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601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601B1
KR100803601B1 KR1020060050459A KR20060050459A KR100803601B1 KR 100803601 B1 KR100803601 B1 KR 100803601B1 KR 1020060050459 A KR1020060050459 A KR 1020060050459A KR 20060050459 A KR20060050459 A KR 20060050459A KR 100803601 B1 KR100803601 B1 KR 100803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rib
toner
conveying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6423A (ko
Inventor
권세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601B1/ko
Priority to US11/699,993 priority patent/US7974566B2/en
Priority to EP07103123.1A priority patent/EP1865388B1/en
Priority to CN2007100861087A priority patent/CN101086655B/zh
Publication of KR2007011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4Arrangements for purging used developer from the develop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not acting as a pass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05Cleaning blade adjacent to the donor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매체에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기 및 현상기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것으로, 폐토너유입구 쪽에 마련되어 있는 제1이송부와, 제1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폐토너가 낙하하는 지점에 마련된 제2이송부를 구비하며,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를 이용하여 폐토너를 이송하는 구성입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토너카트리지 및 폐토너통이 결합하는 동작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에 토너카트리지 및 페토너통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현상기를 A-A'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폐토너통을 B-B'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폐토너통의 이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현상기 10a...하우징
10b...토너주입구 10c...구동기어
11...현상부 12...감광매체
13...클리닝블레이드 14a...대전롤러
14b...클리닝롤러 15...폐토너이송스크류
16...공급부 17...교반부재
18...믹서 19...현상롤러
20...토너카트리지 30...폐토너통
30a...바닥 31...셔터
32...폐토너주입구 33...피동기어
34,35...연결기어 41...제1이송부
42...제1리브 43...제1회전축
44...제1이송플레이트 45...제2이송부
46...제2리브 47...제2회전축
48...제2이송플레이트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통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디지털화상신호를 받아 레이저스캐닝유닛과 같은 노광유닛에 의하여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을 토너를 이용하여 토너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시켜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융착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감광매체에 현상된 토너화상은 기록매체에 모두 전사되는 것은 아니며, 감광매체에 일부의 토너가 잔류하게 된다. 잔류토너는 다음 현상에 악영향을 끼쳐 화상품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므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자사진방식을 이 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제거된 폐토너를 재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폐토너통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요즘에는 현상기가 고속화, 장수명화되면서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현상기가 대형화됨으로써 이로부터 제거되는 폐토너의 양도 많아지게 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폐토너통도 대형화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폐토너통이 대형화되면서 폐토너주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폐토너가 주입구 쪽에만 쌓이고 주입구로부터 먼 곳에는 폐토너가 쌓이지 않게 되어 공간의 활용도가 저하되고, 폐토너가 폐토너통 밖으로 넘쳐흐르는 오버플로우(overflow)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현상이 발생되면 넘친 폐토너로 인하여 그 주변기기가 오염되게 된다.
이러한 페토너 오버플로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토너주입구 쪽에 패들(paddle),오거(augor) 또는 벨트를 설치하여 폐토너주입구로 유입되는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하지만, 패들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폐토너 이송궤적에 한계가 있어 폐토너주입구로부터 먼 곳까지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고, 동일지점에 폐토너 적체가 발생할 수 있다. 오거나 벨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조립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오거나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폐토너주입구로부터 가장 먼 곳으로 폐토너를 이송시킴으로써 폐토너의 부분 적체를 막아 오버플로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폐토너통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매체에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기 및 상기 현상기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통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통은
폐토너유입구 쪽에 마련되어 있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폐토너가 낙하하는 지점에 마련된 제2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제2이송부보다 높이 위치하며, 상기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를 이용하여 폐토너를 이송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이송부는 제1리브, 제1회전축 및 제1이송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이송부는 제2리브, 제2회전축 및 제2이송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는 낙하하는 폐토너를 일시적으로 모으며,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상기 제1리브 및 제2리브의 상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는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그 끝단은 상기 제1리브 및 제2리브에 각각 접촉될 때 휘어졌다가, 상기 제1리브 및 제2리브와의 접촉으로부터 벗어나면서 폐토너를 튕기면서 이송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리브는 그 끝단이 상방으로 구부러져 있어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에 의하여 튕겨지는 폐토너가 멀리 날아가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받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폐토너유입구의 바로 하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제2이송부보다 상기 폐토너통의 바닥면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카트리지를 더 구비하여, 상기 토너카트리지에 저장된 토너는 상기 현상기에 공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토너카트리지 및 폐토너통이 결합하는 동작을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에 토너카트리지 및 페토너통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현상기를 A-A'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폐토너통을 B-B'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폐토너통의 이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기(10),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카트리지(20) 및 상기 현상기(10)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통(30)을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자성토너와 자성캐리어를 이 용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이성분현상기이다. 상기 현상기(10)는 하우징(10a)으로 감싸여 있으며, 토너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부(11)와 토너를 대전시켜 상기 현상부(11)로 공급하는 공급부(16)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현상부(11)는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12), 상기 감광매체(12)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블레이드(13), 상기 감광매체(12)를 소정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4a), 상기 대전롤러(14a)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롤러(14b) 및 상기 클리닝블레이드(13)에 의하여 상기 감광매체(12)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를 상기 하우징(10a)밖으로 배출시키는 폐토너이송스크류(15)를 구비한다.
상기 공급부(16)는 상기 토너카트리지(20)로부터 토너가 유입되는 토너주입구(10b)의 하측에 마련되어 토너를 일정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교반부재(17), 상기 교반부재(17)에 의하여 순환되는 토너를 소정전위로 대전시켜 자성의 캐리어에 부착시킨 후 현상롤러(19)에 공급하는 믹서(18)와, 자석이 내장되어 있어 토너가 부착된 캐리어를 부착시킨 후 상기 감광매체(12)와의 전위 차를 이용하여 토너를 상기 감광매체(12)쪽으로 전사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19)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너카트리지(20) 및 폐토너통(30)은 어셈블리로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현상기(10)를 본체(1)에 장착한 후, 상기 토너카트리지(20) 및 폐토너통(30)을 상기 본체(1)에 장착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기(10), 토너카트리지(20) 및 폐토너통(30)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토너카트리지(2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토너유출구가 상기 현 상기(10)의 토너주입구(10b)와 연통되며, 상기 폐토너통(30)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셔터(31)는 화살표 E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폐토너주입구(32)가 개방되고, 그 상측에 상기 폐토너이송스크류(15)의 끝단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폐토너이송스크류(15)가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폐토너는 상기 폐토너주입구(32)를 통하여 상기 폐토너통(30)에 들어간다.
상기 폐토너통(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상기 폐토너주입구(32)로부터 먼 곳으로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41)와 제2이송부(4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이송부(41)는 상기 폐토너주입구(32)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며, 그 바닥면(30a)으로부터 소정높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이송부(45)는 상기 제1이송부(41)에 의하여 이송되는 폐토너가 낙하하는 지점(C)에 위치하며, 상기 제1이송부(41)보다는 상기 바닥면(30a)에 가깝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이송부(41)는 상기 제2이송부(45)보다 상기 바닥면(30a)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송부(41)는 상기 폐토너주입구(32)를 통하여 떨어지는 폐토너를 일시적으로 모으는 제1리브(42), 상기 제1리브(42)의 상측에 마련되어 외부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회전축(43) 및 상기 제1회전축(43)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축(43)이 회전함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제1리브(42)와 접촉하면서 휘어지다가, 상기 제1리브(42)와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폐토너를 튕겨서 이송시키는 제1이송플레이트(44)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이송플레이 트(44)는 탄성체이며 얇은 박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송부(45)도 상기 바닥면(30a)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이송부(41)로부터 이송되어 낙하되는 폐토너를 일시적으로 모으는 제2리브(46), 상기 제2리브(46)의 상측에 마련되어 외부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회전축(47) 및 상기 제2회전축(47)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회전축(47)이 회전함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제2리브(46)와 접촉하면서 휘어지다가, 상기 제2리브(46)와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폐토너를 튕겨서 이송시키는 제2이송플레이트(48)를 구비한다. 상기 제2리브(46)의 끝단(46a)은 상방으로 구부러져 있어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48)에 의하여 튕겨지는 폐토너가 상기 폐토너주입구(32)로부터 가장 먼 곳(D)으로 날아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48)는 탄성체이며 얇은 박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리브(42)는 도4에서 그 끝단이 상방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리브(46)과 동일한 기능을 행할 수 있도록 그 끝단이 상방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제1회전축(43) 및 제2회전축(47)은 동일방향(도 4에 도시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방향은 폐토너를 이송시키려는 방향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토너통(30)의 일측면에는 피동기어(33)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기어(33)에 연동되는 동력전달기어(34)(35)로부터 각각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회전축(43)과 제2회전축(47)은 동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현상기(10)의 일측에는 구동기어(10c)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토너카트리지(20) 및 폐토너통(30)이 상기 현상기(10)에 결합될 때, 상기 폐토너통(30)의 피동기어(33)가 상기 현상기(10)의 구동기어(10c)와 결합되므로, 상기 피동기어(33)는 상기 구동기어(10c)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폐토너통(30)내에는 상기 제1이송부(41)와 제2이송부(4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폐토너통(30)의 크기 및 용량에 대응하여 이송부를 더 마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첫째, 복수개의 이송부를 구비함으로써 폐토너주입구로부터 먼 곳부터 폐토너를 저장함으로써 폐토너통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둘째, 폐토너가 어느 한지점에만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폐토너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할 수 있수 있으며,
셋째, 저가이고 단순한 구조의 이송부를 구비함으로써 조립성의 향상 및 경제성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 다.

Claims (7)

  1.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매체에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기 및 상기 현상기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통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통은
    폐토너유입구 쪽에 마련되어 있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폐토너가 낙하하는 지점에 마련된 제2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제2이송부보다 높이 위치하며, 상기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를 이용하여 폐토너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제1리브, 제1회전축 및 제1이송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이송부는 제2리브, 제2회전축 및 제2이송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는 낙하하는 폐토너를 일시적으로 모으며,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상기 제1리브 및 제2리브의 상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는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그 끝단은 상기 제1리브 및 제2리브에 각각 접촉될 때 휘어졌다가, 상기 제1리브 및 제2리브와의 접촉으로부터 벗어나면서 폐토너를 튕기면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브는 그 끝단이 상방으로 구부러져 있어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에 의하여 튕겨지는 폐토너가 멀리 날아가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폐토너유입구의 바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제2이송부보다 상기 폐토너통의 바닥면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카트리지를 더 구비하여, 상기 토너카트리지에 저장된 토너는 상기 현상기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50459A 2006-06-05 2006-06-05 화상형성장치 KR100803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459A KR100803601B1 (ko) 2006-06-05 2006-06-05 화상형성장치
US11/699,993 US7974566B2 (en) 2006-06-05 2007-01-31 Image-forming apparatus having apparatus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waste toner in waste toner container and method thereof
EP07103123.1A EP1865388B1 (en) 2006-06-05 2007-02-27 Image-forming apparatus with a waste toner container
CN2007100861087A CN101086655B (zh) 2006-06-05 2007-03-01 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459A KR100803601B1 (ko) 2006-06-05 2006-06-05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423A KR20070116423A (ko) 2007-12-10
KR100803601B1 true KR100803601B1 (ko) 2008-02-15

Family

ID=3846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459A KR100803601B1 (ko) 2006-06-05 2006-06-05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74566B2 (ko)
EP (1) EP1865388B1 (ko)
KR (1) KR100803601B1 (ko)
CN (1) CN1010866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6919B2 (ja) * 2011-04-06 2015-06-17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689868B1 (ko) * 2014-06-10 2017-01-0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595833B2 (ja) * 2015-07-28 2019-10-23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機構、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199A (ja) 1996-08-29 1998-03-10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フレーム
JP2003223048A (ja) 2002-01-31 2003-08-08 Sharp Corp 現像装置
JP2005121765A (ja) 2003-10-15 2005-05-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7009830A (ja) * 2005-07-01 2007-01-18 Souki Sekkei:Kk 浮体型水力発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316Y2 (ko) * 1980-03-06 1989-06-26
JPS5716472A (en) * 1980-07-03 1982-01-27 Ricoh Co Ltd Treating apparatus for recovered tonor
US4439034A (en) * 1982-12-20 1984-03-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ging a copier developer
JPS59155878A (ja) * 1983-02-24 1984-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リ−ニング装置
JP2622171B2 (ja) 1989-02-09 1997-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
JPH05165382A (ja) * 1991-12-17 1993-07-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5204281A (ja) * 1992-01-27 1993-08-13 Ricoh Co Ltd 残留トナー回収装置
EP0670530B1 (en) 1994-03-03 2000-05-24 Kyocera Corporation Toner container
US6353722B1 (en) * 2000-12-19 2002-03-05 Xerox Corporation Waste bottle with overflow chamber
KR100396560B1 (ko) 2001-11-29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KR100477661B1 (ko) * 2002-09-06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저장장치 및이를 채용한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4102137A (ja) * 2002-09-12 2004-04-02 Ricoh Co Ltd 廃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38150B2 (ja) * 2004-01-29 2007-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78871B2 (ja) * 2004-04-01 2010-11-10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01680B1 (ko) * 2004-05-22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535807B2 (ja) * 2004-08-25 2010-09-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8040222A (ja) * 2006-08-08 2008-02-21 Fuji Xerox Co Ltd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298733B2 (ja) * 2006-09-25 200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199A (ja) 1996-08-29 1998-03-10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フレーム
JP2003223048A (ja) 2002-01-31 2003-08-08 Sharp Corp 現像装置
JP2005121765A (ja) 2003-10-15 2005-05-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7009830A (ja) * 2005-07-01 2007-01-18 Souki Sekkei:Kk 浮体型水力発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5388A1 (en) 2007-12-12
KR20070116423A (ko) 2007-12-10
EP1865388B1 (en) 2013-05-22
CN101086655A (zh) 2007-12-12
US7974566B2 (en) 2011-07-05
CN101086655B (zh) 2010-04-14
US20070280761A1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5019B2 (ja) 粉体ポンプ付き画像形成装置
US7536132B2 (en) Developing recovery container
US8594539B2 (en) Outlet recess for a powder contain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99457A (ja) 交換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7430387B2 (en) Develop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US9733607B2 (en) Toner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14578669B (zh) 显影盒以及具有该显影盒的显影装置和成像装置
US20190361374A1 (en) Powd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977600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
JP7206856B2 (ja) トナー搬送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29152A (ja) 現像装置
KR100803601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887222B1 (ko) 현상기
US7437116B2 (en)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20099892A1 (en) Attaching and detaching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25207A (ja) 電子写真方式印刷機の廃トナー移送装置,及び,電子写真方式印刷機
JP2018205650A (ja) 粉体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30009010A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11081093A (ja)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5180976A (ja) トナー搬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32187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48723A (ja) トナー収容容器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551357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948926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40024490A (ko)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배출구의 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