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257B1 - 충돌시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충돌시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257B1
KR100862257B1 KR1020070129828A KR20070129828A KR100862257B1 KR 100862257 B1 KR100862257 B1 KR 100862257B1 KR 1020070129828 A KR1020070129828 A KR 1020070129828A KR 20070129828 A KR20070129828 A KR 20070129828A KR 100862257 B1 KR100862257 B1 KR 100862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eam
bracket
door
door lock
ke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0Allowing opening in case of deformed bodywork, e.g. by preventing deformation of lock par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측면충돌 사고 시에 도어가 임의로 잠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빔; 상기 상부 빔을 에워싸서 내측에 위치시키는 상부 빔 브라켓; 및 상기 상부 빔 브라켓에 일측이 고정되고, 그 선단이 키 로드 측으로 연장된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고,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보조 브라켓이 키 로드측으로 밀려서 상승을 방지하고, 도어 잠금을 방지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측면충돌 사고 시에 보조 브라켓이 키 로드와 래치 레버를 가격하여 도어 로크가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의 잠김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탑승자를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안전 법규를 충족하여 법규 시험에 필요한 최소한의 자동차만을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서 자동차 제작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측면충돌, 도어 잠금 방지장치, 상부 빔, 보조 브라켓, 키 로드, 래치 레버

Description

충돌시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Apparatus To Prevent Door Locking By Side Collision}
본 발명은 충돌 사고 시의 도어 잠김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측면충돌 사고 시에 도어 로크가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가 임의로 잠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행 중에 다양한 형태의 충돌을 경험하게 된다.
자동차 운행중에 발생하는 충돌 형태로는 정면, 후방 및 측면 충돌이 있는데, 그 중 측면 충돌이 실제로 가장 빈번히 발생되는 사고 유형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에 있어서, 충돌시의 탑승자의 상해 정도가 자동차의 안전도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겠지만, 그보다 우선하는 것이 충돌 사고 시 도어가 잠기면 안 된다는 점이다.
자동차 안전 법규 측면에서도 충돌 사고 시, 도어의 잠김에 대해 강력히 규제하고 있는바, 도어가 잠기면 탑승자가 신속히 빠져나오지 못하여 더욱더 큰 인명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도어의 구성부품을 살펴보면, 도어 힌지, 도어 로크, 도어 체커, 윈도우 레귤레이터 등이 있는 데, 그 중에서도 도어 로크는 스트라이커와 맞물림 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개방하도록 작동된다.
자동차용 도어 로크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링크구조로 구성된 레버들을 포함하는 도어 로크 어셈블리(110)가 도어의 내측(120)과 외측(130) 사이에 삽입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도어 로크 어셈블리(110)는 상하로 회동되는 래치 레버(112)가 횡방향으로 위치되고, 그 일측 단부에는 키 로드(114)가 연결되어 자동차 도어의 창문에 설치되어 있는 록 로브(미도시)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 로크 어셈블리(110)는 상기 키 로드(114)의 승 하강 작동으로 래치 레버(112)의 일측이 승 하강하게 되며, 이와 같은 래치 레버(112)의 승 하강은 래치 레버(112)의 타측 단부가 또 다른 레버들을 통하여 래치(미 도시)를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키 로드(114)가 상승되어 이에 연결된 래치 레버(112)의 단부가 상승되면, 래치 레버(112)와 연결된 다른 레버들이 연동되어 래치가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도어가 동시에 잠기게 되는 센트럴 로킹(central locking)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키 로드(114)가 하강되어 이에 연결된 래치 레버(112)의 단부가 하강되면, 래치 레버(112)와 연결된 다른 레버들이 연동되어 래치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도 어가 동시에 열리는 것이다.
한편 자동차의 측면에서 충돌을 받게 되면 도어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은 측면 충돌 과정에서 특히 상기 키 로드(114)와 래치 레버(112)의 연결 부분에는 도어의 상부 빔(140) 부분과 이를 감싸는 상부 빔 브라켓(142)이 위치되는데 이와 같은 도어의 상부 빔(140)과 상부 빔 브라켓(142)은 측면 충돌시의 변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로드(114)의 하부측으로 진입하여 키 로드(114)를 상부측으로 밀어 올려서 도어의 센트럴 로킹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인 경우, 운전자나 탑승자가 의식을 잃을 수도 있고 심한 부상으로 몸을 가누지 못하게 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은 도어 프레임등의 변형으로 인해 도어에 센트럴 로킹이 발생할 경우, 구조자가 밖에서 문을 열 수가 없기 때문에 촌각을 다투는 사고 후의 처리가 도어의 잠김으로 인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로크 어셈블리(110) 구조는 실제 사고시, 도어의 센트럴 로킹을 쉽게 발생시킬 뿐만이 아니라, 자동차 제작시 시행하는 충돌 시험에서도 자동차 안전 법규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시험용 자동차의 제작 대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자동차 제작에 관련된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 측면충돌 사고 시에 도어 로크가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의 잠김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탑승자를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측면충돌 사고 시에 도어의 잠김 상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안전 법규를 쉽게 충족하여 자동차 제작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 시, 도어 잠김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빔;
상기 상부 빔을 에워싸서 내측에 위치시키는 상부 빔 브라켓; 및
상기 상부 빔 브라켓에 일측이 고정되고, 그 선단이 키 로드 측으로 연장된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고,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보조 브라켓이 키 로드측으로 밀려서 상승을 방지하고, 도어 잠금을 방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빔 브라켓은 상기 도어 상부 빔을 중심으로 상하 비데칭 단면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부 빔의 상부측에서 평편 부를 형성하여 보조 브라켓을 장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브라켓은 그 선단에 반구형 홈을 형 성하여 키 로드를 외측에서 감싸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브라켓은 자동차의 충돌시 키 로드와, 이에 연결된 래치 레버를 가격하여 고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측면충돌 사고 시에 보조 브라켓이 키 로드와 래치 레버를 가격하여 도어 로크가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의 잠김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탑승자를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측면충돌 사고 시에 도어의 잠김 상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안전 법규를 쉽게 충족하여 법규 시험에 필요한 최소한의 자동차만을 필요로 하고, 자동차 제작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충돌 사고 시, 도어 잠김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1)는 도어의 상부 빔(140)을 에 워싸서 내측에 위치시키는 상부 빔 브라켓(10)을 구비하는데, 이는 상기 도어 상부 빔(140)의 상부측에서 평편 부(12)를 형성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보조 브라켓(20)을 장착한 구조이다.
즉 상기 상부 빔 브라켓(10)은 그 내측에 도어의 상부 빔(140)이 위치하도록 절곡 형성된 단면을 가지는데, 이는 종래와는 다르게 상부 빔(140)을 중심으로 상하 단면이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부 빔 브라켓(10)은 상부 빔(140)의 상부 측이 평편 부(12)를 형성하고, 하부 측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측의 평편 부(12)가 더욱더 도어 로크 어셈블리(110) 측으로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1)는 상기 상부 빔 브라켓(10)에 일측이 고정되고, 그 선단이 키 로드(114) 측으로 연장된 보조 브라켓(20)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브라켓(20)은 도 4에 확대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ㄴ"형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추고, 그 선단에는 반구형 홈(22)을 형성하여 키 로드(114)을 외측에서 감싸서 인접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보조 브라켓(20)은 그 후단부가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상부 빔 브라켓(10)에 고정되며, 이와 같은 배치 구조에서 상기 보조 브라켓(20)의 반구형 홈(22)은 키 로드(114)의 정상적인 상하 작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키 로드(114)와는 분리되어 위치된 것이고, 자동차의 충돌시에는 키 로드(114)와, 이에 연결된 래치 레버(112)를 가격하여 키 로드(114)가 상승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빔 브라켓(10)과 보조 브라켓(20)이 상호 작용하여 자동차의 충돌시 도어 로크 어셈블리(110)가 잠금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1)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그 충격으로 인하여 도어에 구비된 상부 빔(140)과 하부 빔(미 도시)들이 자동차의 내측으로 이동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보조 브라켓(20)이 가장 먼저 키 로드(114)와 래치 레버(112)를 가격하고 변형되면서 키 로드(114)의 상승을 방지한다.
그리고 뒤이어서 밀려 오는 상부 빔 브라켓(10)이 키 로드(114)에 충돌되어 키 로드(114)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동 메카니즘을 도어 로크 어셈블리(110)의 잠김 작동에 관련하여 실험하고, 그 결과를 도 6에서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자동차의 측면 충돌이 이루어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먼저 도어의 하부 빔 저항 시점(P1)이 일어나고, 그 다음으로 상부 빔 저항 시점(P2)이 일어나며, 상부 빔(140)의 이동으로 인하여 키 로드의 상승 시점(P3)을 거쳐서 도어 로크가 잠기는 잠김 시점(P4)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1)는 키 로드의 상승 시점(P3)에 작동하여 키 로드(114)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이후의 도어 로크 잠김 시점(P4)에 도달하여도 도어 로크 어셈블리(110)의 잠김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측면충돌 사고 시, 자동차 도어에 마련된 상부 빔(140)이 내측으로 밀려들어 오면, 보조 브라켓(20)이 키 로드(114)와 래치 레버(112)를 가격하여 키 로드(114)가 잠금 위치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의 잠김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탑승자가 열린 도어를 통하여 안전하게 자동차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동차 측면충돌 사고 시에 도어의 잠김 상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안전 법규를 쉽게 충족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최소한의 시험 자동차만을 필요로 하여 자동차 제작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어 로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어 로크 어셈블리에서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도어 잠금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가 적용된 도어 로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의 상부 빔 브라켓과 보조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가 도어 로크 어셈블리에 적용되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도어 잠금 상태를 방지하는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 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가 적용되는 시점을 나타낸 그래프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10.... 상부 빔 브라켓 12.... 평편 부
20.... 보조 브라켓 22.... 반구형 홈
100.... 자동차용 도어 로크 장치 110.... 도어 로크 어셈블리
112.... 래치 레버 114.... 키 로드
120.... 도어 내측 130.... 도어 외측
140.... 도어의 상부 빔 142.... 상부 빔 브라켓
P1.... 하부 빔 저항 시점 P2.... 상부 빔 저항 시점
P3.... 키 로드의 상승 시점 P4.... 도어 로크 잠김 시점

Claims (4)

  1. 자동차의 충돌 사고 시, 도어 잠김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빔;
    상기 상부 빔을 에워싸서 내측에 위치시키는 상부 빔 브라켓; 및
    상기 상부 빔 브라켓에 일측이 고정되고, 그 선단이 키 로드 측으로 연장된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고,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보조 브라켓이 키 로드측으로 밀려서 상승을 방지하고, 도어 잠금을 방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빔 브라켓은 상기 도어 상부 빔을 중심으로 상하 비데칭 단면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부 빔의 상부측에서 평편 부를 형성하여 보조 브라켓을 장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라켓은 그 선단에 반구형 홈을 형성하여 키 로드를 외측에서 감싸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라켓은 자동차의 충돌시 키 로드와, 이에 연결된 래치 레버를 가격하여 고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KR1020070129828A 2007-12-13 2007-12-13 충돌시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KR100862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828A KR100862257B1 (ko) 2007-12-13 2007-12-13 충돌시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828A KR100862257B1 (ko) 2007-12-13 2007-12-13 충돌시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257B1 true KR100862257B1 (ko) 2008-10-09

Family

ID=4015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828A KR100862257B1 (ko) 2007-12-13 2007-12-13 충돌시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4782B (zh) * 2009-04-30 2012-05-23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主预包四杆联动包边装置
EP2581246A4 (en) * 2010-06-08 2017-12-06 Nissan Motor Co., Ltd Vehicle door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772A (ja) 1997-09-10 1999-03-26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ドアロック解除機構
KR20020029989A (ko) * 2000-10-16 2002-04-22 이계안 자동차 충돌시 도어 안전잠금장치의 잠김방지구조
KR20050058683A (ko) * 2003-12-12 2005-06-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래치 장치
KR20050092288A (ko) * 2004-03-15 2005-09-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중앙 집중식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772A (ja) 1997-09-10 1999-03-26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ドアロック解除機構
KR20020029989A (ko) * 2000-10-16 2002-04-22 이계안 자동차 충돌시 도어 안전잠금장치의 잠김방지구조
KR20050058683A (ko) * 2003-12-12 2005-06-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래치 장치
KR20050092288A (ko) * 2004-03-15 2005-09-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중앙 집중식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4782B (zh) * 2009-04-30 2012-05-23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主预包四杆联动包边装置
EP2581246A4 (en) * 2010-06-08 2017-12-06 Nissan Motor Co., Ltd Vehicle doo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8969A (en) Collision resistant construction for a door of a vehicle
US9758125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3675209B2 (ja) 車両用フード装置
JP2007177475A (ja)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のロック解除防止構造
KR100862257B1 (ko) 충돌시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KR20110096304A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JP2009166638A (ja) 車両の側部構造
US10914101B2 (en) Door latch assemblies for vehicles including latch release lever blocking structures
JP4560776B2 (ja) ドアの開状態防止構造
US6237987B1 (en) Opening system for a movable vehicle body part of a motor vehicle
KR20080038892A (ko) 차량의 후드 래치 조립체
KR100462484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김 방지장치
KR100828804B1 (ko) 차량의 도어 밀림방지용 후크구조
KR100372417B1 (ko) 잠금 해제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KR102048586B1 (ko)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
JP4203881B2 (ja) 自動車ドアのアッパロック装置
KR200149973Y1 (ko) 자동차 도어 패널의 임팩트 바아
KR200144111Y1 (ko) 자동차용 도어 로크 스트라이커
KR0132549Y1 (ko) 도어 임팩트빔의 고정구조
KR100376332B1 (ko) 차량의 정면충돌시 후드의 후방밀림을 방지하기 위한힌지어셈블리의 구조
KR0119211Y1 (ko) 도어 로크 스트라이커 고정구
KR100444018B1 (ko) 충돌 강도 향상 및 도어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리어도어용 비임 브라켓트 구조
KR200150751Y1 (ko) 차량용 도어 로킹 해제 방지구조
KR0125708Y1 (ko) 본넷트용 힌지브라켓트의 밀림방지구조
DE102021111769A1 (de) Kraftfahrzeugkarosserie mit einer schwenkbar angeordneten Ha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