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412Y1 -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412Y1
KR200461412Y1 KR2020120003023U KR20120003023U KR200461412Y1 KR 200461412 Y1 KR200461412 Y1 KR 200461412Y1 KR 2020120003023 U KR2020120003023 U KR 2020120003023U KR 20120003023 U KR20120003023 U KR 20120003023U KR 200461412 Y1 KR200461412 Y1 KR 200461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vertical blind
ring
coupled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석
Original Assignee
(주)월드브라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브라인드 filed Critical (주)월드브라인드
Priority to KR2020120003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4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8Parallel screens moving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거나 회전작동하는 각각의 기와집에 결합설치되는 버티컬블라인드를 구성한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상측에 제1설치홀이 형성된 버티컬블라인드; 상기 제1설치홀에 대응되는 제2설치홀을 형성하여 버티컬블라인드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부직포; 상기 버티컬블라인드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투명커튼; 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기와집에 결합되며, 버티컬블라인드의 설치홀에 대응되는 결합공을 형성한 상고리; 상기 제1, 2설치홀과 결합공을 통해 상고리에 결합되어 부직포가 삽입설치된 버티컬블라인드를 상고리에 고정결합하는 체결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이용하면, 내부에 버티컬블라인드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상고리의 중앙부분을 호 형상으로 돌출형성하여 상고리의 이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버티컬블라인드가 과도하게 집중되어 몰리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이를 통해 버티컬블라인드의 상, 하부 간격이 흐트러지는 현상 없이 깔끔한 형태로 버티컬블라인드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부직포를 통해 빛의 완벽한 차단은 물론, 소음의 저감과 난방의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A curtain type vertical blind}
본 고안은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버티컬블라인드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상고리의 중앙부분을 호형상으로 돌출형성하여 상고리의 이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버티컬블라인드가 과도하게 집중되어 몰리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이를 통해 버티컬블라인드의 상, 하부 간격이 흐트러지는 현상 없이 깔끔한 형태로 버티컬블라인드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부직포를 통해 빛의 와벽한 차단은 물론, 소음의 저감과 난방의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커튼은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거나, 겨울철 단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최근 들어서는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은 물론, 커튼을 친 상태에서도 외부를 볼 수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가 개발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버티컬 블라인드는 커튼이 다수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단열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 10-0384522와 같은 버티칼 타입 커텐이 개발되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티칼 타입 커텐(1)에 의하면, 날개부(2) 사이에 구성된 투명부(3)에 의해 어느 정도의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버티칼 타입 커텐(1)은 헤드레일(미도시)에 구비된 동력장치(미도시)에 의해 이송되거나 회전작동하는 각각의 기와집(미도시)에 결합되는 걸이부(4)가 날개부(2)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걸이부(4)가 끼워진 날개부(2)의 상부가 얇은 두께로 만들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해 동력장치를 통해 버티칼 타입 커텐(1)을 일측으로 이동시 걸이부(4)의 과도한 이동이 발생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가 끼워지지 않은 날개부의 하부가 걸이부가 끼워진 날개부의 상부보다 큰 부피로 부풀어 오르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실내가 지저분해 보이는 것과 같은 미관상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동에 의해 걸이부(4)의 위치가 일측으로 몰리게 된 후에는,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버티컬 타입 커텐(1)을 다시 펼쳤을 시 걸이부(4)의 간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밑으로 쳐지는 날개부(2)가 불규칙해져 수평이 유지되지 않고 뜨는 부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의 하부에 무게추(5)를 설치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미려한 외관 유지와 더불어, 원활한 설치 및 사용, 그리고, 제작단가의 상승 부담 방지를 위해 무게추(5)의 무게를 적정한도 이상으로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실질적으로 큰 기대효과를 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추(5)의 설치에 따른 제작공장의 추가로 인해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날개부(2) 사이에 형성된 투명부(3) 만으로는 우수한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얇은 날개부(2)의 두께로는 빛과 소음의 차감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는 헤드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거나 회전작동하는 각각의 기와집에 결합설치되는 버티컬블라인드를 구성한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측에 제1설치홀이 형성된 버티컬블라인드; 상기 제1설치홀에 대응되는 제2설치홀을 형성하여 버티컬블라인드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부직포; 상기 버티컬블라인드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투명커튼; 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기와집에 결합되며, 버티컬블라인드의 설치홀에 대응되는 결합공을 형성한 상고리; 상기 제1, 2설치홀과 결합공을 통해 상고리에 결합되어 부직포가 삽입설치된 버티컬블라인드를 상고리에 고정결합하는 체결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고리는, 버티컬블라인드의 외측을 감싸도록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ㄷ자 형상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기와집에 결합되는 고리; 상기 브라켓의 공간부에 연결되도록 브라켓에 관통형성되어 체결구가 결합되는 결합공;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브라켓은, 인접설치된 상고리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버티컬블라인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브라켓의 양측 중앙부분이 브라켓의 전, 후방부분보다 돌출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는 상고리에 버티컬블라인드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고리의 중앙부분이 전, 후방부분보다 돌출형성되는 구성으로 인해 동력장치를 통한 이동시 상고리가 일정한계 이상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버티컬블라인드가 과도하게 집중되어 몰리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버티컬블라인드의 상부와 하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며, 버티컬블라인드의 일정간격 유지로 인해 버티컬블라인드를 펼쳤을 시 버티컬블라인드가 뜨는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버티컬블라인드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부직포에 의해 빛의 완벽한 차단은 물론, 소음의 저감과 난방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의 버티칼 타입 커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날개부를 일측으로 밀집 이송시킨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날개부에 무게추를 설치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버티컬블라인드의 사이사이에 투명커튼이 설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부직포가 삽입설치된 버티컬블라인드와, 상고리와, 체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버티컬블라인드가 일정간격으로 펼쳐진 상태도.
도 8은 도 7의 A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버티컬블라인드가 일정간격으로 밀집되어 이송된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B부분 확대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100)는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거나, 겨울철 단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헤드레일(1)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3)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거나 회전작동하는 각각의 기와집(5)에 결합설치되는 버티컬블라인드(10)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본 고안에서는 버티컬블라인드(10)와, 부직포(20)와, 투명커튼(30)과, 상고리(40)와, 체결구(50)를 특징으로 한다.
먼저, 버티컬블라인드(10)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 같은 고분자 화합물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측에 고정설치를 위한 제1설치홀(1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설치홀(11)은 기와집(5)과 상고리(40)를 통한 블라이드(10)의 용이한 이송 및 회전작동을 위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티컬블라인드(10)는 다수로 구성되어 상고리(40)를 통해 기와집(5)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실내분위기 연출을 위해 다양한 모양의 그림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부직포(20)는 상기 버티컬블라인드(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의 빛과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난방효과를 갖도록 하는 구성으로, 고정설치를 위해 버티컬블라인드(10)의 제1설치홀(11)에 대응되는 제2설치홀(21)을 상측에 형성한다.
또한, 투명커튼(30)은 상기 버티컬블라인드(10)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통상의 구성으로, 버티컬블라인드(1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고리(40)는 상측에 고리(43)를 형성하여 상기 기와집(5)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동력장치(3)의 작동에 따라 이송 또는 회전하는 기와집(5)에 의해 연동되어 지며, 버티컬블라인드(10)의 설치홀(11)에 대응되는 결합공(44)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체결구(50)는 상기 상고리(40)에 결합되어 부직포(20)가 삽입설치된 버티컬블라인드(10)를 상고리(40)에 고정결합하는 구성으로, 상기 버티컬블라인드(10)와 부직포(20)에 각각 형성된 제1, 2설치홀(11, 21)과, 상고리에 형성된 결합공(44)을 통해 상고리(40)에 결합되어 버티컬블라인드(10)와 부직포(20)를 상고리(40)에 고정결합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50)는 상고리(40)의 결합공(44)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고리(40)의 일측에 밀착되는 밀착판(51)과, 상기 밀착판(51)에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공(44)을 관통하는 한 쌍의 축(53)과, 상기 축(53)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고리(40)의 타측에 밀착되는 쐐기(5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고리(40)는 동력장치(3)의 구동에 통해 작동하는 기와집(5)에 의해 버티컬블라인드(10)가 이송될 시, 상기 버티컬블라인드(10)가 과도하게 이동되어 버티컬블라인드(10)의 간격이 틀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룰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상고리(40)를 브라켓(42)과, 고리(43)와, 결합공(44)으로 구성함으로써 손쉽게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이때의 상기 브라켓(42)은 내부에 버티컬블라인드(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공간부(41)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42)은 하측과 전, 후방이 개방되어 형성됨으로써 ㄷ자 형성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42)은, 동력장치(3)에 구동을 통한 기와집(5)의 이송에 따라 인접설치된 상고리(40)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버티컬블라인드(1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브라켓(42)의 양측 중앙부분이 전,후방부분 보다 돌출형성되는 것 즉, 브라켓(42)의 양측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리(43)는 상기 브라켓(42)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기와집(5)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결합공(44)은 브라켓(42)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여 공간부(41)와 연결형성됨으로써 체결구(5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장치(3)를 통해 기와집(5)을 회전시켜 버티컬블라인드(10)를 90°회전 즉, 버티컬블라인드(10)의 전면이 정면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장치(3)를 통해 기와집(5)을 이송시켜 버티컬블라인드(10)를 일측으로 밀집시키면, 기와집(5)을 통해 이송되는 버티컬블라인드(10)가 서로 인접한 기와집(5)끼리 마주치는 것에 의해 과도한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무게추를 달지 않고도 일측으로 밀집되는 버티컬블라인드(10)의 상측과 하측의 이격거리가 서로 동일한 만큼만 이격되므로, 버티컬블라인드(10)의 하부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방지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버티컬블라인드(10)를 끈과 같은 도구를 통해 묶지 않고도 실내환경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장치(3)를 통해 기화집(5)을 이송시켜 버티컬블라인드(10)를 펼치면, 상기 버티컬블라인드(10)의 상부와 하부의 간격이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펼쳐지기 때문에 밑으로 쳐지는 버티컬블라인드(10)의 수평이 유지되어 뜨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버티컬블라인드(10)를 펼쳤을 시에도 깔끔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버티컬블라인드(10)에 형성된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고 깔끔하게 구현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버티컬블라인드(10)가 90°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버티컬블라인드(10) 사이사이에 설치된 투명커튼(30)에 의해 빛의 차단을 어느 정도는 이룰 수 있으나, 동력장치(3)를 통해 기화집(5)을 회전시켜 버티컬블라인드(10)를 0° 또는 180°로 회전시킴으로써 외부의 빛 차단을 완벽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버티컬블라인드(10) 내부에 부직포(30)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빛의 차단은 물론, 소음의 저감효과와, 난방의 효과도 이룰 수 있어 사용자가 더욱 쾌적한 실내활동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1 : 헤드레인 3 : 동력장치 5 : 기와집 10 : 버티컬블라인드
11 : 제1설치홀 20 : 부직포 21 : 제2설치홀 30 : 투명커튼
40 : 상고리 41 : 공간부 42 : 브라켓 43 : 고리
44 : 결합공 50 : 체결구 51 : 밀착판 53 : 축
55 : 쐐기 100 :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Claims (3)

  1. 헤드레일(1)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3)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거나 회전작동하는 각각의 기와집(5)에 결합설치되는 버티컬블라인드(10)를 구성한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측에 제1설치홀(11)이 형성된 버티컬블라인드(10);
    상기 제1설치홀(11)에 대응되는 제2설치홀(21)을 형성하여 버티컬블라인드(10)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부직포(20);
    상기 버티컬블라인드(10)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투명커튼(30);
    고리(43)를 형성하여 상기 기와집(5)에 결합되며, 버티컬블라인드(10)의 설치홀(11)에 대응되는 결합공(44)을 형성한 상고리(40);
    상기 제1, 2설치홀(11, 21)과 결합공(44)을 통해 상고리(40)에 결합되어 부직포(20)가 삽입설치된 버티컬블라인드(10)를 상고리(40)에 고정결합하는 체결구(5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고리(40)는,
    버티컬블라인드(10)의 외측을 감싸도록 내부에 공간부(41)를 형성한 ㄷ자 형상의 브라켓(42);
    상기 브라켓(42)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기와집(5)에 결합되는 고리(43);
    상기 브라켓(42)의 공간부(41)에 연결되도록 브라켓(42)에 관통형성되어 체결구(50)가 결합되는 결합공(44);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2)은, 인접설치된 상고리(40)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버티컬블라인드(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브라켓(42)의 양측 중앙부분이 브라켓(42)의 전,후방부분보다 돌출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KR2020120003023U 2012-04-13 2012-04-13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KR200461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023U KR200461412Y1 (ko) 2012-04-13 2012-04-13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023U KR200461412Y1 (ko) 2012-04-13 2012-04-13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412Y1 true KR200461412Y1 (ko) 2012-07-11

Family

ID=4713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023U KR200461412Y1 (ko) 2012-04-13 2012-04-13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41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293B1 (ko) * 2015-04-14 2018-04-16 세원섬유(주) 원단,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원단을 이용한 차광 구조물
KR20190017308A (ko) 2017-08-10 2019-02-20 배종옥 병풍 가구
KR101995455B1 (ko) 2018-07-11 2019-07-02 조준석 버티컬 타입의 블라인드
KR102259304B1 (ko) 2020-10-30 2021-06-01 (주)월드블라인드 버티컬 블라인드의 슬랫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랫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버티컬 블라인드용 슬랫
KR20220068570A (ko) 2020-11-19 2022-05-26 권영택 버티컬 커튼
KR20220068569A (ko) 2020-11-19 2022-05-26 권영택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97Y1 (ko) 2001-09-04 2002-01-2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386802Y1 (ko) 2005-03-14 2005-06-1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97Y1 (ko) 2001-09-04 2002-01-2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386802Y1 (ko) 2005-03-14 2005-06-1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293B1 (ko) * 2015-04-14 2018-04-16 세원섬유(주) 원단,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원단을 이용한 차광 구조물
KR20190017308A (ko) 2017-08-10 2019-02-20 배종옥 병풍 가구
KR101995455B1 (ko) 2018-07-11 2019-07-02 조준석 버티컬 타입의 블라인드
KR102259304B1 (ko) 2020-10-30 2021-06-01 (주)월드블라인드 버티컬 블라인드의 슬랫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랫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버티컬 블라인드용 슬랫
KR20220068570A (ko) 2020-11-19 2022-05-26 권영택 버티컬 커튼
KR20220068569A (ko) 2020-11-19 2022-05-26 권영택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412Y1 (ko)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JP5917313B2 (ja) 折畳式ボード
CN203354423U (zh) 自动升降收缩式淋浴房
CN204532003U (zh) 一种智能化水平式保温节能外遮阳系统
KR101931718B1 (ko) 이중유리 내부에 설치되는 주름 스크린식 블라인드 장치
CN209354029U (zh) 一种中空百叶玻璃窗窗框
KR101160945B1 (ko) 한지와 목재 창살을 이용한 이중 창호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02299260U (zh) 外墙保温板中部可调节安装连接件
KR20180088031A (ko) 커튼 내장형 창호
KR100635267B1 (ko) 빗물 차단판
CN203693225U (zh) 改良型窗帘
CN204839048U (zh) 一种吸盘式窗帘
CN204386427U (zh) 一种手摇平开两用百叶窗
JP3203377U (ja) あったかカーテン
KR20110002779U (ko) 방화문의 상하부 틈새막이 장치
WO2008058437A1 (fr) Porte et/ou fenêtre aluminium pour l'installation d'un rideau
CN203603642U (zh) 一种平开式门窗传动锁
CN205206625U (zh) 简易锁扣居家装饰用推拉门
KR101171171B1 (ko) 상부 창틀프레임의 밀착구조
CN205689041U (zh) 内置百叶断桥铝木内开内倒门窗系统
CN210748648U (zh) 一种升降式窗帘用遮蓬盖扣
CN209789456U (zh) 一种隔热耐用窗帘
KR101858023B1 (ko) 이중 창호 부착용 프레임
JP3178137U (ja) 折畳式ボード
CN204617846U (zh) 一体性强的柔纱帘罩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