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962B1 -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962B1
KR100878962B1 KR1020070076238A KR20070076238A KR100878962B1 KR 100878962 B1 KR100878962 B1 KR 100878962B1 KR 1020070076238 A KR1020070076238 A KR 1020070076238A KR 20070076238 A KR20070076238 A KR 20070076238A KR 100878962 B1 KR100878962 B1 KR 10087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ift
ring gear
junk car
li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석
진철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C19/0062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shredding scrap metal, e.g. automobi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구축되어 있는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시스템의 전체면적은 기존 시스템 대비 1/5~1/10까지 줄일 수 있으며, 공정간 이동을 위한 리드타임을 없애 해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물 상부에 위치하여 시스템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대; 지지대의 양측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시스템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켜주는 리프트; 상기 리프트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모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된 기어구동부; 상기 기어구동부 사이에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맞물리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는 반원형의 링기어; 및 상기 링기어의 바닥면에 폐차가 안착되도록 링기어의 하단부에 설치된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차에 안착된 폐차가 구동모터로부터 기어구동부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링기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리프트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을 제공한다.
지지대, 기어, 모터, 배기막, 대차, 리프트

Description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One stop type of system for disjointing scrapped vehicle}
본 발명은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구축되어 있는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시스템의 전체면적은 기존 시스템 대비 1/5~1/10까지 줄일 수 있으며, 공정간 이동을 위한 리드타임을 없애 해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자동차 보유대수가 매년 증가하여 2007년 1,600만대를 넘어섰다. 또한 내수판매량은 2007년 120만대를 넘어설 전망이고, 현재 폐차발생량은 2006년 53만대이나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에는 100만대에 이를 전망이다.
따라서 사용수명이 끝난 폐차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매우 중요하며, 부품 및 재료의 재사용 및 재이용을 위한 사전처리가 필수적이다. 현재 국내 폐차는 약 75%정도가 중고부품 및 고철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나머지 25%는 폐차잔재 물(Automobile Shredder Residue;ASR)로서 매립되고 있다.
2008년 1월 1일부터 ‘전기,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자원순환법’이 시행되어 환경을 고려한 폐차처리시스템 및 폐차처리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이러한 동향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에서도 2005년 폐차 해체 플랜트(PLANT) 시설을 설립하여 운영중이며, 폐차의 친환경처리방안을 위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그러나, 설치비용이나 규모가 커서 국내 폐차장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대해 환경친화적인 폐차처리가 가능하면서도 설치비용이나 규모가 국내 폐차장의 실정에 맞는 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다.
현재 적용되는 폐차처리시스템은 대표적으로 격리식과 이송식 2가지이다.
상기 격리식 폐차처리시스템은 폐차처리가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 대다수의 폐차장이 채택하고 있는 방식이며, 각각의 작업장이 분리되어 편의에 따라 원하는 공정을 처리하여 공정의 유연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공정간 이동(주로 지게차이용)이 쉽지 않고 대량의 처리능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 이송식 페차처리시스템은 격리식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형태로 자동차 생산공정처럼 라인으로 각 공정이 배열되어 반자동화된 장비와 수작업에 의해 해체가 이뤄지는 시스템이다.
이는 공정별로 순차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다음공정으로의 이동이 용이하고 대량의 폐차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부지가 넓어야하며 투자비가 높고 공정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이송식 폐차처리시스템으로서, EU 폐차법규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에 서 2005년 설립하여 운영중인 폐차처리 시범 플랜트의 친환경적 폐차처리 시스템도이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설치면적이 넓고 작업자 또한 많이 필요하며, 공정간 이동거리가 멀어서 규모가 적거나 적은 인원이 작업할 경우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폐차를 해체시스템 안으로 이동하는 부분과 압축을 위해 이동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해체를 위한 차량의 이동 없이 한 장소에서 모든 해체공정이 처리됨으로써, 작업공정간 이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상부에 위치하여 시스템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대; 지지대의 양측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시스템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켜주는 리프트; 상기 리프트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모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된 기어구동부; 상기 기어구동부 사이에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맞물리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는 반원형의 링기어; 및 상기 링기어의 바닥면에 폐차가 안착되도록 링기어의 하단부에 설치된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차에 안착된 폐차가 구동모터로부터 기어구동부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링기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리프트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기어구동부는 구동모터와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 결되고,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된 원통형의 구동기어 및 아이들기어이고, 상기 링기어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구동기어와 아이들기어 사이에 각각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리프트 사이에 설치된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의 하부에서 폐차의 도어유리까지 커버하여 폭발 위험부품 처리시 폭발가스를 배기시켜주는 간이배기막과, 상기 폭발가스를 흡입하도록 배기구에 설치된 가스흡입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이배기막은 리프트가 하강하면서 접혀지고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면서 펴지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폭발가스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리프트의 상승에 의해 개방된 도어 유리측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에는 폐차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기어의 하단 내측에서 수평방향 돌출형성된 링기어발과, 상기 대차에 측면에 형성된 링기어발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압축공정을 제외한 모든 공정을 이동없이 한 장소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폐차해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2. 한 장소에서 모든 공정이 처리 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해체시스템의 면적을 최소한 1/5수준으로 줄일 수 있으며, 자원순환법의 시행으로 지붕설치 및 바닥침투수방지시설 등을 설치하기 위한 추가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3. 어렵지 않은 다양한 작업을 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면서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리프트 내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90도 회전된 차량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리프트의 승하강에 따른 간이배기막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은 지지대(10), 리프트(11), 간이배기막(12), 구동기어(13), 링기어(14), 링기어발(15) 및 대차(16)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시스템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폐차장 건물 가장 상부에 위치하고, 시스템의 구성요소라기 보다는 건물역할을 한다.
상기 리프트(11)는 구동기어(13)와 링기어(14)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역할과 동시에 가이드레일(17)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트 역할을 한다. 또한 구동기어(1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8)가 리프트내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리프트(11)에 구동모터(18)가 4개 있고, 4개의 구동모터(18)의 구동축은 벨트(19)를 매개로 구동기어(13)의 양단에 연결되고, 4개의 구동모터(18)의 회전력에 의해 두개의 구동기어(13)가 1개의 링기어(14)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설치되게 된다.
즉, 상기 링기어(14)는 반원형으로서, 외주면이 길이가 긴 원통형태의 구동기어(13)와 맞물리고, 내주면이 아이들기어(20)와 맞물리면서 회전하는 구조로 2개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8)가 가동되게 되면, 벨트(19)를 통해 구동기어(13)가 회전함과 동시에 링기어(14)가 함께 회전하고, 아이들기어(20)는 링기어(14)를 지지하면서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13)와 아이들기어(20)는 리프트(11)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지그(21)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링기어(14)의 양끝단에는 안쪽방향으로 링기어발(15)이 돌출형성되고, 이 링기어발(15)은 대차(16)의 양측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되어 링기어(14)를 대차(16)에 고정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대차(16)의 상면에는 폐차(22)를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23)가 4모서리에 설치되어 있고, 폐차(22)가 클램프(23)에 의해 고정된 채로 링기어(14)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링기어(14)에 의해 폐차가 좌우로 약 90도까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차체의 회전은 차량의 하부를 해체할 경우에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된 폐차(22)의 하부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상류 회수나 일부 외장재의 해체작업의 경우에는 회전 없이 폐차(22)를 상승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리프트(11)는 약 1m 정도로 상하이동 할 수 있게 설계된다. 이와같은 리프트(11)의 상하이동가능한 구조 및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이동 가능한 리프트(11)에 의해 차량을 상승시켜 작업해야 하는 액상류 회수 공정 등에도 무리가 없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간이배기막(12)은 폭발 위험부품처리시 발생하는 질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설계된 배기장치이고, 지지대(10)에는 두개의 리프트(11) 사이로 배기구가 설치되고, 차량의 리프트(11)를 상승하면 간이배기막(12)이 도어유리 부분만을 덮게 되고, 리프트(11)가 하강하면 간이배기막(12)이 접혀지는 구조로 설치된다.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을 무선 폭파 장치에 의해 폭파하고나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배기시스템을 통해 발생한 가스가 배출되게 된다.
폭발위험부품 처리시 에어백잭을 미리 연결하고 리프트(11)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준비된 측면작업대를 통해 상승된 폐차(22)의 도어, 프런트 및 리어유리부분을 덥기 위해 간이배기막(12)을 편다. 그리고 배기시스템을 작동시키고 에어백을 폭파하여 배기구를 통해 폭발가스를 배기하게 된다.
상기 간이배기막(12)은 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펴지는 원리는 우산과 유사 하고, 중간에 접히는 부분들이 리프트(11) 상승 전에 부피를 작게 만들지만 리프트(11) 상승 후 작업자가 차량의 유리부분을 덮을 만한 넓이로 펴서 차량의 창문을 열고 개방된 부분을 덮은 후에 가스배기를 위하여 배기팬을 가동시킨 다음, 에어백을 폭파 시키면 발생된 가스가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폐차해체공정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구동모터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최대 장점은 작업공정간 이동시간의 단축 및 설치면적의 최소화이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폐차 처리되는 공정 및 시간은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112007055347678-pat00001
현재 폐차해체시스템의 공정간 조합 등을 통해 공정간 병목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크게 4가지 정도로 나누어 진행하는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어떤 시스템이든 필연적으로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동해야 한다. 격리식의 경우는 그 시간이 매우 많이 걸리고 이송식의 경우도 적어도 수십초에서 수분은 걸리게 된다. 여기서, 공정간 병목현상으로 인한 시간 손실을 계산하면 적어도 대당 30분이상의 시간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압축공정을 제외한 모든 공정을 이동없이 한 장소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폐차해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장소에서 모든 공정이 처리 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해체시스템의 면적을 최소한 1/5수준으로 줄일 수 있으며, 자원순환법의 시행으로 지붕설치 및 바닥침투수방지시설 등을 설치해야 하는 현 폐차업계로서는 추가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작업정도가 어렵지 않은 폐차처리는 이송식 시스템에서 한 작업만 지속할 경우 동일작업 반복에 따른 작업피로도 증가, 작업능률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어렵지 않은 다양한 작업을 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실질적인 효율성을 얻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국내 폐차처리 공정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격리식 폐차해체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이송식 폐차처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리프트 내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90도 회전된 차량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리프트의 승하강에 따른 간이배기막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대 11 : 리프트
12 : 간이배기막 13 : 구동기어
14 : 링기어 15 : 링기어발
16 : 대차 17 : 가이드레일
18 : 모터 19 : 벨트
20 : 아이들기어 21 : 고정지그
22 : 폐차 23 : 클램프

Claims (6)

  1.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상부에 위치하여 시스템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대;
    지지대의 양측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시스템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켜주는 리프트;
    상기 리프트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모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된 기어구동부;
    상기 기어구동부 사이에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맞물리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는 반원형의 링기어; 및
    상기 링기어의 바닥면에 폐차가 안착되도록 링기어의 하단부에 설치된 대차;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차에 안착된 폐차가 구동모터로부터 기어구동부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링기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리프트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구동부는 구동모터와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된 원통형의 구동기어 및 아이들기어이고, 상기 링기어의 외주면과 내 주면이 구동기어와 아이들기어 사이에 각각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사이에 설치된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의 하부에서 폐차의 도어유리까지 커버하여 폭발 위험부품 처리시 폭발가스를 배기시켜주는 간이배기막과, 상기 폭발가스를 흡입하도록 배기구에 설치된 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간이배기막은 리프트가 하강하면서 접혀지고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면서 펴지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폭발가스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리프트의 상승에 의해 개방된 도어 유리측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에는 폐차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의 하단 내측에서 수평방향 돌출형성된 링기어발과, 상기 대차에 측면에 형성된 링기어발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KR1020070076238A 2007-07-30 2007-07-30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KR10087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238A KR100878962B1 (ko) 2007-07-30 2007-07-30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238A KR100878962B1 (ko) 2007-07-30 2007-07-30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962B1 true KR100878962B1 (ko) 2009-01-19

Family

ID=4048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238A KR100878962B1 (ko) 2007-07-30 2007-07-30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7648A (zh) * 2018-08-02 2018-11-30 南京环务资源再生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空调拆解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406A (en) 1991-11-28 1994-08-09 Car Recycling Systems "Crs" B.V. Method and device for dismantling automobiles
JPH09226538A (ja) * 1996-02-21 1997-09-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廃車解体用の作業架台
JPH09226539A (ja) * 1996-02-21 1997-09-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廃車解体用の横転装置
KR100271869B1 (ko) 1997-12-24 2000-11-15 류정열 차체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406A (en) 1991-11-28 1994-08-09 Car Recycling Systems "Crs" B.V. Method and device for dismantling automobiles
JPH09226538A (ja) * 1996-02-21 1997-09-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廃車解体用の作業架台
JPH09226539A (ja) * 1996-02-21 1997-09-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廃車解体用の横転装置
KR100271869B1 (ko) 1997-12-24 2000-11-15 류정열 차체 회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7648A (zh) * 2018-08-02 2018-11-30 南京环务资源再生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空调拆解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80682A (ja) 廃車解体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83923B1 (ko) 폐차 해체시스템 및 방법
JP3443383B2 (ja) 使用済み自動車のリサイクル設備
CN101734306B (zh) 报废汽车拆解流水线设备
CN202518375U (zh) 报废小汽车拆解工位定位系统
KR100878962B1 (ko) 원스톱형 폐차해체시스템
CN108928407B (zh) 一种报废车辆的拆解流水线及拆解方法
CN204452169U (zh) 电力工程施工救险车
CN206749756U (zh) 汽车维修系统车
KR101825160B1 (ko) 폐차 시스템
CN209906227U (zh) 一种汽车吊装运输装置及汽车拆解输送线
JP2008030946A (ja) 減容機付コンテナ、該減容機付コンテナを用いる産業廃棄物の処分方法
JP4587352B2 (ja) 廃棄自動車の解体装置
KR101091657B1 (ko) 혼합형 폐차해체시스템
CN105159246B (zh) 一种报废机动车拆解工艺
KR20080103624A (ko) 순환형 폐차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209904916U (zh) 汽车拆解输送线
KR101263890B1 (ko) 폐차 해체 시스템
KR101950795B1 (ko) 폐차 해체 시스템
KR100938696B1 (ko) 레일 이동식 폐차 해체장치
KR100656008B1 (ko) 폐차 해체용 대차 회수 시스템
JP3541193B2 (ja) 使用済み自動車の解体方法および解体装置
KR100774707B1 (ko) 룰렛형 폐차 자동 해체 시스템
KR100452453B1 (ko) 폐차 해체방법
CN113120129A (zh) 一种一站式报废汽车拆解平台及其拆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