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260B1 -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260B1
KR100857260B1 KR1020080043376A KR20080043376A KR100857260B1 KR 100857260 B1 KR100857260 B1 KR 100857260B1 KR 1020080043376 A KR1020080043376 A KR 1020080043376A KR 20080043376 A KR20080043376 A KR 20080043376A KR 100857260 B1 KR100857260 B1 KR 100857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fabric
louver
curtain
fabric lou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철
Original Assignee
차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0226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5726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차기철 filed Critical 차기철
Priority to KR102008004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260B1/ko
Priority to CA 2723450 priority patent/CA2723450C/en
Priority to BRPI0912576 priority patent/BRPI0912576A2/pt
Priority to US12/988,930 priority patent/US9140061B2/en
Priority to PCT/KR2009/002246 priority patent/WO2009136703A1/ko
Priority to AU2009245034A priority patent/AU2009245034B2/en
Priority to DE112009001009T priority patent/DE112009001009T5/de
Priority to CN2009101359947A priority patent/CN101575937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망사로 형성된 커튼부(10) 일면에 일정 폭을 가지는 직물루버(20)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되, 상기 직물루버(20)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따라 커튼부(10)와 제직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 직물루버(20)의 상단에 루버고리(100)를 고정하며, 각 루버고리(100)를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에 적용한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상기 루버고리(100) 및 직물루버(20)의 회전으로 채광을 조절하되, 상기 커튼부(10)를 통해 빛을 차단하면서 공기가 유통이 용이한 것이다.
제직, 버티컬 블라인드, 경사, 위사, 텐터기, 일체, 저융점 섬유

Description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 the united vertical blind by weaving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망사로 형성된 커튼부 일면에 일정 폭을 가지는 직물루버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되, 상기 직물루버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따라 커튼부와 일체 된 제직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 직물루버의 상단에 루버고리를 고정하며, 각 루버고리를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에 적용한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상기 루버고리 및 직물루버의 회전으로 채광을 조절하되, 상기 커튼부를 통해 빛을 차단하면서 공기가 유통이 용이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 및 블라인드는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태양광의 차단, 외부의 시선 차단, 방음, 방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실용성 이외에도 내부의 벽이나 유리와 조화될 수 있는 색채의 배합에 따라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는 실내장식의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그 예로 블라인드 중에서 버티컬 블라인드는, 일정 폭으로 판 형상을 가지는 루버(louver)를 수직 방향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루버의 회전으로 채광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루버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에 고정하며, 상기 캐리어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우징과 그 하부에서 회전 가능한 루버고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루버 고리에 루버가 고정되어, 상기 버티컬 블라인드는 두 개의 조정줄이 구성되어, 하나의 조정줄은 상기 고정된 루버를 180도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하나는 루버가 레일을 따라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는, 조정줄을 이용하여 구성된 루버 모두 회전하여 전체적으로 면 형태를 형성하면 빛을 차단하며, 상기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루버를 90도로 회전한 뒤, 모든 루버를 슬라이딩하여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이동시키면 빛이 모두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문헌 1]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20-0261897호
상기 [문헌 1]에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 1]의 내용을 살펴보면 ‘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작동에 의해 절첩 전개 및 정역 회전하도록 된 각 트래블러에 블라인드의 상단에 고정된 클립을 결합 설치한 것에 있어서, 일정한 폭과 길이로 된 커튼띠의 양측에 블라인드를 접착 고정시켜 커튼블라인드를 형성한 것과, 상기 커튼블라인드를 수직으로 병렬 설치하되 인접하는 한 쌍의 블라인드를 커튼띠가 서로 접촉되도록 당접시키고, 당접된 한쌍의 블라인드의 상단과 하단을 통상의 걸이편이 형성된 상측클립과 별도의 하측클립으로 결속 결합시킨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블라인드’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우선, 일반적인 버티컬 블라인드는, 루버에 의해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는 외부의 공기가 실내와 유통되기 어려운 구조이고, 빛이 유입된 상태에서는, 버티컬 블라인드의 구조에 의해 공기가 유통되지만 빛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햇빛을 차단하면서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지는 형태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1]과 같이, 커튼띠를 블라인드와 연결한 구조에 의해 커튼 겸용의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현하고 있으나, 상기 [문헌 1]에 개시된 버티컬 블라인드는 커튼띠에 의해 버티컬 블라인드가 커튼 역할을 겸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커튼 역할을 하는 커튼띠는 공기가 유통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상기 블라인드를 연결하기 위해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측 클립과 하측 클립이 필요하므로, 많은 부품이 필요하고, 제조 및 조립에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므로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커튼띠와 블라인드는 재질이 다르게 형성되므로 버티컬 블라인드가 심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버티컬 블라인드를 일정 면적을 가지는 망사로 형성된 커튼부 일면에 일정 폭을 가지는 직물루버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하되, 상기 직물 루버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따라 커튼부와 제직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 직물루버의 상단에 루버고리를 고정하며, 각 루버고리를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에 적용한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상기 루버고리 및 직물루버의 회전으로 채광을 조절하되, 상기 커튼부를 통해 빛을 차단하면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부를 제직하면서 직물루버는 커팅 구간을 반복되게 제직하여 직물루버의 일측 오픈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각 일체부 사이의 커튼부와 직물루버는 제직에 의해 동시에 일체로 형성되며,상기 커튼부와 직물루버는, 공급된 경사와 위사에 의해 일정 폭으로 동시에 제직되는데, 우선 일정 폭의 커튼부는 공급된 경사와 위사에 의해 일정 폭으로 제직하고, 이와 동시에 제직되는 직물루버는 위사 공급을 중단하여 경사가 드러나도록 하는 커팅 구간을 일정 폭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커팅구간을 반복되게 제직하여 전체적인 블라인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방법으로 제직된 상기 블라인드부는 상기 커팅 구간의 드러난 경사를 샤링머신으로 제거함에 따라, 상기 직물루버의 일단은 일체부에 의해 커튼부에 고정되고, 상기 루버직물의 타단은 샤링머신으로 경사가 제거됨에 따라 직물루버의 오픈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직물루버의 단면은 ‘
Figure 112008041145614-pat00001
’형의 단면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직물루버 내부에 판형의 슬랫이 인입되어, 직물루버의 형태를 유지하고, 내구성을 높이도록 한다.
또, 상기 커튼부와 직물루버의 일체부의 위사에는 저융점 섬유가 사용되어, 상기 블라인드부를 텐터기에 통과하면서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화로 블라인드부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부는 경사 12가닥 단위로 직물루버 3개마다 반복하는 패턴을 가지도록 제직 함으로서, 제직된 블라인드부의 제직이 용이하고, 블라인드부의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튼부 및 일체부의 위사에는 고무사가 합사되어 블라인드부의 주름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블라인드부를 제직하는 경사 및 위사는 방염처리가 된 방염사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직된 블라인드부에 방염 처리를 하여, 제조된 버티컬 블라인드가 화재에 안전하도록 한다.
추가로, 상기 직물루버에 연결되어 이웃하는 양쪽 커튼부를 겹쳐 박음 처리하여, 블라인드부의 블라인드 조립 후에 커튼부가 원만한 호의 형태로 형성하여 심미성을 높이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티컬 블라인드를 일정 면적을 가지는 망사로 형성된 커튼부 일면에 일정 폭을 가지는 직물루버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되, 상기 직물루버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따라 커튼부와 일체된 제직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 직물루버의 상단에 루버고리를 고정하며, 각 루버고리를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에 적용한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상기 루버고리 및 직물루버의 회전으로 채광을 조절하되, 상기 커튼부를 통해 빛을 차단하면서 공기의 유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부를 제직하면서 직물루버는 커팅 구간을 반복되게 제직하여 직물루버의 일측 오픈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각 일체부 사이의 커튼부와 직물루버는 제직에 의해 동시에 제직하되, 상기 커튼부와 직물루버는 공급된 경사와 위사에 의해 일정 폭으로 동시에 제직되는데, 우선 일정 폭의 커튼부는 공급된 경사와 위사에 의해 일정 폭으로 제직하고, 이와 동시에 제직되는 직물루버는 위사 공급을 중단하여 경사가 드러나도록 하는 커팅 구간을 일정 폭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커팅구간을 반복되게 제직하여 전체적인 블라인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방법으로 제직된 상기 블라인드부는 상기 커팅 구간의 드러난 경사를 샤링머신으로 제거함에 따라, 상기 직물루버의 일단은 일체부에 의해 커튼부에 고정되고, 상기 루버직물의 타단은 샤링머신으로 경사가 제거됨에 따라 직물루버의 오픈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직물루버의 단면은 ‘
Figure 112008041145614-pat00023
’형의 단면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직물루버 내부에 판형의 슬랫이 인입되어, 직물루버의 형태를 유지하고,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커튼부와 직물루버의 일체부의 위사에는 저융점 섬유가 사용되어, 상기 블라인드부를 텐터기에 통과하면서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화로 블라인드부의 형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부는 경사 12가닥 단위로 직물루버 3개마다 반복하는 패턴을 가지도록 제직 함으로서, 제직된 블라인드부의 제직이 용이하고, 블라인드부의 구조의 형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튼부 및 일체부의 위사에는 고무사가 합사되어 블라인드부의 주름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블라인드부를 제직하는 경사 및 위사는 방염처리가 된 방염사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직된 블라인드부에 방염 처리를 하여, 제조된 버티컬 블라인드가 화재에 안전한 효과가 있다.
추가로, 상기 직물루버에 연결되어 이웃하는 양쪽 커튼부를 겹쳐 박음 처리 하여, 블라인드부의 블라인드 조립 후에 커튼부가 원만한 호의 형태로 형성하여 심미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망사로 형성된 커튼부(10) 일면에 일정 폭을 가지는 직물루버(20)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되, 상기 직물루버(20)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따라 커튼부(10)와 제직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 직물루버(20)의 상단에 루버고리(100)를 고정하며, 각 루버고리(100)를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에 적용한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상기 루버고리(100) 및 직물루버(20)의 회전으로 채광을 조절하되, 상기 커튼부(10)를 통해 빛을 차단하면서 공기가 유통이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되, 먼저, 제직으로 일체된 구조의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티컬 블라인드는 커튼부(10)와 상기 커튼부(1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직물루버(20)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부(50)가 구성되어, 상기 블라인드부(50)가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의 적용되는 구조이며,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는 상기 블라인드부(50)의 구조에 따라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를 가지고, 추가로 블라인드부(50)의 제작 과정에 의해 제 3실시예를 가지는데, 먼저, 블라인 드부(50)에 대한 구조에 따른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를 순차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의 구조를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는 일정 면적의 커튼부(10)에 일정 폭을 가지는 직물루버(20)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직물루버(20)는 상기 커튼부(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직물루버(20)는 그 길이 방향의 일단 가장자리를 따라 커튼부(10)에 일체로 결합이 되며,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로, 직물루버(20)의 폭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직물루버(20)가 고정되며, 상기 커튼부(10)에 다수개의 직물루버(20)가 고정되어 블라인드부(50)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직물루버(20)의 폭은 각 직물루버(20) 간격과 같이 형성되어, 상기 블라인드부(50)의 단면이 온전한 일(一)자 단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직물루버(20)의 폭은 직물루버(20)의 간격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도3의 (a) 및 도9에 도시한 단면도와 같이, 직물루버(20)가 이웃하는 직물루버(20)에 겹치도록 형성하여, 빛 차단에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제 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의 구조를 도3 및 도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는 커튼부(10)에 직물루버(20)가 결합된 구조는 동일하되, 상기 직물루버(20)가 내부가 빈 구조의 주머니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직물루버(20)는,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
Figure 112008041145614-pat00003
’형의 단면을 형성한 구조의 블라인드부(50)를 형성한다.
이렇게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를 이용하여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하되, 상기 블라인드부(50)는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에 적용되는데,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를 설명하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를 구성하되, 상기 캐리어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는 루버고리(100)로 구성하며, 두 개의 조정줄이 구성되어, 하나의 조정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일측 또는 양측으로 모이도록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조정줄에 의해 루버고리(100)를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그래서, 상기 통상 버티컬 블라인드의 구조에서,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의 경우에는 상기 구비된 블라인드부(50)의 각 직물루버(20)의 일단을 고정하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하며, 제 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의 경우에는 상기 직물루버(20) 내부에 각각 보강판을 삽입하여 제직으로 일체된 구조의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한다.
이어서, 상기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작 방법을 도6의 공정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되, 우선, 블라인드부 제직 공정(S1)은,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를 제직으로 공정으로, 그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블라인드부(50)는 제직을 통해 일체로 구성하고, 그 제직은 경사와 위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위사는 각 부분에 맞게 각각 공급되고, 경사는 상 기 커튼부(10)와 직물루버(20)의 제직을 위해 경사 12가닥이 사용되는 패턴이 3개의 직물루버(20)에 걸쳐 반복되게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경사 12가닥 단위로 직물루버(20) 3개 마다 반복되는 패턴으로 사용되어, 커튼부(10), 직물루버(20) 및 일체부(30)에 걸쳐 사용되되, 상기 12가닥은 직물루버(20) 3개를 단위로 반복되는 패턴을 가진다.
또한, 상기 직물루버(20)와 커튼부(10) 만나는 부분을 일체부(30)로 명명하고,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부(50)에서 직물루버(20)의 커튼부(10) 측을 후면부(22), 상기 후면부(22) 맞대는 면을 전면부(21), 또한, 상기 후면부(22)와 전면부(21)가 만나는 부분을 결합부(23)라 명명하며, 상기 경사 12개를 임의로 A~L로 지칭하여, 상기 각 제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직물루버(20), 커튼부(10), 일체부(30)에 이용되는 경사의 12가닥의 패턴을 다음 [표1] 및 [표 2]에 각각 나타내었다.
경사
단계 명칭 A B C D E F G H I J K L
1 커튼부
직물루버
일체부
2 커튼부
직물루버
일체부
3 커튼부
직물루버
일체부
위에 도시한 [표1]은, 공정도의 1단계 내지 3단계에도 나타나 있는 것을 더 이해하기 쉽게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단계는 직물루버(20) 한폭이 형성되는 단계로써, 총 3단계가 반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직기에서의 각 위사는 측면에서 별도로 공급되며, 경사는 12가닥이 반복되는 패턴을 보이되, 1단계에서는, 커튼부(10)에서는 12가닥 중에서, A, B, C, D, E, F, G, H, 즉, A~H에 해당하는 경사가 사용되고, 직물루버(20)에서는 I, J, K, L, 즉 I~L에 해당하는 경사가 사용되며, 일체부(30)에서는 모든 경사, 즉 A~H 경사가 사용되어 조밀한 형태를 보인다.
그리고 2단계에서는, 커튼부(10)에는 E, F, G, H, I, J, K, L, 즉, E~L에 해당하는 경사가 사용되고, 직물루버(20)에는 A, B, C, D에 해당하는 경사가 사용되며, 일체부(30)에서는 모든 경사, 즉 A~H 경사가 사용되어 조밀한 형태를 보인다.
또한, 3단계에서는, 커튼부(10)에는 A, B, C, D, I, J, K, L, 즉, A~b, I~L에 해당하는 경사가 사용되며, 직물루버(20)에서는 E, F, G, H, 즉 E~H에 해당하는 경사가 사용되며, 일체부(30)에서는 모든 경사, 즉 A~H 경사가 사용되어 조밀한 형태를 보인다.
이렇게 1단계 내지 3단계를 거치면서, 경사가 각각에 반복되어 쓰이면서, 도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튼부(10)와 각 직물루버(20) 사이에는 각 일체부(30)에 의해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경사
단계 명칭 A B C D E F G H I J K L
1 커튼부
직물루버 전면부
후면부
결합부
일체부
2 커튼부
직물루버 전면부
후면부
결합부
일체부
3 커튼부
직물루버 전면부
후면부
결합부
일체부
또한, 제 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의 제직을 설명하면, 이는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른 제직 과정 중에서 직물루버(20)의 경사가 전면부(21)와 후면부(22)에 사용되는 경사로 나뉘고, 구조적 특징상 결합부(23)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결합부(23)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의 각 단계에 직물루버(20)에 보인 경사의 패턴을 가지되, 1단계에서는 직물루버(20)의 전면부(21)에서는 경사 I, J 가 사용되고, 후면부(22)에서는 K, L이 사용되며, 결합부(23)에서는 경사 I, J, K, L 이 사용된다.
그리고 2단계에서 직물루버(20)의 전면부(21)에는 경사 A, B가 사용되고, 후면부(22)에는 C, D 가사용되며, 결합부(23)에서는 경사 A, B, C, D가 사용되며, 3단계에서, 직물루버(20)의 전면부(21)에서는 E, F가 사용되고, 후면부(22)에서 G, H가 사용되며, 결합부(23)에서는 E, F, G, H가 사용된다.
이렇게, 제 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에서도, 1단계 내지 제 3단계를 반복하여 블라인드부(50)를 형성하며, 이러한 블라인드부(50)는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튼부(10)와 각 직물루버(20) 사이에는 공간을 형성하고, 각 직물루버(20)도, 각 전면부(21)와 후면부(22) 및 결합부(23) 및 일체부(30)에 의해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참고로, 상기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직물루버(20)의 결합부(23)는, 동시에 각각 제직하는 전면부(21)와 후면부(22)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물루버(20)의 절단으로 오픈되는 바깥쪽의 결합부(23)는 반드시 제직하여야 하나, 커튼부(10)와 연결.이음 되는 결합부(23)는, 일체부(30)에 의해 매듭지어지므로 생략이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경사 A 내지 L은 경사 12가닥 단위로 임의로 주어지는 것으로, 상기 경사가 상기 알파벳 순으로 경사가 순차로 배열된다는 의미는 아니며(제직기 의 경사 세팅시에 경사가 상기 알파벳 순으로 배열되어 제직된다는 의미는 아니며), 상기 각 경사는 상기 3단계에 따라, 커튼부(10), 직물루버(20), 일체부(30)가 상기 단계에 의해 교차되어 제직함에 따라, 낭비 없이 최적의 블라인드부(50) 단면 형태를 형성한다.
추가로, 제 3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를 도8 내지 도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는, 상기 제 1실시예의 블라인드부(50)의 제직 구조, 즉, 커튼부(10)와 직물루버(20)를 동시에 일정 폭으로 제직하고, 이어 일체부(30)를 반복적으로 가지는 제직 구조를 가지되, 도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체부(30)와 다음 일체부(30) 사이에, 커튼부(10)와 직물루버(20)에 각각 위사와 경사가 각각 모두 공급되도록 각각 일정 폭으로 제직하고, 이어 커튼부(10)는 위사가 계속 공급되어 제직하는 동안, 상기 직물루버(20′)의 위사 공급을 차단하여 경사가 일면으로 일렬로 일정 폭으로 드러나는 커팅 구간(C)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블라인드부(50)와 같이, 직물루버(20)가 두 겹으로 제직하는 경우를 도10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커튼부(10)와 직물루버(20), 즉, 커튼부(10)와 전면부(21)와 후면부(22) 및 결합부(23)를 모두 별도의 경사와 위사를 공급하여 제직한 후에, 이어서, 커튼부(10)와 직물루버(20′)를 제직하되, 상기 커튼부(10)는 경사와 위사를 공급하여 제직하고, 동시에, 상기 결합부(23) 다음으로는 위사의 공급을 차단하여, 결합부(22)에 이어지는 직물루버(20′)에는 경사가 일정폭으로 드러나는 커팅 구간(C)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의 제직 구조는, 상기 커튼부(10)와 직물루버(20)를 동시에 제직하고, 이어 커튼부(10)는 그대로 제직하되, 상기 직물루버(20′)로의 위사 공급을 중단하여, 경사가 그대로 제직되는 방향으로 드러나는 커팅 구간(C)을 형성하며, 이어 일체부(30)가 제직되는 구조이며, 상기 각 커팅 구간(C)에, 경사가 드러나는 면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직된 블라인드부(50)의 한면으로 통일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커팅 구간(C)의 경사가 드러나는 면은, 상기 빛을 차단하게 되는 직물루버(20′)가 커튼부(10)에 대해 반대편에 형성하여, ‘
Figure 112008033226312-pat00004
’또는, ‘
Figure 112008033226312-pat00005
’의 단면을 반복적으로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의 구조는 후에 이어지는 절단 및 마감 공정(S3)에서, 상기 드러난 경사의 샤링이 용이하므로,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 따라 제직된 블라인드부(50)의 직물루버(20)의 절단에 의한 공정보다 제작이 빠르고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각 사용되는 경사 및 위사의 재질과 그 굵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경사는 합성섬유 실로 구성되며, 그 굵기는 50∼150D(D=denier, 섬유의 굵기 단위)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커튼부(10)의 위사는 저융점 섬유 실로 구성되며, 그 굵기는 그 굵기는 50∼150D로 형성한다.
그리고 직물루버(20)를 이루는 위사는 합성섬유 실과 저융점 섬유 실, 즉, 두 개의 실로 구성되며, 합성 섬유 실의 굵기는 270∼350D로 형성하고, 저융점 섬유 실의 굵기는 50∼150D로 구성한다.
또한, 일체부(30)의 위사는 합성섬유 실과 저융점 섬유 실, 즉, 두 개의 실로 구성되며, 그 굵기는 합성섬유 실의 굵기는 280∼350D로 구성하고, 저융점 섬유 실의 굵기는 50∼150D로 구성하며, 제 3실시예의 커팅 구간(C)에 적용하는 경사, 위사는 상기 커튼부(10)와 직물루버(20)에 사용한 경사 및 위사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하는 블라인드부(50)의 경사 및 위사의 굵기 및 그 재질을 다음 [표3]에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명칭 재질 굵기(D) 비고
커튼부 경사 합성섬유 실 50∼150
위사 저융점 섬유 실 50∼150
직물루버 경사 합성섬유 실 50∼150
위사 합성섬유 실 270∼350 두 개의 실로 구성
저융점 섬유 실 50∼150
일체부 경사 합성섬유 실 50∼150
위사 합성섬유 실 208∼350 두 개의 실로 구성
저융점 섬유 실 50∼150
또한, 상기 각 블라인드부(50)의 위사에 사용되는 저융점 섬유 실은, 170 내지 220℃ 의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 섬유로 만들어진 실이며, 이렇게 위사에 저융점 섬유 실을 사용하는 이유는, 저융점 섬유의 특성상 그 융점에서 경사인 합성섬유 실과 접합이 되므로, 각 제직 구조의 형태를 유지하고, 외력을 가하더라도 그 형태가 변하지 않으므로, 상기 구조로 제직된 블라인드부(50)는 이어지는 폭 세팅 공정(S2)에서 텐터기에서 170 내지 220℃의 온도를 가하여 융착을 통해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저융점 섬유 실은, 순수하게 저융점 섬유로 이루어진 저융점 섬유 실을 사용하거나, 또는 단면 중심에는 합성섬유사로 형성하고, 외부는 저융점 섬유로 이루어진 저융점 섬유 실을 사용하거나, 또는, 저융점 섬유로 이루어진 실과 합성섬유사를 꼬아 만든 저융점 섬유 실을 사용하는데, 다시 말하면, 저융점 섬유 실은 어떤 형태로든 저융점 섬유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커튼부(10)와 일체부(30)에 포함되는 위사는 고무사와 합사(커버링)하여 제직 후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커튼부(10)는 망사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블라인드부(50)는 화재에 안전하도록 하는데, 방염처리를 별도로 하지 않더라도, 상기 블라인드부(50)에 사용하는 각 경사 및 위사에 사용되는 실은, 방염 처리가 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직된 블라인드부(50)를 이어지는 폭 세팅 공정(S2) 전에 통상의 방염액을 투입하는 방염 처리를 한다.
이어서, 폭 세팅 공정(S2)을 설명하면, 상기 블라인드부(50)를 텐터기(tenter, 직물 등의 양 가장자리를 받치면서 진행하여 열을 가해서 폭을 가지런히 하고 천을 넓히면서 폭을 맞추는 기계)에 통과하여, 폭을 맞추고(이때 폭을 맞추면서 통상의 텐터기는 폭 방향으로 절단이 이루어진다), 텐터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통해 상기 사용되는 경사, 위사 특성으로 인한 열융착으로 블라인드부(50)의 각 부분을 열 고정하도록 한다.
이어서 절단 및 마감 공정(S3)은, 상기 폭 세팅된 블라인드부(50)를 통상 사용할 높이로 맞추어 절단하고, 도7의 각 점선 표시로 된 부분, 즉, 각 직물루버(20)의 일측의 막힌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블라인드부(50)의 각 직물루버(20)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트이도록 하며, 또한, 각 가장자리를 올이 풀리지 않도록 마감하는 공정이다.
상기 블라인드부(50)의 직물루버(20)의 일측을 절단하는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의 경우에는, 각 직물루버(2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부(30)와 직물루버(20) 사이를 따라 절단하며, 제 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는 각 직물루버(20) 일측 가장자리의 결합부(23)와 일체부(30) 사이를 따라 절단하여, 각 직물루버(20)의 일단이 트이도록 한다.
아울러, 제 3실시예의 절단 방법은, 상기 커팅 구간에 경사가 드러나도록 블라인드부(50)를 고정하고, 상기 커팅 구간(C)에 드러난 직물루버(20′)의 경사를 잘라 제거하는데, 이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팅 구간(C)의 직물루버(20′)의 드러난 경사의 중간 부분을 따라 절단하고, 상기 블라인드부(50)로 바람을 불어내고, 상기 커팅 구간에 드러난 경사를 따라 잘라내는데, 이때 샤링기(샤링 머신, shearing machine)을 사용하여 커팅 구간(C)에 드러난 경사를 샤링(절단)하며, 상기 샤링에 의한 위사 제거로, 직물루버(20)는 일체부(30)를 따라 고정되고, 그 타측은 떨어져 오픈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 3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물루버(20)의 폭이, 이웃하는 각 직물루버(20) 사이 거리보다 짧게되므로, 블라인드의 조립으로, 커튼부(10)가 커브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부(50)는 블라인드로 조립 후에는, 직물루버(20) 사이의 커튼부(10)가 커브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커튼부(10)의 커브는, 직물루버(20)의 반대편으로 돌출되도록 원만한 호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블라인드부(50)의 제직 과정 및 제직 방향으로 인해, 커튼부(10)는 커브가‘S’자 태를 형성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 절단 및 마감 공정(S3)에서는,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물루버(20)과 커튼부(10)의 경계 부분의 커튼부(10)를 따라 박음 처리를 한 박음부(11)를 형성하면, 상기 박음부(11)에 의해 커튼부(10)가 모두 바깥쪽을 향하게 되므로, 상기 블라인드부(50)의 블라인드 조립 후에도 커튼부(10)가 원만한 호의 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부(50)의 가장자리 마감은, 열융착으로 각 올이 풀리지 않아서 별도의 마감이 필요 없으나, 깨끗하지 못한 부분을 다듬어 정리하는 정도로 마감하거나 또는, 블라인드부(5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른 천으로 감싸면서 고정하는 방법(바이어스 처리) 등이 있다.
이어지는 조립 공정(S4)은, 상기 완성된 블라인드부(50)를 통상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에 조립하여 버티컬 블라인드를 완성하는 공정으로, 통상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앞서 설명되어 있음)에서 상기 블라인드부(50)의 각 직물루버(20) 일측에 루버고리(100)를 고정하여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한다.
추가로, 상기 조립 공정(S4)에서는, 상기 루버고리(100)를 고정한 뒤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된 직물루버(20) 타단에 웨이트(60)를 고정하여 직물루버(2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립 공정(S4)에서 적용되는 블라인드부(50)가, 제 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50)일 경우에는, 도4 및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직물루버(20)에는 판형의 슬랫(40)을 넣어, 직물루버(20)의 하단, 또는 양단을 막도록 하며, 상기 슬랫(40)은, 합성수지, 목재, 금속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슬랫(40)의 면과 직물루버(20) 내면과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하여, 슬랫(40)이 인입된 직물루버(20)는 평면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한 버티컬 블라인드는, 보통 창에 고정하여 사용하며, 빛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물루버(20)를 커튼부(10)와 같이 평평하게 구성하여 빛을 완전히 차단하고, 상기 빛을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 직물루버(20)를 90도 회전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커튼부(10)에 의해 빛이 일부 차단된 상태에서 외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환기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상태에서 직물루버(20)를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이동하면 빛이 완전히 유입되는 구조이다.
이렇게 구성한 버티컬 블라인드는, 상기 직물루버의 각도를 조절하여 채광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커튼부(10)의 사용으로 빛을 차단하면서 환기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블라인드부(50)는 일체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직물루버(20)의 꼬임이 없고, 그 관리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더욱이, 상기 직물루버(20)에는 그림이나 글자, 문양 등을 형성하면, 심미성을 높이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에 포함된 블라인드부의 사시도.
도 3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슬랫이 포함된 버티컬 블라인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에 포함된 웨이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 제작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7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및 제 2실시예에 따라 제직된 블라인드부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제직된 블라인드부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제직되어 1겹의 직물루버를 가지는 블라인드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제직되어 2겹의 직물루버를 가지는 블라인드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제직된 블라인드부의 평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제직된 블라인드부를 샤링하는 과정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박음부를 형성한 블라인드부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박음부를 형성한 블라인드부의 평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커튼부 20 : 직물루버
30 : 일체부 40 : 슬랫
50 : 블라인드부

Claims (13)

  1. 공지된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를 가지는 버티컬 블라인드에 있어서,
    망사로 형성된 커튼부(10)와,
    상기 커튼부(10)와 같은 높이를 가지고,‘
    Figure 112008041145614-pat00024
    ’형의 단면 구조를 가진 직물루버(20)가 일체로 제직 되어 구성하되,
    상기‘
    Figure 112008041145614-pat00025
    ’형의 단면 구조를 가진 각 직물루버(20)은, 길이 방향의 일단을 따라 커튼부(10)와 제직으로 일체되게 일체부(30)를 형성하면서 제직되며, 이들 직물루버(20)은 커튼부(10)의 폭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커튼부(10)와 직물루버(20)가 제직으로 일체된 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직물루버(20) 내부에는 판형의 슬랫(40)이 인입되고, 그 하단은 막힌 구조로 형성되어, 판형의 슬랫(40)에 의하여 직물루버(20)의 형태의 유지가 용이하게 하며,
    상기 직물루버(20)과 커튼부(10)의 표면은 방염 처리가 이루어진 블라인드부(50)를 구성하여,
    상기 블라인드부(50)의 각 직물루버(20) 상단을 통상 블라인드 구조의 루버고리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차광과 통풍이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부(10) 및 일체부(30)의 위사에는 고무사가 합사되어,
    블라인드부의 주름 발생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3. 삭제
  4. 커튼부(10)와, 상기 커튼부(10)와 같은 높이를 가진 직물루버(20)를 제직으로 일체로 제직하되, 상기 각 직물루버(20)은 그 폭의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커튼부(10)와 제직으로 일체되는 일체부(30)가 형성되어, 커튼부(10)와 직물루버(20) 사이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커튼부(10)에 직물루버(20)를 다수개 형성하도록 제직하는 블라인드부 제직 공정(S1);
    상기 제직된 블라인드부(50)를 텐터기로 통과하고, 블라인드부(50)의 열고정하고, 폭을 맞추는 폭 세팅 공정(S2);
    상기 폭 세팅된 블라인드부(50)를 통상 사용할 높이로 맞추어 절단하고, 각 직물루버(20)의 폭 방향의 일단 길이 방향의 따라 절단하여, 블라인드부(50)의 각 직물루버(20)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트이도록 하고, 각 가장자리를 올이 풀리지 않도록 마감하는 절단 및 마감 공정(S3);
    상기 마감한 블라인드부(50)의 각 직물루버(20)의 일단을 통상 버티컬 블라인드 구조에 속하는 루버고리(100)에 고정하여 조립하는 조립 공정(S4)으로 버티컬 블라인드를 완성하여,
    채광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부 제직 공정(S1)에서 직물루버(20)의 커튼부(10)는 망사로 제직하여,
    통풍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부(10)와 직물루버(20)를 경사는, 굵기 50∼150D의 합성섬유 실로 구성하고,
    상기 커튼부(10)를 형성하는 위사는 저융점 섬유 실로 형성되며, 그 굵기는 50∼150D로 구성하며,
    상기 직물루버(20)를 구성하는 위사는, 굵기 50∼150D의 저융점 섬유 실과, 280∼350D 굵기의 합성 섬유 실로 구성하고,
    상기 일체부(30)를 구성하는 위사는 굵기 50∼150D의 저융점 섬유 실과, 280∼350D 굵기의 합성 섬유 실로 구성하고,
    상기 블라인드부(50)에 사용되는 저융점 섬유는 그 융점이 170 내지 220℃인 것이 사용되어,
    블라인드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부(10) 및 일체부(30)의 위사에는 고무사가 합사되어,
    블라인드부의 주름 발생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의 제조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부 제직 공정(S1)에서, 상기 각 일체부(30)를 사이에 둔 커튼부(10)와 직물루버(20)은 공급된 경사와 위사에 의해 동시에 제직되며, 그 중 커튼부(10)는 공급된 경사와 위사에 의해 제직하고, 직물루버(20′)의 위사 공급을 중단하여 경사가 드러나도록 하는 커팅 구간(C)을 형성하며,
    상기 절단 및 마감 공정(S3)에서, 상기 커팅 구간(C)의 드러난 경사를 샤링하여 제거하여,
    블라인드부의 제작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및 마감 공정(S3)에서는, 직물루버(20)에 연결되어 이웃하는 양쪽 커튼부(10)을 겹쳐 박음 처리를 하여,
    블라인드의 심미성을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10. 제 4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부 제직 공정(S1)에서, 블라인드부(50)는 경사와 위사에 의해 제직되되,
    상기 블라인드부(50)에 사용하는 경사는, A, B, C, D, E, F, G, H, I, J, K 및 L로 이루어지는 12가닥으로 반복되는 경사가 3개의 직물루버(20)에 걸쳐 3단계로 반복되는 패턴을 가지되,
    커튼부(10)에서는 12가닥 중에서, A, B, C, D, E, F, G, H의 경사가 사용되고, 직물루버(20)에서는 I, J, K, L의 경사가 사용되며, 일체부(30)에서는 A~H 경사가 사용되는 1단계;
    커튼부(10)에서는 E, F, G, H, I, J, K, L의 경사가 사용되고, 직물루버(20)에는 A, B, C, D의 경사가 사용되며, 일체부(30)에서는 A~H 경사가 사용되는 2단계;
    커튼부(10)에서는 A, B, C, D, I, J, K, L의 경사가 사용되며, 직물루버(20)에서는 E, F, G, H의 경사가 사용되며, 일체부(30)에서는 모든 경사, 일체부(30)에서는 A~H 경사가 사용되는 3단계;
    로 이루어져, 직물루버(20)가 ‘一’자 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11. 제 4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부 제직 공정(S1)에서는, 블라인드부(50)는 경사와 위사에 의해 제직되되,
    상기 블라인드부(50)에 사용하는 경사는, A, B, C, D, E, F, G, H, I, J, K 및 L로 이루어지는 12가닥으로 반복되는 경사가 3개의 직물루버(20)에 걸쳐 3단계로 반복되는 패턴을 가지며,
    직물루버(20)의 단면을 ‘
    Figure 112008033226312-pat00007
    ’의 단면을 형성한 구조를 형성되어, 커튼부(10) 쪽의 전면부(21)와 그 타면의 후면부(22)를 구성하고, 후면부(22)와 결합부(23)가 함께 제직되는 결합부(23)를 구성하되,
    커튼부(10)에서는 12가닥 중에서, A, B, C, D, E, F, G, H의 경사를 사용하고, 일체부(30)에서는 A~H 경사를 사용하며, 직물루버(20)의 전면부(21)에서는 경사 I, J 가 사용되고, 직물루버(20)의 후면부(22)에서는 K, L이 사용되며, 직물루버(20)의 결합부(23)에서는 경사 I, J, K, L를 사용하는 1단계;
    커튼부(10)에서는 E, F, G, H, I, J, K, L의 경사가 사용되고, 일체부(30)에서는 A~H 경사를 사용하며, 직물루버(20)의 전면부(21)에서는 경사 A, B가 사용되고, 직물루버(20)의 후면부(22)에서는 C, D 가 사용되며, 직물루버(20)의 결합부(23)에서는 A, B, C, D를 사용하는 2단계;
    커튼부(10)에서는 A, B, C, D, I, J, K, L의 경사가 사용되며, 일체부(30)에서는 A~H 경사를 사용하며, 직물루버(20)의 전면부(21)에서는 경사 E, F가 사용되 고, 직물루버(20)의 후면부(22)에서는G, H가 사용되며, 직물루버(20)의 결합부(23)에서는 경사E, F, G, H를 사용하는 3단계; 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 공정(S4)에서, 상기 커튼부(10)의 내부에 판형의 슬랫(40)이 인입하여,
    상기 직물루버의 형태 유지가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12. 제 4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라인드부 제직 공정(S1) 다음으로는,
    제직된 블라인드부(50)를 방염 처리하여,
    화재에 안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13. 제 4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및 마감 공정(S3)에서는,
    상기 블라인드부(50)에 그림이나 글자와 같은 문양을 형성하여,
    심미성을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1020080043376A 2007-11-28 2008-05-09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7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376A KR100857260B1 (ko) 2007-11-28 2008-05-09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CA 2723450 CA2723450C (en) 2008-05-09 2009-04-29 Vertical blind united by weaving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BRPI0912576 BRPI0912576A2 (pt) 2008-05-09 2009-04-29 persiana vertical unida por tecelagem e método de fabricação dela
US12/988,930 US9140061B2 (en) 2008-05-09 2009-04-29 Vertical blind united by weaving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PCT/KR2009/002246 WO2009136703A1 (ko) 2008-05-09 2009-04-29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AU2009245034A AU2009245034B2 (en) 2008-05-09 2009-04-29 Vertical blind which is integrated by weaving,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DE112009001009T DE112009001009T5 (de) 2008-05-09 2009-04-29 Durch Weben zusammengefügte Vertikaljalousie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ese
CN2009101359947A CN101575937B (zh) 2008-05-09 2009-05-08 编织成一体的立式百叶窗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1899 2007-11-28
KR1020070121899 2007-11-28
KR1020080043376A KR100857260B1 (ko) 2007-11-28 2008-05-09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260B1 true KR100857260B1 (ko) 2008-09-08

Family

ID=4002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376A KR100857260B1 (ko) 2007-11-28 2008-05-09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26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057B1 (ko) 2009-04-22 2009-08-20 신장희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100932651B1 (ko) 2009-01-29 2009-12-21 김동식 바 삽입형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KR101013788B1 (ko) 2010-06-25 2011-02-14 김기형 차광 커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27017B1 (ko) * 2010-06-08 2011-04-08 손영태 커튼일체형 버디컬 블라인드
KR101032855B1 (ko) 2009-03-09 2011-05-06 김동식 자카드직기로 제직되는 바 삽입형 블라인드지 및 그의 제직방법
KR101173355B1 (ko) 2010-04-23 2012-08-10 김동식 이중직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KR101181721B1 (ko) 2011-03-15 2012-09-19 성경원 자석부착형 커튼블라인드
KR101188470B1 (ko) 2010-05-28 2012-10-05 김경화 두개의 빔으로 제직하며 개폐경사를 포함하는 바 삽입형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KR101204167B1 (ko) * 2008-09-27 2012-11-22 차기철 제직과 봉제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KR101506253B1 (ko) 2013-12-11 2015-03-26 하재현 일체제직형 버티컬 블라인드
KR20160018125A (ko) 2014-08-08 2016-02-17 이병우 버티칼용 블라인드 및 그 구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97Y1 (ko) 2001-09-04 2002-01-2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279209Y1 (ko) 2002-04-04 2002-06-22 박금례 블라인드 조립체
KR200386802Y1 (ko) 2005-03-14 2005-06-1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97Y1 (ko) 2001-09-04 2002-01-2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279209Y1 (ko) 2002-04-04 2002-06-22 박금례 블라인드 조립체
KR200386802Y1 (ko) 2005-03-14 2005-06-1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167B1 (ko) * 2008-09-27 2012-11-22 차기철 제직과 봉제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KR100932651B1 (ko) 2009-01-29 2009-12-21 김동식 바 삽입형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KR101032855B1 (ko) 2009-03-09 2011-05-06 김동식 자카드직기로 제직되는 바 삽입형 블라인드지 및 그의 제직방법
KR100913057B1 (ko) 2009-04-22 2009-08-20 신장희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101173355B1 (ko) 2010-04-23 2012-08-10 김동식 이중직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KR101188470B1 (ko) 2010-05-28 2012-10-05 김경화 두개의 빔으로 제직하며 개폐경사를 포함하는 바 삽입형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KR101027017B1 (ko) * 2010-06-08 2011-04-08 손영태 커튼일체형 버디컬 블라인드
WO2011155675A1 (ko) * 2010-06-08 2011-12-15 Son Youngtae 커튼일체형 버디컬 블라인드
KR101013788B1 (ko) 2010-06-25 2011-02-14 김기형 차광 커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81721B1 (ko) 2011-03-15 2012-09-19 성경원 자석부착형 커튼블라인드
KR101506253B1 (ko) 2013-12-11 2015-03-26 하재현 일체제직형 버티컬 블라인드
KR20160018125A (ko) 2014-08-08 2016-02-17 이병우 버티칼용 블라인드 및 그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260B1 (ko)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US8950462B2 (en)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KR100876183B1 (ko) 커튼지원단 및 그의 창문차단장치
KR100959028B1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CA2513417C (en) Window covering having faces of parallel threads
AU2009245034B2 (en) Vertical blind which is integrated by weaving,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0911052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KR100988591B1 (ko) 일측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02068191A (zh) 具有带的整体纺织型三维帘布织物及其制造方法
KR101009180B1 (ko)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커튼지에서 직물부와 스트링의 고정 구조를 위한 제직 방법 및 그 제직 방법으로 제직된 고정 구조
KR101638517B1 (ko) 콤비 롤블라인드용 일체제직 콤비 블라인드지
KR101204167B1 (ko) 제직과 봉제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KR101202484B1 (ko) 제직과 커팅으로 만들어지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지
KR20120104131A (ko) 개폐종방실 작동이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101798334B1 (ko) 망사 허니콤 블라인드
KR100988592B1 (ko)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6529A (ko) 후방 바탕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및 그의 롤블라인드
KR101052194B1 (ko) 연결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KR20120131922A (ko) 해중합 리사이클 직물과 고주파 접합으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의 제조방법
KR101855956B1 (ko) 밴드타입 입체 커튼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77665B1 (ko) 일체제직형 버티컬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4511A (ko) 개폐종방실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KR101403695B1 (ko)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KR101784097B1 (ko)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AU2012201436B2 (en) The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918

Effective date: 20150331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430

Effective date: 20151217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112

Effective date: 201604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220

Effective date: 201605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504

Effective date: 201606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452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622

Effective date: 201612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