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897Y1 -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897Y1
KR200261897Y1 KR2020010026987U KR20010026987U KR200261897Y1 KR 200261897 Y1 KR200261897 Y1 KR 200261897Y1 KR 2020010026987 U KR2020010026987 U KR 2020010026987U KR 20010026987 U KR20010026987 U KR 20010026987U KR 200261897 Y1 KR200261897 Y1 KR 2002618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blind
blinds
vertical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태웅
Original Assignee
변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태웅 filed Critical 변태웅
Priority to KR2020010026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8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897Y1/ko

Link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유리창의 내측에 설치되어 햇빛 가리게 용으로 사용되어지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써, 일정한 폭과 길이로 된 커튼띠의 양측에 블라인드를 접착 고정시켜 커튼블라인드를 규격화하고, 규격화된 커튼블라인드와 별도로 제조된 상측클립과 하측클립을 조립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시키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규격화된 각 블라인드의 블라인드를 서로 접착시키면서 상단과 하단을 상측클립과 하측클립으로 결속시켜 주므로 블라인드가 뒤틀리거나 커튼띠가 주름지지 않도록 하면서 커튼블라인드를 수직으로 단정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커튼과 블라인드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 Type Blind}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유리창의 내측에 설치되어 햇빛 가리게 용으로 사용되어지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정한 폭과 길이로 된 커튼띠의 양측 편에 블라인드를 접착 고정시켜 커튼블라인드를 형성하고, 커튼블라인드를 병렬로 설치하되 인접하는 커튼블라인드의 블라인드 끼리를 당접시킨 상태에서 그 상·하측을 상측클립과 하측클립으로 결속시키며, 상측클립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통상의 트래블러에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유리창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모터를 이용하는 자동화 장치에 의해 작동시키도록 된 블라인드는 햇빛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거나 실내의 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시켜 주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동 버티컬 타입 블라인드는, 레일의 일측 편에 장착되어 있는 동력장치가 작동되면 레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절첩·전개장치의 작동에 의해 블라인드가 절첩·전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블라인드는 방향전환장치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면서 개폐시켜 주도록 되어 있으며, 블라인드의 상단에 장착되는 상측지지편은 상기 절첩·전개장치와 방향전환장치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트래블러에 걸려져 있고, 블라인드의 하단에 형성된 주머니에는 하중편이 삽입되어 있으며, 각 블라인드의 하중편은 연결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전동 버티컬 타입 블라인드에서 블라인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광고 또는 그림을 인쇄하거나 광고 또는 그림이 인쇄된 필름을 적정한 폭으로 절단하고 부착하여 광고에 사용하기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전동 버티컬 타입 블라인드는 블라인드를 서로 평행상태로 유지하였을 경우에는 블라인드의 사이를 통하여 실내 상태가 노출되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블라인드에 그림 또는 광고가 인쇄되어 있을 경우에 블라인드를 180도 씩 정역으로 회전시켜 서로 중첩시켜 줄 때에 실외를 향하는 광고 면은 광고문구 및 그림 등이 일치하게 되지만 실내를 향하는 광고 면은 광고문구 및 그림 등이 일치하지 않고 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실내에서는 항상 불일치하여 깨져 있는 광고문구 및 그림을 보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혼란스럽고 실내분위기를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인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티컬 블라인드(1:실용신안등록 제222937호)를 제안하였다.
이는 양면이 광고면(5)으로 되고 상단에는 레일의 트래블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장착시켜 줄 수 있도록 상측클립(8)이 상단에 결합되는 블라인드(2)의 일 단면에 삽입구(4)가 외측으로 개방된 결속편(3)을 일체로 형성하고 결속편(3)의 내부에는 차폐막(6)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결속봉(7)을 결합시켜주어서, 블라인드(2)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주더라도 실내를 향하는 불일치 하는 광고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차폐막(6)에 의해 차단되어지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된 버티컬 블라인드(1)는 블라인드의 결속편(3)에 차폐막(6)을 삽입시켜 주어야 하고 이 상태에서 결속봉(7)을 결합시켜 주어야 하는 작업실시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인건비 즉, 제조원가가 높아지게 되며, 결속편(3)에 삽입되는 차폐막(6)의 폭(간격)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유지시켜 주기가 용이치 못하고, 차폐막(6)의 폭이 서로 균일하지 못하여 블라인드(2)가 뒤틀리거나 차폐막(6)에 주름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블라인드(2)의 결속편(3)에 차폐막(6)을 삽입시키고 이 상태에서 결속봉(7)을 결합시킬 때에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작업이 번거로우므로 버티컬 블라인드(1)를 설치하게되는 현장에서 직접 조립작업을 실시하기가 용이치 못하고, 조립작업을 완전히 실시하여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부피가 매우 커지게 되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 할 수 있도록 된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한 폭과 길이로 된 커튼띠의 양측 편에 블라인드를 접착 고정시켜 커튼블라인드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커튼블라인드를 병렬로 설치하되 인접하는 커튼블라인드의 블라인드 끼리를 당접시킨 상태에서 그들의 상·하측을 상측클립과 하측클립으로 결속시켜 주도록 된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정한 폭과 길이로 된 커튼띠의 양측 편에 블라인드를 접착 고정시키는 커튼블라인드와 상·하측클립을 각각 별도로 제조하므로 복잡하거나 번거롭지 않은 공정에 의해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분리된 커튼블라인드와 상·하측클립을 설치현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커튼띠는 망사를 비롯하여 네트, 레이스, 일반적인 천, 합성수지시트 등으로 설치하여 일반적인 블라인드와 커튼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한 크기로 제조된 커튼띠에 역시 일정한 크기로 제조된 블라인드를 접착 고정시켜 커튼블라인드를 규격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규격화된 커튼블라인드를 구조가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상·하측클립에 의해 조립 설치하므로 커튼띠가 뒤틀리거나 일그러지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은,
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작동에 의해 절첩 전개 및 정역회전하도록 된 각 트래블러에 블라인드(11)의 상단에 고정된 클립을 결합 설치한 것에 있어서,
일정한 폭과 길이로 된 커튼띠(15)의 양측에 블라인드(11)를 접착 고정시켜 커튼블라인드(17)를 형성한 것과,
상기 커튼블라인드(17)를 수직으로 병렬 설치하되 인접하는 한 쌍의 블라인드(11)를 커튼띠(15)가 서로 접촉되도록 당접시키고, 당접된 한 쌍의 블라인드(11)의 상단과 하단을 통상의 걸이편(23)이 형성된 상측클립(20)과 별도의 하측클립(30)으로 결속 결합시킨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10)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버티컬 블라인드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에서 블라인드의 결합상태 를 보인 정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에서 상·하측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5a 내지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에서 블라인 드와 커튼띠의 각기 다른 접착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버티컬 블라인드 2.11. 블라인드
10.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13. 상측결속공
14. 하측결속공 15. 커튼띠 20. 상측클립
21.22.31.32. 파지편 16. 접착제 17. 커튼블라인드
24.33. 결속공 25.34. 결속돌기 30. 하측클립
26.36. 돌기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써,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10)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블라인드(11)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8b는 블라인드(11)와 커튼띠(15)의 접착상태를 보인 예시도들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10)는 커튼블라인드(17)와 상측클립(20) 및 하측클립(30)으로 크게 구성된다.
커튼블라인드(17)는 커튼띠(15)와 블라인드(11)로 구성된다.
커튼띠(15)는 통상적인 커튼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망사를 비롯하여 네트, 레이스, 직물지, 합성수지시트 등을 들 수 있고, 일정한 폭과 길이로 제조(제단)하되, 폭은 블라인드(11)가 간섭 없이 자유스럽게 정역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유지시켜주고 길이는 설치하고자 하는 유리창의 길이에 적합하게 설정하여준다.
블라인드(1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라인드와 동일하도록 소정의 폭으로 유지시키고, 길이를 커튼띠(15)와 동일하게 유지시켜 준다.
커튼띠(15)의 양측에 블라인드(11)를 일체형으로 접착시켜 커튼블라인드(17)로 형성시켜 주고자 할 때에는 도 5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접착제(16)를 사용하여 접착시켜준다.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커튼블라인드(17)는 블라인드(11)에서 일면(12-1)의 일측에 접착제(16)를 도포시키고 일면(12-1)의 외측단과 커튼띠(15)의 외측 단을 일치되게 접착시켜 커튼띠(15)가 일면(12-1)의 전체를 덮어주도록 된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커튼블라인드(17)는 블라인드(11)에서 일면(12-1)의 전체 면에 접착제(16)를 도포시키고 일면(12-1)의 외측단과 커튼띠(15)의 외측단을 일치되게 접착시켜 커튼띠(15)가 일면(12-1)의 전체를 덮어주도록 된 것이다.
도 7a 및 도7b에 예시된 커튼블라인드(17)는 블라인드(11)에서 일면(12-1)의 일측에 접착제(16)를 도포시키고 도포된 접착제(16)의 내측단과 커튼띠(15)의 외측단을 일치되게 접착시켜 커튼띠(15)의 외측단이 일면(12-1)에 도포된 잡착제(16)만을 덮어주도록 된 것이다.
또,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커튼블라인드(17)는 블라인드(11)에서 일면(12-1)의 중앙에 접착제(16)를 도포시키고 도포된 접착제(16)에 커튼띠(15)의 외측 단을 일치되게 접착시켜 커튼띠(15)의 외측 단이 일면(12-1)에 도포된 잡착제(16)와 일면(12-1)의 1/2면만을 덮어주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커튼블라인드(17)를 병렬로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블라인드(11)들은 접착제(16)가 도포된 일면(12-1)을 서로 당접시켜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에 의해 상단과 하단을 일체형으로 결합시켜준다.
상기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은 도 2와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상측클립(20)은 한 쌍의 파지편(21)·(22)을 상측이 일체형이 되고 하측이 개방형이 되도록 형성하였고, 파지편(21)·(22)에는 한 쌍 이상의 결속공(24)과 결속돌기(25)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되 결속돌기(25)는 파지편(22)의 내면에 형성하였으며, 일체형으로 된 상측부에는 통상의 걸이편(23)을 형성하였다. 하측클립(30)은 한 쌍의 파지편(31)·(32)을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일체형으로 되도록 형성하였고, 파지편(31)·(32)에는 한 쌍 이상의 결속공(33)과 결속돌기(34)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되 결속돌기(25)는 파지편(22)의 내면에 형성하였으며, 블라이드(1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에 형성된 결속돌기(25)·(34)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결속공(13)·(14)을 뚫어주었다.
특히,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의 각 파지편(21)(22)·(31)(32)의 내면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와 같은 돌기(26)·(36)를 각각 형성하여 커튼블라인드(17)의 블라인드(11)를 견실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측클립(20)에 형성된 돌기(26)는 끝이 상향되는 톱니형으로 형성하여 파지편(21)·(22)에 의해 파지되는 블라인드(11)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였고, 하측클립(30)에 형성된 돌기(36)는 끝이 상향되는 톱니형으로 형성하여 블라인드(11)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편(31)·(32)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각각 개별형으로 형성된 커튼블라인드(17)와 상측클립(20) 및 하측클립(30)을 서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설치장소로 이동시켜 설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커튼블라인드(17)와 상측클립(20) 및 하측클립(30)을 서로 분리시켜 주었으므로 용이하게 다루면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커튼블라인드(17)와 상측클립(20) 및 하측클립(30)을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10)로 조립하고자 할 때에는 도 2 및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된바와 같이 조립할 수 있고, 설치현장의 조건에 따라 적절한 다른 방법으로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규격화되어 있는 커튼블라인드(17)는 양측에 접착되어 있는 각 블라인드(11)의 다른 일면을 광고면(12)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광고면(12)이 서로 대향되어지도록 하면 커튼띠(15)는 자연스럽게 접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접어진 커튼블라인드(17)를 병렬형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서로 접층되는 커튼블라인드(17)에서 인접하되 서로 다른 커튼블라인드(17)의 블라인드(11)를 일면(12-1)이 서로 당접되도록 연접시키고, 연접된 한 쌍의 블라인드(11)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을 장착시켜 준다.
서로 연접된 블라인드(11)의 상측을 벌어져 있는 상측클립(20)의 파지편(21)·(22)의 사이로 삽입시키되 블라인드(11)의 상측에 형성된 결속돌기(25)를 상측의 결속공(13)에 삽입시키고 연속적으로 타측 파지편(21)에 형성된 결속공(24)으로 통과시켜 결속돌기(25)의 선단이 파지편(21)의 외면으로 노출되어지도록 하였으며, 상기 결속돌기(25)의 선단을 삼각원뿔형으로 형성하여 결속공(24)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삽입된 상태에서는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접된 블라인드(11)의 하측을 벌어져 있는 하측클립(30)의 파지편(31)·(32)의 사이로 삽입시키되 블라인드(11)의 상측에 형성된 결속돌기(34)를 하측에 형성된 결속공(14)에 삽입시키고 연속적으로 타측 파지편(31)에 형성된 결속공(33)으로 통과시켜 결속돌기(34)의 선단이 파지편(31)의 외면으로 노출되어지도록 하였으며, 상기 결속돌기(34)의 선단을 삼각원뿔형으로 형성하여 결속공(33)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삽입된 상태에서는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특히, 각 파지편(21)(22)·(31)(32)의 내면에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와 같은 돌기(26)·(36)가 각각 형성된 상측클립(2)과 하측클립(30)을 사용하게 되면 돌기(26)·(36)가 블라인드(11)의 외면을 압착하거나 내부로 침투하게 되므로 상측클립(2)과 하측클립(3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병렬로 결합시킨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10)는 각 커튼블라인드(11)를 연결시켜주는 각 상측클립(20)의 걸이편(23)을 레일에 설치된 트래블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체결시켜줌으로써 설치를 완료하게 되고, 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작동에 의해 연접 접착된 블라인드(11)와 함께 커튼띠(15)를 절첩 전개시켜 일반적인 커튼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연접 접착된 블라인드(11)만을 180도씩 정역으로 회전시키면서 광고면(12)에 인쇄된 광고 또는 그림을 전개시킬 수도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는 일정한 폭과 길이로 된 커튼띠의 양측에 블라인드를 접착 고정시켜 커튼블라인드를 규격화하고, 규격화된 커튼블라인드와 별도로 제조된 상측클립과 하측클립을 조립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시키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규격화된 각 블라인드의 블라인드를 서로 접착시키면서 상단과 하단을 상측클립과 하측클립으로 결속시켜 주므로 블라인드가 뒤틀리거나 커튼띠가 주름지지 않도록 하면서 커튼블라인드를 수직으로 단정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커튼과 블라인드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작동에 의해 절첩 전개 및 정역회전하도록 된 각 트래블러에 블라인드(11)의 상단에 고정된 클립을 결합 설치한 것에 있어서,
    일정한 폭과 길이로 된 커튼띠(15)의 양측에 블라인드(11)를 접착 고정시켜 커튼블라인드(17)를 형성한 것과,
    상기 커튼블라인드(17)를 수직으로 병렬 설치하되 인접하는 한 쌍의 블라인드(11)를 커튼띠(15)가 서로 접촉되도록 당접시키고, 당접된 한 쌍의 블라인드(11)의 상단과 하단을 통상의 걸이편(23)이 형성된 상측클립(20)과 별도의 하측클립(30)으로 결속 결합시킨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커튼블라인드(17)는 블라인드(11)에서 일면(12-1)의 일측에 접착제(16)를 도포시키고 일면(12-1)의 외측단과 커튼띠(15)의 외측단을 일치되게 접착시켜 커튼띠(15)가 일면(12-1)의 전체를 덮어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3. 제 1항에 있어서, 커튼블라인드(17)는 블라인드(11)에서 일면(12-1)의 전체 면에 접착제(16)를 도포시키고 일면(12-1)의 외측단과 커튼띠(15)의 외측단을 일치되게 접착시켜 커튼띠(15)가 일면(12-1)의 전체를 덮어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4. 제 1항에 있어서, 커튼블라인드(17)는 블라인드(11)에서 일면(12-1)의 일측에 접착제(16)를 도포시키고 도포된 접착제(16)의 내측단과 커튼띠(15)의 외측단을 일치되게 접착시켜 커튼띠(15)의 외측단이 일면(12-1)에 도포된 잡착제(16)만을 덮어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은, 한 쌍의 파지편(21)(22)·(31)(32)을 일측이 일체형이 되고 타측이 개방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일측의 파지편(21)·(31)과 타측의 파지편(22)·(31)에는 한 쌍 이상의 결속공(24)과 결속돌기(25)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되 결속돌기(25)는 파지편(22)의 내면에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6. 제 1항에 있어서, 커튼블라인드(17)는 블라인드(11)에서 일면(12-1)의 중앙에 접착제(16)를 도포시키고 도포된 접착제(16)에 커튼띠(15)의 외측 단을 일치되게 접착시켜 커튼띠(15)의 외측 단이 일면(12-1)에 도포된 잡착제(16)와 일면(12-1)의 1/2면만을 덮어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7. 제 5항에 있어서,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의 각 파지편(21)(22)·(31)(32)의 내면에는 돌기(26)·(36)를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8. 제 1항에 있어서, 블라이드(1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클립(20)과 하측클립(30)에 장착용 결속공(13)·(14)을 뚫어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9. 제 1항에 있어서, 커튼띠(15)는 망사, 네트, 레이스, 직물지, 합성수지시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20010026987U 2001-09-04 2001-09-04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261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987U KR200261897Y1 (ko) 2001-09-04 2001-09-04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987U KR200261897Y1 (ko) 2001-09-04 2001-09-04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897Y1 true KR200261897Y1 (ko) 2002-01-26

Family

ID=7306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987U KR200261897Y1 (ko) 2001-09-04 2001-09-04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897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477B1 (ko) * 2007-01-08 2007-10-23 정은교 홀딩도어용 패널결합구
KR100791556B1 (ko) 2006-07-25 2008-01-03 전영진 커튼이 부설되는 버티칼 블라인드
KR100857260B1 (ko) 2007-11-28 2008-09-08 차기철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DE112009001009T5 (de) 2008-05-09 2011-02-24 Ki Cheol Cha Durch Weben zusammengefügte Vertikaljalousie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ese
KR200461412Y1 (ko) 2012-04-13 2012-07-11 (주)월드브라인드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KR101607101B1 (ko) 2015-02-23 2016-03-29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버티컬 블라인드용 연결장치
WO2016114516A1 (ko) * 2015-01-15 2016-07-21 김성철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20210114193A (ko) * 2020-03-10 2021-09-23 권영택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CN114683623A (zh) * 2018-01-26 2022-07-01 卫柏思有限公司 窗帘式垂直遮光帘用遮光布料及其制造方法
GB2563327B (en) * 2017-04-13 2022-07-13 Hunter Douglas Vertically-suspended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KR20230045163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WO2023090902A1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윈플러스 후크부재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56B1 (ko) 2006-07-25 2008-01-03 전영진 커튼이 부설되는 버티칼 블라인드
KR100769477B1 (ko) * 2007-01-08 2007-10-23 정은교 홀딩도어용 패널결합구
KR100857260B1 (ko) 2007-11-28 2008-09-08 차기철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DE112009001009T5 (de) 2008-05-09 2011-02-24 Ki Cheol Cha Durch Weben zusammengefügte Vertikaljalousie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ese
US9140061B2 (en) 2008-05-09 2015-09-22 Ki Cheol Cha Vertical blind united by weaving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0461412Y1 (ko) 2012-04-13 2012-07-11 (주)월드브라인드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GB2549637A (en) * 2015-01-15 2017-10-25 Chul Kim Sung Connector for blind-type curtain and blind-type curtain comprising same
WO2016114516A1 (ko) * 2015-01-15 2016-07-21 김성철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GB2549637B (en) * 2015-01-15 2020-12-16 Chul Kim Sung Connector for blind-type curtain and blind-type curtain comprising same
KR101607101B1 (ko) 2015-02-23 2016-03-29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버티컬 블라인드용 연결장치
GB2563327B (en) * 2017-04-13 2022-07-13 Hunter Douglas Vertically-suspended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CN114683623A (zh) * 2018-01-26 2022-07-01 卫柏思有限公司 窗帘式垂直遮光帘用遮光布料及其制造方法
EP3702499B1 (en) 2018-01-26 2023-05-03 Winplus Co., Ltd. Light-block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10114193A (ko) * 2020-03-10 2021-09-23 권영택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KR102442125B1 (ko) 2020-03-10 2022-09-13 권영택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KR20230045163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102538282B1 (ko) 2021-09-28 2023-06-01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WO2023090902A1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윈플러스 후크부재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1897Y1 (ko)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US7124802B2 (en) Cascade shade
US5025848A (en) Temporary window shade
US5355928A (en) Roman shade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060225846A1 (en) Segmented Roman window shade
US4544011A (en) Pleat screen
JP2002070458A (ja) 窓用の建築用カバー
CA2247361A1 (en) Improvements in relation to blinds
US5598880A (en) Top treatment for blinds and packaging therefor
WO2006098555A1 (en) Vertical curtain blind
KR200405835Y1 (ko)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386802Y1 (ko)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WO2018052826A1 (en) Drape closure
KR101568300B1 (ko) 차량 차양용 롤 블라인드의 고정장치
US20060278350A1 (en) Device to repair vertical blinds
KR100908508B1 (ko)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제조방법
US20060180277A1 (en) Temporary covering for a window
KR101070606B1 (ko) 버티컬 블라인드용 커튼지 및 그 제조방법
CN210672992U (zh) 一种便于安装的窗帘
KR20100032078A (ko) 방충망 착설 구조체
KR102225770B1 (ko) 실내용 셀프 블라인드
ES1063513U (es) Conjunto de cortina panel japones.
KR200222505Y1 (ko) 버티컬 블라인드
AU2017268525A1 (en) Bottom rail for a blind covering
KR200378555Y1 (ko) 권취 방충망의 사이드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