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883B1 - 쿠션링 - Google Patents

쿠션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883B1
KR100875883B1 KR1020067027969A KR20067027969A KR100875883B1 KR 100875883 B1 KR100875883 B1 KR 100875883B1 KR 1020067027969 A KR1020067027969 A KR 1020067027969A KR 20067027969 A KR20067027969 A KR 20067027969A KR 100875883 B1 KR100875883 B1 KR 10087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ing
punch
cushion ring
ring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2121A (ko
Inventor
노리히로 다카야마
야스히토 하나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2186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26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532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7840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7002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4Blank holders;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2Die-cush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종래 프레스 몰더의 문제점은 내향력을 수용하는 환형 쿠션링의 불충분한 견고성인데, 이는 상기 쿠션링의 하부가 변형되는 것, 즉 바깥쪽으로 휘어 확장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몰더(1)는 다이(2), 펀치(3) 및 쿠션링(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링(5)은 프레스 몰딩시에 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보강 구조체인 리브(51)를 구비하고, 상기 펀치(3)는 상기 쿠션링(5)의 리브(51)와 펀치(3)가 간섭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보강 구조체 회피부인 리세스(31)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쿠션링{CUSHION RING}
본 발명은 다이, 펀치 및 쿠션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스 몰더(press molder) 및 프레스 몰더용 쿠션링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쿠션링의 휘어짐(bending)을 막기 위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8621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이, 펀치 및 쿠션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이와 쿠션링 사이에서 워크피스를 핀칭(pinch)하여, 상기 워크피스를 상기 다이에 대향하여 배치된 펀치 상에서 가압함으로써 몰딩을 수행하게 되는 드로우 몰딩(draw molding)용 프레스 몰더가 공지되어 있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레스 몰더는 상부 몰드인 다이(102), 상기 다이(102)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펀치(103), 상기 펀치(103)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하부 몰드(104), 및 상기 펀치(103) 주위에 환형으로 배치된 쿠션링(1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스 몰더는 복수의 쿠션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프레스 몰더는 제1쿠션링(105) 및 상기 제1쿠션링(105) 내부에 배치된 제2쿠션링(10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이(2)를 하향 이동시켜 몰딩하는 때에는, 상기 다이(102)와 상기 펀치(103) 사이에 개재된 워크피스(W)가 상기 다이(102)의 크리스 억제면(crease-suppression surface; 102a) 및 상기 쿠션링(105)의 크리스 억제면(105a) 사이에 핀칭되어(도 32에서, 상기 제1쿠션링(105)의 크리스 억제면(105a) 및 상기 제2쿠션링(106)의 크리스 억제면(106a)), 몰딩 이후에 상기 워크피스(W)에 여하한의 크리스(crease) 또는 크랙(crack)이 발생되는 것을 막게 된다.
드로우 몰딩시에 휘어짐을 막기 위하여, 리브와 같은 보강 구조체를 드로우 몰드에 제공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종래에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공보 제7-5179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리브들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드로우 몰드와 같은 캐스트(cast)가 공지되어 있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프레스 몰더에 의한 몰딩시, 다이(102)의 크리스 억제면(102a)과 쿠션링(105)의 크리스 억제면(105a) 사이에 워크피스(W)를 핀칭하기 위해 상기 다이(102)가 하향 이동된 다음, 상기 다이(102)는 상기 워크피스(W)를 상기 펀치(103) 상에서 가압하기 위해 더욱 하향 이동됨으로써, 상기 워크피스(W)를 몰딩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워크피스(W)는 몰딩을 마무리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102)와 상기 펀치(103) 사이에 완전히 핀칭된다.
워크피스(W)를 펀치(103) 상에서 가압하여 상기 워크피스(W)를 몰딩하는 경우에는, 상기 워크피스(W)의 처리부 상으로 내향력(inward force)이 인가되어, 상기 워크피스(W)의 주변 에지를 핀칭하는 상기 쿠션링(105)의 상부 상에도 내향 인장력(inward tensile force)이 인가되게 된다.
내향력은 쿠션링(105)의 상부 상에 인가되기 때문에, 환형 쿠션링(105)의 견고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상기 쿠션링(105)의 하부가 바깥쪽으로 휘어져 확장됨으로써 변형이 이루어진다. 쿠션링(105)이 몰딩시에 변형되면, 상기 다이(102)의 크리스 억제면(102a) 및 상기 쿠션링(105)의 크리스 억제면(105a)이 상기 워크피스(W)에 부적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워크피스(W)가 충분하게 핀칭될 수 없게 되어, 몰딩 이후에 상기 워크피스(W)에 크리스나 크랙과 같은 결함이 발생되는 경향이 있다.
도 32에 도시된 프레스 폴더에 관해서는, 여타의 부품들에 대한 접촉 면적이 작은 내측 제2쿠션링(106)에 있어 그 자세(attitude)의 안정성이 부족할 수도 있고, 최악의 경우에는 기울어질 수도 있다. 기울어진 제2쿠션링(106)은 다이(102)와 펀치(103)의 비정상적인 연마, 몰딩 이후의 워크피스(W)의 크리스나 크랙 또는 여타의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자동차의 사이드 패널과 같은 큰 워크피스가 드로우-몰딩되는 경우에는, 쿠션링(105)의 변형을 야기하는 상기 쿠션링(105)의 견고성이 현저하게 불충분하게 된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7-51796호에 개시된 드로우 몰드에 관하여, 상기 드로우 몰드가 변형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상기 드로우 몰드의 캐스팅 시에 발생되는 캐스팅 응력을 흡수하기 위한 리브들이 제공된다. 상기 드로우 몰드의 처리를 종료한 후, 상기 리브들은 제거된다. 그러므로, 상기 리브들은 프레스 몰딩시에 드로우 몰드가 변형되는 것은 막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 펀치 및 쿠션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스 몰더의 쿠션링의 휘어짐을 막기 위한 구성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레스 몰더는 다이, 펀치 및 쿠션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링은 프레스 몰딩시에 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보강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펀치는 상기 쿠션링의 보강 구조체와 간섭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보강 구조체 회피부(reinforcing structure escape part)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쿠션링의 견고성이 향상되어, 워크피스를 몰딩하는 동안 상기 쿠션링이 휘어져 변형되는 것을 막게 된다. 그러므로, 여하한의 복잡한 조정 작업 없이도, 몰딩 이후에 워크피스에 여하한의 크리스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막게 되어, 상기 몰딩의 정확성을 개선하게 된다. 상기 쿠션링의 개선된 견고성으로 인하여, 상기 쿠션링은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 시에 처리력에 의한 휘어짐도 막게 됨으로써, 상기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워크피스 아래의 하부 몰드가 펀치를 제외하고는 생략될 수 있어, 상기 프레스 몰더가 전반적으로 콤팩트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다이에 대해 맞닿도록 상기 쿠션링의 표면에 대향하여 상기 쿠션링의 일부분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휨을 방지하는 효과가 증대된다.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쿠션링의 개구부에 걸쳐 있는(spanned) 리브이다. 이에 따라, 보강에는 여타의 특별한 재료 또는 작업이 전혀 필요 없게 되어, 프레스 몰더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보강 리브는 상기 쿠션링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쿠션링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쿠션링은 쿠션링의 휨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안정하게 보강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보강 구조체가 상기 쿠션링의 개구부에 걸쳐 있는 와이어이다. 이에 따라, 보강물들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고, 장력(보강력)이 비교적 쉽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보강물들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쿠션링의 보강 정도가 비교적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조정 가능한 인장력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장력은 쿠션링의 상부 상에 인가되는 내향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최적으로 조정될 수 있어, 상기 쿠션링의 휨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됨으로써, 높은 정확성을 갖는 몰딩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펀치의 하단부 상에는 하향 연장 레그부(downwardly extending le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펀치의 측면 상에는 후크 부재가 부착되는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펀치 및 상기 쿠션링이 동일한 플로어 상에 놓여 있을 때, 상기 부착 구멍은 상기 쿠션링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펀치 및 상기 쿠션링이 동일한 플로어 상에 놓여 있을 때에는, 상기 펀치를 호이스팅(hoisting)하기 위해 매달리도록 상기 펀치의 측면에 후크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쿠션링의 보강 구조체 및 주본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쿠션링 밑에는 쿠션핀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내향력이 상기 쿠션링의 상부 상에 인가되더라도, 보강 구조체가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쿠션링은 복수의 쿠션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쿠션링은 보강 구조체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쿠션링은 상기 펀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쿠션링의 견고성이 향상되어, 상기 쿠션링이 워크피스의 몰딩시에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막게 된다. 나아가, 몰딩시에 쿠션링의 자세-교란(attitude-disarrangement)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하한의 복잡한 조정 작업 없이도, 몰딩 이후에 워크피스에 여하한의 크리스(crease)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몰딩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쿠션링은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 시에 처리력에 의한 휘어짐도 막게 됨으로써, 상기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상기 쿠션링은 복수의 쿠션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쿠션링 중 하나는 상기 펀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쿠션링 중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상기 펀치 내에 형성된 구멍(cavity)에 삽입되며, 상기 쿠션링 중 하나와 나머지 다른 쿠션링은 보강 구조체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쿠션링의 견고성이 향상되어, 워크피스의 몰딩시에 쿠션링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막게 된다. 나아가, 몰딩시에 쿠션링의 자세-교란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하한의 복잡한 조정 작업 없이도, 몰딩 이후에 워크피스에 여하한의 크리스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몰딩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상기 쿠션링의 견고성이 개선되기 때문에, 상기 쿠션링은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 시에 처리력에 의한 휘어짐도 막게 됨으로써, 상기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다이와 접촉시키는 쿠션링들의 표면들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쿠션링의 휨을 방지하는 효과가 증대된다.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쿠션링 중 하나와 상기 나머지 다른 쿠션링 사이에 형성된 리브이다. 이에 따라, 보강물들을 제공하기 위한 여타의 특별한 재료나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프레스 몰더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막게 된다.
보강 리브는 상기 쿠션링 중 하나와 상기 나머지 다른 쿠션링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쿠션링 중 하나와 상기 나머지 다른 쿠션링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쿠션링들이 안정하게 보강되어, 쿠션링들의 휨과 자세-교란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프레스 몰더에 제공되는 쿠션링은, 프레스 몰딩시에 상기 쿠션링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쿠션링의 개구부에 걸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쿠션링의 견고성이 개선되어, 워크피스의 몰딩시에 상기 쿠션링이 휘어지고 변형되는 것을 막게 된다.
그러므로, 여하한의 복잡한 조정 작업 없이도, 몰딩 이후에 워크피스에 여하한의 크리스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막게 되어, 상기 몰딩의 정확성을 개선하게 된다.
개선된 견고성으로 인하여, 상기 쿠션링은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 시에 처리력에 의한 휘어짐도 막게 됨으로써, 상기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펀치를 제외한 상기 워크피스 아래의 하부 몰드는 생략될 수 있어, 상기 프레스 몰더가 전반적으로 콤팩트하게 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쿠션링의 개구부에 걸쳐 있는 리브이다.
이에 따라, 보강물들을 제공하기 위한 여타의 특별한 재료나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프레스 몰더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막게 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쿠션링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쿠션링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쿠션링이 안정하게 보강되어, 상기 쿠션링의 휨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보강 구조체가 상기 쿠션링의 개구부에 걸쳐 있는 와이어이다.
이에 따라, 보강물들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고, 장력(보강력)이 비교적 쉽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보강물들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쿠션링의 보강 정도가 비교적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조정 가능한 인장력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장력은 쿠션링의 상부 상에 인가되는 내향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최적으로 조정될 수 있어, 상기 쿠션링의 휨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됨으로써, 높은 정확성을 갖는 몰딩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몰더에는 견고성이 개선된 쿠션링(들)이 제공되어, 워크피스의 몰딩시에 상기 쿠션링(들)이 휘어지고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나아가, 상기 쿠션링(들)의 자세-교란이 몰딩시에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하한의 복잡한 조정 작업 없이도, 몰딩 이후에 워크피스에 여하한의 크리스나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몰딩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개선된 견고성으로 인하여, 상기 쿠션링은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 시에 처리력에 의한 휘어짐도 막게 됨으로써, 상기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펀치를 제외한 상기 워크피스 아래의 하부 몰드가 생략될 수 있어, 상기 프레스 몰더가 전반적으로 콤팩트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몰더가 복수의 쿠션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면, 각각의 쿠션링은 상기 효과들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링은 견고성이 개선되어, 워크피스의 몰딩시 휘어지는 것과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여하한의 복잡한 조정 작업 없이도, 몰딩 이후에 워크피스에 여하한의 크리스나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몰딩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개선된 견고성으로 인하여, 상기 쿠션링은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 시에 처리력에 의한 휘어짐도 막게 됨으로써, 상기 쿠션링의 기계적인 처리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몰더의 측단면도;
도 2는 프레스 몰더에 제공된 쿠션링의 평면도;
도 3은 워크피스가 다이와 펀치의 처리면들 사이에 완전히 핀칭되어 있을 때, 워크피스를 몰딩하는 프레스 몰더의 측단면도;
도 4는 쿠션링용 보강물들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는 쿠션링용 보강물들의 제3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6은 장력이 제어가능한 와이어를 구비한 도 5의 보강물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링이 종래의 펀치 및 하부 몰드에 대해 하향 핏팅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쿠션링, 종래의 펀치, 및 하부 몰드의 측단면도;
도 8은 쿠션링으로부터 상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된 펀치의 측단면도;
도 9는 몰딩시, 레그부들이 그 위에 부가적으로 제공된 펀치의 측단면도;
도 10은 프레스 몰더의 조립 전, 레그부들을 구비한 펀치의 측단면도;
도 11은 리브들이 쿠션핀들에 의해 지지되는 쿠션링의 측단면도;
도 12는 리브들이 쿠션링의 상부 상에 인가되는 내향력에 의해 휘어지는 상기 쿠션링의 측단면도;
도 13은 탭 드릴(tap drill)에 의해 슬라이드 시트들을 부착시키기 위한 탭 구멍들로 내부에서 처리되는 펀치의 측면도;
도 14는 쿠션링의 두께 치수 및 높이 치수를 보여주는, 상기 쿠션링의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프레스 몰더의 측단면도;
도 16은 프레스 몰더에 제공된 쿠션링의 평면도;
도 17은 프레스 몰더에 제공된 펀치의 평면도;
도 18은 워크피스가 펀치와 다이의 처리면들 사이에 완전히 핀칭되어 있을 때, 워크피스를 몰딩하는 프레스 몰더의 측단면도;
도 19는 제1쿠션링들의 리브들이 제2쿠션링에 연결되어 상기 제2쿠션링의 자세-교란을 억제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의 측단면도;
도 20은 쿠션링용 보강물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21은 쿠션링용 보강물의 제3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링이 종래의 펀치 및 하부 몰드에 대해 하향 핏팅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상기 쿠션링과 종래 펀치 및 하부 몰드의 측단면도;
도 23은 쿠션링으로부터 상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된 펀치의 측단면도;
도 24는 몰딩시, 레그부들이 그 위에 부가적으로 제공된 펀치의 측단면도;
도 25는 프레스 몰더의 조립 전, 레그부들을 구비한 펀치의 측단면도;
도 26은 제1 및 제2쿠션링들이 동시에 기계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보 여주는,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들의 측단면도;
도 27은 제2쿠션링에 부착된 슬라이드판들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제1 및 제2쿠션링들의 측단면도;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쿠션링들의 사시도;
도 29는 펀치에 핏팅된 도 28에 도시된 쿠션링들의 평면도;
도 30은 종래 프레스 몰더의 측단면도;
도 31은 종래 쿠션링의 평면도; 및
도 32는 종래 프레스 몰더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 부호 설명 *
W 워크피스
1 프레스 몰더
2 다이
3 펀치
5 쿠션링
31 홈
51 리브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을 첨부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몰더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드로우-몰딩용 프레스 몰더(1)는 상부 몰드인 다이(2), 상기 다이(2)를 향하도록 배치된 펀치(3)(도 1에서는, 상기 다이(2) 아래에 배치됨), 및 상기 펀치(3) 주위에 환형으로 배치된 쿠션링(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이(2)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쿠션링(5)은 상기 다이(2)를 따를 수 있다(즉, 상기 쿠션링(5)은 상기 다이(2)의 수직이동을 따르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함).
상기 쿠션링(5) 및 상기 펀치(3)는 볼스터(bolster; 4)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다.
크리스 억제면(2a)이 크리스 억제면(5a)에 대해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다이(2)의 크리스 억제면(2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다이(2)의 주변 하부면에는 크리스 억제면(2a)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링(5)의 상부면에는 크리스 억제면(5a)이 형성된다.
처리되는 부재인 판형 워크피스(W)는 다이(2)와 펀치(3)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워크피스(W)가 프레스 몰더(1)에 의해 몰딩되면, 우선 다이(2)가 하향 이동되어, 상기 워크피스(W)의 주변 에지가 상기 다이(2)의 크리스 억제면(2a)과 상기 쿠션링(5)의 크리스 억제면(5a) 사이에서 핀칭되도록 한다(도 1에 도시된 상태).
그 후, 상기 다이(2)는 더욱 하향 이동되어, 상기 펀치(3)의 처리면(3a) 상에서 상기 워크피스(W)를 가압 및 변환(transform)시킴으로써, 상기 워크피스(W)를 몰딩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피스(W)가 펀치(3)의 처리면(3a)과 다이(2)의 처리면(2b) 사이에서 완전히 핀칭되게 되면, 몰딩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쿠션링(5)은 워크피스(W)의 핀칭을 유지하면서 상기 다이(2)와 함께 하향 이동된다.
상기 쿠션링(5)에는 개구부(5b)가 제공되고, 상기 쿠션링(5)의 보강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5b)의 하부에서의 상기 쿠션링(5)의 내주면들 사이에 복수의 리브(51)들이 걸쳐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리브(51)들은 상기 개구부(5b)의 하부에서 상기 쿠션링(5)의 내주면들에 실질적으로 대향하여 연결되며, 상기 리브(51)들은 그 교차점(51a)에서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상기 펀치(3)는 상기 쿠션링(5)의 개구부(5b) 안으로 핏팅되고, 상기 리브(51)들과의 간섭을 막기 위하여 그 하부에는 리세스(31)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31)는 상기 쿠션링(5) 내에 형성된 리브(51)들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워크피스(W)가 다이(2)의 하향 이동에 의해 펀치(3)의 처리면(3a) 상에서 가압 및 변환되면, 상기 워크피스(W)의 처리부가 안쪽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받으므로, 내향 인장력이 상기 워크피스(W)의 주변 에지를 핀칭하는 상기 쿠션링(5)의 상부 상에도 인가된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보강물이 전혀 없는 쿠션링(105)은, 내향 인장력이 상기 쿠션링(105)의 상부 상에 인가될 때, 바깥쪽으로 휘어 확장될 수도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쿠션링(5)은 상기 개구부(5b)의 하부에 걸쳐 있는 복수의 리브(51)들로 인하여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보강물로서 리브(51)들을 쿠션링(5)의 개구부(5b) 내부에 제공함 으로써, 상기 쿠션링(5)의 견고성이 향상되어, 워크피스(W)의 몰딩시에 상기 쿠션링(5)이 휘어지고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여하한의 복잡한 조정 작업 없이도, 몰딩 이후에 워크피스(W)에 여하한의 크리스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몰딩의 정확성을 개선하게 된다.
또한, 쿠션링(5)의 개선된 견고성으로 인하여, 상기 쿠션링(5)은 쿠션링(5)의 기계적인 처리 시에 처리력에 의한 휘어짐이 방지될 수 있어, 상기 쿠션링(5)의 기계적인 처리의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내향력이 인가되는 그 상부에 대향하여 상기 쿠션링(5)의 하부에 리브(51)들이 걸쳐 있어, 상기 쿠션링(5)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리브(51)들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쿠션링(5)용 보강물로서의 리브(51)들은 쿠션링(5)의 캐스팅과 동시에 상기 쿠션링(5)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물을 제공하기 위해 여타의 특별한 재료나 작업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프레스 몰더(1)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막게 된다.
도 30에 도시된 종래의 프레스 몰더에 관하여, 워크피스(W) 아래에는 하부 몰드(104) 및 펀치(103)가 배치된다. 하지만, 프레스 몰더(1)에 관해서는, 워크피스 아래의 하부 몰드가 생략되고, 단지 펀치(3)만이 상기 워크피스 아래에 배치됨으로써, 전체 프레스 몰더(1)가 콤팩트하게 될 수 있다.
보강물로서 쿠션링(5) 내에 제공된 리브(51)들은 상기 쿠션링(5)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링(5)과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보강 바(52)들이 개구부(5b)에 걸쳐져 있을 수도 있다.
지지부(52a)들이 각각의 보강 바(52)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각각의 지지부(52a)들은 상기 쿠션링(5)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구멍(5c)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52a)의 선단에는 스크루 스레드(screw thread)가 형성되고, 상기 선단은 상기 쿠션링(5)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보강 바(52)를 개구부(5b)에 걸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52a)의 각각의 선단들에 너트와 같은 체결 부재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금속이나 기타 견고한 재료로 만들어진 보강 바(52)들은 쿠션링(5)에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5b)에 걸쳐 있으므로, 상기 쿠션링(5)에 제공되는 보강물들의 위치 및 개수가 비교적 쉽게 변경될 수 있다.
리브(51) 또는 보강 바(52)와 같은 견고한 보강물들에 의하면, 쿠션링(5)의 휨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쿠션링(5)이 안정하게 보강된다.
대안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5b)에 제공되는 보강물들이 상기 개구부(5b)에 걸쳐 있는 와이어(53)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와이어(53)들의 양 단부(53a)들은 쿠션링(5)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쿠션링(5)에 제공된 롤러(5d)들에 걸쳐 루핑(loop)됨으로써, 상기 와이어(53)가 상기 개구부(5b)의 하부에 걸쳐 있게 된다.
와이어(53)들이 개구부(5b)에 감긴 쿠션링(5) 또한 휨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보강물로서 감긴 와이어(53)들을 이용하면, 상기 보강물들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어, 장력(인장력)이 비교적 쉽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와이어(53)들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쿠션링(5)의 보강 정도가 비교적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53)들에 의해 보강물들을 구성하는 경우의 장력의 조정에 관해서는, 상기 와이어(53)들을 터치하도록 돌출부(54)가 상기 쿠션링(5) 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그 터치 정도가 제어되어 상기 와이어(53)들의 장력을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와이어(53)들의 장력이 능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장력은 쿠션링(5)의 상부 상에 인가되는 내향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최적으로 조정될 수 있어, 상기 쿠션링(5)의 휨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으므로, 몰딩을 높은 정확성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프레스 몰더에 관해서는, 아래에 배치된 펀치(103)에 쿠션링이 하향 핏팅된다. 하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링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리브(51)를 구비한 쿠션링(5)으로 대체된다면, 상기 쿠션링(5)은 상기 펀치(103)가 리브(51)들과 간섭하기 때문에 상기 펀치(103)에 대해 하향 핏팅될 수 없다.
그러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몰더(1)에 관해서는, 펀치(3)에 쿠션링(5)을 핏팅할 때에 상기 펀치(3)가 상기 리브(51)들과 간섭하지 않도록, 그리고 상기 펀치(3)를 상기 고정된 쿠션링(5)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리브(51)들의 위치를 중첩시키는 상기 펀치(3)의 하부의 위치들에 홈(31)들이 형성된다.
상기 펀치(3)를 상기와 같이 위쪽으로 당기기 위해서는, 호이스팅 와이어 등 으로 매달리도록 후크가 상기 펀치(3)에 부착되어야 한다. 상기 후크는 상기 펀치(3) 상에 형성된 구멍 안으로 삽입되거나 나사결합된다. 상기 구멍은 워크피스(W)의 처리 형태를 결정하는 상기 펀치(3)의 처리면(3a) 상에 형성될 수 없다. 상기 구멍은 상기 펀치(3)의 수직측면 상에 형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3)의 측면(3b) 상에 형성된 후크 부착 구멍(3g)이 쿠션링(5)에 의해 커버된다면, 상기 후크들은 상기 후크 부착 구멍(3g) 안으로 삽입될 수 없다.
그러므로, 전체 프레스 몰더(1)에 관해서는, 펀치(3)의 하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도록 레그부(3c)들이 형성되어, 상기 펀치(3)의 측면(3b)에 후크(3d)들이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볼스터(4)에는 레그 삽입 구멍(4a)들이 형성되어 있다. 워크피스(W)의 몰딩시, 펀치(3)의 레그(3c)들은 상기 레그 삽입 구멍(4a)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펀치(3)의 처리면(3a)만이 상기 쿠션링(5)으로부터 위쪽으로 노출되는 한편, 측면(3b)은 상기 쿠션링(5)에 의해 커버된다.
그 후, 다이 교환 시와 같은 프레스 몰더(1)의 조립 전 작업에서, 상기 펀치(3)는 상기 쿠션링(5)과 함께 현수(suspend)되어, 수평 플로어(7) 상에 놓여지도록 또 다른 장소로 운반된다. 또한, 상기 펀치(3) 및 쿠션링(5)은 상기 쿠션링(5)의 외주부에 부착되는 후크(5e)들을 매달아 호이스팅되고 운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3) 및 쿠션링(5)이 수평 플로어(7) 상에 놓여지면, 상기 쿠션링(5)에 대한 펀치(3)의 높이는 상기 레그부(3c)들의 높이에 의 해 증가되어, 상기 후크 부착 구멍(3g)이 개방되는 상기 펀치(3)의 측면(3b)이 상기 쿠션링(5)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측면(3b)이 상기 쿠션링(5) 위쪽에 위치하므로, 매달릴 후크(3d)들이 상기 펀치(3)의 측면(3b)에 부착될 수 있어, 상기 펀치(3)를 현수 및 뽑을 수 있게 된다.
프레스 몰더(1)에 관해서는, 상향 바이어싱된 복수의 쿠션핀(8)들이 상기 쿠션링(5) 아래에 배치되어 쿠션링(5)을 지지하게 된다. 쿠션링(5)은 리브(51)들에 의해 내부에 제공되므로, 상기 쿠션핀(8)들은 상기 쿠션링(5)의 주본체 뿐만 아니라 상기 쿠션링(5)의 보강물로서의 역할을 하는 리브(51)들을 지지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링(5)의 상부 상에 내향력이 인가되면, 상기 리브(51)들이 휠 위험이 있다. 하지만, 상기 리브(51)들의 휨은 상기 주본체 및 보강 리브(51)에 의해 상기 쿠션링(5)을 위쪽으로 지지하는 쿠션핀(8)들로 인해 방지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링(5)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 시트(3e)들을 펀치(3)의 측면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펀치(3)의 측면이 탭 드릴(9)에 의해 탭핑될 필요가 있다.
펀치(103) 주위에 하부 몰드(104)를 구비한 종래의 프레스 몰더와는 달리, 상기 프레스 몰더(1)는 상기 펀치(3) 주위의 여하한의 하부 몰드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펀치(3)는 쉬우면서도 신속하게 탭핑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탭 드릴(9)과 간섭하여 탭핑을 어렵게 만드는 펀치(103) 주위의 하부 몰드(104)의 문제점이 없기 때문이다.
프레스 몰더(1)에 관해서는, 종래의 펀치(103)와 조합된 하부 몰드(104)와 펀치(3)가 조합되지 않으므로, 상기 펀치(3)만이 상기 쿠션링(5)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당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링(5)의 두께 치수(d) 및 높이 치수(h)는 상기 쿠션링(5)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하여 커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몰더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드로우-몰딩용 프레스 몰더(1)는, 상부 몰드인 다이(2), 상기 다이(2)를 향하도록 배치된 펀치(3)(도 15에서는, 상기 다이(2) 아래에 배치됨), 및 상기 펀치(3) 주위에 환형으로 배치된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1쿠션링(5)의 내주면에 배치된 제2쿠션링(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이(2)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은 상기 다이(2)를 따를 수 있다(즉, 상기 쿠션링들은 상기 다이(2)의 수직이동을 따르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함).
상기 제1쿠션링(5), 상기 제2쿠션링(6) 및 상기 펀치(3)는 볼스터(4)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펀치(3)는 상기 제1쿠션링(5)과 상기 제2쿠션링(6) 사이의 공간(5b)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5b)을 핏팅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의 상부면들에는 각각 크리스 억제면(5a, 6a)들이 형성되어 있다. 크리스 억제면(2a)이 크리스 억제면(5a, 6a)에 대해 맞닿 을 수 있도록,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의 크리스 억제면(5a, 6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다이(2)의 하부면에는 크리스 억제면(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쿠션링(5)의 크리스 억제면(5a)에 대응하는 크리스 억제면(2a)의 일부분은 상기 다이(2)의 주변부의 저부면 상에 형성된다.
처리되는 부재인 판형 워크피스(W)는 다이(2)와 펀치(3)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워크피스(W)가 프레스 몰더(1)에 의해 몰딩되면, 우선 다이(2)가 하향 이동되어, 상기 워크피스(W)의 주변 에지가 상기 다이(2)의 크리스 억제면(2a)과 상기 제1쿠션링(5)의 크리스 억제면(5a) 사이에서 핀칭되도록 한다(도 15에 도시된 상태). 이 상태에서, 상기 워크피스(W)는 상기 다이(2)의 크리스 억제면(2a)과 상기 제2쿠션링(6)의 크리스 억제면(6a) 사이에서도 핀칭된다.
그 후, 상기 다이(2)는 더욱 하향 이동되어, 상기 펀치(3)의 처리면(3a) 상에서 상기 워크피스(W)를 가압 및 변환시킴으로써, 상기 워크피스(W)를 몰딩하게 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피스(W)가 펀치(3)의 처리면(3a)과 다이(2)의 처리면(2b) 사이에서 완전히 핀칭되게 되면 상기 몰딩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은 상기 워크피스(W)의 핀칭을 유지하면서 상기 다이(2)와 함께 하향 이동된다.
상기 제1쿠션링(5)과 상기 제2쿠션링(6) 사이의 공간(5b)에는 복수의 리브(51)들이 형성된다. 각각의 리브(51)들은 상기 제1쿠션링(5)의 하부 내주면과 상기 제2쿠션링(6)의 하부 외주면 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쿠션링(5)과 상기 제2쿠션링(6) 사이에 걸친 리브(51) 들은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용 보강 구조체로서 실행된다.
상기 펀치(3)는 상기 제1쿠션링(5)과 상기 제2쿠션링(6) 사이의 공간(5b) 안으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핏팅된다. 상기 제2쿠션링(6)은 상기 펀치(3) 내에 형성된 중공(3c) 안으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핏팅된다. 즉,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은 상기 펀치(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핏팅된다.
상기 펀치(3)의 상기 리브(51)들과의 간섭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쿠션링(5)과 상기 제2쿠션링(6) 사이의 공간(5b) 안으로 핏팅될 상기 펀치(3)의 하부에는 리세스(31)가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리세스(31)는, 상기 제1쿠션링(5), 제2쿠션링(6) 및 펀치(3)가 볼스터(4) 상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펀치(3)가 상기 리브(51)들과 간섭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쿠션링(5) 내에 형성된 리브(51)들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워크피스(W)가 다이(2)의 하향 이동에 의해 펀치(3)의 처리면(3a) 상에서 가압 및 변환되면, 상기 워크피스(W)의 처리부가 안쪽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받으므로, 내향 인장력이 상기 워크피스(W)의 주변 에지를 핀칭하는 상기 제1쿠션링(5)의 상부 상에도 인가된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보강물이 전혀 없는 쿠션링(105)은, 내향 인장력이 상기 쿠션링(105)의 상부 상에 인가될 때, 바깥쪽으로 휘어지고 확장될 수도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쿠션링(5)은 개구부(5b)의 하부에 걸쳐 있는 복수의 리 브(51)들로 인하여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2쿠션링(6)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쿠션링(5)과 상기 제2쿠션링(6) 사이의 공간(5b)에서 상기 제1쿠션링(5)에 보강 리브(51)들이 제공되므로, 상기 제1쿠션링(5)의 견고성이 향상되어, 워크피스(W)의 몰딩시에 상기 제1쿠션링(5)이 휘어지고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51)들은 제2쿠션링(6)도 보강하여, 몰딩시에 제2쿠션링(6) 상에 힘이 인가될 때, 상기 제2쿠션링(6)의 자세-교란을 억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여하한의 복잡한 조정 작업 없이도, 몰딩 이후에 워크피스(W)에 여하한의 크리스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몰딩의 정확성을 개선하게 된다.
제1쿠션링(5)의 개선된 견고성으로 인하여,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은 상기 쿠션링(5, 6)들의 기계적인 처리 시에 처리력에 의한 휘어짐이 방지되어, 상기 쿠션링(5, 6)들의 기계적인 처리의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내향력이 인가되는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5, 6)의 상부들에 대향하여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5, 6)의 하부들에 상기 리브(51)들이 걸쳐 있어, 상기 쿠션링(5, 6)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리브(51)들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5, 6)용 보강 구조체로서의 리브(51)들은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5, 6)들의 캐스팅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5, 6)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물을 제공하기 위해 여타의 특별한 재료나 작 업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프레스 몰더(1)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막게 된다.
도 32에 도시된 종래의 프레스 몰더에 관하여, 워크피스(W) 아래에는 펀치(103) 및 하부 몰드(104)가 배치된다. 하지만, 프레스 몰더(1)에 관해서는, 하부 몰드가 생략되고, 단지 펀치(3)만이 상기 워크피스 아래에 배치됨으로써, 전체 프레스 몰더(1)가 콤팩트하게 될 수 있다.
보강 구조체로서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 사이에 제공되는 리브(51)들은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5, 6)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쿠션링(5, 6)과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보강 바(52)들이 상기 공간(5b)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부(52a)들은 각각의 보강 바(52)의 단부들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1쿠션링(5)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구멍(5c)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보강 바(52)의 타단부에는 스크루부(52c)가 형성되고, 상기 제2쿠션링(6)에 나사결합된다.
각각의 지지부(52a)의 선단들에는 스크루 스레드가 형성되고, 상기 선단은 상기 제1쿠션링(5)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1쿠션링(5)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52a)의 선단에는 너트와 같은 체결 부재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 바(52)들은 상기 제1쿠션링(5)의 공간(5b) 내에 걸쳐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이나 기타 견고한 재료로 만들어진 보강 바(52)들이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 사이에 걸쳐 있으므로, 상기 걸쳐 있는 보강 구조체들의 위치 및 개수가 비교적 쉽게 변경될 수 있다.
리브(51) 또는 보강 바(52)와 같은 견고한 보강물들에 의하면, 상기 제1쿠션링(5)의 휨과 상기 제2쿠션링(6)의 자세-교란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이 안정하게 보강된다.
대안적으로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용 보강 구조체로서 베이스판(46)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은 볼트(47) 등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46)에 체결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판(46)은 상기 제1쿠션링(5)을 상기 제2쿠션링(6)에 연결하는 보강 구조체로서 실행된다.
종래의 프레스 몰더에 관해서는, 아래에 배치된 펀치(103)에 쿠션링이 하향 핏팅된다. 하지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링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리브(51)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제1 및 제2쿠션링(5, 6)으로 대체된다면,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5, 6)은 상기 펀치(103)가 상기 리브(51)들과 간섭하기 때문에 상기 펀치(103)에 대해 하향 핏팅될 수 없다.
그러므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몰더(1)에 관해서는, 펀치(3)에 제1 및 제2쿠션링(5, 6)을 핏팅할 때에 상기 펀치(3)가 상기 리브(51)들과 간섭하지 않도록, 그리고 상기 펀치(3)를 상기 고정된 쿠션링(5, 6)으로부터 위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리브(51)들의 위치를 중첩시키는 상기 펀치(3)의 하부의 위치들에 홈(31)들이 형성된다.
또한, 도 23에는, 제2쿠션링(6)이 생략되어 있고, 제1쿠션(5)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펀치(3)를 상기와 같이 위쪽으로 당기기 위해서는, 호이스팅 와이어 등으로 매달리도록 상기 펀치(3)에 후크가 부착되어야 한다. 상기 후크는 상기 펀치(3) 상에 형성된 구멍 안으로 삽입되거나 나사결합된다. 상기 구멍은 워크피스(W)의 처리 형태를 결정하는 상기 펀치(3)의 처리면(3a) 상에 형성될 수 없다. 상기 구멍은 상기 펀치(3)의 수직측면 상에 형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 도면에는, 제2쿠션링(6)이 생략되어 있음), 상기 펀치(3)의 측면(3b) 상에 형성된 후크 부착 구멍(3g)이 상기 쿠션링(5)에 의해 커버된다면, 상기 후크들은 상기 후크 부착 구멍(3g) 안으로 삽입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프레스 몰더(1)에 관해서는, 제1쿠션링(5), 제2쿠션링(6) 및 펀치(3)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부(9a)들을 구비한 몰드 베이스(9) 상에 놓여지므로(도면에는, 제2쿠션링(6)이 생략되어 있음), 후크(3d)들이 상기 펀치(3)의 측면(3b)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워크피스(W)의 몰딩시, 판형 볼스터(4) 상에는 제1쿠션링(5), 제2쿠션링(6) 및 펀치(3)가 놓이게 되어, 상기 펀치(3)의 처리면(3a)만이 상기 제1쿠션링(5)으로부터 위쪽으로 노출되는 한편, 상기 측면(3b)은 상기 제1쿠션링(5)에 의해 커버된다.
다이 교환 등을 위한 프레스 몰더(1)의 조립 전 작업에서, 상기 펀치(3)는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5, 6)과 함께 호이스팅되어, 상기 몰드 베이스(9)가 또 다 른 장소에 놓여지도록 운반된다.
또한, 상기 펀치(3) 및 제1쿠션링(5)을 호이스팅 및 운반하기 위해 매달리도록, 상기 쿠션링(5)의 외주부에는 후크(5e)들이 부착된다.
펀치(3)가 놓여지는 몰드 베이스(9)의 일부분에는 상기 몰드 베이스(9)의 레그부(9a)들이 형성된다. 상기 레그부(9a) 상에 놓이는 펀치(3)는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5, 6)에 비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 부착 구멍(3g)이 개방되는 상기 펀치(3)의 측면(3b)은 상기 제1쿠션링(5)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펀치(3)의 측면(3b)을 상기 제1쿠션링(5)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후크(3d)들이 상기 펀치(3)의 측면(3b)에 부착될 수 있어, 상기 펀치(3)를 위로 당기기 위해 매달리게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펀치(3)가 제1 및 제2쿠션링(5, 6)과 함께 설정되면, 도 25에 도시된 후크(3d)들이 제거된 다음, 상기 펀치(3)가 상기 제1 및 제2쿠션링(5, 6)과 함께 호이스팅되어, 상기 볼스터(4) 상에 놓이도록 운반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몰더(1)에 관해서는,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이 리브(51)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이 기계적 프로세서(10)에 의하여 동시에 기계적으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은 기계적으로 처리되도록 동시에 동일한 지그(jig) 상에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은 높은 정확성을 가지고 기계적으로 처리될 수 있어, 상기 프레스 몰더(1)의 프레스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만일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상기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 양자 모두는 펀치(3)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각각의 슬라이드판들에 의해 그 위에 부착되어야 한다.
하지만, 프레스 몰더(1)에 대해서는, 상기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은 리브(5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쿠션링(6)용 슬라이드판(6e)들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단지 제1쿠션링(5) 상에만 슬라이드판(6e)들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프레스 몰더(1)를 구성하는 부품들, 특히 유지보수를 위해 교환될 부품들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또 다른 보강 구조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펀치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핏팅되는 프레스 몰더용 복수의 쿠션링들의 대안예를 보여준다.
도 28 및 도 29에 각각 도시된 복수의 쿠션링들은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쿠션링(6)은 상기 제1쿠션링(5) 내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은 또한 보강 구조체인 리브(51)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리브(51)들은 상기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의 하부들에 배치된다.
상기 리브(51)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은 상기 펀치(3) 내에 형성된 중공(3c) 안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핏팅된다.
상기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을 보강 구조체인 리브(51)들로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의 견고성이 개선되어, 상기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이 작업피스(W)의 몰딩시에 휘어지고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몰딩시에 상기 제1쿠션링(5) 및 제2쿠션링(6)의 자세-교란이 억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여하한의 복잡한 조정 작업 없이도, 몰딩 이후에 워크피스에 여하한의 크리스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막게 되어, 상기 몰딩의 정확성을 개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의 기계적인 처리 시에 처리력에 의해 상기 제1쿠션링(5) 및 상기 제2쿠션링(6)이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쿠션링들의 기계적인 처리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쿠션링의 휨을 방지하여 쿠션링의 견고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프레스 몰더에 폭넓게 적용가능하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프레스 몰더에 제공되는 쿠션링에 있어서,
    상기 쿠션링이 다이에 맞닿는 쪽 표면에 대향하여 개구부가 제공되며,
    상기 쿠션링은 프레스 몰딩시에 상기 쿠션링이 휘는 것을 막기 위한 보강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개구부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보강 구조체는,상기 쿠션링의 개구부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리브(ri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링.
  17. 프레스 몰더에 제공되는 쿠션링에 있어서,
    상기 쿠션링이 다이에 맞닿는 쪽 표면에 대향하여 개구부가 제공되며,
    상기 쿠션링은 프레스 몰딩시에 상기 쿠션링이 휘는 것을 막기 위한 보강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개구부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쿠션링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쿠션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링.
  18. 프레스 몰더에 제공되는 쿠션링에 있어서,
    상기 쿠션링이 다이에 맞닿는 쪽 표면에 대향하여 개구부가 제공되며,
    상기 쿠션링은 프레스 몰딩시에 상기 쿠션링이 휘는 것을 막기 위한 보강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개구부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쿠션링의 개구부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링.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조정 가능한 인장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링.
KR1020067027969A 2004-07-29 2005-07-22 쿠션링 KR100875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1866A JP4432659B2 (ja) 2004-07-29 2004-07-29 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クッションリング
JPJP-P-2004-00221866 2004-07-29
JP2004353265A JP4517840B2 (ja) 2004-12-06 2004-12-06 プレス成形装置
JPJP-P-2004-00353265 2004-12-06
PCT/JP2005/013909 WO2006011585A1 (en) 2004-07-29 2005-07-22 Press molder and cushion r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530A Division KR100899624B1 (ko) 2004-07-29 2005-07-22 프레스 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121A KR20070022121A (ko) 2007-02-23
KR100875883B1 true KR100875883B1 (ko) 2008-12-26

Family

ID=349729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969A KR100875883B1 (ko) 2004-07-29 2005-07-22 쿠션링
KR1020087009530A KR100899624B1 (ko) 2004-07-29 2005-07-22 프레스 몰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530A KR100899624B1 (ko) 2004-07-29 2005-07-22 프레스 몰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40734B2 (ko)
EP (1) EP1771262B1 (ko)
KR (2) KR100875883B1 (ko)
DE (1) DE602005018064D1 (ko)
WO (1) WO20060115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7049B2 (ja) * 2013-10-16 2016-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プレス装置、製造ライン
CN110328278B (zh) * 2019-08-14 2020-06-23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大型薄壁曲面件成形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7307A (en) * 1951-10-25 1955-05-03 Moore & Co Samuel Press
DE1759429C3 (de) * 1968-04-30 1973-12-20 Villeroy & Boch Keramische Werke Kg, 6642 Mettlach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Pressen mehrerer plattenförmiger Presslinge
US4534725A (en) * 1982-04-01 1985-08-13 International Paper Company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venable paperboard articles
JPS58184024A (ja) * 1982-04-22 1983-10-27 Nissan Motor Co Ltd 絞り型
JPH0751796A (ja) 1993-08-23 1995-02-28 Honda Motor Co Ltd 鋳造体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2002086219A (ja) 2000-09-12 2002-03-26 Toyota Motor Corp ブランクホルダー圧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とプレス成形機
US6648624B1 (en) * 2000-11-30 2003-11-18 Brown Machine, Llc. Thermoforming machine tooling assembly with plug assist tooling
JP2002219528A (ja) 2001-01-23 2002-08-06 Toyota Industries Corp プレス金型
JP2002219529A (ja) 2001-01-23 2002-08-06 Toyota Industries Corp プレス金型
JP2004066337A (ja) * 2002-08-09 2004-03-04 Fuji Heavy Ind Ltd プレス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1262A1 (en) 2007-04-11
EP1771262B1 (en) 2009-12-02
WO2006011585A1 (en) 2006-02-02
US7540734B2 (en) 2009-06-02
KR20070022121A (ko) 2007-02-23
DE602005018064D1 (de) 2010-01-14
US20080067320A1 (en) 2008-03-20
KR20080038459A (ko) 2008-05-06
KR100899624B1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082B1 (ko) 프레스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111356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ressed component
KR101929643B1 (ko) 복수의 두께 증가 부분을 갖는 판상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복수의 두께 증가부를 갖는 판상 성형체
KR100875883B1 (ko) 쿠션링
KR101252690B1 (ko) 시트 쿠션프레임의 연속제조공정을 위한 헤밍장치
JP5291897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シューの支持装置
JP4432659B2 (ja) 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クッションリング
JP4517840B2 (ja) プレス成形装置
JP2554768B2 (ja) フランジ成形用金型
KR101591874B1 (ko) 더블 크로스 패드 금형 구조에 의한 자동차 차체 패널 금형 보정 장치 및 방법
JP4640265B2 (ja) プレス成形装置
US8061176B2 (en) Press molding device and press molding method
CN210702094U (zh) 一种薄壁钣金件长翻孔模具
JP5741428B2 (ja) 多段プレス装置の金型の調整方法
CN210100810U (zh) 一种模具锁模板结构
CN217141729U (zh) 轧钢机机架支撑定位机构
JP5933299B2 (ja) プレス成形装置
JPH09182920A (ja) プレス金型
JPH0825098A (ja) プレス装置
JP5174472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そのプーリ支持部の製造方法
JPH11246148A (ja) エレベータ乗かご据付装置
JPH0820012A (ja) セラミック成形素地の成形用下型
KR20090116892A (ko)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의 고정홈 형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21

Effective date: 200811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