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648B1 -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648B1
KR100881648B1 KR1020070045686A KR20070045686A KR100881648B1 KR 100881648 B1 KR100881648 B1 KR 100881648B1 KR 1020070045686 A KR1020070045686 A KR 1020070045686A KR 20070045686 A KR20070045686 A KR 20070045686A KR 100881648 B1 KR100881648 B1 KR 100881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using
cap
wiper motor
protective cap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739A (ko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주) 보쉬전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보쉬전장 filed Critical (주) 보쉬전장
Priority to KR102007004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6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8Attachement of separate wiper motor assembly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와이퍼 모터의 기어 하우징에 형성된 통기홀 보호캡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은 차량용 와이퍼 모터의 기어 하우징에 형성된 통기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캡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캡 본체 중앙에는 절개홈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고정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개들의 단부의 바깥쪽에는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용 도어, 액추에이터, 보호캡, 고정날개,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air hole protection cap of gearhous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캡이 설치된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기어하우징에 통기홀이 형성된 차량용 와이퍼모터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보호캡이 설치된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보호캡
11 : 캡 본체
12 : 고정날개 12a, 12b : 걸림턱 12c : 절개홈
13 : 가이드날개
14 : 통기홈
본 발명은 차량의 와이퍼 모터의 기어 하우징에 형성된 통기홀에 설치되는 보호캡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어하우징에 형성된 통기홀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공기는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라 함은 자동차의 유리인 전방의 윈드 실드와 후방의 리어 윈도우의 외측에 설치되어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에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유리에 잔류되어 있는 빗물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퍼는 와이퍼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이러한 와이퍼 모터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이 발생되는 모터(300)와 이 모터(300)의 동력을 감속시켜 와이퍼에 전달하는 기어를 구비한 기어하우징(200)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차량용 와이퍼 모터의 기어하우징(200)에는 모터(300)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공기가 팽창할 경우 팽창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 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하기 위한 통기홀(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기어하우징(200)에 형성된 통기홀(210)은 공기의 통로 역할 만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물이 유입되는 통로의 역할도 하게됨으로 이러한 이물질이나 물은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만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통기홀(210)에는 도 6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캡(10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통기홀(210)로 이물질이아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한 보호캡(1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캡 본체(110)의 내면 중앙에 고정돌기(120)를 형성하고 이 고정돌기(120) 단부에 걸림턱(130)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고정돌기(120)를 통기홀(210)에 끼워 고정돌기(120)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30)이 통기홀(210)의 내면 단부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보호캡(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통기홀(210)을 막으면 안되므로 통기홀(210)에 삽입되어지는 고정돌기(120)의 양측에 통기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보호캡(100)을 기어하우징(200)의 통기홀(210)에 설치하였을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캡(100)에 형성된 고정돌기(120)가 통기홀(210)의 거의 전부를 막고 있는 상태가 되고, 아주 작은 통기홈(121)만으로 공기가 출입됨으로서 기어하우징(200)의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출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발명된 것으로, 기어하우징에 형성 된 통기홀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공기는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캡 본체에 통기홀의 내경보다 작은 굵기의 고정날개를 형성하고 이 고정날개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통기홀의 내측 단부에 걸리게 함으로서 캡 본체가 통기홀을 막되 공기는 통기홀과 고정날개 사이의 틈으로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은 차량용 와이퍼 모터의 기어 하우징에 형성된 통기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캡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캡 본체 중앙에는 절개홈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고정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개들의 단부의 바깥쪽에는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캡이 설치된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으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1)은 캡 본체(11)의 중앙에 절개홈(12c)에 의해 두 개로 분리된 고정날개(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캡(1)이 설치된 차량용 와이퍼모터는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모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모터(300)와 상기 모터(300)의 동력을 감속시켜 와이퍼에 전달하는 기어가 내장된 기어하우징(200)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어하우징(200)의 일측에 통기홀(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기홀(210)에 상기 보호캡(1)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캡(1)은 통기홀(210)을 통해 이물질이나 물이 기어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기홀(2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호캡(1)의 캡 본체(11)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통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일측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부분이 통기홀(210)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캡 본체(11)의 내부 중앙에 상기한 고정날개(12)가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날개(12)의 단부에는 상기 통기홀(210) 가장자리의 내벽에 걸리는 걸림턱(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날개(12)의 굴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홀(210)의 내경보다 충분히 작게 형성하여 통기홀(210)에 끼워졌을 때 통기홀(210)과 고정날개(12) 사이에 충분한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기어하우징(200)에 형성된 통기홀(210)의 가장자리에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하우징(200)의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고 단부의 내면에 걸림턱(21a)이 형성된 돌출턱(211)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돌출턱(211)을 더 형성함으로서 통기홀(210)이 기어하우징(200)의 다른 면보다 돌출된 부분에 형성되어 이물질이나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돌출턱(211)을 더 형성함으로서 상기 보호캡(1)의 캡 본체(11)의 내면에는 다수의 가이드날개(13)를 더 형성하여 고정날개(12)가 통기홀(210)에 끼워져 보호캡(1)이 통기홀(210)에 고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캡(1)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날개(12)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2a)은 통기홀(210)의 내측 가장자리 벽에 걸려 보호캡(1)이 통기홀(2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가이드날개(13)는 통기홀(210)로부터 연장된 돌출턱(211)의 외면에 대향되어 지지됨으로서 캡 본체(11)부분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턱(211)의 단부의 내면에는 걸림턱(211a)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날개(12)의 중단에는 돌출턱(211)에 형성된 걸림턱(211a)에 걸리는 걸림턱(12b)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걸리게 함으로서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1)의 캡 본체(1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깊이를 깊게 형성 하여 통기홀(210)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돌출턱(211)의 중단까지 덮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4d[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에는 절개된 다수의 통기홈(14)을 더 형성하되 상기 통기홈(14)의 깊이는 돌출턱(211)의 단부보다 낮은 높이까지 위치되게 형성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보호캡(1)을 통기홀(210)에 설치하였을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캡(1)에 형성된 고정날개(12)가 통기홀(210)의 내부를 꽉 채우지 않고 빈 공간이 많이 형성됨으로서 공기가 기어하우징(200)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기홀의 내경보다 굵기가 가는 고정날개를 형성하여 보호캡을 통기홀에 고정시키되 고정날개가 가늘어짐에 의해 보호캡이 흔들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캡 본체의 내부에 다수의 가이드날개를 형성하여 이 가이드 날개가 통기홀에 형성된 돌출턱의 외면에 끼워지게 하여 보호캡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통기홀과 고절날개 사이에 충분한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기어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는 원활하게 공급되고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은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에 의해서만 제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4)

  1. 차량용 와이퍼 모터의 기어 하우징(200)에 형성된 통기홀(2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캡(1)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1)의 캡 본체(11) 중앙에는 절개홈(12a)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고정날개(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개(12)들의 단부의 바깥쪽에는 상기 통기홀(210)의 내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턱(12a)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하우징(200)에 형성된 통기홀(210)의 가장자리에는 기어하우징(200)의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고 단부의 내면에 걸림턱(211a)이 형성된 돌출턱(211)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날개(12)의 중단에는 돌출턱(211)에 형성된 걸림턱(211a)에 걸리는 걸림턱(12b)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11)의 측벽에는 절개된 다수의 통기홈(14)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돌출턱(211)의 바깥면에 그 단부가 접하는 다수의 가이드날개(13)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
KR1020070045686A 2007-05-10 2007-05-10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 KR100881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686A KR100881648B1 (ko) 2007-05-10 2007-05-10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686A KR100881648B1 (ko) 2007-05-10 2007-05-10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739A KR20080099739A (ko) 2008-11-13
KR100881648B1 true KR100881648B1 (ko) 2009-02-04

Family

ID=4028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686A KR100881648B1 (ko) 2007-05-10 2007-05-10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24B1 (ko) 2012-02-13 2013-05-24 동양기전 주식회사 에어 벤트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192Y1 (ko) 1996-12-14 2000-10-02 정몽규 캐니스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KR200269306Y1 (ko) 2001-12-12 2002-03-23 서영섭 전자매트의 방열판 조립구조
KR100482152B1 (ko) 2003-03-31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트림 장착구조
KR20060088246A (ko) * 2005-02-01 2006-08-04 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차량 램프 케이스의 일방향 공기 유동형 열방출 및 방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램프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192Y1 (ko) 1996-12-14 2000-10-02 정몽규 캐니스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KR200269306Y1 (ko) 2001-12-12 2002-03-23 서영섭 전자매트의 방열판 조립구조
KR100482152B1 (ko) 2003-03-31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트림 장착구조
KR20060088246A (ko) * 2005-02-01 2006-08-04 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차량 램프 케이스의 일방향 공기 유동형 열방출 및 방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램프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24B1 (ko) 2012-02-13 2013-05-24 동양기전 주식회사 에어 벤트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739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691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WO2015178268A1 (ja) 車両用シャッター装置
KR100881648B1 (ko) 차량용 와이퍼모터 기어하우징의 통기홀 보호캡
JP6407560B2 (ja) 車両用シャッター装置
JP2007154856A (ja) 送風機の水入り防止構造
EP1985934B1 (en) Indoor equipmen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ES2945871T3 (es) Moldura con un elemento de evacuación de agua
JP4906376B2 (ja) モータ装置
WO2011100790A1 (en) A retention system for louvre blades
RU2699267C2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в оконной рам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99065Y1 (ko) 차량용 썬바이저
JP2007253652A (ja) リアスポイラ装置
JP5044446B2 (ja) ワイパ装置
KR20110007879U (ko) 기밀부재를 구비한 환풍기 조립체
JP5257985B2 (ja) 自動車の窓枠に取り付ける外気導入装置
JP4284647B2 (ja) 車両の換気構造
KR19980012782U (ko) 자동차의 도어유리용 런채널(runchanel) 구조
KR102281428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영상 획득 장치
KR100471754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200246862Y1 (ko) 차량용 썬바이져
KR200148268Y1 (ko) 자동차 도어의 와류방지용 그로메트
JP2009056901A (ja) 自動車のカウル構造
JP2006240590A (ja) ワイパブレード
KR200299066Y1 (ko) 차량용 썬바이저
KR100402859B1 (ko) 자동차의 에어 유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