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749B1 - 전자 카메라 - Google Patents

전자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749B1
KR100858749B1 KR20067000028A KR20067000028A KR100858749B1 KR 100858749 B1 KR100858749 B1 KR 100858749B1 KR 20067000028 A KR20067000028 A KR 20067000028A KR 20067000028 A KR20067000028 A KR 20067000028A KR 100858749 B1 KR100858749 B1 KR 10085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area
display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700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893A (ko
Inventor
마사히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ublication of KR2006003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6Availability of hardware or computational resources, e.g. encoding based on power-saving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 H04N19/6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characterised by ordering of coefficients or of bits for transmission
    • H04N19/6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characterised by ordering of coefficients or of bits for transmission using significance based coding, e.g. Embedded Zerotrees of Wavelets [EZW] or Set Partitioning in Hierarchical Trees [SPI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 카메라는, 다음과 같은 촬상부, 가이드부, 표시부, 및 압축처리부를 구비한다. 즉, 촬상부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부는, 촬상부에서 촬상된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에, ROI 영역이나 타일의 영역 선정을 지원하는 보조 표시를 합성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보조 표시로서는, 모니터 표시상에 있어서 추천 구도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표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처리부는, 이러한 보조 표시에 대응하는 화상 영역을,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한 다음,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한다.

Description

전자 카메라{ELECTRONIC CAMERA}
본 발명은, 화상압축을 실시하는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을 적절하게 영역설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1999년 12월, JPEG2000의 화상압축 알고리즘의 위원회안(CD:Committee Draft )이 작성되어, 핵심이 되는 주요한 기술 내용이 동결되었다.
이하에 이 JPEG2000의 화상압축처리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① 색좌표변환
입력화상은, 필요에 따라서 색좌표변환이 실시된다.
② 타일 분할
입력화상은,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직사각형 영역(이하 「타일」이라고 한다)으로 분할된다. 각 타일에는, 이후의 부호화 처리가 독립적으로 실시된다.
③ 웨이브렛 변환
입력화상은, 가로세로 2방향으로 이산 웨이브렛 변환이 실시되고, 복수의 서브 밴드(1LL, 1LH, 1HL, 1HH)로 주파수 분해된다. 이 중에서, 직류 성분을 포함한 1LL에는, 계속해서 이산 웨이브렛 변환이 실시되어, 복수의 서브 밴드(2LL, 2LH, 2HL, 2HH)로 주파수 분해된다.
이와 같이 이산 웨이브렛 변환을 재귀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는 서브 밴드로 분해된다.
④ 양자화
웨이브렛 변환 계수는, 서브 밴드마다 정해진 양자화 스텝폭에 의해 양자화된다. 한편, 손실/무손실의 통일 처리에 대해서는, 양자화 스텝이 「1」로 설정된다. 이 경우, 손실 압축에서는, 후속 공정에 있어서 하위 N비트 플레인의 폐기가 이루어진다. 이 폐기 처리는, 양자화 스텝 「2의 N승」과 등가의 처리가 된다.
⑤ 비트 모델링
양자화후의 웨이브렛 변환 계수를 각 서브 밴드내에서 고정 사이즈(예를 들면 64×64)의 부호화 블록으로 분할한다. 각 부호 블록 내의 변환계수는, 사인 비트와 절대값으로 나누어진 후, 절대값은, 자연 2진수의 비트 플레인으로 배분된다. 이렇게 구축된 비트 플레인은, 상위 비트 플레인으로부터 순서대로, 3가지 방법의 부호화 패스(Significance pass, Refinement pass, Cleanup pass)를 통하여 부호화된다. 한편, 사인 비트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절대값의 최상위 비트가 비트 플레인에 나타난 직후에 부호화가 이루어진다.
⑥ ROI(Region Of Interest) 부호화
화상 상의 부분적인 선택 영역(이하, ROI 영역이라고 한다)에 우선적으로 정보량을 할당하여, ROI 영역의 복호화 화질을 높이는 기능이다. 구체적으로는, ROI 영역에 위치하는 양자화 후의 변환 계수를 S비트만큼 시프트 업(shift up)한다. 그 결과, ROI 영역은, 상위의 비트 플레인에 시프트되어, 비(非) ROI 영역의 어느 비트보다도 우선적으로 부호화된다.
한편, 맥스 시프트법에서는, 비트 시프트수S를 비(非)ROI 영역의 최상위비트의 자리수보다도 크게 설정한다. 그 때문에, ROI 영역의 비(非)제로의 변환 계수는, 반드시 「2의 S승」이상의 값을 취한다. 따라서, 복호화시에는, 「2의 S승」이상의 양자화값을 선택적으로 시프트 다운함으로써, ROI 영역의 변환 계수를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다.
⑦ 산술 부호화
부호화 데이터에는, 또한 MQ코더에 의한 산술 부호화가 실시된다.
⑧ 비트 스트림 형성
입력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SNR 프로그레시브 등)로 정리하여, 비트 스트림을 형성한다.
그 외에, JPEG2000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특허문헌 1(일본 출원의 특허공개공보 2002-176650호)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는, ROI 영역의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비ROI 영역의 화질 열화를 적정 범위로 설정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ROI 영역 및 타일의 영역 설정에 있어서는, 화면 내의 중요한 부분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자 카메라에서는, 사용자는 촬영에 전념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전자 카메라의 ROI 영역이나 타일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정조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의 영역 설정을, 전자 카메라에서 간단하고 쉽게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전자 카메라는, 촬상부, 표시부, 및 압축처리부를 구비한다.
촬상부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부는, 촬상부에서 촬상된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의 선정을 지원하는 보조표시를 합성하여 표시한다.
압축처리부는, 보조 표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는 화상 영역을,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한 다음,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한다.
[2]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촬영 대상의 종류 선택에 따라, 추천 구도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표시를 결정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표시부는, 촬상부로 촬상된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에, 이 가이드 표시를 보조 표시로서 합성하여 표시한다. 압축처리부는, 가이드 표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는 화상 영역을,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한 다음,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이 가이드 표시에 맞추어, 주요 피사체를 화면내에 배치한다. 따라서, 전자 카메라는, 이 가이드 표시에 기초하여, 화면 내의 주요 피사체의 배치 범위를 높은 신뢰성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렇게 추정한 주요 피사체의 위치나 범위에 맞추어, ROI 영역 및/ 타일을 선정함으로써, 주요 피사체의 압축 열화를 보다 확실하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가이드 표시로부터 추정되는 주요 피사체의 배치 범위를 피하여 타일 경계를 배치함으로써, 타일 경계의 압축 변형이 주요 피사체와 겹쳐진다고 하는 폐해를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 카메라에서는, 사용자가, 촬영 씬(scene)에 따라 가이드 표시를 선택한다고 하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서, ROI 영역이나 타일의 설정 조작이 끝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ROI 영역이나 타일을 따로 지정할 필요가 특별히 없고, 촬영 행위에 한층 더 전념할 수 있게 된다.
[3]
또한 바람직하게는, 촬영 화면내로부터 초점 검출 영역을 선택하여, 선택된 초점 검출 영역의 피사체에 촬영 렌즈의 초점을 맞추게 하는 초점제어부를 구비한다. 표시부는, 촬상부에서 촬상된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에, 초점 검출 영역의 선택 상태를 보조 표시로서 합성하여 표시한다. 압축처리부는, 「선택된 초점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 영역을,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한 다음,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한다.
통상적으로, 선택되는 초점 검출 영역에는, 주요 피사체가 존재할 확률이 높다. 그 때문에, 이 초점 검출 영역로부터 주요 피사체의 위치를 추정하여, 이 주요 피사체의 위치에 맞추어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주요 피사체의 압축 열화를 보다 확실하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이 선택 영역로부터 추정되는 주요 피사체의 배치 범위를 피하여 타일 경계를 배치함으로써, 타일 경계의 압축 변형이 주요 피사체와 겹쳐진다고 하는 폐해를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초점 검출 영역의 선택 조작이라고 하는 통상적인 촬영의 흐름내에서, ROI 영역이나 타일의 영역 설정을 끝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자 카메라가 피사계의 상황 판단에 따라 초점 검출 영역을 자동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초점 검출 영역의 선택 결과를 유용하여, ROI 영역이나 타일을 자동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ROI 영역이나 타일을 별도로 입력할 필요가 특히 없어지므로, 촬영 행위에 한층 더 전념할 수 있게 된다.
[4]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 미리 정해진 영역 구분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화상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조작부를 구비한다. 표시부는, 영역 구분의 선택 상태를 보조 표시로서 화상 데이터에 합성하여 표시한다. 압축처리부는, 조작부를 통하여 선택된 화상 영역을,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한 다음,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영역 구분된 화상 데이터를 보면서, 조작부를 사용하여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을 직감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화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한 경우에는, 이들 화상 영역의 조합에 의해서, 복잡한 형상의 ROI 영역을 직접적이고도 간단하게 지정할 수 있다.
[5]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 표시부에 합성표시되는 「화상 영역의 범위 및/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의 표시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 영역의 지정을 받아들이는 조작부를 구비한다. 압축처리부는, 조작부를 통하여 지정된 화상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을 선정한 다음,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카메라의 표시 화면을 보면서, 조작부를 사용하여 지표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을 직접적이고도 간단하게 지정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다른 전자 카메라는, 촬상부, 표시부, 태블릿부, 및 압축처리부를 구비한다.
촬상부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부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태블릿부는, 표시 화면상에서 영역 입력을 검출한다.
압축처리부는, 태블릿부를 통하여 영역 입력된 화상 영역을,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한 다음,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카메라의 표시 화면상에서, 직접적이고 직감적으로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을 지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태블릿부로부터 부정 형상의 영역 입력을 받아들였을 경우에는, 복잡한 형상의 ROI 영역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게 된다.
[7]
또한 바람직하게는, 촬상부에 기록을 위한 촬상 개시를 지시하는 릴리즈부를 구비한다.
표시부는, 릴리즈부에 의한 지시전에, 촬상부에서 촬상된 피사체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의 선정을 지원하는 보조 표시를 합성하여 표시한다. 압축처리부는, 보조 표시에 대응하여 릴리즈부에 의한 지시전에 선정되는 화상 영역을,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한 다음, 릴리즈부에 의한 지시에 의해서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한다.
[8]
또한 바람직하게는, 압축처리부는, JPEG2000에 준거한 화상 압축을 실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도면에 의해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카메라(1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1/2)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2/2)이다.
도 4는, 가이드 표시에 기초하여 ROI 영역 및 타일을 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선택중의 초점 검출 영역에 기초하여 ROI 영역 및 타일을 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태블릿 입력에 기초하여 ROI 영역 및 타일을 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십자(十字) 키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ROI 영역 및 타일을 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십자 키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ROI 영역 및 타일을 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전자 카메라의 구성 설명]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카메라(1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전자 카메라(11)에는, 촬영 렌즈(12)가 장착된다. 이 촬영 렌즈(12)는, 렌즈 구동기구(12a)에 의해서 초점을 조절한다. 이 촬영 렌즈(12)의 상(像)공간에는, 촬상 소자(13)의 수광면(受光面)이 배치된다. 이 촬상 소자(13)의 출력은, AD 변환부(14) 및 신호처리부(15)를 통하여 처리된 후, 버퍼 메모리(16)에 기록된다.
이 버퍼 메모리(16)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화상처리부(17) 및 화상압축부(18)가 각각 접속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화상압축부(18)를 통하여 초점 검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들 초점 검출 영역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이 콘트라스트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렌즈 구동기구(12a)를 제어함으로써, 촬영 렌즈(12)를 초점 제어한다.
이 화상처리부(17)에서 처리된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는, 표시부(40)에 주어진다. 표시부(40)는, 이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와, 마이크로 프로세서(39)로부터 주어지는 표시 데이터를 합성하여, 전자 카메라(11)의 표시 화면(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한다. 한편, 이 표시 화면에는,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의 접촉 위치를 읽어내는 태블릿부(41)가 설치된다. 이 태블릿부(41)에서 읽어낸 위치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9)에 주어진다.
한편, 화상처리부(17)에서 처리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는, 화상압축부(18)에 주어진다.
이 화상압축부(18)는, 아래와 같은 구성 요건 ⓛ∼⑦을 구비한다.
① 타일 처리부(21)
② 웨이브렛 변환부(22)
③ 양자화부(23)
④ 비트 모델링부(24)
⑤ 산술 부호화부(25)
⑥ 비트 스트림 생성부(26)
⑦ ROI 설정부(27)
한편, 이들 구성 요건 ①∼⑦의 구체적인 처리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종래예에서 설명이 끝났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화상압축부(18)에서 생성된 압축파일은, 기록부(32)에 주어진다. 기록부(32)는, 이 압축파일을, 메모리 카드(33)에 기록 저장한다.
또한, 전자 카메라(11)의 케이스체에는, 릴리즈 버튼, 십자 키, 및 설정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38)가 설치된다. 조작부(38)의 출력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9)에 주어진다.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전자 카메라(11)를 시스템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화상처리부(17)나 화상압축부(18)등과 신호선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발명과의 대응 관계]
아래에 발명과 본 실시형태의 대응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여기서의 대응 관계는, 참고를 위해서 한가지 해석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에 기재된 촬상부는, 촬상 소자(13)에 대응한다.
청구항에 기재된 가이드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9)의 「조작부(38)를 통하여 촬영 대상의 종류 선택을 받아들여, 이 촬영 대상에 적합한 가이드 표시(추천 구도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를 결정하는 기능」에 대응한다.
청구항에 기재된 표시부는, 표시부(40)에 대응한다.
청구항에 기재된 압축처리부는, 화상압축부(18),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39)의 「ROI영역 및 타일을 화상압축부(18)로 설정하는 기능」에 대응한다.
청구항에 기재된 태블릿부는, 태블릿부(41)에 대응한다.
초점제어부는, 렌즈 구동기구(12a),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39)에 대응한다. 조작부는, 조작부(38),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39)의 「ROI 영역이나 타일의 지시 입력을 받아들이는 기능」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의 동작 설명]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아래에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단계 번호에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 S1 : 촬영전에, 사용자는, 조작부(38)를 조작하여, 촬영 대상의 종류선 택을 전자 카메라(11)에 입력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이 촬영 대상의 종류 선택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가이드 표시를 선택한다. 이 가이드 표시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추천 구도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 패턴이다.
단계 S2 : 계속해서, 사용자는, 조작부(38)를 조작하여, 초점 검출 영역의 선택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 선택 결과는, 후술하는 초점 제어시에 데이터 참조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프로세서(39)가 기억한다.
단계 S3 : 촬상 소자(13)는, 드래프트 모드(수평 라인을 솎아내어 고속 프레임 레이트로 읽어내는 촬상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를 촬상한다.
단계 S4 :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현재 선택중인 초점 검출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하여, 이 추출 영역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렌즈 구동기구(12a)를 통하여, 이 콘트라스트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촬영 렌즈(12)를 초점 제어한다.
한편, 화면내의 콘트라스트 이동을 검출하는 것으로, 주요 피사체의 화면내 이동을 추적하여, 그 추적 궤적에 맞추어 선택중인 초점 검출 영역을 이동시켜도 좋다.
단계 S5 : 표시부(40)는, 화상처리부(17)에서 처리된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를 모니터 표시한다.
한편, 단계 S1에 있어서 가이드 표시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표시부(40)는,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에 가이드 표시를 합성한 다음, 모니터 표시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이 가이드 표시에 맞추어 주요 피사체의 화면내 위치를 조정하고, 촬영 구도를 결정한다.
단계 S6 : 여기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릴리즈 버튼이 완전히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릴리즈 버튼이 완전히 눌러지지 않은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단계 S1로 동작을 되돌린다.
한편, 릴리즈 버튼이 완전히 눌러졌을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단계 S7로 동작을 진행시킨다.
단계 S7 : 촬상 소자(13)는, 고해상도 모드(고해상도로 읽어내는 촬상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촬상한다.
단계 S8 :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전자 카메라(11)의 설정이 단사(單寫)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단사 모드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단계 S9로 동작을 이행한다.
한편, 연사(連寫) 모드의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후술하는 단계 S11로 동작을 이행한다.
단계 S9 : 화상처리부(17)는, 이 기록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퀵 뷰용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40)에 출력한다. 표시부(40)는, 이 퀵 뷰(quick view) 화상(정지화면)을 촬영 결과로서 모니터 표시한다.
단계 S10 : 이 퀵 뷰 화상의 표시중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태블릿 부(41) 및 십자 키의 조작 입력을 감시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조작 입력의 의지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는 시간)을 경과해도 조작 입력이 없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후술하는 단계 S11로 동작을 이행한다.
한편, 태블릿부(41)의 조작 입력이 있었을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후술하는 단계 S17로 동작을 이행한다.
또한, 십자 키의 조작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후술하는 단계 S18로 동작을 이행한다.
단계 S11 :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가이드 표시」와 「현재 선택중의 초점검출 영역」와의 정합성을 판단한다.
예를 들면, 「가이드 표시가 추천하는 주요 피사체의 배치 위치」와 「현재 선택중인 초점 검출 영역」가 일치하고 있으면, 「정합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표시가 추천하는 범위에 주요 피사체가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가이드 표시가 추천하는 주요 피사체의 배치 위치」와, 「현재 선택중인 초점 검출 영역」가 어긋나 있는 경우, 「정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표시와는 다른 위치에 주요 피사체가 배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단계 S12 : 「정합한다」고 하는 판정 결과인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단계 S13으로 동작을 이행한다.
한편, 「정합하지 않는다」고 하는 판정 결과인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단계 S14로 동작을 이행한다.
단계 S13 : 여기서는, 가이드 표시와 초점 검출 영역이 정합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표시가 추천하는 범위 내에 주요 피사체가 배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가이드 표시가 추천하는 배치 범위를, 주요 피사체의 화상 영역으로서 추정한다.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내는 인형(人型)의 가이드 표시(50)의 경우에는, 인형의 전체나, 인형의 얼굴 부분이나, 인형의 눈주변 등을, 주요 피사체의 화상 영역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추정 동작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후술하는 단계 S15로 동작을 이행한다.
단계 S14 : 여기서는, 가이드 표시와 초점 검출 영역이 정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 표시와는 관계없이 주요 피사체가 배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현재 선택중인 초점 검출 영역을 포함하도록 소정 범위를 설정하고, 그 소정 범위를 주요 피사체가 존재하는 화상 영역으로 추정한다.
예를 들면, 현재 선택중인 초점 검출 영역을 포함한 범위로부터, 「콘트라스트 판정으로부터 판단되는 초점맞춤범위」나 「에지(화면 프레임도 포함한다)에 둘러싸인 영역」을 선별하여, 주요 피사체의 화상 영역으로 추정해도 좋다.
단계 S15 :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추정한 주요 피사체의 화상 영역을 마 스크하는 2치화 비트 맵을 생성하고, ROI 영역으로 하여 ROI 설정부(27)로 설정한다.
도 4(B)는, 가이드 표시(50)로부터 생성되는 ROI 영역(5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가이드 표시(50)의 인형 전체를 ROI 영역(51)으로 한다.
한편, 도 5(A)는, 현재 선택중인 초점 검출 영역(60)으로부터 생성되는 ROI 영역(6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현재 선택중인 초점 검출 영역(60)를 포함한 소정 영역을 ROI 영역(61)으로 한다.
단계 S16 : 계속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추정한 주요 피사체의 화상 영역을 타일 구분의 경계가 통과하지 않도록, 타일 구분의 사이즈와 오프셋을 결정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결정한 타일 구분의 사이즈 및 오프셋을, 타일 처리부(21)로 설정한다.
도 4(C)는, 가이드 표시(50)로부터 생성되는 타일(5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가이드 표시(50)의 얼굴 부분에 타일 구분의 경계가 통과하지 않도록, 타일(52)을 설정한다.
한편, 도 5(B)는, 현재 선택중의 초점 검출 영역(60)으로부터 생성되는 타일(6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현재 선택중인 초점 검출 영역(60)이 타일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도록, 타일(62)을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ROI 영역 및 타일의 설정을 완료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단계 S20으로 동작을 이행한다.
단계 S17 : 여기서는, 태블릿 조작을 검지했기 때문에, 마이크로 프로세서 (39)는, 사용자가 표시 화면상을 손가락 등으로 접촉하여, 주요 피사체의 범위 지정을 실시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태블릿부(41)를 통하여, 손가락 등의 접촉 궤적을 읽어낸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이 접촉 궤적에 따라서, ROI 영역 및 타일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궤적이 거의 닫힌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이 닫힌 영역을 ROI 영역(53)으로 설정한다. 또한, 타일 구분의 경계가 이 닫힌 영역을 통과하지 않도록,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타일 구분의 사이즈 및 오프셋을 설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궤적이 거의 직선형상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이 접촉 궤적을 대각선으로 하는 직사각형을 구하여, 이 직사각형에 내접하는 닫힌 영역(인형, 타원, 직사각형 등)을 ROI 영역(54)으로 설정한다. 또한, 타일 구분의 경계가 이 닫힌 영역을 통과하지 않도록,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타일 구분의 사이즈 및 오프셋을 설정한다.
한편, 인형의 입력에 대해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궤적을 대각선으로 하는 직사각형의 종횡(縱橫))비에 따라서, 인형의 패턴수를 적절히 조정한다. 이에 따라, 복수 인원수만큼의 인형을 신속, 간단하고 용이하게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ROI 영역 및 타일의 설정을 완료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39) 는 단계 S20으로 동작을 이행한다.
단계 S18 : 여기서는, 십자 키의 조작을 검지했기 때문에, 마이크로 프로세 서(39)는, 사용자가 십자 키를 조작하여, 주요 피사체의 범위 지정을 실시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영역 구분을 나타내는 그리드의 표시를 표시부(40)에 지시한다. 표시부(40)는, 도 7(A)이나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의 퀵 뷰 표시에 겹쳐 그리드를 표시한다.
단계 S19 : 사용자는, 십자 키(66)의 상하 좌우를 누르는 것에 의해, 그리드의 구획에 따라서 포커스(커서)를 이동시킨다. 이 때, 사용자는, 십자 키(66)의 중앙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현재 포커스가 있는 영역을 선택한다. 이 영역 선택을 1회만 받아들임으로써,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내의 특정의 구획(사선 해칭의 영역)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영역 선택을 여러 차례 반복함으로써, 도 7(B)에 사선 해칭으로 나타내는 복잡한 형상의 영역을 입력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이렇게 선택된 영역을 ROI 영역(67, 68)으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타일 구분의 경계가 이 영역을 통과하지 않도록, 타일(69)의 사이즈와 오프셋을 설정한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ROI 영역(71)의 범위나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70)를, 십자 키의 조작에 의해 이동 또는 확대 축소함으로써, ROI 영역(71)의 영역 지정을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9)는, 타일 구분의 경계가 ROI 영역(71)을 통과하지 않도록, 타일(72)의 사이즈와 오프셋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ROI 영역 및 타일의 설정을 완료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39) 는 단계 S20으로 동작을 이행한다.
단계 S20 : 화상압축부(18)는, 설정된 ROI 영역 및 타일 구분에 따라서, JPEG2000에 준거한 화상 압축을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래와 같은 판단 재료를 구사하여, ROI 영역 및 타일 구분을 설정할 수 있다.
(1) 가이드 표시
(2) 현재 선택중인 초점 검출 영역
(3) 태블릿부(41)의 영역 입력
(4) 십자 키에 의한 영역 지정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복수의 판단재료(1)∼(4)를 조작 상황에 따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생각에 따른 주요 피사체를 종래보다도 확실하게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결과, 보다 적절한 주요 피사체에 맞추어 ROI 영역 및 타일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주요 피사체의 압축 열화를 확실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실시형태의 보충 사항]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JPEG2000에 준거한 화상 압축을 실시하는 케 이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ROI부호화나 타일 단위에 화상 압축을 실시하는 것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십자 키에 의한 영역 지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도 2의 단계 S19). 그러나, 본 발명의 조작부는 십자 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자 카메라의 줌 버튼이나 릴리즈 버튼 등의 조작부를, 영역 지정의 조작부에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ROI영역(여기서는 주요 피사체로 추정되는 화상 영역)을 선택적으로 RAW 데이터의 형식으로 기록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신호중에서, 특정의 색성분(예를 들면, 인물의 피부색 성분)을 검출하여, 검출한 특정색성분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을 영역 설정해도 좋다. 이러한 동작에서는, 주요 피사체의 화면내 위치를 특정색성분에 의해서 검출하고, ROI 영역이나 타일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카메라가, 특정색성분의 검출에 의해서 ROI 영역이나 타일을 자동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는 ROI 영역이나 타일을 별도로 입력할 필요가 없어져, 촬영 행위에 전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술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 카메라에 이용 가능한 기술이다.

Claims (9)

  1.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제 1 의 해상도를 가지는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의 선정을 지원하는 보조 표시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보조 표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는 화상 영역을, 상기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하고, 선정한 상기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을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상기 제 1 의 해상도보다 큰 제 2 의 해상도를 가지는 기록용 화상 데이터에 반영시켜서 화상 압축하는 압축처리부 및,
    사용자에 의한 촬영 대상의 종류 선택에 따라, 추천 구도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표시를 결정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에, 상기 가이드 표시를 합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압축처리부는, 상기 가이드 표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는 화상 영역을,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한 다음,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 화면 내로부터 초점 검출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초점 검출 영역의 피사체에 상기 촬영 렌즈의 초점을 맞추게 하는 초점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에, 초점 검출 영역의 선택 상태를 합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압축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초점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 영역을,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한 다음,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 미리 정해진 영역 구분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화상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영역 구분의 선택 상태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합성하여 표시하며,
    상기 압축처리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선택된 화상 영역을,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한 다음,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합성 표시되는 화상 영역의 범위 및/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화상 영역의 지정을 받아들이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처리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지정된 상기 화상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을 선정한 다음,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6. 삭제
  7.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기록을 위한 촬상 개시를 지시하는 릴리즈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릴리즈부에 의한 지시 전에,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피사체 모니터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압축에 사용하는 ROI 영역 및/또는 타일의 선정을 지원하는 보조 표시를 합성하여 표시하며,
    상기 압축처리부는, 상기 보조 표시에 대응하여 상기 릴리즈부에 의한 지시전에 선정되는 화상 영역을, 상기 ROI 영역 및/또는 타일에 선정한 다음, 상기 릴리즈부에 의한 지시에 의해서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8.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처리부는, JPEG2000에 준거한 화상 압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처리부는, JPEG2000에 준거한 화상 압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KR20067000028A 2003-07-03 2004-06-23 전자 카메라 KR100858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90981 2003-07-03
JP2003190981A JP4218446B2 (ja) 2003-07-03 2003-07-03 電子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893A KR20060039893A (ko) 2006-05-09
KR100858749B1 true KR100858749B1 (ko) 2008-09-16

Family

ID=3356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00028A KR100858749B1 (ko) 2003-07-03 2004-06-23 전자 카메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61748B2 (ko)
EP (1) EP1670253B1 (ko)
JP (1) JP4218446B2 (ko)
KR (1) KR100858749B1 (ko)
CN (1) CN100542280C (ko)
WO (1) WO20050044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41A1 (ko) * 2017-07-21 2019-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압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6778C (zh) * 2005-05-20 2009-03-04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手机中大图片mms使用roi图像压缩进行编辑处理的方法
JP4977996B2 (ja) * 2005-10-28 2012-07-18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4649320B2 (ja) * 2005-11-28 2011-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045125B2 (ja) * 2006-03-15 2012-10-10 株式会社ニコン 被写体追尾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4110178B2 (ja) 2006-07-03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8199378A (ja) * 2007-02-14 2008-08-28 Sony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03881A (ja) * 2007-06-25 2009-01-08 Toshiba Corp 情報選択装置及び情報選択方法
US8497928B2 (en) 2007-07-31 2013-07-30 Palm, Inc. Techniques to automatically focus a digital camera
JP5101399B2 (ja) * 2008-06-02 2012-1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340091B2 (ja) * 2008-12-19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193031A (ja) * 2009-02-17 2010-09-02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5054063B2 (ja) * 2009-05-07 2012-10-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カメラ、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8723988B2 (en) * 2009-07-17 2014-05-13 Sony Corporation U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to control magnification and capture of digital images by an electronic device
JP5359762B2 (ja) * 2009-10-15 2013-12-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906427B2 (ja) * 2011-06-28 2016-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
JP5903658B2 (ja) 2011-06-28 2016-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TWI488487B (zh) * 2011-10-18 2015-06-11 Acer Inc 利用手勢調整視訊影像壓縮的方法
JP5826612B2 (ja) 2011-11-18 2015-12-02 株式会社キーエンス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3077236A1 (en) * 2011-11-21 2013-05-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oding apparatus, image coding method, image decoding apparatus, image deco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094540B2 (en) * 2012-12-13 2015-07-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cing image on imager in multi-lens cameras
JP2014150476A (ja) * 2013-02-04 2014-08-21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9654680B2 (en) * 2013-10-17 2017-05-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46856B1 (ko) 2013-12-31 2020-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특성 기반의 촬영 모드 제시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촬영 장치.
KR20160024143A (ko) * 2014-08-25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824315B2 (en) * 2015-05-29 2020-11-03 Canon Medical Systems Corporatio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JP6750194B2 (ja) 2015-06-19 2020-09-02 ソニー株式会社 医療用画像処理装置、医療用画像処理方法、及び、医療用観察システム
JP6737253B2 (ja) * 2017-09-05 2020-08-05 株式会社デンソー 画像処理装置
US11082620B2 (en) 2018-09-26 2021-08-03 Qualcomm Incorporated Zoomed in region of interes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568A (ja) 1997-10-31 1999-05-21 Fuji Photo Film Co Ltd タッチパネル操作式カメラ
JP2001208960A (ja) * 2000-01-26 2001-08-03 Nikon Corp カメラ
JP2002152558A (ja) * 2000-11-13 2002-05-24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2271790A (ja) * 2001-03-07 2002-09-20 Nikon Corp 画像圧縮装置、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3143463A (ja) * 2001-11-06 2003-05-16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9552B2 (ja) 1992-03-18 1998-10-08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画像符号化処理方法および画像復号化処理方法
JP3392474B2 (ja) 1992-10-02 2003-03-31 株式会社東芝 切貼り編集を含む画像の処理装置
JP3305480B2 (ja) 1994-02-28 2002-07-22 京セラ株式会社 画像符号化・復号化装置
JPH07288806A (ja) 1994-04-20 1995-10-31 Hitachi Ltd 動画像通信システム
US6501853B1 (en) * 1994-06-27 2002-12-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data
JP3155895B2 (ja) 1994-11-04 2001-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信号符号化の方法及び画像信号符号化装置
JPH08205144A (ja) 1995-01-20 1996-08-09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
MY121607A (en) 1995-07-10 2006-02-28 Hyundai Curitel Inc Grid moving method of object imag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compaction/motion estim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apparatus thereof
KR100235064B1 (ko) 1996-05-23 1999-12-15 전주범 재배열된 블록 기반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의 물체영역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
JPH11215498A (ja) 1998-01-27 1999-08-0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6178204B1 (en) * 1998-03-30 2001-01-23 Intel Corporation Adaptive control of video encoder's bit allocation based on user-selected region-of-interest indication feedback from video decoder
JP3538324B2 (ja) 1998-07-07 2004-06-14 株式会社リコー 電子スチルカメラ、電子スチルカメラの動画撮影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US7130454B1 (en) * 1998-07-20 2006-10-31 Viisage Technology, Inc. Real-time facial recognition and verification system
JP2002064709A (ja) * 2000-06-06 2002-02-2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と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686854B2 (ja) 2000-12-08 2011-05-25 株式会社ニコン 画像符号化装置、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US6904176B1 (en) * 2001-09-19 2005-06-07 Lightsurf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iled multiresolution encoding/decoding and communication with lossless selective regions of interest via data reuse
AU2003215648A1 (en) * 2002-03-18 2003-09-29 Universitatsklinikum Charite, Medizinische Fakultat Der Humboldt-Universitat Zu Berlin Virtual microscope device and method
US20030210803A1 (en) * 2002-03-29 2003-11-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7121469B2 (en) * 2002-11-26 2006-10-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processing of digital imag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568A (ja) 1997-10-31 1999-05-21 Fuji Photo Film Co Ltd タッチパネル操作式カメラ
JP2001208960A (ja) * 2000-01-26 2001-08-03 Nikon Corp カメラ
JP2002152558A (ja) * 2000-11-13 2002-05-24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2271790A (ja) * 2001-03-07 2002-09-20 Nikon Corp 画像圧縮装置、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3143463A (ja) * 2001-11-06 2003-05-16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41A1 (ko) * 2017-07-21 2019-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압축 방법
US11516482B2 (en) 2017-07-21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image compress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04523A1 (en) 2006-05-18
EP1670253A4 (en) 2008-08-13
US7561748B2 (en) 2009-07-14
EP1670253B1 (en) 2012-05-30
KR20060039893A (ko) 2006-05-09
JP2005027076A (ja) 2005-01-27
CN100542280C (zh) 2009-09-16
WO2005004488A1 (ja) 2005-01-13
CN1817044A (zh) 2006-08-09
EP1670253A1 (en) 2006-06-14
JP4218446B2 (ja)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749B1 (ko) 전자 카메라
KR101114205B1 (ko) 화상 부호화 방법, 촬상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3966461B2 (ja) 電子カメラ装置
KR101380614B1 (ko) 화상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장치
USRE42978E1 (en) Image capturing device
US20040212843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electronic camera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20735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combined image
US20080198247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02000590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digital camera, and program
JP200827846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
US7012641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method, memory involving differential compression of display region based on zoom operation or speed
US6832001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O2009122759A1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媒体
JP5156982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21591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1333430A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206479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コード、記憶媒体
JP414323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JP3897253B2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465073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35990A (ja) 画像選択装置
JP200925358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247088B2 (ja) ノンインターレース画像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0122393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JP2004229074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