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534B1 -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534B1
KR100882534B1 KR1020070058717A KR20070058717A KR100882534B1 KR 100882534 B1 KR100882534 B1 KR 100882534B1 KR 1020070058717 A KR1020070058717 A KR 1020070058717A KR 20070058717 A KR20070058717 A KR 20070058717A KR 100882534 B1 KR100882534 B1 KR 10088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ak
whiskey
brandy
distillate
attrib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0230A (ko
Inventor
안용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민국제퍼먼텍
안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민국제퍼먼텍, 안용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민국제퍼먼텍
Priority to KR102007005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534B1/ko
Publication of KR2008011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0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2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원주에 굴참나무 절편 또는 입자를 가하고, 가열 및 교반시키면서 숙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은 (ⅰ) 증자한 곡류와 엿기름을 혼합하여 55 내지 60℃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당화시키고 이를 압착하여 수득한 착즙액 또는 과일의 착즙액에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공정; (ⅱ) 상기 발효액을 증류하여 알코올의 함량이 50 내지 60%(v/v)인 증류액을 수득하는 공정; (ⅲ) 상기 증류액에, 증류액의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w/w)의 참나무과 식물의 절편 또는 입자를 가하고, 40 내지 60℃의 조건하에 교반하면서 1 내지 3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공정; 및, (ⅳ) 숙성시킨 증류액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알코올의 함량이 40%(v/v)가 되도록 물로 희석시켜 위스키 또는 브랜디를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종래의 10년산 이상의 수입 위스키 또는 브랜디와 동등한 수준의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는 제품을 짧은 시간동안 제조할 수 있으므로, 수입산 제품을 대체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스키, 브랜디, 굴참나무, 절편

Description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A Simple Process for Preparing Whisky or Brandy}
본 발명은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원주에 굴참나무 절편 또는 입자를 가하고, 가열 및 교반시키면서 숙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술은 제조방법에 따라, 발효주와 증류주로 구별된다. 발효주는 탁약주, 동동주, 와인, 맥주와 같이 발효시켜서 그대로 마시는 술을 의미하고, 증류주는 소주, 고량주, 보드카, 위스키, 브랜디와 같이 알코올의 증류액을 나무통에서 숙성시켜서 마시는 술을 의미한다.
한편, 제조된 술은 때로는 장시간동안 보관되는데, 발효주의 경우에는 보관과정 중에 술의 품질이 변질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효주에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첨가물을 가하거나 또는 발효주를 별도로 가공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발효주 자체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숙성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증류주는 장시간동안 보관하더라도 술의 품질이 변화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발효주에 비하여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증류주 중에서, 곡류로 발효된 술을 증류하여 참나무 통에 저장하여 숙성시키는 위스키 및 과일로 발효된 술을 증류하여 숙성시키는 브랜디는 전 세계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낸다. 특히, 위스키는 원료에 따라 엿기름을 당화, 발효시켜서 만든 맥아 위스키 및 보리, 호밀, 밀 옥수수 등의 곡물을 엿기름으로 당화, 발효시켜 만든 곡물 위스키로 분류되거나, 제조방법에 따라 원주를 단식 증류하여 제조한 단식증류 위스키, 원주를 연속 증류하여 제조한 연속 증류 위스키 및 제조된 다양한 위스키를 혼합하여 제조한 블렌드 위스키로 분류되며, 산지에 따라 스카치 위스키, 아이리시 위스키, 아메리칸 위스키 및 캐나디안 위스키로 크게 분류되기도 한다.
이처럼 원료, 제조방법 및 산지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위스키로 분류되지만, 이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증류액을 참나무통에서 숙성시키는 공정을 공통적으로 수행하며, 이러한 숙성공정은 브랜디를 제조할 경우에도 이용된다. 이는 증류가 완료된 직후의 술은 향과 맛이 매우 거칠기 때문에, 증류액을 순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참나무통에서 장기간 숙성시키면서, 오래 저장하면 참나무 성분이 우러나와서 참나무 향과 색이 증류액에 부가되고, 증류액의 거친 맛 성분은 참나무에 흡착되어 제거되며, 증류액의 알코올 성분의 일부는 참나무의 기공으로 유출되어 알코올의 도수가 감소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증류가 완료된 직후의 술은 약 60%의 알코올 도수를 나타내지만, 이를 참나무통에 약 3년동안 보관할 경우에는 약 8%의 알코올이 감소하고, 약 10년동안 보관할 경우에는 약 25-30%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4위의 위스키 소비국이며, 브랜디의 소비량도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소비된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대부분은 수입산이므로, 이로 인하여 소비되는 외화는 연간 3천억원 이상에 이르고 있다. 이에, 위스키 또는 브랜디를 국산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국내산 위스키 또는 브랜디가 수입산 위스키 또는 브랜디를 대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국내산 제품이 맛과 풍미 면에서 수입산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며, 이의 가장 큰 원인은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제조에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수입산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맛과 풍미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짧게는 3년 길게는 10년 이상인 숙성기간이며, 단순히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것이므로, 이는 국내산 위스키가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부분이다.
이러한 국내산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205716호에는 볶음 곡류를 이용한 위스키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볶음 곡류를 이용하여 위스키의 원주인 발효주를 제조하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430434호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함유된 브랜디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벌의 프로폴리스를 넣은 엿기름으로 당화액을 발효시켜 브랜디의 원주인 발효주를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205716호는 발효주를 증류시켜 증류주를 제조하는 것에 불과할 뿐, 숙성시키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제조된 최종 생산품을 위스키라고 할 수 없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430434호는 참나무통이 아니라 미류나무통에서 숙성시키기 때문에, 제조된 최종 생산품을 브랜디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숙성과정을 생략하거나 또는 참나무통에서 숙성시키지 않는 방법은 국내산 제품의 단점을 극복하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참나무를 이용하면서도 숙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야만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아직까지는 별다른 연구성과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제조에 있어서, 참나무를 이용하면서도 숙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참나무과 식물의 절편 또는 입자를 증류액에 넣고, 가열 및 교반할 경우,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제조에 소요되는 숙성시간을 단축시켜서, 위스키 또는 브랜디를 속성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위스키 또는 브랜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제조에 있어서, 참나무통에서 추출된 성분은 증류액에 색과 향을 부가하고, 위스키에 존재하는 불쾌한 맛 성분은 참나무에 흡착되며, 참나무통의 기공을 통하여 증류액의 알코올 성분이 증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참나무를 이용한 숙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참나무를 참나무통이 아닌 다른 형태로 가공하여 증류액에 부가할 경우,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숙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참나무를 통의 형태가 아니라, 증류액에 첨가하는 표면적을 확장시킨 첨가물의 형태로 가공하여 증류액에 부가하면, 참나무의 성분이 보다 신속하게 증류액으로 추출되어 증류액에 색과 향을 부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류액에 포함된 불괘한 맛 성분이 보다 신속하게 흡착되어, 전체적으로 숙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참나무의 기공을 통하여 증발되는 알코올의 손실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증자된 곡류를 엿기름으로 당화시킨 다음,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키고, 이를 증류하여 증류액을 수득한 다음, 이를 공기가 통하지 않는 통에 넣고, 참나무의 절편을 가한 다음, 이로부터 추출되는 추출효율을 측정하는 실험방법을 고안하였다. 상기 고안된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참나무과 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이 우수한 참나무를 선별하고, 참나무의 표면적에 따른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을 측정하였으며, 증류액에 포함된 알코올의 함량에 따른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을 측정하고, 증류액과 참나무 절편의 중 량비율에 따른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을 측정하였으며, 추출방법에 따른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은 참나무의 추출성분으로 인하여 증류액에 부가된 색을 측정할 수 있는 380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등의 대부분의 참나무과 식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를 사용할 경우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이 가장 우수하고, 참나무 절편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이 우수하며, 증류액에 포함된 알코올의 함량이 높을수록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이 우수하고, 증류액의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w/w)의 참나무 절편을 사용할 경우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이 우수하며, 가열과 교반을 병행하여 추출할 경우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굴참나무를 사용할 경우에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이 우수하였는데, 부분적으로 탄화된 굴참나무의 절편을 사용할 경우에 단순 건조된 굴참나무의 절편을 사용할 경우보다 참나무 성분의 추출효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탄화된 굴참나무는 굴참나무의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w/w)가 탄화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5%(w/w) 미만이 탄화된 굴참나무는 탄화되지 않은 굴참나무와 추출효율 면에서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10%(w/w)를 초과하여 탄화된 굴참나무는 추출효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가열하여 추출할 경우, 40 내지 60℃의 조건으로 1 내지 3개월동안 가열하면서 교반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는데, 40℃ 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추출효 율이 증가하지 않았고, 60℃ 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추출효율은 증가하였으나, 알코올 성분이 과다하게 증발되었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3개월 동안 숙성시켜 제조한 위스키는 종래의 방법으로 참나무통에서 3년간 숙성시켜 제조한 위스키보다 우수한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고, 종래의 수입 위스키와 비교하여, 관능적 특성면에서 동등한 수준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은 (ⅰ) 증자한 곡류와 엿기름을 혼합하여 55 내지 60℃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당화시키고 이를 압착하여 수득한 착즙액, 또는 과일의 착즙액에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공정; (ⅱ) 상기 발효액을 증류하여 알코올의 함량이 50 내지 60%(v/v)인 증류액을 수득하는 공정; (ⅲ) 상기 증류액에, 증류액의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w/w)의 참나무과 식물의 절편 또는 입자를 가하고, 40 내지 60℃의 조건하에 교반하면서 1 내지 3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공정; 및, (ⅳ) 숙성시킨 증류액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알코올의 함량이 40%(v/v)가 되도록 물로 희석시켜 위스키 또는 브랜디를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곡류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쌀, 보리 또는 밀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증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90 내지 100℃의 증기로 1 내지 3기압의 조건하에 1 내지 2시간 동안 수행함이 바람직하며, 증자한 곡류와 엿기름 의 혼합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곡류와 엿기름을 5:1 내지 10:1(w/w)로 혼합함이 바람직하고, 과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포도, 딸기 또는 사과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효모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착즙액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w/w)의 비율로 접종함이 바람직하며, 발효액의 증류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단식 증류법 또는 연속 증류법에 의하여 수행함이 바람직하고, 증류액에 가하는 참나무과 식물의 절편 또는 입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또는 갈참나무를 박피, 건조 및 세절한 형태, 혹은 박피, 건조, 세절하고 5 내지 10%(w/w)를 탄화시킨 형태로 가공함이 바람직하며, 숙성공정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가열 및 교반하는 방법 이외에 초음파로 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참나무과 식물을 이용하여 (ⅲ) 공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종래의 10년산 이상의 수입 위스키와 동등한 수준의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는 위스키를 짧은 시간동안 제조할 수 있으므로, 수입 위스키를 대체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위스키의 속성 제조방법의 확립
실시예 1-1: 증류액의 수득
도정된 보리 10kg을 파쇄하여 보리분말을 수득하고, 이를 95℃의 증기로 2기압의 조건하에 90분동안 증자한 다음, 분말상의 엿기름 1.5g을 혼합하고, 57℃에서 5시간 동안 당화시켰다.
당화된 혼합물을 압착하여 착즙액 1.5kg을 수득하고, 발효균주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3g을 접종한 다음, 25℃에서 7일, 20℃에서 20일 및 15℃에서 2개월간 발효시켰다.
발효가 완료된 후, 단식 증류기에 적용하여 알코올 함량이 60%(v/v)인 증류액 0.8k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위스키의 제조시 사용하기 위한 나무의 선별
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및 갈참나무를 각각 채취하고, 박피하여 심부의 목재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목재를 응달에서 2주간 건조시 키고, 이를 1㎝ x 1㎝ x 30㎝ 의 크기로 재단한 절편을 각각 수득한 다음,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증류액에 10%(w/w)의 함량으로 가하고, 15℃로 유지되는 저장소에서 120일동안 숙성시키면서, 30일 간격으로 시료를 분취하였다. 분취된 각각의 시료를 분광광도계(UV-1601, 시마쯔사, 일본)에 적용하고, 3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각 목재로부터 증류액으로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을 간접적으로 산출하였다(참조: 표 1).
각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 비교(단위: O.D.380)
목재의 종류 경과시간(일)
30 60 90 120
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 0.575 0.835 1.110 0.946 1.119 1.492 0.780 0.997 1.436 1.332 1.856 2.097 0.995 1.123 1.746 1.556 2.332 2.505 1.215 1.135 1.998 1.789 2.505 3.272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각 목재 중에서 굴참나무의 목재로부터 증류액으로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떡갈나무의 목재로부터 증류액으로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위스키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나무는 굴참나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 참나무의 표면적에 따른 추출량의 비교
참나무의 표면적에 따른 추출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2에서 결정된 굴참나무의 목재를 동일 중량에서 다양한 표면적이 얻어질 수 있도록, 200g의 굴참나무를 각기 상이한 지름과 길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막대의 형태로 가공하여, 각각의 절편을 수득하고, 이를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증류액에 10%(w/w)의 함량으로 가하고, 15℃로 유지되는 저장소에서 30일동안 숙성시켰다. 숙성시킨 각각의 시료에 포함된 각 목재로부터 증류액으로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을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산출하였다(참조: 표 2).
표면적에 따른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 비교(단위: O.D.380)
절편의 지름(㎝) 흡광도
0.1 0.4 0.6 0.8 1.0 1.2 2.556 2.035 1.835 1.665 1.537 1.436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동일한 무게(500g)의 굴참나무는 지름을 작게하고 길이를 길게하여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록 흡광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로부터 굴참나무가 알코올과 접촉할 기회가 많을수록 추출효과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숙성속도는 표면적이 증가될 수록 향상되기 때문에, 절편, 절편보다 작은 크기의 입자, 입자보다 작은 크기의 분말을 사용할 경우, 숙성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증류액과 참나무 성분이 속성으로 상호 교환되는 것 만으로 위스키의 품질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관능적인 특성과 이후의 가공방법 등을 고려하여, 지름 1cm 정도의 절편을 사용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4: 알코올의 함량에 따른 추출량의 비교
증류액에 함유된 알코올의 함량에 따른 추출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증류액을 희석하거나 또는 농축하여, 20 내지 70%(v/v)의 알코올 함량을 갖는 증류액을 각각 수득하고, 이에 1㎝ x 1㎝ x 30㎝의 크기로 재단한 굴참나무 절편을 10%(w/w)의 함량으로 가하고, 15℃로 유지되는 저장소에서 30일동안 숙성시켰다. 숙성시킨 각각의 시료에 포함된 각 목재로부터 증류액으로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을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산출하였다(참조: 표 3).
알코올의 함량에 따른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 비교(단위: O.D.380)
알코올의 함량(%, v/v) 흡광도
20 30 40 50 60 70 0.435 0.556 0.765 0.992 1.435 1.676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증류액에 함유된 알코올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알코올의 함량이 60%(v/v) 이상인 경우에는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5: 굴참나무 절편의 부가량에 따른 추출량의 비교
굴참나무 절편의 부가량에 따른 추출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2에서 결정된 굴참나무의 목재를 1㎝ x 1㎝ x 30㎝의 크기로 재단한 절편을 수득하고, 이를 증류액의 중량에 대하여 5, 10 및 15%(w/w)로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증류액에 부가하고, 15℃로 유지되는 저장소에서 120일동안 숙성시키면서, 30일 간격으로 시료를 분취하였다. 분취한 각 시료를 알코올의 함량이 40%(v/v)가 되도록 희석시킨 다음, 희석되지 않은 술과 희석된 술에 포함된 각 절편으로부터 증류액으로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을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산출하였다(참조: 표 4).
굴참나무 절편의 부가량에 따른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 비교(단위: O.D.380)
절편의 부가량 (%, w/w) 희석여부 경과시간(일)
30 60 90 120
5 희석전 0.498 1.001 1.193 1.710
희석후 0.332 0.667 0.795 1.140
10 희석전 1.229 2.097 2.505 3.272
희석후 0.819 1.398 1.670 2.181
15 희석전 1.859 3.122 4.023 4.967
희석후 1.239 2.081 2.482 3.311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굴참나무 절편의 부가량이 증가할 수록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증류액에 부가될 수 있는 굴참나무의 함량은 최대 15%(w/w) 였으며, 그 이상의 양을 부가할 수 없었다.
현재 수입되는 위스키는 알코올의 함량이 40%(v/v)이고, O.D.380에서 약 2.0이상의 흡광도를 나타내므로, 희석된 후의 흡광도가 2.0 이상을 나타내는 10 내지 15%(w/w)의 부가량으로 굴참나무 절편을 부가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6: 탄화된 굴참나무 절편의 부가량에 따른 추출량의 비교
현재 위스키를 제조할 때 참나무통을 제조한 다음, 이의 내부를 불로 그을려서 부분적으로 탄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적정수준으로 탄화된 참나무가 위스키에 맛과 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증류액에 포함된 불순물을 보다 용이하게 흡착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부분적으로 탄화된 굴참나무의 절편을 사용할 경우, 탄화되지 않은 굴참나무의 절편을 사용할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위스키를 제조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2에서 결정된 굴참나무의 목재를 1㎝ x 1㎝ x 5㎝의 크기로 재단한 절편을 수득하고, 이를 150℃ 오븐에서 가열하여 각각 1, 3, 5, 7, 10, 15 및 20%가 탄화된 절편을 수득하였다. 이때, 탄화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절편의 무게가 감소하는 정도를 이용하였다. 즉, 굴참나무가 완전히 탄화되어 제조된 숯은 원래 목재와 비교할 경우 50% 정도의 중량을 나타내므로, 상기 굴참나무 절편을 탄화시키면서 중량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이의 탄화정도를 산출하였다.
상기 수득한 탄화되지 않은 절편 및 각각의 탄화된 절편을 증류액의 중량에 대하여 15%(w/w)로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증류액에 부가하고, 15℃로 유지되는 저장소에서 60일동안 숙성시키면서, 30일 간격으로 시료를 분취하였다. 분취한 각 시료를 알코올의 함량이 40%(v/v)가 되도록 희석시킨 다음, 희석된 시료에 포함된 각 절편으로부터 증류액으로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을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산출하였다(참조: 표 5).
굴참나무 절편의 탄화정도에 따른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 비교(단위: O.D.380)
탄화정도 (%, v/v) 경과시간(일)
30 60
0 1 3 5 7 10 15 20 1.229 1.334 1.412 1.971 2.228 2.498 2.501 2.514 2.097 2.118 2.184 2.324 2.447 2.533 2.555 2.578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굴참나무 절편의 탄화정도가 증가할 수록,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탄화정도가 3% 이하 절편을 사용한 경우에는 탄화되지 않은 절편을 사용한 경우와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5% 이상으로 탄화된 절편은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10%를 초과하여 탄화된 절편은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더이상 증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위스키의 제조에 있어서 5 내지 10%로 탄화된 굴참나무 절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7: 숙성방법에 따른 추출량의 비교
굴참나무 절편을 증류액에 부가하여 추출할 경우, 교반 및/또는 가열하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2에서 결정된 굴참나무의 목재를 1㎝ x 1㎝ x 30㎝의 크기로 재단한 절편을 수득하고, 이를 증류액의 중량에 대하여 10%(w/w)로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증류액에 부가하였다. 굴참나무 절편이 부가된 증류액을 15℃로 유지되는 저장소에서 120일동안 숙성시키거나(대조군), 50℃의 오븐에서 120일 동안 가열하면서 숙성시키거나(실험군 1), 20rpm으로 120일 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키거나(실험군 2), 50℃의 오븐에서 20rpm으로 120일 동안 가열 및 교반하면서 숙성시키면서(실험군 3), 30일 간격으로 시료를 분취하였다. 분취한 각 시료를 알코올의 함량이 40%(v/v)가 되도록 희석시킨 다음, 희석되지 않은 술과 희석된 술에 포함된 각 절편으로부터 증류액으로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을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산출하였다(참조: 표 6).
굴참나무 절편을 이용한 숙성방법에 따른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 비교(단위: O.D.380)
실험군 경과시간(일)
30 60 90 120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0.7 1.0 1.1 1.4 1.2 1.8 1.9 2.3 1.9 2.6 2.7 3.0 2.4 2.6 2.7 3.0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15℃에서 숙성시키는 것보다는(대조군), 가열하거나(실험군 1) 또는 교반하면서(실험군 2) 숙성시키는 것이 보다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고, 가열과 교반을 병행할 경우(실험군 3) 가장 효율적으로 숙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열 또는 교반하면서 숙성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3개월을 경과하게 되면 더 이상 숙성시키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1 내지 3개월간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군 1과 같이 가열하는 경우, 적절한 가열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숙성온도를 30, 40, 50, 60 및 70℃로 유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군 1을 제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위스키를 제조하고, 증류액으로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을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산출하였다(참조: 표 7).
숙성온도에 따른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 비교(단위: O.D.380)
숙성온도(℃) 경과시간(일)
30 60 90 120
30 40 50 60 70 0.7 0.9 1.0 1.2 1.4 1.2 1.7 1.8 2.1 2.3 1.9 2.5 2.6 2.8 3.0 2.4 2.5 2.6 2.8 3.0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숙성온도가 증가할수록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숙성온도가 30℃인 경우에는 15℃에서 숙성시킨 것과 차이가 없었으나, 40℃이상의 온도에서 숙성시킨 것은 15℃에서 숙성시킨 것과 명백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70℃에서 숙성시킨 것은 알코올이 과다하게 증발되어, 알코올의 함량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2 내지 1-7의 결과를 종합하면, 알코올의 함량이 60%(v/v) 이상인 증류액에, 건조되거나 또는 5 내지 10%로 탄화된 굴참나무의 절편을 증류액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w/w)로 부가하고, 40 내지 60℃에서 1 내지 3개월간 숙성시킬 경우, 위스키를 속성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의 확립
상기 실시예 1에서 확립한 제조방법을 과일을 이용하여 제조한 브랜디의 제조시에도 적용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당화된 혼합물의 착즙액 대신에, 포도의 착즙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 내지 1-7에서 확립한 조건으로 브랜디를 제조한 결과, 상기 실시예 1-2 내지 1-7에서 확립한 조건이 브랜디의 제조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알코올의 함량이 60%(v/v) 이상인 증류액에, 건조되거나 또는 5 내지 10%로 탄화된 굴참나무의 절편을 증류액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w/w)로 부가하고, 40 내지 60℃에서 1 내지 3개월간 숙성시킬 경우, 브랜디를 속성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위스키 및 브랜디의 속성제조
상기 실시예 1-2에서 결정된 굴참나무의 목재를 1㎝ x 1㎝ x 30㎝의 크기로 재단한 절편 또는 상기 절편을 10% 탄화시켜 수득한 탄화된 절편을 각각 수득하고, 이를 증류액의 중량에 대하여 15%(w/w)로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증류액에 각각 부가하고, 40℃로 가열하면서 40rpm으로 교반하여 90일동안 숙성시킨 다음, 숙성된 각각의 술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알코올의 함량이 40%(v/v)가 되도록 희석함으로써, 각각의 위스키를 속성으로 제조하였다.
한편, 사과를 착즙하여 수득한 사과즙 1.5kg을 수득하고, 발효균주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7.5g을 접종한 다음, 25℃에서 7일, 20℃에서 20일 및 15℃에서 2개월간 발효시켰다. 발효가 완료된 후, 연속식 증류기에 적용하여 알코올 함량이 60%(v/v)인 증류액 0.7kg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증류액에 상기 굴참나무의 목재를 1㎝ x 1㎝ x 30㎝의 크기로 재단한 절편 또는 상기 절편을 10% 탄화시켜 수득한 탄화된 절편을 증류액의 중량에 대하여 10%(w/w)로 가하고, 60℃로 가열하면서 60rpm으로 교반하여 90일동안 숙성시킨 다음, 숙성된 각각의 술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알코올의 함량이 40%(v/v)가 되도록 희석함으로써, 각각의 브랜디를 속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속성으로 제조된 위스키 및 브랜디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각각의 위스키 및 브랜디의 흡광도(O.D.380) 및 관능특성을 수입하여 국내에서 블렌딩한 위스키 및 브랜디의 것과 비교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굴참나무 위스키, 탄화된 굴참나무 위스키, 굴참나무 브랜디 및 탄화된 굴참나무 브랜디와 수입된 17년산 위스키 3종(윈저 17, 스카치블루 17 및 임페리얼 17) 및 10년산 브랜디(칼바도스)의 흡광도(O.D.380)를 측정하고, 숙련된 관능평가요원 20명에게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위스키 및 브랜디와 상기 수입된 위스키 및 브랜디를 각각 시음하고, 이들의 색, 향기, 뒤끝, 깊은맛 및 종합적인 맛을 5점 평가법(1점: 아주 나쁘다, 2점: 나쁘다, 3점: 보통이다, 4점: 좋다, 5점: 아주 좋다)에 의하여 평가하였다(참조: 표 8).
본 발명의 위스키 및 브랜디와 수입된 위스키 및 브랜디의 흡광도 및 관능평가 결과
위스키 및 브랜디의 종류 흡광도 (O.D.380) 향기 뒤끝 깊은 맛 종합적인 맛
윈저 17 2.205 4.0 5.0 5.0 5.0 4.75
스카치블루 17 2.506 5.0 5.0 4.0 5.0 4.75
임페리얼 17 3.001 5.0 5.0 5.0 4.0 4.75
칼바도스 2.527 5.0 4.0 4.0 4.0 4.25
굴참나무 위스키 2.805 5.0 5.0 5.0 5.0 5.0
탄화된 굴참나무 위스키 3.033 5.0 4.0 5.0 5.0 4.75
굴참나무 브랜디 2.974 5.0 5.0 5.0 5.0 5.0
탄화된 굴참나무 브랜디 3.005 5.0 4.5 4.5 5.0 4.75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굴참나무 절편 및 탄화된 굴참나무 절편을 이용하여 제조한 위스키 및 브랜디는 모든 면에서 수입된 위스키 및 브랜디와 동등한 수준을 나타내었는 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위스키 및 브랜디는 수입된 위스키 및 브랜디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기호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원주에 굴참나무 절편 또는 입자를 가하고, 가열 및 교반시키면서 숙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종래의 10년산 이상의 수입 위스키 또는 브랜디와 동등한 수준의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는 제품을 짧은 시간동안 제조할 수 있으므로, 수입산 제품을 대체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ⅰ) 증자한 곡류와 엿기름을 혼합하여 55 내지 60℃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당화시키고 이를 압착하여 수득한 착즙액에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공정;
    (ⅱ) 상기 발효액을 증류하여 알코올의 함량이 50 내지 60%(v/v)인 증류액을 수득하는 공정;
    (ⅲ) 상기 증류액에, 증류액의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w/w)의 참나무과 식물의 절편 또는 입자를 가하고, 40 내지 60℃의 조건하에 교반하면서 1 내지 3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공정; 및,
    (ⅳ) 숙성시킨 증류액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알코올의 함량이 40%(v/v)가 되도록 물로 희석시켜 위스키를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위스키의 속성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곡류는 쌀, 보리 또는 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속성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증자는 90 내지 100℃의 증기로 1 내지 3기압의 조건하에 1 내지 2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속성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증자한 곡류와 엿기름의 혼합비는 5:1 내지 10:1(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속성 제조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속성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효모는 착즙액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w/w)의 비율로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속성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발효액의 증류는 단식 증류법 또는 연속 증류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속성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참나무과 식물의 절편 또는 입자는 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또는 갈참나무를 박피 및 건조하고 이를 세절 또는 입자화한 형태, 혹은 박피 및 건조하고 이를 세절 또는 입자화한 다음 5 내지 10%(w/w)를 탄화시킨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속성 제조방법.
  10.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위스키.
  11. (ⅰ) 과일의 착즙액에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공정;
    (ⅱ) 상기 발효액을 증류하여 알코올의 함량이 50 내지 60%(v/v)인 증류액을 수득하는 공정;
    (ⅲ) 상기 증류액에, 증류액의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w/w)의 참나무과 식물의 절편 또는 입자를 가하고, 40 내지 60℃의 조건하에 교반하면서 1 내지 3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공정; 및,
    (ⅳ) 숙성시킨 증류액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알코올의 함량이 40%(v/v)가 되도록 물로 희석시켜 브랜디를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과일은 포도, 딸기 또는 사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효모는 착즙액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w/w)의 비율로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발효액의 증류는 단식 증류법 또는 연속 증류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참나무과 식물의 절편 또는 입자는 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또는 갈참나무를 박피 및 건조하고 이를 세절 또는 입자화한 형태, 혹은 박피 및 건조하고 이를 세절 또는 입자화한 다음 5 내지 10%(w/w)를 탄화시킨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17. 제 1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브랜디.
KR1020070058717A 2007-06-15 2007-06-15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KR100882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717A KR100882534B1 (ko) 2007-06-15 2007-06-15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717A KR100882534B1 (ko) 2007-06-15 2007-06-15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230A KR20080110230A (ko) 2008-12-18
KR100882534B1 true KR100882534B1 (ko) 2009-02-09

Family

ID=4036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717A KR100882534B1 (ko) 2007-06-15 2007-06-15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5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53B1 (ko) * 2013-12-27 2015-07-09 주식회사 골든블루 위스키의 제조방법
KR20160063691A (ko)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골든블루 위스키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407B1 (ko) * 2010-11-16 2013-06-14 주명칠 참나무 소주의 제조방법
CN103087877B (zh) * 2013-01-30 2014-07-30 刘绍国 一种用山林野果酿酒的方法
CN108220073A (zh) * 2018-03-27 2018-06-29 贵州茅台酒厂集团技术开发公司 一种酱香型复糟酒的生产方法
CN113583776A (zh) * 2021-08-18 2021-11-02 淮安开淮酒业有限公司 一种威士忌梅酒的生产工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868A (ja) * 1994-05-10 1995-11-14 Kirin Shiiguramu Kk ウイスキーの製造方法
JP2002065239A (ja) 2000-09-01 2002-03-05 Kouji Saneishi オーク樽以外の容器を使用したウイスキーの製造方法
KR100651250B1 (ko) 2005-10-31 2006-11-29 유제숙 누룩을 사용하지 않고 효모와 정향을 첨가하여 제조된 술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868A (ja) * 1994-05-10 1995-11-14 Kirin Shiiguramu Kk ウイスキーの製造方法
JP2002065239A (ja) 2000-09-01 2002-03-05 Kouji Saneishi オーク樽以外の容器を使用したウイスキーの製造方法
KR100651250B1 (ko) 2005-10-31 2006-11-29 유제숙 누룩을 사용하지 않고 효모와 정향을 첨가하여 제조된 술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53B1 (ko) * 2013-12-27 2015-07-09 주식회사 골든블루 위스키의 제조방법
KR20160063691A (ko)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골든블루 위스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230A (ko)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6549B1 (en) Improve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lcoholic beverages
KR100882534B1 (ko) 위스키 또는 브랜디의 속성 제조방법
CN102168003B (zh) 一种荔枝白兰地及其生产方法
JP5848703B2 (ja) 麦芽飲料の穀物臭を低減させる方法
CN108504481B (zh) 一种啤酒蒸馏酒配制酒的生产方法及所得啤酒蒸馏酒配制酒
CN108570392B (zh) 一种高产节能桃蒸馏酒的生产方法
JP2013132243A (ja) 蒸溜酒の製造方法
Ribeiro et al. Fermented sugarcane and pineapple beverage produced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non‐Saccharomyces yeast
Qian et al. Overview of distilled spirits
Ibern-Gómez et al. Differences in phenolic profile between oak wood and stainless steel fermentation in white wines
WO2018147154A1 (ja) 山椒成分を含有した蒸留酒の製造方法
KR101862213B1 (ko) 연약주 제조방법
CN101463309B (zh) 桂圆白兰地
CN110591871A (zh) 一种带有橡木成分的白酒酒基及其制备方法
KR100341813B1 (ko) 매실을 이용한 과실주 제조방법
KR20170060370A (ko) 와인 식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62769A (ko) 맛과 향이 향상된 소곡화주의 제조방법
KR101203624B1 (ko) 댓잎을 이용한 맥주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얻어진 맥주
JP7387401B2 (ja) 蒸留酒、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利用
KR101350534B1 (ko) 과일박과 홍삼박을 이용한 증류주 및 그 제조방법
Nan et al.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superior white wines produced in Petrovaselo Winery, TimiŚ County.
KR102611834B1 (ko) 생강 발효주의 제조방법
KR102667797B1 (ko) 풍미가 우수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증류주
KR20220074095A (ko) 한국산 굴참나무 주류 숙성재, 그를 이용한 숙성 증류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숙성 증류주
KR102556471B1 (ko) 복숭아와 고소밀을 이용한 복숭아 발포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6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