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352B1 - 백라이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352B1
KR100758352B1 KR1020060086342A KR20060086342A KR100758352B1 KR 100758352 B1 KR100758352 B1 KR 100758352B1 KR 1020060086342 A KR1020060086342 A KR 1020060086342A KR 20060086342 A KR20060086342 A KR 20060086342A KR 100758352 B1 KR100758352 B1 KR 100758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lamp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섭
강병욱
권오현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352B1/ko
Priority to US11/851,061 priority patent/US7628627B2/en
Priority to JP2007232374A priority patent/JP2008066304A/ja
Priority to CN2007101821513A priority patent/CN10114038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8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resilient contact blades, piston-like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시디(LCD) 패널에 구비되는 백라이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의 부품으로 램프가 삽입된 커넥터의 커버를 수직 하방으로 누르면 램프의 접속단자와 커넥터의 터미널이 접속되면서 램프가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한 백라이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재로 형성되고, 하부측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백라이트 램프의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상방 개구된 접속편이 형성된 터미널; 상부측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백라이트 램프의 끝단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 내측으로 상기 터미널의 접속편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고,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면서 상기 공간부의 일측을 개폐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접속편의 내측으로 직접 압입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제작이 더욱 용이해지면서도 LCD 패널의 제작 공정에서 백라이트 커넥터를 자동화 공정에 의해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며 원활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엘시디, LCD, 백라이트, 램프, 커넥터

Description

백라이트 커넥터{a backlight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램프 결합을 위한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램프의 결합 전 상태를 보인 좌측면도,
도 3b는 커버의 1차 하강 상태를 보인 좌측면도,
도 3c는 커버의 2차 하강 상태를 보인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잠금돌기 및 이탈방지돌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커버의 최대 하강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 5b는 커버의 최대 상승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 6은 종래 백라이트 커넥터의 일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램프 2 : 접속단자
10 : 터미널
11 : 고정편 12 : 접속편
121 : 접속홈
20 : 하우징
21 : 공간부 22 : 받침홈
23 : 가이드홈 24 : 잠금턱
25 : 이탈방지턱
30 : 커버
31 : 경사면 32 : 단자삽입구
33 : 누름돌기 34 : 잠금돌기
35 : 이탈방지돌기
본 발명은 엘시디(LCD) 패널에 구비되는 백라이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가 삽입된 커넥터의 커버를 수직 하방으로 누르면 램프의 접속단자와 커넥터의 터미널이 접속되면서 램프가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한 백라이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시디(LCD)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벽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두께가 얇으면서도 소형에서 대형 표시장치 까지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소형 전자제품을 비롯하여 컴퓨터 모니터, TV 등의 다양한 제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LCD는 영상을 이루는 각각의 화소가 발광 기능은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밝고 선명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패널의 후면에 백라이트 유닛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의 내부에는 다수의 램프를 구비하여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을 이용하여 LCD가 밝고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2006년 8월 9일자로 특허출원 제2006-75246호로 출원된 "백라이트 커넥터"가 개발된 바 있으며, 그 구성 및 작동과정을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백라이트 커넥터는 도시된 것과 같이 전기 전도체로 형성되어 일측이 회로기판에 납땜 고정되는 고정편(101)이 형성되고 타측에 LCD용 램프(1)의 접속단자(2)가 삽입 결합되는 접속홈(102)이 형성된 터미널(100)과, 상기 터미널(100)의 외측을 감싸고 내측으로 상방 개구된 공간부(201)가 형성되며 램프의 끝단을 지지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되고 상부측이 개방되어 램프의 끝단이 삽입되는 커버(300)와, 상기 커버(3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승강되고 커버(300)가 하강하면서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결합될 때 상기 램프(1)의 접속단자(2)를 상기 터미널(100)의 내측으로 압입하는 클립(400)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에 따라, 램프를 커넥터의 상면에 거치한 후에, 커버를 수직 하방으로 누르면 클립이 오무려지면서 접속단자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하고, 접속단자를 하강하시켜 터미널의 내측으로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푸시장비 등을 이용하여 램프를 자동화 공정에 의해 커넥터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많고, 그 구조가 복잡한 관계로 커넥터의 제작이 힘들고, 커넥터를 조립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램프의 결합 과정에서 클립이 벌어질 경우에는 접속단자에 견고히 밀착되지 못하여 접속단자의 압입력에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최소의 부품으로 커버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자동화 공정에 의해 백라이트 램프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백라이트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이 램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하우징의 내측에서 커버가 경사진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내측으로 램프가 간편하게 삽입되면서 커버가 하강함과 동시에 터미널과 접속단자가 접속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돌기가 접속단자를 누르는 힘이 분산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가 커넥터에 완전히 결합된 후에 커버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에 잠금 고정된 커버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가 커넥터에 고정되기 전에 커버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재로 형성되고, 하부측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백라이트 램프의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상방 개구된 접속편이 형성된 터미널; 상부측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백라이트 램프의 끝단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 내측으로 상기 터미널의 접속편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고,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면서 상기 공간부의 일측을 개폐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접속편의 내측으로 직접 압입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의 일측 저면에 램프의 끝단과 맞닿는 받침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에 상기 커버가 상,하로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단자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삽입구의 일측에 접속단자를 상기 접속편의 내측으로 압입하는 누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접속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일측에 잠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커버가 최대 하강 위치에서 상기 잠금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잠금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돌기는 하단이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커버의 외측면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일측에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커버의 최대 상승 위치에서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하부측에 회로기판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11)이 형성되고 그 상부측으로 LCD 패널에 장착되는 백라이트 램프(1)의 접속단자(2)가 삽입되는 접속편(12)이 형성된 터미널(10)과, 상기 터미널(10)을 보호하면서 램프(1)의 끝단이 지지되도록 하는 하우징(20) 및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에서 상,하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램프(1)의 끝단에 형성된 접속단자(2)를 상기 접속편(12)의 내측으로 압입하는 커버(30)로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10)은 회로기판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를 백라이트 램프(1)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전기 전도성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하부측으로는 회로기판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회로기판에 납땜 고정되는 고정편(11)이 형성되며, 고정편(11)의 일측이 회로기판의 상부측으로 절곡되고 그 중앙부에 접속단자(2)의 직경과 대응되는 간격의 접속홈(121)이 형성된 접속편(12)을 형성하여 회로기판과 램 프(1)의 전원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홈(121)의 폭은 접속단자(2)가 접속홈(121)에 삽입될 때 그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도록 접속단자(2)의 직경 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하여 접속단자(2)의 외측면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이 접속홈(121)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제거되도록 하여 접속편(12)와 접속단자(2)의 전원 연결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터미널(10)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램프(1)가 커넥터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측에 램프(1)방향 및 상부측으로 개방된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10)의 접속편(12)이 하우징(20)의 하부측으로 삽입되어 공간부(21)에 노출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램프(1) 끝단의 하면과 접촉되는 공간부(21)의 내측 저면에는 램프(1)의 외측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받침홈(22)을 형성하여 램프(1)가 하우징(2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공간부(21)의 수직방향 내측면에는 후술되는 커버(30)가 상,하로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홈(23)을 형성하여 커버(30)의 원활한 승강 작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하우징(20)의 가이드홈(23)에 결합되어 하우징(20)의 상부 내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면서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삽입된 접속단자(2)를 접속편(12)의 내측으로 압입시키고, 램프(1)가 커넥터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홈(23)에 삽입되어 커버(30)가 상,하로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하는 경사면(31)이 형성되고, 커버(30)의 일측에는 상,하 방향 으로 개방된 단자삽입구(32)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삽입구(32)의 일측 하부에 램프(1)의 접속단자(2)를 상기 접속편(12)의 내측으로 압입하는 누름돌기(33)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1)은 상술한 가이드홈(23)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가이드홈(23)에 경사면(31)이 맞닿은 상태에서 커버(30)가 상,하로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후술되는 단자삽입구(32)가 하우징(20)의 공간부(21) 일측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함과 동시에 누름돌기(33)가 접속단자(2)와 접촉 및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단자삽입구(32)는 하우징(20)의 내측으로 램프(1)의 접속단자(2)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램프(1)의 고정 방향과 대응되는 커버(30)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커버(30)가 상,하 측방으로 이동하면서 램프가 삽입되는 하우징(20)의 공간부(21)의 일측 상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자삽입구(32)의 내부 일측면은 상술한 경사면(31)과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여 커버(30)가 상승되면서 단자삽입구(32)가 공간부(21)의 일측 상면을 개방시킬 때 접속단자(2)의 삽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돌기(33)는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삽입된 램프(1)의 접속단자(2)를 접속편(12)의 내측으로 압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단자삽입구(32)의 내측면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램프(1)가 삽입될 때에는 커버(30)가 램프(1)의 상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누름돌기(33)와 접속단자(2)가 이격되도록 하고, 램프(1)를 고정할 때 커버(30)를 하우징(20)의 하부 내측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누름돌기(33)가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접속단자(2)의 상면을 눌러 접속편(12)의 내측으로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램프(1)와 터미널(10)이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누름돌기(33)는 상기 접속단자(2)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누름돌기(33)가 접속단자(2)를 누르는 힘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자(2)의 결합 과정에서 접속단자(2)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램프(1)의 결합 전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이고, 도 3b는 커버(30)의 1차 하강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이며, 도 3c는 커버(30)의 2차 하강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에 램프(1)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커넥터에 램프(1)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도 3a와 같이 커버(30)를 최대로 상승시키면 경사면(31)이 가이드홈(23)을 따라 하우징(20)의 상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단자삽입구(32)가 공간부(21)의 상면이 개방되어 커넥터의 내측으로 램프(1) 및 접속단자(2)를 원활히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3b와 같이 커버(30)의 상면을 눌러 커버(30)를 하강시키면 커버(30)의 경사면(31)이 가이드홈(23)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동하게 되고, 단자삽입구(32)의 상면이 하우징의 일측면에 의해 폐쇄되면서 누름돌기(33)가 접속단자(2)의 상면과 맞닿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커버(30)를 지속적으로 하강시키면 누름돌기(33)는 접속단자(2)를 접속편(12)에 형성된 접속홈(121)의 내측으로 압입시키게 되며, 최종적으로 접속편(12)이 접속단자(2)에 밀착되면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잠금돌기 및 이탈방지돌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커버의 최대 하강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이며, 도 5b는 커버의 최대 상승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로서, 상술한 커버(30) 및 하우징(20)의 일측에는 커버(30)가 하우징(2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돌기(34)와 잠금턱(24)을 형성하여 커버(30)가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잠금돌기(34)가 잠금턱(24)에 걸림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램프(1)가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3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여 램프(1)의 접속 불량이 발생하거나 램프(1)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잠금돌기(34)는 커버(30)가 하강될 때 잠금턱(24)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단으로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하고, 그 상부측으로 커버(30)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잠금턱(24)과 맞닿는 위치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커버를 하강시키면 잠금돌기(34)의 완만한 경사면이 잠금턱(24)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최종적으로 잠금돌기(34)가 걸림턱(24)에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돌기(34)는 커버(30)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하단이 상기 커버(30)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그 상부측은 커버(30)의 외측면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잠금돌기(34)의 탄성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잠금돌기(34)와 잠금턱(24)의 잠금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램프(1)를 교체할 때에는 잠금돌기(34)의 상단을 커버(30) 측으로 이동시켜 잠금돌기(34)가 잠금턱(24)에서 간편하게 빠져나오도록 하여 커버(30)를 하우징(20)에서 상승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커버(30)의 일측에는 상기 잠금돌기(34)와 이격된 이탈방지돌기(35)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20)의 일측면에는 커버(30)의 최대 상승 위치에서 이탈방지돌기(35)가 걸림 고정되어 커버(30)가 하우징(2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턱(25)을 형성하여 램프(1)가 커넥터에 결합되기 전에 하우징(20)과 커버(3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램프(1)를 커넥터에 결합하는 작업이 더욱 빠르고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35)는 커버(30)의 최대 하강 위치에서 이탈방지턱(25)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고, 커버(30)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이탈방지턱(25)에 걸림 고정되도록 커버(3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잠금돌기(34) 및 잠금턱(24)의 작동에 방해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미널과 하우징 및 접속단자로 구성되는 최소의 부품으로 커버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자동화 공정에 의해 백라이트 램프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백라이트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서, 커넥터의 제작이 더욱 용이해지면서도 LCD 패널의 제작 공정에서 백라이트 커넥터를 자동화 공정에 의해 더욱 간 편하고 신속하며 원활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에 받침홈 및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하우징이 램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하우징의 내측에서 커버가 경사진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커넥터에 결합된 램프의 파손이 방지되면서 램프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에 경사면 및 단자삽입구와 누름돌기를 형성하여 커넥터의 내측으로 램프가 간편하게 삽입되면서 커버가 하강함과 동시에 터미널과 접속단자가 접속되도록 함으로서, 램프가 커넥터에 신속하게 삽입되면서 견고히 결합되어 램프의 결합 작업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누름돌기를 형성하여 누름돌기가 접속단자를 누르는 힘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서, 커넥터에 램프를 결합할 때 접속단자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돌기와 잠금턱을 형성하여 램프가 커넥터에 완전히 결합된 후에 커버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램프가 커넥터에 결합된 후에 커버가 하우징에서 이탈함에 따른 램프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돌기를 커버의 외측면에 이격되게 형성하여 하우징에 잠금 고정된 커버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램프의 교체 시에 커버의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LCD패널의 보수가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돌기 및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램프가 커넥터에 고정되기 전에 커버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커버가 하우징에서 이탈함에 따른 작업의 번거로움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자동화 공정에 의한 램프의 결합 작업이 더욱 빠르고 원활하게 수행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7)

  1. 금속재로 형성되고, 하부측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백라이트 램프의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상방 개구된 접속편이 형성된 터미널;
    상부측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백라이트 램프의 끝단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 내측으로 상기 터미널의 접속편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고,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면서 상기 공간부의 일측을 개폐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접속편의 내측으로 직접 압입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의 일측 저면에 램프의 끝단과 맞닿는 받침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에 상기 커버가 상,하로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램프의 결합방향으로 상,하 관통되는 단자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삽입구의 일측에 접속단자를 상기 접속편의 내측으로 압입하는 누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접속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커넥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에 잠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커버가 최대 하강 위치에서 상기 잠금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잠금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돌기는 하단이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커버의 외측면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에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커버의 최대 상승 위치에서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커넥터.
KR1020060086342A 2006-09-07 2006-09-07 백라이트 커넥터 KR10075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342A KR100758352B1 (ko) 2006-09-07 2006-09-07 백라이트 커넥터
US11/851,061 US7628627B2 (en) 2006-09-07 2007-09-06 Backlight connector
JP2007232374A JP2008066304A (ja) 2006-09-07 2007-09-07 バックライトコネクタ
CN2007101821513A CN101140385B (zh) 2006-09-07 2007-09-07 背光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342A KR100758352B1 (ko) 2006-09-07 2006-09-07 백라이트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352B1 true KR100758352B1 (ko) 2007-09-14

Family

ID=3873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342A KR100758352B1 (ko) 2006-09-07 2006-09-07 백라이트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28627B2 (ko)
JP (1) JP2008066304A (ko)
KR (1) KR100758352B1 (ko)
CN (1) CN1011403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32B1 (ko) 2007-06-11 2009-05-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램프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0135A (ja) * 2008-01-11 200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ランプユニット、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227773B2 (ja) * 2008-12-18 2013-07-03 財団法人山形県産業技術振興機構 有機elパネルの取り付け装置
CN101867137B (zh) * 2009-04-20 2013-04-03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器及其连接灯管的方法
CN101929663B (zh) * 2009-06-25 2012-06-27 崴正科技股份有限公司 冷阴极灯管的连接器及照明装置
JP4963130B2 (ja) * 2010-01-12 2012-06-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20080853A (ko) * 2011-01-10 2012-07-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GB2495355B (en) * 2012-07-02 2013-08-28 Gew Ec Ltd Ink curing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378A (ko) * 1997-04-16 1998-11-25 나가토시다쯔미 액정 백라이트 소켓
KR20000018707A (ko) * 1998-09-04 2000-04-06 윤종용 엘씨디 모듈
KR20020072456A (ko) * 2001-03-10 2002-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JP2003279984A (ja) 2002-03-26 2003-10-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液晶パネル用バックライト接続構造
KR20040061432A (ko) * 2002-12-31 2004-07-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용 램프 케이블의 커넥터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8699B2 (ja) * 1997-04-16 2000-1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液晶用バックライトソケット
JP2005259370A (ja) * 2004-03-09 2005-09-22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CN1737667B (zh) * 2004-08-16 2010-10-06 奇菱科技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的灯管与电线连接装置
JP2006120428A (ja) * 2004-10-21 2006-05-11 Jst Mfg Co Ltd Eefl用コネクタ
JP2006244749A (ja) * 2005-03-01 2006-09-14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バックライト用コネクタ
JP4728065B2 (ja) * 2005-08-12 2011-07-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CN201000988Y (zh) * 2006-12-18 2008-01-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378A (ko) * 1997-04-16 1998-11-25 나가토시다쯔미 액정 백라이트 소켓
KR20000018707A (ko) * 1998-09-04 2000-04-06 윤종용 엘씨디 모듈
KR20020072456A (ko) * 2001-03-10 2002-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JP2003279984A (ja) 2002-03-26 2003-10-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液晶パネル用バックライト接続構造
KR20040061432A (ko) * 2002-12-31 2004-07-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용 램프 케이블의 커넥터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32B1 (ko) 2007-06-11 2009-05-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램프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0385B (zh) 2010-12-29
JP2008066304A (ja) 2008-03-21
US7628627B2 (en) 2009-12-08
US20080062350A1 (en) 2008-03-13
CN101140385A (zh)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352B1 (ko) 백라이트 커넥터
KR101202638B1 (ko)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게 회로 기판 사이에 연결가능한 커넥터
US7381082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the cable positioned inside
JP2008084867A (ja) ランプソケット、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ランプモジュールの組立方法
KR1019927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466921B2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EP2665133A1 (en) Connector
KR101292747B1 (ko) 엘이디 다이렉트 타입 커넥터
US8031483B2 (en) Fixing structur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6561847B1 (en) Integrated multimedia input/output port connector assembly
KR101569822B1 (ko) 전자기기
US946693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plug-in module for the same
US20180231228A1 (en) Connector, connector mounting board,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JP5298044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013562A (ko) 백라이트 커넥터
US7301782B2 (en) Conne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073047B1 (ko) 편평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편평케이블
US7465193B2 (en) Shielded surface mount connector
TWM522476U (zh) 板對板連接器
US20080094849A1 (en) Backlight module and supporting device thereof
KR101002177B1 (ko) 백라이트 유닛용 램프 소켓
KR20090128173A (ko) 압입 지그
CN103323966A (zh) 显示设备
KR101014992B1 (ko) 커넥터
KR100774427B1 (ko) 램프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