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300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300B1
KR100884300B1 KR1020070036005A KR20070036005A KR100884300B1 KR 100884300 B1 KR100884300 B1 KR 100884300B1 KR 1020070036005 A KR1020070036005 A KR 1020070036005A KR 20070036005 A KR20070036005 A KR 20070036005A KR 100884300 B1 KR100884300 B1 KR 10088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rding medium
body frame
main body
image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952A (ko
Inventor
야스히데 사이토
유키노리 세자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04Handling of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16Special arrangement of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38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 G03G2215/014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ver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수용되어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수용되어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上面) 배출부로 배출하는 배출 기구와, 상기 배출부의 상부(上部)에 설치되어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배출부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 판독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 측에서 보아 상기 배출부의 옆쪽 및 뒤쪽이 개방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 프레임, 배지 트레이, 급지 카세트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도 7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본체 프레임
14 : 커버체 44 : 배지(排紙) 트레이
46 : 급지 카세트 200 : 화상 판독 장치
202 : 누름판 204 : 원고대
206 : 자동 원고 공급 장치 208 : 판독 바
210 : 조작부 212 : 주사 구동 기구
300 : 제 1 지주부 302 : 제 2 지주부
304 : 전장품(電裝品) p : 기록 용지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화상 판독 장치가 배열 설치되고,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가 화상 판독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본체 프레임의 상면(上面)으로 배출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감광체(상담지체(像擔持體))나 중간 전사 벨트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용지(기록 매체)에 전사(轉寫)·정착(定着)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가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 또한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가 화상 판독 장치의 조작 패널(조작부)이 설치되어 있는 측(사용자 측)으로부터 본체 프레임의 상면의 배지(排紙) 트레이로 배출되는 것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4-184982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0-92275호 공보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기록 매체가 뒤쪽(사용자 반대측)으로부터 앞쪽(사용자 측)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지 트레이의 앞쪽이 개방되어 있으며, 기록 매체를 취출하는 작업성은 양호하지만, 뒤쪽으로 기록 매체의 반송로가 배치되 고, 이 반송로에서 기록 매체가 막혔을 때의 기록 매체의 제거 작업의 작업성이 나쁘다. 일본국 공개특허평6-135615호 공보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기록 매체가 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이 반송로에서 기록 매체가 막혔을 때의 기록 매체의 제거 작업의 작업성은 양호하지만, 배지 트레이의 뒤쪽이 막혀 있기 때문에, 배지 트레이 위에 배출된 기록 매체를 취출할 때의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4-279691호 공보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배지 트레이의 뒤쪽에 랙(rack)선반의 벽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기록 매체의 최대 길이보다도 배지 트레이의 깊이를 짧게 할 수 없어, 장치의 깊이를 짧게 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장치의 깊이를 최대한 짧게 하려고 하여, 배지 트레이의 깊이를 사용하는 기록 매체의 최대 길이와 동등하게 하면, 배지 트레이 위의 기록 매체를 앞쪽으로부터 취출할 때에, 기록 매체를 바로 옆으로 수평 이동시키지 않으면 기록 매체를 취출할 수 없어,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무리하게 기록 매체를 취출하려고 하면, 기록 매체의 모서리가 구부러지거나 또는 접히거나 할 우려가 있다.
화상 판독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상류 측에 배열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배출된 기록 매체를 취출할 때의 작업성이나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에는 향상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수용되어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수용되어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 배출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배출부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 판독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 측에서 보아 상기 배출부의 옆쪽 및 뒤쪽이 개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상기의 형태에 의해, 기록 매체가 본체 프레임 내에서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후, 배출부에 의해 본체 프레임의 상면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의 배출부의 상부에 설치된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해, 원고의 화상이 판독된다.
또한, 화상 판독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배출부의 기록 매체 배출 방향의 상류 측에 설치되고, 조작부 측에서 보아 배출부의 옆쪽이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부 측에 선 사용자는, 배출부에 배출된 기록 매체를 옆쪽으로 어긋나게 하여 취출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 측에서 보아 배출부의 뒤쪽도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기록 매체의 최대 길이보다도 배출부의 깊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배출부의 뒤쪽이 개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장치의 깊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의 깊이를, 사용하는 기록 매체의 최대 길이와 동등 이하로 한 경우에도, 배출부 위의 기록 매체를 조작부 측으로부터 취출할 때에, 기록 매체를 바로 옆뿐만 아니라, 뒤쪽 및 조작부 측으로 이동시킬지라도 기록 매체를 취출할 수 있 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장치를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상류 측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본체 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생길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화상 판독 장치가, 기록 매체 배출 방향 상류 측에 있어서, 화상 판독 장치와 본체 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생길 수 있도록, 지지부에 의해 본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 측에 선 사용자가 이 공간을 통하여 본체 프레임의 상면을 볼 수 있고,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배출된 기록 매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배출된 기록 매체를 취출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은 거의 수평 방향이며, 상기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과 수평 방향에 있어서 직교하는 방향을 제 1 방향으로 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一端) 측을 제 1 단부, 상기 제 1 방향의 타단(他端) 측을 제 2 단부로 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 측에 배열 설치된 제 1 지지부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의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 1 방향의 일단 측에 배열 설치된 제 1 지지부에 의해, 화상 판독 장치가 본체 프레임에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 배출 방향 상류 측, 또한 제 1 방향의 제 2 단부 측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과 화상 판독 장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조작부 측에 선 사용자가 이 공간을 통하여 본체 프레임의 상면을 볼 수 있 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중심(重心)을 상기 제 1 단부 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제 1 지지부가 화상 판독 장치의 제 1 방향의 제 1 단부 측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지지부에는 화상 판독 장치의 중량에 의한 벤딩 모멘트(bending moment)가 가해진다. 그러나, 화상 판독 장치의 중심이 제 1 방향의 제 1 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지지부에 가해지는 벤딩 모멘트가 저감된다. 이것에 의해, 화상 판독 장치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고,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한 원고의 화상 판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상기 제 1 방향의 제 2 단부 측에 배열 설치된 제 2 지지부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제 1 단부 측에 배열 설치된 제 1 지지부와, 제 2 단부 측에 배열 설치된 제 2 지지부에 의하여, 화상 판독 장치가 본체 프레임에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 배출 방향 상류 측, 또한 제 1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과 화상 판독 장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조작부 측에 선 사용자가 이 공간을 통하여 본체 프레임의 상면을 볼 수 있다.
또한, 화상 판독 장치의 제 1 방향의 양단 측을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제 1 지지부, 제 2 지지부에 가해지는 벤딩 모멘트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판독 장치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고,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한 원고의 화상 판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상류 측의 단부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방(上方)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기록 매체 배출 방향 상류 측의 조작부의 단부를 본체 프레임의 상방에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조작부가 조작부 측에 선 사용자 측으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본체 프레임과 화상 판독 장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본체 프레임의 상면을 보았을 경우에, 본체 프레임의 상면이 보이는 범위가 넓어진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배출된 기록 매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쉬워지며, 기록 매체를 취출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이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하류 측의 단부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한 부재(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하류 측의 단부를, 상기 부재의 상방에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은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하류 측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재가 있으며, 상기 부재의 상방에 화상 판독 장치의 기록 매체 배출 방향 하류 측의 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부재의 돌출량만큼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가 넓혀져 있으며, 화상 판독 장치는 설치 스페이스가 넓혀진 범위 내에서 기록 매체 배출 방향 하류 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가 조작부 측에 선 사 용자 측으로부터 후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본체 프레임과 화상 판독 장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본체 프레임의 상면을 보았을 경우에, 본체 프레임의 상면이 보이는 범위가 넓어진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배출된 기록 매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쉬워지며, 기록 매체를 취출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저부(底部)를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저부보다도 상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조작부의 저부가 화상 판독 장치의 저부보다도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본체 프레임과 화상 판독 장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본체 프레임의 상면을 보았을 경우에, 본체 프레임의 상면이 보이는 범위가 넓어진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배출된 기록 매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쉬워지며, 기록 매체를 취출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제 1 방향의 제 1 단부 근방에 배열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화상 판독 장치가 본체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타(他)단부보다도 제 1 단부 근방에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부 측에 선 사용자가 화상 판독 장치의 제 1 방향의 제 2 단부 측으로부터 본체 프레임의 상면을 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배출된 기록 매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를 취출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상기 제 1 방향의 제 2 단부 측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배출된 기록 매체의 상기 제 1 방향의 제 2 단부 측보다도 제 1 단부 측에 배열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조작부 측에 선 사용자가 화상 판독 장치의 제 1 방향의 제 2 단부 측으로부터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배출된 기록 매체를 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배출된 기록 매체를 보면서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를 취출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제 1 단부 측을 상기 조작부 측에서 보아 좌측, 상기 제 1 방향의 제 2 단부 측을 상기 조작부 측에서 보아 우측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조작부 측으로부터 장치를 보아 우측에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대부분이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대하여 기록 매체를 취출하는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체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상류 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의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체가 조작부와 같은 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프레임에 수용된 화상 형성부 등의 보수, 교환과, 화상 판독 장치의 조작을 같은 방향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에 반송되는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체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상류 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체의 본체 프레임으로부터의 인출구가 조작부와 같은 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체의 인출, 압입의 조작과, 화상 판독 장치의 조작을 같은 방향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에 전장(電裝) 부품을 수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형태에 의하면, 제 1 지지부 내에 전원 기판이나 컨트롤 기판 등의 전장 부품을 배열 설치함으로써,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마다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는, 부호의 뒤에 「Y」, 「M」, 「C」, 「K」의 영자(英字)가 첨부되어 있는 것이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exemplary embodiment)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상담지체(감광체)(photo receptor)(20) 및 현상 유닛(16)을 착탈(着脫) 가능하게 수용하는 본체 프레임(12)과, 상담지체(20) 및 현상 유닛(16), 또한 후술하는 정착 장치(38)를 개방·폐색(閉塞)하는 커버체(14)를 갖고 있다. 커버체(14)에 기록 용지(P)를 흡착 반송 가능한 반송 벨트(34) 등을 구비한 반송 유닛(18)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커버체(14)는 장치 전면(前面)을 개방·폐색하는 전면 커버부(14A)와, 장치 상면(上面)을 개방·폐색하는 상면 커버부(14B)에 의해 구성되고, 측면으로부터 보아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현상 유닛(16)에는, 롤러 형상의 상담지체(20)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帶電)하는 대전 롤러(22)와,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담지체(20)에 화상광을 조사(照射)하고, 정전 전위의 차에 의한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광학 박스(24)와, 잠상에 토너를 선택적으로 전이(轉移)하여 가시화하는 현상 롤러(26)와, 토너상이 전사된 후의 상담지체(20)에 슬라이딩 접합하고, 그 상담지체(20)에 잔류하는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부재(28)가 구비되어 있다.
상담지체(20)는 표면(둘레면)에 감광체층을 가지며, 대전 롤러(22)에 의해, 그 표면(둘레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 후, 광학 박스(24)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화상광)에 의해, 그 표면(둘레면)을 노광시킨다. 노광된 부분의 전위가 감쇠(減衰)함으로써 정전 잠상(화상)이 감광체층에 형성된다. 또한, 대전 롤러(22)는 상담지체(20)에 맞닿아, 이들 간에 전압이 인가되고, 맞닿음부 부근의 미소 간극(間隙) 내에서 방전이 발생됨으로써,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을 거의 균일하게 대전한다.
광학 박스(24)는 점멸(占滅)하는 레이저광을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에 주사시키고,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정전 잠상을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 위에 형성한다. 또한, 광학 박스(24)로서는 LED 등의 발광 소자를 배열하고, 이들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점멸시키는 것 등이 생각된다.
현상 롤러(26)는 상담지체(20)와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이 현상 롤러(26)와 상담지체(20) 사이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현상 롤러(26)와 상담지체(20) 사이에는 현상 바이어스 전계(電界)가 형성되고, 전하 를 갖는 토너가 상담지체(20) 위의 노광된 부분에 전이하여 가시상을 형성한다.
한편, 반송 유닛(18)은 적어도 구동 롤러(30)와 종동(從動) 롤러(32)에 걸쳐진 반송 벨트(34)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반송 벨트(34)의 내면 측에서,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전사 롤러(36)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각 색에 대응하여 4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전사 롤러(36)는 커버체(14)가 닫힐 때(커버체(14)를 본체 프레임(12) 측으로 회동하여 상담지체(20) 등을 폐색했을 때), 반송 벨트(34)를 사이에 두고 상담지체(20)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담지체(20)와의 사이에 전사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반송 벨트(34)에 흡착되어 통과하는 기록 용지(P) 위에 상담지체(20) 표면의 토너상(미(未)정착 화상)을 전사시킨다.
또한, 반송 유닛(18)은 기록 용지(P)의 반송 경로를 사이에 두고 종동 롤러(32)와 대향한 대전 롤러(3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대전 롤러(35)는 기록 용지(P), 반송 벨트(34)를 종동 롤러(32)와 삽입하는 동시에, 기록 용지(P)를 대전하여 반송 벨트(34)의 흡착 반송면에 정전 흡착시킨다.
또한, 반송 유닛(18)은 반송 벨트(34)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84)를 구비하고 있다. 클리닝부(84)는 반송 벨트(34)와 커버체(14) 사이에 설치된 회수 박스(86)와, 회수 박스(86)에 지지되고, 선단부(先端部)를 반송 벨트(34)에 맞닿도록 한 블레이드(88)를 구비하고 있다. 클리닝부(84)는 블레이드(88)에 의해 반송 벨트(34)에 부착된 토너나 지분(紙粉) 등을 제거하고, 제거된 토너나 지분 등을 회수 박스(86)에 집적(集積)시킨다.
또한, 반송 유닛(18)은 표면에 인쇄가 실행된 기록 용지(P)를 표리 반전시켜 반송 벨트(34)의 흡착 반송면으로 반송하는 양면 반송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양면 반송부(90)는 반송 벨트(34)와 커버체(14) 사이에서 연직(鉛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반송 롤러쌍(92)과, 반송 롤러쌍(92)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용지(P)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55)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현상 유닛(16)은 풀 컬러의 인쇄가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아래로부터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차례로 연직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현상 유닛(16Y∼16K)보다도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 하류 측(본체 프레임(12)의 상부)에는 정착 장치(3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38)는 상호 둘레면이 대향하여 소정의 압력에 의해 압접(닙(nip))되는 가열 롤러(40)와 가압 롤러(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가열 롤러(40) 및 가압 롤러(42)에 의해 기록 용지(P) 위에 전사된 미정착의 토너상을 가열·가압함으로써, 그 기록 용지(P)에 토너상을 정착한다.
또한, 정착 장치(38)(가열 롤러(40) 및 가압 롤러(42))에 의해 가열·가압되고, 토너상이 정착된 기록 용지(P)는 배지 롤러(102)에 의해 배지 트레이(44) 위로 배출된다. 그리고, 기록 용지(P)에 토너상을 전사 종료한 후,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은 클리닝 부재(28)에 의해 클리닝 처리되고, 차회(次回)의 화상 처리에 대비한다.
또한, 본체 프레임(12)의 하부에는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46)가 구비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46)는 기록 용지(P)가 송출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적절히 기록 용지(P)를 급지할 수 있다.
급지 카세트(46)의 선단부 근방에는, 급지 카세트(46) 내로부터 기록 용지(P)를 1매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쌍(48)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지 롤러쌍(48)으로부터 송출된 기록 용지(P)는 레지스트 롤러쌍(45)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서 반송 벨트(34)의 흡착 반송면으로 송출되고, 각 색의 토너상의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12)의 상부에는 화상 판독 장치(200)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판독 장치(200)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거의 사각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정면 측(사용자 측)으로부터 보아, 본체 프레임(12)의 좌우 단부에 세워 설치하는 제 1 지주부(300)와 제 2 지주부(302) 위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지주부(300) 내에는 전원 기판이나 컨트롤 기판 등의 전장품(304)이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지주부(300) 내의 스페이스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화상 판독 장치(200)는 누름판(202), 원고대(204), 자동 원고 공급 장치(206), 판독 바(208), 조작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판(202)은 화상 판독 장치(2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고대(204)는 누름판(202)의 아래에 설치되고, 상면에 원고를 탑재 배치하는 투명한 플래튼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자동 원고 공급 장치(206)는 누름판(202)의 상부에 설치되고, 판독 바(208)는 원고대(204)의 하방에 설치되어 원고대(204)에 탑재 배치된 원고를 판독하는 CCD 등으로 이루어진다. 조작부(210)는 화상 판독 장치(200)의 앞쪽에 설치된다. 판독 바(208)는 정면 측으로부터 뒤쪽으로 가늘고 길다. 또한, 판독 바(208)는 주사 구동 기구(212)에 의해, 화살표 W 방향으로 주사되고, 원고대(204)에 탑재 배치된 원 고의 화상을 판독한다. 또한, 조작부(210)의 상면에는 조작키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조작키가 조작됨으로써, 화상 판독 장치(200)에 의한 원고의 판독의 개시, 정지가 실행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본체 프레임(12) 내에 있어서, 기록 용지(P)가 조작부(210) 측(정면 측 또는 사용자 측)에서 종방향(수직 방향)으로 반송되어 배지(排紙) 트레이(44) 위의 조작부(210)의 반대 측(뒤쪽)으로 배출된다. 또한, 배지 트레이(44)는 화상 판독 장치(200)의 바로 아래에 있으며, 본체 프레임(12)의 장치 앞쪽은, 배지 트레이(44)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이, 기록 용지(P)의 배출 방향 상류 측에서 본체 프레임(12)과 화상 판독 장치(200) 사이가 막혀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배지 트레이(44) 위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배지 트레이(44) 위에 배출된 기록 용지(P)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어, 작업성이 나쁘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화상 판독 장치(200)를 본체 프레임(12)에 세워 설치된 제 1 지주부(300)와 제 2 지주부(302) 위에 부착함으로써, 화상 판독 장치(200)와 본체 프레임(12) 사이에 공간(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 1 지주부(300)와 제 2 지주부(302)를 각각, 본체 프레임(12)의 조작부(210) 측(사용자 측)으로부터 보아 좌측(이하, 좌측이라고 함) 단부 및 우측(이하, 우측이라고 함) 단부에 배열 설치하고, 공간(1)을 넓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공간(1)을 통하여 배지 트레이(44) 위를 보아 배지 트레이(44) 위에 배출된 기록 용지(P)를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본체 프레임(12)의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체(14)가 화상 판독 장치(200)의 조작부(210)와 같은 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프레임(12)에 내장된 유닛의 보수, 교환과, 화상 판독 장치(200)의 조작을 같은 방향으로부터 행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급지 카세트(46)의 본체 프레임(12)으로부터의 인출구가 조작부(210)와 같은 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급지 카세트(46)의 인출, 압입의 조작과, 화상 판독 장치(200)의 조작을 같은 방향으로부터 행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여기서 조작부(210) 측(사용자 측)으로부터 보아 배지 트레이(44)의 뒤쪽이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기록 용지(P)의 최대 길이보다도 배지 트레이(44)의 깊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배지 트레이(44)의 뒤쪽이 개방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장치의 깊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지 트레이(44)의 깊이를, 사용하는 기록 용지(P)의 최대 길이와 동등 이하로 했을 경우에도, 배지 트레이(44) 위의 기록 용지(P)를 조작부(210) 측으로부터 취출할 때에, 기록 용지(P)를 바로 옆뿐만 아니라, 뒤쪽 및 조작부(210) 측으로 이동시켜도 기록 용지(P)를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정면 측에서 보아, 본체 프레임(12)의 좌측 단부에 제 1 지주부(300)가 세워 설치되고, 이 제 1 지주부(300) 위에 화상 판독 장치(200)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지주부(300) 내에는 전원 기판이나 컨트롤 기판 등의 전장품(304)이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지주부(300) 내의 스페이스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화상 판독 장치(200)를 본체 프레임(12)에 세워 설치된 제 1 지주부(300) 위에 부착함으로써, 화상 판독 장치(200)와 본체 프레임(12) 사이에 공간(11)을 형성하고, 또한 제 1 지주부(300)를 본체 프레임(12)의 사용자 측의 좌단에 배열 설치하고, 공간(11)을 제 1 실시예의 공간(1)보다도 넓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공간(11)을 통하여 배지 트레이(44) 위를 보았을 때에 보이는 범위가 넓어지며, 배지 트레이(44) 위에 배출된 기록 용지(P)를 보다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210)가 본체 프레임(12)의 사용자에 대한 단부 위치보다도 사용자 측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210)의 저면이 화상 판독 장치(200)의 저면보다도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공간(11)을 통하여 배지 트레이(44) 위를 보았을 경우, 보이는 범위가 넓어지며,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프레임(12)의 뒤쪽으로부터 급지 카세트(46)의 뒤쪽이 돌출되어 있으며, 그만큼 화상 형성 장치(10)의 설치 스페이스가 확대되어 있지만, 화상 판독 장치(200)의 뒤쪽의 단부가 이 확대된 스페이스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화상 판독 장치(200)가 급지 카세트(46)에 의해 뒤쪽으로 확대된 스페이스 분만큼 뒤쪽으로 후퇴되어 있으며,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공간(11)을 통 하여 배지 트레이(44) 위를 보았을 경우에 보이는 범위가 더 넓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더 양호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판독 장치(200)의 뒤쪽의 단부를 본체 프레임(12)의 뒤쪽 단부보다도 뒤쪽 또한 급지 카세트(46)의 뒤쪽의 단부보다도 사용자 측으로 했지만, 급지 카세트(46)의 뒤쪽의 단부와 일면(一面)으로 할 수도 있다.
그런데, 화상 판독 장치(200)에서는 판독 바(208)의 홈 포지션(대기 위치)이 좌측에 설정되고, 또한 자동 원고 공급 장치(206)가 좌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좌측으로 중심이 치우쳐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판독 장치(200)의 중심이 치우친 좌측의 단부를 제 1 지주부(300)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제 1 지주부(300)에 가해지는 벤딩 모멘트를 저감시키고, 화상 판독 장치(200)의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를 억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화상 판독 장치(200)에 의한 원고의 화상 판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대부분이 오른손잡이이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의 우측을 개방함으로써 대부분의 사용자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10)에서는, 화상 판독 장치(200)가 본체 프레임(12) 위에 직접 탑재되어 있다. 화상 판독 장치(200)는 장치 우측의 단부가 본체 프레임(12)의 우측 단부보다도 좌측에 오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화상 판독 장치(200)의 장치 우측으로부터 배지 트레이(44) 위를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10)에서는, 기록 용지(P)가 우측으로 접근하여 배지 롤러(102)까지 반송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으로 접근시켜 배열 설치된 배지 롤러(102)에 의해, 배지 트레이(44) 위에 배출된다.
화상 판독 장치(200)의 우측의 단부가 배지 트레이(44) 위에 배지되는 기록 용지(P)의 우측 단부보다도 좌측에 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배지 트레이(44) 위에 배지된 모든 사이즈의 기록 용지(P)를 화상 판독 장치(200)의 우측으로부터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20)에서는, 화상 판독 장치(200)가 본체 프레임(12) 위에 직접 탑재 배치되고, 우측 단부가 본체 프레임(12)의 우측 단부보다도 좌측에 오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화상 판독 장치(200)의 우측으로부터 배지 트레이(44) 위를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a),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20)에서는, 배지 롤러(102)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지 롤러(102)가 기록 용지(P)를 삽입 반송하고 있는 도중에, 우측으로 시프트된다. 이것에 의해, 기록 용지(P)는 배지 롤러(102)까지 반송된 후에 우측으로 시프트 되고, 배지 트레이(44) 위에 배출된다.
여기서, 화상 판독 장치(200)의 우측 단부는 배지 롤러(102)까지 직진하고 있는 최소 사이즈의 기록 용지(P)의 우측 단부보다도 우측에 오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배지 롤러(102)에 의해 우측으로 시프트된 최소 사이즈의 기록 용지(P)의 우측 단부보다는 좌측에 오도록 되어 있다.
즉, 기록 용지(P)는 배지 롤러(102)에 의해, 배지 트레이(44) 위의 사용자로부터 보여지는 범위로 시프트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지지부로서의 제 1 지주부(300), 제 2 지주부(302)를, 기록 용지(P)의 배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 측에 배열 설치했지만, 조작부(210) 측으로부터 배지 트레이(44)가 보이는 위치이면 되고, 기록 용지(P)의 배출 방향 하류 측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제 4 실시예에서는 배지 트레이(44) 위의 기록 용지(P)가 조작부(210) 측으로부터 보이도록 되어 있으며, 배지 트레이(44) 위로부터 기록 용지(P)를 취출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그러나, 기록 용지(P) 자체가 조작부(210) 측으로부터 보이지 않아도, 배지 트레이(44)가 조작부(210) 측으로부터 보이면, 기록 용지(P)가 배지 트레이(44) 위의 보이지 않는 범위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배지 트레이(44) 위의 기록 용지(P)가 조작부(210) 측으로부터 보이는 것은 필수적이 아니라, 배지 트레이(44)가 조작부(210) 측으로부터 보이는 것만으로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30)에서는, 조작부(210)가 본체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30)에 있어서도, 조작부(210) 측(정면 측 또는 사용자 측)으로부터 보아 배지 트레이(44)의 옆쪽 및 뒤쪽이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기록 용지(P)의 최대 길이보다도 배지 트레이(44)의 깊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배지 트레이(44)의 뒤쪽이 개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장치의 깊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지 트레이(44)의 깊이를 사용하는 기록 용지(P)의 최대 길이와 동등 이하로 한 경우에도, 배지 트레이(44) 위의 기록 용지(P)를 조작부(210) 측으로부터 취출할 때에, 기록 용지(P)를 바로 옆뿐만 아니라, 뒤쪽 및 조작부(210) 측으로 이동시켜도 기록 용지(P)를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잉크젯 기록 방식 등의 다른 방식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판독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상류 측에 배열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배출된 기록 매체를 취출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수용되어,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수용되어,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上面) 배출부로 배출하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면 측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배출하는 배출 기구와,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배출부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상류 측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정면 측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 판독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 측에서 보아 상기 배출부의 옆쪽 및 뒤쪽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과 평행한 수평 방향이며, 이 수평 방향에서 상기 배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 1 방향으로 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一端) 측을 제 1 단부로 하고, 상기 제 1 방향의 타단(他端) 측을 제 2 단부로 하고,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 상류 측에서, 상기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본체 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생길 수 있도록, 상기 화상 판독 장치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1 방향의 제 1 단부 측에 배열 설치된 제 1 지지부를 갖고,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중심(重心)이 상기 제 1 방향의 제 1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036005A 2006-09-14 2007-04-12 화상 형성 장치 KR100884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9618A JP2008072481A (ja) 2006-09-14 2006-09-14 画像形成装置
JPJP-P-2006-00249618 2006-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952A KR20080024952A (ko) 2008-03-19
KR100884300B1 true KR100884300B1 (ko) 2009-02-18

Family

ID=3918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005A KR100884300B1 (ko) 2006-09-14 2007-04-1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956879B2 (ko)
JP (1) JP2008072481A (ko)
KR (1) KR100884300B1 (ko)
CN (1) CN1011449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6508A (ja) * 2007-10-02 2009-04-23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5131785B2 (ja) 2010-08-23 2013-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14119735A (ja) * 2012-12-19 2014-06-30 Konica Minolta Inc 画像形成装置
JP6269231B2 (ja) * 2014-03-25 2018-01-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10042B2 (ja) * 2014-12-25 2018-10-24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7427981B2 (ja) * 2020-01-31 2024-0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7225A (ja) * 1992-01-17 1993-08-0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309279A (ja) * 2004-04-26 2005-11-04 Canon Inc 画像読取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6159767A (ja) 2004-12-09 2006-06-2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用ラック
KR20060091696A (ko) * 2005-02-15 2006-08-21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7372A (ja) * 1992-02-10 1993-09-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230297B2 (ja) * 1992-10-07 2001-11-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956160A (en) * 1995-04-25 1999-09-2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a printer and scanner having separate housings
JP2000092275A (ja) 1998-09-11 2000-03-3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0258971A (ja) * 1999-03-12 2000-09-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701527B2 (ja) * 1999-11-04 2005-09-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044323A (ja) * 2000-07-21 2002-02-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1249599A (ja) * 2001-01-22 2001-09-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912353B2 (ja) 2002-11-18 2007-05-09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4279691A (ja) * 2003-03-14 2004-10-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325574B2 (ja) * 2005-03-17 2009-09-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7225A (ja) * 1992-01-17 1993-08-0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309279A (ja) * 2004-04-26 2005-11-04 Canon Inc 画像読取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6159767A (ja) 2004-12-09 2006-06-2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用ラック
KR20060091696A (ko) * 2005-02-15 2006-08-21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68442A1 (en) 2008-03-20
KR20080024952A (ko) 2008-03-19
US7956879B2 (en) 2011-06-07
US8253764B2 (en) 2012-08-28
CN101144996B (zh) 2012-12-26
US20110200374A1 (en) 2011-08-18
JP2008072481A (ja) 2008-03-27
CN101144996A (zh)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32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84300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20012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disposed above a plurality of photoconductors
CN102486627B (zh) 图像形成装置、后处理装置以及电源单元
EP2437123B1 (en) Developing Devic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and Image Form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398061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40052561A1 (en) Sheet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2833443B (zh) 图像形成装置
JP5472649B2 (ja) 画像形成装置
US698568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50570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234558A (ja) 画像形成装置
KR101245139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5070638A (ja) 記録媒体搬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74371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rinting medium guide
JP5066396B2 (ja) 印字処理装置、多機能画像形成装置および単機能画像形成装置
JP2004130743A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168972A (ja) 画像読取装置
US90203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blow-off port facing bottom portion of the image scanning section
JP4894352B2 (ja) 画像形成装置
US10649385B2 (e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sheet conveying portion
JP2004091129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2210243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27024A (ja) 画像読取装置
JPH05297652A (ja) 多機能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