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860B1 -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860B1
KR100859860B1 KR1020070056622A KR20070056622A KR100859860B1 KR 100859860 B1 KR100859860 B1 KR 100859860B1 KR 1020070056622 A KR1020070056622 A KR 1020070056622A KR 20070056622 A KR20070056622 A KR 20070056622A KR 100859860 B1 KR100859860 B1 KR 10085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artridge
passage
driving
eccentric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860B1/ko
Priority to US12/019,729 priority patent/US7593672B2/en
Priority to CN2008100905624A priority patent/CN101251739B/zh
Priority to EP08157609.2A priority patent/EP2003514B1/en
Priority to RU2008123719/12A priority patent/RU2382706C1/ru
Priority to BRPI0801641-0A priority patent/BRPI0801641B1/pt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860B1/ko
Priority to US12/543,957 priority patent/US783567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6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rotat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3/04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3/06Developing
    • G03G13/08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5Stirring member in developer contai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5Stirring member in developer container
    • G03G2215/0852Stirring member in developer container reciproc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 뭉침 현상에 의한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현상제 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현상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현상제 공급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를 자유 낙하시켜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하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 내의 현상제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을 포함한다.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은 통로 내부에 위치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구동 수단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수단과 이를 현상제 제거 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현상제 제거 부재가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에서 움직임으로써 현상제 뭉침 현상을 방지한다.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 현상제 제거, 현상제 공급 통로

Description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장치{DEVELOPER SUPPLYING APPRATUS AND DEVELOP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현상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수단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현상제 카트리지 111; 현상 카트리지
121; 통로 131; 현상제 제거부재
151; 편심회전돌부 152; 걸림부
153; 장공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공급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제 카트리지 분리형 현상장치의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장치에 관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를 적재하는 급지지(10), 급지부로부터 공급된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20), 기록매체 위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 표면에 정착시키는 정착부(30) 및 기록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부(40) 등을 구비한다.
상기 화상형성부는 감광체, 감광체를 소정전위에 대전시키는 대전유닛, 감광체에 소정의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 감광체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도포하여 현상하는 현상장치 및 현상된 감광체상의 현상제 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닛 등을 구비한다.
상기 현상장치는 현상제를 감광체로 도모하는 현상롤러 및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로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롤러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현상장치는 현상제가 현상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일체형 현상장치와 현상제가 별도의 케이스에 수용되어 현상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분리형 현상장치로 나누어진다.
현상제 카트리지 분리형 현상장치에서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하는 방식은 오우거(auger)를 사용하는 방식과 현상제의 자유 낙하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오우거를 사용하는 방식은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에 오우거를 설치하고, 이 오우거의 회전에 의하여 현상제를 공급한다. 이런 방 식에 의하면,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는 수평해야만 한다는 제약이 따른다. 만약 통로에 경사가 있다면, 오우거의 회전에 상관없이 현상제가 자유 낙하 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현상제 공급량을 제어할 수 없다. 또한, 다른 부품과의 간섭에 의하여 현상제 공급 관로가 직선 형태로 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오우거(flexible auger)의 사용이 요구되어, 재료비 상승 요인이 된다.
현상제의 자유 낙하를 사용하는 방식은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용된 현상제가 현상 카트리지로 자유 낙하할 수 있도록 수직하거나 경사진 통로를 사용한다. 이런 방식에 의하면,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에 현상제 뭉침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현상제는 주변 환경 및 현상제의 상태에 따라 점성 및 유동성이 변하기 때문에 현상제가 현상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의 벽면에 뭉치고 쌓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현상제 공급 모터가 작동하지 않아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서 출력 화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제 카트리지 분리형 구조에서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의 현상제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제 공급 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를 자유 낙하시켜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하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 내의 현상제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은, 상기 통로 내부에 위치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는 탄성 부재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수단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하는 편심 회전 돌부; 및 상기 편심 회전 돌부에 연동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회전운동을 왕복 직선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편심 회전 돌부가 걸리는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공의 길이는 상기 편심 회전 돌부의 회전 직경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에 있는 어느 한 모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현상장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를 감광체의 정전잠상에 도포하여 현상하는 현상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가 자유 낙하로 상기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하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 내의 현상제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은, 상기 통로 내부에 위치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는 탄성 부재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수단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하는 편심 회전 돌부; 및 상기 편심 회전 돌부에 연동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편심 회전 돌부가 걸리는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에 있는 어느 한 모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현상장치 및 그 단면을 나타낸다.
현상제 카트리지(101)는 현상제를 수용한다. 교반부재(102)는 현상제 카트리지(101)내에 장착된다. 교반부재(102)는 현상제 카트리지(101)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고, 교반된 현상제를 현상제 카트리지(101)와 현상 카트리지(111)를 연결하는 통로(121)로 이송한다.
현상 카트리지(111)는 감광체(112), 현상롤러(113), 공급롤러(114)를 포함한다. 감광체(112)는 미도시된 노광유닛에 의하여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롤러(113)는 감광체(112) 표면의 정전잠상 위로 현상제를 도포한다. 공급롤러(114)는 현상롤러(113)로 현상제를 공급한다.
통로(121)는 현상제 카트리지(101)와 현상 카트리지(111)를 연결하여, 현상제 카트리지(101)에 수용된 현상제가 통로(121)를 통하여 자유 낙하 방식으로 현상 카트리지(111)로 공급되도록 한다.
현상제 제거 부재(131)는 통로(121) 내부에 위치한다. 현상제 제거 부재(131)는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하여 반복적, 연속적으로 움직임으로써 통로(121)에 뭉쳐진 현상제를 제거한다.
현상제 제거 부재(131)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압축, 신장을 반복하여 통로(121)에 뭉쳐진 현상제를 제거한다.
이러한 현상제 제거 부재(131)를 사용함으로써, 통로(121)에서의 현상제 뭉침 현상을 방지하고, 현상제 카트리지(101) 내의 현상제 공급 모터가 동작하지 않아서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를 제거하며, 현상제가 현상 카트리지(111)로 공급되지 않아서 발생되는 출력화상의 화질 저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구동원은 현상제 제거 부제(131)를 움직일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원은 왕복 직선 운동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가 될 수 있으며,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모터가 될 수도 있다. 모터(141)는 현상제 카트리지나 현상 카트리지 내의 어느 한 모터가 될 수 있으며, 현상제 제거 부재(131)만을 구동하는 독자적인 모터(141)가 될 수 있다. 구동원은 직접적으로 현상제 제거 부재(131)에 연결 될 수 있으며,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현상제 제거 부재(131)에 연결 될 수도 있다.
동력전달수단은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고, 운동방향의 전환도 가능하다. 특히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왕복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현상제 제거 부개(131)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의 대표적인 예로 캠(cam)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수단을 나타낸다.
회전부(150)는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한다. 편심 회전 돌부(151)는 회전부(150) 회전축의 편심된 위치에서 신장된다. 회전부(150)가 회전운동을 하는 동안 편심 회전 돌부(151)는 원형 운동을 한다. 편심 회전 돌부(151)는 걸림부(152)의 장공(153)에 끼워진다. 편심 회전 돌부(151)가 회전 운동을 하는 동안 걸림부(152)의 장공(153)내에서 미끌어져 움직인다. 장공(153) 내에서 편심 회전 돌부(151)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걸림부(152)는 왕복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장공(153)의 바람직한 길이는 편심 회전 돌부(151)의 회전 직경보다 길거나 같다.
걸림부(152)는 현상제 제거 부재(131)의 일단과 연결된다. 걸림부(152)의 왕복 직선 운동에 따라 현상제 제거 부재(131)도 왕복 직선 운동을 한다. 현상제 제 거 부재(131)가 탄성 부재라면 압축과 신장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현상제 제거 부재(131)가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121)에서 움직임으로써 통로(121)에 뭉쳐진 현상제를 제거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에 현상제가 쌓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현상제 공급 통로의 막힘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모터의 과부하나 출력 화상의 품질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오우거를 사용하지 않아서 재료비가 절감된다.

Claims (27)

  1. 삭제
  2.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를 자유 낙하시켜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하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 내의 현상제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은,
    상기 통로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여 뭉쳐진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는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장치.
  5. 제4항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하는 편심 회전 돌부; 및
    상기 편심 회전 돌부에 연동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편심 회전 돌부가 걸리는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장치.
  7. 제4항에서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에 있는 모터 중 어느 한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장치.
  8. 삭제
  9.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를 감광체의 정전잠상에 도포하여 현상하는 현상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가 자유 낙하되어 상기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되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 내의 현상제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은,
    상기 통로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여 뭉쳐진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는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2. 제11항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하는 편심 회전 돌부; 및
    상기 편심 회전 돌부에 연동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편심 회전 돌부가 걸리는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4. 제11항에서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에 있는 모터 중 어느 한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5.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청구항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장치;
    상기 현상장치에 의해 현상된 감광체상의 현상제 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 및
    기록매체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회전운동을 왕복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회전운동을 왕복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길이는 상기 편심 회전 돌부의 회전 직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길이는 상기 편심 회전 돌부의 회전 직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0. 삭제
  21. 현상제 공급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카트리지로서,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장치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를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하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 내의 현상제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은,
    상기 통로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여 뭉쳐진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는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24. 제23항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하는 편심 회전 돌부; 및
    상기 편심 회전 돌부에 연동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편심 회전 돌부가 걸리는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26. 제23항에서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에 있는 모터 중 어느 한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27. 현상제 공급장치를 통하여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용된 현상제를 공급받아 감광체의 정전잠상을 도포하여 현상하는 현상 카트리지로서,
    상기 현상제 공급장치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 내의 현상제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뭉침 방지 유닛은,
    상기 통로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여 뭉쳐진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KR1020070056622A 2007-06-11 2007-06-11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장치 KR100859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622A KR100859860B1 (ko) 2007-06-11 2007-06-11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장치
US12/019,729 US7593672B2 (en) 2007-06-11 2008-01-25 Developer supplying apparatus and develop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8100905624A CN101251739B (zh) 2007-06-11 2008-04-03 显影剂供给装置及具有其的显影装置
EP08157609.2A EP2003514B1 (en) 2007-06-11 2008-06-04 Developer supplying apparatus and develop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RU2008123719/12A RU2382706C1 (ru) 2007-06-11 2008-06-10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и содержащее его устройство проявления
BRPI0801641-0A BRPI0801641B1 (pt) 2007-06-11 2008-06-11 Aparelho fornecedor de revelador, aparelho de revelação,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m e cartucho revelador
US12/543,957 US7835674B2 (en) 2007-06-11 2009-08-19 Developer supplying apparatus and develop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622A KR100859860B1 (ko) 2007-06-11 2007-06-11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860B1 true KR100859860B1 (ko) 2008-09-24

Family

ID=3976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622A KR100859860B1 (ko) 2007-06-11 2007-06-11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593672B2 (ko)
EP (1) EP2003514B1 (ko)
KR (1) KR100859860B1 (ko)
CN (1) CN101251739B (ko)
BR (1) BRPI0801641B1 (ko)
RU (1) RU238270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9793A (ja) * 2007-10-31 2009-05-21 Ricoh Co Ltd 粉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5140693B2 (ja) * 2010-03-17 2013-02-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分散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8909107B2 (en) * 2011-01-19 2014-12-09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Toner dispersing mechanism, developing device including the toner dispers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091180B2 (ja) * 2012-11-21 2017-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00456B2 (ja) * 2015-01-28 2019-04-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66787B2 (ja) 2015-08-27 2019-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428703B2 (ja) * 2016-04-12 2018-11-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624006B2 (ja) * 2016-10-20 2019-12-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9200429A (ja) * 2019-07-30 2019-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697A (ko) * 2005-01-18 2006-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비산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3036A (ja) 1981-12-25 1983-07-05 Koji Yamashita 貯槽ホツパ−における粉、粒体の給送装置
JPS6010274A (ja) * 1983-06-29 1985-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現像装置
US4743936A (en) * 1987-08-14 1988-05-10 Xerox Corporation Transport having compensation for material packing
DE4116616A1 (de) 1991-05-22 1992-11-26 Guenter Doll Vorrichtung zum foerdern, dosieren und/oder mischen von pulverfoermigem schuettgut
JPH0561343A (ja) 1991-08-29 1993-03-12 Fuji Xerox Co Ltd 一成分現像装置
JPH06167880A (ja) * 1992-11-30 1994-06-14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IT1266902B1 (it) * 1993-08-05 1997-01-21 Seiko Epson Corp Apparecchio per la formazione delle immagini.
CA2174118A1 (en) 1993-10-14 1995-04-20 Phillip Eric Stapl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JP3240826B2 (ja) * 1994-05-16 2001-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形成装置
JPH0830097A (ja) * 1994-07-19 1996-02-02 Fuji Xerox Co Ltd トナー搬送装置
US5619758A (en) * 1995-09-26 1997-04-15 Burkett; Rebecca M. Hand-held toilet seat lifting device
KR0174688B1 (ko) 1996-06-26 1999-04-01 김광호 현상기 토너 공급장치
US6118951A (en) * 1997-01-13 2000-09-1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replenishing device therefor
JPH11119530A (ja) * 1997-10-08 1999-04-30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JP3997023B2 (ja) 1999-01-22 2007-10-24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93232B2 (ja) * 1999-11-22 2007-03-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1290350A (ja) * 2000-04-06 2001-10-19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CN2421415Y (zh) 2000-05-08 2001-02-28 徐丁成 旋转运动和往复直线运动的新型传动装置
US6567635B2 (en) * 2001-09-20 2003-05-20 Nexpress Solu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gitating toner in a container to facilitate toner dispensing in an electrostatographic printer
US6609820B2 (en) * 2001-12-20 2003-08-26 Xerox Corporation Internal spring member agitating mechanism for agitating materials within sealed containers
JP2005215438A (ja) * 2004-01-30 2005-08-11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補給装置
CN1920688A (zh) * 2005-08-23 2007-02-28 阿斯莫株式会社 调色剂供给用致动器及具备该致动器的调色剂供给装置
JP5066898B2 (ja) * 2006-11-21 2012-11-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697A (ko) * 2005-01-18 2006-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비산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1010A1 (en) 2009-12-17
RU2382706C1 (ru) 2010-02-27
BRPI0801641B1 (pt) 2019-06-25
CN101251739A (zh) 2008-08-27
US7835674B2 (en) 2010-11-16
CN101251739B (zh) 2010-06-02
EP2003514B1 (en) 2014-07-23
BRPI0801641A2 (pt) 2009-01-27
RU2008123719A (ru) 2009-12-20
US20080304868A1 (en) 2008-12-11
US7593672B2 (en) 2009-09-22
EP2003514A1 (en)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860B1 (ko)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장치
US6526246B2 (en) Powder replenishing device, powder conveying device, develop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owder replenishing device or powder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owder replenishing device or powder conveying device
JP3904246B2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現像装置
KR100667322B1 (ko)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토너 카트리지
EP1494094B1 (en) Waste toner transfer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the same
US9983507B1 (en)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EP1681604A2 (en) A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61642B2 (en) Developer supply apparatus having vibrating light transmitting members
JP2008129336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007225B2 (en) Feed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428703B2 (ja) トナー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KR100803601B1 (ko) 화상형성장치
JP5019954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22455B2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216956688U (zh) 一种处理盒
JP2006048085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5957A (ja) 現像剤供給装置
JP4749598B2 (ja) 粉体スクリューポンプの補給量制御方法
KR20070011907A (ko)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회수장치
JP2005338397A (ja) 現像剤収納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122068A (ja) 潤滑剤塗布装置、作像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61785A (ja) 粉体補給装置
KR100644679B1 (ko) 폐토너 회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10072013A (ja) トナー補給装置
KR101129000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