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480B1 - 형광관의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형광관의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480B1
KR100887480B1 KR1020070038041A KR20070038041A KR100887480B1 KR 100887480 B1 KR100887480 B1 KR 100887480B1 KR 1020070038041 A KR1020070038041 A KR 1020070038041A KR 20070038041 A KR20070038041 A KR 20070038041A KR 100887480 B1 KR100887480 B1 KR 10088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ortions
clamping
contact
ope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0022A (ko
Inventor
가츠노리 미야조노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27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Liquid Crystal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6)가 하우징(14)에 의해 홀딩된 컨택트(contact)(15; 15A; 15B)와, 컨택트(15; 15A; 15B)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16:16A)를 구비한다. 하우징(housing)(14)은 축 형상의 단자(10; 10A)가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20)를 포함한다. 컨택트(15; 15A; 15B)의 한 쌍의 탄성 피스(piece)부(片部)(30, 31; 30A, 31A; 30B, 31B)가 단자(10; 10A)를 상기 제 1의 방향 D1과 직교하는 소정의 협지 방향 D3에 협지(clamping)하기 위한 협지부(40)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 1의 방향은 단자(10; 10A)의 직경 방향을 따른다. 조작 부재(16; 16A)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 30A, 31A; 30B, 31B)의 협지부(40)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확개(擴開) 조작부(48; 48A)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형광관의 장착 방법{A method for attaching a fluorescent tu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컨택트의 사시도.
도 6은 컨택트를 제 2의 방향을 따라 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2의 VIII-VIII 선에 따른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컨택트가 확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9는 도 2의 VIII-VIII 선에 따른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컨택트의 확개를 해제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0은 도 8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는 도 9의 XI-X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조작 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backlight)용의 형광관(fluorescent tube) 등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식의 텔레비젼이나 모니터의 백라이트로서 이용되는 냉음극관(CCFL:Cold Cathod Fluorescent Lamp) 등의 형광관의 단자의 접속 구조로서 하기의 문헌 1, 2가 제안되어 있다.
문헌 1: 일본 특개 2001-250605호 공보(공개일 :2001 년 9 월 14 일)
문헌 2: 일본 특개 2004-259645호 공보(공개일 :2004 년 9 월 16 일)
문헌 1, 2에서는 전선의 일단에 고정된 접속 피팅(connection fitting)이 냉음극관의 단자(전극)에 땜납 부착되어 있다. 전선의 타단은 커넥터를 통하여 인버터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로부터의 전력은 커넥터 및 전선을 통하여 냉음극관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문헌 1, 2에서는 땜납 불량에 기인하여, 단자와 접속 피팅과의 사이에, 도통(導通)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땜납 작업에는 수고가 따른 다. 특히, 냉음극관은 직경이 수 mm 정도의 가는(thin) 형상을 하고 있고, 단자에 이르러서는 보다 가는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취급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땜납 작업에 큰 수고가 따른다.
동일한 과제는 냉음극관에 한정하지 않고, 외부 전극 형광관(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등의 다른 형광관을 이용하는 경우나, 형광관 이외의 축 형상의 단자를 갖는 것에 이용하는 경우에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 형상의 단자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홀딩된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축 형상의 단자가 소정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片部)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 오목부에 노출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는 상기 단자를 상기 소정의 삽입 방향과는 직교하는 소정의 협지 방향으로 협지하기 위한 협지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소정의 삽입 방향은 단자의 제 1의 직경 방향을 따르고, 또한 상기 소정의 협지 방향은 상기 단자의 제 2의 직경 방향을 따르고 있다.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확개 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의 확개 조작부에 의해서, 컨택트의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 사이의 간격을 넓혀진 상태로, 협지부 사이에 단자를 그 직경 방향을 따라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 다음에, 확개 조작부에 의한 확개를 해제함으로써, 협지부사이에 단자를 탄성적으로 협지한다. 이로 인해, 컨택트와 단자와의 사이에 소정의 접촉 압력이 생기고, 그 결과 컨택트와 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액정 표시 장치(1)는 예를 들면 텔레비젼이나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1)는 케이싱(casing)(2)과, 액정 패널(3)과, 액정 패널(3)의 후방(後方)에 배치된 회로 기판(4)과, 복수의 형광관으로서의 냉음극관(5)과, 전기 커넥터(6)(이하, 간략히 커넥터라고 함)와, 인버터 회로(7)를 구비하고 있다.
액정 패널(3)은 비자발광식의 표시 패널이며, 케이싱(2)의 정면의 개구에 장착되어 있다. 액정 패널(3)의 표면(3a)은 케이싱(2)의 전방(前方)을 향하고 있고, 배면(3b)은 케이싱(2)의 후방(後方)을 향하고 있다.
회로 기판(4)은 액정 패널(3)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케이싱(2)에 고정된 판 형상의 부재이고, 액정 패널(3)의 배면(3b)에 대향하는 제 1의 면(4a)과, 제 1의 면(4a)과 반대측인 제 2의 면(4b)을 포함하고 있다.
냉음극관(5)은 액정 패널(3)의 백라이트이며, 액정 패널(3)의 배면(3b)과 회로 기판(4)의 제 1의 면(4a)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냉음극관(5)의 수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3)의 크기 1인치당 2 개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냉음극관(5)의 긴 쪽 방향 L은 방향 X(케이싱(2)의 좌우 방향에 상당함: 도 1에서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를 따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각 냉음극관(5)은 방향 Y(케이싱(2)의 상하 방향에 상당)를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냉음극관(5)은 액정 패널(3)의 배면(3b)과 평행하다. 각 냉음극관(5)과 액정 패널(3)은 방향 Z(케이싱(2)의 전후 방향에 상당)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 있다. 각 냉음극관(5)은 액정 패널(3)에 후방으로부터 광을 조사(照射)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6)는 냉음극관(5)과 회로 기판(4)(나아가서는 인버터 회로(7))와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 커넥터(6)는 액정 패널(3)의 배면(3b)과 회로 기판(4)의 제 1의 면(4a)과의 사이에서, 각 음극관(5)의 한 쌍의 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다. 각 커넥터(6)는 회로 기판(4)에 장착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7)는 냉음극관(5)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행하며,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에 장착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7)와 각 냉음극관(5)은 회로 기판(4) 및 대응하는 커넥터(6)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6)의 사시도이다.
또한, 각 냉음극관(5)에 관한 장착 구조는 각각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1개의 냉음극관(5)의 장착 구조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냉음극관(5)은 방향 X를 따라 곧게 뻗는 통 형상의 본체부(8)와, 본체부(8)의 한 쌍의 단부(9, 9)의 각각에 설치된 한 쌍의 단자로서의 아우터 리드(outer lead)(10, 10)(전극)를 포함하고 있다. 각 단자로서의 아우터 리드(10)는 본체부(8)의 대응하는 단부(9)로부터, 긴 쪽 방향 L을 따라서 돌출하고 있다.
본체부(8)는 예를 들면 직경이 수 mm ~ 수십 mm 정도의 유리제의 부재이다. 한 쌍의 아우터 리드(10, 10)는 연철(軟鐵) 등의 금속제인 축 형상의 도전 부재이고, 대응하는 단부(9)로부터 방향 X로 각각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아우터 리드(10)의 직경은 예를 들면 1mm 정도, 길이는 수 mm 정도이다.
냉음극관(5)을 홀딩하여 이 냉음극관(5)의 자중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clamp) 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11)는 냉음극관(5)마다 하나 또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11)의 수는 냉음극관(5)의 길이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클램프 부재(11)는 방향 X에 관하여 냉음극관(5)의 본체부(8)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클램프 부재(11)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성형품이며, 지주(支柱)(12)와, 원호 형상의 홀딩부(13)를 포함하고 있다. 지주(12)는 회로 기판(4)의 제 1의 면(4a)에 고정되어 있고, 방향 Z로 뻗고 있다. 홀딩부(13)는 냉음극관(5)의 본체부(8)의 상기 중간부를, 냉음극관(5)의 직경 방향(도 2에 있어서, 방향 Y 및 방향 Z)로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홀딩한다.
이 홀딩부(13)는 냉음극관(5)의 본체부(8)의 원주 방향의 반보다 약간 긴 일 부분을 둘러쌀 수 있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홀딩부(13)의 원주 방향의 일부에는 냉음극관(5)의 본체부(8)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3a)에는 커넥터(6)에 냉음극관(5)의 장착 방향인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냉음극관(5)의 본체부(8)의 긴 쪽 방향 L의 중간부가 삽입되어서 홀딩된다. 개구부(13a)는 제 1의 방향 D1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 D2(커넥터(6)로부터 냉음극관(5)을 떼어내는 방향에 상당)로 개방되어 있다.
커넥터(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음극관(5)의 본체부(8)의 한 쌍의 단부(9, 9)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각 커넥터(6)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커넥터(6)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커넥터(6)는 각 방향 X, Y, Z의 길이가 각각 10~15mm 정도이며, 하우징(14)과, 이 하우징(14)에 의해 홀딩된 컨택트(15)와, 이 컨택트(15)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16)를 포함하고 있다.
도 4는 하우징(14)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하우징(14)은 합성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며, 주체부(main body)(17)와, 주체부(17)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좌(座)부(seating portion)(18)를 갖고 있다.
주체부(17)는 대략적으로 박스 형상을 이루고 있다. 회로 기판(4) 중에서, 커넥터(6)가 배치되어 있는 곳에 관통공(through hole)이 형성되어 있고, 주체부(17)는 이 관통공을 삽통(揷通)하여 제 1의 면(4a)으로부터 액정 패널(3)의 배면(3b)(도 1참조)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다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2의 방향 D2에 관한 주체부(17)의 단부에 는 단면 U자 형상 내지 단면 홈(groove) 형상을 이루는 도입 홈(19)이 형성되어 있다. 도입 홈(19)에는 냉음극관(5)의 대응하는 단부(9)가 도입된다. 도입 홈(19)에 도입된 냉음극관(5)의 단부(9)는 도입 홈(19)의 내면에 의해 둘러싸여진 상태로 보호된다.
또, 제 2의 방향 D2에 관한 주체부(17)의 단부에는 삽입 오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 오목부(20)에는 냉음극관(5)의 단자로서의 아우터 리드(10)가 상기 설치 방향으로서의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삽입 오목부(20)는 주벽(周壁)(21)과 저벽(22)에 의해 구획되고, 단면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아우터 리드(10)를 받아 들이는 수입(受入) 공동(空洞)으로서 기능한다. 주벽(21)은 방향 X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의 측부(23a, 23b)와, 방향 Y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2의 측부(24a, 24b)를 포함하고 있다.
한 쪽의 제 1의 측부(23a)는 도입 홈(19)에 인접하고 있고, 도입 홈(19)과 삽입 오목부(20)와의 사이를 나누고 있다. 상기 한 쪽의 제 1의 측부(23a)에는 방향 Y에 관한 중앙부에, 절결(切缺) 홈(25)이 설치되어 있다. 절결 홈(25)에는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절결 홈(25)의 바닥은 아우터 리드(10)의 위치차를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로서 기능한다. 즉, 아우터 리드(10)가 하우징(14)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었을 때에, 아우터 리드(10)가 절결 홈(25)의 바닥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 결과 아우터 리드(10)가 그 이상 기울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아우터 리드(10)가 하우징(14)에 대하여 기운다」는 냉음극관(5) 전 체(주체부(8) 및 아우터 리드(10))가 하우징(14)(회로 기판(4))에 대하여 기우는 것으로, 냉음극관(5)의 주체부(8)는 하우징(14)에 대하여 기울지 않고(회로 기판(4)에 대하여 평행), 해당 주체부(8)에 대하여 아우터 리드(10)가 기우는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른 쪽의 제 1의 측부(23b)에는 조작 부재(16)를 제 1 및 제 2의 방향 D1, D2(방향 Z)을 따라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부(26)는 다른 쪽의 제 1의 측부(23b)의 내측면에 배치된 볼록 조(convex shape)이며, 방향 Z로 뻗고 있다.
한 쌍의 제 2의 측부(24a, 24b)의 각각에는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공(27)은 방향 Z를 따라서 뻗고 있다. 관통공(27)에는 조작 부재(16)의 후술하는 제 1 및 제 2의 볼록부(53, 58)가 삽통되도록 되어 있다.
좌부(18)는 제 1의 방향 D1에 관한 주체부(17)의 단부(17a)에 설치된 한 쌍의 플랜지(flange) 형상의 부분이다. 좌부(18)는 방향 Y에 관한 주체부(17)의 한 쌍의 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방향 X에 긴 쪽으로 뻗고 있다. 각 좌부(18)는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에 당접(當接)하여 수용되어 있다. 이로 인해, 회로 기판(4)에 대한 하우징(14)의 방향 Z에 관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도 5는 컨택트(15)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커넥터(6)를 제 2의 방향 D2를 따라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VIII -VIII 선에 따른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컨택트(15)가 확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2의 VIII-VIII 선에 따른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컨택 트(15)의 확개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도 8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는 도 9의 XI-X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컨택트(15)는 금속 그 외의 도전 부재제이다. 구체적으로, 컨택트(15)는 판금(板金) 부재이다. 컨택트(15)는 냉음극관(5)의 아우터 리드(10)와 전기적인 접속을 행한다. 컨택트(15)에 의해서, 아우터 리드(10)와 회로 기판(4)과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컨택트(15)는 방향 Y에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고, 주체부(28)와, 리드(29)와,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탄성 피스부(30, 31)를 갖고 있다.
주체부(28)는 방향 Z인 긴 방향으로 뻗고 있고, 방향 Z에 직교하는 단면이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U자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부분이 플랜지부(32)로 되어 있다. 주체부(28) 중 플랜지부(32)에 끼워진 부분이 중간부(33)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주체부(28)는 하우징(14)의 주체부(17)에 형성된 삽통공(34)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삽통공(34)은 하우징(14)의 주체부(17)의 제 2의 방향 D2에 관한 단부(17a)로부터 삽입 오목부(20)에 걸쳐서 방향 Z로 뻗고 있다. 삽통공(34)의 주위면에 의해서, 컨택트(15)의 주체부(28)가 둘러싸여진다.
삽통공(34)의 주위면에는 한 쌍의 플랜지부(32)의 각각 걸어 맞춤하는 한 쌍의 걸어 맞춤 홈(35, 35)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 맞춤 홈(35)은 방향 Z로 뻗고 있고, 이 걸어 맞춤 홈(35)을 따라서 컨택트(15)의 주체부(28)를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컨택트(15)의 주체부(28)는 주벽(21)의 한 쪽의 제 1의 측부(23a)의 일단부 에 수용되어 있고, 하우징(14)에 대하여 방향 Z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컨택트(15)의 주체부(28)는 하우징(14)의 주벽(21)의 한 쪽의 제 1의 측부(23a)에 의해서 수용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주체부(28)의 삽통공(34)으로의 삽입량에 의해, 컨택트(15)의 방향 Z의 위치 결정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리드(29)는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에 접촉하여 이 회로 기판(4)과 컨택트(15)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한다. 이 리드(29)는 주체부(28)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주체부(28)로부터 방향 X의 한 쪽으로 뻗고 있다. 리드(29)와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과는 평행하게 되어 있고, 양(兩)자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리드(29)는 회로 기판(4)에 땜납 부착되어 있고, 회로 기판(4)을 통하여 인버터 회로(7)에 접속되어 있다. 또, 하우징(14)의 주체부(17)의 제 2의 방향 D2의 단부(17a)에 설치된 금속제의 보강 부재(70)가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에 고정되어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는 각각,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한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는 방향 Y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는 각각, 대응하는 플랜지부(32)에 대하여 제 2의 방향 D2측에 배치되고, 삽입 오목부(20)에 돌출하고 있고, 거의 전부가 삽입 오목부(20)에 노출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일부만이 삽입 오목부(20)에 노출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는 각각, 제 2의 방향 D2를 따라 뻗는 제 1의 피스부(36)와,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36)의 선단부(36b)로부터 되접어 꺾여서(folded back)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뻗는 제 2의 피스부(37)를 포함하고 있다. 방향 Y에 관해서, 한 쌍의 제 1의 피스부(36)는 서로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고, 한 쌍의 제 2의 피스부(37)는 서로 상대적으로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의 피스부(36)는 대응하는 플랜지부(32)의 제 2의 방향 D2의 선단부로부터 제 2의 방향 D2를 따라서 뻗고 있고, 하우징(14)의 삽입 오목부(20)의 저벽(22)을 관통하고 있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는 각 제 1의 피스부(36)의 기단(基端)부(36a)를 지점으로 하여 서로 탄력적으로 근접, 이격(離隔)할 수 있다. 자유 상태(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각 제 1의 피스부(36)는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 있다. 각 제 1의 피스부(36)의 선단부(36b)에는 후술하는 확개 조작부(48)와 걸어 맞춤하기 위한 걸어 맞춤부(42)가 설치되어 있다. 각 걸어 맞춤부(42)는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36)의 선단부(36b)로부터 방향 X의 한 쪽으로 돌출하는 작은 피스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각 제 2의 피스부(37)는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36)의 선단부(36b)에 늘어서는 폴드백 부분(folded back portion)(38)과, 제 1의 좁아지는 부분(narrowing portion)(39)과 아우터 리드(10)를 소정의 협지 방향(아우터 리드(10)의 직경 방향에 상당)으로 협지하기 위한 직선 형상의 협지부(40)와, 제 2의 좁아지는 부분(narrowing portion)(41)과, 선단부(430)를 포함하고 있다. 협지부(40)는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뻗고 있다.
한 쌍의 폴드백 부분(38)의 한 측면(외측면)에는 아우터 리드(10)의 장착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4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 5에 있어서, 한 쪽의 안내부(43)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안내부(43)는 제 1의 방향 D1로 나아감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한 쌍의 제 1의 좁아지는 부분(39)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가 한 쌍의 협지부(40)로부터 제 2의 방향 D2에 부적절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한 쌍의 제 1의 좁아지는 부분(39)은 한 쌍의 폴드백 부분(38)의 제 1의 방향 D1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협지부(40)에 대하여 제 1의 방향 D1과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제 1의 좁아지는 부분(39)간의 간격은 한 쌍의 안내부(43)간의 간격보다 좁게 되는 동시에,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보다 좁게 되어 있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가 서로 근접했을 때, 한 쌍의 제 1의 좁아지는 부분(39)간의 간격은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좁아진다.
한 쌍의 협지부(40)는 대응하는 아웃 리드(10)와 컨택트(15)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하면서,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의 제 1 및 제 2의 방향 D1, D2(방향 Z)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각 협지부(40)는 대응하는 제 1의 좁아지는 부분(39)에 대하여 제 1의 방향 D1측에 설치되어 있다. 각 협지부(40)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방향 Z(제 1의 방향 D1)를 따라서 뻗고 있고,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각 협지부(40) 중에서, 아우터 리드(10)와의 접촉 부분이 액정 패널(3)의 배면(3b)과 회로 기판(4)의 제 1의 면(4a)(도 1 참조)과의 사이에 서 접촉부(44)를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접촉부(44)는 방향 Y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서로의 사이에 아우터 리드(10)를 직경 방향에 탄성적으로 협지하고 있다.
다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한 쌍의 제 2의 좁아지는 부분(41)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가 한 쌍의 협지부(40)로부터 제 1의 방향 D1로 부적절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한 쌍의 제 2의 좁아지는 부분(41)은 한 쌍의 협지부(40)에 대하여 제 1의 방향 D1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제 2의 좁아지는 부분(41)간의 간격은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보다 좁게 되어 있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가 서로 근접했을 때에 있어서, 한 쌍의 제 2의 좁아지는 부분(41)간의 간격은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좁아진다.
각 선단부(430)는 대응하는 제 2의 좁아지는 부분(41)에 대하여 제 1의 방향 D1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선단부(430)는 제 1의 피스부(36)에 압압되는 것으로,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을 좁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협지부(40)에 의한 아우터 리드(10)의 협지력을 증가시킬 수 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세틀링(settling)에 의한 협지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선단부(430)는 방향 X에 따라 보았을 때에 있어서, 역 V자 형상을 하고 있고, 제 1의 방향 D1로 나아감에 따라서 서로의 간격이 넓혀지고 있다. 각 선단부(430)의 제 1의 방향 D1의 선단에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된 굴곡부가 설치되어 있고,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36)와 원활하게 걸어 맞춤할 수 있도 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조작 부재(16)는 한 쌍의 협지부(40)에 의한 아우터 리드(10)의 협지와, 이 협지의 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고, 하우징(14)의 삽입 오목부(20)에, 제 1 및 제 2의 방향 D1, D2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감입(嵌入)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확개 위치에 있는 조작 부재(16)를 도시하고 있고, 도 9에 있어서, 확개 해제 위치에 있는 조작 부재(16)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조작부(16)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여, 조작 부재(16)는 방향 Y에 관하여 대칭하여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다. 조작 부재(16)의 방향 Z에 직교하는 단면이 홈 형상을 이루고 있다.
조작 부재(16)는 방향 Y에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부분(45, 46)과, 이들 한 쌍의 부분(45, 46)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7)와, 연결부(47)에 설치된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를 갖고 있다.
한 쌍의 부분(45, 46)은 삽입 오목부(20)내에서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를 사이에 둔 양 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 쪽의 부분(45)은 한 쪽의 탄성 피스부(30)와, 주벽(21)의 다른 쪽의 제 2의 측부(24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의 부분(46)은 다른 쪽의 탄성 피스부(31)와, 주벽(21)의 한 쪽의 제 2의 측부(24a)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부분(45, 46)은 각각, 방향 Z에 긴 쪽으로 뻗고 있다.
한 쌍의 부분(45, 46)의 외측면(49)(도 8 및 도 12에 있어서, 한 쪽의 외측면(49)만을 도시)는 각각, 제 2의 방향 D2측의 선단이 삽입 오목부(20)의 개구의 주연(周緣)(50)에 대해 방향 Y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이 돌출한 부분이 손잡이부(knob)(51)로 되어 있다. 작업자가 손잡이부(51)를 잡아서 조작 부재(16)를 제 1 및 제 2의 방향 D1, D2으로 조작할 수 있다.
한 쌍의 외측면(49) 중에서, 손잡이부(51)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방향 Z로 뻗는 직선부(52)로 되어 있다. 각 직선부(52)에는 제 1의 볼록부(5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제 1의 볼록부(53)는 조작 부재(16)가 삽입 오목부(20)로부터 부적절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각 직선부(52)의 제 1의 방향 D1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의 볼록부(53)는 주벽(21)의 대응하는 관통공(27)에 감입되어 있고, 해당 대응하는 관통공(27)의 주연에 수용되는 것으로, 조작 부재(16)의 삽입 오목부(20)로서의 빠짐을 방지한다.
각 제 1의 볼록부(53)의 제 1의 방향 D1측의 선단이 경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조작 부재(16)를 삽입 오목부(20)에 감입될 때에, 이 경사 형상의 부분이 주벽(21)의 개구의 주연(50)에 원활하게 걸어 맞춤하면서, 각 제 1의 볼록부(53)를 대응하는 관통공(27)에 삽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컨택트(6)는 제 1 및 제 2의 홀딩 기구(55, 5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의 홀딩 기구(55)는 조작 부재(16)를 도 8에 나타내는 확개 위치에 홀딩한다.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 1의 홀딩 기구(55)는 조작 부재(16)의 각 직선부(52)에 설치된 제 1의 오목부(54)와, 주벽(21)의 한 쌍의 제 2의 측부(24)의 각각에 설치되어서 대응하는 제 1의 오목부(54)에 걸어 맞춤하는 걸어 맞춤부(5)를 포함하고 있다.
제 1의 오목부(54)는 제 1의 볼록부(53)와 제 2의 볼록부(58)와의 사이에 구획되어 있다. 제 2의 볼록부(58)는 각 직선부(52)에 설치되어서 대응하는 제 1의 볼록부(53)와 제 2의 방향 D2를 따라서 늘어서 있다. 걸어 맞춤부(57)는 주벽(21)의 한 쌍의 제 2의 측부(24)의 각각에 있어서, 관통공(27)에 대하여 제 2의 방향 D2측에 배치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16)의 확개 위치에 있어서 제 1의 오목부(54)에 피팅(fitting)시키고 있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 2의 홀딩 기구(56)는 조작 부재(16)를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확개 해제 위치에서 홀딩한다. 제 2의 홀딩 기구(56)는 조작 부재(16)의 각 직선부(52)에 설치된 제 2의 오목부(59)와 주벽(21)의 한 쌍의 제 2의 측부(24)의 각각 설치되어서 대응하는 제 2의 오목부(59)에 걸어 맞춤하는 걸어 맞춤부(5)를 포함하고 있다. 즉, 걸어 맞춤부(57)는 제 1의 홀딩 기구(5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동시에 제 2의 홀딩 기구(56)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 2의 오목부(59)는 제 2의 볼록부(58)와, 각 손잡이부(51) 중 주벽(21)측을 향하는 계단부(60)와의 사이에 구획되어 있다. 걸어 맞춤부(57)는 도 9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16)의 확개 해제 위치에 있어서 제 2의 오목부(59)에 피팅시키고 있다.
한 쌍의 부분(45, 46)의 내측면(61)은 방향 Y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고, 컨택트(15)의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를 사이에 두고 있다. 이 들 한 쌍의 부분(45, 46)의 내측면(61)은 제 2의 방향 D2의 선단이 경사형 캠(cam)면으로 되어 있고, 제 2의 방향 D2로 나아감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이 경사형 캠면에 의해서 가압부(62)가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압부(62)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36)의 선단부(36b)에 설치된 피가압부(63)를 가압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나는 조작 부재(16)의 확개 해제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가압부(62)가 대응하는 피가압부(63)에 당접하여 가압함으로써,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고, 그 결과 이들 협지부(40)에 의한 아우터 리드(10)의 협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세틀링에 의한 협지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압부(62)는 조작 부재(16)가 도 8에 나타내는 확개 위치로부터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할 때에, 대응하는 피가압부(63)에 당접하여 가압한다. 이로 인해, 대응하는 피가압부(63)를 제 1의 방향 D1로 누르는 힘이 제 1의 방향 D1과 직교하는 방향 Y의 힘으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가 서로 근접한다.
연결부(47)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향 X에 관한 한 쌍의 부분(45, 46)의 일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47)의 외측면(65)에는 방향 Z로 뻗는 홈(64)이 형성되어 있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벽(21)의 다른 쪽의 제 1의 측부(23b)의 안내부(26)에 피팅시키고 있다.
도 4 및 도 12를 참조하여, 조작 부재(16) 중에서, 손잡이부(51)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을 방향 Z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외형은 제 1의 방향 D1로 부터 본 삽입 오목부(20)의 개구의 주연(50)의 형상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삽입 오목부(20)는 제 1 및 제 2의 방향 D1, D2를 따라서,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와 확개 해제 위치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 홈으로 되어 있다.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여, 연결부(47)의 내측면(66) 및 한 쌍의 부분(45, 46)의 내측면(61)에 의해,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를 수용 가능한 공간(67)(한 쌍의 부분(45, 46)간의 공간)이 구획되어 있다.
이 공간(67)은 제 1의 방향 D1의 선단 및 제 2의 방향 D2의 선단의 각각이 외부에 개방되어 있고, 이들 개방되어 있는 곳이 한 쌍의 개방부(68, 69)로 되어 있다. 개방부(68)에 의해 공간(67)이 제 2의 방향 D2에 개방되어 있고,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공간(67)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개방부(68)로부터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공간(67)내에 삽입할 수 있다.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는 연결부(47)의 내측면(66)에 설치된 작은 피스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는 한 쌍의 탄성 부재(30, 31)의 대응하는 걸어 맞춤부(42)와 걸어 맞춤함으로써, 한 쌍의 제 1의 피스부(36)를 통하여 한 쌍의 제 2의 피스부(37)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을 확개한 기능을 완수한다. 이들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는 방향 X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걸어 맞춤부(42)에 끼워지고 있다.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는 각각, 제 1의 방향 D1의 선단에 설치된 제 1의 경사형 캠면(71)과, 제 2의 방향 D2의 선단에 설치된 제 2의 경사형 캠면(72)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제 1의 경사형 캠면(71)은 조작 부재(16)를 제 1의 방향 D1을 따라 삽입 오목부(20)내에 피팅될 때에, 한 쌍의 걸어 맞춤부(41)간의 간격을 넓히는 기능을 완수한다. 한 쌍의 경사형 캠면(71)간의 간격은 제 1의 방향 D1로 나아감에 따라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제 1의 경사형 캠면(71)은 조작 부재(16)가 제 1의 방향 D1로 변위할 때에 대응하는 걸어 맞춤부(42)에 당접한다. 이로 인해, 조작 부재(16)가 걸어 맞춤부(42)를 제 1의 방향 D1에 누르는 힘이 제 1의 방향 D1과 직교하는 방향 Y의 힘(한 쌍의 걸어 맞춤부(42)간의 간격을 넓히는 힘)으로 변환된다.
한 쌍의 제 2의 경사형 캠면(72)은 조작 부재(16)가 제 2의 방향 D2를 따라서 움직여서 확개 해제 위치에서부터 확개 위치로 변위할 때에, 대응하는 걸어 맞춤부(42)에 당접함으로써, 한 쌍의 걸어 맞춤부(42)간의 간격을 넓히는 기능을 완수한다. 한 쌍의 경사형 캠면(72)간의 간격은 제 2의 방향 D2로 나아감에 따라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제 2의 경사형 캠면(72)은 조작 부재(16)가 확개 위치로 변위할 때에 대응하는 걸어 맞춤부(42)에 당접한다. 이로 인해, 조작 부재(16)가 걸어 맞춤부(42)를 제 2의 방향 D2에 누르는 힘이 제 2의 방향 D2와 직교하는 방향 Y의 힘(한 쌍의 걸어 맞춤부(42)간의 간격을 넓히는 힘)으로 변환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각 확개 조작부(48)는 제 1의 규제부(73)를 포함하고 있다. 각 제 1의 규제부(73)는 조작 부재(16)가 확개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대응하는 탄성 피스부(30, 31)의 제 1의 피스부(36)가 방향 X(냉음극관(5)의 긴 쪽 방향 L: 아우터 리드(10)의 축 방향을 따른 방향)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16)의 확개 해제 위치에 있어서, 각 제 1의 규제부(73)는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36)의 기단부(36a)와 서로 대향하고 있고, 해당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36)가 방향 X의 한 쪽(도 11에 있어서, 지면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또, 각 확개 조작부(48)는 제 2의 규제부(74)를 포함하고 있다. 각 제 2의 규제부(74)는 조작 부재(16)가 확개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대응하는 탄성 부재(30, 31)의 제 2의 피스부(37)가 방향 X(아우터 리드(10)의 축 방향을 따른 방향)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 부재(16)의 확개 해제 위치에 있어서, 각 제 2의 규제부(74)는 대응하는 제 2의 피스부(37)의 선단부(430)와 서로 대향하고 있고, 해당 대응하는 제 2의 피스부(37)가 방향 X의 한 쪽(도 11에 있어서, 지면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주벽(21)의 한 쪽의 제 1의 측부(23a)는 제 3의 규제부(75)를 포함하고 있다. 제 3의 규제부(75)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제 1의 피스부(36)의 각각이 방향 X(아우터 리드(10)의 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제 3의 규제부(75)는 각 제 1의 피스부(36)와 서로 대향하고 있고, 이러한 제 1의 피스부(36)가 방향 X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조작 부재(16)의 확개 위치는 아우터 리드(10) 를 무삽입력으로 한 쌍의 협지부(40)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이들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을 확개 조작부(48)에 의해서 확개하기 위한 위치이다. 확개 해제 위치는 상기 확개를 해제하기 위한 위치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이상의 개략적인 구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냉음극관(5)(아우터 리드(10))의 설치는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우선 조작 부재(16)를 도 10에 나타내는 확개 위치에 홀딩한다. 조작 부재(16)의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는 대응하는 탄성 부재(30, 31)의 걸어 맞춤부(42)에 걸어 맞춤하고, 한 쌍의 제 2의 피스부(37)간의 간격이 넓혀진다. 이 때,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은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넓게 되는 동시에, 한 쌍의 제 1의 좁아지는 부분(39)간의 간격은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넓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냉음극관(5)을 손(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파지(把持)하고, 냉음극관(5)의 아우터 리드(10)를 조작 부재(16)와 방향 Z로 대향시킨다. 그리고, 냉음극관(5)을 장착 방향인 제 1의 방향 D1로 이동시키고, 냉음극관(5)의 중간부를 클램프 부재(11)의 홀딩부(13)에 감합된다. 이로 인해, 클램프 부재(11)에 의해 냉음극관(5)의 중간부가 홀딩되는 동시에, 냉음극관(5)의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가 아웃라인(outline)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오목부(20)내로 이동하여 한 쌍의 협지부(40)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에, 조작 부재(16)를 제 1의 방향 D1로 움직이고, 조작 부재(16)를 도 10에 나타내는 확개 위치로부터 도 11에 나타내는 확개 해제 위치에 변위시킨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에 의한 한 쌍의 걸어 맞춤부(42)의 걸어 맞춤 이 해제되고, 그 결과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탄성력에 의한 한 쌍의 협지부(40)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접촉부(44)와 협지한다. 이로 인해, 컨택트(15)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된다. 또,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좁아지는 부분(39, 41)간의 간격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좁아진다.
또, 조작 부재(16)가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함으로써, 한 쌍의 가압부(62)가 대응하는 피가압부(63)를 화살표 F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한다. 이로 인해, 이러한 피가압부(63)가 서로 근접하도록 방향 Y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제 1의 피스부(36)의 간격이 좁혀지고, 그 결과 한 쌍의 제 2 피스부(37)에 협지부(40)간의 거리를 좁히도록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협지부(40)에 의한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의 협지력이 높아진다.
또, 조작 부재(16)가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함으로써, 한 쌍의 제 1의 피스부(36)의 기단부(36a)가 대응하는 제 2의 피스부(37)의 선단부(430)를 화살표 F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한다. 이로 인해, 이러한 선단부(430)가 서로 근접하도록 방향 Y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선단부(430)간의 간격이 좁혀지고, 그 결과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거리를 좁히도록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협지부(40)에 의한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의 협지력이 더욱 높아진다.
한편, 아우터 리드(10)를 컨택트(15)로부터 떼어내려면, 우선 조작 부재(16)를 확개 해제 위치로부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의 방향 D2를 따라서 확개 위치로 변위시킨다.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로 변위시킬 때,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의 제 2의 경사형 캠면(72)은 대응하는 걸어 맞춤부(42)에 걸어 맞춤하여 이들 한 쌍의 걸어 맞춤부(42)간의 거리를 넓히고, 이것에 수반하여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이 넓혀진다. 한 쌍의 협지부(40)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된다.
다음에, 도 2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음극관(5)을 손 등으로 파지하여 냉음극관(5)을 클램프 부재(11)의 홀딩부(13)로부터 떼내고, 제 2의 방향 D2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냉음극관(5)의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는 한 쌍의 협지부(40)로부터 한 쌍의 제 1의 좁아지는 부분(39) 사이 및 한 쌍의 안내부(43) 사이를 통과하여 삽입 오목부(20)로부터 취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협지부로서의 협지부(40)는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것으로, 소정의 접압(接壓)을 갖고, 이 아우터 리드(10)와 접촉한다. 이로 인해, 컨택트(15)와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에 의해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으로, 이러한 협지부(40) 사이에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그 결과 커넥터(6)와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냉음극관(5)의 한 쌍의 아우터 리드(10)의 각각에 커넥터(6)를 접속하고, 이 커넥터(6)를 회로 기판(4)에 장착할 때에는 우선, 회로 기판(4)에 한 쌍의 커넥터(6)를 각각 단품(單品) 상태로 장착한다. 그 후, 냉음극관(5)의 한 쌍의 아우터 리드(10)를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대응하는 커넥터(6) 의 삽입 오목부(20)에 통과하고, 이들 한 쌍의 아우터 리드(10)를 대응하는 한 쌍의 협지부(40)에 각각 협지시킬 수 있다. 즉, 커넥터(6)를 단품 상태로 회로 기판(4)에 장착하고, 그 후 커넥터(6)와 아우터 리드(10)를 접속할 수 있다.
또, 조작 부재(16)를 제 1의 방향 D1로 움직이고, 확개 위치로부터 확개하여 해제 위치로 변위시키는 간단하고 쉬운 동작으로, 컨택트(15)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접속을 행하므로, 컨택트(15)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접속 작업을,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화할 수 있다.
또,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로 변위시켜서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으로, 이러한 협지부(40)부간에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무삽입력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아우터 리드(10)의 삽입 후에 조작 부재(16)를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시키고,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에 의한 확개를 해제함으로써,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탄성력에 의해 아우터 리드(10)를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고,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제 2의 피스부(37)를,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36)의 선단(36b)으로부터 되접어 꺾여서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뻗도록 하는 것으로, 제 2의 피스부(37)의 가요성을 높게 할 수 있고, 아우터 리드(10)를 협지부(40) 사이에 삽입할 때에, 아우터 리드(10)에 과대한 반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는 각각 대응하는 탄성 피스부(30, 31)의 제 1 의 피스부(36)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42)와 걸어 맞춤함으로써, 제 1의 피스부(36)를 통하여 제 2의 피스부(37)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을 확개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각각을 탄성 변형시켜서 협지부(40)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한 쪽만을 탄성 변형시키는 것으로 협지부(40)간의 간격을 넓히는 경우에 비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피스부의 탄성 변형량(부하)을 줄일 수 있다. 또, 협지부(40)간의 간격을 넓히는데 제 2의 피스부(37)를 탄성 변형시키기 않으므로, 제 2의 피스부(37)에 세틀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의 각각에, 대응하는 걸어 맞춤부(42)에 당접하는 제 2의 경사형 캠면(72)이 형성되어 있다. V의 제 2의 경사형 캠면(72)은 조작 부재(16)가 확개 위치로 변위할 때에 대응하는 걸어 맞춤부(42)에 당접한다. 이로 인해, 걸어 맞춤부(42)를 제 2의 방향 D2에 누르는 힘이 방향 Y의 힘으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조작 부재(16)를 제 2의 방향 D2로 이동시키는 힘을,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을 넓히는 힘으로 변환할 수 있다. 조작 부재(16)를 이동시켰을 때에,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을 확실하게 넓힐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의 각각에 제 1의 규제부(73)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 쌍의 제 1의 피스부(36)가 방향 X의 한 쪽으로 부적절하게 움직여서 여분의 부하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주벽(21)에 제 3의 규제부(75)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 쌍의 제 1의 피스부(36)가 방향 X의 다른 쪽으로 부적절하게 움직여서 여분의 부하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의 각각에 제 2의 규제부(74)를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 쌍의 제 2의 피스부(37)가 방향 X의 한 쪽으로 부적절하게 움직여서 여분의 부하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들 제 2의 피스부(37)가 방향 X의 한 쪽으로 부적절하게 움직여서 아우터 리드(10)와 대응하는 협지부(40)와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 부재(16)에 한 쌍의 가압부(62)를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 쌍의 협지부(40)가 아우터 리드(10)를 협지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협지부(40)와 아우터 리드(10)와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각 가압부(62)가 각각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36)에 설치된 피가압부(63)를 가압함으로써, 각 가압부(62)로부터의 힘이 대응하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또, 각 가압부(62)로부터의 가압력을,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36)를 통하여 제 2의 피스부(37)에 전하는 것으로, 제 2의 피스부(37)(아우터 리드(10))에 과대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작 부재(16)의 한 쌍의 부분(45, 46)에 각각 가압부(62)를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 쌍의 가압부(62)에 의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를 사이에 둘 수 있고, 그 결과 이러한 탄성 피스부(30, 31)에 가압력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가압부(62)의 각각을 경사형 캠면으로 하고 있다. 이들 경사형 캠면은 조작 부재(16)가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할 때에 대응하는 피가압부(63)에 당접하고, 이로 인해 각 가압부(62)가 대응하는 피가압부(63)를 제 1의 방향 D1에 누르는 힘이 방향 Y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조작 부재(16)를 확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을,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을 좁히는 힘으로 변환할 수 있다. 조작 부재(16)를 이동시켰을 때에, 한 쌍의 협지부(40)간의 간격을 확실하게 좁힐 수 있다.
또, 지극히 작은 직경에서 변형하기 쉬운 아우터 리드(10)를, 한 쌍의 협지부(40) 사이에 가벼운 힘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그 결과 아우터 리드(10)에 무리한 힘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우터 리드(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 부재(16)가 확개 위치와 확개 해제 위치와의 사이로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14)에 홀딩되어 있다. 하우징(14)에서 조작 부재(16)를 홀딩하면서,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와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또, 삽입 오목부(20)를 안내 홈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삽입 오목부(20)를 따라서 조작 부재(16)를 이동시킨다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동작으로, 조작부(16)를 확개 위치와 확개 해제 위치로 확실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또, 조작 부재(16)에 개방부(68)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개방부(68)를 통과하여 한 쌍의 부분(45, 46)간의 공간(67)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협지부(40)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에 접촉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나, 한 쌍의 가압부(62)가 한 쌍의 피가압부(63)를 가압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에 대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제 1의 홀딩 기구(55)에 의해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에 확실하게 홀 딩할 수 있다.
또, 제 2의 홀딩 기구(56)에 의해 조작 부재(16)를 확개 해제 위치에 확실하게 홀딩할 수 있다.
또, 회로 기판(4)의 제 1의 면(4a)상에 냉음극관(5)을 배치하는 동시에,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에 인버터 회로를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부재를 회로 기판(4)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로 기판(4)의 평면 방향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공간 절약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냉음극관(5)과 인버터 회로(7)와의 사이에 회로 기판(4)이 배치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냉음극관(5)과 인버터 회로와의 사이의 절연층으로서 회로 기판(4)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냉음극관(5)에 대신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전극 형광관(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5A)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외부 전극 형광관(5A)의 한 쌍의 단부(9A)(도 13에 있어서, 한 쪽의 단부(9A)만 도시)의 주위면의 각각에 단자로서의 전극층(10A)이 피복되어 있다.
이 경우, 전극층(10A)을, 한 쌍 협지부(40) 사이에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전극층(10A)에 무리한 힘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극층(10A)이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와 스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제 2의 피스부(37)의 선단부(430)가 없어도 된다. 또, 걸어 맞춤부(42)에, 확개 조작부(48)의 제 1 및 제 2의 경사형 캠면(71, 72)과 동일한 경사 형 캠면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확개 조작부(48)에는 제 1 및 제 2의 경사형 캠면(71, 72)에 대신에, 방향 Z에 곧은 직선 형상의 면을 설치해도 된다.
또, 한 쌍의 가압부(62) 및 대응하는 한 쌍의 피가압부(63)가 없어도 된다. 또, 한 쌍의 제 1의 좁아지는 부분(39)이 없어도 되고, 한 쌍의 제 2의 좁아지는 부분(41)이 없어도 되고, 한 쌍의 안내부(43)가 없어도 된다. 또, 한 쌍의 확개 조작부(48) 중 어느 한 쪽이 없어도 된다. 또, 피가압부(63)에 가압부(62)와 동일한 경사형 캠면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가압부(62)를 방향 Z에 곧은 직선 형상의 면으로 해도 된다.
또, 조작 부재(16)에 대신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16A)를 이용해도 된다. 조작 부재(16A)는 한 쌍의 부분(45, 46)간의 공간(67)이 제 2의 방향 D2으로 개방하지 않게 하는 개방 저지부(76)를 갖고 있다.
개방 저지부(76)는 한 쌍의 부분(45, 46)과 단일의 부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 저지부(76)는 한 쌍의 부분(45, 46)의 각각의 제 2의 방향 D2에 관한 선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개방 저지부(76)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 쌍의 부분(45, 46)간의 공간(67)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 저지부(76)의 부분을 투명한 재료로 형성하면, 한 쌍의 부분(45, 46)간의 공간을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 개방 저지부(76)는 한 쌍의 부분(45, 46)과 별체로 형성되고, 힌지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개방 저지부(76)를 열어서 한 쌍의 부분(45, 46)간의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컨택트(15)에 대신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컨택트(15A)를 이용해도 된 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A, 31A)의 각각 있어서, 제 1의 피스부(36a) 자체에 걸어 맞춤부(42A)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제 1의 피스부(36a)의 중간부의 일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팽출(膨出)되고, 이 팽출한 부분이 걸어 맞춤부(42A)로 된다. 확개 조작부(48A)는 대응하는 탄성 피스부(30A, 31A)의 내측에 배치된다.
또, 컨택트(15)에 대신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컨택트(15B)를 이용해도 된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B, 31B)는 제 2의 방향 D2를 따라 뻗는 제 2의 피스부(37B)와, 이 제 2의 피스부(37B)의 제 2의 방향 D2의 선단으로부터 되접어 꺾여서 제 1의 방향 D1을 따라 뻗는 제 1의 피스부(36B)를 각각 포함한다. 한 쌍의 제 2의 피스부(37B)는 서로 상대적으로 근처에 배치되고, 한 쌍의 제 1의 피스부(36B)는 서로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어 있다. 각 제 2의 피스부(37B)에 각각 협지부(40)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의 규제부(73)가 없어도 되고, 제 2의 규제부(74)가 없어도 좋고, 제 3의 규제부(75)가 없어도 된다. 하나의 냉음극관(5)에 설치되는 클램프 부재(11)의 갯수는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추가로, 커넥터(6)를, 엣지 라이트(edge light)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를 형광관 이외의 축 형상의 단자와의 접속에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연선(撚線)을 포함하는 다극 케이블의 단자와의 접속에 이용할 수 있다. 다극 케이블인 경우, 단자의 직경이 큰 것으로 되고, 컨택트와의 접압(接壓)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접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 시에 컨택트에 무삽입력으로 장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이용하는 효과는 뛰어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형상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조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위와 그 균등한 범위로 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은 2005 년 8 월 12 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원 2005-234794호에 대응하고 있고, 이 출원의 전개는 여기에 인용에 의해 편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용의 형광관 등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형광관의 단부의 단자를, 형광관의 직경 방향인 장착 방향을 따라서, 컨택트의 한 쌍의 탄성 피스(piece)부의 서로 대향하는 협지부 사이에 무삽입력으로 삽입하는 삽입 공정과,
    삽입 공정으로 삽입된 상기 단자를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협지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의 장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공정에서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로서의 직선 형상부 사이에, 상기 단자가 탄성적으로 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의 장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공정에서는 컨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의 조작에 따라서,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 사이에 상기 단자가 탄성적으로 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의 장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공정에서는 컨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변위시키는 조작에 따라서,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 사이에 상기 단자가 탄성적으로 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의 장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공정에서는 컨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상기 장착 방향과는 평행한 방향이며 또한 상기 장착 방향과 동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에 따라서,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 사이에 상기 단자가 탄성적으로 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의 장착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공정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에 따라서, 한 쌍의 협지부 사이의 간격을 좁히도록 조작 부재의 가압부에 의해 한 쌍의 탄성 피스부가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의 장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정 이전에,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확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의 장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 공정에서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 사이의 간격이 강제적 으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의 장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 공정에서는 컨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의 확개 조작부를 변위시키는 조작에 따라서,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 사이의 간격이 강제적으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의 장착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관은 냉음극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음극관의 단부로부터 노출하는 아우터 리드(outer le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의 장착 방법.
KR1020070038041A 2005-08-12 2007-04-18 형광관의 장착 방법 KR100887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34794 2005-08-12
JP2005234794A JP4728065B2 (ja) 2005-08-12 2005-08-12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202A Division KR100887477B1 (ko) 2005-08-12 2006-08-11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022A KR20070050022A (ko) 2007-05-14
KR100887480B1 true KR100887480B1 (ko) 2009-03-10

Family

ID=3745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041A KR100887480B1 (ko) 2005-08-12 2007-04-18 형광관의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344397B2 (ko)
EP (1) EP1753088B1 (ko)
JP (1) JP4728065B2 (ko)
KR (1) KR100887480B1 (ko)
CN (1) CN1913233B (ko)
TW (1) TWI3760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477B1 (ko) 2005-08-12 2009-03-10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JP4621092B2 (ja) 2005-08-12 2011-01-2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蛍光管の取付構造
JP4728065B2 (ja) 2005-08-12 2011-07-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101193686B1 (ko) * 2005-08-29 2012-10-22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JP4753705B2 (ja) * 2005-12-16 2011-08-24 日本端子株式会社 冷陰極管用コネクタ
JP4509054B2 (ja) * 2006-03-20 2010-07-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複合コネクタ、複合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ホルダ、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方法
JP4684926B2 (ja) * 2006-03-20 2011-05-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複合コンタクト
KR101294012B1 (ko) 2006-04-03 201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홀더, 전원공급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DE102006017817B4 (de) * 2006-04-13 2010-06-24 Vossloh-Schwabe Deutschland Gmbh Fassung für ein elektrisches Betriebsmittel, insbesondere eine Entladungslampe
KR101365052B1 (ko) * 2006-08-11 201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어셈블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 장치
KR100758352B1 (ko) * 2006-09-07 2007-09-1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백라이트 커넥터
KR101208726B1 (ko) * 2006-09-28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와램프 모듈의 조립방법
TW200819842A (en) * 2006-10-18 2008-05-01 Darfon Elec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and the supporting device thereof
KR101234100B1 (ko) * 2006-11-07 2013-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소켓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JP4252086B2 (ja) * 2006-11-17 2009-04-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494240B1 (en) * 2006-12-12 2009-02-24 Tung Hsiung Lin Lighting fixture assembly
CN201000988Y (zh) * 2006-12-18 2008-01-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KR20080063981A (ko) * 2007-01-03 2008-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표시 장치
KR100873494B1 (ko) * 2007-02-27 2008-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백라이트 형광등 고정유닛.
KR100902072B1 (ko) * 2007-02-27 2009-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형광등 고정유닛.
US8223292B2 (en) 2007-05-17 2012-07-17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for use with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EP1995833B1 (en) * 2007-05-22 2015-07-08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JP4298766B2 (ja) * 2007-06-21 2009-07-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組立体とそ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KR101380305B1 (ko) * 2007-06-22 2014-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975910B1 (ko) * 2007-07-02 2010-08-13 희성전자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장치의 전원접속장치
EP2012176A1 (en) * 2007-07-02 2009-01-07 Hee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nection apparatus of direct type backlight unit
KR100919949B1 (ko) * 2007-08-10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램프 고정 소켓
KR100944011B1 (ko) 2007-11-01 2010-02-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커넥터
JP2009170135A (ja) * 2008-01-11 200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ランプユニット、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1971439A (zh) * 2008-03-13 2011-02-09 夏普株式会社 灯连接器、背光源装置和液晶显示装置
JP5172471B2 (ja) * 2008-04-04 2013-03-2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101485584B1 (ko) 2008-08-06 2015-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TWI387699B (zh) * 2008-10-28 2013-03-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燈座
JP4963130B2 (ja) * 2010-01-12 2012-06-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120293718A1 (en) * 2010-01-29 2012-11-22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CN201927740U (zh) * 2010-06-14 2011-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灯管连接器
CN102207256B (zh) * 2011-06-29 2013-04-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Led照明装置
CN105578911B (zh) * 2013-09-25 2019-04-12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雾化组件及电子烟
DE202014101428U1 (de) * 2014-03-26 2014-04-15 Bals Elektrotechnik Gmbh & Co. Kg Kontaktbuchse für eine Steckdose oder Kupplung
EP3396789B1 (en) * 2017-04-27 2021-03-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airbag restraint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1295A (en) * 1973-03-12 1974-11-26 Bruce Ind Inc Self-locking lampholder
JP2001076529A (ja) 1999-09-01 2001-03-23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電源供給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3279984A (ja) 2002-03-26 2003-10-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液晶パネル用バックライト接続構造
JP2005259370A (ja) 2004-03-09 2005-09-22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0680A (en) * 1929-11-25 1932-12-13 Harase Hanzaburo Gas and vacuum tube electrode socket
US2441456A (en) * 1945-01-22 1948-05-11 Gen Electric Lamp holder
US2729799A (en) * 1954-10-29 1956-01-03 Gen Electric Fluorescent lampholder with quickconnect terminals
JPS4946448Y1 (ko) * 1969-12-18 1974-12-19
JPS5597994A (en) * 1979-01-18 1980-07-25 Omori Hirotake Ruler with arbitrary rate of diminishing scale
JPS58164191U (ja) 1982-04-26 1983-11-01 株式会社明電舎 コネクタ装置
DE3437558A1 (de) * 1984-10-12 1986-04-17 Siemens Ag Leuchte mit seitenwandungen und daran befestigtem dach
JPS6214684U (ko) 1985-07-09 1987-01-28
DE3537601A1 (de) * 1985-10-23 1987-04-23 Diehl Gmbh & Co Lampenfassung fuer leuchtstofflampen
JPH0277886U (ko) 1988-12-01 1990-06-14
JPH0748073B2 (ja) * 1990-07-13 1995-05-24 株式会社フジクラ 電力ケーブル線路事故点検出システムにおける検出用光ファイバ布設構造
JPH0472582U (ko) * 1990-11-06 1992-06-25
US5261831A (en) * 1992-10-09 1993-11-16 Gulton Industries, Inc. Fluorescent lamp socket
JP3112228B2 (ja) 1994-06-17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ターミナル用の短絡部材
JP3118699B2 (ja) 1997-04-16 2000-1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液晶用バックライトソケット
JP2001043715A (ja) 1999-07-30 2001-02-16 Howa Bussan Kk 平面照明装置
JP2001250605A (ja) 2000-03-06 2001-09-14 Japan Automat Mach Co Ltd 冷陰極管用端子及びそれを用いて冷陰極管の電極に電線を接続する方法
JP3786403B2 (ja) 2001-06-07 2006-06-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組立体
FR2827433A1 (fr) * 2001-07-10 2003-01-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necteur d'alimentation d'une lampe a decharge
KR100731304B1 (ko) * 2001-12-19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 이를 갖는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액정표시장치
KR20040000776A (ko) * 2002-06-25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고정 홀더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JP3688684B2 (ja) * 2003-02-27 2005-08-31 株式会社Sak 冷陰極管用電線接続具
JP2004349040A (ja) * 2003-05-21 2004-12-09 Nec Lcd Technologies Ltd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6244749A (ja) * 2005-03-01 2006-09-14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バックライト用コネクタ
JP2006344602A (ja) * 2005-06-09 2006-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ランプ、ランプホルダー、電源供給モジュール、そ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JP4728065B2 (ja) 2005-08-12 2011-07-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1295A (en) * 1973-03-12 1974-11-26 Bruce Ind Inc Self-locking lampholder
JP2001076529A (ja) 1999-09-01 2001-03-23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電源供給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3279984A (ja) 2002-03-26 2003-10-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液晶パネル用バックライト接続構造
JP2005259370A (ja) 2004-03-09 2005-09-22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44397B2 (en) 2008-03-18
EP1753088B1 (en) 2012-04-11
CN1913233A (zh) 2007-02-14
CN1913233B (zh) 2011-07-20
KR20070050022A (ko) 2007-05-14
TW200719538A (en) 2007-05-16
EP1753088A2 (en) 2007-02-14
US20070037426A1 (en) 2007-02-15
JP4728065B2 (ja) 2011-07-20
US20080113540A1 (en) 2008-05-15
US7540750B2 (en) 2009-06-02
EP1753088A3 (en) 2007-06-27
TWI376059B (en) 2012-11-01
JP2007048715A (ja)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480B1 (ko) 형광관의 장착 방법
KR100790017B1 (ko) 전기 커넥터
KR101193686B1 (ko)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JP4563975B2 (ja) 蛍光管の取付構造
JP4509054B2 (ja) 複合コネクタ、複合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ホルダ、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方法
JP4563974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US20080207063A1 (en)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connector
EP1760395B1 (en) Fluorescent tube attaching structure
JP4684926B2 (ja) 複合コンタクト
KR100887477B1 (ko)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843005B1 (ko) 형광관의 장착 구조
JP2007184293A (ja) 蛍光管の取付方法
JP4616299B2 (ja) 電気コネクタ
JP4495230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