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222B1 - 현상기 - Google Patents

현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222B1
KR100887222B1 KR1020070011157A KR20070011157A KR100887222B1 KR 100887222 B1 KR100887222 B1 KR 100887222B1 KR 1020070011157 A KR1020070011157 A KR 1020070011157A KR 20070011157 A KR20070011157 A KR 20070011157A KR 100887222 B1 KR100887222 B1 KR 10088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opening
conveyance
closing membe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225A (ko
Inventor
나오야 이와타
도모요시 지하라
데츠지 오카모토
아키히데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03G15/0893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in a closed loop within the sump of the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19Agitator type two or more agit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반송축과, 상기 반송축의 외주(外周)에 형성되어 그 반송축의 회전에 따라 현상제를 축방향으로 반송하는 나선형상의 현상제 반송부와, 상기 반송축과 대향하는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벽면으로부터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현상제를 저장하는 저장실과,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고, 상기 현상 위치에서 열린 상태가 되는 판상(坂狀)의 개폐 부재를 구비하는 현상기이며,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개폐 지점은 상기 현상기 위치에서의 그 개폐 부재의 하단부에 있고,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체에 유지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담지체(像擔持體)의 현상 위치에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70011157
상담지체(像擔持體), 개폐 부재, 현상기

Description

현상기{DEVELOP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현상기를 구비하는 회전식 현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현상기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개폐 부재의 개폐 동작과 잉여(剩餘)된 현상제의 배출구로부터의 배출에 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현상기의 내부를 횡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4는 현상기의 내부를 상방(上方)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5의 (a)는 배출구 부근을 확대한 확대도.
도 5의 (b)는 배출구 근방의 그 밖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c)는 도 5의 (b)중 C 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현상기의 내부의 배출구 부근의 도면.
도 7은 현상기 내부의 배출구 부근의 사시도.
도 8은 현상제 카트리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현상기의 내부를 횡방향으로부터 본 배출구 부분을 포함하는 단면도.
도 10의 (a)는 개폐 부재가 열린 상태의 단면(斷面)의 모식도.
도 10의 (b)는 개폐 부재가 닫힌 상태의 단면의 모식도.
도 11의 (a)는 개폐 부재가 열린 상태의 단면의 모식도.
도 11의 (b)는 개폐 부재가 닫힌 상태의 단면의 모식도.
도 12는 현상기 내부의 배출구 부근의 사시도.
도 13은 개폐 부재와 배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그 밖의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그 밖의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의 (a)는 현상기가 현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현상제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의 (b)는 현상기가 회전하여 개폐 부재가 닫히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의 (c)는 현상기가 회전하여 개폐 부재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1: 화상 형성 장치 10: 회전식 현상 장치
12: 현상기 13: 케이스
14: 구획판 20: 제 1 실
22: 제 2 실 24: 제 3 실
28: 현상 롤 29: 층 규제 부재
30: 제 1 교반 반송 오거 40: 제 2 교반 반송 오거
50: 보급용 오거 80: 현상제 카트리지
82: 수용실 86: 보급구
본 발명은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트리클(trickle) 방식에서는, 토너와 캐리어를 미리 섞은 현상제를 현상제 카트리지 내에 수용하여,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기로 토너 공급하는 동시에 조금씩 새로운 캐리어도 공급한다. 이때, 현상기 내의 현상제 양이 증가하므로, 어느 일정량 이상 모이면 잉여된 현상제를 현상기 밖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현상제의 열화, 즉 대전량(帶電量)이 소정치 이하로 하강하지 않고 안정된다.
이러한 트리클 방식에 있어서, 일본국 공개특허 평09-218575호 공보와 같이, 회전식 현상 장치의 회전 동작을 이용하여, 현상기의 배출구로부터 잉여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평09-218575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 평09-218575호 공보의 구성은, 단색 모드에서 인자(印字)를 행하고 있을 때 등, 현상기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면, 현상기의 회전이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상기 내의 현상제 양의 컨트롤이 곤란하고 현상제로 현상기가 가득 찬다. 이 때문에 토크(torque) 상승이나 농도 저하 등의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잉여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해 회전 동작을 빈번하게 넣으면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2000-112229호 공보에는, 교반 반송 오거(auger)의 일부에서 현상제를 체류시켜, 현상제의 수위가 상승한 곳을 상부에 있는 배출구로부터 잉여된 현상제를 배출시키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2000-112229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 2000-112229호 공보의 구성은, 현상기의 상부의 배출구로부터 배출한 잉여된 현상제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현상제를 회수부까지 반송하는 반송 부재가 없으면, 현상제를 많이 저장할 수 없다(저장 성능에 한계가 있음). 따라서, 역시 단색 모드에서 인자를 행하고 있을 때 등, 현상기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면, 잉여된 현상제를 배출할 수 없으므로 현상제로 현상기가 가득 찬다. 이 때문에 토크 상승이나 농도 저하 등의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해 회전 동작을 빈번하게 넣으면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는, 현상제를 회수부까지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설치하면 비용이 상승한다.
지금까지의 문제에 대하여, 일본국 공개특허 2003-114578호 공보에는, 배출구를 현상기 케이스의 측면과 교반 반송 오거 사이에 상방이 개구(開口)하도록 설치하고, 흘러넘친 현상제를 저장실에 저장하는 동시에 회전 동작에 따라 회수부에 회수하고, 또한, 과잉되게 현상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에 회전에 따라 자중으로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설치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2003-114578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 2003-114578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은, 현상제의 수위 변동에 따라 원활하게 배출을 하기 위해서는, 개폐 부재가 현상제의 흘러넘침이 나 저장실에서의 현상제의 축적을 저해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개폐 부재의 개폐 동작의 스트로크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배출구를 충분히 높게 하는 동시에 충분히 넓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2003-323028호 공보에는, 배출구면을 수평면보다 경사지게 함으로써, 현상제의 교환이 불필요하다는 고(高)메인터넌스성과 고화질 유지 특성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2003-323028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 2003-323028호 공보의 구성에서는, 개폐 부재는 배출구면의 경사의 연장선상에 회전지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상제의 자중에 의한 배출을 행할 경우, 배출구면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하지 않으면 배출구에 현상제가 모이게 된다. 그러나, 경사 각도를 크게 하면, 개폐 부재의 설치를 위해서 상부 공간을 넓게 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이, 현상제의 배출을 안정시키는 것은 현상기의 대형화에 관련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대형화하지 않고 배출구로부터의 현상제의 배출을 안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상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반송축과, 상기 반송축의 외주(外周)에 형성되어 그 반송축의 회전에 따라 현상제를 축방향으로 반송하는 나선형상의 현상제 반송부와, 상기 반송축과 대향하는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벽면으로부터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현상제를 저장하는 저장실과,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고, 상기 현상 위치에서 열린 상태가 되는 판상(板狀)의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체에 유지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담지체(像擔持體)의 현상 위치에 대향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하는 상기 현상 위치에 위치될 때의 그 개폐 부재의 하단부에, 상기 개폐 부재의 회동 중심이 되는 개폐 지점(fulcrum)을 갖는 현상기가 제공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현상기에 있어서, 현상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현상제를, 배출구로부터 배출함으로써, 현상기 내의 현상제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개폐 부재는 개폐 지점이 하단부에 있고, 상단측이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부재가 열린 상태에서는 배출구를 향해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배출되는 현상제를 이 경사면이 가이드하여 배출구로 유도한다. 따라서, 현상제가 원활하게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환언하면 개폐 부재는 배출구를 개폐하는 부재와 현상제를 배출구로 유도하는 부재의 양쪽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상기가 대형화되지 않고 현상제의 배출을 원활하게 안정시키고 있다. 또한, 개폐 부재의 개폐 스트로크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에 의한 현상제의 과잉 배출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현상기에 있어서, 개폐 부재는 상기 개폐 부재의 회동 중심이 되는 개폐 지점측과 반대측의 단부(端部)를 무겁게 하고 있다. 따라서, 개폐 부재의 개폐가 보다 원활하다. 또한, 열린 상태에서는 개폐 부재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이 더 가해지므로 개폐 부재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더 쉬워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현상기는, 현상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반송축과, 상기 반송축의 외주에 형성되어 그 반송축의 회전에 따라 현상제를 축방향으로 반송하는 나선형상의 현상제 반송부와, 상기 반송축과 대향하는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벽면으로부터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현상제를 저장하는 저장실과,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고, 상기 현상 위치에서 열린 상태가 되는 판상(板狀)의 개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개폐 부재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서 상기 배출구의 방향과 반대쪽인 면에 상기 반송 방향을 향해 단면이 좁아지는 정류부(整流部)가 형성되고,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체에 유지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담지체의 현상 위치에 대향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현상기에 있어서, 현상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현상제가 배출구로부터 배출됨으로써 현상제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현상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현상제는 판상의 개폐 부재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닿는다. 이 단부의 배출구와 반대면에는, 반송 방향을 향해 단면이 좁아지는 정류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류부에 의해 단부에 닿은 현상제가 이 단부 근방에 체류하지 않고 원활하게 흘러, 배출구로부터 원활하게 안정되어 배출된다.
또한, 정류부는 단부의 배출구와 반대 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폐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는 단부에 닿은 현상제는 배출구와 반대측으로 흐르고, 단부 근방에 체류하지 않는다. 또한, 현상제의 흐름에 의해 개폐 부재를 닫는 방향에 힘이 가해지므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더 쉽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정류부 자체는 사면으로 형성된다. 개폐 부재의 단부의 배출구와 반대 면에 형성된 상기 사면에 의해, 단부에 닿은 현상제가 체류하지 않고 흘러, 배출구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정류부 자체는 계단부(階段部)로 형성된다. 개폐 부재의 단부의 배출구와 반대면에 형성된 상기 계단부에 의해, 단부에 닿은 현상제가 체류하지 않고 흘러 배출구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현상기에 있어서, 개폐 부재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와는 반대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의 형상은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의 정류부를 180°회전한 형상(점대칭)이 되어 있다. 즉, 개폐 부재를 180°회전시켜, 즉, 단부를 좌우 반대로 설치해도(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를 상류측의 단부로 해도),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는 동일하게 정류부가 설치된다. 따라서, 조립 작업이 용이하다.
청구항 7 및 청구항 8에 기재된 현상기에 있어서, 반송축의 현상제 반송부의 단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현상제 반송부와는 반대로 향한 나선형상의 현상제 역방향 반송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부에 현상제 역방향 반송부를 설치함으로써, 측벽에 현상제가 가압되는 경우가 없다.
청구항 9 및 청구항 10에 기재된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상기 내벽면의 내경을 작게함으로써, 상기 배출구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좁은 부분을 설치하고, 그 반송 방향 상류측보다 더 상류측에 좁지 않은 부분을 설치했으므로, 배출구의 반송 방향 상류측 근방의 현상제의 반송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현상제는 보다 원활하게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현상제 반송부와 내벽면의 간격을 전역에 걸쳐 좁게 하면, 현상제 반송부의 휘어짐 등에 의해 내벽면을 마찰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현상제의 반출에 효과가 큰 배출구의 반송 방향 상류측 근방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현상제 반송부가 내벽면을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현상제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구로부터 배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에 있어서, 배출구의 반송 방향 상류측 근방의 현상제 반송부의 외주를 크게 하고, 현상제 반송부와 내벽면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배출구의 반송 방향 상류측 근방의 현상제의 반송력을 높게 하여, 원활하게 배출구로부터 현상제를 배출시키고 있다.
삭제
청구항 15에 기재된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반송축과, 상기 반송축의 외주에 형성되어 그 반송축의 회전에 따라 현상제를 축방향으로 반송하는 나선형상의 현상제 반송부와, 상기 반송축과 대향하는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벽면으로부터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현상제를 저장하는 저장실과,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고, 상기 현상 위치에서 열린 상태가 되는 판상의 개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체에 유지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담지체의 현상 위치에 대향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하는 상기 현상 위치에 위치될 때의 그 개폐 부재의 하단부에, 상기 개폐 부재의 회동 중심이 되는 개폐 지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과 직접 관계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각 색의 현상기(12)를 구비하는 회전식 현상 장치(10)가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01)의 요부(要部)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01)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의해 기록 용지 등의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 방식은 소위 2 성분계의 현상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트리클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트리클 방식이란, 현상제 카트리지(80)에 토너와 캐리어를 미리 혼합한 현상제를 수용하여 현상제 카트리지(80)로부터 토너와 캐리어를 동시에 현상기(12)로 공급하는 동시에, 잉여된 현상제를 배출하여 현상제의 열화를 방지하는 방식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01)는 상담지체로서의 드럼형의 전자 사진 감광체, 즉 감광체 드럼(102)이 도면 중의 화살표(R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화살표(R1)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102)의 표면은 대전부(帶電部)(도시 생략)에 의해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체 드럼(102)은 노광부(露光部)(도시 생략)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광 등을 조사(照射)하여 노광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02)에 정전(靜電) 잠상을 형성한다. 이 정전 잠상을 회전식 현상 장치(10)의 현상기(12)에 의해 현상하고, 감광체 드럼(102) 위에 토너상을 형성한다.
회전식 현상 장치(10)는 중심 부분에 회전체(11)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11)는 블랙용 현상기(12K), 옐로용 현상기(12Y), 마젠타용 현상기(12M), 시안(cyan)용 현상기(12C)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회전체(11)의 회전축은 모터, 기어 기구 등의 구동부(도시 생략)에 의해, 화살표(R2)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후 각 색을 구별하는 경우는 부호의 뒤에, Y, M, C, K 중 어느 하나를 붙이고, 각 색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Y, M, C, K를 생략한다.
또한, 감광체 드럼(102) 위에 블랙의 토너상을 형성할 때는, 회전체(11)를 회전시켜 감광체 드럼(102)과 근접하는 현상 위치(P1)(도 2 참조)에 블랙용 현상기(12K)를 배치하여 현상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옐로의 토너상을 형성할 때는, 회전체(11)를 화살표(R2) 방향으로 약 90°회전하고 현상 위치(P1)에 옐로용 현상기(12Y)를 배치하여 현상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마젠타, 시안의 토너상을 형성할 경우에는, 약 90°씩 회전체(11)를 화살표(R2)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현상 위치(P1)에 현상기(12M, 12C)를 배치하여 현상을 행한다.
이와 같이, 감광체 드럼(102)에 순서대로 각 색 토너상을 형성하고, 그때마다 중간 전사체(轉寫體)(도시 생략)에 전사한다. 그리고, 중간 전사체에 각 색 토 너상이 중첩되어 풀 컬러 토너상이 되고, 이 중간 전사체 위의 풀 컬러 토너상은 일괄하여 기록 용지(도시 생략) 등에 전사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기(12)가 감광체 드럼(102)에 현상하는 위치가 현상 위치(P1)이다. 또한, 현상 위치(P1)로부터 화살표(R2) 방향으로 90° 회전한 위치가 위치(P2)이며, 마찬가지로, 위치(P2)로부터 90°회전한 위치가 위치(P3), 위치(P3)로부터 90°회전한 위치가 위치(P4)이다. 그리고, 위치(P4)로부터 90°회전한 위치가 현상 위치(P1)이다. 또한, 도 2는 간략화해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현상기(12)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현상기(12) 단체(單體)의 도면의 어느 것이나 현상 위치(P1)(도 2 참조)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기(12)는 제 1 실(20), 제 2 실(22), 제 3 실(24)의 세 개로 구분되어 있다. 제 1 실(20)과 제 2 실(22), 제 2 실(22)과 제 3 실(24)은 연통(連通)되어 있다. 또한, 제 3 실(24)에는 현상제 카트리지(80)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20), 제 2 실(22), 제 3 실(24)은 현상제 카트리지(80)로부터 공급된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진 현상제로 충전되어 있다.
제 1 실(20)에는, 현상 롤(28)과 제 1 교반 반송 오거(30)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실(22)에는, 제 2 교반 반송 오거(40)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실(24)에는 보급용 오거(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각 도면에 수직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환언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는 막대 형상의 현상 롤(28), 제 1 교반 반송 오거(30), 제 2 교반 반송 오거(40), 보급용 오거(50)가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28)은 현상 위치(P1)에, 감광체 드럼(102)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도 2 참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28)은 케이스(13)의 횡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고, 기어 기구(도시 생략)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28)은 슬리브 내에 자석을 내포하는 마그넷 롤러이다. 따라서, 현상 롤(28)은 현상제에 포함되는 캐리어를 자력(磁力)에 의해 흡착하여 자기(磁氣) 브러시를 형성하는 동시에 캐리어에 토너가 흡착된다. 그리고, 층 규제 부재(29)에 의해 현상 롤(28) 위에 현상제가 층 형성된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28)과 평행하게 제 1 교반 반송 오거(30)와 제 2 교반 반송 오거(40)가 배치되어, 케이스(13)의 횡측벽에 축 지지되어 있다. 이 제 1 교반 반송 오거(30), 제 2 교반 반송 오거(40)의 샤프트(32, 42)의 단부에는 기어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제 1 교반 반송 오거(30)와 제 2 교반 반송 오거(40)가 현상 롤(28)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교반 반송 오거(30)의 샤프트(32)의 외주에는 현상제 반송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현상제 반송부(34)는 나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교반 반송 오거(40)의 샤프트(42)의 외주에는 현상제 반송부(44)가 형성되어 있다. 현상제 반송부(44)는 상기 현상제 반송부(34)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나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 롤(28)의 회전에 따라, 제 1 교반 반송 오거(30), 제 2 교반 반송 오거(40)가 회전하면, 제 1 교반 반송 오거(30)는 현상제를 화살표(A)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교반하여 현상 롤(28)에 현상제를 공급한다. 또한, 제 2 교반 반송 오거(40)는 화살표(B) 방향(화살표(A)와 반대 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면서 교반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3)에는 제 1 교반 반송 오거(30)와 제 2 교반 반송 오거(40) 사이를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즉 제 1 실(20)과 제 2 실(22)을 구획하는 구획판(14)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구획판(14)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순회구(巡廻口)(14A, 14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교반 반송 오거(30)에서 교반 반송된 현상제가 순회구(14A)를 통해서 제 2 실(22)에 반송되고, 제 2 교반 반송 오거(40)에서 교반 반송된 현상제가 순회구(14B)를 통해서 제 1 실(20)에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즉, 구획판(14)을 경계로 현상제가 순환한다.
또한, 제 1 교반 반송 오거(30), 제 2 교반 반송 오거(40), 각각의 현상제의 반송 방향측의 단부에는 현상제 반송부(34, 44)와는 반대로 감겨있는 현상제 역방향 반송부(36, 46)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역방향 반송부(36, 46)는 현상제 반송부(34, 44)의 피치보다 좁게 되어 있는 동시에, 경사 각도도 현상제 반송부(34, 44)보다 작다. 따라서, 현상제의 반송 능력은 현상제 반송부(34, 44)보다 낮다. 또한, 제 1 교반 반송 오거(30)의 현상제 반송부(34)와 제 2 교반 반송 오거(40) 현상제 반송부(44)는 거의 동일한 반송 능력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단부에 현상제 역방향 반송부(36, 46)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스(13)의 횡측벽에 현상제가 가압되지 않고, 현상제 반송부(34, 44)와 현상제 역방향 반송부(36, 46)의 경계부에서 현상제가 체류한다. 그리고, 양단부의 순회구(14A, 14B)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구획판(14)을 경계로 현상제가 제 1 실(20)과 제 2 실(22) 사이를 원활하게 순환한다.
또한,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교반 반송 오거(40)의 현상제 반송부(44)의 반송 방향 하류측 단부측의 세 번 감긴 부분(44L)만 외경(外徑)을 약간 크게 하여(본 실시예에서는 약 0.5mm 크게), 현상제의 반송력을 높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교반 반송 오거(40)와 평행하게 보급용 오거(50)가 횡측벽에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보급용 오거(50)와 제 2 교반 반송 오거(40) 사이에는 구획판(16)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급용 오거(50)의 상부에는, 즉 제 3 실(24)의 상부에는 현상제 카트리지(80)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80)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내부가 수용실(82)과 회수실(84)로 구분되어 있다. 수용실(82)의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반송 부재(99)가 있고, 이 반송 부재(99)의 회전 운동에 의해 현상제를 보급구(86)로부터 제 3 실(24)로 보급하도록 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급된 현상제는 보급용 오거(50)에 의해 반송되어, 구획판(16)에 형성된 공급구(16A)로부터 제 2 실(22)로 보급된다. 또한, 화상 형성시의 화상 밀도에 따라, 제어부(도시 생략)가 제 3 실(24)의 보급용 오거(50) 를 회전시켜 현상제를 제 2 실(22)에 보급한다.
도 4, 도 5의 (a),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24)은 제 2 교반 반송 오거(40)의 현상제 반송부(44)의 반송 방향(화살표(B) 방향) 하류측 단부의 바로 앞까지로 되어 있고, 제 1 실(20), 제 2 실(22)보다 짧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짧아진 부분은 저장실(62)로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저장실(62)의 상부는 현상제 카트리지(80)의 회수실(84)(도 8 참조)과 연통되어 있다.
도 7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교반 반송 오거(40)의 현상제 반송부(44)와 현상제 역방향 반송부(46)의 경계부에 대향하는 내벽면, 즉 저장실(62)(도 5의 (a)와 5의 (b) 참조)과 제 2 실(22)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판(16)에는, 배출구(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7, 도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구(64)와 제 2 교반 반송 오거(40) 사이에는, 판상의 개폐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부재(60)는 현상 위치(P1)에서의 개폐 부재(60)의 하단부에 형성된 회동축(61)을 회동 중심으로 회동한다. 또한, 회동축(61)은 배출구(64)의 하단 아래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도 7, 도 9,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11)의 회전(중력 작용 방향의 변화)에 의해 자중으로 상단이 화살표(N)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함으로써 배출구(64)를 개폐한다. 또한, 현상 위치(P1)일 때는 개폐 부재(60)는 개방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9,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부재(60)는 스토퍼(68)에 닿음 으로써 소정의 각도까지 열리고 멈춘다.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부재(60)의 상단부는 접혀져 두꺼워져 있고, 상단부 쪽이 하단부보다 무거워져 있다(회동축(61)과 반대측의 단부쪽을 무겁게 하고 있음). 즉, 개폐 부재(60)의 중심(重心)은 중심(中心)보다 상방에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부재(60)의 현상제의 반송 방향(화살표(B) 방향) 상류측의 단부는 현상제의 반송 방향(화살표(B) 방향)을 향해 뾰족한 쐐기 형상이 되도록 사면(斜面)(6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사면(60A)은 배출구(64)의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대측의 단부(반송 방향의 하류측 단부)에는 배출구(64)측에 사면(60B)이 형성되어, 좌우의 단부(상류측과 하류측의 단부)는 점대칭의 형상이 되어 있다. 즉, 180°회전해도 동일 형상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회전체(11)의 회전(중력 작용 방향의 변화)에 따른 개폐 부재(60)의 개폐 동작과 잉여된 현상제의 배출구(64)로부터 배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위치(P1)에서는 개폐 부재(60)가 열려 있다. 따라서, 현상제의 수위가 소정의 높이보다 높아지려고 하면, 잉여된 현상제가 배출구(64)로부터 배출된다(도 6, 도 12, 도 17의 (a) 등도 참조). 배출구(64)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는 저장실(62)에 저장된다.
90°회전하여 위치(P2)가 되면, 개폐 부재(60)는 자중에 의해 배출구(64)를 닫는다. 따라서, 현상제가 배출구(64)로부터 저장실(62)로는 배출되지 않는다.
90°더 회전하여 위치(P3)가 되면, 중력에 의해 저장실(62)의 현상제가 현상제 카트리지(80)의 회수실(84)로 보내진다.
90°더 회전하여 위치(P4)가 되면, 개폐 부재(60)는 자중에 의해 열린다. 그러나, 배출구(64)는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현상제는 배출구(64)로부터 저장실(62)로는 배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90°더 회전하면 원래의 현상 위치(P1)가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현상 위치(P1)에, 도 6, 도 12,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교반 반송 오거(40)에 의해 화살표(B)의 방향으로 현상제가 보내져, 화살표(M)로 나타낸 바와 같은 흐름으로, 잉여된 현상제가 배출구(64)로부터 저장실(62)로 배출된다.
이때,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부재(6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단이 열리고, 하단측이 배출구(64)의 하단부를 향한 경사면(60D)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배출되는 현상제를 경사면(60D)이 배출구(64)로 유도한다. 따라서, 현상제가 원활하게 배출된다. 환언하면, 개폐 부재(60)는 배출구(64)의 개폐와 현상제를 배출구(64)로 유도하는 가이드의 양쪽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교반 반송 오거(40)의 현상제 반송부(44)의 반송 방향 하류측 단부측의 세 번 감긴 부분(44L)은 외경을 약간 크게 하여, 세 번 감긴 부분(44L)과 구획판(16)의 간격을 좁게 하고 있으므로, 구획판(16)의 보다 가까이 있는 현상제를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상제의 반송력을 높이고 있으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구(64)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현상제 반송부의 전역에 걸쳐 외경을 크게 하면, 반송력은 보다 높아진다. 그러나, 현상제 반송부의 전역에 걸쳐 구획판(내벽면)과 간격이 좁아진다. 이 때문에, 제 2 교반 반송 오거의 휘어짐, 또는 현상제 반송부의 외경의 성형 정밀도(공차) 등에 의해 구획판(내벽면)과 마찰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현상제의 배출에 효과가 큰 세 번 감긴 부분(44L)만의 외경을 크게 함으로써, 구획판(16)(내벽면)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현상제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반송부(44)의 외경을 크게 했지만,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번 감긴 부분(44L)에 대향하는 구획판(16A)을 근접시켜, 구획판(16A)과의 간격을 좁게 해도 된다. 이때,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16B)을 설치하여 단차(段車)를 없애는 편이 현상제가 보다 원활하게 흐르므로 적합하다.
또한,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부재(60)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는, 반송 방향을 향해 뾰족한 쐐기 형상이 되도록 사면(6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 중의 화살표(M)와 화살표(m)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가 개폐 부재(60)의 반송 방향 상류측 단부에 맞닿아 막혀서 체류하지 않고, 잘라지듯 구분되어 원활하게 반송되어 배출구(64)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사면(60A)은 배출구(64)와 반대측에 형성되어, 배출구(64)측의 면은 평면이다. 이 때문에,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부재(60)가 닫힌 상태에서는, 화살표(m)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판(16)(배출구(64))과 반대측에 현 상제가 흐른다. 이 때문에, 현상제의 흐름이 개폐 부재(60)를 밀어 열지 않고, 오히려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적합하다.
또한, 사면(60A)은 예각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반대측의 단부(반송 방향의 하류측 단부)는 배출구(64)측으로 경사(60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좌우의 단부(상류측과 하류측의 단부)는 점대칭의 형상이며, 180°회전해도 동일 형상이 된다. 따라서, 개폐 부재(60)를 180°회전시켜 설치해도, 즉 좌우를 반대로 설치해도, 마찬가지로 상류측의 단부가 배출구(64)와 반대측이 사면이 된다. 따라서, 조립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개폐 부재(60)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는 현상제가 체류하지 않고 원활하게 반송되도록, 반송 방향을 향해 서서히 좁아져 가는(단면이 서서히 작아져 가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와 (b), 도 15의 개폐 부재(160)와 같이,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계단부(160A)가 형성된 구성이라도 된다. 이 경우도, 반대측의 단부는 점대칭의 계단부(160B)가 형성되어, 좌우를 반대로 설치해도 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a)로부터 도 17의 (c)에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기(12)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가 개폐 부재(60)를 닫도록 덮여지므로, 개폐 부재(60)가 원활하게 닫힐 수 있다.
또한, 도 13, 도 1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부재(60)는 상단부(회동축(61)과 반대측)가 접혀져 무거워져 있어, 중심(重心)은 중심(中心)보다 상방(회동축(61)과 반대측)에 있다. 이 때문에, 개폐 부재(60)의 개폐 동작이 보다 원활 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현상 위치(P1)에서 개폐 부재(6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개폐 부재의 중심(重心)을 중심(中心)보다 상방으로 하는 구성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의 구성이라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에 추(162)를 설치해도 된다. 또는, 상부 베이스(260A)가 하부 베이스(260B)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개폐 부재(260)라도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현상제의 배출이 원활하게 안정되어 있으므로, 배출을 원활하게 안정시키기 위해, 배출구(64)의 높이를 높게 하거나 개폐 부재(60)의 개폐 스트로크를 크게 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현상기가 대형화되지 않는다. 또한, 개폐 부재(60)의 개폐 스트로크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고 있으므로, 회전 동작에 따라 쓸데없는 현상제가 배출될 일도 없다(현상제가 과잉 배출되지 않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례를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변형을 취득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와 실용성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성과 여러 변형예에 의해 의도되는 특별한 용도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이해시킨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청구항과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기를 대형화하지 않고 배출구로부터의 현상제의 배출을 안정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현상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반송축,
    상기 반송축의 외주(外周)에 형성되어 그 반송축의 회전에 따라 현상제를 축방향으로 반송하는 나선형상의 현상제 반송부,
    상기 반송축과 대향하는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벽면으로부터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현상제를 저장하는 저장실 및,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고, 상담지체(像擔持體)의 현상 위치에서 열린 상태가 되는 판상(板狀)의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체에 유지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상담지체의 현상 위치에 대향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하는 상기 현상 위치에 위치될 때의 그 개폐 부재의 하단부에, 상기 개폐 부재의 회동 중심이 되는 개폐 지점(fulcrum)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개폐 부재의 회동 중심이 되는 상기 개폐 지점측과 반대측의 단부(端部)가 상기 개폐 부재의 회동 중심이 되는 상기 개폐 지점측보다 무거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3. 현상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반송축,
    상기 반송축의 외주에 형성되어 그 반송축의 회전에 따라 현상제를 축방향으로 반송하는 나선형상의 현상제 반송부,
    상기 반송축과 대향하는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벽면으로부터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현상제를 저장하는 저장실 및,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고, 상담지체의 현상 위치에서 열린 상태가 되는 판상의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부재에는, 상기 개폐 부재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서 상기 배출구의 방향과 반대쪽인 면에 상기 반송 방향을 향해 단면이 좁아지는 정류부(整流部)가 형성되고,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체에 유지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상담지체의 현상 위치에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정류부 자체는 사면(斜面)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정류부 자체는 계단부(階段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의 형상이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정류부를 180°회전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축은 상기 현상제 반송부의 단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반송부와는 역방향의 나선형상의 현상제 역방향 반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축은 상기 현상제 반송부의 단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반송부와는 역방향의 나선형상의 현상제 역방향 반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반송부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대응하는 상기 배출구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상기 내벽면의 내경을, 그 반송 방향 상류측보다 더 상류측의 상기 내벽면의 내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배출구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의 상기 현상제 반송부와 상기 내벽면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반송부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대응하는 상기 배출구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상기 내벽면의 내경을, 그 반송 방향 상류측보다 더 상류측의 상기 내벽면의 내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배출구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의 상기 현상제 반송부와 상기 내벽면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011157A 2006-02-06 2007-02-02 현상기 KR100887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7993 2006-02-06
JP2006027993A JP5181421B2 (ja) 2006-02-06 2006-02-06 現像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225A KR20070080225A (ko) 2007-08-09
KR100887222B1 true KR100887222B1 (ko) 2009-03-06

Family

ID=3833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157A KR100887222B1 (ko) 2006-02-06 2007-02-02 현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09080B2 (ko)
JP (1) JP5181421B2 (ko)
KR (1) KR100887222B1 (ko)
CN (2) CN1015616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9553B2 (ja) * 2005-09-08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43708B2 (ja) * 2008-11-25 2014-07-09 三星電子株式会社 現像装置、イメージング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035747B2 (ja) * 2012-01-16 2016-1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5925240B2 (ja) * 2014-04-18 2016-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搬送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47883B2 (ja) * 2014-05-13 2016-01-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搬送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204286B2 (ja) * 2014-07-17 2017-09-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2051114A (ja) * 2020-09-18 2022-03-31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 狭窄部を備えた現像剤搬送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978A (ja) * 1994-06-05 1995-12-22 Ricoh Co Ltd 回転型現像装置
JPH09218575A (ja) * 1996-02-09 1997-08-19 Fuji Xerox Co Ltd 回転式現像装置
JP2000105494A (ja) 1998-07-30 2000-04-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072642A (ja) 2000-09-05 2002-03-12 Konica Corp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14578A (ja) 2001-07-31 2003-04-18 Canon Inc 現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71979A (ja) * 1991-06-20 1992-12-24 Fujitsu Ltd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H09236985A (ja) * 1996-02-29 1997-09-09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JP3690117B2 (ja) * 1998-02-13 2005-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
JP3859101B2 (ja) * 1998-03-06 2006-12-20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00112229A (ja) 1998-09-30 2000-04-21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US6597881B2 (en) * 2000-10-16 2003-07-2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258611A (ja) * 2001-02-27 2002-09-11 Fuji Xerox Co Ltd 回転式現像装置
JP2003323028A (ja) 2002-04-30 2003-11-14 Canon Inc 回動型現像体及び画像形成装置
US6987940B2 (en) * 2002-04-30 2006-01-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JP4012041B2 (ja) * 2002-10-31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04325849A (ja) * 2003-04-25 2004-11-18 Canon Inc 現像装置
JP2005099134A (ja) * 2003-09-22 2005-04-14 Canon Inc 現像装置
JP4525167B2 (ja) * 2004-05-14 2010-08-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回収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63292A (ja) * 2004-12-10 2006-06-22 Ricoh Co Ltd 現像装置
US7502578B2 (en) * 2005-02-28 2009-03-10 Kyocera Mita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apparatus
JP4789553B2 (ja) * 2005-09-08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62419B2 (ja) * 2006-02-14 2012-0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978A (ja) * 1994-06-05 1995-12-22 Ricoh Co Ltd 回転型現像装置
JPH09218575A (ja) * 1996-02-09 1997-08-19 Fuji Xerox Co Ltd 回転式現像装置
JP2000105494A (ja) 1998-07-30 2000-04-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072642A (ja) 2000-09-05 2002-03-12 Konica Corp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14578A (ja) 2001-07-31 2003-04-18 Canon Inc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83813A1 (en) 2007-08-09
JP2007206587A (ja) 2007-08-16
CN100547496C (zh) 2009-10-07
KR20070080225A (ko) 2007-08-09
US7509080B2 (en) 2009-03-24
CN101561647B (zh) 2011-08-24
JP5181421B2 (ja) 2013-04-10
CN101561647A (zh) 2009-10-21
CN101017351A (zh)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5867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7801466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87222B1 (ko) 현상기
US8295737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7013907B2 (ja) 粉体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機械装置
KR100757819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20120117650A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JP6986228B2 (ja) 粉体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1324157B1 (en) Developer recovery container
JP5824954B2 (ja) シャッター開閉機構及び現像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5305127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7669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442186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081367B2 (ja) 現像装置
JP5803413B2 (ja) シャッター開閉機構及び現像剤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
JP4534581B2 (ja) 現像装置
JP6618740B2 (ja) 搬送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525158B2 (ja) 現像装置
JP2007163959A (ja) 回転式現像装置
JP2023074258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6118637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58243B2 (ja) 現像器及びそれを利用し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8190243A (ja) 現像装置
JP5343632B2 (ja)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5308906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