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569A -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569A
KR20220068569A KR1020200155485A KR20200155485A KR20220068569A KR 20220068569 A KR20220068569 A KR 20220068569A KR 1020200155485 A KR1020200155485 A KR 1020200155485A KR 20200155485 A KR20200155485 A KR 20200155485A KR 20220068569 A KR20220068569 A KR 20220068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urtain
louver
rail
bli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택
Original Assignee
권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택 filed Critical 권영택
Priority to KR102020015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8569A/ko
Publication of KR2022006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8Parallel screens moving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는 양단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에 복수의 캐리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길이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레일봉을 설치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내부공간에서 왕복 이동되게 설치되고 관통된 레일봉의 수평 회전 방식이 내부에 설치된 기어 치합에 의해 클립이 수직 회전 방식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상기 클립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캐리어와 함께 이동하여 루버와 망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커튼을 연동시켜 채광을 조절하는 연결구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내부공간 단부와 일치 또는 내부공간 단부 내측으로 위치시키며 복수의 캐리어 중 제일 일단에 설치된 캐리어가 밀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Blinds to prevent gaps}
본 발명은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라인드를 양개형 또는 일개형으로 설치시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완전한 커튼의 차광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커튼의 수직 상태의 보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커튼은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거나,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 조절 및 단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최근 들어서는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은 물론, 커튼을 친 상태에서도 외부를 볼 수 있는 버티칼 커튼이 개발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버티칼 커튼은 창문 내측 상단의 천정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 내측에서 좌우 이동되는 캐리어와, 캐리어에 상단이 물린 차광루버와, 차광루버 상단이 물린 캐리어를 이동시키고 좌우 각도를 조절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막대 형태의 제어봉 또는 캐리어 이동코드 및 체인 등으로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한 버티칼 커튼의 작동 방법은 상기 제어봉을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캐리어 이동코드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차광루버가 이동하여 펼쳐지면서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여 차광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봉을 회전시키거나 체인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차광루버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차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버티컬 커튼은 차광 기능, 사생활 보호 기능, 장식, 방음 및 단열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버티컬 커튼의 경우 크게 2 가지의 단점을 갖고 있다.
첫 번째로, 종래의 버티컬 커튼은 세탁하기 위해서나, 계절 변화 및 사용자의 기호 변화에 따라 커튼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버티컬 커튼은 커튼만을 교체하기가 불가능하여 실용성과 상품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종래의 버티컬 커튼에 대한 공개된 특허들은 아래와 같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802호(고안의 명칭 : 커튼 겸용 버티컬 커튼)에서는 커튼 블라인드의 투광부(커튼재)와 불투광부(블라인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불투광부와 투광부의 상단, 하단이 클립으로 체결되어 구성되는 커튼 겸용 버티컬 커튼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커튼 겸용 버티컬 커튼은 차광 기능, 사생활 보호 기능, 장식, 방음효과 및 단열효과를 제공하는 불투광부인 커튼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불투광부의 교체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여 실용성과 상품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블라인드와 함께 설치되는 커튼을 다른 종류 또는 디자인의 커튼으로 교체할 수 있는 커튼 겸용 버티컬 커튼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40270호(발명의 명칭 : 건축물 덮개용섬유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각각의 블라인드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스트립 형태의 베인이 형성되고, 상기 베인을 상호 접속하는 시트 재료가 포함되어, 상기 각 블라인드 사이를 연결하는 시트재료에 의해 커튼을 겸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축물 덮개용 섬유체(버티컬 커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섬유체(버티컬 커튼)을 착탈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나, 커튼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각 블라인드의 베인으로부터 일일이 시트재료를 탈리한 후 블라인드의 베인에 다른 시트재료를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커튼의 교체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블라인드의 베인으로부터 시트재료가 자연적으로 미끄러져서 이탈하기 쉬우며, 기존의 커튼 제품을 전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531호(고안의 명칭 : 커튼이 부설되는 버티컬 커튼)에서는 차광연결구, 상기 차광연결구의 전면에 종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커튼체, 상기 커튼체와 차광연결구를 결속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버티컬 커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버티컬 커튼은 커튼을 착탈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제로 커튼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차광연결구와 커튼체를 분리 및 장착을 반복하여 야 하기 때문에 커튼의 교체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다.
특히,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기존의 커튼 제품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커튼의 교체가 가능한 커튼 겸용 버티컬 커튼는 커튼재 의 교환이 극히 불편하여 실용화가 매우 곤란하며, 블라인드에서 커튼재가 자연적으로 미끄러져서 이탈하기 쉽고,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기존의 커튼 제품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7101호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부 22에 커튼의 루버 11, 1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분리형으로 설치되어 커튼을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장치는 걸이용행거 110와 연결용행거 130의 사이에 루버가 위치된 상태에서 걸이용행거 110와 연결용행거 130가 맞대어 결합되어 커튼을 고정한다.
그러나, 연결장치에 설치된 제1루버 11와 제2루버 12의 상부에 각도가 어긋날 경우 제1루버 11와 제2루버 12의 하부 방향으로 어긋난 각도가 크게 발생되어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올바른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제1루버 11와 제2루버 12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상태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작업이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커튼의 수직 상태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루버마다 연결장치를 레일 내측에 안치된 캐리어에서 분리시킨 다음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를 다시 떼어내어 제1루버 11 또는 제2루버 12를 제1행어 200와 분리시킨 다음 루버들의 위치와 각도를 일치시켜야 하는 복잡하고 번거로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커튼의 수직 상태를 위한 일치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정되며, 제1루버 11와 제2루버 12의 상부의 각도가 미세하게 어긋날 경우 길이를 갖는 제1루버와 제2루버의 하부는 점진적으로 큰 각도로 벌어지면서 어긋나게 된다.
이렇게 커튼의 수직 상태의 결과는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를 결합하고 케리어에 연결한 후 상태를 살펴보는 일을 반복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연결장치와 루버를 탈부착 하는 과정에서 블라인드 커튼을 훼손하는 많은 문제점을갖고 있다.
두 번째로, 종래의 버티컬 커튼의 문제점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종래기술의 버티컬 커튼 1은 하나 이상의 지지캐리어 540들과 가이드 레일 30을 마감하는 커버 36의 두께 만큼 간섭되어 “L" 간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제일 선측에 위치한 루버를 가이드레일의 일측단 위치까지 이동시키지 못하여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티컬 커튼을 일개형 또는 양개형으로 설치할 경우 틈새 “L"의 간격이 항상 발생하게 되어 완벽한 커튼의 차단 효과를 갖을 수 없다.
특히, 버티컬 커튼을 양개형으로 설치할 경우 틈새 “L"의 간격은 더욱 벌어지게 되어 완벽한 커튼의 차단 효과를 갖을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버티컬 커튼은 루버를 펼치면 복수의 지지캐리어와 가이드레일의 개구된 단부를 막는 커버를 통해 루버를 물린 행거를 가이드레일 끝단까지 완전히 밀착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는, 커버와 지지캐리어의 간섭에 의해 연결구가 가이드레일 일측끝까지 이동시키지 못해 루버가 완전하게 펼쳐지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커튼을 단수개로 설치할 경우 벽에서 커튼을 완전히 밀착시키지 못하여 완벽한 차광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버티컬 커튼을 양개형으로 설치할 경우 상호 대칭으로 동작하여 경계 부위의 틈새가 더욱 벌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공간을 분할하거나 차광을 위한 기능 수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버티컬 커튼의 완전한 차광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특허문헌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1412호,(2012.07.0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는 커튼을 가이드레일 끝단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틈새 없이 커튼을 통한 완전한 차광을 가능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블라인드를 양개형 또는 일개형에 적용할 경우에도 연결부위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차광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는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상호 마주보게 맞대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회전에 의해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직 상태가 불일치된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상태 각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는 양단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에 복수의 캐리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길이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레일봉을 설치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내부공간에서 왕복 이동되게 설치되고 관통된 레일봉의 수평 회전 방식이 내부에 설치된 기어 치합에 의해 클립이 수직 회전 방식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상기 클립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캐리어와 함께 이동하여 루버와 망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커튼을 연동시켜 채광을 조절하는 연결구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내부공간 단부와 일치 또는 내부공간 단부 내측으로 위치시키며 복수의 캐리어 중 제일 일단에 설치된 캐리어가 밀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은 내부에 형성된 길이를 갖는 내부공간 상부 양측면에 레일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레일은 상기 내부공간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캐리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레일과, 상기 내부공간 내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2레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레일봉이 관통되는 결합공을 형성된 제1면과, 상기 제1면 상부에 절곡되어 내부공간 내부 상면에 결합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 측면에 형성되어 제1레일과 제2레일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제3면과, 상기 제2면과 제3면 사이에 형성되어 제1레일이 결합되는 제1홈과, 상기 제1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4면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캐리어 중에서 제일 일측에 위치한 캐리어에 커튼의 채광을 컨트롤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연결케리어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막대 형태의 제어봉 또는 캐리어 이동코드 및 체인 등으로 선택 적용하여 커튼의 이동 및 각도 변환, 간격유지를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를 양개형으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가이드레일의 일 측단부를 맞대어 이음하고 탄성을 갖는 연결판재의 양측에 절곡턱이 캐리어의 상부에 돌출시킨 걸림턱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를 일체로 이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는 제1행거와 제2행거로 구성되되,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상호 맞대어 결합되면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맞대어진 결합 상태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에 마주보는 면 하부에 형성된 압박부가 겹쳐진 각각의 루버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 변경을 통해 수직 배치된 각각의 루버에 대한 길이 방향의 수직 상태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기준축과 기준공을 각각 형성시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결합을 통해 기준축이 기준공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준축과 기준공의 반대 방향으로 제1행거에는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2행거에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고정나사를 통해 장공과 체결공을 연통되게 결합하여 장공의 길이만큼 제1행거와 제2행거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나사가 장공과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호 압박시켜 조정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회전된 각도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행거에는 기준공과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제2행거에는 기준축과 가이드축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박부는 제1행거 및 제2행거의 마주보는 전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압박부는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상부 보다 하부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켜 압박부로 내입된 커튼의 루버를 상기 압박부에 형성된 복수의 루버핀이 루버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는 양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파단홈을 형성시켜 양측면을 선택적인 절단을 가능하도록 하여 루버의 폭에 맞추어 제1행거와 제2행거의 폭 길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는 양단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에 복수의 캐리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길이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레일봉을 설치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내부공간에서 왕복 이동되게 설치되고 관통된 레일봉의 수평 회전 방식이 내부에 설치된 기어 치합에 의해 클립이 수직 회전 방식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상기 클립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캐리어와 함께 이동하여 루버와 망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커튼을 연동시켜 채광을 조절하는 연결구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내부공간 단부와 일치 또는 내부공간 단부 내측으로 위치시키며 복수의 캐리어 중 제일 일단에 설치된 캐리어가 밀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커튼을 가이드레일 끝단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틈새 없이 커튼을 통한 완전한 차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블라인드를 양개형 또는 일개형에 적용할 경우에도 연결부위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차광기능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는 이는, 버티컬 커튼의 위치 오류를 방지하는 동시에 커튼의 설치 이후 위치보정을 가능하도록 하여 버티컬 커튼의 관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상호 마주보게 맞대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회전에 의해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직 상태가 불일치된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상태 각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때, 종래 기술의 경우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상태가 불일치할 경우 연결장치를 이동부에서 분리한 후 연결장치의 제1행거와 제2행거를 재분리하여 제1행거와 제2행거에 붙여있는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상태를 작업자의 감각으로 조정한 후 제1행거와 제2행거를 재결합하고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재결합으로 형성된 연결장치의 고리를 이동부의 걸림구조에 연결하여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상태를 판단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일치성을 조정하기 위해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상부 부분만의 수직 일치성을 작업자의 감각으로 조절하여 루버의 전체적인 수직상태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상부에 대한 수직 상태가 미세하게 어긋날 경우하부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어긋난 각도는 더욱 가중된다.
결국, 제1루버와 제2루버에 대한 상부의 수직 상태를 작업자의 감각으로 조정하는 작업만으로는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전체적인 수직성을 일치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버티컬 커튼이 설치된 상태에서 커튼의 분리 작업 없이 조절부를 통해 손쉽게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각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비교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버티컬 커튼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가이드레일 및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가이드레일 및 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연결구를 나타낸 전면 결합사시도.
도 9b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연결구를 나타낸 후면 결합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불일치 상태를 조정하여 커튼의 각도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불일치 상태를 조정하여 커튼의 각도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단계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이니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가이드레일 및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가이드레일 및 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연결구를 나타낸 전면 결합사시도이고, 도 9b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연결구를 나타낸 후면 결합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불일치 상태를 조정하여 커튼의 각도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불일치 상태를 조정하여 커튼의 각도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단계도이다.
도 3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 10은 가이드레일 100, 캐리어 200, 연결구 300 및 커버 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가이드레일 100은 양단부가 개방된 내부공간 101에 복수의 캐리어 200을 왕복 이동시키는 레일 110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 101에 길이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레일봉 120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레일 100은 내부에 형성된 길이를 갖는 내부공간 101 상부 양측면에 레일 110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 110은 상기 내부공간 101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캐리어 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레일 111과, 상기 내부공간 101 내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2레일 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리어 200은 상기 가이드레일 100에 의해 내부공간 101에서 왕복 이동되게 설치되고 관통된 레일봉 120의 수평 회전 방식이 내부에 설치된 기어 치합에 의해 클립 210이 수직 회전 방식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복수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 200 중에서 제일 일측에 위치한 캐리어 200에 커튼 10의 채광을 컨트롤하는 제어부 18이 설치된 연결케리어 201이 더 설치된다.
상기 연결구 300은 상기 클립 210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캐리어 200과 함께 이동하여 루버 12와 망사 17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커튼 11을 연동시켜 채광을 조절한다.
상기 커버 400은 상기 가이드레일 100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내부공간 101 단부와 일치 또는 내부공간 101 단부 내측으로 위치시키며 복수의 캐리어 200 중 제일 일단에 설치된 캐리어 200이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 10은 천정에 가이드레일 100이 설치되고, 복수의 캐리어 20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캐리어 200에는 각각 연결구 300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 300은 커튼 11을 이루는 루버 12를 매달아 전체적으로 커튼 11이 캐리어 200에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중첩되어지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 100은 내부공간 101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한 레일봉 120 회전에 의해 기어 치합 방식으로 연결된 복수의 캐리어 200을 통해 연결구 300의 회전 동작이 수행된다.
이는, 상기 연결구 300을 통해 커튼 11의 루버 12를 연동시켜 채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커튼 11은 한 쌍의 루버 12와 망사 17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루버 12는 제1루버 15와 제2루버 1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루버 15와 제2루버 16 사이에 망사 17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커튼 11은 복수로 마련된 제2루버 16과 다른 커튼 10의 제1루버 15가 상호 중첩되는 방식으로 순차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루버 15와 제2루버 16가 중첩된 상부에는 연결구 300이 설치되어 제1루버 15와 이웃하는 커튼 11의 제2루버 16을 중첩 상태로 연결한다.
상기 제1행거 310 및 제2행거 320의 마주보는 전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후술 될 압박부 150은 제1행거 310와 제2행거 320의 상부 보다 하부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켜 압박부 150로 내입된 커튼 11의 루버 12를 상기 압박부 315에 형성된 복수의 루버핀 316이 루버 12를 고정시킨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 18의 이동 및 회전을 통하여 레일봉 120의 회전 및 캐리어200의 이동을 연동시켜 커튼 10의 개폐 및 채광을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막대 형태의 제어봉 또는 캐리어 이동코드 및 체인 등으로 선택 적용하여 커튼의 이동 및 각도 변환, 간격유지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티컬 커튼 1의 기술적 특징은 아래와 같다.
첫 번째는, 커튼 10을 가이드레일 30 끝단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틈새 없이 커튼 10을 통한 완전한 차광을 가능하는 기능이다.
먼저, 첫 번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커버 400은 상기 가이드레일 100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 101 단부와 일치 또는 내부공간 101 단부 내측으로 위치시키며 복수의 캐리어 200 중 제일 일단에 설치된 캐리어 200이 밀착된다.
이때, 커버 400 관통공 401에 결합된 레일봉 120의 노출 정도는 미세하고 노출된 부위에 스냅링 121을 이용하여 걸림시켜 최대한 가이드레일 100 단부에서 커버 40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하여 블라인드 10의 가이드레일 100을 양개형 형태로 연이어 설치하거나, 벽면에 맞대어 설치하고자 할 경우 가이드레일 100의 단부가 밀착되고 연결대상의 가이드레일 100에 설치된 캐리어 200의 상호 간격도 최대한 근접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연결 부위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400은 상기 레일봉 120이 관통되는 관통공 401을 형성된 제1면410과, 상기 제1면 410 상부에 절곡되어 내부공간 101 내부 상면에 결합되는 제2면420과, 상기 제1면 410 측면에 형성되어 제1레일 111과 제2레일 112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제3면 430과, 상기 제2면 420과 제3면 430 사이에 형성되어 제1레일이 결합되는 제1홈과, 상기 제1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4면으로 구성한다.
결국, 커버의 제2면 420, 제3면 430, 제4면 440이 가이드레일 100의 내부공간 101의 3개의 내부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결합성을 긴밀하게 하여 레일봉 1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10을 양개형으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가이드레일 100의 일측 단부를 맞대어 이음하고 탄성을 갖는 연결판재 130의 양측에 걸림턱 131이 캐리어 200의 상부에 돌출시킨 걸림턱 102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10를 일체로 이음시킬 수 있다.
두 번째는, 루버 11의 수직 상태가 불일치된 경우 행거의 조작에 의해 루버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직 상태가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구 300는 제1행거 310과 제2행거 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 300는 제1행거 310과 제2행거 320이 상호 맞대어 결합되면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맞대어진 결합 상태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제1행거 310과 제2행거 320에 마주보는 면 하부에 형성된 압박부 315가 겹쳐진 각각의 루버 12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행거 310과 제2행거 320의 각도 변경을 통해 수직 배치된 각각의 루버 12에 대한 길이 방향의 수직 상태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행거 310과 제2행거 320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기준축 311과 기준공 321를 각각 형성시켜 제1행거 310과 제2행거 320의 결합을 통해 기준축 311이 기준공 321에 결합한다.
상기 제1행거 310에는 기준공 321과 가이드공 322이 형성되고, 제2행거 320에는 기준축 311과 가이드축 314이 형성된다.
이는, 기준축 311과 기준공 321을 기점으로 제1행거 310과 제2행거 320이 상호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행거 310과 제2행거 320의 각도 변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는 아래와 같다.
상기 기준축 311과 기준공 321의 반대 방향으로 제1행거 310에는 장공 318을 형성하고, 상기 제2행거 320에는 체결공 323을 형성하여 고정나사 319를 통해 장공318과 체결공 323을 연통되게 결합하여 장공 318의 길이만큼 제1행거 310와 제2행거 320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렇듯, 상기 고정나사 319가 장공 318과 체결공 323에 결합되어 상호 압박시켜 조정된 제1행거 310와 제2행거 320의 회전된 각도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행거 310과 제2행거 320는 양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파단홈 317을 형성시켜 양측면을 선택적인 절단을 가능하도록 하여 루버 12의 폭에 맞추어 제1행거 310과 제2행거 320의 폭 길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커튼을 가이드레일 끝단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틈새 없이 커튼을 통한 완전한 차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블라인드를 양개형 또는 일개형에 적용할 경우에도 연결부위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차광기능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는 이는, 버티컬 커튼의 위치 오류를 방지하는 동시에 커튼의 설치 이후 위치보정을 가능하도록 하여 버티컬 커튼의 관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블라인드
11 : 커튼 12 : 루버
14: 루버 15 : 제1루버
16 : 제2루버 17 : 망사
18: 제어부 100 ; 가이드레일
101 : 내부공간 102 : 걸림턱
110 : 레일 111 : 제1레일
112 : 제2레일 120 : 레일봉
121 : 스냅링 130 : 연결판재
131 : 절곡턱 200 : 캐리어
201 : 연결캐리어 202 : 연결대
210 : 클립 220 : 바퀴
230 : 기어 300 : 연결구
310 : 제1행거 311 : 기준축
312 : 절개홈 313 : 고정돌기
314 : 가이드축 315 : 압박부
316 : 루버핀 317 : 파단홈
318 : 장공 319 : 고정나사
320 : 제2행거 321 : 기준공
322 : 가이드공 323 : 체결공
324 : 고리 400 : 커버
401 : 관통공 410 : 제1면
420 : 제2면 430 : 제3면
440 : 제4면 450 : 제1홈
460 : 마감커버

Claims (11)

  1. 양단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에 복수의 캐리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길이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레일봉을 설치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내부공간에서 왕복 이동되게 설치되고 관통된 레일봉의 수평 회전 방식이 내부에 설치된 기어 치합에 의해 클립이 수직 회전 방식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상기 클립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캐리어와 함께 이동하여 루버와 망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커튼을 연동시켜 채광을 조절하는 연결구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내부공간 단부와 일치 또는 내부공간 단부 내측으로 위치시키며 복수의 캐리어 중 제일 일단에 설치된 캐리어가 밀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내부에 형성된 길이를 갖는 내부공간 상부 양측면에 레일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레일은,
    상기 내부공간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캐리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레일과,
    상기 내부공간 내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2레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레일봉이 관통되는 결합공을 형성된 제1면과,
    상기 제1면 상부에 절곡되어 내부공간 내부 상면에 결합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 측면에 형성되어 제1레일과 제2레일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제3면과,
    상기 제2면과 제3면 사이에 형성되어 제1레일이 결합되는 제1홈과,
    상기 제1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4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 중에서 제일 일측에 위치한 캐리어에 커튼의 채광을 컨트롤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연결케리어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막대 형태의 제어봉 또는 캐리어 이동코드 및 체인 등으로 선택 적용하여 커튼의 이동 및 각도 변환, 간격유지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를 양개형으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가이드레일의 일 측단부를 맞대어 이음하고 탄성을 갖는 연결판재의 양측에 절곡턱이 캐리어의 상부에 돌출시킨 걸림턱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를 일체로 이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제1행거와 제2행거로 구성되되,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상호 맞대어 결합되면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맞대어진 결합 상태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에 마주보는 면 하부에 형성된 압박부가 겹쳐진 각각의 루버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 변경을 통해 수직 배치된 각각의 루버에 대한 길이 방향의 수직 상태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기준축과 기준공을 각각 형성시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결합을 통해 기준축이 기준공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상기 기준축과 기준공의 반대 방향으로 제1행거에는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2행거에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고정나사를 통해 장공과 체결공을 연통되게 결합하여 장공의 길이만큼 제1행거와 제2행거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나사가 장공과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호 압박시켜 조정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회전된 각도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거에는 기준공과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제2행거에는 기준축과 가이드축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제1행거 및 제2행거의 마주보는 전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압박부는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상부 보다 하부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켜 압박부로 내입된 커튼의 루버를 상기 압박부에 형성된 복수의 루버핀이 루버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는 양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파단홈을 형성시켜 양측면을 선택적인 절단을 가능하도록 하여 루버의 폭에 맞추어 제1행거와 제2행거의 폭 길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KR1020200155485A 2020-11-19 2020-11-19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KR20220068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485A KR20220068569A (ko) 2020-11-19 2020-11-19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485A KR20220068569A (ko) 2020-11-19 2020-11-19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569A true KR20220068569A (ko) 2022-05-26

Family

ID=8180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485A KR20220068569A (ko) 2020-11-19 2020-11-19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85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275B1 (ko) * 2023-01-27 2023-12-06 (주)월드블라인드 조립식 커튼형 블라인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412Y1 (ko) 2012-04-13 2012-07-11 (주)월드브라인드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412Y1 (ko) 2012-04-13 2012-07-11 (주)월드브라인드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275B1 (ko) * 2023-01-27 2023-12-06 (주)월드블라인드 조립식 커튼형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404905B2 (en) Light-block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20068569A (ko)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KR102442125B1 (ko)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WO2014024214A1 (en) Control and movement device for mosquito screens, curtains and the like
US20190249433A1 (en) A support arrangement
EP4112865A1 (en) Curtain-blind
JP6301077B2 (ja) 障子保持部材、及び、建具
US2580621A (en) Window shutter
JP2006241740A (ja) ブラインドおよび建具
JP5629116B2 (ja) 収納棚および壁構造
KR200428531Y1 (ko) 커튼이 부설되는 버티칼 블라인드
US11346152B2 (en) Curtain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s thereof
ITMI20040083U1 (it) Serramento di sicurezza con blindatura scorrevole sull'anta per finestre porte o simili
KR20030062090A (ko) 루버시스템 작동 장치
KR20220068570A (ko) 버티컬 커튼
AU2020100563A4 (en) Blind-type Curtain
AU2021106850A4 (en) Blind-type Curtain and a Connector for a Blind-type Curtain
US2226131A (en) Window shade
KR20220105785A (ko) 이중 버티컬 블라인드
KR100791556B1 (ko) 커튼이 부설되는 버티칼 블라인드
JPH09273362A (ja) 開閉装置
JPH044153Y2 (ko)
JPH0616013Y2 (ja) 建 具
JPH0118782Y2 (ko)
KR200434152Y1 (ko)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라켓의 지지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