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592B1 -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 Google Patents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592B1
KR101663592B1 KR1020150068267A KR20150068267A KR101663592B1 KR 101663592 B1 KR101663592 B1 KR 101663592B1 KR 1020150068267 A KR1020150068267 A KR 1020150068267A KR 20150068267 A KR20150068267 A KR 20150068267A KR 101663592 B1 KR101663592 B1 KR 10166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ter
document
cutting
sed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진
Original Assignee
(주)이륜오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륜오피스 filed Critical (주)이륜오피스
Priority to KR102015006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concentric circles of intermeshing teeth

Abstract

본 발명은 커팅 방식으로 문서를 세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투입구(15)를 지닌 본체(10); 상기 투입구(15)의 하측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 쌍의 샤프트에 다수의 디스크날(21)을 지니는 세단커터(20); 및 상기 세단커터(20)의 샤프트를 이동시켜 문서에 대한 절단력 변동을 유발하는 조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보안등급에 대응한 세단 상태 조절기능을 기반으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분진이 비산이나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환경적인 유해성과 전력소모 증대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Paper shredder having variable cutter}
본 발명은 문서세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서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절전성과 친환경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수요처의 종류와 규모를 불문하고 정보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원에서 문서를 폐기하는 방안의 하나로 문서세단기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근래에는 문서세단에 있어서 안전성과 보안성을 기반으로 하면서 절전성, 친환경성과 같이 최근에 이슈화되는 기술동향을 반영하기 위한 설계가 요구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0004367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05468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본체의 내부 상단에 다수개의 절단칼날이 상호교차되면서 폐문서를 절단하는 절단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절단장치의 하단에 폐문서칩이 쌓이는 폐문서함이 구비된 문서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 접근감지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접근감지센서는 전자스위치와 연결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절전모드가 자동적으로 진행되어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투입구로부터 삽입된 종이를 세로방향으로 자르면서 이송하기 위한 세로절단 이송수단과, 세로방향으로 잘려진 종이를 가로방향으로 잘라 칩을 형성하기 위한 가로파쇄수단과, 상기 세로절단 이송수단을 구동하는 세로구동수단과, 상기 가로파쇄수단을 구동하는 가로구동수단과, 파쇄된 칩의 배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칩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문서의 중요도에 따라 구분하여 파쇄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 1은 센서 기반의 자동절전을 요지로 하고 선행문헌 2는 가로ㆍ세로 방향의 칩 사이즈 가변을 요지로 하여 설계의 유연성이 미흡할뿐더러 장기간 사용에 따라 비산되거나 축적되는 분진에 의하여 환경적인 유해성을 초래하고 전력소모도 증대시킬 우려가 크다.
1.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0004367호 "절전모드가 구비된 문서세단기" (공개일자 : 2008. 10. 6.)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05468호 "칩 사이즈 변경기능을 가지는 문서 세단기" (공개일자 : 2007. 4. 13.)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등급에 대응한 세단 상태 조절기능을 기반으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분진이 비산이나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환경적인 유해성과 전력소모 증대를 방지하는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팅 방식으로 문서를 세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투입구(15)를 지닌 본체(10); 상기 투입구(15)의 하측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 쌍의 샤프트에 다수의 디스크날(21)을 지니는 세단커터(20); 및 상기 세단커터(20)의 샤프트를 이동시켜 문서에 대한 절단력 변동을 유발하는 조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세단커터(20)는 대향하는 디스크날(21)의 접촉압력 변동을 유발하도록 외단에 측면구배(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세단커터(20)는 디스크날(21)의 외단에 접촉압력 변동에 의하여 절단폭의 탄성적 변동이 가능한 신축날(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신축날(30)은 디스크날(21)에 형성된 수용홈(25)과 요철(26)에 긴밀하게 맞물린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10)는 세단커터(2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덕트(54), 덕트(54)에 연결되어 부압을 형성하는 흡진팬(52), 흡진팬(52)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흡진통(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안등급에 대응한 세단 상태 조절기능을 기반으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분진이 비산이나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환경적인 유해성과 전력소모 증대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압수단을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세단커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신축날을 분리하고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커팅 방식으로 문서(P)를 세단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커팅 방식은 문서에 물리적인 절단력을 작용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본체(10)는 문서를 투입하는 투입구(15)를 상면에 지닌다. 투입구(15)가 형성된 상면은 개폐가 가능한 커버(12)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체(10)와 커버(12)는 내부를 투시하도록 부분적으로 투명부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세단커터(20)가 상기 투입구(15)의 하측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 쌍의 샤프트에 다수의 디스크날(21)을 지니는 구조를 지닌다. 세단커터(20)는 샤프트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디스크날(21)을 지닌다. 디스크날(21)의 간격은 문서의 절단폭을 결정한다. 대향하는 한 쌍의 세단커터(20) 중 적어도 하나는 모터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여 구동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세단커터(20)는 대향하는 디스크날(21)의 접촉압력 변동을 유발하도록 외단에 측면구배(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디스크날(21)의 측면구배(23)를 다소 과장하여 예시하지만 샤프트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구배의 경사각은 매우 완만하게 형성된다. 이는 대향하는 세단커터(20)의 간격 변동으로 대향하는 디스크날(21)의 접촉압력과 틈새 변동을 유발하기 위함이다. 즉, 한 쌍의 디스크날(21)이 밀착될수록 접촉압력이 증가하는 동시에 틈새가 축소되어 세단 칩의 크기가 작아진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세단커터(20)는 디스크날(21)의 외단에 접촉압력 변동에 의하여 절단폭의 탄성적 변동이 가능한 신축날(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신축날(30)은 디스크날(21)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샤프트 회전과 동시에 상호 맞물려 문서를 세단한다. 도 4에서, 신축날(30)은 하나의 고탄성 강판을 절곡하여 중공을 형성하면서 선단에서 접촉상태로 유지한다. 신축날(30)은 상단에서 전면구배(32)를 구비하는 동시에 디스크날(21)의 측면구배(23)와 유사한 기능의 측면구배(33)를 구비한다. 이에 한 쌍의 세단커터(20)가 밀착되어 측면구배(33)의 접촉압력이 증가하면 중공과 더불어 절단폭이 탄성적으로 축소되고 세단 칩의 크기가 작아진다.
이때, 상기 신축날(30)은 디스크날(21)에 형성된 수용홈(25)과 요철(26)에 긴밀하게 맞물린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홈(25)은 디스크날(21)에 "ㄷ" 형태로 형성되어 신축날(30)을 수용한다. 수용홈(25)의 저면에는 암나사(28)를 형성한다. 요철(26)은 수용홈(25)의 일변에서 돌출되고 타변에서 함몰되어 신축날(30)에 형성되는 동일 형태의 요철(36)과 맞물린다. 신축날(30)의 상면은 개방된 상태이나 저면은 별도의 판재를 절곡 또는 용접 방식으로 부가하고 통공(38)을 형성한다. 요철(26)(36)에 의한 맞물림 구조는 세단작동 중에 신축날(30)의 불필요한 요동을 구속한다. 이에 통공(38)을 통하여 나사를 밀어 넣고 수용홈(25)의 암나사(28)에 체결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일부의 신축날(30)이 손상된 경우 나사를 풀고 신축날(30)을 외측으로 분리하여 교체하기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조압수단(40)이 상기 세단커터(20)의 샤프트를 이동시켜 문서에 대한 절단력 변동을 유발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조압수단(40)은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되는 터치패널(도시 생략)의 입력에 대응하여 일측 세단커터(20)와 타측 세단커터(20)의 간격을 변동시킨다.
이때, 조압수단(40)은 일측 세단커터(20)의 샤프트를 홀더(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43), 홀더(43)의 양측을 직선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41), 홀더(43)의 중앙에 연결되어 전후진 이동력을 발생하는 가압기(45)로 구성된다. 가압기(45)는 서보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직결할 수도 있으나 볼스크류 등을 개재하는 것이 좋다. 이에, 높은 보안등급이 입력되면 가압기(45)가 대향하는 세단커터(20)의 간격을 좁혀서 잘게 파쇄하지만 낮은 보안등급의 경우 가압기(45)가 세단커터(20)의 간격을 넓혀서 절단력을 낮추어 크게 파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문서의 보안등급과 절단력을 구분하여 다량의 문서를 폐기함에 따른 전기소모를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10)는 세단커터(2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덕트(54), 덕트(54)에 연결되어 부압을 형성하는 흡진팬(52), 흡진팬(52)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흡진통(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흡진수단(50)으로 흡진팬(52), 덕트(54), 흡진통(58)을 예시한다. 덕트(54)는 세단커터(20)의 곡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흡진팬(52)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압으로 먼지나 이물질을 흡인한다. 도 2에서 흡진팬(52)이 각각의 세단커터(20)에 대응하여 분리 설치됨을 예시하지만, 하류측의 흡진통(58)에 흡진팬(52)을 하나로 통합하고 별도의 덕트(54)로 이송할 수도 있다.
이때, 흡진수단(50)은 덕트(54)의 선단에 브러쉬(56)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쉬(56)는 디스크날(21)과 접촉된 상태로 분진을 이탈시켜 고착화를 방지한다.
어느 경우에나 흡진수단(50)은 먼지 등이 본체(1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환경적으로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뿐더러 주요 작동부의 청결성을 높여 구동토크 증대에 기인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커버
20: 세단커터 21: 디스크날
23: 측면구배 25: 수용홈
26: 요철 30: 신축날
32: 전면구배 33: 측면구배
36: 요철 40: 조압수단
41: 가이드레일 43: 홀더
45: 가압기 50: 흡진수단
52: 흡진팬 54: 덕트
56: 브러쉬 58: 흡진통

Claims (5)

  1. 커팅 방식으로 문서를 세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투입구(15)를 지닌 본체(10);
    상기 투입구(15)의 하측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 쌍의 샤프트에 다수의 디스크날(21)을 지니는 세단커터(20); 및
    상기 세단커터(20)의 샤프트를 이동시켜 문서에 대한 절단력 변동을 유발하는 조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세단커터(20)는 디스크날(21)의 외단에 접촉압력 변동에 의하여 절단폭의 탄성적 변동이 가능한 신축날(30)을 구비하고,
    상기 신축날(30)은 하나의 고탄성 강판을 절곡하여 중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단커터(20)는 대향하는 디스크날(21)의 접촉압력 변동을 유발하도록 외단에 측면구배(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날(30)은 디스크날(21)에 형성된 수용홈(25)과 요철(26)에 긴밀하게 맞물린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세단커터(2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덕트(54), 덕트(54)에 연결되어 부압을 형성하는 흡진팬(52), 흡진팬(52)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흡진통(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KR1020150068267A 2015-05-15 2015-05-15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KR10166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267A KR101663592B1 (ko) 2015-05-15 2015-05-15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267A KR101663592B1 (ko) 2015-05-15 2015-05-15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592B1 true KR101663592B1 (ko) 2016-10-10

Family

ID=5714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267A KR101663592B1 (ko) 2015-05-15 2015-05-15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163B1 (ko) * 2023-12-12 2024-03-29 주식회사 아리예스코리아 전단식 파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597A (ja) * 1998-10-28 2000-05-16 Meiko Shokai Co Ltd 細断・圧縮固形化装置
JP2000189825A (ja) * 1998-12-25 2000-07-11 Heriosu:Kk 破砕機回転刃の構造
KR100705468B1 (ko) 2006-08-29 2007-04-13 주식회사 이륜 칩 사이즈 변경기능을 가지는 문서 세단기
KR20080004367A (ko) 2006-07-05 2008-01-0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문서 편집 장치 및 기억 매체
KR101168024B1 (ko) * 2012-01-18 2012-07-27 (주)큰나무 간격조절식 파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597A (ja) * 1998-10-28 2000-05-16 Meiko Shokai Co Ltd 細断・圧縮固形化装置
JP2000189825A (ja) * 1998-12-25 2000-07-11 Heriosu:Kk 破砕機回転刃の構造
KR20080004367A (ko) 2006-07-05 2008-01-0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문서 편집 장치 및 기억 매체
KR100705468B1 (ko) 2006-08-29 2007-04-13 주식회사 이륜 칩 사이즈 변경기능을 가지는 문서 세단기
KR101168024B1 (ko) * 2012-01-18 2012-07-27 (주)큰나무 간격조절식 파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163B1 (ko) * 2023-12-12 2024-03-29 주식회사 아리예스코리아 전단식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873B1 (en) Paper feeding device for shredder
CN206748514U (zh) 切边废料收集装置
KR101663592B1 (ko) 가변커팅 방식의 문서세단기
CN207493848U (zh) 一种玻璃粉碎装置
CN103752379B (zh) 一种切割式碎纸机构
CN104791284A (zh) 一种污水泵闭式叶轮口环切割防堵装置
CN106738482B (zh) 防止塑料瓶粘贴的切割方法
CN209914531U (zh) 一种修剪矩形绿化带的修剪装置
CN210207079U (zh) 一种便于去除杂质的新型烟草加工用粉碎装置
KR100705468B1 (ko) 칩 사이즈 변경기능을 가지는 문서 세단기
CN208627520U (zh) 调速粉碎机
CN105772183A (zh) 一种碎卡机
KR20150014239A (ko) 문서세단기용 절단칼날
KR101330720B1 (ko) 문서 세절기
CN205111948U (zh) 一种切药机
KR101336842B1 (ko) 이송용 배관에 설치 구비된 이절물 절손장치
KR20150003945U (ko) 문서세단기용 절단칼날
CN102785263A (zh) 一种往复式切丝切片机
CN204866079U (zh) 魔芋精密粉碎机
CN205797410U (zh) 一种新型碎纸机
CN204546626U (zh) 一种加工瓶盖的环切机
KR20200134970A (ko) 문서세단기용 절단칼날
CN211846598U (zh) 一种塑料袋用多功能裁剪机
CN204710487U (zh) 中置驱动碎纸机
KR101732949B1 (ko) 수목가지 파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