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932B1 -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 Google Patents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932B1
KR101892932B1 KR1020150190145A KR20150190145A KR101892932B1 KR 101892932 B1 KR101892932 B1 KR 101892932B1 KR 1020150190145 A KR1020150190145 A KR 1020150190145A KR 20150190145 A KR20150190145 A KR 20150190145A KR 101892932 B1 KR101892932 B1 KR 10189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plate
base plate
blind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497A (ko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9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932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CA2973865A priority patent/CA2973865C/en
Priority to CN201580069751.1A priority patent/CN107105911A/zh
Priority to AU2015377362A priority patent/AU2015377362A1/en
Priority to GB1710182.5A priority patent/GB2549637B/en
Priority to JP2017533965A priority patent/JP6837973B2/ja
Priority to MX2017009238A priority patent/MX2017009238A/es
Priority to MYPI2017001043A priority patent/MY190197A/en
Priority to US15/538,423 priority patent/US20170354285A1/en
Priority to SG11201705814VA priority patent/SG11201705814VA/en
Priority to PCT/KR2015/014551 priority patent/WO2016114516A1/ko
Priority to AU2015101931A priority patent/AU2015101931C4/en
Publication of KR2017007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497A/ko
Priority to KR1020180045179A priority patent/KR102318082B1/ko
Publication of KR10189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AU2018102073A priority patent/AU2018102073C4/en
Priority to AU2018102074A priority patent/AU2018102074C4/en
Priority to AU2018102077A priority patent/AU2018102077B4/en
Priority to AU2018102076A priority patent/AU2018102076B4/en
Priority to AU2018102075A priority patent/AU2018102075C4/en
Priority to AU2019100464A priority patent/AU2019100464A4/en
Priority to AU2019100463A priority patent/AU2019100463B4/en
Priority to AU2021101689A priority patent/AU2021101689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3/00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 A47H13/01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by clamps; by clamps attached to hook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1Bottom bars for stretching hanging curtains; Magnet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to improve closing 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형 커튼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가 연결구로 서로 연결되어 커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세탁하거나 교환할 수 있으며 투광 상태와 암막 상태를 쉽게 제어할 수 있고 연장판을 형성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쉽게 'U'형태가 되도록 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접한 암막 커튼부끼리 연결구를 통해 체결하여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 또한, 본 발명은 커튼 상태에서는 투광이 가능하며, 인접한 암막 커튼부끼리 연결구를 통해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버티칼의 각도조절)에 의해 암막 커튼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오염 또는 훼손에 의한 개별 세탁 및 수선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튼 블라인드의 하단에 무게추를 구비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미려함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버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커튼 블라인드의 색상과 무늬를 서로 상이하게 할 수 있어 미려함을 보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가 연결구로 서로 연결되어 커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세탁하거나 교환할 수 있으며 투광 상태와 암막 상태를 쉽게 제어할 수 있고 연장판을 형성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쉽게 'U'형태가 되도록 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에 관한 것이다.
커튼은 창이나 문에 치는 휘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커튼은 통상적으로 외부의 광이 투광되는 투광형 커튼과 외부의 광이 투광될 수 없는 암막형 커튼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커튼이 이와 같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투광형 커튼과 암막형 커튼 중 하나를 선택하여야 하며, 투광형 커튼 사용 중 암막형 커튼이 필요할 경우 투광형 커튼을 제거하고 암막형 커튼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커튼 대신 블라인드를 설치한 경우, 버티칼의 회전각도 조절에 의해 투광 상태 또는 암막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나, 블라인드는 커튼과 같이 망사 재질이 아니므로 커튼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없다. 더욱이, 기존의 커튼 또는 블라인드는 오염이나 훼손 시 전체를 레일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하거나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하나의 커튼에 의해 투광 상태와 암막 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오염이나 훼손 시 세탁이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한 커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3575호(2014.11.1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투광 상태와 암막 상태를 쉽게 전환할 수 있으며 오염이나 훼손 시 세탁이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한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광 커튼부와, 상기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된 암막 커튼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에서, 상기 암막 커튼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 체결시키는 연결구로서, 제1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된 제1 체결부재를 가지는 제1 클립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2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판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2 연장판, 상기 제2 베이스판의 일면 일 영역에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중심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연결고리를 가지는 제2 클립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판과 상기 제2 연장판에 의해 상기 커튼 블라인드가 커튼 상태일 때, 상기 투광 커튼부를 'U'형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연결구는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면 타 영역에 돌출 형성된 스파이크를 가지는 제1 클립판과, 상기 제2 베이스판의 일면 타 영역에서 상기 스파이크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스파이크 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장판과 상기 제2 연장판은 탄성부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광 커튼부와, 상기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연결구에 의해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 체결된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으로서, 상기 연결구는, 제1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된 제1 체결부재를 가지는 제1 클립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2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판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2 연장판, 상기 제2 베이스판의 일면 일 영역에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중심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연결고리를 가지는 제2 클립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튼 블라인드의 하단에 탈착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접한 암막 커튼부끼리 연결구를 통해 체결하여 심미감이 증가된 라운드 형태의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연장판을 형성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쉽게 'U'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는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튼 상태에서는 투광이 가능하며, 인접한 암막 커튼부끼리 연결구를 통해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버티칼의 각도조절)에 의해 암막 커튼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오염 또는 훼손에 의한 개별 세탁 및 수선이 용이한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튼 블라인드의 하단에 무게추를 구비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미려함을 보강할 수 있는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버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커튼 블라인드의 색상과 무늬를 서로 상이하게 할 수 있어 미려함을 보강할 수 있는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 연결구가 레일고리에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제1 베이스판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제2 베이스판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커튼 상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커튼 상태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암막 상태 사시도.
도 23는 도 22의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블라인드(100)와, 서로 개별적인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10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구(200)를 포함한다.
커튼 블라인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형 커튼을 구성하는 하나의 세트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커튼 블라인드(100)가 다수개 구비되어 블라인드형 커튼을 구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블라인드(100)는 투광 커튼부(110)와, 투광 커튼부(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암막 커튼부(120)를 포함한다.
투광 커튼부(110)는 망사 형태로 직조되어 외부의 광이 내부로 투과될 수 있다. 이러한 투광 커튼부(110)는 직사각형태로 제작되되, 다양한 색상과 무늬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100)의 투광 커튼부(110)는 서로 색상과 무늬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동일한 무늬에 색상만 상이하거나 동일한 색상에 무늬만 상이할 수도 있다.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투광 커튼부(110)와 함께 하나의 커튼 블라인드(100)를 구성한다. 여기서, 암막 커튼부(120)는 제1 암막 커튼부(121)와 제2 암막 커튼부(122)를 포함하여 투광 커튼부(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보다 두께가 두꺼워 투광 커튼부(110)보다 암막 효과를 가지나, 본 발명의 암막 커튼부(120)는 일반적인 암막 커튼처럼 광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는다. 즉,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보다 두께가 두꺼워 광을 조금 더 차단할 뿐이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암막 커튼부(120)가 광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와 동일한 직사각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로 제작되어 투광 커튼부(110)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투광 커튼부(110)와 함께 직조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연결구(200)는 근접한 커튼 블라인드(100)의 암막 커튼부(120)끼리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연결구(200)의 체결에 의해 투광 커튼부(110)가 굴곡지게 되어 커튼 블라인드(100)가 'U'형상이 된다. 이를 위해서, 연결구(200)는 제1 암막 커튼부(121)와 제2 암막 커튼부(122)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연결구(200)의 상측에는 천장 등에 설치된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연결고리를 통해 회전을 가함으로써 커튼 블라인드(10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커튼이므로 일반적인 커튼과 같이 레일을 통해 커튼 블라인드(100)를 이동시켜 커튼형 블라인드를 좌우로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 연결구가 레일고리에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연결구(200)는 커튼 블라인드(100)를 레일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립 형태로 암막 커튼부(120)의 상부에 체결된다. 또한, 클립 형태로 암막 커튼부(120)의 상부에 체결된 연결구(200)는 연결고리를 통해 레일과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커튼 블라인드(100)가 연결구(200)를 통해 레일에 체결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연결구(200)는 암막 커튼부(120) 상부의 일면과 접하는 제1 클립판(210)과, 암막 커튼부(120) 상부의 타면과 접하는 제2 클립판(220)을 포함한다.
제1 클립판(210)은 직사각 형상인 제1 베이스판(212)과, 제1 베이스판(212)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214), 제1 베이스판(212)의 일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된 후크, 및 제1 베이스판(212)의 일면 타 영역에 돌출 형성된 스파이크(218)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판(212)은 전술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이되, 후크가 형성되는 상부 영역인 제1 베이스판 상부(212b)와, 버가 형성되는 하부 영역인 제1 베이스판 하부(212a)로 구분되며, 제1 베이스판 하부(212a)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1 연장판(214)이 형성된다.
제1 연장판(214)은 제1 베이스판(212)에서 연장되어 제1 베이스판(212) 측면의 암막 커튼부(12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은 연결구(200)의 체결에 의해 투광 커튼부(110)가 굴곡지게 되어 커튼 블라인드(100)가 'U'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나, 연결구(200)에서 제1 연장판(214)이 없을 경우, 'U'형상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이스판에 연장판을 형성하고, 제1 베이스판 하부(212a)와 제2 베이스판 하부(222a)는 서로 겹쳐져 암막 커튼부(120)를 지지하고, 제1 연장판(214)과 제2 연장판(224)은 투광 커튼부(110)를 지지하여 커튼 블라인드(100)가 쉽게 'U'형상이 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베이스판(212)과 제2 베이스판(222)에 제1 연장판(214)과 제2 연장판(224)을 각각 연장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베이스판(212)과 제2 베이스판(222) 사이에 연장판 역할을 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탄력있게 휘어짐에 의해서 투광 커튼부(110)가 보다 쉽게 'U'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제1 베이스판 하부(212a)와 제1 연장판(214)이 연결된 형상이다. 물론, 제1 베이스판 하부(212a)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214)만이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연장판(214)과 제2 연장판(224) 모두 탄성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베이스판(212)과 제1 연장판(214), 제2 베이스판(222)과 제2 연장판(224)의 하부 가장자리를 물결 형상, 즉, 반원 형상이 이어진 패턴을 가지도록 하여 제1 클립판(210)과 제2 클립판(220) 경계에 있는 암막 커튼부(120)가 울지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판(214)과 제2 연장판(224)에 의해 연결고리(228)가 제2 클립판(220)에서 편심된다.
후크(216)는 제1 클립판(210)과 제2 클립판(220)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클립판(210)의 제1 베이스판 상부(212b)에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는 제1 후크(216a)와 제2 후크(216b), 제3 후크(216c) 및 제4 후크(216d)를 포함하며, 각각의 후크(216a, 216b, 216c, 216d)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4개의 후크(216a, 216b, 216c, 216d)를 예시하였으나, 후크(216)의 개수는 4개 미만이거나, 4개를 초과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후크(216) 대신, 나사를 이용하여 제1 클립판(210)과 제2 클립판(220)을 체결할 수도 있다.
제2 클립판(220)은 제1 클립판(210)과 결합되며, 직사각 형상인 제2 베이스판(222)과, 제2 베이스판(222)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제1 연장판(214)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2 연장판(224), 제2 베이스판(222)의 일면 일 영역에서 상기 후크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4 후크 결합홀(226a, 226b, 226c, 226d), 제2 베이스판(222)의 일면 타 영역에서 상기 스파이크(218)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스파이크 결합홈, 및 제2 베이스판(222)의 중심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연결고리(228)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베이스판(212)과 제2 베이스판(222) 내부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투광 커튼부(110)가 제1 베이스판(212)과 제2 베이스판(2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양면테이프는 제1 베이스판 하부(212a)와 제2 베이스판 하부(222a)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베이스판(212)과 제2 베이스판(222)의 가장자리에 오목부(D)를 형성하여, 제1 클립판(210)과 제2 클립판(220)을 분리할 때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후크 결합에 의해 제1 클립판(210)과 제2 클립판(220)이 체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후크 의한 억지체결이 아닌 슬릿과 돌기에 의해서 제1 클립판(210)과 제2 클립판(220)을 체결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제1 베이스판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 클립판(210)의 제1 베이스판 상부(212a)는 제1 암막 커튼부(121)의 상부에 부착되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의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방향으로 제2 클립판(220)이 체결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형성된 슬릿의 일부 구간 지름을 상이하게 하여 해당 슬릿 구간으로 제2 클립판(220)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의 (a)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형성된 슬릿의 일부 구간 지름을 상이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제2 베이스판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 클립판(220)의 제2 베이스판 상부(222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의 지름이 큰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해당 돌기가 제1 클립판(210)의 슬릿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돌기와 슬릿의 체결에 의해 암막 커튼부(120)끼리 체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암막 커튼부(120)의 체결은 스냅단추, 벨크로테이프, 자석, 후크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근접한 암막 커튼부(120)를 서로 체결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그 체결구조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클립판(220)이 제1 암막 커튼부(121)의 일면에 부착되고, 제1 클립판(210)이 제2 암막 커튼부(122)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은 여러개의 세트가 모여 블라인드형 커튼을 구성하며, 여러개의 세트는 일 세트의 제1 클립판(210)과 근접한 타 세트의 제2 클립판(220)이 결합되어 서로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구(200)는 제2 클립판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고리(228)에,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고리(230)이 체결되어 암막 커튼부(120)는 연결구(200)를 통해 레일에 체결된다. 여기서, 레일고리(230)과 연결고리(228)는 탈착이 가능하다. 또한, 레일고리(2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200)가 연결고리(228)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즉, 도면에는 레일고리(230)에 하나의 연결고리(228)만이 연결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레일고리(230)에 두 개의 연결고리 또는 그 이상의 연결고리를 한번에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커튼 블라인드(100)가 미려함을 보강하기 위한 무게추(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무게추는 커튼 블라인드(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무게추의 무게에 의해 커튼 블라인드(100)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한다. 또한,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커튼 블라인드(100)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미려함을 보강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8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형태의 블라인드형 커튼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0)의 모서리를 라운드 처리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0)의 모서리를 모따기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0)의 모서리를 계단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0)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지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0)의 일측 가장자리는 라운드지게 하고 타측 가장자리는 각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각 변형예에서 연결고리가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제2 베이스판 상부(222b)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커튼 상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커튼 상태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은 'U'자 형태를 제대로 유지할 수 없는 반면,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된 커튼 블라인드(100)를 다수개 구비하여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작한다. 또한, 커튼 블라인드(100)의 인접한 암막 커튼부(122. 121')끼리를 연결구를 통해 체결하여 도 20 및 도 21과 같이 'U'형태의 블라인드형 커튼이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블라인드형 커튼의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암막 상태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평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튼 블라인드(100)는 회전에 의해 일 커튼 블라인드(100)의 투광 커튼부(110)와 제2 암막 커튼부(122), 인접한 타 커튼 블라인드의 제1 암막 커튼부(121')가 서로 겹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은 암막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커튼 상태일 때에는 일반 커튼과 같이 외부의 광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고, 암막 상태일 때에는 암막 커튼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된 커튼 블라인드가 다수개가 구비되며,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오염 또는 훼손에 의한 세탁 및 수선이 용이하다. 즉, 오염되거나 훼손된 커튼 블라인드의 연결구를 분리하면 오염되거나 훼손된 커튼 블라인드만을 레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한 커튼 블라인드를 세탁하거나 수리 또는 새로 구입한 커튼 블라인드를 연결구에 체결하면 되므로 오염 또는 훼손된 커튼 블라인드만을 쉽게 분리하여 세탁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개별적인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가 연결구에 의해 상부가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바람이 불더라도 일부 커튼 블라인드만 바람에 날리며, 커튼형 블라인드 전체가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 각각의 색상을 상이하게 하거나 무늬를 다르게 하여 미려함을 보강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튼 블라인드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커튼 블라인드 110: 투광 커튼부
110': 인접한 투광 커튼부 120: 암막 커튼부
121: 제1 암막 커튼부 121': 인접한 제1 암막 커튼부
122: 제2 암막 커튼부 122': 인접한 제2 암막 커튼부
200: 연결구

Claims (7)

  1. 투광 커튼부와, 상기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된 암막 커튼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에서, 상기 암막 커튼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 체결시키는 연결구로서,
    제1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된 제1 체결부재를 가지는 제1 클립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과 대응되는 형상이며 상기 제1 체결부재와 분리되는 제2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판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2 연장판, 상기 제2 베이스판의 일면 일 영역에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중심부에서 상부로 연장어 커튼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가지는 제2 클립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연장판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2 클립판에서 편심되고,
    상기 연결고리를 중심으로 제1 클립판의 일측에는 일면이 ‘U’형상이며 상부가 개방된 제1 슬릿이 형성되며, 제1 클립판의 타측에는 일면이 ‘U’형상이며 상부가 개방된 제2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클립판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슬릿에 체결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제2 슬릿에 체결되는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의 개방된 ‘U’형상 최단지름 이하인 돌출 기둥과, 상기 돌출 기둥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의 개방된 ‘U’형상 최단 지름을 초과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에 각각 끼워져 체결되며,
    상기 제1 연장판과 상기 제2 연장판에 의해 상기 커튼 블라인드가 커튼 상태일 때, 상기 투광 커튼부를 'U'형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면 타 영역에 돌출 형성된 스파이크를 가지는 제1 클립판과,
    상기 제2 베이스판의 일면 타 영역에서 상기 스파이크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스파이크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판과 상기 제2 연장판은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
  4. 투광 커튼부와, 상기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연결구에 의해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 체결된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으로서,
    상기 연결구는,
    제1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된 제1 체결부재를 가지는 제1 클립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과 대응되는 형상이며 상기 제1 체결부재와 분리되는 제2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판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2 연장판, 상기 제2 베이스판의 일면 일 영역에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중심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커튼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가지는 제2 클립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연장판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2 클립판에서 편심되고,
    상기 연결고리를 중심으로 제1 클립판의 일측에는 일면이 ‘U’형상이며 상부가 개방된 제1 슬릿이 형성되며, 제1 클립판의 타측에는 일면이 ‘U’형상이며 상부가 개방된 제2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클립판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슬릿에 체결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제2 슬릿에 체결되는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의 개방된 ‘U’형상 최단지름 이하인 돌출 기둥과, 상기 돌출 기둥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의 개방된 ‘U’형상 최단 지름을 초과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에 각각 끼워져 체결되며,
    상기 제1 연장판과 상기 제2 연장판에 의해 상기 커튼 블라인드가 커튼 상태일 때, 상기 투광 커튼부를 'U'형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일면 타 영역에 돌출 형성된 스파이크를 가지는 제1 클립판과,
    상기 제2 베이스판의 일면 타 영역에서 상기 스파이크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스파이크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판과 상기 제2 연장판은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튼 블라인드의 하단에 탈착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1020150190145A 2015-01-15 2015-12-30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10189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145A KR101892932B1 (ko) 2015-12-30 2015-12-30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PCT/KR2015/014551 WO2016114516A1 (ko) 2015-01-15 2015-12-31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SG11201705814VA SG11201705814VA (en) 2015-01-15 2015-12-31 Connector for blind-type curtain and blind-type curtain comprising same
AU2015377362A AU2015377362A1 (en) 2015-01-15 2015-12-31 Connector for blind-type curtain and blind-type curtain comprising same
GB1710182.5A GB2549637B (en) 2015-01-15 2015-12-31 Connector for blind-type curtain and blind-type curtain comprising same
JP2017533965A JP6837973B2 (ja) 2015-01-15 2015-12-31 ブラインド型カーテン用連結具及びこれを含むブラインド型カーテン
MX2017009238A MX2017009238A (es) 2015-01-15 2015-12-31 Conectador para cortina tipo persiana y cortina tipo persiana que comprende el mismo.
MYPI2017001043A MY190197A (en) 2015-01-15 2015-12-31 Connector for blind-type curtain and blind-type curtain comprising same
US15/538,423 US20170354285A1 (en) 2015-01-15 2015-12-31 Connector for blind-type curtain and blind-type curtain comprising same
AU2015101931A AU2015101931C4 (en) 2015-01-15 2015-12-31 Connector for blind-type curtain and blind-type curtain comprising same
CA2973865A CA2973865C (en) 2015-01-15 2015-12-31 Connector for blind-type curtain and blind-type curtain comprising same
CN201580069751.1A CN107105911A (zh) 2015-01-15 2015-12-31 百叶窗帘连接件与百叶窗帘
KR1020180045179A KR102318082B1 (ko) 2015-12-30 2018-04-18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AU2018102075A AU2018102075C4 (en) 2015-01-15 2018-12-17 Blind-type Curtain
AU2018102073A AU2018102073C4 (en) 2015-01-15 2018-12-17 Blind-Type Curtain
AU2018102074A AU2018102074C4 (en) 2015-01-15 2018-12-17 Curtain Blind
AU2018102077A AU2018102077B4 (en) 2015-01-15 2018-12-17 Blind-type Curtain
AU2018102076A AU2018102076B4 (en) 2015-01-15 2018-12-17 Curtain Blind for Blind-type Curtain
AU2019100464A AU2019100464A4 (en) 2015-01-15 2019-04-30 Blind-Type Curtain
AU2019100463A AU2019100463B4 (en) 2015-01-15 2019-04-30 Blind-Type Curtain
AU2021101689A AU2021101689A4 (en) 2015-01-15 2021-04-01 Curtain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145A KR101892932B1 (ko) 2015-12-30 2015-12-30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179A Division KR102318082B1 (ko) 2015-12-30 2018-04-18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497A KR20170079497A (ko) 2017-07-10
KR101892932B1 true KR101892932B1 (ko) 2018-08-29

Family

ID=5935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145A KR101892932B1 (ko) 2015-01-15 2015-12-30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224B1 (ko) 2021-08-31 2024-04-24 손윤정 블라인드형 커튼 및 그 블라인드형 커튼의 커튼 클립
KR102538282B1 (ko) * 2021-09-28 2023-06-01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835Y1 (ko) * 2005-10-13 2006-01-11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04124B (zh) 2012-02-23 2017-11-0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及其控制模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835Y1 (ko) * 2005-10-13 2006-01-11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497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101689A4 (en) Curtain Blind
KR101680958B1 (ko) 블라인드형 커튼
KR101892932B1 (ko)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20180042203A (ko)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102347196B1 (ko)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KR200441945Y1 (ko) 결속부재에 의한 결속구조를 갖는 셔터형 롤 스크린
KR101192975B1 (ko) 윈도우 가리개용 파스너 모듈과 방법
AU2018102074B4 (en) Curtain Blind
AU2016102074B4 (en) Blind-type Curtain
KR102538282B1 (ko)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WO2018080016A1 (ko)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AU2022100093B4 (en) Blind-Type Curtain
EP1449466A1 (en) Curtain structure having light-pervious and light-impervious curtain clothes
KR200436446Y1 (ko) 커튼장치
KR20210000905U (ko) 커튼용 고정구
JPH07177959A (ja) ブラインドカーテン
AU2003200993A1 (en) Curtain structure having light-pervious and light-impervious curtain clot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