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603B1 -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603B1
KR100884603B1 KR1020070045017A KR20070045017A KR100884603B1 KR 100884603 B1 KR100884603 B1 KR 100884603B1 KR 1020070045017 A KR1020070045017 A KR 1020070045017A KR 20070045017 A KR20070045017 A KR 20070045017A KR 100884603 B1 KR100884603 B1 KR 100884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buffer
driving power
unit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462A (ko
Inventor
이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04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603B1/ko
Priority to US12/005,954 priority patent/US20080278201A1/en
Publication of KR2008009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using a chain of active delay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 H03K2005/00019Variable delay
    • H03K2005/00058Variable delay controlled by a digital setting
    • H03K2005/00065Variable delay controlled by a digital setting by current control, e.g. by parallel current contro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 H03K2005/0015Layout of the delay element
    • H03K2005/00195Layout of the delay element using FET's
    • H03K2005/00221Layout of the delay element using FET's where the conduction path of the different output FET's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different gate control, e.g. having different sizes or thresholds, or coupled through different 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 변경 시에도 버퍼 출력신호의 크로스 포인트 및 듀티 싸이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고주파 구동이 가능한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원전압과 접지전압을 구동전원으로 인가받아 입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버퍼부; 복수의 구동전원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 및 접지전압에 의한 소싱 전류 및 싱킹 전류의 공급량을 가변하여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칭부; 및 상기 다수의 스위칭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소싱 전류 및 상기 싱킹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2 버퍼부를 구비하는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가 제공된다.
크로스 포인트, 듀티 싸이클, PN 비율, 로딩 저항, ODT 칼리브리션

Description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BUFFERING BLOCK OF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 내 버퍼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버퍼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과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 내 버퍼장치의 출력노드에서의 아이다이아그램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FS 조건에서의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출력 아이다이아그램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 내 버퍼장치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0 : 제1 구동전원 공급부
260 : 제2 구동전원 공급부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정 변경 시에도, 크로스 포인트 및 듀티 싸이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고주파 구동이 가능한 반도체소자 내 버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는 실리콘 웨이퍼 가공 기술 및 로직 설계 기술을 비롯한 제반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제조되고 있다. 반도체제조 공정의 최종 산물은 플라스틱 패키지 형태의 칩이며, 그것은 사용 목적에 따른 차별화된 로직 및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반도체 칩은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인쇄회로기판(PCB) 등에 장착되며, 그 칩을 구동하기 위한 적절한 구동 전압을 공급받게 된다.
반도체 메모리를 비롯한 모든 반도체 소자들은 특별한 목적을 가진 신호들의 입/출력에 의해 동작한다. 즉, 입력 신호들의 조합에 의해 그 반도체 소자의 동작여부 및 동작 방식이 결정되며, 출력 신호들의 움직임에 따라 그 결과물이 출력된다. 한편, 어떤 반도체 소자의 출력 신호는 동일 시스템 내의 다른 반도체 소자의 입력 신호로 사용될 것이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신호들을 버퍼링하여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 내 버퍼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버퍼장치는 입력신호(IN)를 버퍼링하여 출력신호(OUT)로 출력하기 위한 짝수개의 인버터가 직렬 연결되어 구현된 다.
참고적으로, 출력노드에 접속된 커패시터(C1)는 출력노드에 접속되는 로드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한편, 랜덤 데이터를 입력신호(IN)로 인가할 때 출력노드의 신호를 아이다이아그램으로 도시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출력신호(OUT)가 원하는 듀티 싸이클(Duty Cycle) 및 크로스 포인트(Cross Point)를 가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50%의 듀티 싸이클과 중간 레벨(Center Level)의 크로스 포인트를 얻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버퍼장치 내 인버터를 이루는 PMOS트랜지스터와 NMOS트랜지스터의 싸이즈 비율(pn ratio)을 조정한다.
만약, DRAM의 출력신호(OUT)의 크로스 포인트가 틀어지게 되면, 그만큼 타이밍 마진이 줄어들기 때문에 출력신호(OUT)의 듀티 싸이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에는 주파수가 높지 않아 상대적으로 공정변화에 따른 듀티 싸이클 변화가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별다른 조치 없이, PN 싸이즈를 최적화하여 크로싱 포인트와 듀티 싸이크를 맞추었다.
하지만, 동작 주파수가 높아지고 타이밍 마진이 점점 줄어들게 되면 이러한 방식은 더 이상 효과적이지 못하다. 특히 SF 혹은 FS와 같은 조건에서는 TT대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틀어지기 때문에 PN 싸이즈 조절만으로는 효과를 거두기가 힘들다. 다시 언급하면, 이렇게 결정된 사이즈를 통해서 SS(Slow PMOS트랜지스터-Slow NMOS트랜지스터),TT(Typical PMOS트랜지스터-Typical NMOS트랜지스터),FF(Fast PMOS트랜지스터-Fast NMOS트랜지스터) 조건에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 다. 그러나, SF(Slow PMOS트랜지스터-Fast NMOS트랜지스터) 혹은 FS(Fast PMOS트랜지스터-Slow NMOS트랜지스터) 조건에서는 PMOS트랜지스터와 NMOS트랜지스터의 특성이 서로 반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고정된 PN 비율로는 크로스 포인트를 중간 레벨에 맞출 수 없다. 특히, 종래의 경우, 짝수개의 인버터를 체인 형태로 연결 사용하여 FS/SF 공정 조건에서 그 틀어지는 정도가 상쇄되는 것을 활용하였으나, 현재와 같이 고주파의 구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쇄되기 부족하다.
그러므로, 전술한 종래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공정의 변화 시, 버퍼 장치의 출력신호(OUT)가 갖는 듀티 싸이클 및 크로스 포인트가 영향을 받아 어긋나는 일이 발생한다. 특히, SF나 FS 조건에서는 틀어지는 정도가 심해, 고주파 구동을 보장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정 변경 시에도 버퍼 출력신호의 크로스 포인트 및 듀티 싸이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고주파 구동이 가능한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원전압과 접지전압을 구동전원으로 인가받아 입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버퍼부; 복수의 구동전원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 및 접지전압에 의한 소싱 전류 및 싱킹 전류의 공급량을 가변하여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칭부; 및 상기 다수의 스위칭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소싱 전류 및 상기 싱킹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2 버퍼부를 구비하는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버퍼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을 구동전원으로 인가받아 입력신호(IN)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부(220)와, 복수의 구동전원신호(PCODE<0:N-1>, NCODE<0:N-1>)에 응답하여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제1 및 제2 구동전원(VDD_PU, VSS_PD)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40, 260)와, 버퍼부(220)의 출력을 반전하여 자신의 출력신호(OUT)로 출력하되, 제1 및 제2 구동전원(VDD_PU, VSS_PD)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인버터(I1)를 구비한다.
그리고 버퍼부(220)는 전원전압과 접지전압을 인가받아 입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해, 직렬 연결된 복수의 인버터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240, 260)는 복수의 풀업-구동전원신호(PCODE<0:N-1>)에 응답하여 전원전압(VDD)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제1 구동전원(VDD_PU)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구동전원 공급부(240)와, 복수의 풀다운-구동전원신호(NCODE<0:N-1>)에 응답하 여 접지전압(VSS)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제2 구동전원(VSS_PD)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구동전원 공급부(260)를 포함한다.
제1 구동전원 공급부(240)는 전원전압(VDD)의 공급단과 제1 구동전원(VDD_PU)의 공급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며, 해당 풀업-구동전원신호(PCODE<0:N-1>)에 응답하여 액티브되는 제1 내지 제N PMOS트랜지스터(PM1, PM2, PM3, …)를 구비한다. 이때, 제1 내지 제N PMOS트랜지스터(PM1, PM2, PM3, …)의 싸이즈는 동일하거나, 서로 배수의 관계를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제2 구동전원 공급부(260)는 제2 구동전원(VSS_PD)의 공급단과 접지전압(VSS)의 공급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며, 해당 풀다운-구동전원신호(NCODE<0:N-1>)에 응답하여 액티브되는 제1 내지 제N NMOS트랜지스터(NM1, NM2, NM3, …)를 구비한다. 이때, 제1 내지 제N NMOS트랜지스터(NM1, NM2, NM3, …)의 싸이즈는 동일하거나, 서로 배수의 관계를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제1 및 제2 구동전원(VDD_PU, VSS_PD)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인버터(I1)를 적어도 포함하여, 버퍼부(220)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력노드에 접속된 커패시터(C2)는 출력노드에 접속되는 로딩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WN은 NMOS트랜지스터의 싸이즈이며, WP는 PMOS트랜지스터의 싸이즈를 나타낸다. 특히, X, WN, 및 WP는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최적화된 값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는 복수의 인버터 체인 중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I1)는 출력신호(OUT)의 크로싱 포인트 및 듀티 싸이클을 조절할 수 있는 능동형이다. 즉, 능동형 인버터(I1)는 복수의 풀업-구동전원신호(PCODE<0:N-1>)와 풀다운-구동전원신호(NCODE<0:N-1>)에 의해 조절된 구동전원(VDD_PU, VSS_PD)을 인가받는다. 따라서, 풀업-구동전원신호(PCODE<0:N-1>)와 풀다운-구동전원신호(NCODE<0:N-1>)를 통해 구동전원(VDD_PU, VSS_PD)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출력신호(OUT)가 갖는 크로싱 포인트 및 듀티 싸이클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신호(OUT)가 느려진 경우에는 풀업-구동전원신호(PCODE<0:N-1>) 및 풀다운-구동전원신호(NCODE<0:N-1>)의 활성화 수를 늘려주어 로딩 저항을 줄여준다. 또한, 빠른 경우에는 풀업-구동전원신호(PCODE<0:N-1>) 및 풀다운-구동전원신호(NCODE<0:N-1>)의 활성화 수를 줄여주어 로딩 저항을 늘려준다. 이와 같이, 로딩저항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제1 및 제2 구동전원(VDD_PU, VSS_PD)을 공급하는 구동력이 조절되어 공급량이 조절된다. 참고적으로, 풀업-구동전원신호(PCODE<0:N-1>) 및 풀다운-구동전원신호(NCODE<0:N-1>)에 의해 제어받는 제1 내지 제N PMOS트랜지스터(PM1, PM2, PM3, …) 및 NMOS트랜지스터(NM1, NM2, NM3, …)가 갖는 싸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원하는 로딩 저항을 값는 PMOS트랜지스터 또는 NMOS트랜지스터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정의 변화 시에도, 로딩 저항값의 조절을 통한 보상으로, 크로싱 포인트가 중간 레벨을 가지며, 50%의 듀티 싸이클을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과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 내 버퍼장치의 출력노드에서의 아이다이아그램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SF 조건에서의 출력 아이다이아그램을 비교한다. 참고적으로, 좌편에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버퍼장치가 갖는 아이다이아그램을 도시했으며, 우편에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버퍼 장치가 갖는 아이다이아그램을 도시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F 조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이다이아그램의 크로스 포인트가 종래보다 중간레벨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는 FS 조건에서의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출력 아이다이아그램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FS조건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아이다이아그램(우편에 도시됨.)의 크로스포인트가 종래의 경우(도면의 좌편에 도시됨.) 보다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 내 버퍼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입력신호(IN)를 버퍼링하기 위해 직렬 연결되며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을 구동전원으로 인가받는 버퍼부(220)와, 입력된 ZQ-저항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풀업-구동전원신호 및 풀다운-구동전원신호(PCODE<0:N-1>, NCODE<0:N-1>)를 생성하기 위한 ZQ 칼리브레이션 블록(520)과, 복수의 풀업-구동전원신호(PCODE<0:N-1>)에 응답하여 전원전압(VDD)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제1 구동전원(VDD_PU)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구동전원 공급부(240)와, 복수의 풀다운-구동전원신호(NCODE<0:N-1>)에 응답하여 접지전압(VSS)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제2 구동전원(VSS_PD)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구동전원 공급 부(260)와, 버퍼부(220)의 출력을 반전하여 자신의 출력신호(OUT)로 출력하되, 제1 및 제2 구동전원(VDD_PU, VSS_PD)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인버터(I1)를 구비한다.
여기서, ZQ 칼리브레이션 블록(520)은 ZQ패드(540)에 접속된 ZQ저항(240Ω)에 대응되는 풀업-구동전원신호(PCODE<0:N-1>) 및 풀다운-구동전원신호(NCODE<0:N-1>)를, 외부 칩셋에서 인가하는 ZQC 커맨드에 응답하여 초기 구동 시와 일정 주기 간격으로 생성하는 블록이다. 이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DDRⅡ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스펙에는 디디알 메모리 장치에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의 임피던스(impedance)를 조정할 수 있는 Off Chip Driver(이하 OCD라 함) 조정 컨트롤(calibration control)이라는 개념이 있다. OCD 조정 컨트롤은 칩셋등의 외부장치에서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메모리 장치의 출력드라이버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해서, 출력드라이의 임피던스를 현재 시스템에서 최적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JEDEC의 디디알Ⅱ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스펙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장치의 출력드라이버에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해야 한다. 또한, ODT(On Die Termination)라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온다이 터미네이션이라고 해서 메모리 장치가 보드등에 집적될 때에 출력단 저항값을 조절하여 데이터 신호가 임피던스 불일치 없이 다음 칩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ZQC 커맨드에 응답하여 출력드라이버의 임피던스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코드값을 생성하기 위해 추가된 블록이 ZQ 칼리브레이션 블록(520)이다. 그리고 ZQ 칼리브레이션 블록에 의해 계산된 임피던스-조정코드, 자체가 공정변화를 보상해주는 역할을 갖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버퍼장치 내 PN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값을 이용하여, 전형적인(Typical) 조건 대비 느린 경우에서는 많은 수의 MOS 트랜지스터를 턴온 시킨다. 그리고 빠른 경우에는 작은 수의 MOS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킴으로써, 공정조건에 맞게 적절히 PN 비율이 가변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버퍼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보면, ZQ 칼리브레이션 블록(520)를 더 포함하며, 이에 의한 출력값을 풀업-구동전원신호(PCODE<0:N-1>) 및 풀다운-구동전원신호(NCODE<0:N-1>)으로 사용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종래 SF, FS 공정조건에서 최종 출력신호(OUT)의 크로스 포인트 및 듀티 싸이클이 틀어지는 문제를, 로딩 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액티브 가변형 인버터를 더 포함하므로서 공정변화를 보상한다. 따라서, 고속동작하는 DRAM의 타이밍 마진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공정변화에 대해 듀티 싸이클이 틀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회로에 대한 것으로 DRAM의 출력 드라이버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로딩 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액티브 가변형 인버터를 더 포함하므로서 공정변화를 보상하여, 일정한 크로스포인트 및 듀티싸이클을 가져, 고속동작하는 DRAM의 타이밍 마진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6)

  1. 전원전압과 접지전압을 구동전원으로 인가받아 입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버퍼부;
    복수의 구동전원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 및 접지전압에 의한 소싱 전류 및 싱킹 전류의 공급량을 가변하여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칭부; 및
    상기 다수의 스위칭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소싱 전류 및 상기 싱킹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2 버퍼부
    를 구비하는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위칭부는,
    복수의 풀업-구동전원신호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소싱 전류의 공급량을 가변하여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1 스위칭부와,
    복수의 풀다운-구동전원신호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싱킹 전류의 공급량을 가변하여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스위칭부는 각각,
    전원전압단과 상기 제2 버퍼부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풀업-구동전원신호 중 해당 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PMOS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배수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스위칭부는 각각,
    접지전압단과 상기 제2 버퍼부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풀다운-구동전원신호 중 해당 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NMOS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배수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해 직렬 연결된 복수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9. 제1 전원전압과 제2 전원전압을 구동전원으로 인가받아 입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버퍼수단;
    외부에서 인가된 ZQ-저항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임피던스-조정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ZQ 칼리브레이션 블록;
    상기 제1 및 제2 임피던스-조정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원전압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제1 및 제2 구동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원를 인가받고, 상기 제1 버퍼수단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2 버퍼수단
    을 구비하는 반도체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ZQ-저항은 외부 패드에 접속된 240Ω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복수의 제1 임피던스-조정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원전압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제1 구동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구동전원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임피던스-조정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원전압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제2 구동전원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구동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전원전압의 공급단과 상기 제1 구동전원의 공급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임피던스-조정코드 중 해당 코드에 응답하여 액티브되는 제1 내지 제N P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PMOS트랜지스터의 싸이즈는 동일하거나, 서로 배수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2 구동전원의 공급단과 상기 제2 전원전압의 공급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임피던스-조정코드 중 해당 코드에 응답하여 액티브되는 제1 내지 제N N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NMOS트랜지스터의 싸이즈는 동일하거나, 서로 배수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수단은,
    상기 입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해 직렬 연결된 복수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KR1020070045017A 2007-05-09 2007-05-09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KR100884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017A KR100884603B1 (ko) 2007-05-09 2007-05-09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US12/005,954 US20080278201A1 (en) 2007-05-09 2007-12-28 Buffering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017A KR100884603B1 (ko) 2007-05-09 2007-05-09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462A KR20080099462A (ko) 2008-11-13
KR100884603B1 true KR100884603B1 (ko) 2009-02-19

Family

ID=3996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017A KR100884603B1 (ko) 2007-05-09 2007-05-09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278201A1 (ko)
KR (1) KR100884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1590B2 (en) 2010-07-08 2013-06-25 SK Hynix Inc. Calibrating resistance for integrated circu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9219B2 (en) * 2008-11-26 2011-06-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de range delay cell
JP5397571B2 (ja) * 2011-05-11 2014-01-22 富士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
KR102125449B1 (ko) * 2014-03-12 2020-06-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트레이닝 방법을 수행하는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US11489518B2 (en) * 2021-03-05 2022-11-01 Qualcomm Incorporated Inverter-based delay element with adjustable current source/sink to reduce delay sensitivity to process and supply voltage vari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303A (ko) * 1998-09-19 2000-04-15 김영환 출력 버퍼 회로
KR20030034460A (ko) * 2001-10-23 2003-05-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 버퍼
KR20050064897A (ko) * 2003-12-24 200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종단회로의 저항 값에 따라 입력버퍼의 이득을 조절할 수있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입력버퍼의 이득조절 방법
KR20060011495A (ko)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입력버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9283A (ja) * 2000-05-26 2001-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遅延回路およびそのための半導体回路装置
JP2002064150A (ja) * 2000-06-05 2002-02-2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DE10245536B4 (de) * 2002-09-30 2005-02-03 Infineon Technologies Ag Kalibrieren von Halbleitereinrichtungen mittels einer gemeinsamen Kalibrierreferenz
US6859082B2 (en) * 2002-10-07 2005-02-22 Agilent Technologies, Inc. Balanced programmable delay element
JP2005038546A (ja) * 2003-07-17 2005-02-10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6924660B2 (en) * 2003-09-08 2005-08-02 Rambus Inc. Calibration methods and circuits for optimized on-die termination
US6980020B2 (en) * 2003-12-19 2005-12-27 Rambus Inc. Calibration methods and circuits for optimized on-die termination
US7227391B2 (en) * 2004-04-28 2007-06-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system
KR100596781B1 (ko) * 2004-04-28 2006-07-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 다이 터미네이션의 종단 전압 조절 장치
KR100532972B1 (ko) * 2004-04-28 2005-12-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 다이 터미네이션 임피던스 조절 장치
KR100670685B1 (ko) * 2005-03-31 2007-0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출력 드라이버
JP4259485B2 (ja) * 2005-04-28 2009-04-30 エプソントヨコム株式会社 圧電発振回路
JP4916699B2 (ja) * 2005-10-25 2012-04-18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Zqキャリブレーション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半導体装置
JP5143370B2 (ja) * 2006-03-23 2013-02-13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遅延制御回路
US7705647B2 (en) * 2006-06-14 2010-04-27 Qualcomm Incorporated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US7459930B2 (en) * 2006-11-14 2008-12-02 Micron Technology, Inc. Digital calibration circuits, devices and systems including same, and methods of operation
KR100879783B1 (ko) * 2007-06-26 2009-01-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 다이 터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메모리장치
US7573288B2 (en) * 2007-09-17 2009-08-11 Micron Technology, Inc. Dynamically adjusting operation of a circuit within a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303A (ko) * 1998-09-19 2000-04-15 김영환 출력 버퍼 회로
KR20030034460A (ko) * 2001-10-23 2003-05-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 버퍼
KR20050064897A (ko) * 2003-12-24 200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종단회로의 저항 값에 따라 입력버퍼의 이득을 조절할 수있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입력버퍼의 이득조절 방법
KR20060011495A (ko)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입력버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1590B2 (en) 2010-07-08 2013-06-25 SK Hynix Inc. Calibrating resistance for integrated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78201A1 (en) 2008-11-13
KR20080099462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951B1 (ko) 캘리브래이션 회로, 온 다이 터미네이션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279933B2 (en) Output driver circuit
US8508251B2 (en)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on-die termination structures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nd termination methods performed in the semiconductor devices
KR100670653B1 (ko) 반도체 소자의 출력 드라이버
KR100744004B1 (ko)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및그의 구동방법
US7863927B2 (en) Semiconductor device
US8476937B2 (en) Input buffer circuit capable of adjusting variation in skew
US20130076395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070126477A1 (en) Output driver f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KR100884603B1 (ko) 반도체소자의 버퍼장치
US6177810B1 (en) Adjustable strength driver circuit and method of adjustment
US7902885B2 (en) Compensated output buffer for improving slew control rate
US7868667B2 (en) Output driving device
US7919988B2 (en) Output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640782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543203B1 (ko) 유효 데이타 윈도우의 조절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타 출력 버퍼
US8749266B2 (en) Data output circuit responsive to calibration code and on die termination code
US20130162314A1 (en) Signal out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10131368A (ko) 반도체 장치
US20060279340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2011135436A (ja) 半導体装置
KR20050073982A (ko) 반도체 장치에서의 출력 드라이버
KR20040048036A (ko) 슬루레이트 조정이 이루어지는 반도체메모리장치의데이터출력버퍼회로
US10693436B2 (en) Impedance adjusting circuit and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the same
KR102214629B1 (ko) 오프 칩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