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714B1 - 문서 편집 장치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문서 편집 장치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714B1
KR100883714B1 KR1020070066355A KR20070066355A KR100883714B1 KR 100883714 B1 KR100883714 B1 KR 100883714B1 KR 1020070066355 A KR1020070066355 A KR 1020070066355A KR 20070066355 A KR20070066355 A KR 20070066355A KR 100883714 B1 KR100883714 B1 KR 100883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ect ratio
rectangle
text
document
attrib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367A (ko
Inventor
아츠시 나가하라
히토시 야마카도
유 구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오브젝트의 양이 바뀌어도, 거기에 따라 문서, 구체적으로는 문서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를 자동적으로 편집하는 것이다.
문서 편집 장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취득하는 오브젝트 취득 수단과, 황금비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의 범위에 있는 종횡비를 기억하는 종횡비 기억 수단과, 상기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에 기억된 종횡비인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오브젝트 편집 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문서 편집 장치 및 기억 매체{DOCUMENT EDI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문서를 편집할 때에 레이아웃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화된 텍스트(문자열) 또는 화상 등의 오브젝트(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문서를 편집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규정의 텍스트 영역에 텍스트를 배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5에서는, 인간에게 아름답다고 느껴지는, 심미성이 뛰어난, 또는 균형이 잡힌 배치로 문서를 작성 혹은 그 지원을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6에서는, 만화의 말 풍선의 크기를, 안에 들어가는 문자열에 따라서 결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02-29757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8-18003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평10-289262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평10-301980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개2000-200354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개평4-347779호 공보
여기서, 특허문헌 1∼5와 같이, 규정의 영역에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것 만으로는, 생성되는 문서의 심미성 혹은 배치의 밸런스는 배치되는 오브젝트의 양에 따라 변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6에서는 오브젝트가 편집되지 않았다. 즉, 이러한 기술에 의해서는, 오브젝트의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문서를 편집, 특히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오브젝트의 양이 변해도, 그에 따라 문서, 구체적으로는 문서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를 자동적으로 편집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텍스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취득하는 오브젝트 취득 수단과, 황금비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의 범위에 있는 종횡비를 기억하는 종횡비 기억 수단과, 상기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에 기억된 종횡비인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오브젝트 편집 수단을 갖는 문서 편집 장치를 제공한다.
이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하면,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황금비를 포함한 소정의 범위에 있는 종횡비를 갖는 사각형이 되도록, 텍스트가 편집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이 문서 편집 장치는, 상기 종횡비가
Figure 112007048455816-pat00001
또 는
Figure 112007048455816-pat00002
의 범위에 있어도 된다.
이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하면,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어떤 범위에 있는 종횡비를 갖는 사각형이 되도록, 텍스트가 편집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이 문서 편집 장치는, 상기 종횡비가,
Figure 112007048455816-pat00003
또는
Figure 112007048455816-pat00004
의 범위에 있어도 된다.
이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하면, 종횡비는, 황금비를 기준으로 한 소정의 범위가 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이 문서 편집 장치는, 상기 종횡비가
Figure 112007048455816-pat00005
또는
Figure 112007048455816-pat00006
가 되도 된다.
이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하면, 종횡비는, 황금비가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이 문서 편집 장치는, 각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텍스트의 폰트 사이트 및 행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기억한 속성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속성 취득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사각형의 사이즈가, 상기 텍스트의 문자수 및 상기 속성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 속성 정보에 의거해서 결정되어도 된다.
이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하면, 사각형의 사이즈가, 상기 텍스트의 문자수 및 상기 속성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 속성 정보에 의거해서 결정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이 문서 편집 장치는, 상기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해 편집되는 문서의 출력 단위에 상당하는 영역인 레이아웃 영역 중에서, 상기 오브젝트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영역을 한정하는 오브젝트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오브젝트 영역 취득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사각형의 사이즈가, 상기 오브젝트 영역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 영역에 들어가도록 결정되어도 된다.
이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하면, 사각형의 사이즈가, 오브젝트 영역에 들어가도록 결정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이 문서 편집 장치는, 상기 사각형을, 상기 오브젝트 영역내에 배치하는 레이아웃 결정 수단을 더 가져도 된다.
이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하면, 사각형은 오브젝트 영역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이 문서 편집 장치는, 텍스트의 폰트 사이즈 및 행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오 브젝트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속성 취득 수단과,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있어서, 긴 변 또는 짧은 변의 길이가 그 오브젝트 영역의 어느 하나의 변의 길이와 동일한 사각형인 최대 사각형을 결정하는 최대 사각형 결정 수단과, 상기 속성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 속성 정보에 따라 배치된, 상기 오브젝트에 의해 나타내는 텍스트가, 상기 최대 사각형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최대 사각형 내에 들어가는지, 또는, 상기 최대 사각형 내의 여백이 임계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최대 사각형 내에 들어가지 않거나, 또는, 상기 최대 사각형내의 여백이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오브젝트 편집 수단이, 상기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변경해도 된다.
이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하면, 최대 사각형에 적합하도록, 오브젝트가 편집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이 문서 편집 장치는,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이, 복수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종횡비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속성 정보에 의거해, 하나의 종횡비를 선택하는 종횡비 선택 수단을 갖고, 상기 오브젝트 편집 수단이, 상기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종횡비인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해도 된다.
이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종횡비 중에서 속성에 따른 종횡비가 사용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이 문서 편집 장치는,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이, 복수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상기 문서가, 상기 문서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의 배치를 나타내는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종횡비로부터, 상기 문서에 포함되는 레이아웃 정보에 의거해, 하나의 종횡비를 선택하는 종횡비 선택 수단을 갖고, 상기 오브젝트 편집 수단이, 상기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종횡비인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해도 된다.
이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종횡비 중에서 레이아웃에 따른 종횡비가 사용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이 문서 편집 장치는,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이, 복수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상기 문서가, 배경을 나타내는 배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종횡비로부터, 상기 문서에 포함되는 배경 정보에 의거해, 하나의 종횡비를 선택하는 종횡비 선택 수단을 갖고, 상기 오브젝트 편집 수단이, 상기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종횡비인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해도 된다.
이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종횡비 중에서 배경에 따른 종횡비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장치를, 텍스트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오브젝트를 취득하는 오브젝트 취득 수단과,
Figure 112007048455816-pat00007
또는
Figure 112007048455816-pat00008
의 범위에 있는 종횡비 r을 기억하는 종횡비 기억 수단과, 상기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이웃하는 3변의 길이의 비가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에 기억된 종횡비인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오브젝트 편집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에 의하면,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어떤 종횡비를 갖는 사각형이 되도록, 텍스트의 배치가 변경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되는 오브젝트의 양이 변해도, 그에 따라 문서, 구체적으로는 문서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를 자동적으로 편집하는 기술을 얻을 수 있다.
1.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문서 편집 장치(10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문서 편집 장치(100)는, 편집 대상이 되는 문서(이하 「대상 문서」라고 한다)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에 따라, 문서를 자동적으로 편집한다. 「문서」란, 레이아웃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및 레이아웃 영역에 있어서의 오브젝트의 배치를 나타내는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또 는 그 데이터에 따라서 출력된 결과물을 말한다. 「오브젝트」란, 텍스트(문자열) 혹은 화상의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그 데이터에 의해 나타나는 텍스트 혹은 화상을 말한다. 「레이아웃 영역」이란,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영역, 즉 문서의 출력 단위에 상당하는 영역, 구체적으로는, 출력되는 문서의 물리적인 경계를 말한다. 레이아웃 영역은, 예를 들면, 문서가 인쇄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종이, 하나의 페이지, 연속하는 복수의 페이지, 페이지 중 일부분의 영역, 또는 판면(版面)을 말한다.
오브젝트 취득부(101)는, 처리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를 취득한다. 오브젝트 속성 기억부(106)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서, 그 오브젝트의 속성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기억한다. 오브젝트 속성 취득부(102)는, 오브젝트 속성 기억부(106)으로부터, 처리 대상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취득한다. 종횡비 기억부(107)는, 적어도 하나의 종횡비,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황금비를 기억하고 있다. 오브젝트 편집부(104)는, 오브젝트의 외접 사각형이,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종횡비 기억부(107)에 기억된 종횡비인 사각형, 여기에서는 황금 사각형이 되도록, 적어도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한다. 레이아웃부(105)는, 편집된 오브젝트를 배치한다. 또한, 「황금 사각형」이란,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다음 식 (1)로 나타내는 비(이른바 황금비)인 사각형을 말한다. 또한, 식 (1)의 우항과 좌항과는 서로 교환되어도 된다.
Figure 112007048455816-pat00009
도 2는, 문서 편집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10)는, 문서 편집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ROM(Read Only Memory)(120)은, 문서 편집 장치(100)의 기동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장치이다. RAM(Random Access Memory)(130)은, CPU(110)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기억 장치이다. I/F(Interface)(140)는, 여러 가지 입출력 장치나 기억 장치 사이에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입출력을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HDD(Hard Disk Drive)(150)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해서, HDD(150)는, 문서의 편집을 행하는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키보드·마우스(160)는, 사용자가 문서 편집 장치(100)에 대해서 지시 입력을 행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디스플레이(170)는, 데이터의 내용 혹은 처리의 상황 등을 표시하는 출력장치이다. 네트워크 IF(180)는,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통해 접속된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문서 편집 장치(100)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 IF(180)를 통해 문서(정확하게는, 문서를 나타내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CPU(110), ROM(120), RAM(130), 및 I/F(140)는, 버스(190)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CPU(110)가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문서 편집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내는 기능 구성을 구비한다.
도 3은, 문서 편집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100에 있어서, CPU(110)는, 처리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 태에 있어서 CPU(110)는, 대상 문서에 포함된 상태로 오브젝트를 취득한다. 대상 문서는, HDD(150)에 기억되어 있다. CPU(110)는, HDD(150)로부터 대상 문서를 읽어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처리 대상의 오브젝트로서 이하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텍스트 데이터가 취득된다. 「차세대 프린터 XXX를 YY월 ZZ일에 발매합니다. 이 프린터는, 고속 인쇄를 가능하게 하며, 2way 급지나 양면 인쇄 기능에도 표준 대응하면서, 공간 절약 에너지 절약을 실현한 획기적인 제품이 되고 있습니다.」
단계 S110에 있어서, CPU(110)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오브젝트는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CPU(110)는, 취득한 오브젝트로부터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추출한다. 혹은, CPU(110)는, HDD(150)로부터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이 경우, HDD(150)는,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해, 각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또, 각 오브젝트는, 대응하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다. CPU(110)는, 처리 대상의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식별자에 의거해 대응하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취득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취득되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오브젝트 속성 정보는 복수의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고 있다. 각 데이터 세트는, 속성의 종류를 나타내는 속성 식별자와 그 속성의 값(설정값)을 포함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는, 속성 식별자로서 「행간」, 「폰트 사이즈」, 「폰트 종별」 및 「스타일」을, 이러한 속성의 값으로서 「1.5행」, 「24포인트」, 「고딕」 및 「Bold」라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속성 「 행간」은, 텍스트의 행간을 나타낸다. 속성 「폰트 사이즈」는, 폰트의 크기를 나타낸다. 속성 「폰트 종별」은 폰트의 종류를 나타낸다. 속성 「스타일」은 표시될 때의 스타일, 즉, 표준, 사체(斜體), 굵은 글씨 중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다시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단계 S120에 있어서, CPU(110)는, 황금 사각형을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처리 대상의 오브젝트를 배치했을 때에, 그 외접 도형이 황금 사각형이 되도록, 오브젝트의 배치 정보가 생성된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황금 사각형 형성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121에 있어서, CPU(110)는, 처리 대상의 오브젝트를 임시 레이아웃한다. 처리 대상의 오브젝트가 레이아웃되는 영역, 즉 레이아웃 영역은, 미리 결정되어 있다. 혹은, 레이아웃 영역은, 사용자의 지시 입력에 따라 결정되어도 된다. 혹은, 레이아웃 영역은,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CPU(110)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도 6은, 임시 레이아웃된 오브젝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레이아웃 영역 D는, 예를 들면, A4 사이즈의 크기를 갖는다. 오브젝트 영역 L은, 레이아웃 영역 D 중 일부의 영역, 이 예에서는, 처리 대상의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즉, 오브젝트 영역은, 레이아웃 영역 중,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영역을 한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오브젝트 영역 L은, 처리 대상의 오브젝트의 양(예를 들면, 텍스트의 문자수) 및 오브젝트 속성 정보에 의거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 영역 L은, 레이아웃 영역 D 중 어떤 점(예를 들면,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텍스트를 오브젝트 속성 정보에 따라 배치함으로써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는, 오브젝트의 문자열은, 오브젝트 속성 정보로 지정되는 행간, 폰트 사이즈, 폰트 종별 및 스타일로 배치된다. 이 때, 임시 레이아웃에 행간의 영향을 반영시키기 위해서, 오브젝트 영역 L은, 문자열이 복수행으로 표시되도록 결정된다. 예를 들면, 임시 레이아웃 시에 있어서 문자열은 4행에 배치된다고 하는 룰이 미리 결정되어 있다. CPU(110)는, 이 룰에 따라 문자열을 배치해, 오브젝트 영역 L을 결정한다. 임시 레이아웃은, RAM(130) 상에서 가상적으로 행해진다. 즉, 임시 레이아웃의 결과는,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지 않는다. 혹은, 임시 레이아웃의 결과는,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어도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단계 S122에 있어서, CPU(110)는, 오브젝트 영역 L의 2변의 길이, 즉 폭 w 및 높이 h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CPU(110)는, 오브젝트(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을 구한다. CPU(110)는, 얻어진 외접 사각형의 폭 및 높이를 측정한다. 이 때, CPU(110)는, 오브젝트의 주위에 미리 결정된 여백을 설치해도 된다. CPU(110)는, 여백도 포함해서 외접 사각형을 구해도 된다. 혹은, CPU(110)는, 임시 레이아웃된 텍스트가 들어가는 만큼 텍스트 박스를 설정해, 그 폭 및 높이를 구해도 된다.
단계 S123에 있어서, CPU(110)는, 다음 식 (2)에 따라 황금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 A를 산출한다.
Figure 112007048455816-pat00010
다만, 식 (2)는, 다음 식 (3)에 의거해 얻어진 것이다. 식 (3)은, 황금 사 각형과 오브젝트 영역L의 면적이 동일하다는 조건에서 유도된다.
Figure 112007048455816-pat00011
단계 S124에 있어서, CPU(110)는, 황금 사각형의 다른 변의 길이 A'를 다음 식(4)에 따라 산출한다.
Figure 112007048455816-pat00012
단계 S125에 있어서, CPU(110)는, 황금 사각형 내에 배치되도록 오브젝트를 편집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행해진다. CPU(110)는, 처리 대상의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문자를 선두로부터 차례로 배치한다. 배치된 문자의 폭이 A'에 이르면, CPU(110)는, 개행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문자열을 2행째에도 배치해, 2행째에 배치된 문자의 폭이 A'에 이르면, CPU(110)는, 다시 개행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해서, 황금 사각형에 배치된 오브젝트를 얻을 수 있다.
혹은, CPU(110)는, 높이 A, 폭 A'의 크기를 갖는 영역을 텍스트 영역 혹은 텍스트 박스로서 결정해도 된다. CPU(110)는, 텍스트 영역에,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삽입한다, 즉, 텍스트 영역 내에 들어가도록 문자를 배치함으로써 황금 사각형에 배치된 오브젝트를 얻어도 된다.
도 7은, 형성된 황금 사각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오브젝트는 황금 사각형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도 8은, 황금 사각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가로가 긴 황금 사각형을 예시했지만, 황금 사각형은 세로가 길어도 된다. 긴 변을 종횡 어느 변으로 하는지는, 미리 결정되어 있다. 혹은, 긴 변을 종횡 어느 변으로 하는지는, 사용자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혹은, 긴 변을 종횡 어느 변으로 하는지는,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CPU(110)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으로서는, 예를 들면, 레이아웃 영역 또는 오브젝트 영역의 형상에 따라 긴 변을 종횡 어느 변으로 하는지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해 설명한다. 단계 S130에 있어서, CPU(110)는, 황금 사각형에 배치된 오브젝트를, 레이아웃 영역 D에 배치한다.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위치는, 미리 결정되어 있다. 혹은,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위치는, 사용자의 지시 입력에 따라 결정되어도 된다. 처리 대상의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것으로, 문서가 편집 즉, 생성된다.
도 9는, 생성된 문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오브젝트에 따라 문서가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소정의 종횡비로서 황금비가 사용되므로, 이 배치를 아름답다고 느끼는 사람도 많다.
2.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공통의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오브젝트의 양 및 대응하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에 의거해서 황금 사각형의 크기가 변화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우선 황금 사각형의 크기가 결정되고, 다음에 황금 사각형에 적합하도록 오브젝트가 편집된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문서 편집 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오브젝트 영역 취득부(201)는, 오브젝트 영역L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 이외의 요소는 제1 실시 형태의 문서 편집 장치(100)와 공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하드웨어 구성도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문서 편집 장치(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에 나타나는 플로우가 도 3에 나타나는 플로우와 다른 점은, 단계 S110의 뒤에, 오브젝트 영역을 취득하는 처리(단계 S210)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다. 또, 황금 사각형 형성 처리(단계 S220)의 상세도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컨텐츠 속성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컨텐츠 속성 정보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속성 식별자 및 그 설정값에 덧붙여, 설정값가 취할 수 있는 범위, 설정값의 변화량(단계) 및 우선도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도는, 오브젝트를 편집할 때, 변경의 대상이 되는 속성을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우선도는,「1」이 가장 우선도가 높고, 「2」가 그 다음에 우선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또, 우선도 「-1」은, 그 속성의 설정값가 고정인 것을 나타낸다. 이 우선도에 의하면, 우선 폰트 사이즈가 변경되고 다음에 행간이 변경된다. 폰트 종별 및 스타일은 변경되지 않는다.
단계 S210에 있어서, CPU(110)는, 오브젝트 영역 L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 한다. 오브젝트 영역 L을 나타내는 정보는, 미리 HDD(150)에 기억되어 있다. 혹은, CPU(110)는, 사용자의 지시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 영역L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혹은, 오브젝트 영역 L을 나타내는 정보는, 문서 편집 장치(200) 이외의 다른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도 13은, 오브젝트 영역L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오브젝트 영역 L은, 레이아웃 영역 D에 있는 일부분을 차지한다. 예를 들면, 레이아웃 영역 D는 JIS규격 A4 사이즈의 영역이다. 또, 오브젝트 영역 L은, 레이아웃 영역 D의 중심에 위치하는, 15cm×15cm의 정사각형의 영역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황금 사각형 생성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221에 있어서, CPU(110)는, 최대 황금 사각형을 추출한다. 「최대 황금 사각형」이란, 오브젝트 영역 L 내에 들어가는 황금 사각형 중, 긴 변 또는 짧은 변의 길이가 오브젝트 영역 L의 어느 하나의 변의 길이에 동일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가로가 긴 황금 사각형을 생성하는 경우, CPU(110)는, 황금 사각형의 긴 변의 길이 A'를, 오브젝트 영역 L의 수평 방향의 변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결정한다. 즉, A'=15cm이다. 다음에, CPU(110)는, 황금 사각형의 짧은 변의 길이 A를, 식 (4)에 따라 산출한다. 이렇게 해서, 긴 변 및 짧은 변의 길이가 A' 및 A인 최대 황금 사각형을 얻을 수 있다.
단계 S222에 있어서, CPU(110)는,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문자를 최대 황금 사각형 내에 임시 레이아웃한다. 임시 레이아웃이란, 오브젝트의 속성은 그대로의 상태로 최대 황금 사각형 내에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이 예에서, 오브젝트의 폰 트 사이즈는 24포인트이며, 행간은 1.5행이다.
도 15는, 임시 레이아웃된 오브젝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임시 레이아웃한 결과,「나타낸 획기적인 제품이 되고 있습니다.」이라는 문자가 최대 황금 사각형에서 벗어나고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단계 S223에 있어서, CPU(110)는, 오브젝트가 최대 황금 사각형에 적합할지 판단한다. 오브젝트가 최대 황금 사각형에 「적합하다」란, 오브젝트의 외접 사각형과 최대 황금 사각형과의 차이가, 허용 범위내에 있는 것을 말한다. 외접 사각형이 최대 황금 사각형보다 큰 경우, 차이는 「벗어남」이며, 외접 사각형이 최대 황금 사각형보다 작은 경우, 차이는 「여백」이다. 구체적으로는, CPU(110)는,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문자가 최대 황금 사각형 내에 들어갈지 판단한다. 혹은, CPU(110)는, 최대 황금 사각형내의 여백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일지 판단해도 된다. 「여백」이란, 최대 황금 사각형중 오브젝트(본 실시 형태에서는 문자)가 차지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말한다.
오브젝트가 황금 사각형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S223: NO), 단계 S224에 있어서, CPU(110)는, 컨텐츠 속성 정보를 변경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행해진다. CPU(110)는, 컨텐츠 속성 정보(도 12)에 포함되는 우선도에 의거해서, 변경 대상이 되는 속성을 결정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가장 높은 우선도에 대응하는 속성 「폰트 사이즈」가 대상으로 선택된다. CPU(110)는, 선택된 속성의 설정값를, 1단계 감소시킨다. 컨텐츠 속성 정보는, 속성 「폰트 사이즈」의 단계가 「2」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CPU(110)는, 속성 「폰트 사이즈」의 설정값를 24포인트로부터 2포인트 감소시켜 22포인트로 변경한다. CPU(110)는, 변경된 설정값를 사용해서 컨텐츠 속성 정보를 갱신한다. 또 CPU(110)는, 속성 「폰트 사이즈」가 변경이 끝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RAM(130)에 기억한다. 단계 S225에 있어서, CPU(110)는, 갱신된 컨텐츠 속성 정보에 의거해서, 오브젝트를 다시 임시 레이아웃한다.
도 16은, 폰트 사이즈가 변경된 후의 오브젝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폰트 사이즈가 축소되었지만, 아직,「제품으로 되어 있습니다.」라는 문자의 일부가 최대 황금 사각형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해 설명한다. 다음에, 단계 S223에 있어서, CPU(110)는, 오브젝트가 최대 황금 사각형에 적합할지 판단한다.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오브젝트는 최대 황금 사각형에 적합하지 않다(단계 S223: NO). 단계 S224에 있어서, CPU(110)는, 컨텐츠 속성 정보를 변경한다. 우선도가 최대인 속성 「폰트 사이즈」에 대해서는 이미 변경이 끝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CPU(110)는, 우선도가 2번째로 높은 속성 「행간」을 변경 대상의 속성으로 결정한다. CPU(110)는, 선택된 속성의 설정값를, 1단계 감소시킨다. 컨텐츠 속성 정보는, 속성「행간」의 단계가 「0.05」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CPU(110)는, 속성「행간」의 설정값를 1.5행으로부터 0.05행 감소시켜 1.45행으로 변경한다. CPU(110)는, 변경된 설정값를 사용해 컨텐츠 속성 정보를 갱신한다. 또, CPU(110)는, 속성 「행간」이 변경이 끝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RAM(130)에 기억한다. 단계 S225에 있어서, CPU(110)는, 갱신된 컨텐츠 속성 정보를 의거해, 오브젝트를 다시 임시 레이아웃한다.
도 17은, 행간이 변경된 후의 오브젝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최대 황금 사각형 내에 오브젝트(문자열)가 들어가 있다. 즉, 오브젝트는 최대 황금 사각형에 적합하고 있다. CPU(110)는, 단계 S223에 있어서, 오브젝트 황금 사각형에 적합하고 있다고 판단해(단계 S223: YES), 도 14에 나타나는 처리를 종료한다.
다시 도 11을 참조해 설명한다. 황금 사각형을 생성하면, 단계 S130에 있어서, CPU(110)는, 오브젝트를 레이아웃한다. 이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행해진다.
이상으로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오브젝트가 황금 사각형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브젝트의 속성이 변경되어 황금 사각형에 적합하도록 오브젝트가 편집된다. 또,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 도 14의 처리, 특히 단계 S223∼S225의 루프에 있어서 처리가 수속하지 않는 경우, 어느 임계값 이상의 회수 루프했을 때에 처리가 중단되어도 된다.
3.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공통의 참조 번호를 이용해 설명한다. 이하의 변형예 중 2개 이상의 것, 또는 이하의 변형예 중 적어도 하나, 및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3-1. 변형예 1
오브젝트가 그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는 도형은, 황금 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종횡비를 갖는 사각형이면, 어떠한 사각형이 이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종횡비 r은,
Figure 112007048455816-pat00013
또는
Figure 112007048455816-pat00014
의 범위에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7048455816-pat00015
는 이른바 「백은비(白銀比)」이다. 또한 이상의 범위가 매우 적합하다라는 것은, 예를 들면 「수학 세미나」, 제42권7호, p32, 2003년 7월 발행, 일본 평론사의 기재에 의거하고 있다. 혹은, 종횡비 r은, 황금비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 범위, 예를 들면 ±10%의 범위에 있어도 된다. ±10%는, 오차의 허용 범위로서 넓게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횡비 r은 이하의 식 (5) 또는 식 (6)에서 나타내는 범위에 있어도 된다. 또 종횡비로서 황금비 이외의 비가 이용되는 경우, 식 (2)∼(4)에 있어서 황금비가 아니라 그 종횡비가 사용된다.
Figure 112007048455816-pat00016
또는
Figure 112007048455816-pat00017
3-2. 변형예 2
HDD(150)는, 복수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CPU(110)는, 복수의 종횡비 중 하나의 종횡비를, 처리에 사용하는 종횡비로서 선택한다. 종횡비의 선택은, 예를 들면 대상 오브젝트의 속성을 의거해 행해진다. 속 성이란,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a) 오브젝트의 종류(「텍스트」,「화상」 등), (b) 오브젝트의 카테고리 (「타이틀」,「서브타이틀」,「본문」,「메인 화상」,「서브 화상」 등), (c) 폰트 사이즈, (d) 폰트의 종류(「명조」,「고딕」 등), (e) 폰트의 스타일(「표준」,「굵은 글씨」,「사체」 등), (f) 오브젝트의 사이즈(면적, 문자수, 화소수 등), (g) 오브젝트의 우선도(「고」,「중」,「저」, 또는 지수 등), (h) 화상의 내용(「인물」,「풍경」,「산」,「꽃」 등), (i) 오브젝트의 형상(「삼각형」,「사각형」,「오각형」,「별형」,「타원형」 등), (j) 오브젝트의 색(평균색, 대표색 등), (k) 오브젝트와 그리드선의 관계(오브젝트가 그리드선의 위쪽에 배치되는지 아래쪽에 배치되는지, 등). 이하, 오브젝트의 속성에 따라 종횡비를 선택하는 구체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대상 오브젝트의 색에 따라서 종횡비를 선택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예에 있어서, HDD(150)는, 종횡비로서 r1=
Figure 112007048455816-pat00018
및 r2=1.618의 2개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있다. 또, HDD(150)는, 오브젝트의 속성과 종횡비를 대응시키는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이 테이블에는, (a) 오브젝트의 색이 적색, 오렌지, 황색 등 채도가 높은 난색계(暖色系)의 색일 경우에는 종횡비 r2를 이용하는 것, 및 (b) 오브젝트의 색이 녹색, 청색, 자색 등 한색계(寒色系)의 색일 경우에는 종횡비 r1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CPU(110)는, 이 테이블에 따라 종횡비를 선택한다.
오브젝트 O의 색이 난색계일 경우, 유목성(誘目性)이 높아진다. 즉, 오브젝 트가 눈에 띄므로, 종횡비로서 황금비가 채용된다. 반대로 한색계의 색은 유목성이 낮기 때문에, 종횡비로서 황금비 이외의 비율이 채용된다.
3-3. 변형예 3
HDD(150)가 복수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종횡비의 선택은 레이아웃에 의거해 행해져도 된다. 이 경우, HDD(150)는, 레이아웃과 종횡비를 대응시키는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이하, HDD(150)가, 종횡비로서 r1=
Figure 112007048455816-pat00019
및 r2=1.618의 2개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있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1) 오브젝트의 수에 따라 종횡비를 선택하는 예
이 예에 있어서, HDD(150)는, 문서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의 수와 종횡비를 대응시키는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이 테이블에는, (a) 오브젝트의 수가 임계값(예를 들면 5개) 이상인 경우에는 종횡비 r1을 사용하는 것, 및 (b)오브젝트의 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종횡비 r2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CPU(110)는, 이 테이블에 따라 종횡비를 선택한다.
(2) 오브젝트의 배치에 따라 종횡비를 선택하는 예
이 예에 있어서, 대상 문서는, 오브젝트의 개략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레이아웃 정보는, 레이아웃 영역에 있어서의 오브젝트의 개략적인 배치, 예를 들면, 「오브젝트 T1은 레이아웃 영역의 상부 l/3의 영역에 배치되고, 오브젝트 I1은 레이아웃 영역의 하반부에 배치된다」라고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 HDD(150)는, 오브젝트의 배치와 종횡비를 대응시키는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이 테이블에는, (a) 오브젝트가 레이아웃 영역의 상반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종횡비 r1을 사용하는 것, 및 (b) 오브젝트가 레이아웃 영역의 하반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종횡비 r2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CPU(110)는, 이 테이블에 따라 종횡비를 선택한다.
3-4. 변형예 4
HDD(150)가 복수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종횡비의 선택은 배경에 의거해 행해져도 된다. 이 경우, 대상 문서는, 배경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배경정보는 문서의 배경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경우, HDD(150)는, 배경과 종횡비를 대응시키는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이하, HDD(150)가, 종횡비로서 r1=
Figure 112007048455816-pat00020
및 r2=1.618의 2개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배경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종횡비를 선택하는 예
이 예에 있어서, CPU(110)는, 배경의 화상의 주파수 특성을 취득한다. CPU(110)는, 취득한 주파수 특성에서, 배경의 특징 주파수를 취득한다. 특징 주파수는, 주파수 특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주파수, 예를 들면, 강도가 임계값 이상이 되는 주파수의 경계치이다. HDD(150)는, 특징 주파수와 종횡비를 대응시키는 테이 블을 기억하고 있다. 이 테이블에는 (a) 특징 주파수가 임계값보다 낮은 고주파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종횡비 r2를 이용하는 것, 및 (b) 특징 주파수가 임계값보다 높은 고주파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종횡비 r1을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CPU(110)는, 이 테이블에 따라 종횡비를 선택한다.
특징 주파수가 저주파 영역에 있는 경우, 즉, 배경에 있어서 저주파 성분이 지배적인 경우, 배경은 간단한 화상, 또는 모양이 있었다고 해도 개략적인 모양으로 이루어진 화상이다. 이 경우, 시각적으로 오브젝트의 배치는 민감하게 인식되므로, 종횡비로서 황금비가 이용된다. 반대로, 특징 주파수가 고주파 영역에 있는 경우, 즉, 배경에 있어서 고주파 성분이 지배적인 경우, 배경은 복잡한 모양으로 이루어진 화상이다. 이 경우 시각적으로 오브젝트의 배치는 민감하게는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종횡비로서 황금비 이외의 비가 이용된다.
(2) 배경과 오브젝트의 색의 콘트라스트에 따라 종횡비를 선택하는 예
이 예에 있어서, CPU(110)는, 대상 오브젝트의 색과 배경색의 콘트라스트를 산출한다. HDD(150)는, 콘트라스트와 종횡비를 대응시키는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이 테이블에서는, (a) 콘트라스트가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종횡비 r1을 사용하는 것, 및 (b) 콘트라스트가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종횡비 r2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CPU(110)는, 이 테이블에 따라 종횡비를 선택한다.
콘트라스트가 높은 경우, 시각적으로 오브젝트의 배치는 민감하게 인식되므로, 종횡비로서 황금비가 이용된다. 반대로 콘트라스트가 낮은 경우, 시각적으로 오브젝트의 배치는 민감하게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종횡비로서 황금비 이외의 비가 이용된다.
또한 변형예 2∼4에 있어서, 복수의 종횡비로서 r1=
Figure 112007048455816-pat00021
및 r2=1.618을 예시했지만, 종횡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형예 1에서 설명한 종횡비라면, 이 것들 이외에 어떤 종횡비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 변형예2∼4로 설명한 종횡비와 속성의 관계도 어디까지나 예이며, 종횡비와 속성의 관계는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변형예 4에 있어서, 콘트라스트가 높은 경우에 황금비 이외의 비가, 콘트라스트가 낮은 경우에 황금비가 사용되어도 된다.
3-5. 변형예 5
오브젝트의 외접 다각형은, 반드시 시각적으로 오브젝트에 외접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데이터 상, 오브젝트는 어떤 영역을 가지므로, 그 영역에 외접하는 다각형이면 외접 다각형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상, 문자의 주변에 여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외접 다각형은, 여백도 포함한 영역에 외접하는 다각형이다.
3-6. 변형예 6
황금 사각형은 오브젝트를 편집할 때의 임시적인 가이드 도형이므로,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도록 표시될 필요는 반드시 없다. 그러나, CPU(110)는, 황금 사각형에 대응하는 도형을 디스플레이(170)에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CPU(110)는, 황금 사각형에 대응하는 도형으로서 사각형을, 황금 사각형과 겹쳐지도록 표시 해도 된다. 그러나, 황금 사각형과 겹쳐지도록 표시되는 도형은 직선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선분, 파선, 점, 그 외의 도형이 표시되어도 된다. 이들 도형은, 황금 사각형과 겹쳐지도록, 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3-7. 변형예 7
단계 S100에 있어서 오브젝트를 취득하는 방법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브젝트는, 대상 문서에 포함된 상태로, 즉, 대상 문서와 함께 취득되어도 된다. 또, 오브젝트는 속성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속성 정보는, 오브젝트와는 다른 데이터로서 취득 및 처리되어도 된다.
3-8. 변형예 8
오브젝트의 수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배치를 결정하는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가 하나씩인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배치를 결정하는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의 수는 복수이어도 된다. 이 경우, CPU(110)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에서 실제로 처리를 행하는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를 하나씩 차래대로 특정한다. CPU(110)는, 처리의 대상으로서 특정된 오브젝트에 대해서 상술한 실시 형태로 설명한 처리를 실시한다.
3-9. 변형예 9
문서 편집 장치의 기능 구성은 도 1에 나타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나는 기능의 일부는 생략되어도 된다. 또, 문서 편집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2에 나타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나타나는 구성의 일부는 생략되어도 된다. 특히, 키보드·마우스(160), 디스플레이(170) 및 네트워크 IF(180)는 생략되어도 된다. 이러한 기능은, 문서 편집 장치와는 다른 장치에 의해 제공되어도 된다. 또,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도 1에 나타나는 기능 구성 및 도 2에 나타나는 하드웨어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3-10. 변형예 10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오브젝트가 텍스트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예를 설명했지만, 오브젝트는 화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이어도 된다. CPU(110)는, 오브젝트로부터 트리밍에 의해 황금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화상을 잘라내어도 된다. 혹은, 오브젝트가 황금 사각형이 되도록 사이즈 변경을 해도 된다.
3-11. 변형예 11
오브젝트 영역의 크기 및 위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된다.
3-12. 다른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HDD(150)로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정보 및 파라미터의 종류는, HDD(150) 이외의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속성 정보는, 문서 편집 장치(100) 이외의 다른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문서 편집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또는 직접 접속에 의해 다른 장치로부터 속성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이 경우 문서 편집 장치(100)는 미리 속성 정보를 기억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혹은, 데이터, 정보 및 파라미터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미리 결정되어 있다」로 된 데이터, 정보 및 파라미터의 종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결정되어도 된다. 혹은, 이러한 데이터, 정보 및 파라미터의 종류는,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CPU(110)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동영상 생성 프로그램은 HDD(150)에 기억되어 있었다. 그러나, 동영상 생성 프로그램은, CD-R0M(Compact Disk Read 0nly Memory) 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의해 제공되어도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문서 편집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문서 편집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문서 편집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취득되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황금 사각형 형성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임시 레이아웃된 오브젝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형성된 황금 사각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황금 사각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생성된 문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문서 편집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문서 편집 장치(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컨텐츠 속성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오브젝트 영역 L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황금 사각형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임시 레이아웃된 오브젝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폰트 사이즈가 변경된 후의 오브젝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행간이 변경된 후의 오브젝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문서 편집 장치 101 : 오브젝트 취득부
102 : 오브젝트 속성 취득부 104 : 오브젝트 편집부
105 : 레이아웃부 106 : 오브젝트 속성 기억부
110 : CPU 120 : ROM
130 : RAM 140 : I/F
150 : HDD 160 : 키보드·마우스
170 : 디스플레이 180 : 네트워크 IF
190 : 버스 201 : 오브젝트 영역 취득부

Claims (12)

  1. 텍스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취득하는 오브젝트 취득 수단과,
    황금비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의 범위에 있는 종횡비를 기억하는 종횡비 기억 수단과,
    상기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에 기억된 종횡비인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오브젝트 편집 수단을 갖는, 문서 편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횡비가,
    Figure 112007048455816-pat00022
    또는
    Figure 112007048455816-pat00023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편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종횡비가,
    Figure 112007048455816-pat00024
    또는
    Figure 112007048455816-pat00025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편집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종횡비가
    Figure 112007048455816-pat00026
    또는
    Figure 112007048455816-pat0002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편집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텍스트의 폰트 사이즈 및 행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기억한 속성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속성 취득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사각형의 사이즈가, 상기 텍스트의 문자수 및 상기 속성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 속성 정보에 의거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편 집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서 편집 장치에 의해 편집되는 문서의 출력 단위에 상당하는 영역인 레이아웃 영역 중, 상기 오브젝트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영역을 한정하는 오브젝트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오브젝트 영역 취득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사각형의 사이즈가, 상기 오브젝트 영역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 영역에 들어가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편집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을, 상기 오브젝트 영역 내에 배치하는 레이아웃 결정 수단을 더 갖는, 문서 편집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텍스트의 폰트 사이즈 및 행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기억한 속성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속성 취득 수단과,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서, 긴 변 또는 짧은 변의 길이가 그 오브젝트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변의 길이와 동일한 사각형인 최대 사각형을 결정하는 최대 사각 형 결정 수단과,
    상기 속성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오브젝트 속성 정보에 따라 배치된, 상기 오브젝트에 의해 나타나는 텍스트가, 상기 최대 사각형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최대 사각형 내에 들어가는지, 또는, 상기 최대 사각형 내의 여백이 임계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최대 사각형 내에 들어가지 않거나, 또는, 상기 최대 사각형 내의 여백이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오브젝트 편집 수단이, 상기 오브젝트 속성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편집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이, 복수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종횡비에서, 상기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속성 정보에 의거해, 하나의 종횡비를 선택하는 종횡비 선택 수단을 갖고,
    상기 오브젝트 편집 수단이, 상기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종횡비인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편집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이, 복수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편집 대상이 되는 문서가, 상기 문서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의 배치를 나타내는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종횡비로부터, 상기 문서에 포함되는 레이아웃 정보에 의거해, 하나의 종횡비를 선택하는 종횡비 선택 수단을 갖고,
    상기 오브젝트 편집 수단이, 상기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종횡비인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편집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이, 복수의 종횡비를 기억하고,
    편집 대상이 되는 문서가, 배경을 나타내는 배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종횡비에서, 상기 문서에 포함되는 배경 정보에 의거해, 하나의 종횡비를 선택하는 종횡비 선택 수단을 갖고,
    상기 오브젝트 편집 수단이, 상기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종횡비인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편집 장치.
  12. 컴퓨터 장치를,
    텍스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취득하는 오브젝트 취득 수단과,
    황금비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의 범위에 있는 종횡비를 기억하는 종횡비 기억 수단과,
    상기 텍스트의 외접 사각형이, 서로 이웃하는 2변의 길이의 비가 상기 종횡비 기억 수단에 기억된 종횡비인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오브젝트 편집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KR1020070066355A 2006-07-05 2007-07-03 문서 편집 장치 및 기억 매체 KR100883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85941 2006-07-05
JP2006185941 2006-07-05
JPJP-P-2007-00116872 2007-04-26
JP2007116872A JP4743154B2 (ja) 2006-07-05 2007-04-26 文書編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67A KR20080004367A (ko) 2008-01-09
KR100883714B1 true KR100883714B1 (ko) 2009-02-12

Family

ID=3880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355A KR100883714B1 (ko) 2006-07-05 2007-07-03 문서 편집 장치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24502A1 (ko)
EP (1) EP1876538A3 (ko)
JP (1) JP4743154B2 (ko)
KR (1) KR100883714B1 (ko)
CN (1) CN1011015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5933B2 (ja) 2006-07-04 2011-04-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文書編集支援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337867B2 (ja) * 2006-12-01 2009-09-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文書編集支援装置、文書編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442616B2 (ja) 2007-02-14 2010-03-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文書編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321602B2 (ja) 2007-02-14 2009-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文書編集支援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356752B2 (ja) 2007-02-20 2009-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文書編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101287451B1 (ko) * 2008-09-29 2013-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질 개선을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질개선방법
CN102270193A (zh) * 2011-07-24 2011-12-07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对文档中选定区域进行可预览设置的装置及方法
CN103699520A (zh) * 2012-09-27 2014-04-02 茵弗维尔株式会社 用于维持电子文档布局的字体处理方法
US9513671B2 (en) 2014-08-01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ripheral retention device
US10191986B2 (en) 2014-08-11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b resource compatibility with web applications
US9705637B2 (en) 2014-08-19 2017-07-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uard band utilization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9524429B2 (en) * 2014-08-21 2016-12-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interpretation of character arrangements
US9805483B2 (en) 2014-08-21 2017-10-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recognition of charted data
US9397723B2 (en) 2014-08-26 2016-07-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read spectrum wireless over non-contiguous channels
US9424048B2 (en) 2014-09-15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ductive peripheral retention device
KR101663592B1 (ko) 2015-05-15 2016-10-10 (주)이륜오피스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JP7004244B2 (ja) 2017-12-27 2022-01-21 オムロ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10674618A (zh) * 2019-09-03 2020-01-10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内容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868A (ja) * 1994-02-25 1995-09-05 Hitachi Ltd 文書作成装置
JPH0997254A (ja) * 1995-09-28 1997-04-08 Kubota Corp 文書編集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1274981A (ja) 2000-03-28 2001-10-05 Toshiba Corp レイアウト画像編集装置及びレイアウト画像編集方法
JP2001281835A (ja) * 2000-02-12 2001-10-10 Adobe Syst Inc レイアウト編集システム、方法及びレイアウト編集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316B2 (ja) * 1987-10-21 2001-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文書編集装置
JPH04347779A (ja) * 1991-05-24 1992-12-02 Hitachi Ltd 図形文書処理装置
US5428733A (en) * 1991-12-16 1995-06-27 Apple Computer, Inc. Method of calculating dimensions and positioning of rectangular balloons
US5467451A (en) * 1992-08-06 1995-11-14 Motorola, Inc. Method of displaying a bounding box using a set aspect ratio and the coordinate ratio of a graphical pointer
US5638498A (en) * 1992-11-10 1997-06-10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orage requirements for display data
JPH08180037A (ja) * 1994-12-26 1996-07-12 Hitachi Ltd プレゼンテーション資料作成支援システム
JPH10240953A (ja) * 1997-02-24 1998-09-11 Toshiba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
US5973692A (en) * 1997-03-10 1999-10-26 Knowlton; Kenneth Charles System for the capture and indexing of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files, information sources and the like
JP4201359B2 (ja) * 1997-04-16 2008-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デザイン作成装置
JP4201361B2 (ja) * 1997-04-22 2008-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デザイン評価装置及びデザイン作成装置
EP0952554A3 (en) * 1998-02-26 2003-01-08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6762777B2 (en) * 1998-12-31 2004-07-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popup windows with selective regions of a document
JP3034244B1 (ja) * 1999-01-07 2000-04-17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知能映像通信研究所 構図情報抽出装置、被写体再構成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0259142A (ja) * 1999-03-12 2000-09-22 Omron Corp 文字サイズ調整装置、文字サイズ調整方法および文字サイズ調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246879A (ja) * 1999-12-28 2001-09-11 Daikin Ind Ltd メモ帳
JP3756719B2 (ja) * 2000-01-20 2006-03-1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文書修飾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US6993709B1 (en) * 2000-02-12 2006-01-31 Adobe Systems Incorporated Smart corner move snapping
AU2001257210A1 (en) * 2000-04-24 2001-11-07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pace management of a display space
JP4146620B2 (ja) * 2001-03-30 2008-09-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作成システム及び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作成プログラム
US6903751B2 (en) * 2002-03-22 2005-06-07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electronic images
JP3945767B2 (ja) * 2002-09-26 2007-07-1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テキスト編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113804B2 (ja) * 2003-03-19 2008-07-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040259142A1 (en) * 2003-06-04 2004-12-23 Imperial College Innovations Limited Products and methods
US7308650B2 (en) * 2003-08-29 2007-12-11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layout device
US7554689B2 (en) * 2003-10-15 2009-06-30 Canon Kabushiki Kaisha Document layout method
JP4194501B2 (ja) * 2004-01-30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処理方法、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プログラム
WO2005125186A1 (en) * 2004-06-15 2005-12-29 Quantum Semiconductor Llc Imaging devices operable with multiple aspect ratios
JP2006079424A (ja) * 2004-09-10 2006-03-23 Canon Inc 画像編集方法及び装置
US20060079424A1 (en) * 2004-09-23 2006-04-13 Perry Stephen C Buffered acid cleaner and method of production
US7348982B2 (en) * 2004-09-30 2008-03-2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reating and laying out a graphic within an application program
GB2421106A (en) * 2004-12-07 2006-06-14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variable-data documents for publishing
JP4522280B2 (ja) * 2005-02-04 2010-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690114B2 (ja) * 2005-05-23 2011-06-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更新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754286B2 (ja) * 2005-07-12 2011-08-24 積水樹脂株式会社 路面標示用シート
JP2007082084A (ja) * 2005-09-16 2007-03-29 Fujifilm Corp 合成画像作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868A (ja) * 1994-02-25 1995-09-05 Hitachi Ltd 文書作成装置
JPH0997254A (ja) * 1995-09-28 1997-04-08 Kubota Corp 文書編集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1281835A (ja) * 2000-02-12 2001-10-10 Adobe Syst Inc レイアウト編集システム、方法及びレイアウト編集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274981A (ja) 2000-03-28 2001-10-05 Toshiba Corp レイアウト画像編集装置及びレイアウト画像編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6538A2 (en) 2008-01-09
US20080024502A1 (en) 2008-01-31
JP4743154B2 (ja) 2011-08-10
EP1876538A3 (en) 2008-10-22
KR20080004367A (ko) 2008-01-09
CN101101588A (zh) 2008-01-09
JP2008033892A (ja) 2008-02-14
CN101101588B (zh)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714B1 (ko) 문서 편집 장치 및 기억 매체
JP4665933B2 (ja) 文書編集支援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321549B2 (ja) 文書作成システム、文書作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6144974A (en) Automated layout of content in a page framework
KR100716084B1 (ko) 레이아웃 조정 방법 및 장치
US9015581B2 (en) Self-adjusting document layouts using system optimization modeling
CN105159877B (zh) 一种跨媒体自动排版系统及其方法
US7650564B2 (en) Global tone adjustment system for document files containing text, raster, and vector images
JP5393104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40205602A1 (en) Page layout design using geometric interference schema
US7853872B2 (en) Laying out field regions in a page for insertion of data
US8122351B2 (en) Document edit device and storage medium
US6620206B1 (en) White space equalization around features placed on a page
US20080195937A1 (en) Document edit support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7264965A (ja)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作成システムおよび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作成プログラム、並びに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作成方法
US85335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layout processing method
CN104424174A (zh) 文档处理系统和文档处理方法
JP2004015215A (ja) レイアウト制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レイアウト制御方法
JP6696445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4046493A (ja) 画像調節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調節方法
JP2009134762A (ja)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作成システムおよび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作成プログラム、並びに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作成方法
JP2008136102A (ja) オブジェクト配置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11783402B (zh) 一种文档视觉效果的获取方法和装置
Chao Graphics extraction in a PDF document
JP4666071B2 (ja) 文書編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