(24)가 광디스크(D)의 내주측에 지나치게 슬라이드하는 것을 방지하는 규제편(4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가이드공(43)의 중간쯤의 양측에는, 제 1가이드공(43)에 결합된 계지편(36)이 당접되는 것으로 슬라이드부재(24)가 광디스크(D)의 외주측에 지나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규제돌기부(46, 46)가 설치되어 있다.
제 2가이드공(44)은, 지지부재(21)의 가이드편(37)이 결합되고, 제 1가이드공(43)과 함께 슬라이드부재(24)의 이동범위를 규제한다. 이 제 2가이드공(44)의 도 2중 화살표 A2 방향의 단부에는, 코일스프링(25)의 타단이 계지된다. 따라서, 제 1가이드공(43)에 지지부재(21)의 계지편(36)이 결합되고, 제 2가이드공(44)에 가이드편(37)이 결합되어, 코일스프링(25)을 거쳐서 지지부재(21)에 접속된 슬라이드부재(24)는, 코일스프링(25)의 가세력에 의해 상시 광디스크(D)의 외주측인 도 2중 화살표 A2 방향으로 가세된 상태에 있고, 규제돌기부(46, 46)가 계지편(36)의 한쪽면에 당접한 상태에 있다.
슬라이드부재(24)에는, 광픽업(11)의 개구부(18)에 부착된 대물렌즈(14)를 개폐하는 셔터(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47)는, 슬라이드부재(24)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대물렌즈(14)를 개방한 개방위치와 대물렌즈(14)를 폐색한 폐색위치에 걸쳐서 이동한다. 즉, 셔터(47)는 광디스크(D)의 재생을 행할 때, 도 1 내지 도 3중 화살표 A2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으로 대물렌즈(14)를 개방하고, 비사용시 등 이 이외일 때, 도 1 내지 도 3중 화살표 A1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으로 대물렌즈(14)를 폐색한다. 셔터(4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OM(폴리옥시메틸렌) 등의 수지재료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15)의 개구부(18)를 폐색하는데 충분한 면적을 가지고 있다. 셔터(4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직선형의 연결편(48, 48)을 통하여 슬라이드부재(2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연결편(48, 48)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15)의 상면에 가세되어 있다. 또한, 대물렌즈(14)의 주위에는 대물렌즈(14)의 정상부보다 높은 돌기부(17)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셔터(47)는 폐색위치에 있어서, 대물렌즈(14)에 접촉하지 않고, 돌기부(17)에 접촉하게 된다.
슬라이드부재(24)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나사(22)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설치되고, 이송나사(22)의 하편측에 결합하기 위한 전달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전달부재(51)는, 선단부에 지지부재(21)의 개구부(40)에서 외부로 향하게 된 이송나사(22)의 나사홈에 결합하는 결합돌기(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달부재(51)는, 예를 들면 판스프링 등의 탄성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슬라이드부재(24)에 부착되는 것으로 슬라이드부재(24)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전달부재(51)는, 슬라이드부재(24)와 일체로 성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전달부재(51)는, 결합돌기(52)가 판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상시 이송나사(22)의 나사홈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송나사(22)의 회전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전달부재(51)가 부착된 슬라이드부재(24)는, 이송나사(22)가 회전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중 화살표 A1 및 화살표 A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셔터(47)를 대물렌즈(14)를 개방한 개방위치와 대물렌즈(14)를 폐색한 폐색위치에 걸쳐서 이동시킨다.
일단이 지지부재(21)의 계지편(36)에 계지되고 타단이 제 2가이드공(44)의 단부에 계지되는 코일스프링(25)은, 슬라이드부재(24)를, 셔터(47)를 대물렌즈(14) 를 개방하는 도 2 및 도 3중 화살표 A2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인 동시에, 슬라이드부재(24)와 지지부재(21)를 접속하는 접속부재이다. 따라서, 광픽업(11)이 설치된 지지부재(21)는, 슬라이드부재(24)가 이송나사(22)의 회전에 의해 도 2 및 도 3중 화살표 A1 및 화살표 A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이것에 맞춰서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21)와 슬라이드부재(24)를 접속하는 접속부재가 되는 이 코일스프링(25)은, 트랙점프시 등에 광픽업(11)을 고속으로 이동시킬 때에, 슬라이드부재(24)에 대하여 광픽업(11)이 설치된 지지부재(21)가 위치엇갈림을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의 가세력을 가진다.
또한, 이동기구(1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11)이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에 이동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구(53)를 가지고 있다. 검출기구(53)는, 지지부재(21)에 부착되는 검출스위치(54)와, 검출스위치(54)의 가압자(55)를 가압하는 가압편(56)을 가진다.
검출스위치(5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자(55)가 광디스크(D)의 내주측을 향하도록 지지부재(21)에 부착되어 있다. 가압편(56)은, 광픽업(11)의 이동용의 개구부(16)의 디스크회전 구동기구(3) 측의 측연부에 설치되어 있다. 검출스위치(54)는, 구체적으로 광픽업(11)이 광디스크(D)의 TOC를 독출하기 위해 리드인영역의 대략 중앙으로 이동하였을 때, 가압자(55)가 가압편(56)에 가압되고, 이것에 의해 광픽업(11)이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의 독출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검출스위치(54)에서 생성된 검출신호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컴(61)에 입력된다. 마이컴(61)은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타이머(62)에서 소정시간을 계시하고, 이 사이, 이송나사(22)를 회전하는 구동모터(35)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구동모터(35)의 구동회로(63)에 출력한다. 이 사이, 구동모터(35)는 이송나사(22)를 계속 회전한다. 광픽업(11)이 설치된 지지부재(21)는, 내주측 스토퍼편(38)이 베이스(13)의 내주측 규제오목부(39)에 당접되고, 위치가 규제되어 있는 것에서, 슬라이드부재(24)는 코일스프링(25)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도 5중 화살표 A1 방향으로 이동하고, 셔터(47)로 대물렌즈(14)를 폐색한다.
마이컴(61)은 셔터(47)로 대물렌즈(14)를 폐색할 때, 대물렌즈(14)가 셔터(47)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물렌즈(14)를 광디스크(D)에서 이간시키는 방향의 역바이어스전압을 상기 소정기간, 대물렌즈(14)의 포커싱제어를 행하는 포커싱구동부(64)에 인가한다. 이 포커싱구동부(64)는, 마그넷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와 포커싱코일에 흐르는 전류와의 작용에 의해 대물렌즈(14)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마이컴(61)은, 대물렌즈(14)를 장치의 전원 오프일 때보다 더욱 광디스크(D)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회전 구동기구(3)는, 광디스크(D)를 회전하는 스핀들모터(66)를 가진다. 이 스핀들모터(66)는, 베이스(13)에 고정되어 있고, 구동축에 광디스크(D)가 장착되는 디스크구동부를 구성하는 디스크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핀들모터(66)는, 광디스크(D)가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되면, 예를 들면 선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광디스크(D)를 구동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의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나타내는 시각(t1)에 있어서,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는, 광디스크(D)의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재생중이다. 그런데,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는, 워킹디스턴스가 다른 CD와 DVD의 재생이 가능하다. 그래서, CD의 재생을 행할 때, 포커싱구동부(64)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물렌즈(14)를 포커싱구동부(64)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기준위치에서 대물렌즈(14)가 광빔을 신호기록면에 합초(合焦)한 기준위치에서 CD에 근접한 합초위치로 변위시킨다. 또한, 포커싱구동부(64)는, 또한 CD에 면흔들림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 포커싱제어를 행하기 위해 합초위치에서 더욱 CD에 근접한 포커싱 제어위치까지 대물렌즈(14)를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포커싱구동부(64)는, CD의 재생을 행할 때, 대물렌즈(14)를 합초위치와 포커싱 제어위치에 걸쳐서 구동변위함으로써, 디스크의 면흔들림에 추종하여 포커싱할 수 있다.
트래킹코일과 마그넷으로 구성되고, 트래킹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와 자계와의 작용에 의해 대물렌즈(14)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변위하는 트래킹 제어부(65)는, CD의 재생을 행하고 있을 때, 대물렌즈(14)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의 트래킹방향으로 대물렌즈(14)를 변위시키고, 대물렌즈(14)의 트래킹제어를 행한다.
또, DVD의 재생을 행할 때, 포커싱구동부(64)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대물렌즈(14)를 포커싱구동부(64)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을 때의 위치이며, 대물렌즈(14)가 광빔을 신호기록면에 합초한 기준위치이기도 한 기준위치에서 DVD에 근접한, DVD에 면흔들림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 포커싱제어를 행하기 위해 합초위치보다 더욱 DVD에 근접한 포커싱 제어위치까지 대물렌즈(14)를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포커싱구동부(64)는, DVD의 재생을 행할 때, 대물렌즈(14)를 기준위치와 포커싱 제어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구동변위함으로써, 회전하는 디스크의 면흔들림에 추종하여 포커싱할 수 있다.
트래킹 제어부(65)는, DVD의 재생을 행하고 있을 때, 대물렌즈(14)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의 트래킹방향으로 대물렌즈(14)를 변위시키고, 대물렌즈(14)의 트래킹제어를 행한다.
이렇게 하여, CD나 DVD의 신호기록면에서 반사된 복귀의 광빔은, 광픽업(11) 내의 광학블록에 설치된 광검출기로 검출되어, 광전변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픽업(11)이 CD나 DVD의 재생을 행하고 있을 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24)는, 코일스프링(25)의 가세력에 의해 지지부재(21)에 대하여 도 9중 화살표 A2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있고, 지지부재(21)의 계지편(36)에 규제돌기부(46)가 당접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대물렌즈(14)를 폐색하는 셔터(47)도 대물렌즈(14)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있고, 광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광빔을 조사할 수 있다. 광디스크(D)의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독출에 따라서, 구동모터(35)는 이송나사(22)를 회전하고, 이것에 맞춰서, 슬 라이드부재(24)와 일체적으로 지지부재(21)에 설치된 광픽업(11)을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인 도 9중 화살표 A1 및 화살표 A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광픽업(11)은, 광원에서 출사한 광빔을 대물렌즈(14)로 집광하고, 광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서 반사된 광빔을 광검출기로 검출하고, 정보신호의 독출을 행한다. 이 때, 코일스프링(25)은 트랙점프시 등에 광픽업(11)을 고속으로 이동시킬 때에, 슬라이드부재(24)에 대하여 광픽업(11)이 설치된 지지부재(21)가 위치엇갈림을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의 가세력을 가지고 있는 것에서, 이송나사(22)에서 직접적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재(24)에 대하여 지지부재(21)에 설치된 광픽업(11)의 위치가 엇갈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픽업(11)이 광디스크(D)의 외주측, 즉 리드아웃영역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외주측 스토퍼편(41)이 외주측 규제오목부(42)에 당접되어, 광디스크(D)의 외주측으로 지나치게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도 6중 시각(t2)에 있어서, 재생을 종료할 때 등에 광픽업(11)이 광디스크(D)의 외주 측에서 내주 측, 즉, 리드인 영역으로 이동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1)에 설치된 내주 측 스토퍼편(38)은, 베이스(13)에 설치된 내주 측 규제오목부(39)에 당접하고, 광픽업(11)이 설치된 지지부재(21)가 이 이상 광디스크(D)의 내주 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그 이동을 규제한다. 이것과 동시에, 지지부재(21)에 설치된 검출스위치(54)는, 가압자(55)가 베이스(13)에 설치된 가압편(56)에 가압되어 온상태가 되고, 검출신호를 마이컴(61)에 출력한다.
마이컴(61)은, 검출스위치(54)에서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슬라이드부재(24)에 설치된 셔터(47)가 대물렌즈(14)를 폐색하는 폐색위치까지 이동시킬 때까지의 소정시간을 계시한다. 여기서, 지지부재(21)는 내주측 스토퍼편(38)이 내주측 규제오목부(39)에 당접하고, 도 10중 화살표 A1 방향으로 가지 않는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다시 구동모터(35)가 구동하여 이송나사(22)가 회전을 계속하면, 슬라이드부재(24)는 코일스프링(25)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도 10중 화살표 A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6중 시각(t3)에 있어서, 슬라이드부재(24)에 설치된 셔터(47)는, 대물렌즈(14)를 폐색하는 폐색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마이컴(61)은,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도 6중 시각(t4)에 있어서, 구동모터(35)를 정지한다. 그러면 셔터(47)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물렌즈(14)를 폐색하는 폐색위치로 이동하고, 대물렌즈(14)를 폐색한다. 이때 셔터(47)는, 연결편(48)에 의해 대물렌즈(14)의 방향으로 가세되는 것에서, 극간(隙間)에서 먼지 등이 침입하여 대물렌즈(14)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대물렌즈(14)에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의 비사용시 등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재(24)의 이동은, 지지부재(21)의 계지편(36)의 타편의 면에 슬라이드부재(24)의 규제편(45)이 당접함으로써도 기계적으로 규제된다.
그런데, 도 6중 시각(t2)에 있어서, 검출스위치(54)가 온으로 되고서 시각(t2)에 있어서 소정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사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컴(61)은 포커싱구동부(64)에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이것에 의해, 포커싱 구동부(64)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물렌즈(14)를 광디스크(D)에서 가장 이간한 커버(15) 내의 대피위치에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셔터(47)가 대물렌즈(14)를 개방한 개방위치에서 폐색한 폐색위치에 이동할 때에, 셔터(47)가 대물렌즈(14)에 접촉하여 대물렌즈(14)에 상처 등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컴(61)은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각(t4)에 있어서, 포커싱구동부(6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0V로 한다. 이것에 의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물렌즈(14)는 대피위치에서 기준위치에 복귀한다. 이 기준위치에 있어서, 대물렌즈(14)의 정상부는, 돌기부(17)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대물렌즈(14)와 셔터(47)가 접촉하여 대물렌즈(14)에 상처 등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진동 등에 의해 대물렌즈(14)가 셔터(47)에 접촉하였을 때에도, 점접촉인 것에서, 대물렌즈(14)의 상처 등을 최소한으로 멈출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재생을 개시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재생개시신호 등이 마이컴(61)에 입력되면, 마이컴(61)은 시각(t5)에 있어서, 검출스위치(54)가 온의 상태에 있고, 광픽업(11)이 광디스크(D)의 최내주측의 리드인 독출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것과 동시에, 마이컴(61)은 포커싱구동부(64)에 역바이어스를 인가하고, 대물렌즈(14)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기준위치에서 대피위치로 변위시키고, 셔터(47)가 대물렌즈(14)를 폐색한 폐색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에 대물렌즈(14)와 셔터(47)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시각(t6)에 있어서, 마이컴(61)은 구동모터(35)를 온으로 하고, 이송나사(22)를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전달부재(51)로 이송나사(22)에 접속된 슬라이드부재(24)는, 도 11중 화살표 A2 방향으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즉, 슬라이드부재(24)에 설치된 셔터(47)는, 대물렌즈(14)를 폐색한 폐색위치에서 개방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슬라이드부재(24)가 도 11중 화살표 A2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47)가 대물렌즈(14)를 개방한 개방위치로 이동하면, 시각(t7)에 있어서, 검출스위치(54)가 오프의 상태로 된다. 마이컴(61)은 검출스위치(54)가 오프로 된 것을 검출하면,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정보신호, 구체적으로 TOC의 독출을 행할 수 있도록, 대물렌즈(14)의 인입동작을 행한다. 즉, 포커싱구동부(64)에는, 역바이어스전압과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대물렌즈(14)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커싱제어위치와 대피위치에 걸쳐서 변위하고 합초위치로 이동된다. 이 후, 이동기구(1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되고, 광디스크(D)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독출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광픽업(11)이 있는 위치는,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의 대략 중앙이고, 따라서, 광픽업(11)을 이송 조작하지 않고 바로 TOC의 독출을 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는, 광픽업(11)의 대물렌즈(14)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로서, 종래와 같이 비사용시에 광픽업(11)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광픽업(11)을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나사(22)를 이용하여 셔터(47)를 이동하고, 이 셔터(47)의 이동에 의해 대물렌즈(14)의 개폐를 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소형화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비사용시에 대물렌즈(14)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는, 광픽업(11)을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송 조작하는 이동기구(12)로서, 소형의 휴대형 기구에 많이 사용되는 이송나사(22)를 이용하는 것으로, 대물렌즈(14)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셔터(47)를 설치할 수 있다. 또, 셔터(47)의 개폐시에 있어서, 대물렌즈(14)를 광디스크(D)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부터, 셔터(47)와 대물렌즈(14)가 접촉하여 상처 등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대물렌즈(14)를 셔터(47)의 개폐동작시에 한하여 역바이어스전압을 포커싱구동부(64)에 인가하고, 대물렌즈(14)를 대피위치에 까지 인입하는 동작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광픽업기구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광픽업기구(11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D)에서 정보를 재생하는 광픽업(111)과, 이 광픽업(111)을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기구(112)와, 광픽업(111)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동기구(112)를 지지하는 베이스(113)를 갖추고 있다.
광픽업(111)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113)에 설치된 이동용의 개구부(116) 내에 도 14중 화살표 B1 및 화살표 B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 되어 있다. 광픽업(111)은, 대물렌즈(118)를 가지는 광학계(도시생략)와, 대물렌즈(118)의 광축방향 및 이 광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물렌즈(118)를 각각 구동 변위시키는 구동부(도시생략)와, 이 구동부를 덮는 커버(120)를 가지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광학계는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로를 구성하는 렌즈군과, 광디스크(D)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가지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동부는 대물렌즈(118)를 유지하는 렌즈홀더와, 이 렌즈홀더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렌즈홀더를 전자력에 의해 구동하는 전자회로부를 가지고 있다. 커버(12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수지재료에 의해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물렌즈(118)를 광디스크(D)에 향하게 하기 위한 대략 타원형의 개구부(1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기구(112)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11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23)와, 이 지지부재(123)를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축(124)과, 지지부재(123)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축(124)과, 지지부재(123)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5)와, 지지부재(123)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재(126)와, 지지부재(123)에 대하여 슬라이드부재(126)를 가이드축(124)의 축방향으로 가세하는 코일스프링(127)과, 슬라이드부재(126)를 구동하는 구동기어(128)와, 이 구동기어(128)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29)를 갖추고 있다.
지지부재(123)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면상에 광픽업(111)이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축(124)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삽입부(131, 131)와, 가이드부(12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오목부(132)를 가지고 있다. 또, 지지부재(123)에는, 일측단에 구동기어(128)에 맞물려서 이동되는 랙부(1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랙부(133)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축(12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랙부(133)에는, 슬라이드부재(126)에 결합하는 결합편(135, 135)과, 코일스프링(127)의 일단이 계지되는 계지편(136)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축(124)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113)의 이동용의 개구부(116)에 걸쳐서, 축방향이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113) 상에 양단이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부(125)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재료에 의해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축(12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베이스(113)의 이동용의 개구부(116)의 일 측연부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125)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123)의 가이드오목부(132)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126)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축(12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랙부(138)를 가지며, 이 랙부(138)를 지지부재(123)의 랙부(133)에 대하여 1/2 톱니두께정도 엇갈린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126)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123)의 랙부(133)의 결합편(135, 135)이 결합하는 결합공(140, 14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126)에는, 주면의 대략 중앙에, 코일스프링(127)이 설치되는 개구부(14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구부(141)의 일단에, 코일스프링(127)의 타단이 계지되는 계지편(142)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27)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123)의 랙부(133)의 계지편(136)에 계지되는 동시에, 타단이 슬라이드부재(126)의 계지편(142)에 계지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27)은 가세력에 의해, 지지부재(123)의 랙부(133)에 대하여 슬라이드부재(126)를 가이드축(124)의 축방향과 평행한 화살표 B1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127)은, 지지부재(123)의 랙부(133)와 슬라이드부재(126)의 랙부(138)를 구동기어(128)에 대하여 백래시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랙부(138)가, 지지부재(123)의 랙부(133)에 대하여 1/2 톱니두께 정도 엇갈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코일스프링(127)이 가세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123) 및 슬라이드부재(126)의 2개의 랙부(138, 133)가 구동기어(128)의 맞물림, 구동기어(128)의 회전에 의해 외주측, 혹은 내주측의 어느 것으로 이동되어도 백래시가 없고, 지지부재(123) 및 슬라이드부재(126)가 고정밀도로 이동된다.
또, 광픽업기구(11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대기상태 등에 있어서의 장치 내의 기류에 의해, 광픽업(111)의 대물렌즈(118)의 광디스크(D)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물렌즈(118)의 대향면을 덮는 폐색위치와, 대물렌즈(118)의 대향면을 광디스크(D)를 행하도록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146)를 가지는 개폐기구(145)를 갖추고 있다.
이 개폐기구(145)는,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물렌즈(118)의 대향면을 개폐하는 개폐부재(146)와, 이 개폐부재(146)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147)과, 개폐부재(146)를 대물렌즈(118)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가세하는 인장 코일스프링(148)을 가지고 있다.
개폐부재(146)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111)의 커버(120)의 개구부(121)를 개폐하는 셔터(151)와, 회동축(14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지지부(152)와, 커버(120)에 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셔터(15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3)와, 셔터(151)를 도 14중 화살표 C1 및 화살표 C2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작동부(154)를 가지고 있다.
셔터(151)는, 대략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120)의 상면을 접동하여, 커버(120)의 개구부(121)를 개폐한다. 회동지지부(152)는, 셔터(151)의 일단부에 위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회동축(47)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구멍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부(153)는, 단면이 대략 'コ'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120)의 외주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대략 원호형의 가이드편(155)에 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작동부(154)는, 회동지지부(152)의 외주부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113) 상에 설치된 조작돌기부(156)를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작동부(154)는, 광픽업(111)이 광디스크(D)의 기록영역의 최내주부, 즉 리드인영역에 이동되었을 때에, 조작돌기부(156)에 당접되어서, 회동지지부(152)를 회동축(147)의 축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회동축(147)은, 지지부재(123)상에 입설되어 있고, 개폐부재(146)의 회동지지부(152)의 축구멍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인장 코일스프링(148)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이 지지부재(123)에 설치된 계지편(158)에 계지되는 동시에, 타단이 개폐부재(146)의 회동지지부(152) 근방에 위치하는 계지편(159)에 계지되어 있다.
또한, 이동기구(112)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굉픽업(111)이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에 이동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구(161)를 가지고 있다. 검출기구(161)는, 광픽업(111)이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의 독출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162)와, 검출스위치(162)의 가압자(163)를 가압하는 가압편(164)을 가진다.
검출스위치(162)는, 가압자(163)가 광픽업(111)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지지부재(123)에 부착되어 있다. 또, 가압편(164)은, 광픽업(111)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검출스위치(16)는, 구체적으로 광픽업(111)이 광디스크(D)의 TOC를 독출하기 위해 리드인영역의 대략 중앙으로 이동했을 때, 가압자(163)가 가압편(164)에 가압되고, 이것에 의해, 광픽업(111)이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의 독출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그런데, 상술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스위치(162)에서 생성된 검출신호는, 마이컴(61)에 입력된다. 마이컴(61)은,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타이머(62)에서 소정시간을 계시하고, 이 사이, 구동모터(129)를 구동하고, 지지부 재(123)를 이동시키고, 개폐부재(146)가 개방위치에서 폐색위치로 이동한다.
베이스(113)상에는, 광디스크(D)를 회전구동하는 디스크회전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회전 구동기구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D)가 재치되는 디스크테이블(160)과, 이 디스크테이블(160)을 회전구동하는 스핀들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광픽업기구(110)는, 광디스크(D)로부터 정보를 재생할 때에, 이동기구(112)에 의해 가이드축(124) 및 가이드부(125)에 따라서 지지부재(123)가 이동되어서, 광픽업(111)이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된다.
광픽업기구(11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111)이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되어,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의 대략 중앙부의 독출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베이스(113) 상의 조작돌기부(156)에 개폐부재(146)의 작동부(154)가 당접된다. 이 때, 검출스위치(162)의 가압자(163)가 베이스(113)에 설치된 가압편(164)에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검출스위치(162)는, 검출신호를 마이컴(61)에 출력하고, 마이컴(61)은 소정시간을 계시한다. 그리고, 구동모터(129)는 소정시간 구동을 계속하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111)을 다시 소정량만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인장 코일스프링(148)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개폐부재(146)가 화살표 C2 방향으로 회동된다. 광픽업기구(110)는, 광픽업(111)이 광디스크(D)의 최내주에 이동되었을 때,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146)가 폐색위치에 회동되어서 커버(120)의 개구부(121)가 폐색됨으로써, 대물렌즈(118)의 대향면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그런데, 검출스위치(54)가 온으로 되고서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까지의 사이, 즉 개폐부재가(146)가 대물렌즈(118)의 개방위치에서 폐색위치까지 이동하기까지의 사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컴(61)은 포커싱구동부(64)에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이것에 의해, 포커싱 구동부(64)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물렌즈(14)를 광디스크(D)에서 가장 이간하고, 커버(15) 내의 대피위치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개폐부재(146)가 대물렌즈(118)를 개방한 개방위치에서 폐색한 폐색위치로 이동할 때에, 개폐부재(146)가 대물렌즈(118)에 접촉하여 대물렌즈(118)에 상처 등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이컴(61)은, 소정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포커싱구동부(6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0V로 한다. 이것에 의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물렌즈(118)는, 대피위치에서 기준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대물렌즈(118)와 개폐부재(146)가 접촉하여 대물렌즈(118)에 상처 등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령, 대물렌즈(118)가 개폐부재(146)에 접촉하였을 때에도, 점접촉인 것이므로, 대물렌즈(118)의 상처 등을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다.
광픽업기구(110)는, 광픽업(111)이 기록영역의 내주측의 TOC가 기록된 리드인영역 내로 이동되었을 때, 개폐부재(146)가 개방위치로 회동되어, 광픽업(111)의 대물렌즈(118)의 대향면이 광디스크(D)를 향하게 됨으로써, 광디스크(D)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광픽업(111)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146)가 개방위치에 이동된 상태에서, 광디스크(D)로부터 정보신호를 재생한다.
이 경우, 재생개시신호가 마이컴(61)에 입력되었을 때, 검출스위치(162)는 온 상태에 있고, 이것에 의해, 마이컴(61)은 광픽업(111)이 개폐부재(146)가 대물렌즈(118)의 폐색위치에 있는 것을 검색한다. 이것과 동시에, 마이컴(61)은 포커싱 구동부(64)에 역바이어스를 인가하고, 대물렌즈(118)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기준위치로부터 대피위치로 변위시키고, 개폐부재(146)가 대물렌즈(118)를 폐색한 폐색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에 대물렌즈(118)와 개폐부재(146)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마이컴(61)은, 타이머(62)에서 소정시간을 계시한다. 마이컴(61)은, 소정시간이 경과하고 검출스위치(54)가 오프로 된 것을 검출하면, 마이컴(61)은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정보신호, 구체적으로 TOC의 독출을 행할 수 있도록, 대물렌즈(14)의 인입동작을 행한다. 즉, 포커싱구동부(64)에는, 역바이어스 전압과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대물렌즈(118)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커싱 제어위치와 대피위치에 거쳐서 변위하고 합초위치로 변위된다. 이 후, 이동기구(112)는, 광디스크(D)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독출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광픽업(111)이 있는 위치는,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의 대략 중앙이며, 따라서, 광픽업(111)을 보내는 조작하지 않고 바로 TOC의 독출을 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대물렌즈(14)를 셔터(47)의 개폐동작시에 한하여 역바이어스 전압을 포커싱구동부(64)에 인가하고, 대물렌즈(14)를 대피위치에 까지 끌어들이는 동작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광픽업기구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기구(201)는, 대물렌즈(214)를 가지는 광픽업(211)과, 이 광픽업(211)을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평행한 화살표C1 방향 및 화살표C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212)와, 광픽업(211)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동기구(212)를 지지하는 베이스(213)를 갖추고 있다.
광픽업(211)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213)에 설치된 이동용의 개구부(216)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광픽업(211)은, 대물렌즈(214)를 가지는 광학계와, 대물렌즈(214)의 광축방향으로 평행한 포커싱방향 및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트래킹방향으로 대물렌즈(214)를 각각 구동 변위하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를 덮는 커버(218)를 가지고 있다.
광픽업(211)의 구동부는, 대물렌즈(214)를 유지하는 렌즈홀더와, 이 렌즈홀더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대물렌즈(214)를 전자력에 의해 구동 변위시키는 전자회로부를 가지고 있다. 또, 광학계는,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로를 구성하는 렌즈군과, 광디스크(D)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광픽업(211)은, 반도체 레이저 등으로부터 출사한 광빔을 대물렌즈(214)로 집광하고, 광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조사하고 광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서 반사한 복귀하는 광빔을 검출하고 광디스크(D)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독출을 행한다. 또, 구동부는, 광디스크(D)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독출 등 을 행하고 있을 때, 대물렌즈(214)를 포커싱 방향이나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하고, 포커싱 및 트래킹제어를 행한다.
커버(218)는, 예를 들면 ABS수지 등의 수지재료에 의해, 광디스크(D)의 기록면에 대략 평행한 상면을 가지는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218)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의 대략 중앙에, 대물렌즈(214)를 광디스크(D)의 기록면을 향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220)는,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긴 지름으로 이루어진 대략 타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기구(212)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21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21)와, 이 지지부재(211)를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축(222)과, 지지부재(221)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3)와, 지지부재(221)를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부재(224)와, 지지부재(221)에 대하여 슬라이드부재(224)를 가이드축(222)의 축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로 되는 코일스프링(225)과, 슬라이드부재(224)를 구동하는 구동기어(226)와, 이 구동기어(226)를 기어열을 거쳐서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228)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재(221)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면(主面) 상에, 광픽업(211)이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축(222)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삽입부(231)와, 가이드부(22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가이드편(232, 232)을 가지고 있다. 이 지지부재(221)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단에, 구동기어(226)에 맞물려서 이동되는 랙부(2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랙부(233)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축(222)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랙부(233)에는, 슬라이드부재(22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편(235, 236)과, 코일스프링(225)의 일단이 계지되는 계지편(237)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랙부(233)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D)의 외주측의 종단에 위치하는 톱니(238)가, 다른 톱니(239)에 비하여 톱니두께가 1/2정도로 작게 된 대략 삼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구동기어(226)로부터 용이하게 이간되어서 지지부재(221)의 랙부(233)와의 맞물림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재(221)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D)의 내주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부재(221)가 화살표C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내주측 스토퍼편(241)이,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213)에는, 이동용의 개구부(216)의 내주측의 일 측연부에, 지지부재(221)의 내주측 스토퍼편(241)이 당접되는 내주측 규제용 오목부(242)가 절결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부재(221)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D)의 외주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부재(221)가 화살표C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외주측 스토퍼편(243)이,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13)에는, 이동용의 개구부(216)의 외주측의 일 측연부에, 지지부재(221)의 외주측 스토퍼편(243)이 당접되는 외주측 규제용 오목부(244)가 절결되어서 형성되 어 있다.
가이드축(222)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213)의 이동용의 개구부(216)에 걸쳐서, 축방향이 광디스크(D)의 지름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213) 상에, 양단이 고정부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부(223)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축(222)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베이스(213)의 이동용의 개구부(216)의 일 측연부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223)에는, 지지부재(221)의 가이드편(232, 232)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가이드축(222)의 축 회전 방향에 대한 지지부재(221)의 자유도를 규제하고 있다.
슬라이드부재(224)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축(222)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랙부(246)를 가지며, 이 랙부(246)를 지지부재(221)의 랙부(223)에 일치시켜서 지지부재(22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224)에는, 지지부재(221)의 랙부(233)의 각 결합편(235, 236)이, 가이드축(222)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홈(248, 24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224)에는,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21)의 랙부(233)의 한편의 결합편(236)에 당접되므로써, 랙부(233)에 대한 상대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돌기부(250, 250)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224)에는, 구동기어(226)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편(252)이, 랙부(246)에 따라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224)에는, 코일스프링(225)이 계지되는 계지편(253)이 일체로 형성되 어 있다.
코일스프링(225)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이 지지부재(221)의 랙부(233)의 계지편(237)에 계지되는 동시에, 타단이 슬라이드부재(224)의 계지편(253)에 계지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225)은, 가세력에 의해, 지지부재(221)의 랙부(233)에 대하여 슬라이드부재(224)를 가이드축(222)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인 화살표C2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구동기어(226)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21) 및 슬라이드부재(224)의 각 랙부(233, 246)에 맞물리는 기어부(255)를 가지고 있다. 또, 구동기어(226)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에, 슬라이드부재(224)의 가이드편(252)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홈(256)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기어(226) 및 기어군은, 베이스(213) 상에, 가이드축(222)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228)는, 베이스(213) 상에, 기어군에 맞물려서 설치되어 있다.
이동기구(212)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211)의 대물렌즈(214)의 광디스크(D)에 대향하는 대향면을 덮는 폐색위치와, 대물렌즈(214)의 대향면을 광디스크(D)를 향하게 하도록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258)를 가지고 있다.
셔터(258)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POM(폴리옥시메틸렌)등의 수지재료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218)의 개구부(220)를 폐색하기 충분한 면적을 가지고 있다. 셔터(258)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직선형태의 연결편(259, 259)을 걸쳐서 슬라이드부재(22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연결편(259, 259)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218)의 상면에 가세되어 있다.
이동기구(212)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211)이 광디스크(D)의 TOC가 기록된 리드인영역의 내주측에 이동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구(260)를 가지고 있다. 검출기구(260)는, 지지부재(221)에 설치된 검출편(261)과, 이 검출편(261)이 당접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262)를 가지고 있다. 검출편(261)은, 지지부재(221)의 저면측에, 광픽업(211)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검출스위치(262)는, 베이스(213)에 부착된 회로기판 상에 설치되어 있고, 광픽업(211)의 대물렌즈(214)가,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 내의 지름방향의 대략 중앙으로 이동되었을 때, 검출편(261)에 당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스위치(262)는, 광픽업(211)이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 내의 지름방향의 대략 중앙으로 이동하였을 때, 검출편(261)에 가압됨으로써 온으로 되고, 검출신호를 생성한다.
그런데, 상술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스위치(262)에서 생성된 검출신호는, 마이컴(61)에 입력된다. 마이컴(61)은,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타이머(62)에서 소정시간을 계시(計時)하고 이 동안, 구동모터(228)를 구동하고, 지지부재(221)의 랙부(233)에 대하여 슬라이드부재(224)를 소정량만 이동시킴으로써, 셔터(258)를 커버(218)의 개구부(220)를 폐색하는 폐색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광픽업기구(201)에 대하여, 광픽업(211)의 이동에 수반하여, 셔터(258)가 개폐되는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광픽업기구(201)는, 재생동작을 대기하는 대기위치에서, 광픽업(211)이 광디스크(D)의 리드인영역의 내주측에 위치되어 있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258)에 의해 커버(218)의 개구부(220)가 폐색되어서 대물렌즈(214)의 대향면이 덮여져 있다. 따라서, 광픽업기구(201)는, 재생조작을 대기하는 대기위치에서, 대물렌즈(214)의 대향면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 대기위치에서, 광픽업기구(201)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21)의 랙부(233)와 구동기어(226)와의 맞물림상태가 해제되어 있는 동시에, 셔터(258)가 설치된 슬라이드부재(224)의 랙부(246)가 구동기어(226)에 맞물려 있다.
다음에, 광픽업기구(201)는, 광디스크(D)의 재생이 개시되었을 때,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기어(226)에 랙부(246)가 맞물려서 슬라이드부재(224)가 구동기어(226)에 의해 화살표C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수반하여 셔터(258)가 화살표C2 방향으로 이동되어, 커버(218)의 개구부(220)를 개방하는 동시에 대물렌즈(214)의 대향면을 광디스크(D)를 향하게 하는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또,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기구(201)는, 슬라이드부재(224)가 화살표C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수반하여, 지지부재(221)의 랙부(233)의 결합편(236)에, 슬라이드부재(224)의 규제핀(250, 250)이 당접된다.
광픽업기구(201)는, 결합편(236)에 규제핀(250, 250)이 당접됨으로써, 지지부재(221)에 코일스프링(225)의 가세력이 작용되어 지지부재(221)가 화살표C2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기구(201)는, 지지부재(221)의 랙부(233)가 구동기어(226)에 맞물려서, 지지부재(221)의 랙부(233) 및 슬라이드부재(224)의 랙부(246)의 각 톱니가 서로 일치되어, 구동기어(226)에 각각 맞물린다. 이때, 지지부재(221)는, 랙부(233)가 구동기어(226)에 맞물릴 때의 맞물림에 의해, 지지부재(221)가 화살표C2 방향으로 미소거리(d)만큼 변위한다. 이 때문에, 이동기구(212)는, 지지부재(221)가 화살표C2 방향으로 미소거리(d) 만큼 변위하는 것에 수반하여,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핀(250, 250)에 대하여 결합편(236)이 미소거리(d) 만큼 이간된다. 이동기구(212)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핀(250, 250)과 결합편(236) 사이가 이간함으로써, 코일스프링(225)의 가세력이 지지부재(221)의 랙부(233) 및 슬라이드부재(224)의 랙부(246)와 구동기어(226)와의 백래시(backlash)를 제거하도록 작용한다.
광픽업기구(201)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D)의 기록영역으로부터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상태에서, 코일스프링(225)의 가세력에 의해 백래시가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기구(212)에 의해 광픽업(211)을 화살표C1 방향 및 화살표C2 방향으로 고정밀도로 이동되어서 양호하게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광픽업기구(201)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픽업(211)이 화살표C1 방향으로 다시 이동되었을 때에, 지지부재(221)의 내주측 스토퍼편(241)이 규제오목 부(242)에 당접되어서, 지지부재(221)의 이동이 규제되어서 정지된다. 이때, 지지부재(221)의 검출편(261)이 검출스위치(262)에 당접함으로써, 검출스위치(262)가 온상태로 되고, 광픽업이 리드인영역으로 이동된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스위치(262)는, 검출신호를 마이컴(61)으로 출력한다. 이 마이컴(61)은, 타이머(62)에 의해 소정시간만, 구동모터(228)를 회전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기구(212)는 지지부재(221)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지지부재(221)의 랙부(233)의 톱니(238)와 구동기어(226)로부터 이간되어서, 랙부(233)와 구동기어(226)와의 맞물림상태가 해제된다.
광픽업기구(201)는,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21)의 이동이 규제되었기 때문에, 타이머(62)에 의해 소정시간만 구동되는 구동기어(26)에 의해 슬라이드부재(224)만이, 코일스프링(225)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화살표C1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동기구(212)는,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21)에 대하여 슬라이드부재(224)를 상대적으로 화살표C1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부재(224)에 설치된 셔터(258)를 화살표A1 방향으로 이동한다. 셔터(258)는, 광픽업(211)의 대물렌즈(214)를 덮는 폐색위치로 이동된다.
그런데, 셔터(258)가 도 23에 나타내는 폐색위치와 도 24에 나타내는 개방위치에 걸쳐서 이동할 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컴(61)은, 포커싱구동부(64)에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이것에 의해, 포커싱 구동부(64)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물렌즈(14)를 광디스크(D)로부터 가장 이간한 커버(218) 내의 대피위치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셔터(258)가 대물렌즈(214)를 개방한 개방위치와 폐색한 폐색위치에 걸쳐서 이동할 때에, 셔터(258)가 대물렌즈(214)에 접촉하여 대물렌즈(214)에 상처 등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컴(61)은 소정시간이 경과했을 때, 포커싱 구동부(6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0V로 한다. 이것에 의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물렌즈(214)는 대피위치에서 기준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대물렌즈(214)와 셔터(258)가 접촉하여 대물렌즈(214)에 상처 등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진동 등에 의해 대물렌즈(214)가 셔터(258)에 접촉하였을 때에도, 점접촉이므로, 대물렌즈(214)의 상처 등을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픽업기구(201)는, 광픽업(211)의 대물렌즈(214)가 리드인영역내에 위치할 때에, 셔터(258)가 개방위치로 확실히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인영역을 양호하게 재생할 수 있다.
이 광픽업기구(201)에 의하면, 커버(218)의 개구부(220)를 확실히 폐색할 수 있기 때문에, 대물렌즈(214)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광디스크(D)의 내주측으로부터 정보신호의 독출을 개시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외주측으로부터 정보신호의 독출을 개시하는 광디스크(D)라도 좋다. 또, 광픽업의 초기위치, 즉 재생개시위치가, 내주측이라도 외주측이라도 좋다. 또한, 외주측의 위치에 광픽업이 이동하였을 때, 셔터의 개폐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광디스크(D)의 외주측에 있을 때, 셔터가 대물렌즈의 개폐를 행하게 되고, 이 셔터개폐시에, 대물렌즈를 기준위치에서 다시 광디스크(D)로부터 이간하는 대피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 디스크 드라이브장치는, 광디스크(D)에 대하여 정보신호를 재생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정보신호의 추기 가능한 추기형의 광디스크(D)나 고쳐쓰기 가능한 고쳐쓰기형의 광디스크(D)에 대하여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 광픽업장치에 대향하는 위치로 자기헤드기구를 설치하고, 광자기디스크 등의 다른 광학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신호를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대물렌즈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로써, 종래의 장치와 같이 비사용시에 광픽업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광픽업을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나사를 이용하여 셔터의 이동을 하고, 이 셔터의 이동에 의해 대물렌즈의 개폐를 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소형화와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또 비사용시 등에 대물렌즈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물렌즈를 셔터로 폐색할 때, 소정 위치에 있는 대물렌즈를 또한 광디스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셔터와 대물렌즈가 접촉하여 대물렌즈에 상처 등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3)

  1. 베이스에 설치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직선형태의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집광하는 대물렌즈가 설치된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상기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에 전달부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이송나사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대물렌즈를 폐색(閉塞)하는 셔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셔터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에 의해 상기 광픽업에 접속되며, 상기 광픽업에 대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재를 갖추고,
    상기 광픽업은, 상기 전달부가 결합된 상기 이송나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함께 이동되고, 소정 위치에서 상기 광픽업의 이동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규제부에 의해 규제되고, 또 다른 상기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만이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셔터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폐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전달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광픽업과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가세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광픽업장치는, 상기 대물렌즈를 적어도 이 대물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 대물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수단을 갖추고,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상기 대물렌즈를 상기 셔터로 폐색할 때, 소정 위치에 있는 대물렌즈를 더욱 광디스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상기 광픽업이 상기 광디스크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의 대기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대물렌즈를 상기 셔터로 폐색할 때, 소정 위치에 있는 대물렌즈를 더욱 광디스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워킹디스턴스가 다른 적어도 2종류의 광디스크에 대응하여 상기 대물렌즈의 포커싱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6. 베이스에 설치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직선형태의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집광하는 대물렌즈가 설치된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상기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에 전달부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이송나사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대물렌즈를 폐색(閉塞)하는 셔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셔터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에 의해 상기 광픽업에 접속되며, 상기 광픽업에 대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재를 갖추고,
    상기 광픽업은, 상기 전달부가 결합된 상기 이송나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함께 이동되고, 소정 위치에서 상기 광픽업의 이동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규제부에 의해 규제되고, 또 다른 상기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만이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셔터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폐색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대물렌즈를 적어도 이 대물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 대물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수단을 갖추고,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상기 대물렌즈를 상기 셔터로 폐색할 때, 소정 위치에 있는 대물렌즈를 더욱 광디스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상기 광픽업이 상기 광디스크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의 대기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대물렌즈를 상기 셔터로 폐색할 때, 소정 위치에 있는 대물렌즈를 더욱 광디스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대물렌즈의 포커싱제어를 행하는 위치보다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이간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위치는, 상기 광픽업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이 오프일 때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워킹디스턴스가 다른 적어도 2종류의 광디스크에 대응하여 상기 대물렌즈의 포커싱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1. 베이스에 설치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직선형태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집광하는 대물렌즈가 설치된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갖추고,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에 전달부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이송나사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대물렌즈를 폐색하는 셔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셔터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에 의해 상기 광픽업에 접속되고, 상기 광픽업에 대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재를 가지며,
    상기 광픽업은, 상기 전달부가 결합된 상기 이송나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함께 이동되고, 소정위치에서 상기 광픽업의 이동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규제부에 의해 규제되고, 또 다른 상기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만이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셔터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폐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전달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광픽업과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가세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상기 대물렌즈를 적어도 이 대물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 대물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수단을 갖추고,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상기 대물렌즈를 상기 셔터로 폐색할 때, 소정 위치에 있는 대물렌즈를 더욱 광디스크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상기 광픽업이 상기 광디스크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의 대기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대물렌즈를 상기 셔터로 폐색할 때, 상기 소정 위치에 있는 대물렌즈를 더욱 광디스크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워킹디스턴스가 다른 적어도 2종류의 광디스크에 대응하여 상기 대물렌즈의 포커싱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6. 베이스에 설치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직선형태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집광하는 대물렌즈가 설치된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갖추고,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에 전달부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이송나사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대물렌즈를 폐색하는 셔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셔터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에 의해 상기 광픽업에 접속되고, 상기 광픽업에 대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재를 가지며,
    상기 광픽업은, 상기 전달부가 결합된 상기 이송나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함께 이동되고, 소정위치에서 상기 광픽업의 이동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규제부에 의해 규제되고, 또 다른 상기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만이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셔터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폐색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대물렌즈를 적어도 이 대물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 대물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수단을 갖추고,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상기 대물렌즈를 상기 셔터로 폐색할 때, 소정 위치에 있는 대물렌즈를 더욱 광디스크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상기 광픽업이 상기 광디스크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의 대기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대물렌즈를 상기 셔터로 폐색할 때, 소정 위치에 있는 대물렌즈를 더욱 광디스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위치는, 상기 대물렌즈의 포커싱제어를 행하는 위치보다 상기 광디스크에서 이간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위치는,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이 오프일 때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수단은, 워킹디스턴스가 다른 적어도 2종류의 광디스크에 대응하여 상기 대물렌즈의 포커싱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1.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 대략 직선형태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대물렌즈를 가지는 광픽업과,
    상기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는 이송나사와, 일단이 상기 이송나사에 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에 상기 대물렌즈를 차폐 가능한 셔터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픽업에 탄성부재를 거쳐서 유지되는 슬라이드부재를 갖추는 이동기구를 갖추고,
    상기 광픽업은, 상기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지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일체로 이동되고,
    상기 광픽업이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함께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광픽업의 이동이 규제되고, 또 다른 상기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가세력에 반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만이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셔터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의 상기 광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 측에 설치되는 규제부와, 상기 광픽업의 상기 규제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당접부를 가지며,
    상기 광픽업은, 상기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광디스크의 내주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일체로 이동되고,
    상기 광픽업이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함께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당접부가 상기 규제부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광픽업의 이동이 규제되며, 또 다른 상기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가세력에 반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만이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셔터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차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광픽업 중 어느 한편에 상기 광픽업이 상기 광디스크의 내주측의 소정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와 타편에 상기 검출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대물렌즈의 적어도 상기 광디스크에 대한 포커싱을 제어하는 포커싱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광픽업이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함께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검출스위치가 ON되는 동시에, 상기 포커싱 제어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상기 광디스크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포커싱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포커싱 제어와는 역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대물렌즈가 상기 광디스크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소정시간의 상기 또 다른 상기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당접부가 상기 규제부에 당접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가세력에 반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만이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셔터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차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제어부는, 상기 광픽업이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함께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검출스위치가 ON되는 동시에, 상기 포커싱 제어부가 상기 대물렌즈를 상기 광디스크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포커싱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포커싱 제어와는 역의 전압을 상기 소정시간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20037003351A 2001-07-11 2002-07-11 광픽업장치 및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887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11280 2001-07-11
JP2001211280A JP4337282B2 (ja) 2001-07-11 2001-07-11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PCT/JP2002/007070 WO2003007295A1 (fr) 2001-07-11 2002-07-11 Dispositif de capture optique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935A KR20030029935A (ko) 2003-04-16
KR100887747B1 true KR100887747B1 (ko) 2009-03-12

Family

ID=1904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351A KR100887747B1 (ko) 2001-07-11 2002-07-11 광픽업장치 및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03895B2 (ko)
JP (1) JP4337282B2 (ko)
KR (1) KR100887747B1 (ko)
CN (1) CN1232960C (ko)
WO (1) WO2003007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691B1 (ko) * 2003-05-31 2005-1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롬 시스템
WO2005020218A1 (en) * 2003-08-26 2005-03-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rive for disc shaped optical data carrier
JP4063760B2 (ja) * 2003-12-11 2008-03-19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KR101036891B1 (ko) * 2004-05-04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이송 가이드구조
KR100601462B1 (ko) 2004-07-22 2006-07-14 삼성전기주식회사 대물렌즈 보호수단이 구비된 광디스크 장치
JP2006252683A (ja) * 2005-03-11 2006-09-21 Teac Corp 光ディスク装置
US7346915B2 (en) * 2005-09-09 2008-03-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act and portable optical disc drive
CN101206880B (zh) * 2006-12-22 2011-0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盘驱动器
JP4407744B2 (ja) * 2007-12-05 2010-02-03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5278463B2 (ja) * 2011-02-07 2013-09-04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のドライ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0906B2 (ja) * 1994-06-30 2002-09-0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3513849B2 (ja) * 1996-08-05 2004-03-31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US5995467A (en) * 1996-07-25 1999-11-30 Sony Corporatio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a liftable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coordinated lens shutter
JP2000113483A (ja) * 1998-10-05 2000-04-21 Sony Corp 光ヘッド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0298863A (ja) * 1999-04-09 2000-10-24 Sony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4300689B2 (ja) 2000-07-31 2009-07-22 ソニー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並び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30881A (ja) 2003-01-31
WO2003007295A1 (fr) 2003-01-23
US7103895B2 (en) 2006-09-05
CN1232960C (zh) 2005-12-21
CN1465048A (zh) 2003-12-31
KR20030029935A (ko) 2003-04-16
US20030179682A1 (en) 2003-09-25
JP4337282B2 (ja)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114B2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JPH10199005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887747B1 (ko) 광픽업장치 및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US4932019A (en) Disk player having a vibration dissipating device
US7663999B2 (en) Disc drive apparatus and electronic appliance
JP2000298863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5661706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providing real time editing while data is being input
JP3428030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637880B1 (ko) 광헤드장치 및 광디스크장치
JP4337283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20030089463A (ko)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KR960035474A (ko) 광픽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45964B1 (ko) 기록 및 재생장치
JPS61224151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GOMA TECHNICAL FIELD
JPH054098Y2 (ko)
JP4196807B2 (ja) 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JP3343939B2 (ja) 記録及び再生装置
JP3503635B2 (ja) 光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44663A (ja) 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501885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61268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H05182236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10255371A (ja) カートリッジ排出機構
JPH05128780A (ja)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