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560B1 -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 Google Patents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560B1
KR100396560B1 KR10-2001-0074960A KR20010074960A KR100396560B1 KR 100396560 B1 KR100396560 B1 KR 100396560B1 KR 20010074960 A KR20010074960 A KR 20010074960A KR 100396560 B1 KR100396560 B1 KR 100396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toner reservoir
inlet
reservoir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262A (ko
Inventor
권대섭
박동훈
백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5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41J2/1728Closed waste ink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41J2/1728Closed waste ink collectors
    • B41J2/1735Closed waste ink collectors with ink supply tank in comm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41J2/1742Open waste ink collectors, e.g. ink receiving from a print head above the collector during borderless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33Storage or packaging of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41J2/185Ink-collectors; Ink-catchers
    • B41J2002/1856Ink-collectors; Ink-catchers waste ink containers

Landscapes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폐 토너 저장고는 인쇄기를 구성하는 요소로부터 회수되는 폐 토너를 저장하기 위해 현상 카트리지의 출구에 유입구가 닿아 있는 폐 토너 저장고를 구비하는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폐 토너 저장고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폐 토너가 일차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유입구의 일측에 구비된 리브(rib); 및 상기 리브와 탄력적으로 접촉 회전할 수 있게 구비되어 상기 리브 상에 안착된 상기 폐 토너를 상기 폐 토너 저장고 안쪽으로 이송시키는 피더(feeder)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폐 토너 저장고를 이용하면, 폐 토너 저장고의 내부 깊숙한 영역까지 폐 토너를 이송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폐 토너를 다질 수도 있기 때문에, 폐 토너 저장고의 폐 토너 저장 능력이 극대화된다.

Description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Storage house of storing used toner of printer}
본 발명은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써, 자세하게는 입구에 폐 토너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장고 안쪽으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 수단을 구비하는 폐 토너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용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에 적용되는 인쇄기는 분말상의 토너를 사용하는 건식 현상방식과, 액체 캐리어에 토너가 혼합된 현상액을 사용하는 습식 현상방식이 있다. 이 두 방식은 모두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에 대전상태의 토너나 현상액을 전사시킨 후, 그 감광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전사매체사이로 용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기록용지에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다.
분말상의 토너를 사용하는 건식 현상 방법의 인쇄기는 감광드럼에 정전기적인 잠상을 형성하는 광학부, 상기 감광드럼에 토너를 부착시키는 현상부, 감광드럼으로부터 기록지로 토너를 이동시키는 전사부, 기록지에 이동된 토너를 영구적으로 기록지에 영구적으로 고착시키는 정착부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쇄기에서 감광드럼의 수명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일정시간 사용 후에는 새것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바, 정해진 기간동안 감광드럼을 충분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유지관리를 철저히 하여 감광드럼에 이물질, 예컨대 잔류 토너 등이 남아 있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의 프린터는 클리닝 블레이드(cleaning blade) 등과 같은 잔류토너 제거 수단을 구비하여 감광드럼 상에 남아있는 토너를 회수하고 있다. 이렇게 회수된 토너(이하, 폐 토너라 함)는 폐 토너 저장고(도 1의 10)에 닿아있는 출구쪽으로 폐 토너를 이송시키는 오거(auger)(또는 스크류형 스프링)에 의해 폐 토너 저장고(10)로 이송된다.
종래의 프린터에 구비된 폐 토너 저장고(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토너 저장을 위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고 있고, 현상 카트리지(미도시)의 폐 토너 출구와 연결된 유입구(12)를 갖고 있다.
유입구(12)를 통해서 유입되는 폐 토너는 유입구(12) 바로 아래의 바닥부터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이렇게 어느 정도의 폐 토너가 쌓이게 되면, 폐 토너 저장고(10)의 유입구(12) 아래에 산봉우리 형태의 폐 토너 더미(14)가 형성된다. 폐 토너 더미(14)의 봉우리는 항상 유입구(12)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폐 토너는 새 토너와 달리 지분 등의 이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적은 양이라도 같은 양의 새 토너에 비해 부피가 크고, 잘 구르지도 않는다. 따라서 적은 양의 폐 토너가 발생되더라도 폐 토너 저장고(10)에서의 폐 토너 더미(14)의 높이는 급격히 높아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폐 토너 저장고(10) 내부에 폐 토너를 저장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폐 토너 더미(14)의 봉우리가 폐 토너 저장고(10)의 유입구(12)에 닿아 폐 토너가 폐 토너 저장고(10)를 벗어나서 쌓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상 카트리지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쳐서 현상 카트리지가 충분한 토너 충진 체적을 가지지 않으면 충진량에 제약을 받아 현상 카트리지 수명을 제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 토너 저장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폐 토너 저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 토너 저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폐 토너 저장고를 이용한 폐 토너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0:폐 토너 저장고 42:폐 토너 유입부
42a:폐 토너 이송용 가이드 리브(guide rib)
42b:피더(feeder) 42c:보조 필름(또는 러브(rubber))
42d:셔터(shutter) 50:폐 토너
52:폐 토너 더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기를 구성하는 요소로부터 회수되는 폐 토너를 저장하기 위해 현상 카트리지의 출구에 유입구가 닿아 있는 폐 토너 저장고를 구비하는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폐 토너 저장고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폐 토너가 일차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유입구의 일측에 구비된 리브(rib) 및 상기 리브와 탄력적으로 접촉 회전할 수 있게 구비되어 상기 리브 상에 안착된 상기 폐 토너를 상기 폐 토너 저장고 안쪽으로 이송시키는 피더(feeder)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일측과 마주하는 상기 유입구의 타측에 일단이 회전될 수 있게 체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리브의 소정 회전 구간에서 상기 리브와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된 보조 필름(film)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유입구의 일측에서 상기 폐 토너 저장고 안쪽으로 상기 폐 토너 저장고의 인접한 일면과 나란하게 확장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인접한 일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기 시작해서 끝 부분이 상기 인접한 일면과 마주하는 다른 면을 향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폐 토너 저장고를 이용하는 경우, 폐 토너 저장고의 내부 깊숙한 영역까지 폐 토너를 이송하여 저장할 수 있고, 보조 필름을 이용하여 폐 토너 더미를 다질 수도 있기 때문에, 폐 토너 저장고의 폐 토너 저장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들의 두께나 부피는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40)는 현상 카트리지(미도시)로부터 유입되는 폐 토너 저장을 위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고 있고, 상부에 폐 토너 유입부(42)를 구비한다. 폐 토너 유입부(42)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폐 토너 출구에 연결되어 있다. 폐 토너 유입부(42)는 폐 토너 유입구(h), 유입구(h)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입구(h)로 유입되는 폐 토너가 일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구비된 폐 토너 가이드 리브(guide rib)(42a)(이하, 리브(42a)라 한다), 회전 중심축이 유입구(h)와 리브(42a)사이에 위치하고 리브(42a)의 폐 토너 안착 영역과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구비된 피더(feeder)(42b), 일단이 유입구(h)의 상기 일측과 마주하는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고 타단이 피더(42b)의 소정 회전 구간에서 피더(42b)와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리브(42a)근처까지 확장되어 있는 보조 필름(film)(42c) 및 유입구(h)를 통해서 폐 토너가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고 폐 토너 저장고(40)로부터 폐 토너가 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셔터(shutter)(42d)를 구비한다.
리브(42a)는 폐 토너 유입구(h)의 일측에 폐 토너 저장고(40) 안쪽으로 폐 토너 저장고(40)의 인접한 일면과 나란하게 소정 길이 만큼 확장된 제1 부분(P1)과 제1 부분(P1)으로부터 상기 인접한 일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굴곡되기 시작해서 그 끝 부분이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다른 면을 향하는 제2 부분(P2)을 포함한다. 리브(42a)의 제2 부분(P2)은 현상 카트리지로부터 유입되는 폐 토너가 일차적으로 안착되는 영역으로 사용되고, 피더(42b)의 회전력이나 휨 정도 및리브(42a)의 제2 부분(P2)의 프로화일(profile), 예컨대 곡률이나 길이 등에 따라서 제2 부분(P2)에 안착된 폐 토너가 폐 토너 저장고(40)의 내부로 이송되는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피더(42b)는 리브(42a)의 제2 부분(P2)과 회전 접촉하는 과정에서 폐 토너에 최대의 힘을 줄 수 있는 탄성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리브(42a)의 제2 부분(P2)은 피더(42b)로부터 주어지는 상기 힘에 의해 상기 폐 토너가 폐 토너 저장고(40) 내부로 이송되는 비거리가 최대가 될 수 있는 프로화일을 갖는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필름(42c)은 상기 폐 토너를 폐 토너 저장고(40) 내부로 날려보낸 후의 피더(42b)와 소정의 회전 구간동안 접촉된다. 상기 접촉 구간동안에 피더(42b)가 상기 폐 토너를 폐 토너 저장고(40) 내부로 날리는데 사용하고 남은 회전력이 보조 필름(42c)에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보조 필름(42c)은 유입구(h)의 상기 타측에 체결된 일단을 중심으로 해서 뒤쪽으로 소정의 각만큼 회전된다. 피더(42b)가 계속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면서 피더(42b)와 보조 필름(42c)의 접촉이 끊어지게 되고, 보조 필름(42c)도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회전각이 제한되기는 하지만, 이와 같은 보조 필름(42c)의 회전 운동에 의해, 보조 필름(42c)은 폐 토너 저장고(40)에 저장된 폐 토너가 유입구(h)를 통해서 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폐 토너 저장고(40)에 보조 필름(42c)까지 폐 토너가 쌓여지는 경우에 상기 폐 토너를 폐 토너 저장고(40) 안으로 밀어 넣으면서 다지는 역할을 한다.
폐 토너에는 지분이나 이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양의 새 토너에피해 부피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폐 토너를 다져서 부피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폐 토너 저장고(40)의 사용 효율을 높이는 것이 된다. 따라서 보조 필름(42c)의 역할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에 폐 토너가 저장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폐 토너 저장고(40)의 유입구(h)를 통해서 현상 카트리지(미도시)로부터 폐 토너(50)가 유입되면, 폐 토너(50)는 일차적으로 리브(42a)의 제2 부분(P2)에 안착되게 된다. 제2 부분(P2)에 폐 토너(50)가 안착됨과 동시에 피더(42b)는 소정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면서 리브(42a)의 제2 부분(P2)과 접촉되게 된다. 피더(42b)와 리브(42a)의 제2 부분(P2)간의 회전 접촉은 제2 부분(P2)의 끝단까지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제2 부분(P2)에 안착되어 있던 폐 토너(50)는 피더(42b)의 회전력과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폐 토너 저장고(40)의 내부로 날려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폐 토너 저장고(40) 내부에 소정의 폐 토너 더미(52)가 형성된다. 그러나 폐 토너 더미(52)의 봉우리는 종래와 달리 유입구(h)로부터 멀리 이격된 폐 토너 저장고(40)의 내부 깊은 곳에 형성된다. 폐 토너 저장고(40)에 폐 토너(50)가 계속 쌓여지면서 폐 토너 더미(52)는 폐 토너 저장고(40)의 유입구(h) 근처까지 도달하게 되나, 상술한 보조 필름(42c)의 기능으로 폐 토너 더미(52)는 폐 토너 저장고(40) 안쪽으로 밀려지면서 다져지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리브(42a)를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소정의 각으로 벌어진 복수의 리브로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리브(42a)에 복수의 홀을 형성하여 리브(42a)의 제2 부분(P2)에 떨어지는 폐 토너 중 일부는 상기 홀을 통해서 리브(42a) 바로 아래쪽 영역에 저장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는 폐 토너 저장고의 내부 깊숙한 영역까지 폐 토너를 이송할 수 있는 리브(42a)를 구비하고 보조적으로 폐 토너 저장고로부터 폐 토너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저장된 폐 토너 더미를 다질 수 있는 보조 필름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폐 토너 저장고를 이용하는 경우, 폐 토너 저장고의 내부 깊숙한 곳에서부터 폐 토너를 차곡차곡 쌓을 수 있고, 보조 필름을 이용하여 쌓여지는 폐 토너를 다질 수도 있기 때문에 폐 토너 저장고의 폐 토너 저장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4)

  1. 인쇄기를 구성하는 요소로부터 회수되는 폐 토너를 저장하기 위해 현상 카트리지의 출구에 유입구가 닿아 있는 폐 토너 저장고를 구비하는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폐 토너 저장고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폐 토너가 일차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유입구의 일측에 구비된 리브(rib); 및
    상기 리브와 탄력적으로 접촉 회전할 수 있게 구비되어 상기 리브 상에 안착된 상기 폐 토너를 상기 폐 토너 저장고 안쪽으로 이송시키는 피더(feeder)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과 마주하는 상기 유입구의 타측에 일단이 회전될 수 있게 체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리브의 소정 회전 구간에서 상기 리브와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된 보조 필름(film)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유입구의 일측에서 상기 폐 토너 저장고 안쪽으로 상기 폐 토너 저장고의 인접한 일면과 나란하게 확장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인접한 일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기 시작해서 끝 부분이 상기 인접한 일면과 마주하는 다른 면을 향하는 제2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개폐를 위한 셔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KR10-2001-0074960A 2001-11-29 2001-11-29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KR100396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960A KR100396560B1 (ko) 2001-11-29 2001-11-29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960A KR100396560B1 (ko) 2001-11-29 2001-11-29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262A KR20030044262A (ko) 2003-06-09
KR100396560B1 true KR100396560B1 (ko) 2003-09-02

Family

ID=2957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960A KR100396560B1 (ko) 2001-11-29 2001-11-29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1006A1 (en) * 2018-09-07 2020-03-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601B1 (ko) 2006-06-05 200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1006A1 (en) * 2018-09-07 2020-03-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262A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0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KR100547129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US20070019985A1 (en) Image forming process modul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20177400A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5031669A (ja) 電子写真方式印刷機
JP5073070B2 (ja) 電子写真方式の印刷機
JP6953893B2 (ja) 現像剤補給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184693B2 (en) Toner cartridge used with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70702A (ja) トナー補給装置
US7146124B2 (en)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01694B1 (ko) 폐토너 수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100396560B1 (ko)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KR20050076851A (ko) 인쇄기의 폐토너 저장고
JP3966530B2 (ja) シート積載装置
JP262258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060081453A (ko) 화상형성기의 클리닝장치
US6718156B2 (en)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KR100601645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7322627B2 (ja) 廃トナー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6012075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27196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
JP660220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97244B1 (ko) 노화토너 제거유닛을 가지는 현상장치
KR100553908B1 (ko) 스캐너 기능을 갖는 프린팅기기
KR100553894B1 (ko) 토너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