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282B1 -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 Google Patents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282B1
KR102538282B1 KR1020210127687A KR20210127687A KR102538282B1 KR 102538282 B1 KR102538282 B1 KR 102538282B1 KR 1020210127687 A KR1020210127687 A KR 1020210127687A KR 20210127687 A KR20210127687 A KR 20210127687A KR 102538282 B1 KR102538282 B1 KR 10253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urtain
extension plate
spike
low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163A (ko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Priority to KR1020210127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282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3/00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 A47H13/01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by clamps; by clamps attached to hook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용 연결구와, 상기 커튼용 연결구로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를 체결한 블라인드형 커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튼용 연결구는 투광 커튼부와,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된 암막 커튼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에서,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 체결시키는 연결구로서, 제1 상부 영역과 제1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베이스판과, 제1 하부영역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 제1 상부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제1 클립판과, 제2 상부 영역과 제2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베이스판과, 제2 하부 영역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2 연장판, 제2 상부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되 제1 클립판과 체결되는 제2 클립판을 포함하며, 제1 하부 영역은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 영역과, 제1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제1 접착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 하부 영역은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제2 스파이크 영역과, 제2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제2 접착 영역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라인드형 커튼은 상기 커튼용 연결구로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에서 인접한 암막 커튼부를 서로 체결한 형태로 구현된다.

Description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가 연결구로 서로 연결되어 커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세탁하거나 교환할 수 있으며 투광 상태와 암막 상태를 쉽게 제어할 수 있고 연장판을 형성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쉽게 'U'형태가 되도록 하는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에 관한 것이다.
커튼은 창이나 문에 치는 휘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커튼은 통상적으로 외부의 광이 투광되는 투광형 커튼과 외부의 광이 투광될 수 없는 암막형 커튼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커튼이 이와 같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투광형 커튼과 암막형 커튼 중 하나를 선택하여야 하며, 투광형 커튼 사용 중 암막형 커튼이 필요할 경우 투광형 커튼을 제거하고 암막형 커튼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커튼 대신 블라인드를 설치한 경우, 버티칼의 회전각도 조절에 의해 투광 상태 또는 암막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나, 블라인드는 커튼과 같이 망사 재질이 아니므로 커튼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없다. 더욱이, 기존의 커튼 또는 블라인드는 오염이나 훼손 시 전체를 레일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하거나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하나의 커튼에 의해 투광 상태와 암막 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오염이나 훼손 시 세탁이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한 커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3575호(2014.11.1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투광 상태와 암막 상태를 쉽게 전환할 수 있으며 오염이나 훼손 시 세탁이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한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라인드형 커튼이 보다 미려한 'U'형이 되도록 하는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는, 투광 커튼부와,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된 암막 커튼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에서,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 체결시키는 연결구로서, 제1 상부 영역과 제1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베이스판과, 제1 하부영역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 제1 상부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제1 클립판과, 제2 상부 영역과 제2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베이스판과, 제2 하부 영역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2 연장판, 제2 상부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되 제1 클립판과 체결되는 제2 클립판을 포함하며, 제1 하부 영역은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 영역과, 제1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제1 접착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 하부 영역은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제2 스파이크 영역과, 제2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제2 접착 영역으로 정의된다.
제1 연장판은 제1 연장판 상부 영역과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며, 제1 연장판 상부 영역에는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에는 제1 접착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제2 연장판은 제2 연장판 상부 영역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며, 제2 연장판 상부 영역에는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에는 제2 접착부재가 구비된다.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은,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우측 영역과, 제1 하부 영역과 근접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으로 정의되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에는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은,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우측 영역과, 제2 하부 영역과 근접한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으로 정의되며,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에는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된다.
제1 스파이크와 제2 스파이크는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와 제2 스파이크를 각각 포함하며,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 사이에는 제2 스파이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 홈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제2 스파이크 사이에는 제1 스파이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2 스파이크 홈이 형성된다.
제1 상부 영역의 두께는 제1 연장판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1 연장판의 두께는 제1 하부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상부 영역의 두께는 제2 연장판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2 연장판의 두께는 제2 하부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부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2 상부 영역에는 개구부와 체결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제1 클립판과 제1 클립판이 체결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와 제2 접착부재는 양면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은, 투광 커튼부와,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된 암막 커튼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와,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 중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를 체결시키는 상기 커튼용 연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인접한 암막 커튼부끼리 연결구를 통해 체결하여 라운드 형태를 유지시켜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연결구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연장판을 형성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쉽게 'U'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연결구의 하부 영역의 상하를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스파이크 영역과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착 영역으로 각각 구획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연결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연장판의 일부 영역에만 스파이크와 스파이크 홈을 형성하여 투광 커튼부가 우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연결구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및 연장판의 두께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연장판 내에 체결되더라도 연장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커튼 블라인드가 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커튼 상태에서는 투광이 가능하며, 인접한 암막 커튼부끼리 연결구를 통해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버티칼의 각도조절)에 의해 암막 커튼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오염 또는 훼손에 의한 개별 세탁 및 수선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다수개의 버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커튼 블라인드의 색상과 무늬를 서로 상이하게 할 수 있어 미려함을 보강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서 제1 클립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서 제2 클립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커튼 상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립판(210)과, 제1 클립판(210)과 결합되는 제2 클립판(22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서 제1 클립판의 평면도이다.
제1 클립판(210)은 직사각판 형상이며 제1 상부 영역(211)과 제1 하부 영역(212)으로 정의되는 제1 베이스판(211, 212)과, 제1 베이스판(211, 212)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213), 제1 베이스판(211, 212)의 제1 상부 영역(211) 상에 형성된 고리(214)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판(211, 212)은 전술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로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며, 길이 방향과 평행한 선분을 기준으로, 제1 상부 영역(211)과 제1 하부 영역(212)으로 정의된다.
제1 상부 영역(211)은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되며, 제2 베이스판(221, 222)의 제2 상부 영역(221)과 접하여 체결된다. 이를 위해서, 제1 상부 영역(211)에는 제2 베이스판(221, 222)의 후크와 결합되는 개구부(221a)가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221a)는 제1 베이스판(211, 212)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각이 대체적으로 사각형으로 개구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베이스판(211, 212)과 제2 베이스판(221, 222)의 결합 구조가 후크(221a)와 개구부(211a)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판(211, 212)과 제2 베이스판(221, 222)은 나사결합될 수도 있으며, 후크결합과 나사결합이 같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상부 영역(211)의 상측 중심부 가장자리에는 전술된 고리(214)가 형성된다.
제1 하부 영역(212)은 제1 상부 영역(211)의 하부에 위치하며,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1 하부 영역(212)은 다시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과 제1 접착 영역(212b)으로 구획된다.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은 제1 하부 영역(212)의 상부에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되며, 제2 베이스판(221, 222)과 대향하는 면에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이 형성된다.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은 제2 베이스판(221, 222)과 대향하는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에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서로 교호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 제1 스파이크(SP1), 제1 스파이크(SP1) 홈의 순서대로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이 교호적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이 두 줄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첫 번째 줄에는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이 교호적으로 형성되고, 첫 번째 줄과 이격된 두 번째 줄에는 첫 번째 줄의 제1 스파이크(SP1)의 하단에 제1 스파이크(SP1) 홈부터 형성되어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이 교호적으로 형성된다.
제1 접착 영역(212b)은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1 접착 영역(212b)에는 스파이크나 스파이크 홈이 형성되지 않으며, 제1 접착부재(AT1)만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접착부재(AT1)로는 양면테이프를 예시한다. 또한, 제1 접착부재(AT1)는 후술될 제1 연장판(213)의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접착부재(AT1)로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외에 접착제 등을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접착부재(AT1)는 연속적으로 구비되지 않고 빈 공간과 교호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접착부재(AT1)의 접착력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제2 접착부재(AT2)에도 적용된다.
제1 연장판(213)은 제1 베이스판(211, 212)에서 연장되어 제1 베이스판(211, 212) 측면의 암막 커튼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은 제1 연장판(213)이 제1 하부 영역(212)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것을 예시하며, 연장된 제1 연장판(213)은 사각판 형상이며,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과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으로 정의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은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되며,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에도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은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에서부터 연장되어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은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과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에 걸쳐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은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는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이 형성되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우측 영역에는 제1 접착부재(AT1)만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은 하부 방향으로 두 줄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1 연장판(213)에서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은 역 기역자 형상(Γ)으로 배치된다. 한편,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도 제1 접착부재(AT1)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하부 영역(212)과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 전체에 제1 접착부재(AT1)가 형성된다.
한편, 전술된 제1 상부 영역(211)의 두께는 제1 하부 영역(21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제1 연장판(213)의 두께는 제1 하부 영역(21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연장판(213)의 두께는 제1 상부 영역(211)의 두께보다는 얇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상부 영역(211)의 두께와 제1 연장판(213)의 두께 및 제1 하부 영역(212)의 두께는 순차적으로 얇아진다. 이에 따라, 제1 하부 영역(212)과 후술될 제2 하부 영역(222) 사이에 암막 커튼부가 고정되어도 제1 클립판(210)과 제1 클립판(210)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만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을 형성하여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우측 영역이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
고리(214)는 제1 상부 영역(211)의 가장자리 중심부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상부 영역(211)과 함께 대략 사각형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또한, 고리(214)에는 두께가 얇아지도록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되며, 오목부는 고리(214)에 형성된 상부 오목부(214a)와 제1 상부 영역(211)에 형성된 하부 오목부(214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목부에 의해 레일고리(214)와 연결구 간의 체결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서 제2 클립판(220)의 평면도이다.
제2 클립판(220)은 제1 클립판(210)과 대응되는 직사각판 형상이며 제2 상부 영역(221)과 제2 하부 영역(222)으로 정의되는 제2 베이스판(221, 222)과, 제2 베이스판(221, 222)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2 연장판(223)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상부 영역(221)의 중심부 상부 가장자리에는 리세스(224)가 형성된다.
제2 베이스판(221, 222)은 소정 두께로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며, 길이 방향과 평행한 선분을 기준으로, 제2 상부 영역(221)과, 제2 스파이크(SP2)와 제2 스파이크 홈(SH2)이 형성된 제2 스파이크(SP2) 영역(222a)과 제2 접착부재(AT2)가 구비되는 제2 접착 영역(222b)으로 구획되는 제2 하부 영역(222)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제2 하부 영역(222)의 설명은 전술된 제1 하부 영역(212)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한편, 전술된 제2 베이스판(221, 222)의 제2 스파이크(SP2)는 제1 베이스판(211, 212)의 제1 스파이크 홈(SH1)에 끼워지고, 제1 베이스판(211, 212)의 제1 스파이크(SP1)는 제2 베이스판의 제2 스파이크 홈(SH2)에 끼워진다.
제2 상부 영역(221)은 제1 상부 영역(211)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되며, 제1 베이스판(211, 212)의 제1 상부 영역(211)과 접하여 체결된다. 이를 위해서, 제2 상부 영역(221)에는 제1 상부 영역(211)에 형성된 개구부(211a)에 체결되는 후크(221a)가 형성된다.
후크(221a)는 개구부(211a)에 체결되기 위해서 두 개의 후크부가 서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크부는 서로 간격이 줄어들며 개구부(211a)에 삽입되며, 삽입된 후에는 서로 간격이 원복되며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에 의해 개구부(211a)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후크(221a)는 개구부(211a)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2 연장판(223)은 제2 베이스판(221, 222)에서 연장되어 제1 연장판(213)과 함께 제2 베이스판(221, 222) 측면의 암막 커튼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은 제2 연장판(223)이 제2 하부 영역(222)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것을 예시하며, 연장된 제2 연장판(223)은 사각판 형상이며, 제2 연장판 상부 영역(223a)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으로 정의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제2 연장판 상부 영역(223a)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은 전술된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과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한편, 제2 상부 영역(221)과 제2 하부 영역(222) 및 제2 연장판(223)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며, 전술된 제1 상부 영역(211)과 제1 하부 영역(212) 및 제1 연장판(213)과 동일하게, 제2 상부 영역(221)의 두께와 제2 연장판(223)의 두께 및 제2 하부 영역(222)의 두께는 순차적으로 얇아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전술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립판(220)의 후크가 제1 클립판(210)의 개구부에 삽입되면 제1 클립판(210)과 제2 클립판(220)이 체결된다. 여기서, 제1 클립판(210)과 제2 클립판(220)이 체결되면,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상부 영역(211)과 후크가 형성된 제2 상부 영역(221) 사이는 간격이 거의 없으며, 제1 연장판(213)과 제2 연장판(223) 사이와 제1 하부 영역(212)과 제2 하부 영역(222)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연장판(213)과 제2 연장판(223) 사이의 간격을 D1이라 하고 제1 하부 영역(212)과 제2 하부 영역(222) 사이의 간격을 D2라 할 때, D1은 D2보다 작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가 적용된 블라인드형 커튼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블라인드(100)와, 서로 개별적인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10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구(200)를 포함한다.
커튼 블라인드(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형 커튼을 구성하는 하나의 세트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커튼 블라인드(100)가 다수개 구비되어 블라인드형 커튼을 구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블라인드(100)는 투광 커튼부(110)와, 투광 커튼부(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암막 커튼부(120)를 포함한다.
투광 커튼부(110)는 망사 형태로 직조되어 외부의 광이 내부로 투과될 수 있다. 이러한 투광 커튼부(110)는 직사각형태로 제작되되, 다양한 색상과 무늬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100)의 투광 커튼부(110)는 서로 색상과 무늬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동일한 무늬에 색상만 상이하거나 동일한 색상에 무늬만 상이할 수도 있다.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투광 커튼부(110)와 함께 하나의 커튼 블라인드(100)를 구성한다. 여기서, 암막 커튼부(120)는 제1 암막 커튼부(121)와 제2 암막 커튼부(122)를 포함하여 투광 커튼부(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보다 두께가 두꺼워 투광 커튼부(110)보다 암막 효과를 가지나, 본 발명의 암막 커튼부(120)는 일반적인 암막 커튼처럼 광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는다. 즉,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보다 두께가 두꺼워 광을 조금 더 차단할 뿐이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암막 커튼부(120)가 광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와 동일한 직사각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로 제작되어 투광 커튼부(110)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투광 커튼부(110)와 함께 직조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커튼 상태 사시도이다.
연결구(200)는 근접한 커튼 블라인드(100)의 암막 커튼부(120) 간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된 연결구(200)의 체결에 의해 투광 커튼부(110)가 굴곡지게 되어 커튼 블라인드(100)가 ‘U’형상이 된다. 이를 위해서, 연결구(200)는 제1 암막 커튼부(121)와 제2 암막 커튼부(122)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연결구(200)는 상부에 형성된 고리(214)에 의해 천장 등에 설치된 레일과 연결되며, 고리(214)를 통해 회전을 가함으로써 커튼 블라인드(10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커튼이므로 일반적인 커튼과 같이 레일을 통해 커튼 블라인드(100)를 이동시켜 커튼형 블라인드를 좌우로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200)의 제1 하부 영역(212)과 제2 하부 영역(222) 사이에는 암막 커튼부(120)가 위치되어 스파이크 및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제1 연장판(213)과 제2 연장판(223) 사이에는 투광 커튼부(110)가 위치되어 스파이크 및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의 제1 스파이크(SP1)는 암막 커튼부(120)를 관통하여 제2 스파이크(SP2) 영역(222a)의 제2 스파이크 홈(SH2)에 삽입되고, 제2 스파이크(SP2) 영역(222a)의 제2 스파이크(SP2)도 암막 커튼부(120)를 관통하여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의 제1 스파이크 홈(SH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암막 커튼부(120)는 연결구(20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하부 영역(212)의 제1 접착부재(AT1)와 제2 하부 영역(222)의 제2 접착부재(AT2)도 암막 커튼부(120)의 표면에 부착되어 암막 커튼부(120)가 연결구(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한다.
제1 연장판(213)과 제2 연장판(223) 사이에는 투광 커튼부(110)가 위치된다. 여기서,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의 제1 스파이크(SP1)는 투광 커튼부(110)를 관통하여 제2 연장판 상부 영역(223a)의 제2 스파이크 홈(SH2)에 삽입되고, 제2 연장판 상부 영역(223a)의 제2 스파이크(SP2)는 투광 커튼부(110)를 관통하여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의 제1 스파이크 홈(SH1)에 삽입된다. 또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 형성된 제1 스파이크(SP1)는 투광 커튼부(110)를 관통하여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의 좌측 영역에 형성된 제2 스파이크 홈(SH2)에 삽입되고,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의 좌측 영역에 형성된 제2 스파이크(SP2)는 투광 커튼부(110)를 관통하여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 형성된 제1 스파이크 홈(SH1)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우측 영역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의 우측 영역에는 제1 및 제2 스파이크(SP2)와 제1 및 제2 스파이크 홈(SH2)이 형성되지 않고, 제1 및 제2 접착부재(AT2)만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 사이에 고정되는 투광 커튼부(110)에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에서 노출되는 가장자리 영역이 더욱 울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커튼 블라인드의 하단에 무게추를 구비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미려함을 보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커튼 블라인드 110: 투광 커튼부
120: 암막 커튼부 121: 제1 암막 커튼부
122: 제2 암막 커튼부 200: 연결구
210: 제1 클립판 211, 212: 제1 베이스판
211: 제1 상부 영역 211a: 개구부
212: 제1 하부 영역 212a: 제1 스파이크 영역
212b: 제1 접착 영역 213: 제1 연장판
213a: 제1 연장판 상부 영역 213b: 제1 연장판 하부 영역
214: 고리 214a: 상부 오목부
214b: 하부 오목부 220: 제2 클립판
221, 222: 제2 베이스판 221: 제2 상부 영역
221a: 후크 222: 제2 하부 영역
222a: 제2 스파이크 영역 222b: 제2 접착 영역
223: 제2 연장판 223a: 제2 연장판 상부 영역
223b: 제2 연장판 하부 영역 224: 개구부
AT1: 제1 접착부재 AT2: 제2 접착부재
SP1: 제1 스파이크 SP2: 제2 스파이크
SH1: 제1 스파이크 홈 SH2: 제2 스파이크 홈

Claims (10)

  1. 투광 커튼부와, 상기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된 암막 커튼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에서,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 체결시키는 연결구로서,
    제1 상부 영역과 제1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베이스판과, 상기 제1 하부영역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 상기 제1 상부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제1 클립판과,
    제2 상부 영역과 제2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베이스판과, 상기 제2 하부 영역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2 연장판, 상기 제2 상부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클립판과 체결되는 제2 클립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부 영역은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 영역과, 제1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제1 접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하부 영역은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제2 스파이크 영역과, 제2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제2 접착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튼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판은 제1 연장판 상부 영역과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1 연장판 상부 영역에는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에는 제1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커튼용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판은 제2 연장판 상부 영역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2 연장판 상부 영역에는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에는 제2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커튼용 연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은, 상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우측 영역과, 상기 제1 하부 영역과 근접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에는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된 커튼용 연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은, 상기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우측 영역과, 상기 제2 하부 영역과 근접한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에는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된 커튼용 연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파이크와 상기 제2 스파이크는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와 제2 스파이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 사이에는 상기 제2 스파이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2 스파이크 사이에는 상기 제1 스파이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2 스파이크 홈이 형성된 커튼용 연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1 연장판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제1 연장판의 두께는 상기 제1 하부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커튼용 연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2 연장판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제2 연장판의 두께는 상기 제2 하부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커튼용 연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부 영역에는 상기 개구부와 체결되는 후크가 형성된 커튼용 연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으로서,
    투광 커튼부와, 상기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된 암막 커튼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와,
    상기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 중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를 체결시키는 상기 커튼용 연결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1020210127687A 2021-09-28 2021-09-28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102538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87A KR102538282B1 (ko) 2021-09-28 2021-09-28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87A KR102538282B1 (ko) 2021-09-28 2021-09-28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163A KR20230045163A (ko) 2023-04-04
KR102538282B1 true KR102538282B1 (ko) 2023-06-01

Family

ID=8592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687A KR102538282B1 (ko) 2021-09-28 2021-09-28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2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97Y1 (ko) 2001-09-04 2002-01-2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102049194B1 (ko) 2018-06-08 2019-11-26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체결 시스템 및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는 창문 가리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04124B (zh) 2012-02-23 2017-11-0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及其控制模組
KR101680958B1 (ko) * 2015-01-15 2016-12-12 김성철 블라인드형 커튼
KR101892932B1 (ko) * 2015-12-30 2018-08-29 김성철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102442125B1 (ko) * 2020-03-10 2022-09-13 권영택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97Y1 (ko) 2001-09-04 2002-01-2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102049194B1 (ko) 2018-06-08 2019-11-26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체결 시스템 및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는 창문 가리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163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100464A4 (en) Blind-Type Curtain
KR101680958B1 (ko) 블라인드형 커튼
KR102538282B1 (ko)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US6789596B1 (en) Curtain device
KR101892932B1 (ko)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102318082B1 (ko)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JP2014095255A (ja) プリーツスクリーン
AU2016102074A4 (en) Blind-type Curtain
KR102347196B1 (ko)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20200001804U (ko) 채광용 패널을 이용한 지붕 구조
AU2018102073B4 (en) Blind-Type Curtain
WO2018080016A1 (ko)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US10000943B1 (en) Beautification and privacy fence panel system and uses thereof
US20080011431A1 (en) Shade having overlapping slats
ITTO20090049A1 (it) Parete divisoria modulare per la partizione d'interni
KR200400515Y1 (ko) 야광체를 갖는 건축용 판넬 및 그 고정부재
ITMI990368A1 (it) Struttura di schermo a trasparenza regolabile particolarmente permodulazione del passaggio di aria e/o luce e simili
JPH0433356B2 (ko)
ITTV990008U1 (it) Struttura di lamella particolarmente per tende alla venezi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