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081B1 -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081B1
KR100872081B1 KR1020060065708A KR20060065708A KR100872081B1 KR 100872081 B1 KR100872081 B1 KR 100872081B1 KR 1020060065708 A KR1020060065708 A KR 1020060065708A KR 20060065708 A KR20060065708 A KR 20060065708A KR 100872081 B1 KR100872081 B1 KR 100872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shooting
time
image
new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458A (ko
Inventor
유이치 나카세
노부카즈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47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01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4739A external-priority patent/JP40783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47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0164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촬영된 화상 파일을 신규 폴더에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또 쓸데없이 폴더의 작성을 억제한다. 미리 설정된 신규 폴더를 작성하는 조건이 만족하면, 다음의 촬영 지시가 있을 때 신규 폴더를 작성한다(S125). 실제로 촬영된 시점에서 신규 폴더를 작성함으로써, 빈 폴더가 작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미리 폴더 작성 조건을 설정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촬영마다 폴더를 작성하는 순서를 실행할 필요가 없다.
Figure R1020060065708
화상처리, 촬상소자, 폴더, 화상파일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4는 도 2의 스텝 S113에 있어서의 설정 표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도 3의 스텝 S122에 있어서의 포커싱/측광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6은 도 3의 스텝 S126에 있어서의 촬영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7은 도 2의 스텝 S102에 있어서의 파일 검색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8은 도 2의 스텝 S105에 있어서의 폴더 작성 조건 설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9는 도 2의 스텝 S112에 있어서의 폴더 판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0은 도 9의 스텝 S903에 있어서의 일시 작성 판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1은 도 9의 스텝 S905에 있어서의 일련의 화상 작성 판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2는 도 3의 스텝 S125에 있어서의 폴더/파일 관리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3은 도 2의 스텝 S108에 있어서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처리 설정에 의한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처리 설정에 의한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설정 표시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설정 표시 처리로 행한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설정 표시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설정 표시 처리로 행한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설정 표시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설정 표시 처리로 행한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설정 표시 처리로 행한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체 동작의 일부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제시하는 폴더 작성 조건 설정 메뉴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정지 화상과 동화상을 촬상 및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CCD 센서나 CMOS 센서 등의 촬상소자를 사용해서 정지화상과 동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대표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촬영된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 파일(촬영된 화상 파일)로서 기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촬영된 화상 파일은, 폴더(디렉토리)를 사용한 파일 시스템(폴더 구조)을 이용해서 기록된다. 폴더를 이용해서 촬영된 화상 파일을 기록 동작 시에 분류하여, 촬영 후의 검색 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3-333470호에서는, 촬영된 화상 파일의 기록지 폴더를 유저가 기록 매체 중의 기존 폴더로부터 선택하거나, 유저가 신규 폴더를 생성하고 이 신규 폴더를 기록지로서 지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신규 폴더를 촬영된 화상 파일의 기록지로서 설정할 경우에, 촬영 전에 유저가 신규 폴더를 작성하고, 이 신규 폴더를 기록지로서 지정해야 한다. 또한, 신규 폴더를 작성해서 기록지로서 설정한 후 실제의 촬영 전에 기록지가 변경되면, 빈 불필요한 폴더가 남게 된다. 이러한 빈 폴더는, 예를 들면,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 내의 화상을 검색하려고 할 때에 검색 대상이 되기 때문에, 검색 처리 시간의 증가 원인이 된다. 또한, 이 폴더는 유저가 원하는 화상을 검색할 때 방해가 되어, 조작성을 악화시키는 등의 원인이 된다.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신규 폴더를 기록지로서 설정하고 싶을 경우에는, 유저가 현재 화상 처리 장치에 로딩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폴더를 작성하고 기록지를 지정한다. 따라서, 신규 폴더를 작성하고, 기록지로서 지정한 후, 촬영 전에 기록 매체를 교환했을 경우에는, 제거된 기록 매체에 빈 폴더가 남아 있게 된다. 또한, 새롭게 로딩된 기록 매체에는 기록지로서 지정된 신규 폴더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폴더에 촬영된 화상 파일이 기록될 수 없다.
또한, 종래, 촬영 시에 화상을 분류/정리함으로써 화상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촬영된 화상을 저장하는 폴더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선택된 폴더를 표시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이용할 수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6-78260호 참조). 또한, 촬상장치가 대형의 모니터부나 키보드부도 갖지 않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디렉토리 작성을 행할 수 있는 버튼과, 디렉토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201309호 참조)를 이용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이들의 종래 기술에서는, 작성된 폴더와 디렉토리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지만, 촬영동작과 연동해서 신규 폴더가 작성되는 상태를 유저에게 통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카메라가 자동적으로 촬영된 화상의 보존지를 신규 폴더 혹은 신규 디렉토리로 변경해도, 유저는 그것을 알 수 없어, 화상 검색 처리 등이 어렵다.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은 카메라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유저는 카메라가 자동적으로 신규 폴더 혹은 신규 디렉토리를 작성하는 타이밍을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고, 원하는 폴더 구조 또는 디렉토리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어렵다.
더 나아가서, 촬영된 화상 파일을 분류하여, 촬영 후의 검색 등을 용이하게 하는 제안된 기술의 또 다른 예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54041호에는 촬영된 화상을, 촬영 날짜와 동일한 작성 날짜에 갖는 폴더에 기억하고, 그러한 폴더가 없으면 신규 폴더를 작성하는 촬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사 등에 의해 취득된 관련성이 있는 복수의 화상(한 조의 화상)을, 동일 폴더에 보존함으로써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 유저도 그러한 화상이 동일 폴더에 보존되는 것을 기대할 것 같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54041호에 기재된 촬상장치는, 촬영 날짜에 따라 화상을 분류한다는 전제에 바탕을 두기 때문에, 한 조의 화상이라도, 다른 날짜에 촬영되었다면 다른 폴더에 보존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촬영된 화상 파일을 신규 폴더에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또 불필요한 폴더의 작성을 억제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촬영된 화상 파일을 신규 폴더에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다음의 촬영 시에 신규 폴더가 작성되는 것을 유저가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신규 폴더를 생성해 촬영된 화상 파일을 기록함으로써 촬영된 화상 파일의 분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보다 유 저의 의도를 만족시키도록 촬영된 화상 파일의 자동 분류를 실현하는 것을 제3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에 근거해,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로부터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수단과, 다음의 촬영의 지시가 있고 상기 보존지가 상기 신규 폴더인 경우, 신규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에 작성하는 폴더 작성 수단과,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존지에,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에 응답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에 근거해,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로부터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스텝과,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가 있고 상기 보존지가 상기 신규 폴더인 경우에, 신규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에 작성하는 폴더 작성 스텝과,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보존지에,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에 응답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된 화상 파일을 신규 폴더에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불필요한 폴더의 작성을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로부터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수단과, 상기 보존지 폴더가 신규 폴더로서 결정된 경우, 상기 보존지 폴더를 신규 폴더로서 결정하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상기 기록매체 내의 기존 폴더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로부터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스텝과, 상기 보존지 폴더가 신규 폴더로서 결정된 경우, 상기 보존지 폴더를 신규 폴더로서 결정하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스텝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된 화상 파일을 신규 폴더에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다음의 촬영 시에 신규 폴더가 작성되는 것을 유저가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촬영에 의해 얻는 화상 파일을, 기록 매 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라고 결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일시의 변화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라고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수단과,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가 있고 상기 보존지가 상기 신규 폴더인 경우에, 신규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에 작성하는 폴더 작성 수단과,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이 결정한 보존지 폴더에,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에 응답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은, 상기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가 한 조의 화상의 촬영 중에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한 조의 화상의 촬영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를 상기 보존지 폴더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라고 결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상기 기록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라고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스텝과,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가 있고 상기 보존지가 상기 신규 폴더인 경우에, 신규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에 작성하는 폴더 작성 스텝과,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보존지 폴더에,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에 응답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 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가 한 조의 화상의 촬영 중에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한 조의 화상 촬영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를 상기 보존지 폴더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폴더를 생성해 촬영된 화상 파일을 기록함으로써 촬영된 화상 파일의 분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보다 유저의 의도를 만족시키도록 촬영된 화상 파일의 자동 분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과 연동해서 기술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고, 이 도면의 전반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문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를 화상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조번호 10은 촬영 렌즈, 12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셔터, 14는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 또는 CMOS 센서 등의 촬상소자, 16은 촬상소자(14)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이다.
타이밍 발생 회로(18)는 클럭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촬상소자(14), A/D 변환기(16), 및 D/A 변환기(26)에 공급하고, 메모리 제어 회로(22)와 시스템 제어 회로(50)에 의해 제어된다.
화상 처리 회로(20)는 A/D 변환기(16)로부터의 데이터 혹은 메모리 제어 회로(22)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 보간 처리 및 색 변환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 회로(20)는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해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한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취득한 연산 처리 결과에 근거해 노광 제어부(40)와 포커싱 제어부(42)를 제어한다. 이 동작에 의해, TTL(Through The Lens) 방식의 AF(Auto Focus) 처리, AE(Auto Exposure) 처리, 및 EF(Electronic Flash pre-emission)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 회로(20)는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해 소정의 연산 처리를 수행하고, 취득한 연산 처리 결과에 근거해 TTL 방식의 AWB(White Balance)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 제어 회로(22)는 A/D 변환기(16), 타이밍 발생 회로(18), 화상 처리 회로(20), 화상 표시 메모리(24), D/A 변환기(26), 메모리(30), 및 코덱(32)을 제어한다.
A/D 변환기(16)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화상 처리 회로(20) 및 메모리 제어 회로(22)를 통해서 화상 표시 메모리(24) 또는 메모리(30) 내에 기록되거나, 메모리 제어 회로(22)를 통해서 화상 표시 메모리(24) 또는 메모리(30)에 기록된다.
화상 표시 메모리(24)에 기록된 표시 화상 데이터는 D/A 변환기(26)를 통해서 LCD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부(28)에 표시된다. 화상 표시부(28)에 촬영된 화상 데이터(TTL 화상)를 순차 표시함으로써, EVF(Electronic viewfinder)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표시부(28)는 시스템 제어 회로(5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임의로 표시를 온/오프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를 오프로 한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30)는 촬영한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을 기억하는 기억소자로서, 소정 수의 정지 화상 혹은 소정 기간의 동화상을 기억하기에 충분히 큰 기억 용량을 갖는다. 이 이유 때문에, 복수의 정지 화상을 연속해서 촬영하는 연사 촬영의 경우, 또는 파노라마 촬영의 경우에도, 메모리(30)에 다수의 화상을 고속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작업 영역으로서 메모리(3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덱(32)은 메모리(3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적응 이산 코사인 변환(ADCT; Adaptive Discrete Cosine Transform), 웨이브렛 변환 등을 이용해서 공지된 데이터 압축 처리 또는 신장 처리를 수행하며, 그 처리된 데이터를 메모리(30)에 기록한다.
노광 제어부(40)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셔터(12)를 제어하고, 플래시(48)와 협력하여 플래시 광도 제어 기능도 갖는다.
포커싱 제어부(42)는 촬영 렌즈(10)의 포커싱을 제어한다. 줌 제어부(44)는 촬영 렌즈(10)의 주밍을 제어한다. 배리어 제어부(46)는 촬영 렌즈(10)를 보호하는 렌즈 배리어로서의 역할을 하는 보호부(102)의 동작을 제어한다.
플래시(48)는 촬영 시에 보조 광원으로서의 기능과, 광도 제어 기능을 갖는다. 또한, 플래시(48)는 AF 보조광을 발하는 기능을 갖는다.
노광 제어부(40)와 포커싱 제어부(42)는 TTL 방식에 의해 제어된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화상 처리 회로(20)에 의해 취득된 연산 처리 결과에 근거해서 노광 제어부(40)와 포커싱 제어부(42)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예를 들면 CPU로서, 메모리(52) 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체 디지털 카메라(100)를 제어한다. 메모리(52)는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동작용의 정수, 변수,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표시부(54)는 LCD, LED, 스피커 등의 조합을 포함하고, 시스템 제어 회로(50)에 의한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문자, 화상, 음성 등을 이용하여 동작 상태, 메시지 등을 출력한다. 하나 또는 복수의 표시부(54)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부(70) 부근의 용이하게 관측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54)의 일부는 광학 뷰파인더(104) 내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54)의 표시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단사/연사 촬영 모드 표시, 셀프-타이머 표시, 압축률 표시, 기록 화소 수 표시, 기록 화상 수 표시, 잔여 촬영가능한 화상 수 표시, 셔터 속도 표시, 개구값 표시, 노출 보정 표시, 플래시 표시, 적목 완화 표시, 매크로 촬영 표시, 부저 설정 표시, 시계용 전지 잔량 표시, 전지 잔량 표시, 에러 표시, 복수의 디지트로 구성된 숫자에 의한 정보 표시, 기록매체(200, 210)의 착탈 상태 표시, 렌즈부의 착탈 상태 표시, 통신 I/F 동작 표시, 날짜 및 시작 표시, 외부 컴퓨터와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인-포커스 표시, 촬영 준비 완료 표시, 카메라 흔들림 경고 표시, 플래시 충전 표시, 및 기록매체 기록 동작 표시가 있다. 이들 표시 중 일부는 후술하는 광학 뷰파인더 내에 표시된다.
표시부(54)의 표시 내용 중, LED 등의 표시 내용은 인-포커스 표시, 촬영 준비 완료 표시, 카메라 흔들림 경고 표시, 플래시 충전 표시, 플래시 충전 완료 표시, 기록매체 기록 동작 표시, 매크로 촬영 설정 통지 표시, 2차 전지 충전 상태 표시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54)의 표시 내용 중, 램프 등에 의해 표시된 내용은 셀프-타이머 통지 램프 등에 의한 표시를 포함한다. 이 셀프-타이머 통지 램프는 AF 보조광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불휘발성 메모리(56)는 전기적으로 소거/기록 가능한 메모리로서, EEPROM 등은 불휘발성 메모리(56)로서 사용된다.
모드 다이얼(60), 셔터 스위치(62, 64), 재생 모드 스위치(66), 자세 모드 스위치(68), 및 조작부(70)는 시스템 제어 회로(50)에 각종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구성한다. 이들 구성소자들의 각각은 버튼, 스위치, 다이얼, 터치 패널, 시선 검출에 의한 포인팅 장치, 음성 인식 장치 등으로 또는 그것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하, 이들 조작 수단의 각각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모드 다이얼(60)은 이하의 기능 촬영 모드를 전환/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자동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셔터 속도 우선 촬영 모드, 조리개 우선 촬영 모드, 매뉴얼 촬영 모드, 초점 심도(depth) 우선 촬영 모드, 포트레이트(portrait) 촬영 모드, 풍경 촬영 모드, 클로즈업 촬영 모드, 스포츠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및 파노라마 촬영 모드 등을 전환/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셔터 스위치 SW1(62)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설치된 셔터 버튼(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중간 지점(반 눌러진 상태)에서 온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AF(Auto Focus) 처리, AE(Auto Exposure) 처리, AWB(Auto White Balance) 처리, EF(Electronic Flash pre-emission) 처리 등의 동작을 개시하라는 지시가 발생한다.
셔터 스위치 SW2(64)는, 셔터 버튼(미도시)이 완전히 조작되었을 때(완전히 눌러졌을 때) 온으로 된다. 이 조작에 의해, 일련의 촬영 및 기록 처리 동작이 개시된다. 즉, 이 동작에 의해 촬상소자(14)로부터 판독된 신호를 A/D 변환기(16) 및 메모리 제어 회로(22)를 통해서 화상 데이터로서 메모리(30)에 기록하는 노광 처리가 개시된다. 또, 이 일련의 처리 동작은 화상 처리 회로(20)와 메모리 제어 회로(22)에서의 연산 처리를 이용한 현상 처리와, 메모리(3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데이터를 코덱(32)으로 압축하며, 그 화상 데이터를 기록매체(200 혹은 210)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를 포함한다.
재생 모드 스위치(66)는 이하의 각 기능 모드, 즉 재생 모드, 멀티-화면 재생/소거 모드, 및 PC 접속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자세 모드 스위치(68)는 자세 모드의 온/오프를 위해 사용된다. 자세 모드는 촬영 시에 카메라 자세 검출부(106)에 의해 검출된 디지털 카메라(100)의 자세를, 촬영된 화상 파일 중의 보조 정보(화상 자세 플래그)로서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재생 동작 시에 기록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모드이다. 구체적으로, 이 모드에 의해, 재생 동작 시에 화상 자세 플래그를 참조하여 수직 위치에서 촬영된 화상이 수직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표시되고, 수평 위치에서 촬영된 화상이 수평 위치에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부(70)는 각종 버튼, 터치 패널 등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조작부(70)는 메뉴 버튼, 세트 버튼, 매크로 버튼, 멀티 화면 재생/신규 페이지 버튼, 플래시 설정 버튼, 단사/연사/셀프 타이머 전환 버튼, 메뉴 이동 +(플러스) 버튼, 메뉴 이동 -(마이너스) 버튼, 재생 화상 이동 +(플러스) 버튼, 재생 화상 이동 -(마이너스) 버튼, 촬영된 화상 화질 선택 버튼, 노광 보정 버튼, 날짜/시간 설정 버튼, 각종 기능을 선택 및 전환하기 위한 선택/전환 버튼, 각종 기능을 결정 및 실행하기 위한 결정/실행 버튼, 화상 표시부(28)를 온/오프하기 위한 화상 표시 ON/OFF 스위치, 촬영 직후에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재생하는 퀵 리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퀵 리뷰 ON/OFF 스위치, 및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압축의 압축률을 선택하거나, 촬상소자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시에 이 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CCDRAW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압축 모드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 JPEG 압축 모드로서, 예를 들면, 노멀 모드와 파인 모드를 준비한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이용자는, 촬영된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를 중시하는 경우에는 노멀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혹은 촬영된 화상의 화질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파인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촬영을 행할 수 있다.
JPEG 압축 모드에 있어서, 코덱(32)은 메모리(3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화상을 설정된 압축률로 압축한 후, 그 데이터를 예를 들면 기록매체(200)에 기록한다.
RAW 모드에서는, 촬상소자(14)의 색 필터의 화소 배열에 따라, 라인마다 메모리(3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A/D 변환기(16) 및 메모리 제어 회로(22)를 통해서, 촬상소자(14)로부터 직접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기록매체(200)에 기록한다.
전원 스위치(72)는 전원의 온 또는 오프를 위해 사용된다.
신규 폴더 작성 요구 버튼(74)은 다음 촬영 시에 기록 매체(200 또는 210)에 신규 폴더를 작성하고, 촬영된 화상 파일을 작성된 신규 폴더에 기록하는 설정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원 제어부(80)는 전지 검출 회로, DC/DC 컨버터, 통전하는 블록을 전환하는 스위치 회로 등을 구비한다. 전원 제어부(80)는 전지의 착탈, 전지의 종류 및 전지 잔량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 회로(50)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해 DC/DC 컨버터를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 동안 기록매체를 포함하 는 각 부에 공급한다.
전원(86)은 알칼리 전지 또는 리듐 전지 등의 1차 전지, NiCd 전지, NiMH 전지, Li 전지 등의 2차 전지, 혹은, AC 어댑터 등을 구비하고, 커넥터(82 및 84)를 통해서 디지털 카메라(100) 내에 장착된다.
메모리 카드 및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200 및 210)는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등을 구비하는 기록부(202 및 212)와, 디지털 카메라(100)와의 인터페이스(204 및 214)와, 커넥터(206 및 216)를 각각 포함한다. 기록매체(200, 210)는 매체 측의 커넥터(206, 216)와 디지털 카메라(100) 측의 커넥터(92, 96)를 통해서 디지털 카메라(100)에 장착된다. 인터페이스(90, 94)는 커넥터(92, 96)에 각각 접속된다. 기록매체(200, 210)의 착탈은 기록매체 착탈 검출부(98)에 의해 검출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기록매체의 부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커넥터를 2계통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예시되어 있지만, 이 카메라는 단수 인터페이스 및 단수 커넥터뿐만 아니라 임의의 수의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계통마다 다른 규격의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를 사용해도 된다.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로서는, PCMCIA 카드 규격 및 CF(CompactFlash(등록상표))카드 규격 등의 규격에 준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PCMCIA 카드 규격 등에 준거한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가 인터페이스(90 및 94)와 커넥터(92 및 96)로서 사용될 때, 각종 통신 카드를 접속할 수 있다. 그러한 통신 카드는 LAN 카드, 모뎀 카드, USB 카드, IEEE1394 카드, P1284 카드, SCSI 카드, 및 PHS 등의 통신 카드를 포함한다. 각종 통신 카드를 접속함으로써, 그 외의 컴퓨터와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로/로부터 화상 데이터와 이 화상 데이터에 첨부된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리어(102)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 렌즈(10)를 포함하는 촬영부를 덮어 촬영부가 오염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광학 뷰파인더(104)는 예를 들면, TTL 뷰파인더로서, 프리즘 및 미러를 이용해서 촬영 렌즈(10)를 통과하는 광 빔을 결상한다. 광학 뷰파인더(104)를 사용함으로써, 화상 표시부(28)의 전자 뷰파인더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54)에 표시된 일부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광학 뷰파인더(104) 내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정보는 인-포커스 표시, 촬영 준비 완료 표시, 카메라 흔들림 경고 표시, 플래시 충전 표시, 플래시 충전 완료 표시, 셔터 속도 표시, 개구값 표시, 노출 보정 표시, 기록매체 기록 동작 표시 등을 포함한다.
카메라 자세 검출부(106)는 예를 들면, 카메라 자세에 의존해서 온/오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의 자세 상태를 검출한다. "자세 상태"는 카메라가 수평 위치 촬영 또는 수직 위치 촬영의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통신부(110)는 RS232C, USB, IEEE1394, P1284, SCSI, 모뎀, LAN, 및 무선 통신 등의 각종 통신 처리를 행한다.
커넥터(무선 통신의 경우에는 안테나)(112)를 사용해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통신부(110)를 통해서 다른 기기에 접속한다.
(동작 설명)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전지 교환에 의한 주 전원이 온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플래그, 제어 변수 등을 초기화하고(S101), 기억매체 내의 파일 검색 처리를 행한다(S102). 스텝 S102에서의 파일 검색 처리의 상세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전원 스위치(72)의 설정 위치를 판단한다(S103). 전원 스위치(72)가 OFF로 설정되면, 플로우는 스텝 S104로 진행되어 소정의 종료 처리를 수행한다. 종료 처리는 예를 들면 이하의 처리를 포함한다. 각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종료된 상태로 변화하고, 배리어(102)를 닫아서 촬상부를 보호한다. 플래그, 제어 변수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설정값, 및 설정 모드를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전원 제어부(80)는 화상 표시부(28)를 포함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되는 부분으로의 전원을 차단한다. 종료 처리가 완료하면, 플로우는 스텝 S103으로 돌아간다.
스텝 S103에서, 전원 스위치(72)가 ON으로 설정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폴더 작성 조건을 설정한다(S105). 스텝 S105에서의 폴더 작성 조건 설정 처리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모드 다이얼(60)의 설정 위치를 판단한다(S106). 모드 다이얼(60)이 촬영 모드로 설정되면, 촬영 조건을 설정한다(S108). 그 후 플로 우는 스텝 S109로 진행된다. 스텝 S108에서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의 상세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106에서 모드 다이얼(60)이 다른 모드로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S107). 그 처리가 완료되면, 플로우는 스텝 S103으로 진행된다. 이 경우에, 촬영 모드 이외의 모드는 예를 들면 재생 모드이다.
스텝 S109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전원 제어부(80)를 이용해서 전지 등을 포함하는 전원(86)의 잔량 또는 동작 상황을 판단한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전원(86)의 상황이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상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를 이용해 화상 또는 음성으로 그 문제에 대응한 소정의 경고를 한다(S111). 그 후, 플로우는 스텝 S103으로 진행된다.
전원(86)에 어떠한 문제도 없다고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스텝 S110에서, 기록매체를 체크한다. 즉, 기록매체(200 또는 210)의 착탈을 판정하고, 장착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취득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재생 동작상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문제점이 예를 들면, 기록매체(200 및 210)의 어느 것인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정상적인 판독/기록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떠한 문제가 있으면, 표시부(54)에 의해 화상 또는 음성으로 이 문제에 대응한 소정의 경고를 한다(S111). 그 후에 플로우는 스텝 1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10에서, 기록매체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 는 다음 촬영에 의해 생성되는 촬영된 화상 파일(간단히 화상 파일이라고도 칭함)을 저장하기 위한 신규 폴더를 작성할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12). 이 폴더 작성 판정 처리는, 다음 촬영에 의해 작성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가 기존 폴더 또는 신규 폴더인지를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처리로도 간주할 수 있다. 폴더 작성 판정 처리의 상세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다음에,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를 이용해 화상 또는 음성으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를 표시한다(S113). 또, 화상 표시부(28)가 온으로 설정되면, 화상 표시부(28)를 이용해 화상 또는 음성으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를 표시한다. 이 설정 표시 처리의 상세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셔터 스위치 SW1(62)의 상태를 검출한다(S121). 셔터 스위칭 SW1(62)가 ON이 아니면(릴리즈(release) 버튼이 반 눌려져 있지 않다), 플로우가 스텝 S103으로 돌아간다. 셔터 스위치 SW1(62)가 ON이면, 플로우가 스텝 S122로 진행된다.
스텝 S122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포커싱 처리(AF 처리)를 수행해서 촬영 렌즈(10)의 초점을 대상물에 맞추고, 측광 처리(AE 처리)를 수행해 개구값 및 셔터 속도를 결정한다(S122). 측광 처리에 있어서, 필요하면 플래시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 포커싱/측광 처리의 상세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포커싱/측광 처리를 완료하면, 셔터 스위치 SW1(62) 및 SW2(64)의 상태를 체크한다(S123, S124). 셔터 스위치 SW2(64)가 ON이 아니고(S123), 셔터 스위치 SW1(62)가 OFF이면(S124), 플로우는 스텝 S103으로 돌아간다.
셔터 스위치 SW1(62)가 ON인 상태에서 셔터 스위치 SW2(64)가 ON으로 설정되면(릴리즈 버튼이 완전히 눌러지면)(S123), 플로우는 스텝 S125로 진행된다.
스텝 S125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예를 들면 촬영에 대비해서 보존 파일명을 결정하고, 설정에 따라 신규 폴더를 작성함으로써, 파일 및 폴더를 관리한다. 스텝 S125에서의 폴더/파일 관리 처리의 상세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126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촬영 처리를 수행한다. 우선,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촬상소자(14), A/D 변환기(16), 화상 처리 회로(20), 및 메모리 제어회로(22)를 통해서 메모리(30)에 (노광 처리) 기록한다. 또, 이 데이터를 A/D 변환기로부터 메모리 제어 회로(22)를 통해서 메모리(30)에 기록한다. 메모리 제어 회로(22)를 이용해서,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화상 처리 회로(20)를 이용해서, 메모리(3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각종 처리를 수행하는 현상 처리를 포함하는 촬영 처리를 실행한다(S126). 이 촬영 처리의 상세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촬영 처리를 완료하면, 촬영된 화상을 화상 표시부(28)에 표시하는 퀵 리뷰 처리를 수행한다(S127).
소정의 퀵 리뷰 기간 중에 삭제 지시가 없으면, 스텝 S128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기록 처리를 수행한다. 즉, 메모리(30)에 기록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메모리 제어 회로(22)를 이용해서(필요에 따라서는 화상 처리 회로(20)를 이용해서) 각종 화상 처리를 수행한다. 코덱(32)을 이용해 설정된 모드에 대응 한 화상 압축 처리를 수행하고, 자세 플래그 등의 부가 정보를 헤더 등에 부가해서 미리 결정된 기록 파일 형식에 따른 촬영된 화상 파일을 생성한다. 그 후, 인터페이스(90 또는 94)와 커넥터(92 또는 96)를 통해서 메모리 카드 또는 콤팩트 플래시 카드 등의 기록매체(200 또는 210)의 미리 결정된 기록지에, 촬영된 화상 파일을 기록한다.
화상 표시부(28)가 ON이면, 기록매체(200 또는 21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안 기록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BUSY"와 같은 표시가 화상 표시부(28)에 표시된다. 또한, LED의 점멸 등을 나타내는 기록매체 기록 동작 표시도 표시부(54)에 표시된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내부 메모리(미도시)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 브래킷 플래그의 상태를 판단한다(S129). 브래킷 플래그는 오토 브래킷 촬영의 실행/불실행을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브래킷 플래그가 해제되면, 플로우는 스텝 S132로 진행된다.
브래킷 플래그가 설정되고(S129), 오토 브래킷 촬영의 잔여 촬영의 수가 1이상이면(S130),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오토 브래킷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조건을 변경한다(S131). 그 후, 플래그는 스텝 S125로 진행된다. 오토 브래킷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조건은 예를 들면, 노출 보정 값 및 화이트 밸런스 값을 포함한다.
스텝 S132에서, 셔터 스위치 SW2(64)의 상태를 검출한다. 셔터 스위치 SW2(64)가 OFF이면, 플로우는 스텝 S103으로 돌아간다. 셔터 스위치 SW2(64)가 ON이면,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된 연사 플래그 의 상태를 검출한다. 연사 플래그가 설정되면, 플로우는 스텝 S134로 진행된다.
스텝 S134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스텝 S129에서와 같이 브래킷 플래그의 상태를 판정한다. 브래킷 플래그가 해제되면(S134), 플로우는 S125로 돌아가서 다음 촬영을 수행한다. 브래킷 플래그가 설정되면, 플로우는 스텝 S103으로 돌아간다. 그 이유는 이 실시 예에 있어서, 브래킷 플래그가 ON이면, 연사를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설정 표시 처리)
도 4는 도 2의 스텝 S113에서의 설정 표시 처리의 상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우선,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시스템 제어 회로(50)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폴더 작성 플래그의 상태를 판단한다(S401). 폴더 작성 플래그가 설정되면, 다음 촬영에서 신규 폴더가 작성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54)에 의해 화상 또는 음성으로 통지한다(S402). 화상 표시부(28)가 ON이면, 폴더 작성을 화상 표시부(28)에 의해 화상 또는 음성으로 통지한다.
폴더 작성 플래그가 해제되면(S401), 표시부(54)(화상 표시부(28)를 포함) 에 있어서의 폴더 작성의 통지를 중단한다(S403).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폴더가 작성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표시부가 즉시 상태를 갱신하면, 즉 폴더 작성의 통지를 중지하면, 스텝 S403을 다시 실행할 필요가 없다.
스텝 S404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및 ON이면 화상 표시부(28))에 의해 폴더 작성 플래그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 태를 화상 또는 음성으로 통지하고, 그 처리를 종료한다.
도 14는 스텝 S403 및 S404의 처리를 수행한 경우의 표시부(54)(및 화상 표시부(28))에 의해 행해진 표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스텝 S404의 처리에 의해 단사/연사 촬영 표시(28a), 플래시 표시(28b), 측광 방식 표시(28c), 압축률 표시(28d), 기록 화소 수 표시(28e), 및 잔여 촬영가능 화상 수 표시(28f)가 표시된다.
도 15는 스텝 S402 및 S404의 처리를 수행한 경우의 표시부(54)(및 화상 표시부(28))에 의해 행해진 표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나타낸 경우와 같이, 단사/연사 촬영 표시(28a), 플래시 표시(28b), 측광 방식 표시(28c), 압축률 표시(28d), 기록 화소 수 표시(28e), 및 잔여 촬영가능 화상 수 표시(28f)가 표시된다. 또한, 스텝 S402의 처리에 의해 폴더 작성 표시(28g)가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106의 처리에 의해, 촬영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스텝 S113의 설정 표시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폴더 작성 표시는 표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재생 모드에서는, 스텝 S107의 처리에 의해 재생 모드용의 표시가 행해지고, 폴더 작성 표시는 표시되지 않는다.
스텝 S127의 퀵 리뷰 처리가 행해지는 동안, 폴더 작성 표시(예를 들면, 도 15의 표시(28g))가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스텝 S127의 퀵 리뷰 처리 중에, 폴더 작성 표시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100)에서의 각종 설정 표시(예를 들면, 스텝 15의 표시(28a~28f))가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아도 된다.
(포커싱/측광 처리)
도 5는 도 3의 스텝 S122에 있어서의 포커싱/측광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촬상소자(14)로부터 전하 신호를 판독하고, A/D 변환기(16)를 통해서 화상 처리 회로(20)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순차 판독한다(S501). 화상 처리 회로(20)는 순차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해 소정의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이 연산 처리 결과는 TTL(Through The Lens) 방식의 AE(Auto Exposure) 처리, EF(Electronic Flash pre-emission) 처리, AF(Auto Focus) 처리, 및 AWB(Auto White Balance) 처리를 수행한다.
이 경우의 각 처리에서는, 촬영한 전체 화소의 수 중, 필요에 대응한 특정부분의 필요한 화소의 수를 추출하여 연산 처리에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TTL 방식의 AE 처리, EF 처리, AWB 처리 및 AF 처리의 각각에 있어서, 예를 들면 중앙 중점(重點) 모드, 평균 모드, 및 평가 모드 등의 각기 다른 모드마다 최적의 연산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화상 처리 회로(20)에 의해 얻은 연산 처리 결과를 이용해 자동 노출값이 적정하다고 판단될 때까지(S502) 노광 제어부(40)를 이용해 AE 제어를 수행한다(S503).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AE 제어에 의해 얻은 측정 데이터를 이용해 플래시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504). 플래시가 필요하면, 플래시 플래그를 세트하여, 플래시(48)를 충전한다(S505).
S502에서 자동 노출값이 적정하다고 판단되면, 자동 노출 제어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 및/또는 설정 파라미터(측광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저장된다.
AE 제어 처리가 완료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스텝 S506 및 S507에서 화상 처리 회로(20)에서의 연산 처리 결과와 AE 제어에 의해 얻은 측정 데이터를 이용해서 오토 화이트 밸런스 처리를 수행한다. 스텝 S506에서 오토 화이트 밸런스 값이 적정하다고 판단될 때까지, 스텝 S507에서 화상 처리 회로(20)에 의해 색 처리의 파라미터를 조절한다.
오토 화이트 밸런스 값이 적정하다고 판단되면(S506), AWB 제어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 또는 설정 파라미터를,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한다.
그 후에,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스텝 S508 및 스텝 509에서 AE 제어 및 AWB 제어에 의해 얻은 측정 데이터를 이용해 AF 제어를 수행한다. 즉,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스텝 S508에서 인-포커스 상태를 취득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포커싱 제어부(42)를 이용해서 AE 렌즈를 구동하고 포커싱 정도를 산출한다.
인-포커스 상태를 취득했다고 판단되면(S508), AF 제어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 및/또는 설정 파라미터를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하고, 포커싱/측광 처리를 종료한다.
(촬영 처리)
도 6은 도 3의 스텝 S126에서의 촬영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그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 측광 데이터에 근거해, 노광 제어부(40)에 의해 조리개 기능을 갖는 셔터(12)를 개구값에 따라 개방하여 촬상소자(14)의 노광을 개시한(S601, S602).
플래시(48)의 발광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플래시 플래그에 따라 판단한다(S603). 플래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플래시(48)를 발광시킨다(S604).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측광 데이터에 따라 촬상소자(14)의 노출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고(S605), 셔터(12)를 닫음으로써(S606), 노광을 종료한다. 촬상소자(14)로부터 전하 신호를 판독하고,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A/D 변환기(16), 화상 처리 회로(20), 및 메모리 제어 회로(22)를 통해서 메모리(30)에 기록한다. 또한, 이 데이터를 A/D 변환기(16)로부터 메모리 제어 회로(22)를 통해서 메모리(30)에 기록한다. 메모리(30)에 촬영된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이 완료하면, 촬영 처리를 종료한다.
(파일 검색 처리)
도 7은 도 2의 스텝 S102에서의 파일 검색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최종 화상이 검색되지 않았으면(S701), 기록매체(200 또는 210)로부터 루트 디렉토리 엔트리를 판독한다(S702).
스텝 S702에서 판독된 루트 디렉토리 엔트리를 해석해서 "/DCIM" 폴더(디렉토리)의 유무를 판정한다(S703). "/DCIM" 폴더가 존재하지 않으면, 재생 화상이 없다고 판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DCIM" 폴더가 루트 디렉토리 엔트리에 존재하면, "/DCIM" 폴더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판독한다. 검색 폴더 번호(DirNum)를 DCF 규격(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에서 최대 수인 999로 설정하고, 파일의 수를 나타내는 변수(FileNum)를 0으로 설정한다(S705)
그리고, 대응하는 폴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706). 구체적으로는, [/DCIM/(DirNum)XXXXX] 폴더(디렉토리)가 기록매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 경우에, 폴더명 중, (DirNum)는 변수 DirNum의 값, 즉, DCF 디렉토리 번호(999~100)이고, X는 임의의 ASCII 1바이트 알파벳 문자이다. 예를 들면, 변수 DirNum의 값이 "100"이고, XXXXX가 "ABCDE"이면, [/DCIM/100ABCDE]를 나타낸다.
스텝 S706에서, "100~999의 숫자 + 5개의 1바이트 알파벳 문자"의 형식의 명칭을 갖는 폴더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그 내용(디렉토리 엔트리)를 판독한다(S707). 그리고, 어떤 재생가능 파일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708). 이 판정은 미리 결정된 확장자(예를 들면 jpg)를 갖는 파일의 유무를 체크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S708에서 재생가능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DirNum이 최소값(=100)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DirNum의 값이 > 100이면, 현재의 값이 1씩 감소한다(S711). 그 다음 플로우는 스텝 S706으로 돌아가서 다음 폴더를 검색한다. 스텝 S710에서 DirNum의 값이 100이라고 판단되면, 플로우는 스텝 S713으로 진행된다.
스텝 S708에서 재생가능한 파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재생가능 파일 중 DCF 파일 번호의 가장 큰 파일을 최종 화상으로서 결정한다(S709). DCF 파일 번호가 DCF 파일명(8문자)의 하위 4문자를 구성하는 "0001~9999"의 번호이다. 스텝 S712에서, 최종 화상의 DCF 파일 번호를 변수 FileNum으로 설정한다. 스텝 S713에서는, 변수 FileNum의 값을, 최종 화상 관련 정보로서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한다. 그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 S714로 진행된다.
스텝 S701에서 최종 화상이 이미 확정되었다고 판정되면, 이미 판정되었던 DirNum 및 FileNum의 값을, 최종 화상 관련 정보로서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한다(S713). 그 후에 플로우는 스텝 S714로 진행된다. 예를 들면 이하의 경우에서는 스텝 S701에서 최종 화상이 확정되었다고 판정한다. 즉, 예를 들면, 이전 파일 검색 처리에서 결정된 최종 화상의 DCF 디렉토리 번호(DirNum) 및 DCF 파일 번호(FileNum)를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기억/보유한다.
스텝 S713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 최종 화상 관련 정보는 상기 최종 화상이 존재하는 폴더의 DCF 디렉토리 번호(DirNum)와 최종 화상의 DCF 파일 번호(FileNum)를 포함한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는 이들 정보뿐만 아니라, 폴더(디렉토리)에 존재하는 재생가능 파일의 총수,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 및 타임 스탬프(time stamp) 등도 최종 화상 관련 정보로서 기억한다.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최종 화상의 DCF 파일 번호를 보유하고, 최종 화상 관련 정보를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시킨다는 전체하에 설명했다. 그러나, 최종 화상의 DCF 파일 번호뿐만 아니라, 다른 최 종 화상 관련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보유해도 된다.
신규 화상 촬영 시에는, 본 처리에서 검색된 최종 화상의 DCF 디렉토리 번호 및 DCF 파일 번호 다음에 오는 DCF 디렉토리 번호 및 DCF 파일 번호를 이용해 보존지 폴더 및 파일명을 결정한다.
스텝 S714에서,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기억된 디지털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최종 촬영 일시와 상기 처리에서 판정된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를 비교한다. 오래된 일시를 최종 촬영 일시로서 기억한다(S715). 이 최종 촬영 일시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시 변화 판정 처리에 사용된다. 이 경우에, 디지털 카메라(100) 내에 기억된 최종 촬영 일시와, 기록매체 내의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 중, 더 오래된 일시를 최종 촬영 일시로서 사용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00)에 기억된 최종 촬영 일시보다 더 오래된 화상이 최종 화상으로서 기록된 기억매체가 디지털 카메라(100)로 로딩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 다음에 촬영된 화상 파일이 기록매체 내의 기존 폴더 대신에 신규 폴더에 용이하게 보존된다.
즉, 이 실시 예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일시 변화 판정 처리에 있어서, 일시 변화(=신규 폴더 작성)가 있다고 판정될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물론 스텝 S713 및 S714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100)에 기억된 최종 촬영 일시 또는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만을, 도 10의 처리에 있어서의 최종 촬영 일시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최종 촬영 일시로서 어느 쪽의 값을 사용하는지를 유저가 선택가능하도록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의 플로차트에 따르면, DCF 파일 번호의 가장 큰 파일을 최종 화상으로서 검색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일례이다. 예를 들면, DCF 규격상의 특정 DCF 디렉토리 내의 최종 화상 또는 기록매체에 최후에 기록된 화상 파일에 대해서 검색이 이루어져도 된다.
(폴더 작성 조건 설정 처리)
도 8은 도 2의 스텝 S105에서의 폴더 작성 조건 설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조작부(70)를 이용하여 유저로부터의 폴더 작성 조건 설정의 지시가 있었다고 판단되면(S801), 후술하는 폴더 작성 조건 설정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에서는, 이하의 어느 한쪽의 경우에, 폴더 작성 조건 설정의 지시가 있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ㆍ신규 폴더 작성 요구 버튼(74)이 눌러진 경우와,
ㆍ폴더 작성 조건 설정 메뉴 화면(후술)을 통해서 폴더 작성 요구(강제 작성 요구)가 있는 경우
스텝 S802에서는, 폴더의 강제 작성 요구가 있었는지를 판정한다.
이 경우에는,
ㆍ강제 작성 요구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신규 폴더 작성 요구 버튼(74)이 눌러진 경우와,
ㆍ폴더 작성 조건 설정 메뉴 화면을 통해서 폴더 강제 작성 요구가 있는 경 우에, 강제 작성 요구가 있었다고 판단한다.
강제 공급 처리가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의 하나의 영역으로서 제공되는 강제 작성 요구 플래그를 세트한다(S803). 요구가 없다고 판단되면, 강제 작성 요구 플래그를 클리어한다(S804). 강제 작성 요구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규 폴더 작성 요구 버튼(74)이 눌러지면, 강제 작성 요구 플래그가 클리어된다.
스텝 S805~S807에서는, 메뉴 화면을 통해서 설정 가능한 폴더 작성 조건을 체크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날짜, 주, 월의 어느 것인가의 변화(일시 변화)를, 폴더 작성 조건으로서 메뉴 화면으로부터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그러한 폴더 작성 조건을, 일시 변화에 의한 폴더 작성 요구로서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기록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일시 변화에 의한 폴더 작성 조건뿐만 아니라 오프셋 시간의 설정도 가능한 것으로 한다. 오프셋 시간은 일시 변화가 있었다고 판정하는 기준 시각을 0:00 a.m.으로부터 옮기기 위한 값이다. 오프셋이 없으면, 0:00 a.m. 후의 시점에서 날짜가 변경된 것으로 하여 처리된다. 그러나, "7:00 a.m"(혹은 "+7시간")가 오프셋 시간으로서 설정되면, 0:00 a.m.후에도 7:00 a.m.까지는 날짜가 변경된 것으로 판정되지 않는다. 오프셋 시간이 설정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날을 지난 이벤트에서 촬영된 화상을 1개의 폴더에 기록하거나 통상 기상할 시각을 기준으로 해서 신규 폴더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프셋 시간은 "7:00 a.m."와 같은 구체적인 시각으로 지정되는 것도, 기준시각(통상은 0:00 a.m.)에 대 한 상대적인 시간 차(예를 들면, +7시간 혹은 -2시간)로 지정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에 유념한다.
도 2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폴더 작성 조건 설정 메뉴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폴더 작성 조건 설정 메뉴 화면은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에 표시된다. 그러한 메뉴 화면은 일반적으로 메뉴 키가 눌러지면 표시되는 초기 메뉴 화면으로부터 메뉴 계층을 트랙킹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물론, 이러한 메뉴 화면을 직접 호출하는 숏컷(shortcut) 키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더 작성 조건 설정 메뉴 화면은, 폴더 강제 작성 요구를 하기 위한 제1 영역(28i), 일시 변화에 의한 폴더 작성 요구를 하기 위한 제2 영역(28j), 및 제3 영역(28k)을 포함한다.
폴더 강제 작성 요구를 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조작부(70)의 상하방향 키 등의 소정의 키를 조작하여 제1 영역(28i)을 선택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좌우방향 키 등의 소정의 키를 조작해서 유저는 영역 28i 중의 체크박스(28m)가 체크된 상태로 한 후, 조작부(70)의 실행 키를 누른다. 이 조작에 의해, 메뉴 화면을 닫고(상위 메뉴 화면으로 전환), 폴더 강제 작성 요구가 디지털 카메라(100)에 지시된다. 체크박스(28m)가 체크되지 않는 상태에서 실행 키를 누름으로써 폴더 강제 작성 요구를 해제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신규 폴더 작성 요구 버튼(74)을 누름으로써 메뉴 화면을 조작하지 않고 폴더 강제 작성 요구를 지시 및 해제할 수 있다 는 점에 유념한다.
일시 변화에 의한 폴더 작성 요구를 하면, 변화 요인을 설정하기 위해 영역 28j을 선택된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유저는 좌우방향 키를 조작해서 소망의 조건을 표시한다. 이 경우에, 일시 변화 요인은 날짜 변화("매일"), 주 변화("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월 변화("매월"), 및 월의 특정 날짜(1일~31의 어느 것인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것은 본 실시 예의 설명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는, "○(월)×(일)" 혹은 "공휴일"과 같은 특정 날짜를 지정하거나, 더 작은 시간 단위로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 예는 시간 단위 또는 특정 날짜(예를 들면, ○(월)×(일)△(시))를 지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특정 시간 간격을 지정할 수 있도록 조건을 설정해도 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면, 특정 2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을 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시 변화 요인은, 소정의 기준 일시로부터의 일시 경과 또는 달력에 관한 조건으로서 간주할 수 있다. 일시 변화에 의한 폴더 작성 요구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OFF"가 표시되는 상태가 설정되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오프셋 시간 설정이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부(70)의 실행 키를 누른다. 이 조작에 의해, 메뉴 화면을 닫고(상위 메뉴 화면으로 전환), 디지털 카메라(100)에 일시 변화에 의한 폴더 작성 요구가 지시된다.
오프셋 시간을 설정한 경우, 혹은 기존에 설정된 시간을 변경한 경우에는, 제3 영역(28k)을 조작한다. 제3 영역(28k)이 선택된 상태에서 좌우방향 키를 조작하여, 소망의 시각을 표시하고, 실행키를 누른다. 오프셋 시간은, 예를 들면, 0:00~23:59까지 1분 간격으로 설정되어도 되고, 또는 0:00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시간차(±0:00~11:59)로서 설정되어도 된다.
도 8로 되돌아가서, 일시 변화에 의한 폴더 작성 지시가 있으면(S805),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기억되는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로서 일 단위로 설정을 행한다(S808). 주 변화에 의한 작성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S806),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기억되는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로서 주 단위로 설정을 행한다(S809). 월 변화에 의한 작성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S807),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기억되는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로서 월 단위로 설정을 행한다. 어떤 일시 단위에 의한 폴더 작성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기억되는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를 클리어한다(S811).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어떤 일시 단위에 의한 폴더 작성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일시 변화 검출 지점의 오프셋 지시의 유무를 확인한다(S812). 오프셋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오프셋 시간을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기억한다(S813). 오프셋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오프셋 시간을 클리어하고, 즉 오프셋을 0으로 설정한다(S814).
이 경우에 설정된 폴더 작성 조건은 폴더 작성 판정 처리 및 파일 관리 처리(후술)에 있어서 참조되고, 신규 폴더를 작성할지 여부를 판정하는데 사용된다.
일시의 변화, 예를 들면 일, 주, 월의 변화에 의한 작성 조건을 배타적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에서 설명했다. 그러나, 일시의 변화의 조합에 근거한 설정을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매주 월요일과 매월 1일의 양 조건에 있어서 폴더 작성을 행하도록 설정이 이루어져도 된다. 일시 변화 요인은 일 단위 대신에 시간 단위여도 되고, 특정 일시를 지정할 수 있는 조건이어도 된다. 이 방법은 예를 들면, 특정 월, 특정 일, 및 특정 시간을 지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특정 시간 간격을 지정할 수 있도록 조건을 설정해도 된다. 이 방법은, 예를 들면, 특정 2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을 지정하는 방법이다.
(폴더 작성 판정 처리)
도 9는 도 2의 스텝 S112에서의 폴더 작성 판정 처리의 상세를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DCF 규격 등의 제한에 의해 신규 폴더를 작성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S901). 예를 들면, DCF 규격에 있어서, DCF 디렉토리 번호가 100~999로 한정되므로, 이 범위 외의 DCF 디렉토리 번호를 갖는 폴더는 작성될 수 없다. 더 구체적으로는, DCF 디렉토리 번호 및 파일 번호의 오름차순으로 폴더 및 파일을 작성하도록 디자인되는 사양에 있어서는, 최종 화상이 존재하는 폴더의 DCF 디렉토리 번호가 999이면 신규 폴더를 작성할 수 없다.
신규 폴더를 작성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폴더 작성 플래그를 클리어하고(S908),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901에서 신규 폴더를 작성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신규 폴더 작성 판정을 행한다. 우선, 스텝 S902에서 강제 작성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8의 스텝 S803에서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기억된 강제 작성 요구 플래그가 세트되면, 강제 작성 요구가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에,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폴더 작성 플래그를 세트한다(S907). 그 후에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902에서 강제 작성 요구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일시 변화에 의한 신규 폴더 작성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일시 작성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S903). 일시 변화에 의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폴더 작성 플래그를 세트한다(S907). 그 후에 이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904에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후술하는 한 조의 화상 조건에 근거한 신규 폴더 작성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한 조의 화상 작성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 한 조의 화상 조건에 근거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폴더 작성 플래그를 세트한다(S907).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한 조의 화상 작성 판정에 의해 플래그가 세트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플래그와 함께 미리 기억해 두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스텝 S906에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폴더 작성 플래그를 클리어한다(S908). 그 후,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일시 작성 판정 처리)
도 10은 도 9의 스텝 S903에 있어서의 일시 작성 판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 는 플로차트이다. 이 처리에 있어서의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는 상기 파일 검색 처리를 수행하는 스텝 S714에서 결정되고, 스텝 S715에서 기억되는 일시라는 점에 유념한다.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가 일 단위인 경우(S1001),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타임 스탬프)의 날짜와, 현재의 날짜(디지털 카메라(100)의 내장 시계의 값에 근거해)가 다른지를 판정한다(S1002). 날짜가 서로 다르다고 판정되면, 플로우는 날짜 조건에 대한 오프셋 조건 판정으로 진행된다(S1007). 날짜가 서로 일치하다고 판정되면, 플로우는 스텝 S1009로 진행된다.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가 주 단위인 경우(S1003),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의 주와, 현재 일시의 주가 다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04). 주가 서로 다르다고 판정되면, 플로우는 날짜 조건에 대한 오프셋 조건 판정으로 진행된다(S1007). 주가 서로 일치한다고 판정되면, 플로우는 스텝 S1009로 진행된다. 특정 년, 월, 일이 그 해 혹은 달의 특정 주에 포함되는지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통상 갖는 달력 기능을 이용해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가 월 단위인 경우(S1005),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의 월과, 현재 일시의 월이 다른지를 판정한다(S1006). 월이 서로 다르다고 판정되면, 플로우는 날짜 조건에 대한 오프셋 조건 판정으로 진행된다(S1007). 월이 서로 일치한다고 판정되면, 플로우는 스텝 S1009로 진행된다.
어떤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도 없다고 판정되면, 스텝 S1009에서 현재의 일시와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에 대하여 날짜 변화 판정을 행하지 않고 이 처리 를 빠져나온다.
스텝 S1007에서는, 일시 변화 조건에 대한 오프셋 조건을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오프셋 시간이 설정되고, 날짜 사이의 차가 1일인 경우에는, 오프셋 시간을 고려한 판정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날짜가 1일 다르기 때문에, 주 또는 월이 서로 다르다고 판정된 경우, 오프셋 시간을 고려해도 날짜가 서로 다른지를 판정한다. 스텝 S1006에서 월이 서로 다르고,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가 2005년 1월 31일, 현재 일시가 2005년 2월 1일 3:00 a.m., 오프셋 시간이 7:00 a.m.(혹은 "+7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 현재 일시가 오프셋 시간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일시의 변화가 없다고 판정된다.
오프셋 시간을 고려해도 일시의 변화가 있다고 판정되면, 판정 조건이 만족한다고 판정한다(S1008).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오프셋 조건을 고려한 경우에 일시의 변화가 없다고 판정되면, 판정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된다(S1009).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도 10에 나타낸 경우에 따르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조건 설정에 따라 일, 주, 월 등의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조건을, 배타적으로 판정한다. 그러나, 설정의 경우와 같이, 조건의 조합에 근거해서 판정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매주 월요일과 매월의 1일에, 폴더 작성을 허용하도록 판정이 행해져도 된다. 일시 변화 요인은 일 단위 대신에 시간 단위여도 되고, 특정 일시를 지정할 수 있는 조건이어도 된다. 이 방법은 예를 들면 특정 월, 특정 일, 및 특정 시간을 지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특정 시간 간격을 지정할 수 있도록 조건을 설정해도 된다. 이 방법은 예를 들면 특정 2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을 지정하는 방법이다.
(한 조의 화상 작성 판정 처리)
도 11은 도 9의 스텝 S905에 있어서의 한 조의 화상 작성 판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현재의 촬영 모드가 연사 모드인지를 확인한다(S1101). 현재의 촬영 모드가 연사 모드이면, 연사 촬영에 의해 작성되고 동일 파일 내에 보존되도록 보증된 일련의 화상 파일의 수를 설정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이 수를 50으로 설정한다.
현재의 촬영 모드가 연사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1103에서 현재의 촬영 모드가 브래킷 모드인지를 확인한다. 브래킷 모드는 촬영 조건(예를 들면, 노광 및 화이트 밸런스)를 변경하면서 몇 개의 화상을 촬영하는 모드이다. 현재의 촬영 모드가 브래킷 모드이면, 스텝 S1004에서 오토 브래킷 촬영에 의해 작성되고 동일 폴더에 보존되도록 보증된 일련의 화상 파일의 수를 설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면 이 수를 4로 설정한다.
현재의 모드가 연사 모드도 브래킷 모드도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현재의 촬영 모드가 통상의 단사 모드라고 판정하고, 동일 폴더에 보존되도록 보증된 화상 파일의 수를 설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면, 이 수를 1로 설정한다(S1105).
그 후에, 기록매체(200 또는 210)의 기존 폴더에 보존 가능한 파일의 수가 스텝 S1102, S1104, 혹은 S1105에서 설정된 동일 폴더에 보존되도록 보증된 파일의 수 이상인지를 체크한다(S1106). 기존 폴더에 보존 가능한 파일의 수는 예를 들면 폴더 내의 파일의 수의 상한 또는 폴더 내의 최종 화상의 DCF 파일 번호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더 내의 파일 수의 상한을 설정한 경우에는, 기존 파일의 수와 상한값 사이의 차, 또는 최종 화상의 DCF 파일 번호와 DCF 파일 번호의 상한인 9999 사이의 차로서 이 수를 취득할 수 있다.
기존 폴더에 보존 가능한 파일의 수가, 보존되어야 하는 보증된 파일의 수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한 조의 화상 판정에 의해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만족한다고 판정된다(S1107). 그 후에 처리를 종료한다. 기존의 폴더에 보존 가능한 파일의 수가 동일 폴더에 보존되도록 보증된 파일의 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한 조의 화상 판정에 의해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된다(S1108).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조건에 따라, 동일 폴더 내에 기록되도록 보증되어야 하는 소정의 파일 수가 기존 폴더에 보존될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한 조의 화상 판정에 의해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만족한다고 판정된다. 따라서, 다음 촬영 처리에서, 신규 폴더를 작성하고, 동일 폴더 내에 보존되도록 보증된 촬영된 화상 파일의 수를 신규 폴더에 기록할 수 있다.
(파일 관리 처리)
도 12는 도 3의 스텝 S125에 있어서의 폴더/파일 관리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폴더 작성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201). 플래그가 어느 쪽의 메모리에 도 설정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스텝 S1208에서는, 변수 DirNum의 값과 같은 DCF 디렉토리 번호를 갖는 기존 폴더에 보존되어야 하는 파일명을 결정한다.
폴더 작성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신규 폴더를 작성한다(S1202).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폴더 작성 플래그 및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기억된 강제 작성 요구 플래그를 클리어한다(S1203). 이것에 의해, 불필요한 폴더의 작성을 방지한다. 또한, 연사 촬영 또는 오토 브래킷 촬영 등의 한 조의 화상 촬영 시의 두 번째 화상 이후의 촬영 중에 날짜가 변화하고, 폴더 작성 조건도 만족한 경우에 있어서도, 신규 폴더가 작성되지 않고, 일련의 촬영된 화상 파일이 동일 폴더에 보존된다. 즉, 한 조의 화상 촬영 시에는, 일시 변화에 의한 신규 폴더 작성 요구가 무시된다.
또한, 이 플래그를 다시 참조해서, 폴더 작성 요구가 클리어되었는지, 즉 촬영에 의해 폴더가 작성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설정 표시 처리의 스텝 S402에서는, 이 플래그를 참조해 표시를 갱신한다. 이것에 의해 신규 폴더 작성이 설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폴더 작성 표시(28g)(도 15)를, 폴더 작성 실행에 따라, 소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신규 폴더의 DCF 디렉토리 번호를 변수 DirNum에 기억하고(S1204), 이 신규 폴더에 보존되는 파일명을 결정한다(1205). 신규 폴더의 DCF 디렉토리 번호는 최종 화상이 보존되는 폴더의 DCF 디렉토리 번호에 1을 부가해서 얻은 값을 갖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신규 폴더에 보존된 파일명 중, 파일 번호의 초기값이 0001인 것으로 한다. 또, 파일명의 상위 4문자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미리 설정 된 문자열인 것으로 한다.
보존 파일명이 결정되면, 보존 파일의 DCF 파일 번호를 변수 FileNum에 기억한다(S1206).
다음에, 최종 촬영 일시의 갱신 처리를 수행한다. 스텝 S1207에서는, 이 촬영된 화상이 한 조의 화상의 두 번째 혹은 그 이후의 화상인지를 체크한다. 이 촬영된 화상이 한 조의 화상의 두 번째 혹은 그 이후의 화상이 아닌, 즉, 단사 모드(1매 촬영 시)에서 촬영된 화상 또는 연사 등에 의해 얻은 한 조의 화상의 첫 번째 화상인 경우, 촬영시의 현재 일시를 최종 촬영 일시로서 불휘발성 메모리(56) 등에 기억한다.
이 최종 촬영 일시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시 변화 판정에서 다시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1매 촬영이 행해지거나 또는 촬영된 화상이 연사 등에 의해 얻은 한 조의 화상의 첫 번째 화상인 경우에만 최종 촬영 일시를 갱신하여, 특별히 한 조의 화상 촬영 후의 촬영 시에, 도 10의 일시 변화 판정에 있어서 일시 변화가 있다고 판정되는 확률을 증가시킨다.
즉, 한 조의 화상 촬영 시에, 두 번째 혹은 그 이후의 화상의 촬영 시에는 최종 촬영 일시를 갱신하지 않기 때문에, 한 조의 화상 촬영 후의 최종 촬영 일시로서, 한 조의 화상의 첫 번째 화상의 촬영 일시가 유지된다. 그 결과, 다음의 촬영 시에, 최종 촬영 일시와 현재 일시의 차가 실제의 차보다 커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일시 변화에 의한 신규 폴더 작성 요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신규 폴더의 작성이 촉진된다. 이 동작에 의해, 한 조의 화상의 촬영한 파일과 그 후의 촬영한 파일이 서로 다른 폴더에 보존되기 쉬워져, 그 후에 촬영된 화상 파일의 정리가 용이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제어는 필수가 아니고, 모든 촬영마다 최종 촬영 일시를 갱신해도 된다. 또, 최종 촬영 일시를 갱신할지 여부를 유저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 조건 설정 처리)
도 13은, 도 2의 스텝 S108에 있어서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모드 다이얼(60)이 연사 모드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1301). 이 다이얼이 연사 모드의 위치에 있으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현재의 촬영 모드가 연사 촬영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연사 플래그를 세트하고(S1302), 처리를 종료한다.
모드 다이얼(60)이 연사 모드의 위치에 없는 경우, 스텝 S1303에서, 이 다이얼이 브래킷 모드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 다이얼이 브래킷 모드의 위치에 있으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현재의 촬영 모드가 오토 브래킷 촬영인 것을 나타내는 브래킷 플래그를 세트하고(S1304), 처리를 종료한다.
모드 다이얼(60)이 연사 모드의 위치 또는 브래킷 모드의 위치에도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되는 연사 플래그와 브래킷 플래그 양쪽 모두를 클리어한다(S1305).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설정에 따라 신규 폴더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촬영된 화상 파일을 신규 폴더에 보존하기 때문에, 신규 폴더를 촬영할 때 작성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조작성이 더 향상된다.
또, 실제로 촬영 지시가 있고 나서 신규 폴더를 작성하기 때문에, 기억 매체는 어떠한 문제도 없이 대체될 수 있다. 즉, 이것에 의해, 미리 작성된 폴더가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고, 작성된 폴더를 찾을 수 없다고 하는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개개의 유저가 신규 폴더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조건을, 복수 종의 조건으로부터 선택 및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개개의 유저의 요구조건에 따라 촬영된 화상 파일을 자동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자동 작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최종 촬영 일시와 다음에 촬영된 화상의 촬영 일시를 바탕으로 판정하기 때문에, 어떠한 단위(예를 들면 년, 월, 주, 일등)의 변경도 공통 처리에 의해 판정 가능하다. 따라서, 자동 작성 조건의 변경이 있어도 적절한 판정이 가능하다.
자동 작성 조건이 일시 변화 요인인 경우, 그 판정 조건에 대해서 오프셋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개개의 유저의 실정 및 요구조건에 따라 신규 폴더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최종 촬영 일시는 기록 매체 내의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 또는 화상 처리 장치가 최종 촬영을 수행했을 경우의 일시이기 때문에, 기록 매체가 교환된 경우에 도 적절한 기준 일시 정보(비교 대상)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 매체 내의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를 기억함으로써,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를 기동할 때, 기록 매체를 재검사하는 일없이 폴더를 작성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후의 촬영 처리를 재빠르게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억된 최종 촬영 일시 및/또는 기록 매체 내의 최종 화상의 촬영 일시를, 기록매체의 교환 및/또는 새로운 촬영 발생 시에 갱신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 내의 검사 및 화상 처리 장치 내에의 기억을 최소한의 조작 회수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정보의 불일치를 막을 수 있다.
자동 작성을 위한 조건 설정과는 별도로, 다음의 촬영 시에는 무조건적으로 신규 폴더를 작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저의 각종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신규 폴더 작성 요구 버튼(74)과 같이 원터치로 설정 가능한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촬영 직전에 폴더를 작성하라는 지시가 있는 요구에 대응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높은 편리성을 제공한다.
보존지로서의 신규 폴더를 작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파일을 기존 폴더에 보존한다. 이것에 의해, 촬영된 화상 파일을 기록할 수 없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보존지로서의 기존 폴더에 파일을 추가 보존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신규 폴더를 작성하고, 이 신규 폴더에 촬영된 화상 파일을 보존한다. 이 때문에, 촬영된 화상 파일이 기록될 수 없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연사, 오토 브래킷 촬영 등으로 얻은 일련의 복수의 촬영된 화상(한 조의 화상)을 1개의 그룹으로서 취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미리 정한 매수의 파일을 기존의 폴더에 보존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신규 폴더를 작성한다. 이 동작에 의해, 기존 폴더가 보존지로서 설정되는 경우에도, 일련의 촬영된 화상 파일이 확실하게 동일 폴더에 보존될 수 있다.
또한, 다음 촬영 시에 신규 폴더가 작성될지 여부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때문에, 유저는 폴더가 작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미리 설정된 조건을, 항상 즉시 만족할 수 없기 때문에, 설정한 조건이 정확하게 인식 및 실행되는지 여부를 파악 가능하다는 것은 중요하다. 또, 사전에 신규 폴더의 작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통지를 받은 시점에서 필요에 따라 폴더 작성 예약을 취소하도록 설정을 변경하고, 소망한 폴더 구조를 유연하게 구축할 수가 있다.
화상 처리 장치가 자동적으로 촬영된 화상의 격납 폴더를 신규 폴더로 변경한 경우에도, 유저는 그것을 알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유저가 신규 폴더에 첫 번째로 저장되는 화상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져, 촬영 후의 화상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가 있다.
또한, 한 조의 화상 촬영 중에는 일시 변화에 의한 신규 폴더 작성 요구가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신규 폴더를 작성하기 때문에, 비록 일시 변화에 의한 신규 폴더작성 요구를 만족하더라도, 한 조의 화상이 복수의 폴더에 보존되는 것은 결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단사 모드에서의 촬영에서는, 촬영 시각을 최종 촬영 일시로서 간주한다. 한 조의 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첫 번째 화상의 촬영 시각을 각각 최종 촬영 일시로서 간주한다. 이것에 의해, 한 조의 화상 촬영 중에 신규 폴더 작성 요인으로서의 일시의 변화가 발생했을 경우에, 다음의 촬영 시에는 확실히 신규 폴더에 촬영된 화상 파일이 보존된다.
기록 매체 내의 최종 화상 파일이 단사 모드에서 촬영된 화상이라고 판단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이 화상의 촬영 시각을, 한 조의 화상의 일부라고 판단되면, 그 한 조의 화상의 첫 번째 화상의 촬영 시각을 기록 매체 내의 최종 촬영 일시로서 사용한다. 이 동작에 의해, 기록 매체 내에 보존된 화상이 한 조의 화상 촬영 중에 폴더 전환 요인으로서의 일시의 변화가 발생했을 경우에 얻은 화상이어도, 다음의 촬영 시에는 확실히 신규 폴더에 촬영된 화상 파일이 보존될 수 있다.
또, 화상 처리 장치에 보유된 최종 촬영 일시와 기록 매체 내의 최종 화상 데이터의 촬영 일시의 오래된 일시를, 신규 폴더 작성 필요성의 판정에 있어서의 최종 촬영 일시로서 이용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기록 매체를 사용했을 경우에도, 적절한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에 대해, 도 3, 도 5 내지 도 13, 도 15, 도 16, 도 17,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디지털 카메라도,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디지털 카메라(100)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기능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하고, 이하에는, 이 디지털 카메 라를 디지털 카메라(100)로서 설명한다.
도 23 및 도 3의 플로차트를 참조해,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전지 교환 등에 따라 전원이 온으로 된 경우,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플래그, 제어 변수 등을 초기화한다(S2301).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된 직전 모드명을 "기동"으로 설정한 후(S2302), 기억 매체 내의 파일 검색 처리를 수행한다(S2303).
도 23의 스텝 S2303에 있어서의 파일 검색 처리의 상세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전원 스위치(72)의 설정 위치를 판단한다(S2304). 전원 스위치(72)가 OFF로 설정되어 있으면, 플로우는 스텝 S2305으로 진행되어 소정의 종료 처리를 한다. 종료 처리는, 예를 들면 이하의 처리를 포함한다. 각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종료 상태로 변경하고, 배리어(102)를 닫아 촬상부를 보호한다. 플래그, 제어 변수 등을 포함한 파라미터, 설정값, 설정 모드를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전원 제어부(80)는, 화상 표시부(28)를 포함한, 전원 공급이 불필요한 부분으로의 전원을 차단한다. 종료 처리가 완료하면, 플로우는 스텝 S2304에 돌아간다.
스텝 S2304에서, 전원 스위치(72)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폴더 작성 조건을 설정한다(S2306). 폴더 작성 조건 설정 처리의 자세한 것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모드 다이얼(60)의 설정 위치를 판단한다(S2307). 모드 다이얼이 촬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촬영 조건을 설정한다(S2308). 그리고, 플로우는 스텝 S2311으로 진행된다. 이 스텝 S2308에 있어서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의 자세한 것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스텝 S2307에서, 모드 다이얼(60)이 그 외의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선택된 모드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S2309). 처리를 완료한 경우에,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된 직전 모드명을 현재의 모드명으로 설정한다(S2310). 그리고, 플로우는 스텝 S2304로 돌아간다.
스텝 S2311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전원 제어부(80)를 이용해 전지 등으로 구성되는 전원(86)의 잔량 또는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 전원(86)의 상태가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상에 문제가 있다고 시스템 제어 회로(50)가 판단한 경우,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를 이용해 화상 또는 음성으로, 그 문제에 대응한 소정의 경고를 한다(S2313). 그리고, 플로우는 스텝 S2304로 돌아간다.
전원(86)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스텝 S2312에서 기록 매체를 체크한다. 즉, 기록 매체(200 혹은 210)의 장착 유무를 판정하고, 장착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파일의 관리 정보를 취득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재생 동작상에 문제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이 문제는, 예를 들면, 기록 매체(200 혹은 210)의 어느 것도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정상적인 판독/기록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어떠한 문제가 있다면, 표시부(54)를 이용해 화상 또는 음성으로, 이 문제에 대응한 소정의 경고를 한다(S2313). 그리고, 플로우는 스텝 S2304로 돌아간다.
스텝 S2312에서, 기록 매체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다음 촬영에 의해 생성되는 촬영된 화상 파일을 보존하기 위한 신규 폴더를 작성할지 여부를 판정한다(S2314). 이 폴더 작성 판정 처리의 자세한 것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도 9의 스텝 S903에 있어서의 일시 작성 판정 처리의 자세한 것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도 9의 스텝 S905에 있어서의 한 조의 화상 작성 판정 처리의 자세한 것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를 이용해 화상 또는 음성으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를 표시한다(S2315). 화상 표시부(28)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상 표시부(28)도 이용해 화상이나 음성으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를 표시한다. 이 설정 표시 처리의 자세한 것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다음에,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된 직전 모드명을 "촬영"로 설정한다(S2316). 그리고, 플로우는 도 3의 스텝 S121으로 진행된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자세한 것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도 3의 스텝 S122에 있어서의 포커싱/측광 처리의 자세한 것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도 3의 스텝 S125에 있어서의 폴더 및 파일 관리 처리의 자세한 것은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도 3의 스텝 S126에 있어서의 촬영 처리의 자세한 것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설정 표시 처리)
도 16은, 도 23의 스텝 S2315에 있어서의 설정 표시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스텝 S16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시스템 제어 회로(50)의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되는 폴더 작성 플래그 상태를 판단한다. 폴더 작성 플래그가 클리어되어 있으면,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의 폴더 작성 표시를 오프로 한다(S1602). 그리고, 플로우는 스텝 S1606으로 진행된다.
폴더 작성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되는 직전 모드명이 현재의 모드명과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603). 그들이 서로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플로우는 스텝 S1605으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플로우는 스텝 S1604으로 진행된다.
스텝 S1604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를 이용해, 소정 기간 폴더 작성 표시를 점멸시킨다(S1604). 도 17은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가 수행한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폴더 작성 표시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도 이미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더 작성 표시(28g)가 점멸되고, 폴더 작성 표시(28g) 이외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표시가 표시된다. 도 17을 참조하 면, 이들 각종 설정 상태는, 단사/연사 촬영 표시(28a), 플래시 표시(28b), 측광 방식 표시(28c), 압축률 표시(28d), 기록 화소 수 표시(28e), 및 잔여 촬영 화상 수 표시(28f)를 포함한다.
폴더 작성 표시(28g)만을 점멸시킴으로써, 모드 전환 시에는 다른 설정 표시(28a~28f) 중에서 간과할 가능성이 있는 폴더 작성 표시(28g)를 강조한다. 특히, 도 23의 S2302에 있어서, 기동 시에 직전 모드명을 "기동"으로 설정한다. 기동 직후의 스텝 S2315에서의 설정 표시 처리에 있어서, 직전 모드명이 "기동"으로 설정되고, 현재의 모드명이 "촬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동 시에도 폴더 작성 표시가 점멸에 의해 강조된다.
스텝 S1605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를 이용해, 화상이나 음성으로 폴더 작성 표시(28g)를 표시한다. 즉, 폴더 작성 표시(28g)를 점멸한다. 스텝 S1604에서 폴더 작성 표시를 점멸하는 경우에는, 폴더 작성 표시의 점멸이 표시로 전환된다. 스텝 S1605에 있어서의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가 수행한 표시 예는,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다. 도 15도 도 17과 같이, 폴더 작성 표시 이외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표시가 이미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폴더 작성 표시 이외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 표시(28g~28f)와 같이, 폴더 작성 표시(28g)도 표시된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를 이용해 화상이나 음성으로, 폴더 작성 표시 이외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를 표시(표시/갱신)하고(S1606), 설정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기동시나 모드 전환 시에는, 다른 설정 표시 중에서 간과할 가능성이 있는 폴더 작성 표시를 강조(점멸)한다. 그 때문에, 유저에게 다음의 촬영 시에 신규 폴더의 작성을 확실하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강조 동작으로서 점멸 동작을 설명했다. 그러나, 표시 색을 보다 눈에 띄는 색으로 변경하고, 표시 사이즈를 크게 하는 등, 다른 강조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제3 실시 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에 대해,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13, 도 15, 도 18, 도 19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디지털 카메라도,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디지털 카메라(100)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기능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하고, 이하, 이 디지털 카메라를 디지털 카메라(100)로서 설명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은, 도 2의 스텝 S112에 있어서의 폴더 작성 판정 처리와 스텝 S113에 있어서의 설정 표시 처리 이외에, 제1 실시 예와 같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특징적인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도 2의 스텝 S112에서 실행되는 폴더 작성 판정 처리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도 9의 스텝 S907에 있어서, 폴더 작성 플래그를 세트할 때에, 어느 조건이 플래그를 세트한 경우에 만족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강제 작성 요구에 의해 플래그가 세트되는지, 일시 작성 판정에 의해 플래그가 세트되는지, 혹은 한 조의 화상 작성 판정에 의해 플래그가 세트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한다. 폴더 작성 플래그 자체에 그 설정 요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해도 된다.
도 1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가, 도 2의 스텝 S113에 있어서의 설정 표시 처리로서 실행하는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되는 폴더 작성 플래그의 상태를 판단한다(S1801). 폴더 작성 플래그가 클리어되어 있으면,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의 폴더 작성 표시를 오프로 한다(S1802). 그리고, 플로우는 스텝 S1807로 진행된다.
폴더 작성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되는 정보에 따라 폴더 작성 요인을 판단한다(S1803). 한 조의 화상 작성 판정에 있어서 작성 조건이 만족될 때 폴더가 작성되는 경우에는, 폴더 작성 표시 형식을 "표시 1"로 설정한다(S1804). 예를 들면, 폴더 작성 표시를, 폴더 아이콘의 그레이 표시로 설정한다. 그레이 표시는, 유저가 폴더 작성을 중지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저에 의해 강제 작성 요구가 이루어지거나, 혹은 일시 작성 판정에 있어서 작성 조건이 만족될 때 폴더가 작성되는 경우에는, 폴더 작성 표시 형식을 "표시 2"로 설정한다(S1805). 예를 들면, 폴더 작성 표시를, 폴더 아이콘의 통상 표시로 설정한다. "표시 1"과 "표시 2"는 다른 표시 형식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 혹은 화상 표시부(28)를 이용해, 화상이나 음성으로 폴더 작성 표시를 표시한다(S1806). 이 경우에는, 스텝 S1804 혹은 S1805에서 설정한 표시 형식에 따라, 폴더 작성 표시를 표시한다. 스텝 S1805에서 폴더 아이콘의 통상 표시를 폴더 작성 표시로 설정했을 경우, 스텝 S1806에 있어서의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의 표시 예는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다. 다만, 도 15에 나타낸 경우에 있어서는, 폴더 작성 표시 이외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가 이미 표시되어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도 15는 유저의 설정에 의해 신규 폴더가 작성되는 경우의 표시를 나타낸다. 유저는 필요하면 폴더 작성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신규 폴더의 작성을 중지할 수가 있다.
도 19는 스텝 S1804에서 "표시 1" 형식이 설정된 경우의, 스텝 S1806에 있어서의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가 행한 표시 예이다. 도 19도 도 15와 같이, 폴더 작성 표시 이외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가 이미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폴더 작성 표시 이외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28a, 28f)가 표시되고, 폴더 아이콘이 그레이 표시된다(28g). 도 19는, 폴더당 기록 가능한 최대의 화상 수로 인해, 카메라에 의해 강제적으로 폴더가 작성되는 경우의 표시이다. 그레이 표시는 신규 폴더의 작성을 중지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를 이용해 화상이나 음성으로, 폴더 작성 표시 이외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를 표시(표시/갱신)한 다(S1807). 그리고, 설정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폴더 작성 요인에 의존해서 폴더 작성 표시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그것에 의해, 다음 촬영 시에 신규 폴더가 증가되는지 여부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폴더의 작성을 유저가 중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폴더 작성을 유저가 중지할 수 없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폴더 작성 설정을 해제하기 위해서 유저가 메뉴 계층을 쓸모없이 트랙킹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제4 실시 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카메라의 동작에 대해,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13, 도 20, 도 21, 도 22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디지털 카메라도,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디지털 카메라(100)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기능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하고, 이하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디지털 카메라(100)로서 설명한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은, 도 2의 스텝 S113에 있어서의 설정 표시 처리 이외에, 제1 실시 예와 같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특징적인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가, 도 2의 스텝 S113에 있어서의 설정 표시 처리로서 실행한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일시 변화에 의한 폴더 작성이 설정되어 있 는지를 판단한다(S2001). 일시 변화에 의한 폴더 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S2001), 설정되어 있는 일시 변화 요인(즉, 폴더 작성 조건)을 표시부(54) 또는 화상 표시부(28)에 표시한다(S2002). 그리고, 플로우는 S2004으로 진행된다.
도 21은, 스텝 S2002에 있어서의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의 표시 예이다. 도 21은, 폴더 작성 플래그가 클리어되어 있어, 즉 폴더 작성을 예약한 일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폴더 작성 표시 이외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가 이미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에 나타낸 경우에 있어서, 폴더 작성 표시 이외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28a~28f)가 표시되고, 폴더 작성 조건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일시 변화 요인(이 경우에는 날짜 설정: "매일 0:00")가 표시되어 있다. 설정되어 있는 폴더 작성 조건을 표시함으로써, 실제로 신규 폴더가 작성되기 전에, 폴더 작성 조건이 정확히 설정되어 있는 것을 유저가 확인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설정 에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유저에게 안심감을 줄 수가 있다.
스텝 S2001에서, 일시 변화 요인에 의한 폴더 작성 예약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의 폴더 작성 표시를 오프로 한다(S2003). 그리고, 플로우는 S2004로 진행된다.
스텝 S2004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내부 메모리 혹은 메모리(52)에 기억되는 폴더 작성 플래그 상태를 판단한다. 폴더 작성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로 폴더 작성 표시를 표시한다(S2005). 그리고, 플로우는 스텝 S2007으로 진행된다.
도 22는, 스텝 S2005에 있어서의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의 표시 예이다. 도 22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일시 변화에 의한 폴더 작성이 설정되어 있고, 폴더 작성 표시 이외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도 22로부터 알 수 있듯이, 폴더 작성 조건으로서의 일시 변화에 의한 설정 표시(28h)와, 폴더 작성 표시 이외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28a~28f)와 함께, 폴더 작성 표시(28g)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폴더 작성 조건이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고, 다음 촬영 시에 신규 폴더가 작성되는 것을 유저가 확인할 수가 있다.
스텝 S2004에서 폴더 작성 플래그가 클리어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 및 화상 표시부(28)의 폴더 작성 표시를 오프한다(S2006). 그리고 플로우는, 스텝 S2007으로 진행된다.
스텝 S2007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50)는, 표시부(54)를 이용해 화상이나 음성으로, 폴더 작성 플래그 이외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설정 상태를 표시(표시 갱신)하고, 설정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일시 변화 요인에 의한 폴더 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설정 내용(폴더 작성 조건)을 표시한다. 그 때문에, 실제로 신규 폴더가 작성되기 전에 폴더 작성 조건이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유저가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설정 에러의 발생을 억제하고, 유저에게 안심감을 줄 수가 있다.
<<다른 실시 예>>
상술한 각 실시 예에 있어서의 표시 예에서는, 폴더 작성 표시(28g)로서 폴더 아이콘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표시는 예를 들면, 문자를 이용하는 형식 등의 다른 형식으로 표시해도 된다. 또, 표시와 동시에, 혹은 표시 대신에 음성 메시지로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또, 유저에게 다음 촬영 시에 신규 폴더의 작성을 통지할 수 있는 통지 수단이면 또 다른 수단을 이용해도 괜찮다.
화상 처리 장치가 아이콘, 문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혹은 설정 등에 따라 아이콘, 문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가 OFF인 경우,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폴더 작성 표시로서 보다 단순한 표시장치, 예를 들면 LED를 온/오프함으로써 폴더 작성 표시를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을 이용해 통지해도 된다. 디지털-싱글 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와 같이 스루 더 렌즈(through-the-lens) 화상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 표시부에 의해 표시를 행하지 않고, LED나 음성으로 통지를 행한다.
유저 설정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0)의 폴더 작성 표시 이외에 각종 설정 상태(예를 들면 도 15의 28a~28f)가 OFF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폴더 작성 표시(예를 들면 도 15의 28g)만을 표시하여, 유저에게 폴더의 작성을 확실하게 통지해도 괜찮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동시나 모드 전환 시에도 유저가 폴더 작성 표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실시 예와 같이 표시를 점멸/강조하는 필요성이 저하한다.
상술한 각 실시 예는 정지 화상 촬영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도 2의 스텝 S106에 있어서의 촬영 모드로서, 정지 화상 모드뿐만 아니라 동화상 모드가 생 각된다. 동화상 촬영의 경우도, 촬영 전에 폴더 작성 판정 처리 및 설정 표시 처리를 수행하고, 신규 폴더를 작성해 촬영된 동화상을 그 신규 폴더에 보존하는 경우에 폴더 작성 표시를 오프로 함으로써, 정지 화상 촬영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동화상의 경우 긴 촬영 시간이 필요하지만, 실제로 신규 폴더가 작성되고 화상이 그 신규 폴더에 보존될 때까지 폴더 작성 표시가 표시되기 때문에, 촬영 중에 폴더 작성 표시가 표시된다.
기록 매체(200 및 210)는, PCMCIA 카드 및 콤팩트 플래시 메모리 (CompactFlash) 등의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등에 한정되지 않고, 마이크로 DAT, 광학 자기 디스크, CD-R, CD-RW 등의 광 디스크, DVD 등의 상 변화형 광 디스크 등을 구비해도 괜찮다.
또, 기록 매체(200 및 210)는, 메모리 카드와 하드 디스크 등이 일체가 된 복합 매체여도 괜찮고, 또는, 착탈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복합 매체여도 괜찮다.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 기록 매체(200 및 210)는, 디지털 카메라(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임의로 접속될 수 있는 매체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하나 기록 매체 또는 기록매체 양자가 디지털 카메라(100)에 고정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디지털 카메라(100)는 기록 매체(200 혹은 210)가 단수 혹은 임의의 수로 카메라에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괜찮다.
상기의 실시 예는, 각각 디지털 카메라(100)에 기록 매체(200 및 210)가 로드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어떤 조합의 기록매체를 사용해도 괜찮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로 구성되는 시스템 또는 1개의 기기로 구성되는 장치에 적용해도 괜찮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또는 기록 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해,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된다. 이 경우에,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을 실현하고,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해,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이 실현된다.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은 또한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의 메모리에 기록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해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의 CPU가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경우에, 실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 또는, 그것들 기술 요소를 필요에 따라서 조합함으로써 실행되어도 괜찮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 또는, 실시 예의 구성의 전부 혹은 일부가, 1개의 장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다른 장치와 결합된 장치여도 되며, 혹은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여도 괜찮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촬영 전에 폴더 작성 조건 설정 처리(도 8)에 의해, 화상 보존지를 임시로 설정한다. 폴더/파일 관리(도 12)에 있어서, 촬영 시에 폴더 작성 플래그를 판정하고, 보존지 폴더를 확정한다. 보존지가 신규 폴더이면, 이 시점에서 폴더가 작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존지를 지정할 때 신규 폴더를 작성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촬영 전에는 폴더를 작성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쓸데없이 빈 폴더가 작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이것에 의해, 촬영 시에 작성된 폴더를 찾을 수 없다고 하는 사태가 방지된다. 게다가, 상기 임시로 설정된 조건을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 기억하면, 기록 매체를 교환한 경우에도 임시로 설정된 조건에 따라 폴더를 작성할 수 있다.
폴더 작성 판정 처리(도 9)에 있어서는, 상기 임시로 설정된 요구의 발생에 의해, 신규 폴더에의 보존 요구가 있는 경우에도, 신규 폴더를 작성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폴더 작성 플래그를 클리어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기존 폴더에 화상을 보존하는 것을 선택한다. 이 때문에, 신규 폴더에의 보존 요구가 있더라도 신규 폴더를 작성할 수 없는 경우에도, 촬영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규 폴더에의 보존 요구가 없는 경우에도, 한 조의 화상 작성 판정 처리(도 11)에 의해, 신규 폴더를 작성한다. 즉, 미리 정한 수의 보존 보증된 화상 파일이 동일 기존 폴더에 보존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신규 폴더를 작성하도록 폴더 작성 플래그를 세트한다. 그 때문에, 신규 폴더에의 보존 요구가 없고, 일련의 한 조의 화상을 동일 기존 폴더에 보존할 수 없는 경우에도, 촬영을 계속하고 것이 가능하 고, 또 일련의 한 조의 화상이 동일 폴더에 보존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전에 파일 관리 처리(도 7)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 내에 보유된 최종 촬영 일시와 기록 매체 내의 최종 화상 파일의 촬영 일시의 적어도 하나에 근거해, 기준 일시로서의 최종 촬영 일시를 결정한다. 이 최종 촬영 일시와 현재의 시각을 비교해, 신규 폴더를 작성하는 필요성을 판정한다.
최종 촬영 일시를, 한 조의 화상의 첫 번째 화상에서 또는 단사 촬영의 경우에 갱신하기 때문에, 한 조의 화상 촬영 중에 신규 폴더 작성 요인으로서의 일시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도, 신규 폴더가 작성되지 않는다. 즉, 한 조의 화상이 다른 보존지 폴더에 보존되지 않는다. 게다가, 한 조의 화상의 촬영 시에는, 첫 번째 화상에서만 최종 촬영 일시를 갱신한다. 따라서, 한 조의 화상 촬영 중에 신규 폴더 작성 요인으로서의 일시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음의 촬영 시에 신규 폴더가 작성된다. 따라서, 다음의 촬영 시에 촬영된 화상 파일이 이전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 파일과 함께 동일 폴더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화상 파일을 정리하는데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구현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된 것을 제외하고,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된 화상 파일을 신규 폴더에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또 불필요한 폴더의 작성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50)

  1.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에 근거해,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로부터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수단과,
    다음의 촬영의 지시가 있고 상기 보존지가 상기 신규 폴더인 경우, 신규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에 작성하는 폴더 작성 수단과,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존지에,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에 응답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은, 다음의 촬영 시에 강제적으로 신규 폴더를 작성하는 강제 작성 요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은, 상기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상기 강제 작성 요구인 경우에 상기 신규 폴더를 상기 보존지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작성 요구의 지정을 1회의 조작으로 가능하게 하는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작성 요구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한 메뉴 화면을 통해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은, 미리 설정된 기준 일시에 대한 일시의 경과 또는 달력과 관련된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신규 폴더를 작성하는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은, 상기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상기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이고, 상기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가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폴더를 상기 보존지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일시는, 화상 처리 장치에 기억된 최종 촬영 일시, 혹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는 화상 파일 중 최후에 촬영된 화상 파일의 촬영 일시 중에, 어느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일시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기억된 최종 촬영 일시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는 화상 파일 중 최후에 촬영된 화상 파일의 촬영 일시 중에, 더 오래된 일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은, 상기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가 만족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때에, 오전 0:00와 다른 미리 설정된 시각을 기준으로 해서 날짜가 변화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은, 신규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에 작성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신규 폴더를 상기 보존지로서 결정해야 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기존 폴더 중 하나를 상기 보존지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에 근거해,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로부터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스텝과,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가 있고 상기 보존지가 상기 신규 폴더인 경우에, 신규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에 작성하는 폴더 작성 스텝과,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보존지에,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에 응답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은, 다음의 촬영 시에 강제적으로 신규 폴더를 작 성하는 강제 작성 요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는, 상기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상기 강제 작성 요구인 경우에 상기 신규 폴더를 상기 보존지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강제 작성 요구의 지정을 1회의 조작으로 가능하게 하는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는, 상기 입력 수단의 조작이 수행된 경우에, 상기 신규 폴더를 상기 보존지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작성 요구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한 메뉴 화면을 통해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은, 미리 설정된 기준 일시에 대한 일시의 경과 또는 달력과 관련된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신규 폴더를 작성하는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는, 상기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상기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이고, 상기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가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폴더를 상기 보존지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일시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기억된 최종 촬영 일시, 또는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는 화상 파일 중 최후에 촬영된 화상 파일의 촬영 일시 중에, 어느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일시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기억된 최종 촬영 일시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는 화상 파일 중 최후에 촬영된 화상 파일의 촬영 일시 중에, 더 오래된 일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는, 상기 일시 변화에 의한 작성 요구가 만족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때에, 오전 0:00과는 다른 미리 설정된 시각을 기준으로 해서 날짜가 변화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는, 신규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에 작성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신규 폴더를 상기 보존지로서 결정해야 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기존 폴더 중 하나를 상기 보존지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9.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로부터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수단과,
    상기 보존지 폴더가 신규 폴더로서 결정된 경우, 상기 보존지 폴더를 신규 폴더로서 결정하는 것을 화상 처리 장치의 유저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가 있고 상기 보존지가 상기 신규 폴더인 경우에, 상기 기록 매체에 신규 폴더를 작성하는 폴더 작성 수단과,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이 결정한 보존지에,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에 응답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신규 폴더가 다음의 촬영 시에 작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통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신규 폴더가 작성되는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신규 폴더가 다음의 촬영 시에 작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소거함으로써, 상기 신규 폴더의 작성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영 모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촬영 모드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신규 폴더가 다음의 촬영 시에 작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촬영 모드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보다 더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촬영 모드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신규 폴더가 다음의 촬영 시에 작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점멸시키거나, 상기 촬영 모드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보다 큰 사이즈로 상기 표시를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에 표시되는 색과 구별되는 다른 색으로 상기 표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6.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은, 미리 설정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상기 보존지 폴더를 상기 신규 폴더로서 결정하고,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만족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신규 폴더가 다음의 촬영 시에 작성되는 것을 표시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유저가 설정한 작성 조건인지 혹은 다른 종류의 작성 조건인지 여부에 의존해서 상기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은, 미리 설정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상기 보존지 폴더를 상기 신규 폴더라고 결정하고,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일시의 변화인 경우에, 상기 작성 조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9.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상기 기록매체 내의 기존 폴더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로부터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스텝과,
    상기 보존지 폴더가 신규 폴더로서 결정된 경우, 상기 보존지 폴더를 신규 폴더로서 결정하는 것을 화상 처리 장치의 유저에 통지하는 통지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가 있고 상기 보존지가 상기 신규 폴더인 경우에, 신규 폴더를 상기 기록매체에 작성하는 폴더 작성 스텝과,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보존지에,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에 응답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스텝에서는, 상기 신규 폴더가 다음의 촬영 시에 작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통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스텝에서는, 상기 신규 폴더가 작성되는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스텝에서는, 상기 신규 폴더가 다음의 촬영 시에 작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소거함으로써, 상기 신규 폴더의 작성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영 모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지 스텝에서는, 상기 촬영 모드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신규 폴더가 다음의 촬영 시에 작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촬영 모드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보다 더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스텝에서는, 상기 촬영 모드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신규 폴더가 다음의 촬영 시에 작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점멸시키거나, 상기 촬영 모드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보다 큰 사이즈로 상기 표시를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에 표시되는 색과 구별되는 다른 색으로 상기 표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6.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는, 미리 설정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상기 보존지 폴더를 상기 신규 폴더로서 결정하고,
    상기 통지 스텝에서는, 상기 만족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신규 폴더가 다음의 촬영 시에 작성되는 것을 표시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유저가 설정한 작성 조건인지 또는 다른 종류의 작성 조건인지 여부에 의존해서 상기 표시의 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는, 미리 설정된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상기 보존지 폴더를 상기 신규 폴더로서 결정하고,
    상기 통지 스텝에서는, 상기 신규 폴더 작성 조건이 일시의 변화인 경우에는, 상기 작성 조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9. 촬영에 의해 얻는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라고 결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일시의 변화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라고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수단과,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가 있고 상기 보존지가 상기 신규 폴더인 경우에, 신규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에 작성하는 폴더 작성 수단과,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이 결정한 보존지 폴더에,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에 응답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은, 상기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가 한 조의 화상의 촬영 중에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한 조의 화상의 촬영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를 상기 보존지 폴더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지 결정 수단은, 미리 설정된 최종 촬영 일시와 현재의 일시에 근거해 상기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촬영 일시는, 최후에 촬영된 화상이 한 조의 화상에 포함되지 않 은 경우에 상기 최후에 촬영된 화상의 촬영 시각이고, 상기 화상이 한 조의 화상에 포함된 경우에는 선두 화상의 촬영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촬영 일시는,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는 화상 파일 중 최후에 촬영된 화상이 한 조의 화상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최후에 촬영된 화상의 촬영 시각이고, 상기 화상이 한 조의 화상에 포함된 경우에는 선두 화상의 촬영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3.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촬영 일시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최후에 촬영을 수행한 일시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는 화상 파일 중 최후에 촬영된 화상 파일의 촬영 일시 중에 더 오래된 일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4. 제 39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조의 화상은, 연사 촬영 모드 또는 오토 브래킷 촬영 모드에서 얻은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5.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 내의 폴더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다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파일의 보존지 폴더를,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라고 결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상기 기록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폴더라고 결정하는 보존지 결정 스텝과,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가 있고 상기 보존지가 상기 신규 폴더인 경우에, 신규 폴더를 상기 기록 매체에 작성하는 폴더 작성 스텝과,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보존지 폴더에, 상기 다음의 촬영의 지시에 응답해 얻은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가 한 조의 화상의 촬영 중에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한 조의 화상 촬영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기록 매체 내의 기존 폴더를 상기 보존지 폴더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지 결정 스텝에서는, 미리 설정된 최종 촬영 일시와 현재의 일시에 근거해 상기 미리 설정된 일시 변화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촬영 일시는, 최후에 촬영된 화상이 한 조의 화상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최후에 촬영된 화상의 촬영 시각이고, 상기 화상이 한 조의 화상에 포함된 경우에는 선두 화상의 촬영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촬영 일시는,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는 화상 파일의 최후에 촬영된 화상이 한 조의 화상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최후에 촬영된 화상의 촬영 시각이고, 상기 화상이 한 조의 화상에 포함된 경우에는 선두 화상의 촬영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9. 제 46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촬영 일시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최후에 촬영을 수행한 일시 와, 상기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는 화상 파일 중 최후에 촬영된 화상 파일의 촬영 일시 중에 더 오래된 일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50. 제 45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조의 화상은, 연사 촬영 모드 또는 오토 브래킷 촬영 모드에서 얻은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60065708A 2005-07-13 2006-07-13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72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04743A JP4480165B2 (ja) 2005-07-13 2005-07-13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5-00204743 2005-07-13
JP2005204739A JP4078365B2 (ja) 2005-07-13 2005-07-13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5-00204742 2005-07-13
JPJP-P-2005-00204739 2005-07-13
JP2005204742A JP4480164B2 (ja) 2005-07-13 2005-07-13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58A KR20070008458A (ko) 2007-01-17
KR100872081B1 true KR100872081B1 (ko) 2008-12-05

Family

ID=3707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708A KR100872081B1 (ko) 2005-07-13 2006-07-13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70014543A1 (ko)
EP (2) EP2733932B1 (ko)
KR (1) KR100872081B1 (ko)
TW (1) TWI3754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168B1 (ko) * 2011-02-02 2014-04-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데이터 기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0929A (ja) * 2001-11-08 2003-05-23 Canon Inc 撮像装置、撮像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756362B2 (en) * 2005-01-28 2010-07-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70014543A1 (en) 2005-07-13 2007-01-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1895745B1 (de) * 2006-08-31 2015-04-22 Swisscom AG Verfahren und Kommunikationssystem zum kontinuierlichen Aufnehmen von Umgebungsdaten
JP4853320B2 (ja) * 2007-02-15 2012-01-1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2008225550A (ja) * 2007-03-08 2008-09-25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24364B2 (ja) * 2007-03-19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4396720B2 (ja) * 2007-03-26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19939B2 (ja) 2007-04-19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9003334A (ja) * 2007-06-25 2009-01-08 Sony Corp 画像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
JP4930293B2 (ja) 2007-09-05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09094022A1 (en) * 2008-01-23 2009-07-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capture parameter variation
JP5400398B2 (ja) * 2009-01-14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120039579A1 (en) * 2010-08-12 2012-02-16 Play Pusher, Inc. Multi-angle audio and video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JP6046931B2 (ja) 2011-08-18 2016-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848932B2 (ja) * 2011-09-27 2016-01-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フォルダ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フォルダ管理方法
JP5721617B2 (ja) 2011-12-28 2015-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4380706B (zh) * 2012-06-11 2016-06-08 富士胶片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摄像装置、计算机及图像处理方法
US9582133B2 (en) * 2012-11-09 2017-02-28 Sap Se File position shortcut and window arrangement
US9152646B2 (en) * 2013-04-05 2015-10-06 Dropbox, Inc. Ordering content items
KR102191869B1 (ko) * 2014-02-17 2020-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110826B2 (en) * 2014-02-25 2018-10-23 Sony Corporation Imaging with adjustment of angle of view
JP6719890B2 (ja) * 2015-11-20 2020-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ファイル監視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51305B2 (ja) * 2018-09-14 2022-10-1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転送装置及び情報転送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260A (ja) * 1992-08-28 1994-03-18 Konica Corp スチルビデオカメラ
JP2001054041A (ja) * 1999-08-06 2001-02-23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グループ領域の自動作成方法及びフォルダの自動作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2230A (ja) 1994-04-28 1995-11-14 Canon Inc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2000201309A (ja) 1999-01-01 2000-07-18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的撮像装置
JP2001078135A (ja) 1999-09-01 2001-03-23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2001094927A (ja) * 1999-09-22 2001-04-06 Nikon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2238011A (ja) 2000-10-13 2002-08-23 Hewlett Packard Co <Hp> Gpsを利用した画像管理のための自動ディレクトリ作成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142185A (ja) 2000-10-31 2002-05-17 Toshiba Corp 電子カメラ装置及びファイル管理方法
US7154535B2 (en) * 2001-07-13 2006-1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camera capable of directly accessing images recorded on another digital camera
JP2003037805A (ja) * 2001-07-25 2003-02-07 Konica Corp カメラ
JP2003150929A (ja) * 2001-11-08 2003-05-23 Canon Inc 撮像装置、撮像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162709A (ja) * 2001-11-27 2003-06-0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3209725A (ja) * 2002-01-15 2003-07-25 Ricoh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3333470A (ja) 2002-05-16 2003-11-21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のデータ管理方法
JP2004096582A (ja) 2002-09-03 2004-03-25 Sony Corp ファイル管理方法、ファイル管理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装置
JP2004215231A (ja) * 2002-12-16 2004-07-2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JP2004220569A (ja) * 2002-12-25 2004-08-05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ファイル記憶装置、データファイル記憶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ファイル記憶方法
JP2004304619A (ja) 2003-03-31 2004-10-28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5038414A (ja) 2003-06-30 2005-02-10 Fuji Photo Film Co Ltd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方法、ファイル管理装置、撮像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5051453A (ja) * 2003-07-31 2005-02-24 Olympus Corp ファイル取扱プログラム、ファイル取扱装置、ファイル取扱方法
JP2004056814A (ja) 2003-08-08 2004-02-19 Olympus Corp 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2005115998A (ja) 2003-10-03 2005-04-28 Sony Corp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ファイル管理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管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115461A (ja) * 2003-10-03 2005-04-28 Toshiba Corp 顔照合を用いた電子機器制御装置
JP2005123849A (ja) * 2003-10-16 2005-05-1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デジタルカメラ
JP2005175957A (ja) 2003-12-11 2005-06-30 Canon Inc 画像管理装置、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管理方法
JP3795046B2 (ja) 2004-01-05 2006-07-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US7756362B2 (en) 2005-01-28 2010-07-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70014543A1 (en) 2005-07-13 2007-01-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260A (ja) * 1992-08-28 1994-03-18 Konica Corp スチルビデオカメラ
JP2001054041A (ja) * 1999-08-06 2001-02-23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グループ領域の自動作成方法及びフォルダの自動作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168B1 (ko) * 2011-02-02 2014-04-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데이터 기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58A (ko) 2007-01-17
EP2733932A2 (en) 2014-05-21
TW200711460A (en) 2007-03-16
EP1744552A3 (en) 2010-03-24
US20120038792A1 (en) 2012-02-16
US20070014543A1 (en) 2007-01-18
EP2733932A3 (en) 2014-08-27
US8570398B2 (en) 2013-10-29
EP2733932B1 (en) 2018-03-28
EP1744552B1 (en) 2014-09-10
EP1744552A2 (en) 2007-01-17
TWI375456B (en) 201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081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49823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078365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347184B2 (en) Information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N105049660B (zh) 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JP469365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48016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150836A (ja) 撮影装置
JP4480165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480164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62537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
JP5460001B2 (ja) 画像検索装置、画像検索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5311493A (ja) カメラ
JP2004208012A (ja) 画像記録装置
JP4298534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JP5073084B2 (ja)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06107173A (ja) 記録再生装置
JP200621731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5204104A (ja) 撮像装置
JP200603336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5142635A (ja) 画像記録処理装置
JP200721500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318078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