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584B1 - 감열 기록체 - Google Patents

감열 기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584B1
KR100875584B1 KR1020077009435A KR20077009435A KR100875584B1 KR 100875584 B1 KR100875584 B1 KR 100875584B1 KR 1020077009435 A KR1020077009435 A KR 1020077009435A KR 20077009435 A KR20077009435 A KR 20077009435A KR 100875584 B1 KR100875584 B1 KR 100875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ted
silicate
sensitive recording
hea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985A (ko
Inventor
다카시 다테
미즈호 시모야마
고이치 야나이
겐지 히라이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7Additives;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7Additives; Binders
    • B41M5/3377Inorganic compounds, e.g. metal salts of organ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23Organic colour formers, e.g. leuco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26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inorganic compounds, e.g. metals, metal salts, metal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4Direct thermal recording [DT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12Preparation of material for subsequent imaging, e.g. corona treatment, simultaneous coating, pre-trea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40Cover layers; Layers separated from substrate by imaging layer; Protective layers; Layers applied before im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적어도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공여성 로이코염료 및 전자수용성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갖는 단일 또는 복수층으로 되는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지지체 상의 1층 이상에, 규산소다 수용액을 무기산 및 산성 금속염 수용액에 의해 중화시키는 수화 규산물 석출공정에서, 습식 분쇄 처리를 행한 수화 규산물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 발색 감도, 도공층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내헤드 마모성, 내잔재 부착성, 내스티킹성이 우수한 백색도가 높은 감열 기록체를 얻는다.

Description

감열 기록체{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
본 발명은, 알칼리성 무색 염료와 유기 현색제의 발색 반응을 이용한 감열 기록체에 관한 것이다.
무색 또는 담색(淡色)의 염료전구체와 열시(熱時) 반응하여 발색시키는 현색제(顯色劑)를 주성분으로 하는 감열 기록층(감열 발색층 또는 감열층이라고도 함)을 가지는 감열 기록체는, 일본국 특허공고 제(소)45-14039공보에 개시되고,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이 감열 기록체에 기록을 행하는데는 써멀 헤드를 내장한 써멀 프린터 등이 이용되며, 종래에 실용화되어 있던 다른 기록법에 비해, 기록시에 소음이 없고, 현상정착(現像定着)의 필요가 없으며, 유지보수가 불필요하고, 기기가 비교적 염가이며, 컴팩트하고, 얻어진 발색이 매우 선명하다는 특징으로부터, 팩시밀리나 컴퓨터 분야, 각종 계측기, 라벨용 등 산업 정보 용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더욱 용도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기록 장치는 소형화, 고속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미소한 열에너지로도 고농도이며 선명한 발색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감열 기록체가 요망되고 있다.
이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감열층 중에 열가용성 물질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발색 감도를 높이는 방법(특허 문헌 1), 현색 능력이 높은 신규 현색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발색 감도를 높이는 방법, 특정의 현색제와 특정의 증감제를 조합하는 방법(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4)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내열 바탕색(地色)의 악화, 시간 경과에 따른 가루 날림, 재인자성의 저하, 내잔재 부착성의 악화, 내스티킹성의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기록 장치의 고속화에 대해서, 내잔재 부착성의 악화, 내스티킹성의 악화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 내잔재 부착성의 악화, 내스티킹성의 악화는 써멀 헤드로부터의 열에 의해 감열 발색층 중의 성분이 용융·점착되는 것이 원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정의 입도 분포, BET 비표면적 및 부피 밀도의 미립자 비정질 실리카를 함유시키는 방법(특허 문헌 5)이 개시되어 있으나, 실리카의 표면 활성이 로이코염료와 현색제의 반응을 촉진하여, 바탕색 발색(바탕 착색)의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통상의 실리카를 사용한 경우, 감열 기록체의 표면 강도(도공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오프셋인쇄 등의 경우에 블랭킷의 오염 등의 문제가 생길 뿐아니라, 내헤드 마모성도 저하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소)56-16908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소)56-14419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제(소)60-82382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제(소)57-201691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제(소)58-8709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색 감도, 도공층 강도가 뛰어나며, 또한 내헤드 마모성, 내잔재 부착성, 내스티킹성이 뛰어난 백색도가 높은 감열 기록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자 등이 예의 검토한 결과, 적어도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공여성(電子供與性) 로이코염료 및 전자수용성(電子受容性)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갖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되는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지지체 상의 1층 이상에, 수화 규산물 석출공정에서 습식 분쇄 처리를 행한 수화 규산물을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는 수화 규산물 석출공정에서 습식 분쇄 처리를 행한 수화 규산물을, 감열 발색층, 지지체와 감열 발색층 사이에 설치한 하도층(下塗層), 감열 발색층 위에 설치한 보호층, 또한 감열 발색층과 보호층 사이에 설치한 중간층에 함유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는 이들의 어느 것이든 1층 이상에 함유시킨 것이지만, 특히 감열 발색층 및/또는 하도층에 함유시키는 것으로 큰 효과를 발현한다. 또한 감열 발색층, 하도층, 보호층, 중간층은 각각 단층 또는 복수층을 설치할 수 있다.
수화 규산물(실리카)은 높은 흡유성(吸油性), 뛰어난 단열성 등의 특성을 갖는 부피가 큰 안료이기 때문에, 발색 감도 등의 요구 품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특정의 입경, 흡유량, 비표면적 등을 규정한 수화 규산을 감열 기록체의 감열 발색층, 하도층, 보호층에 함유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화 규산은 입경 분포가 넓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발색 감도는 양호해지지만 도공층 강도나 내헤드 마모성이 저하하는 등의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같은 평균 입경에서 입경 분포가 넓은 수화 규산물 A와 좁은 수화 규산물 B를 함유한 층을 비교하면, 같은 바인더 양에서는 수화 규산물 A를 함유하고 있는 도공층의 강도가 약해진다. 이것은 수화 규산물 A가, 바인더를 필요로 하는 작은 입경(비표면적이 큰) 수화 규산물의 함유율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 때문에, 같은 바인더 양으로는 수화 규산물 A를 함유시킨 층의 강도가 약해져, 오프셋인쇄한 경우에 블랭킷 오염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수화 규산물 A가 함유되어 있는 도공층의 바인더 양을 늘리는 것에 의해, 동일한 정도의 도공층 강도로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 경우 도공층 중 수화 규산물의 함유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발색 감도 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써멀 헤드와 접촉하는 감열 발색층 또는 보호층에 수화 규산물 A와 수화 규산물 B를 함유시킨 경우, 수화 규산물 A를 함유시킨 쪽이 써멀 헤드의 마모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낳는다. 이는, 수화 규산물 A에는 입경이 큰 수화 규산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 큰 수화 규산물이 써멀 헤드와 접촉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사실로부터, 감열 기록체에는 입경 분포가 좁은 수화 규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음에 드는 이유에 의해, 종래의 수화 규산물로는 요구되는 품질에 대응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수화 규산물의 제조방법으로는, 규산소다와 황산을 알칼리 반응시키는 침전법과, 규산소다와 황산을 산성 반응시키는 겔법이 있다. 통상, 이 두 가지 제조방법은, 규산소다를 황산으로 충분히 중화반응시켜 석출시킨 조대(粗大)한 수화 규산물을 건조한 후, 분쇄·분급(分級)하여 목적의 입경으로 조정하고 있으나, 입경 분포를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는, 석출된 조대한 수화 규산물이 건조에 의해 재응집하여, 더욱 큰 수화 규산물이 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즉, 큰 입자와 작은 입자를 같은 평균 입경이 되도록 처리한 경우, 큰 입자를 분쇄한 쪽이, 극단적으로 분쇄된 입자나 거의 분쇄되지 않은 입자가 혼재하고 있는 비율이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건조된 수화 규산물을 비즈밀 등의 분쇄기로 처리한 경우, 수화 규산물과 비즈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재응집하기 때문에, 얻어진 수화 규산물의 입도 분포는 넓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얻어진 수화 규산의 분쇄물을 분급하는 것에 의해 어느 정도는 입도 분포를 좁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보다 나은 품질에 대한 요구에 대해서는 불충분하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화 규산물은, 수화 규산물 석출공정에서 습식 분쇄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규산소다의 중화반응 도중에, 즉 석출되는 수화 규산물이 조대한 입자가 되기 전에, 목적의 입경이 되도록 습식 분쇄하기 때문에, 입경 분포를 좁게 할 수 있다. 이 중화반응 및 습식 분쇄 처리는 몇 차례로 분할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화반응 종료 후에 습식 분쇄 처리하여, 목적의 입경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습식 분쇄하는 것에 의해, 수화 규산물과 비즈와의 마찰열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좁은 입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얻어진 수화 규산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도공층 강도가 강하고 인쇄적성이 뛰어난 감열 기록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써멀 헤드와 접촉하는 층에 사용하는 것에 의해, 뛰어난 내헤드 마모성도 갖는 감열 기록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함유되는 수화 규산물의 입경 분포는, 레이저법에 의한 측정으로, 체적 평균 입경에 의한 입경 분포에 있어서, 최소치로부터 적산(積算)해 10%가 포함되는 입경(D10)과 90%가 포함되는 (D90)과의 입경의 차(D10/D90)가 9 ㎛ 이하, 한편 최소치로부터 적산해 20%가 포함되는 입경(D20)과 80%가 포함되는 (D80)과의 입경의 차(D20/D80)가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D10/D90가 7 ㎛ 이하이고 D20/D80가 4 ㎛ 이하이다.
D10/D90가 9 ㎛ 이상이면, 헤드 마모성의 저하 또는 표면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함유되는 수화 규산물의 평균 입경은, 레이저법에 의한 측정치로 1~1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다. 평균 입경이 1 ㎛ 보다 작으면 충분한 표면 강도를 얻지 못하고, 평균 입경이 15 ㎛ 보다 크면 헤드 마모성에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함유되는 수화 규산물의 흡유량은 100~350 ㎖/1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350 ㎖/100 g이다. 흡유량이 100 ㎖/100 g 보다 적으면 써멀 헤드로부터의 열에 의해 용융된 발색 재료를 충분히 흡수·흡착하지 못하여, 써멀 헤드에 잔재가 부착되는 문제가 생기며, 350 ㎖/100 g 보다 많으면 표면 강도가 저하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수화 규산물로서 수화 규산염을 사용하는 것으로, 표면 강도, 내헤드 마모성과 함께 내헤드 잔재성이 양호한 높은 백색도를 가지는 감열 기록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유는 명확하게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다음과 같이 추측된다.
규산소다 수용액을 무기산 및 산성 금속염 수용액에 의해 중화시켜 얻어진 수화 규산염은, 수화 규산물과 금속 화합물의 복합체이며, 종래의 규산소다 수용액을 황산에 의해 중화시켜 얻어진 수화 규산물과 비교해 금속 화합물의 함유량이 많고, 이 금속 화합물이 써멀 헤드로부터의 열에 의해 용융된 로이코염료, 현색제, 증감제의 수화 규산염으로의 흡착을 촉진하여 높은 발색 감도가 발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과잉으로 용융된 발색 재료도 흡착하기 때문에, 써멀 헤드로의 잔재 부착을 방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종래의 수화 규산물과 비교해서,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에 의해 수화 규산물이 갖고 있는 수산기의 상대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활성도 저하한다. 이 때문에, 도료를 조제했을 때의 백색도 저하도 억제되는 동시에, 산화알루미늄의 굴절률이 1.65인 것에 비해 실리카의 굴절률은 1.48~1.49인 것과 같이, 금속 화합물의 굴절률은 실리카와 비교하여 높아지기 때문에, 도공층의 백색도도 향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화 규산염은, 금속 화합물의 함유량이 산화물 환산으로 1.0~8.0 중량%(대(對) SiO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화합물의 함유량이 1.0 보다 적으면 그 효과는 충분히 발현되지 않는다. 한편, 금속 화합물의 함유량이 8.0 중량% 이상이면, 결정형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수화 규산염에 함유되는 금속화합물로서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스트론튬, 산화바륨 등의 알칼리토류금속의 산화물,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니켈, 산화철, 산화알루미늄 등을 예시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백색도 및 흡유량의 관점에서 산화알루미늄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는 수화 규산물 석출공정에서 습식 분쇄 처리를 행한 수화 규산물을, 감열 발색층 외에, 발색 감도를 높일 목적으로 지지체와 감열 발색층 사이에 설치한 하도층, 감열 발색층 위에 설치한 보호층, 또한 감열 발색층과 보호층 사이에 설치한 중간층에 함유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는 이들 중 어느 것이든지 1층 이상에 함유한 것이다. 또한 감열 발색층, 하도층, 보호층, 중간층은 각각 단층 또는 복수층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화 규산물은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274837호 공보 또는 일본국 특허 제290825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규산소다 수용액에 무기산(황산)을 분할 첨가하고, 그 제조 프로세스 중의 규산 석출공정에서 목적의 평균 입경이 되도록 습식 분쇄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화 규산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화반응을 몇 차례의 공정으로 나누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화 공정의 횟수가 과잉이 되면 생산 효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3 공정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수화 규산은 일본국 특허 제290825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볼밀, 로드밀 등의 광의의 볼밀이나, 타워밀, 아트라이터, 새이토리밀(satory mill), 샌드 그라인더, 애뉼라밀(annular mill) 등의 매체교반식 분쇄기, 콜로이드밀, 호모믹서, 인라인밀 등의 고속회전 분쇄기 등으로 습식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쇄 조건은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석출되는 실리카 또는 실리케이트 입자는 매우 미세하고, 특히 제1 공정에서 석출되는 실리카는 분쇄되기 쉽기 때문에, 상기한 분쇄기 외에 분산기나 유화기의 종류로 분쇄하는 것도 가능하여, 이들을 분쇄기와 조합해 사용해도 지장이 없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사용되는 수화 규산염은 상기 수화 규산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무기산(황산)의 일부를 산성 금속염 수용액으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산성 금속염 수용액을 구성하는 금속 원소로는, 예를 들면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등의 알칼리토류금속 원소, 또는 티탄, 지르코늄, 니켈, 철, 알루미늄 등, 산성 금속염 수용액으로는 산성 금속 황산염을 들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황산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 화합물의 함유량이 산화물 환산으로 0.5~8.0 중량%(대 SiO2 중량%, 형광 X선 분석장치 옥스포드 ED2000형에 의한 측정)인 수화 규산염은, 상기한 수화 규산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산을 첨가할 때 어느 하나 이상의 공정에, 무기산(황산) 대신에 규산소다 중화 당량의 5~60 중량%에 상당하는 산성 금속염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수화 규산염은 산성 금속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수화 규산에 가까운 흡유량 수준이 되며, 또한 규산염화에 의해 비산란 계수가 높아진다는 양쪽 특징을 겸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수화 규산염의 함유량은, 각층 전체에 대해서 다음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열 발색층에 있어서는 1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50 중량%, 하도층에 있어서는 2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 보호층에 있어서는 1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70 중량%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자공여성 로이코염료로는, 종래의 감압 또는 감열 기록지 분야에서 공지의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페닐메탄계 화합물, 플루오란계 화합물, 플루오렌계, 디비닐계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대표적인 것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염료전구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사용해도 된다.
<트리페닐메탄계 로이코염료>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6-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
[별명(別名) 크리스탈 바이올렛 락톤(crystal violet lactone)]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프탈라이드
[별명 말라카이트 그린 락톤(malachite green lactone)]
<플루오란계 로이코염료>
3-디에틸아미노-6-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p-디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클로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m-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n-옥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n-옥틸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벤질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디벤질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p-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에톡시에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클로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벤조[a]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벤조[c]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p-디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클로로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에톡시에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p-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피롤리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피페리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크실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p-톨루이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에톡시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시클로헥실아미노-6-클로로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메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메틸-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메톡시-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클로로-3-메틸-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클로로-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니트로-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디에틸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페닐-6-메틸-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벤질-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히드록시-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메틸-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p-(p-디부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4-디메틸-6-[(4-디메틸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플루오렌계 로이코염료>
3,6,6'-트리스(디메틸아미노)스피로[플루오렌-9,3'-프탈라이드]
3,6,6'-트리스(디에틸아미노)스피로[플루오렌-9,3'-프탈라이드]
<디비닐계 로이코염료>
3,3-비스-[2-(p-디메틸아미노페닐)-2-(p-메톡시페닐)에테닐]-4,5,6,7-테트라브로모프탈라이드
3,3-비스-[2-(p-디메틸아미노페닐)-2-(p-메톡시페닐)에테닐]-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3,3-비스-[1,1-비스(4-피롤리디노페닐)에틸렌-2-일]-4,5,6,7-테트라브로모프탈라이드
3,3-비스-[1-(4-메톡시페닐)-1-(4-피롤리디노페닐)에틸렌-2-일]-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기타>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옥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4-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2-메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3-비스(1-에틸-2-메틸인돌-3-일)프탈라이드
3,6-비스(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γ-(3'-니트로)아닐리노락탐
3,6-비스(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γ-(4'-니트로)아닐리노락탐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2-디니트릴에탄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β-나프토일에탄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2-디아세틸에탄
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메틸말론산디메틸에스테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에 대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종래 공지의 현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색제로는, 활성백토, 아타펄자이트(attapulgite), 비스페놀 A류, 4-히드록시안식향산 에스테르류, 4-히드록시프탈산 디에스테르류, 프탈산 모노에스테르류, 비스-(히드록시페닐)설피드류, 4-히드록시페닐아릴설폰류, 4-히드록시페닐아릴설포네이트류, 1,3-디[2-(히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류, 4-히드록시벤조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비스페놀설폰류,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8-59603호에 기재된 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국제 공개 WO97/16420호에 기재된 디페닐설폰가교형 화합물, 국제 공개 WO02/081229호 또는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301873호에 기재된 페놀성 화합물, 국제 공개 WO02/098674호 또는 WO03/029017호에 기재된 페닐노보락형 축합조성물, 국제 공개 WO00/14058호 또는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143611호에 기재된 우레아우레탄 화합물, N,N'-디-m-클로로페닐티오우레아 등의 티오요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중에서, 4,4'-디히드록시디페닐설폰(비스페놀 S), 4-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디페닐설폰이 발색 색조, 보존성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에 대한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종래 공지의 증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감제로는, 포화지방산 모노아미드, 에틸렌비스 지방산 아미드, 몬탄산왁스, 폴리에틸렌왁스, 1,2-디-(3-메틸페녹시)에탄, p-벤질비페닐, 4-비페닐-p-톨릴에테르, m-터페닐, 1,2-디페녹시에탄, 4,4'-에틸렌디옥시-비스-안식향산 디벤질에스테르, 디벤조일옥시메탄, 1,2-디(3-메틸페녹시)에틸렌, 1,2-디페녹시에틸렌, 비스[2-(4-메톡시-페녹시)에틸]에테르, p-니트로안식향산 메틸, p-벤질옥시안식향산 벤질, 디-p-톨릴카보네이트, 페닐-α-나프틸카보네이트, 1,4-디에톡시나프탈렌, 1-히드록시-2-나프토에산페닐에스테르, 4-(m-메틸페녹시메틸)비페닐, 프탈산 디메틸, 나프틸벤질에테르, 옥살산-디-(p-메틸벤질), 옥살산-디-(p-클로로벤질), 4-아세틸비페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인더로는, 중합도가 200~1900인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마이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설폰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부티랄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그 외의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에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초산비닐,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스티롤 및 그들의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석유 수지, 테르펜 수지, 케톤 수지, 쿠마론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고분자 물질은 물, 알코올, 케톤류, 에스테르류, 탄화수소 등의 용제에 녹여 사용하는 것 외에, 물 또는 다른 매체 중에 유화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분산된 상태로 사용하며, 요구 품질에 따라서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에 대한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록화상의 내유성 효과 등을 나타내는 화상 안정제로서 4,4'-부틸리덴(6-t-부틸-3-메틸페놀), 2,2'-디-t-부틸-5,5'-디메틸-4,4'-설포닐디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시클로헥실페닐)부탄,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프틸페닐)부탄 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수화 규산염 외에, 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실리카, 탄산칼슘, 카올린, 소성카올린, 규조토, 탈크, 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무기 또는 유기 전료(塡料)를 병용해도 된다.
그 외에 왁스류 등의 윤활제, 벤조페논계나 트리아졸계의 자외선 흡수제, 글리옥살 등의 내수화제, 분산제, 소포제, 산화 방지제, 형광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사용하는 현색제 및 염료의 양, 그 외의 각종 성분의 종류 및 양은 요구되는 성능 및 기록적성에 따라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현색제 1부에 대해서 알칼리성 무색 염료 0.1~2부, 전료 0.5~4부를 사용하며, 바인더는 전고형분 중 5~25%가 적당하다.
상기 조성으로 되는 도액(塗液)을 종이, 재생지, 합성지, 필름, 플라스틱 필름, 발포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 등 임의의 지지체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감열 기록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을 조합한 복합 시트를 지지체로 사용해도 된다.
전술한 유기 현색제, 알칼리성 무색 염료 및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재료는 볼밀, 아트라이터, 샌드 그라인더 등의 분쇄기 또는 적당한 유화 장치에 의해 수 미크론 이하의 입경이 될 때까지 미립화하고, 바인더 및 목적에 따라 각종의 첨가재료를 첨가해 도액으로 한다. 도포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지의 관용 기술에 따라 도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어 나이프 코터(air knife coater), 로드 블레이드 코터(rod blade coater), 빌 블레이드 코터(bill blade coater), 롤코터, 커튼코터 등 각종 코터를 구비한 오프머신 도공기나 온머신 도공기가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제조예 1]
(1) 제1 공정(중화율 40%); 반응 용기(200 리터) 중에서 시판의 3호 규산소다(SiO2: 20.0 중량%, Na2O: 9.5 중량%)를 물로 희석하고, SiO2로서 6.7 중량%의 희석 규산소다 용액 200 리터를 조제했다. 이 규산소다 용액을 85℃로 가열한 후, 중화 당량의 10 중량%에 상당하는 양의 황산알루미늄(Al2O3 분으로서 농도 8 중량%, 이하, 밴드라 약칭)을 200 g/분의 적하 속도로, 조대 겔이 발생하지 않는 충분한 강교반하에서 첨가하고, 그 후, 중화 당량의 30 중량%에 상당하는 양의 황산(농도 98 중량%)을 동일하게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얻어진 부분 중화액을 교반하에서 숙성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세로형 샌드 그라인더(용량 2 갤런, 직경 1 mm 유리비드 충전율 70 중량%)에 의해(입경 7 ㎛를 목표로) 순환 분쇄 처리했다. 이 숙성, 분쇄 처리를 3시간 행하였다.
(2) 제2 공정(중화율 40%); 이어서, 슬러리 온도를 90℃로 승온하고, 제1 공정과 동일 농도의 황산을 제1 공정과 같은 조건에서, 중화 당량의 80 중량%까지 첨가하고, 교반하에서 32분간 숙성했다.
(3) 제3 공정(중화율 20%); 계속해서, 숙성 후의 슬러리에 동일 농도의 황산을 76 g/분의 첨가 속도로 동일하게 첨가하고, 슬러리 pH를 6으로 조절했다.
(4) 성능 평가; 제3 공정 종료 후의 슬러리를 여과, 수세하고, 순수(純水)에 리펄프하여 수화 규산 슬러리를 회수했다. 얻어진 슬러리의 평균 입경을 측정했다. 또한, 슬러리를 여과하고, 에탄올 중에 고형분 10 중량%가 되도록 용해하고 재차 여과하고, 이를 105℃에서 건조하고 흡유량을 측정했다. 얻어진 입자의 평균 입경은 6.1 ㎛, 흡유량은 230 ㎖/100 g이었다. 그 외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예 2]
제1 공정에 있어서의 황산알루미늄의 첨가량을 20 중량%로 변경한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화 규산염을 제조했다. 얻어진 수화 규산염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예 3]
제1 공정에 있어서의 황산알루미늄의 첨가량을 40 중량%(전량)로 변경한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화 규산염을 제조했다. 얻어진 수화 규산염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예 4]
제1 공정에 있어서의 황산알루미늄의 첨가량을 중화 당량의 40 중량%(전량), 제2 공정에 있어서의 황산알루미늄의 첨가량을 중화 당량의 20%로 변경한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화 규산염을 제조했다. 얻어진 수화 규산염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예 5~6]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수화 규산염을 습식 분쇄 처리하여, 입자계가 다른 수화 규산염 2 종류를 제조했다. 얻어진 수화 규산염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예 7~8]
제1, 2, 3 공정 모두에서, 밴드는 사용하지 않고, 중화 상당량 100 중량% 분 모두에 있어 황산을 사용하고, 제1 공정에 있어서의 분쇄 조건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2 종류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했다. 얻어진 수화 규산염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예 9~10]
제조예 8에서 얻어진 수화 규산염을 습식 분쇄 처리하여, 입경이 다른 수화 규산염 2 종류를 제조했다. 얻어진 수화 규산염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예 11]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수화 규산염을 건조한 후에 볼밀로 분쇄 처리하여, 입 경이 다른 수화 규산염 2 종류를 제조했다. 얻어진 수화 규산염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예 12]
제조예 7에서 얻어진 수화 규산염을 건조한 후에 볼밀로 분쇄 처리하여, 입경이 다른 수화 규산염 2 종류를 제조했다. 얻어진 수화 규산염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예 1~12에서 얻어진 수화 규산물의 흡유량, 입도 분포 및 금속 화합물(알루미늄) 함유량은 다음과 같이 측정했다.
·흡유량: JIS K5101의 방법에 따른다.
·입도 분포(레이저 회절/산란법): 수화 규산염의 시료 슬러리를 분산제 헥사메타인산소다 0.2 중량%를 첨가한 순수 중에서 적하 혼합하여 균일 분산체로 하고, 레이저법 입도측정기(사용 기기: 말번 제조 마스터 사이저S형)를 사용하여 측정.
·알루미늄 함유량: 형광 X선분석장치(사용 기기: 옥스포드 ED2000형)를 사용하여 측정.
Figure 112007031441318-pct00001
실시예 · 비교예
[실시예 1]
<언더층 도료>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 250.0부
10%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50.0부
상기 배합의 언더층 도료를 작성했다.
<감열층 도료>
염료, 현색제의 각 재료는, 미리 이하의 배합의 분산액을 만들고, 샌드그라인더로 평균 입경이 0.5 미크론이 될 때까지 습식 마쇄를 행하였다.
<현색제 분산액>
4-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디페닐설폰 6.0부
10%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18.8부
물 11.2부
<염료 분산액>
3-디-n-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ODB2) 3.0부
10%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6.9부
물 3.9부
<증감제 분산액>
디페닐설폰 6.0부
10%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18.8부
물 11.2부
이하의 조성물을 혼합하여 감열 발색층 도액을 얻었다.
현색제 분산액 36.0부
염료 분산액(ODB2) 13.8부
증감제 분산액 36.0부
카올린(카핌 CC, 리오카핌사 제조) 30% 분산액 43.0부
스테아린산아연 30% 분산액 6.7부
<감열 기록체>
평량 50 g/㎡의 원지(原紙) 표면에, 상기 언더층 도료를 건조 중량이 7 g/㎡가 되도록 도포 건조하고, 이어서 상기 감열층을 건조 중량이 6.0 g/㎡가 되도록 도포 건조하고, 슈퍼 캘린더로 벡크 평활도(Bekk smoothness)가 600~800초가 되도록 처리하여 감열 기록체를 얻었다.
[실시예 2]
<언더층 도료>
카올린(카핌 CC, 리오카핌사 제조) 30% 분산액 167.0부
10%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50.0부
상기 배합의 언더층 도료를 작성했다.
<감열층 도료>
카올린 분산액을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 65부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층 도료를 얻었다.
<감열 기록체>
상기의 언더층 도료 및 감열층 도료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3]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5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4]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5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5]
카올린 분산액을 제조예 5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6]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1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7]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3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8]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4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9]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1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10]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3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11]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4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12]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9의 수화 규산물(고형분 20%)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13]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9의 수화 규산물(고형분 20%)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1]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11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2]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12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3]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11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4]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12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5]
제조예 5의 수화 규산염을 제조예 11의 수화 규산염(고형분 20%)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6]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시판 실리카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참고예 1~3]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시판 실리카(X37B(토쿠야마 제조), P604(미즈사와화학 제조), P78A(미즈사와화학 제조): 모두 고형분 20%)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참고예 4~6]
제조예 2의 수화 규산염을 시판 실리카(X37B(토쿠야마 제조), P604(미즈사와화학 제조), P78A(미즈사와화학 제조): 모두 고형분 20%)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감열 기록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로 얻어진 감열 기록체에 대해, 이하의 평가 항목에 따라 성능 평가를 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발색 감도)
오오쿠라전기사 제조의 TH-PMD를 사용하고, 작성한 감열 기록체에 인가(印加) 에너지 0.34 mJ/dot로 인자를 행하였다. 인자 후의 화상 농도는 맥베스 농도계(Macbeth concentration meter)(앰버 필터 사용)로 측정했다.
(헤드 잔재)
사토사 제조 라벨프린터 레스프리 T8를 이용해 인자를 행하고, 헤드 잔재 부착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 헤드 잔재가 거의 없음
△: 헤드 잔재가 약간 있으나, 인자 누락은 보이지 않음
×: 헤드 잔재가 많고, 인자 누락도 보임
(스틱)
캐논 핸디터미널 HT180를 이용하여 0℃에서 인자를 행하고, 스틱을 확인했다.
○: 흑 민인자부의 희게 빠진 부분이 거의 없음
△: 흑 민인자부의 희게 빠진 부분이 약간 보임
×: 흑 민인자부의 희게 빠진 부분이 상당히 보임
(백색도)
JIS P8123
(인쇄적성(표면 강도))
프류바우 인쇄기를 이용하여 인쇄 잉크(택 9)를 100 m/min로 감열 기록체의 표면에 인쇄를 행하였을 때의 표면 피크의 유무를 육안 판정하고,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표면 피크가 거의 없음
△: 표면 피크가 약간 보임
×: 표면 피크가 많이 보임
(헤드 마모성)
세이코인스트루먼트사 제조 감열 프린터 LTP-411을 이용하여, 인자 전압: 5.1 V, 인자 방법: 왕복 인자, 인자 패턴: 흑율(黑率) 50%의 조건으로 72만행 인자를 행하고 아래와 같은 평가를 했다.
○: 헤드 끊김 없이, 끝까지 양호한 인자 가능함
×: 도중에 헤드가 끊겨 인자가 누락
Figure 112007031441318-pct00002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전자공여성 로이코염료 및 전자수용성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갖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되는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지지체 상의 1층 이상에, 수화 규산물 석출공정에서 습식 분쇄 처리를 행한 수화 규산물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 높은 발색 감도, 강한 도공층 강도의 감열 기록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수화 규산물이 수화 규산염인 것으로, 발색 감도, 강한 도공층 강도 외에, 내잔재 부착성, 내스티킹성, 백색도를 향상시킨 감열 기록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써멀 헤드와 접촉하는 층에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내헤드 마모성이 향상된다.

Claims (6)

  1. 적어도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공여성 로이코염료 및 전자수용성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가지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되는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지지체 상의 1층 이상에, 체적 평균 입경 분포가, 최소치로부터 적산해 10%가 포함되는 입경(D10)과 90%가 포함되는 입경(D90)의 차가 9 ㎛ 이하이고, 또한 최소치로부터 적산해 20%가 포함되는 입경(D20)과 80%가 포함되는 입경(D80)의 차가 5 ㎛ 이하인 수화 규산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체.
  2. 제1항에 있어서, 수화 규산물이 규산소다 수용액을 무기산 및 산성 금속염 수용액으로 중화시켜 얻어진 수화 규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체.
  3. 제2항에 있어서, 수화 규산염의 금속 화합물의 함유량이 산화물 환산으로 1.0~8.0 중량%(대 SiO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체.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화 규산염의 시료 슬러리를 분산제인 헥사메타인산소다 0.2 중량%를 첨가한 순수 중에서 적하 혼합하여 균일 분산체를 제조한 후, 레이저법 입도측정기인 마스터 사이저 S형(Master sizer S type){제조사: 말번(Malvern)}을 이용하여 측정한 수화 규산물의 평균 입경이 1~15 ㎛이고, JIS K5101에 따라 측정한 수화 규산물의 흡유량이 100~350 ㎖/1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체.
  6. 제3항에 있어서, 금속 화합물이 산화알루미늄인 감열 기록체.
KR1020077009435A 2004-09-30 2005-09-30 감열 기록체 KR100875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8398 2004-09-30
JP2004288398 2004-09-30
PCT/JP2005/018592 WO2006036034A1 (ja) 2004-09-30 2005-09-30 感熱記録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985A KR20070057985A (ko) 2007-06-07
KR100875584B1 true KR100875584B1 (ko) 2008-12-23

Family

ID=3611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435A KR100875584B1 (ko) 2004-09-30 2005-09-30 감열 기록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5694B2 (ko)
EP (1) EP1803580A4 (ko)
JP (1) JP4674770B2 (ko)
KR (1) KR100875584B1 (ko)
CN (1) CN101027190B (ko)
WO (1) WO2006036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0609B1 (en) * 2014-09-24 2020-04-2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JP2017057358A (ja) * 2015-09-18 2017-03-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熱硬化性粉体塗料及び塗装方法
JP6885172B2 (ja) * 2017-04-13 2021-06-09 凸版印刷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9311A (ja) 2003-03-07 2004-09-30 Mizusawa Ind Chem Ltd 湿式法非晶質シリ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4193A (en) 1980-04-10 1981-11-10 Jujo Paper Co Ltd Heat-sensitive recording sheet
JPS5834313B2 (ja) 1980-05-13 1983-07-26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材料
JPS57201691A (en) 1981-06-04 1982-12-10 Jujo Paper Co Ltd Heat-sensitive recording paper
JPS5887094A (ja) 1981-11-18 1983-05-24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記録材料
JPH0764120B2 (ja) 1988-09-19 1995-07-12 日本化薬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H03231887A (ja) * 1990-02-08 1991-10-15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熱記録材料
JP3098841B2 (ja) * 1991-03-15 2000-10-16 水澤化学工業株式会社 感熱記録紙用填剤
JP3050937B2 (ja) * 1991-03-15 2000-06-12 水澤化学工業株式会社 非晶質シリカ系充填剤
DE69207640T2 (de) 1991-03-15 1996-09-19 Mizusawa Industrial Chem Amorpher silicaartiger Füllstoff
JP3095510B2 (ja) * 1991-04-04 2000-10-03 塩野義製薬株式会社 感熱記録紙用シリカ填材
JPH0682382A (ja) 1992-08-31 1994-03-22 Toshiba Corp 粒子分布測定装置
JP2908253B2 (ja) * 1994-09-26 1999-06-21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水和珪酸とその製造方法
JP2960001B2 (ja) * 1995-12-27 1999-10-06 日本製紙株式会社 填料内添紙の製造方法
JP3300835B2 (ja) * 1998-02-17 2002-07-08 株式会社リコー 可逆性感熱発色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可逆性感熱記録媒体
US6207613B1 (en) 1998-02-17 2001-03-27 Ricoh Company, Ltd. Reversible therm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and recording material using the composition and recording method using the recording material
CN1158188C (zh) * 1999-03-05 2004-07-21 日本制纸株式会社 热敏记录材料
JP2002248863A (ja) 2001-02-26 2002-09-03 Ricoh Co Ltd 可逆性感熱記録媒体及びその画像処理方法
JP3728215B2 (ja) * 2001-03-22 2005-12-21 日本製紙株式会社 珪酸アルミニウム
WO2003002354A1 (fr) * 2001-06-28 2003-01-09 Fuji Photo Film Co., Ltd. Matiere d'enregistrement thermique
JP2003341246A (ja) * 2002-05-24 2003-12-03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記録材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9311A (ja) 2003-03-07 2004-09-30 Mizusawa Ind Chem Ltd 湿式法非晶質シリ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6034A1 (ja) 2006-04-06
JPWO2006036034A1 (ja) 2008-05-15
EP1803580A4 (en) 2009-01-07
US20070265163A1 (en) 2007-11-15
JP4674770B2 (ja) 2011-04-20
EP1803580A1 (en) 2007-07-04
CN101027190B (zh) 2010-06-16
US7465694B2 (en) 2008-12-16
CN101027190A (zh) 2007-08-29
KR20070057985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1744B2 (ja) 感熱記録体
EP1079356B1 (en) Adhesive label for thermosensitive recording
EP3351398B1 (en)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JP4484827B2 (ja) 感熱記録体
EP3103649B1 (en)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KR100875584B1 (ko) 감열 기록체
CA2104906C (en) Thermal recording sheet
JP3678131B2 (ja) 感熱記録体
KR100766212B1 (ko) 감열기록체
US5747414A (en) Thermal recording sheet
JP4999358B2 (ja) 感熱記録体
JP3336606B2 (ja) 感熱記録体
JPH11208123A (ja) 感熱記録体
JPH10272848A (ja) 感熱記録体
JP3642248B2 (ja) 感熱記録体
JP2006175636A (ja) 感熱記録体の製造方法
JP2967709B2 (ja) 感熱記録体
JP2007190908A (ja) 感熱記録体
JP2008094032A (ja) 感熱記録体
JP2010240860A (ja) 感熱記録体
JPH11268414A (ja) 感熱記録体
JP2011005795A (ja) 感熱記録体
JP2011005794A (ja) 感熱記録体
JP2006102955A (ja) 感熱記録体
JP2006102954A (ja) 感熱記録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