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686B1 -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686B1
KR101193686B1 KR1020060081112A KR20060081112A KR101193686B1 KR 101193686 B1 KR101193686 B1 KR 101193686B1 KR 1020060081112 A KR1020060081112 A KR 1020060081112A KR 20060081112 A KR20060081112 A KR 20060081112A KR 101193686 B1 KR101193686 B1 KR 101193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ortions
operation member
terminal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047A (ko
Inventor
가츠노리 미야조노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83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wedge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6)가 하우징(housing)(14)에 의해 홀딩된 컨택트(15)와, 컨택트(15)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16:16A)를 구비한다. 하우징(14)은 축 형상의 단자(10; 10A)가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요(凹)부(20)를 포함한다. 컨택트(15)의 한 쌍의 탄성 피스(piece)부(30, 31)가 단자(10; 10A)를 상기 제 1의 방향 D1과 직교하는 소정의 협지 방향 D3에 협지(clamping)하기 위한 협지부(41)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 1의 방향은 단자(10; 10A)의 직경 방향을 따른다. 조작 부재(16; 16A)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협지부(41)간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확개(擴開) 조작부(4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ELECTRICAL CONNECT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2는 액정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V-IV 선에 따른 주요부의 단면도.
도 5는 액정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며, 회로 기판의 제 2의 면측으로부터 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컨택트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컨택트의 우측면도.
도 7a는 도 3의 VIIA-VII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VIIB-VII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2의 VIII-VIII 선에 따른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컨택트가 확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9는 도 2의 VIII-VIII 선에 따른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컨택트의 확개가 해제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0a는 도 8의 XA-X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b는 도 9의 XB-X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주요부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주요부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주요부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의 전기 커넥터의 사용 공정을 차례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b에 계속하여 전기 커넥터의 사용 공정을 차례로 나타내는 모식도.
본 발명은 형광관 등을 장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식의 텔레비젼이나 모니터의 백라이트로서 이용되는 냉음극관(CCFL : Cold Cathod Fluorescent Lamp) 등의 형광관의 단자의 접속 구조로서 하기의 문헌 1, 2가 제안되어 있다.
문헌 1 : 일본 특개 2001-250605호 공보(공개일 : 2001 년 9 월 14 일)
문헌 2 : 일본 특개 2004-259645호 공보(공개일 : 2004 년 9 월 16 일)
문헌 1, 2에서는 전선의 일단에 고정된 접속 피팅(fitting)이 냉음극관의 단자(전극)에 땜납 부착되어 있다. 전선의 타단은 커넥터를 통하여 인버터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로부터의 전력은 커넥터 및 전선을 통하여 냉음극관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문헌 1, 2에서는 땜납 불량에 기인하여, 단자와 접속 피팅과의 사이에, 도통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땜납 작업에는 수고가 따른다. 특히, 냉음극관은 직경이 수 mm 정도의 가는(thin) 형상을 하고 있고, 단자에 이르러서는 보다 가는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취급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땜납 작업에 큰 수고가 따른다.
동일한 과제는 냉음극관에 한정하지 않고, 외부 전극 형광관(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등의 다른 형광관을 이용하는 경우나, 형광관 이외의 축 형상의 단자를 갖는 것에 이용하는 경우에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 형상의 단자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의 전기 커넥터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홀딩된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축 형상의 단자가 소정의 제1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요(凹)부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 요(凹)부에 노출한다. 각 상기 탄성 피스부는 기단(基端)부 및 선단부를 갖는 캔틸레버(cantilevered) 형상을 이룬다.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는 서로의 선단부간의 간격이 서로의 기단부간의 간격보다 좁게 되도록 상기 제 1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는 상기 단자를 상기 제 1의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협지 방향으로 협지하기 위한 협지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 1의 방향은 단자의 직경 방향을 따르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간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확개 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양상에 의하면, 조작 부재의 확개 조작부에 의해서, 컨택트의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간의 간격이 넓혀진 상태로, 협지부간에 단자를 그 직경 방향을 따라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 다음에, 확개 조작부에 의한 확개를 해제함으로써, 협지부간에 단자를 탄성적으로 협지한다. 이로 인해, 컨택트와 단자와의 사이에 소정의 접촉 압력이 생기고, 그 결과 컨택트와 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액정 표시 장치(1)는 예를 들면 텔레비젼이나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1)는 케이싱(casing)(2)과, 액정 패널(3)과, 회로 기판(4) 과, 복수의 형광관으로서의 냉음극관(5)과, 전기 커넥터(6)(이하, 간단히 커넥터라고 함)와, 인버터 회로(7)를 구비하고 있다.
액정 패널(3)은 비자발광식의 표시 패널이며, 케이싱(2)의 정면의 개구에 장착되어 있다. 액정 패널(3)의 표면(3a)은 케이싱(2)의 전방(前方)을 향하고 있고, 배면(3b)은 케이싱(2)의 후방(後方)을 향하고 있다.
회로 기판(4)은 액정 패널(3)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케이싱(2)에 고정된 판 형상의 부재이고, 액정 패널(3)의 배면(3b)에 대향하는 제 1의 면(4a)과, 제 1의 면(4a)과 반대측인 제 2의 면(4b)을 포함하고 있다.
냉음극관(5)은 액정 패널(3)의 백라이트이며, 액정 패널(3)의 배면(3b)과 회로 기판(4)의 제 1의 면(4a)과의 사이에 복수(도 1에 있어서, 2 개의 냉음극관(5)을 나타냄) 설치되어 있다. 냉음극관(5)의 수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3)인 크기 1인치당 2 개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냉음극관(5)의 긴 쪽 방향 L은 방향 X(케이싱(2)의 좌우 방향에 상당함 : 도 1에서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를 따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각 냉음극관(5)은 방향 Y(케이싱(2)의 상하 방향에 상당)를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냉음극관(5)은 액정 패널(3)의 배면(3b)과 평행하다. 각 냉음극관(5)과 액정 패널(3)은 방향 Z(케이싱(2)의 전후 방향에 상당)으로 소정 거리 이격(離隔)되어 있다. 각 냉음극관(5)은 액정 패널(3)에 후방으로부터 광을 조사(照射)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6)는 냉음극관(5)과 회로 기판(4)(나아가서는 인버터 회로(7)) 와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 커넥터(6)는 액정 패널(3)의 배면(3b)과 회로 기판(4)의 제 1의 면(4a)과의 사이에서, 각 음극관(5)의 한 쌍의 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다. 각 커넥터(6)는 회로 기판(4)에 장착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7)는 냉음극관(5)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에 장착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7)와 각 냉음극관(5)은 회로 기판(4) 및 대응하는 커넥터(6)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냉음극관(5)에 관한 장착 구조는 각각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1 개의 냉음극관(5)의 장착 구조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냉음극관(5)은 방향 X를 따라 곧게 뻗는 통 형상의 본체부(8)와, 본체부(8)의 한 쌍의 단부(9, 9)의 각각에 설치된 한 쌍의 단자로서의 아우터 리드(outer lead)(10, 10)(전극)를 포함하고 있다. 각 단자로서의 아우터 리드(10)는 본체부(8)의 대응하는 단부(9)로부터 긴 쪽 방향 L을 따라서 돌출하고 있다.
본체부(8)는 예를 들면 직경이 수 mm ~ 수십 mm 정도의 유리제의 부재이다. 한 쌍의 아우터 리드(10, 10)는 연철(軟鐵) 등의 금속제인 축 형상의 도전 부재이고, 대응하는 단부(9)로부터 X 방향으로 각각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아우터 리드(10)의 직경은 예를 들면 1mm 정도, 길이는 수 mm 정도이다.
냉음극관(5)을 홀딩하여 이 냉음극관(5)의 자중(自重)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clamp) 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11)는 냉음극관(5)마다 하나 또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11)의 수는 냉음극 관(5)의 길이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클램프 부재(11)는 X 방향에 관하여 냉음극관(5)의 본체부(8)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클램프 부재(11)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성형품이며, 지주(支柱)(12)와, 원호 형상의 홀딩부(13)를 포함하고 있다. 지주(12)는 회로 기판(4)의 제 1의 면(4a)에 고정되어 있고, Z 방향으로 뻗고 있다. 홀딩부(13)는 냉음극관(5)의 본체부(8)의 상기 중간부를, 냉음극관(5)의 직경 방향(도 2에 있어서, Y 방향 및 Z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홀딩한다.
이 홀딩부(13)는 냉음극관(5)의 본체부(8)의 원주 방향의 반보다 약간 긴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홀딩부(13)의 원주 방향의 일부에는 냉음극관(5)의 본체부(8)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3a)에는 커넥터(6)에 냉음극관(5)의 직경 방향에 상당하는 장착 방향으로서의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냉음극관(5)의 본체부(8)의 긴 쪽 방향 L의 중간부가 삽입되어서 홀딩된다. 개구부(13a)는 제 1의 방향 D1의 반대 방향인 제 2의 방향 D2(커넥터(6)로부터 냉음극관(5)을 떼어내는 방향에 상당)로 개방되어 있다.
커넥터(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음극관(5)의 본체부(8)의 한 쌍의 단부(9, 9)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각 커넥터(6)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커넥터(6)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커넥터(6)는 각 X, Y, Z 방향의 길이가 각각 10~15mm 정도이며, 하우징(14)과, 이 하우징(14)에 의해 홀딩된 컨택트(15)와, 이 컨택트(15)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16)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4)은 합성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며, 주체(main body)부(17)와, 주체부(17)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좌(座)부(18)를 갖고 있다.
주체부(17)는 대략적으로 박스 형상을 이루고 있다. 회로 기판(4) 중에서, 커넥터(6)가 배치되어 있는 곳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주체부(17)는 이 관통공을 삽통(揷通)하여 제 1의 면(4a)으로부터 액정 패널(3)의 배면(3b)(도 1 참조)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 2의 방향 D2에 관한 주체부(17)의 단부에는 단면 U자 형상 내지 단면 그루브(groove) 형상을 이루는 도입 그루브(19)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 그루브(19)에는 냉음극관(5)의 대응하는 단부(9)가 도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입 그루브(19)에 도입된 냉음극관(5)의 단부(9)는 도입 그루브(19)의 내면에 의해 둘러싸여진 상태로 보호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2의 방향 D2에 관한 주체부(17)의 단부에는 삽입 요(凹)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 요(凹)부(20)에는 냉음극관(5)의 단자로서의 아우터 리드(10)가 상기 설치 방향으로서의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삽입 요(凹)부(20)는 주벽(周壁)(21)과 저벽(22)에 의해 구획되고, 단면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아우터 리드(10)를 받아 들이는 수입(受入) 공동(空洞)으로서 기능한다. 주벽(21)은 X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의 측부(23a, 23b)와, Y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2의 측부(24a, 24b)를 포함하고 있다.
한 쪽의 제 1의 측부(23a)는 도입 그루브(19)에 인접하고 있고, 도입 그루브(19)와 삽입 요(凹)부(20)와의 사이를 나누고 있다. 상기 한 쪽의 제 1의 측부(23a)에는 Y 방향의 중앙부에 절결(切缺) 그루브(25)가 설치되어 있다. 절결 그루브(25)에는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2의 측부(24a, 24b)의 각각에는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27)은 Z 방향을 따라서 뻗고 있고, 조작 부재(16)의 후술하는 제 1 및 제 2의 철(凸)부(53, 58)가 삽통되도록 되어 있다.
좌부(18)는 제 1의 방향 D1에 관한 주체부(17)의 단부(17a)에 설치된 한 쌍의 플랜지(flange) 형상의 부분이다. 좌부(18)는 Y 방향에 관한 주체부(17)의 한 쌍의 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X 방향에 긴 쪽으로 뻗고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각 좌부(18)는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에 당접(當接)하여 수용되어 있다. 이로 인해, 회로 기판(4)에 대한 하우징(14)의 Z 방향의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4)의 주체부(17)에 장착된 금속제의 보강 부재(70)가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에 고정되어 있다.
도 2,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컨택트(15)는 예를 들면 금속 이외의 도전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컨택트(15)는 판금(板金) 부재이다. 컨택트(15)는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장착된 냉음극관(5)의 아우터 리드(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컨택트(15)에 의하여 아우터 리드(10)와 회로 기판(4)와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컨택트(15)는 Y 방향에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고, 주체부(28)와 리드(29)와,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탄성 피스부(30, 31)를 갖고 있다. 주체부(28)는 Z 방향으로 뻗고 있고, 제 1의 부분(28a)과, 제 2의 부분(28b)를 구비하고 있다.
제 1의 부분(28a)은 Z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이 U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U자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부분이 플랜지부(32)로 되어 있다. 제 1의 부분(28a) 중에서 플랜지부(32)에 끼워진 부분이 중간부(33)로 되어 있다.
제 2의 부분(28b)은 제 1의 부분(28a)의 중간부(33)로부터 제 2의 방향 D2측으로 뻗고 있고, Y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고, Z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거의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2의 부분(28b)은 제 1의 부분(28a)에 대하여 Y 방향의 양 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Y 방향에 관한 제 2의 부분(28b)의 한 쌍의 단 가장자리의 각각에는 하우징(14)과 압입 계합하기 위한 돌기(26)가 설치되어 있다.
주체부(28)는 하우징(14)의 주체부(17)에 형성된 삽통공(34)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삽통공(34)은 하우징(14)의 주체부(17)의 제 2의 방향 D2에 관한 단부(17a)로부터 삽입 요(凹)부(20)에 걸쳐서 Z 방향으로 뻗고 있다. 삽통공(34)의 주위면에 의해서, 컨택트(15)의 주체부(28)가 둘러싸여진다.
삽통공(34)의 주위면에는 한 쌍의 플랜지부(32)의 각각 계합하는 한 쌍의 계합 그루브(35, 35)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그루브(35)는 Z 방향으로 뻗고 있고, 이 계합 그루브(35)를 따라서 컨택트(15)의 주체부(28)의 제 1의 부분(28a)을 삽입할 수 있다. 이 한 쌍의 계합 그루브(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요(凹) 부(20)의 바로 앞에서 중단되어 있고, 주체부(28)의 제 1의 부분(28a)이 삽입 요(凹)부(20)에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시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제 2의 부분(28b)은 삽통공(34)에 삽통되어 있고, 삽통공(34)의 주위면과, 제 2의 부분(28b)의 각 돌기(26)와의 압접(壓接)에 의해, 주체부(28)의 하우징(14)으로의 압입 고정을 달성되어 있다. 제 2의 부분(28b)은 삽통공(34)의 단(段)부(36)에 수용되어 있고, 이로 인해 컨택트(15)가 하우징(14)에 대하여 Z 방향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리드(29)는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에 접촉하여 이 회로 기판(4)과 컨택트(15)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 리드(29)는 제 2의 방향 D2에 관한 주체부(28)의 제 2의 부분(28b)의 선간부에 설치되어 있고, X 방향의 한 쪽으로 뻗고 있고, 제 2의 면(4b)과 평행이다. 리드(29)와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과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리드(29)는 회로 기판(4)에 땜납 부착되어 있고, 회로 기판(4)을 통하여 인버터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도 4 및 도 6a를 참조하여,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는 각각,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한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는 Y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는 각각, 대응하는 플랜지부(32)에 대하여 제 2의 방향 D2측에 배치되고, 삽입 요(凹)부(20)에 돌출하고 있고, 거의 전부가 삽입 요(凹)부(20)에 노출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일부만이 삽입 요(凹)부(20)에 노출하 고 있어도 된다. 이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는 각각의 기단부(37)를 지점으로 하여 굴곡 변형하고, 그 결과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선단부(38, 38)가 서로 탄력적으로 근접, 이격할 수 있다.
각 탄성 피스부(30, 31)는 상기 기단부(37) 및 선단부(38)를 갖는 캔틸레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자유 형태(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이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를 X 방향을 따라 봤을 때, 각 탄성 피스부(30, 31)는 상기 제 1의 방향 D1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그 결과,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선단부(38)간의 간격이 기단부(37)간의 간격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 탄성 피스부(30, 31)는 안내부(39)와, 조임(narrowing)부(40)와, 아우터 리드(10)를 소정의 협지 방향 D3(아우터 리드(10)의 직경 방향에 상당) 협지하기 위한 직선 형상의 협지부(41)를 구비하고 있다. 협지부(41)는 제 1의 방향 D1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뻗고 있다.
한 쌍의 안내부(39)는 대응하는 선단부(38)의 일측면(내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안내부(39)는 아우터 리드(10)의 장착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 한 쌍의 조임부(40)에 대하여 한 쌍의 협지부(41)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안내부(39)는 매끄럽게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 1의 방향 D1로 나아감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한 쌍의 조임부(40)는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가 한 쌍의 협지부(41)로부터 제 2의 방향 D2에 부적절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한 쌍의 조임부(40)는 한 쌍의 안내부(39)의 대하여 제 1의 방향 D1측에 설치되어 있는 동 시에, 한 쌍의 협지부(41)에 대하여 제 1의 방향 D1과 반대측(제 2의 방향 D2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조임부(40)간의 간격은 한 쌍의 안내부(39)간의 간격보다 좁게 되는 동시에, 한 쌍의 협지부(41)간의 간격보다 좁게 되어 있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가 서로 근접했을 때, 한 쌍의 조임부(40)간의 간격은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좁아진다.
한 쌍의 협지부(41)는 대응하는 아웃 리드(10)와 컨택트(15)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하면서,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의 제 1 및 제 2의 방향 D1, D2(Z 방향)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각 협지부(41)는 대응하는 탄성 피스부(30, 31)의 선단부(38)에 설치되어 있고, 대응하는 조임부(40)에 대하여 제 1의 방향 D1측에 위치되어 있다. 각 협지부(41)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Z 방향(제 1의 방향 D1)를 따라서 뻗고 있고,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각 협지부(41) 중에서 아우터 리드(10)와의 접촉 부분이 접촉부(42)를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접촉부(42)는 Y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서로의 사이에 아우터 리드(10)를 직경 방향에 탄성적으로 협지하고 있다. 접촉부(42)가 배치되어 있는 것은 액정 패널(3)의 배면(3b)과 회로 기판(4)의 제 1의 면(4a)(도 1 참조)과의 사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조작 부재(16)는 한 쌍의 협지부(41)에 의한 아우터 리드(10)의 협지와, 그 협지의 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부재이다. 조작 부재(16)는 하우징(14)의 삽입 요(凹)부(20)에 제 1 및 제 2의 방향 D1. D2에 상대 이동 가능하 게 감입(嵌入)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확개 위치에 있는 조작 부재(16)를 나타내고 있고, 도 9에 있어서 확개 해제 위치에 있는 조작 부재(16)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 부재(16)의 하우징(14)에의 장착은 하우징(14)이 회로 기판에 실장되기 전에도 되고, 후에도 된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조작 부재(16)는 Y 방향에 대칭하여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고, Z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그루브 형상을 이루고 있다. 조작 부재(16)는 Y 방향에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부분(43, 44)과, 이들 한 쌍의 부분(43, 4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5)와, 연결부(45)에 설치된 확개 조작부(46)를 갖고 있다.
한 쌍의 부분(43, 44)은 삽입 요(凹)부(20)내에서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를 사이에 둔 양 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 쪽의 부분(43)은 한 쪽의 탄성 피스부(30)와, 주벽(21)의 다른 쪽의 제 2의 측부(24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의 부분(44)은 다른 쪽의 탄성 피스부(31)와, 주벽(21)의 한 쪽의 제 2의 측부(24a)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부분(43, 44)은 각각, Z 방향에 긴 쪽으로 뻗고 있다.
한 쌍의 부분(43, 44)의 외측면(49)(도 8에 있어서, 한 쪽의 외측면(49)만을 도시)는 각각, 제 2의 방향 D2측의 선단이 삽입 요(凹)부(20)의 개구의 주연(50)에 대해 Y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이 돌출한 부분이 손잡이(knob)부(51)로 되어 있다. 작업자가 손잡이부(51)를 잡아서 조작 부재(16)를 제 1 및 제 2의 방향 D1, D2로 조작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0a를 참조하여, 한 쌍의 외측면(49)(도 10a에 있어서, 한 쪽의 외측면(49)만을 도시) 중에서, 손잡이부(51)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Z 방향으로 뻗는 직선부(52)로 되어 있다. 각 직선부(52)에는 제 1의 철(凸)부(5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제 1의 철(凸)부(53)는 조작 부재(16)가 삽입 요(凹)부(20)로부터 부적절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각 전선부(52)의 제 1의 방향 D1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의 철(凸)부(53)는 주벽(21)의 대응하는 관통공(27)에 감입되어 있고, 해당 대응하는 관통공(27)의 주연에 수용되는 것으로, 조작 부재(16)의 삽입 요(凹)부(20)로서의 빠짐을 방지한다.
각 제 1의 철(凸)부(53)의 제 1의 방향 D1측의 선단이 경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조작 부재(16)를 삽입 요(凹)부(20)에 감입될 때에, 이 경사 형상의 부분이 주벽(21)의 개구의 주연(50)에 원활하게 계합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컨택트(6)에는 제 1 및 제 2의 홀딩 기구(55, 5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a를 참조하여, 제 1의 홀딩 기구(55)는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에 홀딩한다. 제 1의 홀딩 기구(55)는 조작 부재(16)의 각 직선부(52)에 설치된 제 1의 요(凹)부(54)와, 주벽(21)의 한 쌍의 제 2의 측부(24)의 각각에 설치되어서 대응하는 제 1의 요(凹)부(54)에 계합하는 계합부(57)를 포함하고 있다.
제 1의 요(凹)부(54)는 제 1의 철(凸)부(53)와 제 2의 철(凸)부(58)와의 사이에 구획되어 있다. 제 2의 철(凸)부(58)는 각 직선부(52)에 설치되어서 대응하는 제 1의 철(凸)부(53)와 제 2의 방향 D2를 따라서 늘어서 있다. 계합부(57)는 주벽(21)의 한 쌍의 제 2의 측부(24)의 각각에 있어서, 관통공(27)에 대하여 제 2의 방향 D2측에 배치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확개 위치에 있어서 제 1의 요(凹)부(54)에 피팅(fitting)시키고 있다.
도 10b를 참조하여, 제 2의 홀딩 기구(56)는 조작 부재(16)를 확개 해제 위치에 홀딩한다. 제 2의 홀딩 기구(56)는 조작 부재(16)의 각 직선부(52)에 설치된 제 2의 요(凹)부(59)와, 주벽(21)의 한 쌍의 제 2의 측부(24)의 각각 설치되어서 대응하는 제 2의 요(凹)부(59)에 계합하는 계합부(57)를 포함하고 있다. 즉, 계합부(57)는 제 1의 홀딩 기구(5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동시에 제 2의 홀딩 기구(56)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 2의 요(凹)부(59)는 제 2의 철(凸)부(58)와, 각 손잡이부(51) 중 주벽(21)측을 향하는 계단부(60)와의 사이에 구획되어 있다. 계합부(57)는 확개 해제 위치에 있어서 제 2의 요(凹)부(59)에 피팅시키고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한 쌍의 부분(43, 44)의 내측면(61)은 Y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고, 컨택트(15)의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를 사이에 두고 있다. 이들 한 쌍의 부분(43, 44)의 내측면(61)은 제 1의 방향 D1의 선단이 경사 형상 캠(cam)면으로 되어 있고, 제 1의 방향 D1로 나아감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이 경사 형상 캠면에 의해서 가압부(62)가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압부(62)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대응하는 기단부(37)의 일측면(외측면)에 설치된 피가압부(63)(도 8에 있어서, 한 쪽의 피가압부(63)만을 도시)를 가압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나는 조작 부재(16)의 확개 해제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가압부(62)가 대응하는 피가압부(63)에 당접하여 가압함으로써, 한 쌍의 협지부(41)간의 간격이 좁혀지고, 그 결과 이들 협지부(41)에 의한 아우터 리드(10)의 협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세틀링(settling)에 의한 협지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압부(62)는 조작 부재(16)가 도 8에 나타내는 확개 위치로부터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할 때에, 대응하는 피가압부(63)에 당접하여 가압한다. 이로 인해, 대응하는 피가압부(63)를 제 1의 방향 D1로 누르는 힘이 제 1의 방향 D1과 직교하는 Y 방향의 힘으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가 서로 근접한다.
연결부(45)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향 X에 관한 한 쌍의 부분(43, 44)의 일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조작 부재(16) 중에서, 손잡이부(51)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을 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외형은 제 1의 방향 D1로부터 본 삽입 요(凹)부(20)의 개구의 주연(50)의 형상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삽입 요(凹)부(20)는 제 1 및 제 2의 방향 D1, D2를 따라서,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와 확개 해제 위치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 그루브로 되어 있다.
연결부(45)의 내측면(66) 및 한 쌍의 부분(43, 44)의 내측면(61)에 의해,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를 수용 가능한 공간(67)(한 쌍의 부분(43, 44) 사이의 공간)이 구획되어 있다.
이 공간(67)은 제 1의 방향 D1의 선단 및 제 2의 방향 D2의 선단의 각각이 외부에 개방되어 있고, 이들 개방되어 있는 곳이 한 쌍의 개방부(68, 69)로 되어 있다. 개방부(68)에 의해 공간(67)이 제 2의 방향 D2에 개방되어 있고,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공간(67)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개방부(68)로부터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공간(67)내에 삽입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확개 조작부(46)는 대응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30, 31)의 대응하는 협지부(41)와 계합함으로써, 이들 협지부(41)간의 간격을 확개하기 위한 것이고, 연결부(45)의 내측면(66)에 돌출하여 설치된 작은 피스로 이루어진다. 확개 조작부(46)는 한 쌍의 가압부(62)에 Y 방향으로 끼워져 있고, 컨택트(15)의 한 쌍의 탄성 부재(30, 31) 사이에 삽통되어 있다.
조작 부재(16)가 확개 위치에 있을 때에, 확개 조작부(46)는 한 쌍의 협지부(41)의 각각에 접촉하고 있고, 이들 한 쌍의 협지부(41) 및 한 쌍의 조임부(40)간의 간격이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넓게 되어 있다.
확개 조작부(46)의 제 2의 방향 D2를 향하는 일측면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 Z 방향에 대향하고 있고, 이 아우터 리드(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71)로 되어 있다. 조작 부재(16)는 확개 위치에 있을 때에, 수용부(71)는 한 쌍의 협지부(4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확개 조작부(46)는 Y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도 9에 있어서, 한 쪽의 측면만을 도시)을 포함하고, 각 측면은 제 1의 방향 D1에 대하여 경사한 경사 형상 캠면(72)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경사 형상 캠면(72)은 조작 부재(16)를 제 1의 방향 D1을 따라 삽입 요(凹)부(20)내에 피팅할 때에, 한 쌍의 조임부(40)간의 간격을 넓히는 기능을 완수한다. 한 쌍의 경사 형상 캠면(72)은 제 1의 방향 D1로 나아감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조작 부재(16)를 제 1의 방향 D1에 따라 삽입 요(凹)부(20)내에 피팅할 때, 한 쌍의 경사 형상 캠면(72)이 한 쌍의 조임부(40)에 매끄럽게 계합하고, 이로 인해 이들 한 쌍의 조임부(40)간의 간격을 원활하게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주벽(21)의 한 쪽의 제 1의 측부(23a)는 규제부(73)를 포함하고 있다. 규제부(73)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각각이 X 방향(냉음극관(5)의 긴 쪽 방향 L : 아우터 리드(10)의 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규제부(73)는 한 쪽의 제 1의 측부(23a)의 일측면(삽입 요(凹)부(20)를 향하는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각 탄성 피스부(30, 31)의 기단부(37)와 서로 대향하고 있다. 규제부(73)는 각 탄성 피스부(30, 31)가 X 방향의 한 쪽(냉음극관이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조작 부재(16)의 확개 해제 위치는 아우터 리드(10)를 무삽입력으로 한 쌍의 협지부(41)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이들 한 쌍의 협지부(41)간의 간격을 확개 조작부(46)에 의해 확개하기 위한 위치로 정의할 수 있고, 확개 해제 위치는 상기 확개를 해제하기 위한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상의 개략적인 구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냉음극관(5)(아우터 리드(10))의 실장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우선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에 홀딩하고 있다. 조작 부재(16)의 확개 조작부(46)는 한 쌍의 탄성 부재(30, 31)의 각 협지부(41)에 계합하고,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간의 간격이 넓혀진다. 이 때, 한 쌍의 협지부(41)간의 간격은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넓게 되는 동시에, 한 쌍의 조임부(40)간의 간격은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넓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대응하는 냉음극관(5)을 손(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파지(把持)하고, 냉음극관(5)의 아우터 리드(10)를 조작 부재(16)와 Z 방향으로 대향시킨다. 그리고, 냉음극관(5)을 장착 방향인 제 1의 방향 D1로 이동시키고, 냉음극관(5)의 중간부를 클램프 부재(11)의 홀딩부(13)에 감합된다. 이로 인해, 클램프 부재(11)에 의해 냉음극관(5)의 중간부가 홀딩된다.
이 때, 냉음극관(5)의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라인 화살표 E1을 따라서 삽입 요(凹)부(20)내로 이동하고, 한 쌍의 안내부(39) 사이 및 한 쌍의 조임부(40) 사이를 통과하고, 한 쌍의 협지부(41) 사이에 배치된다. 한 쌍의 협지부(41) 사이에 배치된 아우터 리드(10)는 확개 조작부(46)의 수용부에 의해 수용되고, 한 쌍의 협지부(41)에 대한 Z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조작 부재(16)를 제 1의 방향 D1로 움직이고, 조작 부재(16)를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로 인해, 확개 조작부(46)에 의한 한 쌍의 계합부(41)사이의 확개가 해제되는 동시에, 수용부(71)에 의한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의 지지가 해제된다. 그 결과,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협지부(41)의 접촉부(42) 사이에,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가 협지된다. 이로 인해, 컨택트(15)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된다. 또, 한 쌍의 조임부(40)간의 간격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좁아진다.
또, 조작 부재(16)가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함으로써, 한 쌍의 가압부(62)가 대응하는 피가압부(63)를 화살표 F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하고, 이러한 피가압부(63)가 서로 근접하도록 Y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기단부(37)간의 간격이 좁혀지고, 그 결과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에 한 쌍의 협지부(41)간의 거리를 좁히도록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협지부(41)에 의한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의 협지력이 높아진다.
한편, 아우터 리드(10)를 컨택트(15)로부터 떼어내려면, 우선 조작 부재(16)를 확개 해제 위치로부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의 방향 D2를 따라서 확개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로 인해, 한 쌍의 가압부(62)에 의한 한 쌍의 피가압부(63)의 가압이 해제된다.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로 변위시키면, 확개 조작부(46)는 한 쌍의 협지부(41) 사이에 들어가고, 이로 인해 이들 한 쌍의 협지부(41)간의 간격이 넓혀진다. 그 결과, 한 쌍의 협지부(41)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 이 해제된다.
다음에,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음극관(5)을 손 등으로 파지하여 냉음극관(5)을 클램프 부재(11)의 홀딩부(13)로부터 떼내고, 제 2의 방향 D2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냉음극관(5)의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는 한 쌍의 협지부(41) 사이로부터 한 쌍의 조임부(40) 사이 및 한 쌍의 안내부(39) 사이를 통과하여 삽입 요(凹)부(20)로부터 취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는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것으로, 소정의 접압(接壓)을 갖고 이 아우터 리드(10)와 접촉한다. 이로 인해, 컨택트(15)와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확개 조작부(46)에 의해 한 쌍의 협지부(41)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으로, 이러한 협지부(41) 사이에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를 ハ자 형상이라고 하는 간단하고 용이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냉음극관(5)의 한 쌍의 아우터 리드(10)의 각각에 커넥터(6)를 접속하고, 이 커넥터(6)를 회로 기판(4)에 장착할 때에는 우선, 회로 기판(4)에 한 쌍의 커넥터(6)를 각각 단품(單品) 상태로 장착한다. 그 동, 냉음극관(5)의 한 쌍의 아우터 리드(10)를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대응하는 커넥터(6)의 삽입 요(凹)부(20)에 통과하고, 이들 한 쌍의 아우터 리드(10)를 대응하는 한 쌍의 협지부(41) 에 각각 협지시킬 수 있다. 즉, 커넥터(6)를 단품 상태로 회로 기판(4)에 장착하고, 그 후 커넥터(6)와 아우터 리드(10)를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행하였던 수단에 따른 작업, 즉 한 쌍의 아우터 리드의 각각에 커넥터를 장착한 어셈블리를 미리 제조하고, 어셈블리의 각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위치 결정하고, 위치 결정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장착한다라고 하는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그러므로, 커넥터(6)의 회로 기판(4)에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조작 부재(16)를 제 1의 방향 D1로 움직이고, 확개 위치로부터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시키는 간단하고 쉬운 동작으로, 컨택트(15)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접속을 행하므로, 컨택트(15)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접속 작업을,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화할 수 있다.
또,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로 변위시켜서 한 쌍의 협지부(41)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으로, 이러한 협지부(41) 사이에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무삽입력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아우터 리드(10)의 삽입 후에 조작 부재(16)를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시키고, 확개 조작부(46)에 의한 확개를 해제함으로써,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의 탄성력에 의해 아우터 리드(10)를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고,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극히 작은 직경으로 변형하기 쉬운 아우터 리드(10)를 한 쌍의 협지부(41) 사이의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아우터 리드(10)에 무리한 힘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우터 리드(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또,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와 확개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14)에 홀딩하고 있는 것에 의해, 하우징(14)에서 조작 부재(16)를 홀딩하면서,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와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또, 조작 부재(16)에 한 쌍의 가압부(62)를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한 쌍의 협지부(41)가 아우터 리드(10)를 협지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협지부(41)와 아우터 리드(10)와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작 부재(16)의 한 쌍의 부분(43, 44)에 각각 가압부(62)를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한 쌍의 가압부(62)에 의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를 사이에 둘 수 있고, 그 결과 이러한 탄성 피스부(30, 31)에 가압력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 조작 부재(16)에 개방부(68)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개방부(68)를 통과하여 한 쌍의 부분(43, 44)간의 공간(67)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협지부(41)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에 접촉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나, 한 쌍의 가압부(62)가 한 쌍의 피가압부(63)를 가압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에 대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삽입 요(凹)부(20)를 안내 그루브로서 이용함으로써, 삽입 요(凹)부(20)를 따라서 조작 부재(16)를 이동시킨다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동작으로,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와 확개 해제 위치에 확실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리드(10)를 확개 위치에 있는 조작 부재(16)의 확개 조작 부(46)의 수용부(71)상에 두는 것으로, 아우터 리드(10)를 협지부(41)에 대하여 용이하고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제 1의 홀딩 기구(55)에 의해 조작 부재(16)를 확개 위치에 확실하게 홀딩할 수 있다.
또, 제 2의 홀딩 기구(56)에 의해 조작 부재(16)를 확개 해제 위치에 확실하게 홀딩할 수 있다.
또, 회로 기판(4)의 제 1의 면(4a)상에 냉음극관(5)을 배치하는 동시에, 회로 기판(4)의 제 2의 면(4b)에 인버터 회로(7)를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부재를 회로 기판(4)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로 기판(4)의 평면 방향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공간 절약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냉음극관(5)과 인버터 회로(7)와의 사이에 회로 기판(4)이 배치되도록 하고 있는 것에 의해, 냉음극관(5)과 인버터 회로(7)와의 사이의 절연층으로서 회로 기판(4)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냉음극관(5)에 대신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전극 형광관(5A)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외부 전극 형광관(5A)의 본체부(8A)의 한 쌍의 단부(9A)(도 11에 있어서, 한 쪽의 단부(9A)만 도시)의 주위면의 각각에 단자로서의 전극층(10A)이 피복되어 있다.
이 경우, 전극층(10A)을, 한 쌍 협지부(41) 사이에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전극층(10A)에 무리한 힘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극 층(10A)이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 31)와 스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가압부(62) 및 대응하는 한 쌍의 피가압부(63)가 없어도 된다. 또, 한 쌍의 안내부(39)가 없어도 되고, 한 쌍의 조임부(40)가 없어도 되고, 확개 조작부(46)의 수용부(71)가 없어도 된다.
또, 조작 부재(16)에 대신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16A)를 이용해도 된다. 조작 부재(16A)는 한 쌍의 부분(43, 44) 사이의 공간(67)이 제 2의 방향 D2에 개방하지 않게 하는 개방 저지부(74)를 갖고 있다.
개방 저지부(74)는 한 쌍의 부분(43, 44)과 단일의 부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 저지부(74)는 한 쌍의 부분(43, 44)의 각각의 제 2의 방향 D2에 관한 선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개방 저지부(74)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부분(43, 44) 사이의 공간(67)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 저지부(74)의 부분을 투명한 재료로 형성하면, 한 쌍의 부분(43, 44)간의 공간(67)을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 개방 저지부(74)는 한 쌍의 부분(43, 44)과 별체로 형성되고, 힌지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개방 저지부(74)를 열어서 한 쌍의 부분(43, 44) 사이의 공간(67)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 도 14a, 도 14b,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 및 도 14a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가 도 8 및 도 9의 실시 형태와 주로 다른 것은 컨택트(15)에 대신에 컨택트(15A)가 이용되고 있는 점과, 조작 부재(16)에 대신하에 조작 부재(16B)가 이용되고 있는 점이다.
조작 부재(16B)는 개방 저지부(74)를 갖고 있는 점에서 도 12의 조작 부재(16A)와 공통되고 있다. 또, 조작 부재(16B)는 확개 조작부(46)를 폐지한 점에서 도 12의 조작 부재(16A)와 상위하다. 또, 조작 부재(16B)는 제 1 가압부(62A) 및 제 2 가압부(62B)를 갖는 점에서 도 12의 조작 부재(16A)와 상위하다.
조작 부재(16B)는 제 1의 방향 D1 또는 제 2의 방향 D2를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14)에 의해 홀딩되어 있다. 조작 부재(16B)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A, 31A)를 구속하지 않게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A, 31A)를 자유롭게 하는 비가압 위치(도 3,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와,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A, 31A)에 대한 가압이 완료하는 최종 가압 위치(도 15b를 참조)와의 사이로 변위된다.
상기 컨택트(15A)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A, 31A)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A, 31A)의 각각은 제 1의 피스부(81)와, 제 2의 피스부(82)와, 제 3의 피스부(83)와, 제 4의 피스부(84)와, 제 5의 피스부(85)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 1의 피스부(81)는 단자(10)의 떼어짐 방향인 제 2의 방향 D2를 대체로 따라서 직선 상태로 뻗고 있다. 각 제 1의 피스부(81)는 각각 대응하는 경사 형상의 제 4의 피스부(84)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각 제 4의 피스부(84)는 제 2의 방향 D2를 따라서 뻗는 제 5의 피스부(8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제 2의 피스부(82)는 각각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81)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각각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81)에 의해 캔틸레버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각 제 3의 피스부(83)는 그것에 대응하는 제 2의 피스부(82)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탄성 피스부(30A, 31A)의 제 1의 피스부(81)는 선단부(81a)와, 기단부(81b)를 구비하고 있다. 각 탄성 피스부(30A, 31A)의 제 1의 피스부(81)는 그 선단부(81a)로부터 기단부(81b)에 향하여 단자(10)의 장착 방향인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소정 길이로 뻗는 협지부로서의 직선 형상부(86)를 갖고 있다.
도 14a에 나타내는 비가압 위치에 조작 부재(16B)에 배치되는 한편, 단자(10)가 탄성 피스부(30A, 31A) 사이에 도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탄성 피스부(30A)의 직선 형상부(86)와 탄성 피스부(31A)의 직선 형상부(86)와의 사이의 폭은 단자(10)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A, 31B)의 직선 형상부(86) 사이에 도입된 단자(10)가 미소한 마찰 저항을 받으면서 제 1의 방향 D1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제 1의 방향 D1에 관하여, 각 직선 형상부(86)의 도중(途中)부에는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10)를 제 1의 방향 D1에 관하여 위치 결정하여 홀딩하고, 또한 홀딩된 단자(10)와 전기적인 접촉을 확보하기 위한 접촉부(87)가 설치되어 있다. 각 직선 형상부(86)의 접촉부(87)는 홀딩된 단자(10)의 외주면의 일부에 대체로 합치하는 원호 형상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각 탄성 피스부(30A, 31A)의 제 2의 피스부(82)는 각각 대응하는 제 1의 피스부(81)로부터 만곡(灣曲)부(88)를 통하여 외측쪽에 향하여 경사 형상으로 되접어 꺾이고(foled back) 있다. 만곡부(88)의 일부에 의해 단자(10)의 양 직선 형상부(86) 사이로의 도입을 안내하는 안내부(89)가 구비되어 있다.
도 14a를 참조하여,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A, 31A)의 제 2의 피스부(82)의 자기부(82a) 사이의 거리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A, 31A)의 제 2의 피스부(82)의 선단부(82b) 간의 거리도 좁게 되어 있다. 각 제 2의 피스부(82)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제 1의 피가압부(63A)가 구성되어 있다.
각 탄성 피스부(30A, 31A)의 제 3의 피스부(83)는 각각 대응하는 제 2의 피스부(82)와 역방향으로 경사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각 탄성 피스부(30A, 31A)의 제 2의 피스부(82)와 제 3의 피스부(83)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정상부에 의해 제 2의 피가압부(63B)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10)가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탄성 피스부(30A, 31A)의 접촉부(87) 사이에 협지되어서 홀딩된 상태로, 조작 부재(16B)를 도 15b에 나타내는 최종 가압 위치까지 변위시킨다. 조작 부재(16B)가 최종 가압 위치로 변위하는 과정에서, 우선 조작 부재(16B)의 경사 형상의 각 제 1의 가압부(62A)가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경사 형상의 제 2 의 피스부(82)의 제 1의 피가압부(88)를 가압한다. 이로 인해, 각 제 2의 피스부(82)가 탄성적으로 굽혀져서 변형하고, 그 결과 양 접촉부(87) 사이에서의 단자(10)에 대한 협지력이 높아진다.
조작 부재(16B)가 도 15b에 나타내는 피가압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는 조작 부재(16B)의 각 제 2의 가압부(62)가 대응하는 탄성 피스부(30A, 31A)의 제 2의 피가압부(63B)를 가압한다. 이로 인해, 각 제 2의 피스부(82)가 충분히 탄성적으로 굽혀져서 변형하고, 그 결과 양 접촉부(87) 사이에서의 단자(10)에 대한 협지력이 충분히 높아진다.
또, 규제부(73)가 없어도 된다. 또, 하나의 냉음극관(5)에 설치되는 클램프 부재(11)의 갯수는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추가로, 커넥터(6)를 엣지 라이트(edge light)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를 형광관 이외의 축 형상의 단자와의 접속에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연선(撚線)을 포함하는 다극 케이블의 단자와의 접속에 이용할 수 있다. 다극 케이블인 경우, 단자의 직경이 큰 것으로 되고, 컨택트와의 접압(接壓)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접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컨택트에 무삽입력으로 장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이용하는 효과는 뛰어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형상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조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위와 그 균등한 범위로 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은 2005 년 8 월 29 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원 2005-248118호에 대응하고 있고, 이 출원의 전개는 여기에 인용에 의해 편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 형상의 단자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전기 커넥터가
    절연성의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홀딩된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축 형상의 단자가 제 1의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요(凹)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 피스(piece)부를 포함하고,
    각 상기 탄성 피스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 요(凹)부에 노출하고,
    각 상기 탄성 피스부는 기단부 및 선단부를 갖는 캔틸레버(cantilevered) 형상을 이루고,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는 서로 선단부간의 간격이 서로의 기단부간의 간격보다 좁게 되도록 상기 제 1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는 상기 단자를 상기 제 1의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협지(挾持) 방향으로 협지하기 위한 협지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방향은 단자의 직경 방향을 따르고 있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간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확개(擴開)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 1의 방향 및 상기 제 1의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 2의 방향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확개 위치로 변위하는 동시에, 상기 제 1의 방향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하고,
    상기 확개 위치로 변위한 조작 부재의 확개 조작부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간의 간격이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간에 상기 단자를 무삽입력으로 삽입 가능한 간격으로 확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확개 위치와 확개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 변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의해 홀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한 쌍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압부는 상기 조작 부재가 확개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한 쌍의 협지부간의 간격을 좁히도록 한 쌍의 탄성 피스부를 각각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삽입 요(凹)부내에서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를 사이에 둔 양(兩) 측에 배치된 한 쌍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압부는 상기 한 쌍의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부분 사이의 공간을, 상기 제 2의 방향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부분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제 2의 방향으로 개방하지 않도록 하는 개방 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요(凹)부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방향을 따라서 조작 부재를 확개 위치와 확개 해제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그루브(groov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확개 조작부는 조작 부재가 확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협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확개 위치에 홀딩하기 위한 홀딩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확개 해제 위치에 홀딩하기 위한 홀딩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형광관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관은 냉음극관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냉음극관의 단부로부터 노출하는 아우터 리드(outer le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관은 외부 전극 형광관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외부 전극 형광관의 단부의 주위면에 피복된 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5.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면 및 배면을 갖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에 대향하는 제 1의 면 및 상기 제 1의 면의 반대측인 제 2의 면을 갖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와,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과 상기 회로 기판의 제 1의 면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단부에 단자를 갖는 백라이트용의 형광관과,
    상기 회로 기판의 제 2의 면에 배치되고, 형광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홀딩된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형광관의 긴 쪽 방향이 액정 패널의 배면과 평행하고,
    상기 하우징은 축 형상의 단자가 제 1의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요 (凹)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 피스부를 포함하고,
    각 상기 탄성 피스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 요(凹)부에 노출하고,
    각 상기 탄성 피스부는 기단부 및 선단부를 갖는 캔틸레버 형상을 이루고,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는 서로 선단부간의 간격이 서로의 기단부간의 간격보다 좁게 되도록 상기 제 1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는 상기 단자를 상기 제 1의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협지 방향으로 협지하기 위한 협지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방향은 단자의 직경 방향을 따르고 있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간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확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의 한 쌍의 탄성 피스부의 협지부는 액정 패널의 배면과 회로 기판의 제 1의 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형광관의 단부의 단자를 협지하고 있고,
    상기 컨택트는 상기 인버터 회로에 접속된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는 회로 기판의 제 2의 면을 따라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081112A 2005-08-29 2006-08-25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193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48118 2005-08-29
JPJP-P-2005-00248118 2005-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047A KR20070026047A (ko) 2007-03-08
KR101193686B1 true KR101193686B1 (ko) 2012-10-22

Family

ID=3730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112A KR101193686B1 (ko) 2005-08-29 2006-08-25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30828B2 (ko)
EP (1) EP1760846A3 (ko)
KR (1) KR101193686B1 (ko)
CN (1) CN100574010C (ko)
TW (1) TWI3805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9054B2 (ja) 2006-03-20 2010-07-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複合コネクタ、複合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ホルダ、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方法
KR101208726B1 (ko) * 2006-09-28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와램프 모듈의 조립방법
KR101235290B1 (ko) * 2006-10-31 2013-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20080211986A1 (en) * 2007-01-03 2008-09-04 Bae Hyun Chul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equipped with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quipped with the backlight assembly
JP2008287047A (ja) * 2007-05-18 2008-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
CN101680640B (zh) * 2007-06-11 2011-08-03 夏普株式会社 背光源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机
JP4298766B2 (ja) * 2007-06-21 2009-07-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組立体とそ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KR101380305B1 (ko) 2007-06-22 2014-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CN100456106C (zh) * 2007-09-18 2009-01-2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结构
WO2010021189A1 (ja) * 2008-08-20 2010-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01764294B (zh) * 2008-12-26 2013-09-04 松富电子(深圳)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503695B1 (ko) * 2009-02-05 2015-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
JP4716529B2 (ja) 2009-02-09 2011-07-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CN101867137B (zh) * 2009-04-20 2013-04-03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器及其连接灯管的方法
TWI397752B (zh) * 2009-12-31 2013-06-01 Au Optronics Corp 改良固定燈管設計之背光模組以及應用其之液晶顯示器
CN101769480B (zh) * 2010-01-14 2012-04-2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改良固定灯管设计的背光模块以及应用其的液晶显示器
DE102010018535B4 (de) * 2010-04-28 2013-11-21 Blv Licht- Und Vakuumtechnik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JP5499905B2 (ja) * 2010-05-28 201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照明装置
CN201927740U (zh) * 2010-06-14 2011-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灯管连接器
JP5756906B2 (ja) * 2011-06-24 2015-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
JP6234731B2 (ja) 2013-08-08 2017-11-22 上村工業株式会社 クランパーを備える保持具
TWI511394B (zh) * 2014-06-10 2015-12-01 Tarn Yu Entpr Co Ltd Activation of electrical connectors
CN107845929B (zh) * 2017-09-21 2019-05-28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光效面板的通电连接机构
JP7099394B2 (ja) * 2019-04-10 2022-07-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29147A (fr) * 1946-06-15 1947-12-17 Support pour lampes fluorescentes
US2663851A (en) * 1952-11-05 1953-12-22 Gen Electric Lamp locking lampholder for tubular lamps
US3851295A (en) * 1973-03-12 1974-11-26 Bruce Ind Inc Self-locking lampholder
DE3537601A1 (de) * 1985-10-23 1987-04-23 Diehl Gmbh & Co Lampenfassung fuer leuchtstofflampen
US5636919A (en) * 1995-02-14 1997-06-10 Grimes Aerospace Company Lighting system
FR2736051B3 (fr) * 1995-06-29 1997-09-26 Guerbet Sa Complexes metalliques de polyaminoacid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imagerie diagnostique
JP2001250605A (ja) 2000-03-06 2001-09-14 Japan Automat Mach Co Ltd 冷陰極管用端子及びそれを用いて冷陰極管の電極に電線を接続する方法
FR2827433A1 (fr) * 2001-07-10 2003-01-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necteur d'alimentation d'une lampe a decharge
JP3688684B2 (ja) 2003-02-27 2005-08-31 株式会社Sak 冷陰極管用電線接続具
JP2004349040A (ja) * 2003-05-21 2004-12-09 Nec Lcd Technologies Ltd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I255945B (en) * 2003-06-18 2006-06-01 Innolux Display Corp Backlight syste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728065B2 (ja) * 2005-08-12 2011-07-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4291345B2 (ja) * 2006-09-01 2009-07-08 ホシデン株式会社 接続装置
US7347705B1 (en) * 2006-10-23 2008-03-25 Cvilux Corporation Adapter for a fluorescent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21603A (en) 2007-06-01
EP1760846A2 (en) 2007-03-07
US20070064169A1 (en) 2007-03-22
TWI380513B (en) 2012-12-21
KR20070026047A (ko) 2007-03-08
CN100574010C (zh) 2009-12-23
US7530828B2 (en) 2009-05-12
CN1925225A (zh) 2007-03-07
EP1760846A3 (en)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686B1 (ko)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887480B1 (ko) 형광관의 장착 방법
KR100790017B1 (ko) 전기 커넥터
JP4563975B2 (ja) 蛍光管の取付構造
JP4563974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US7473117B2 (en) Composite electric connector, holder for composite electric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for fluorescent tube, and connection method for fluorescent tube
KR101257512B1 (ko) 형광관의 설치 구조
JP4684926B2 (ja) 複合コンタクト
KR100887477B1 (ko)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7184293A (ja) 蛍光管の取付方法
KR100843005B1 (ko) 형광관의 장착 구조
JP4616299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568420B1 (ko) 컨택트 유니트, 커넥터 유니트 및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