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802Y1 -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802Y1
KR200386802Y1 KR20-2005-0006806U KR20050006806U KR200386802Y1 KR 200386802 Y1 KR200386802 Y1 KR 200386802Y1 KR 20050006806 U KR20050006806 U KR 20050006806U KR 200386802 Y1 KR200386802 Y1 KR 200386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blind
blinds
opaque
opaqu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태웅
Original Assignee
변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태웅 filed Critical 변태웅
Priority to KR20-2005-0006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8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802Y1/ko
Priority to PCT/KR2006/000660 priority patent/WO2006098555A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7Lamellae suspensions ; Bottom weights; Bottom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창문의 내측에 설치되어 햇빛 가리게 용으로 사용되어지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투광부 및 불투광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커튼블라인드를 이용하여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각 트래블러에 커튼블라인드의 상단과 고정된 클립을 체결하여 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작동에 의해 커튼블라인드(17)가 절첩 전개 또는 정, 역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튼블라인드(17)를 망사형태로 이루어진 투광부(17a) 및 상기 투광부의 양측에 일체로 직조되어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불투광부(17b)로 구성하고 상기 커튼블라인드(17)는 일측의 불투광부(17b)가 인접하는 다른 불투광부와 맞닿도록 하여 이를 상측클립(20)으로 트래블러에 체결하고 커튼블라인드(17)를 이루는 불투광부(17b)의 하단에는 커튼블라인드(17)가 하방으로 처지도록 하는 웨이트(27)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omitted}
본 고안은 유리창문의 내측에 설치되어 햇빛 가리게 용으로 사용되어지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투광부 및 불투광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커튼블라인드를 이용하여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유리창문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모터를 이용하는 자동화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블라인드는 햇빛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거나, 실내의 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동 버티컬 타입 블라인드는, 레일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동력장치가 작동되면 레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절첩·전개장치의 작동에 의해 블라인드가 절첩·전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블라인드는 방향전환장치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면서 개폐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블라인드의 상단에 장착되는 상측지지편은 상기 절첩·전개장치와 방향전환장치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트래블러에 걸려져 있고, 블라인드의 하단에 형성된 주머니에는 하중편이 삽입되어 있으며, 각 블라인드의 하중편은 연결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전동 버티컬 타입 블라인드에서 블라인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광고 또는 그림을 인쇄하거나, 광고 또는 그림이 인쇄된 필름을 적정한 폭으로 절단한 다음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전동 버티컬 타입 블라인드는 블라인드를 서로 수직상태로 유지하였을 경우에는 블라인드의 사이를 통하여 실내 상태가 노출되어 개인 프라이버시가 침해당하는 경우가 발생되었고, 블라인드에 그림 또는 광고가 인쇄되어 있을 경우에 블라인드를 180도 씩 정, 역으로 회전시켜 서로 중첩시킬 때에 실외를 향하는 광고 면은 광고문구 및 그림 등이 일치하지만, 실내를 향하는 광고 면은 광고문구 및 그림 등이 일치하지 않고 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혼란스럽고 실내분위기를 해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티컬 블라인드를 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22,937호로 등록 받은 바 있다.
도 1a는 종래 버티컬 블라인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조립상태 평면도로서, 양면이 광고면(5)으로 되고 상단에는 레일의 트래블러(도시는 생략함)에 장착시켜 줄 수 있도록 상측클립(8)이 결합되는 블라인드(2)의 일 단면에 삽입구(4)가 외측으로 개방된 결속편(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속편(1)의 내부에 차폐막(6)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결속봉(7)을 결합한 후 블라인드(2)를 정, 역으로 회전시키면 실내를 향하는 불일치하는 광고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차폐막(6)에 의해 차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1)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블라인드의 결속편(3)에 차폐막(6)을 삽입시켜 주어야 하고 이 상태에서 결속봉(7)을 결합시켜 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으로 인해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또한 작업이 번거로워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음은 물론 작업성이 떨어져 공사비가 상승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결속편(3)에 삽입되는 차폐막(6)의 폭(간격)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유지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차폐막(6)의 폭이 서로 균일하지 못하여 블라인드(2)가 뒤틀리거나, 차폐막(6)에 주름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블라인드(2)의 결속편(3)에 차폐막(6)을 삽입시킨 다음 결속봉(7)을 결합할 때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작업이 번거로워 버티컬 블라인드(1)가 설치되는 현장에서 직접 조립작업을 실시하기가 용이치 못하고, 조립작업을 완전히 실시하여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부피가 매우 커지게 되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출원인은 결속편 및 결속봉을 사용하지 않고도 차폐막을 블라인드에 고정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버티컬 블라인드를 개발하여 실용신안 제261,897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도 2는 종래 버티컬 블라인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로서,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10)는 커튼블라인드(17)와 상측클립(20) 및 하측클립(3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커튼블라인드(17)는 커튼띠(15)와 블라인드(11)로 구성된다.
상기 커튼띠(15)는 통상적인 커튼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망사를 비롯하여 네트, 레이스, 직물지, 합성수지시트 등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일정한 폭과 길이로 제조(재단)하되, 폭은 블라인드(11)가 간섭 없이 자유스럽게 정, 역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설정하면 되고 길이는 설치하고자 하는 유리창의 길이에 적절하게 재단하면 된다.
상기 블라인드(1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라인드와 동일하도록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를 커튼띠(15)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상기 커튼띠(15)의 양측에 블라인드(11)를 일체형으로 접착시켜 커튼블라인드(17)로 형성시켜 주고자 할 때에는 이들을 접착제(도시는 생략함)를 사용하여 접착시켜 주면 된다.
상기 커튼블라인드(17)를 병렬로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블라인드(11)들은 접착제가 도포된 일면을 서로 당접시킨 다음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에 의해 상단과 하단을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측클립(20)은 상측이 일체형이 되도록 하고 하측은 개방형이 되도록 한 쌍의 파지편(21)(22)을 형성하였고, 상기 파지편에는 한 쌍 이상의 결속공(24)과 결속돌기(25)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되 결속돌기(25)는 파지편(22)의 내면에 형성하였으며, 일체형으로 된 상측부에는 통상의 걸이편(23)을 형성하였다.
상기 하측클립(30)은 상측클립과 거의 유사한 형태로서, 한 쌍의 파지편(31)(32)이 형성되도록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은 일체형이 되도록 형성하였고, 파지편(31)(32)에는 한 쌍 이상의 결속공(33)과 결속돌기(34)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였으며, 블라이드(1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에 형성된 결속돌기(25)(34)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결속공(13)(14)을 천공하였다.
이와 같이 각각 개별형으로 형성된 커튼블라인드(17)와 상측클립(20) 및 하측클립(30)은 상호 분리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설치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 커튼블라인드(17)와 상측클립(20) 및 하측클립(30)을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로 조립하고자 할 때에는 도 2 및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할 수 있는데, 이 때 설치현장의 조건에 따라 적절한 다른 방법으로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접어진 커튼블라인드(17)를 병렬형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서로 접층되는 커튼블라인드(17)에서 인접하되 서로 다른 커튼블라인드(17)의 블라인드(11)를 일면이 서로 당접되도록 연접시키고, 연접된 한 쌍의 블라인드(11)의 상측과 하측에는 커튼띠(15)를 중첩시킨 다음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을 장착하여 이들을 일체화하게 된다.
즉, 서로 연접된 블라인드(11)의 상측에 커튼띠(15)를 중첩시킴과 동시에 이들을 벌어져 있는 상측클립(20)의 파지편(21)(22)의 사이로 삽입시킨 다음 블라인드(11)의 상측에 형성된 결속돌기(25)를 상측의 결속공(13)에 삽입시킨 후 연속적으로 타측 파지편(21)에 형성된 결속공(24)으로 통과시키면 블라인드(11)의 상부에 커튼띠(15)의 상부가 고정된다.
또한, 연접된 블라인드(11)의 하측을 벌어져 있는 하측클립(30)의 파지편(31)(32)의 사이로 삽입시키되 결속돌기(34)를 블라인드(11)의 하측에 형성된 결속공(14)에 삽입시키고 연속적으로 타측 파지편(31)에 형성된 결속공(33)으로 통과시키면 커튼블라인드의 하부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병렬로 결합시킨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는 각 블라인드(11)를 연결시켜주는 각 상측클립(20)의 걸이편(23)을 레일에 설치된 트래블러(도시는 생략함)에 체결시켜줌으로써 설치가 완료되는데, 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작동에 의해 연접 접착된 블라인드(11)와 함께 커튼띠(15)를 절첩 전개시켜 일반적인 커튼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연접 접착된 블라인드(11)만을 180도씩 정, 역으로 회전시키면서 광고면(12)에 인쇄된 광고 또는 그림을 전개시킬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커튼 버티컬 블라인드는 인접하는 블라인드 사이에 커튼띠를 중첩한 다음 접착 고정한 후 상측클립과 하측클립으로 이들을 상호 연결하므로 규격화된 블라인드와 별도로 제조된 상측클립과 하측클립을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한 잇점은 있으나, 이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커튼블라인드가 통상의 블라인드 및 상기 블라인드에 접착 고정되는 커튼띠로 구성되어 있어 반드시 이들을 일체화하는 접착공정을 거쳐야 되었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되었음은 물론 반복 사용하는 과정에서 블라인드로부터 커튼띠가 떨어지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둘째, 블라인드사이에 접착 고정되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커튼띠가 동일 두께로 이루어져 있어 블라인드사이에 위치하는 상부가 정확하게 라운딩을 이루지 못하고 자중에 의해 처지게 되므로 채광을 하는 과정에서 엉성하게 보이게 된다.
셋째, 2개의 블라인드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하측클립을 이용하여 이들을 일체화하는 과정에서 결속공에 조립 공차가 발생될 경우에는 일측의 블라인드가 뒤틀리게 되므로 커튼띠에 주름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커튼블라인드를 양측에 불투광부를 갖으며 그 사이에는 투광부를 갖는 커튼블라인드로 하여 별도로 형성된 블라인드 및 커튼띠를 사용하지 않고도 채광은 물론이고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각 트래블러에 커튼블라인드의 상단과 고정된 클립을 체결하여 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작동에 의해 커튼블라인드가 절첩 전개 또는 정, 역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튼블라인드를 망사형태로 이루어진 투광부 및 상기투광부의 양측에 일체로 직조되어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불투광부로 구성하고 상기 커튼블라인드는 일측의 불투광부가 인접하는 다른 불투광부와 맞닿도록 하여 이를 상측클립으로 트래블러에 체결하고 커튼블라인드를 이루는 불투광부의 하단에는 커튼블라인드가 하방으로 처지도록 하는 웨이트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버티컬 블라인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커튼부재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 고안은 트래블러(도시는 생략함)에 상측클립(20)으로 체결되어 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도시는 생략함)의 작동에 의해 절첩 전개 또는 정, 역회전하는 커튼블라인드(17)가 망사형태로 이루어진 투광부(17a) 및 상기 투광부의 양측에 일체로 직조되어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불투광부(17b)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튼블라인드(17)의 불투광부(17b)는 빛의 투과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조밀하게 직조되어 있고 상기 불투광부사이에 위치하는 투광부(17a)는 빛이 투과되도록 망사형태와 같이 엉성하게 직조되어 있다.
따라서 불투광부(17b)는 소정의 두께를 갖게 되므로 종래의 블라인드와 같은 역할을 하며, 투광부(17a)는 커튼띠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지만, 종래의 커튼블라인드와는 달리 본 고안의 커튼블라인드(17)는 직조된 상태로 되어 있어 롤(roll)형태의 보빈(bobbin)에 소정의 길이(약 100-150m 정도)로 권취되어 유통되므로 인해 시공하는 과정에서 커튼블라인드의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커튼블라인드(17)는 일측의 불투광부(17b)가 인접하는 다른 불투광부와 맞닿도록 중첩시킨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상측클립(20)으로 일체화한 다음 이를 트래블러에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커튼블라인드(17)의 상측에 심지(19)가 접착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심지(19)는 커튼블라인드(17)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중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불투광부(17b)를 도 4 및 도 5와 같은 상태로 유지하므로 인해 채광을 하는 과정에서 망사형태로 이루어진 투광부(17a)의 상부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부드러운 라운딩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커튼블라인드(17)를 이루는 불투광부(17b)의 하단에는 커튼블라인드(17)가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처지도록 하는 웨이트(weight)(27)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27)는 불투광부(17b)의 하단 내부에 공간부(28)가 형성되도록 도 7과 같이 별도의 주머니(29)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28) 내에 웨이트(27)가 수용되도록 하여도 되지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투광부(17b)를 내측으로 접어 중첩된 불투광부 내에 공간부(28)가 형성되도록 레이저, 본딩 등과 같이 접착하거나, 실로 재봉하여 상기 공간부 내에 웨이트(27)가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첩되는 투광부를 절단 제거하여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창문의 높이에 따라 보빈에 감겨진 커튼블라인드(17)를 펼쳐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 커튼블라인드(17)의 상부 내측에 심지(19)를 접착 고정한 후 중첩부(26)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튼블라인드(17)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심지(19)를 고정한 상태에서 불투광부(17b)의 하단에 별도의 주머니(29)를 형성하거나, 불투광부(17b)를 중첩하여 공간부(28) 내에 웨이트(27)를 내장하고 나면 인접하는 불투광부(17b)가 상호 맞닿도록 한 후 상측클립(20)을 이용하여 이들을 일체화할 수 있도록 결속공(13)을 천공하게 된다.
상기 커튼블라인드(17)를 구성하는 불투광부(17b)(18b)의 중첩부에 결속공(13)을 천공하고 나면 상기 결속공을 통해 상측클립(20)을 끼워 이들을 일체화함과 동시에 이를 트래블러에 체결하므로써, 커튼 겸용 블라인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커튼 겸용 블라인드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본 고안의 커튼블라인드는 조밀한 형태의 불투광부 및 엉성한 형태의 투광부가 일체로 직조된 형태를 취하고 있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접착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을 극대화하게 됨은 물론 블라인드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커튼블라인드가 상호 분리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커튼블라인드의 상부에 심지를 고정한 다음 심지가 커튼블라인드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중첩부를 형성하므로 인해 망사형태를 취하는 투광부의 상부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므로 실내를 아름다운 형태로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커튼블라인드의 하부를 하측클립으로 일체화하는 종래의 블라인드와는 달리 불투광부의 하단에 웨이트를 고정하여 커튼블라인드의 하부가 자연스럽게 처지도록 되어 있어 커튼블라인드의 조립과정에서 블라인드가 뒤틀릴 염려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망사형태로 이루어진 투광부에 주름이 발생되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버티컬 블라인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조립상태 평면도
도 2는 종래 버티컬 블라인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버티컬 블라인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커튼블라인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불투광부의 하단에 주머니가 형성된 상태도
도 8은 커튼블라인드의 일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결속공 17 : 커튼블라인드
17a : 투광부 17b : 불투광부
19 :심지 20 : 상측클립
26 : 중첩부 27 : 웨이트
28 : 공간부 29 : 주머니

Claims (4)

  1. 각 트래블러에 커튼블라인드의 상단과 고정된 클립을 체결하여 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작동에 의해 커튼블라인드가 절첩 전개 또는 정, 역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튼블라인드를 망사형태로 이루어진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의 양측에 일체로 직조되어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불투광부로 구성하고 상기 커튼블라인드는 일측의 불투광부가 인접하는 다른 불투광부와 맞닿도록 하여 이를 상측클립으로 트래블러에 체결하고 커튼블라인드를 이루는 불투광부의 하단에는 커튼블라인드가 하방으로 처지도록 하는 웨이트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블라인드의 상측에 심지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심지가 커튼 블라인드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중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광부의 하단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주머니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 내에 웨이트가 수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광부를 내측으로 접어 중첩된 불투광부 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접착 또는 재봉하여 상기 공간부 내에 웨이트가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첩되는 투광부를 절단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2005-0006806U 2005-03-14 2005-03-14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386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806U KR200386802Y1 (ko) 2005-03-14 2005-03-14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PCT/KR2006/000660 WO2006098555A1 (en) 2005-03-14 2006-02-24 Vertical curtain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806U KR200386802Y1 (ko) 2005-03-14 2005-03-14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802Y1 true KR200386802Y1 (ko) 2005-06-16

Family

ID=4368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806U KR200386802Y1 (ko) 2005-03-14 2005-03-14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80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60B1 (ko) 2007-11-28 2008-09-08 차기철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0254B1 (ko) * 2009-11-11 2012-06-26 주식회사 윈플러스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클립
KR200461412Y1 (ko) 2012-04-13 2012-07-11 (주)월드브라인드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KR101181721B1 (ko) 2011-03-15 2012-09-19 성경원 자석부착형 커튼블라인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60B1 (ko) 2007-11-28 2008-09-08 차기철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0254B1 (ko) * 2009-11-11 2012-06-26 주식회사 윈플러스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클립
KR101181721B1 (ko) 2011-03-15 2012-09-19 성경원 자석부착형 커튼블라인드
KR200461412Y1 (ko) 2012-04-13 2012-07-11 (주)월드브라인드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373B2 (en) Architectural covering for windows
ES2949856T3 (es) Tela de bloqueo de la luz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la misma
US20060225846A1 (en) Segmented Roman window shade
US20080083508A1 (en) Shade construction
KR200386802Y1 (ko)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US5692550A (en) Cellular shade material
KR200405835Y1 (ko)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261897Y1 (ko)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WO2006098555A1 (en) Vertical curtain blind
KR20100052196A (ko) 버티컬 블라인드지 유니트
KR100908508B1 (ko)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제조방법
KR200441945Y1 (ko) 결속부재에 의한 결속구조를 갖는 셔터형 롤 스크린
US20190017316A1 (en) Foldable Blinds with Double Sheet Sets
KR101070606B1 (ko) 버티컬 블라인드용 커튼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4095255A (ja) プリーツスクリーン
KR101126064B1 (ko)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지
US20060180277A1 (en) Temporary covering for a window
JP6002879B2 (ja) 吊り下げ型の吸音装置
KR20170064766A (ko) 버티컬 블라인드용 단위편 및 그 제조방법
ES1063513U (es) Conjunto de cortina panel japones.
CN101874144A (zh) 包括便于遮蔽体的展示的配件的遮蔽装置和遮蔽装置与改善遮蔽装置的展示的包装的组合体
KR200242451Y1 (ko) 버티컬 블라인드 소재
KR102313180B1 (ko) 조립식 블라인드
KR200410745Y1 (ko) 롤블라인드용 웨이트의 결합구조
JP3226891U (ja) 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