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193A -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193A
KR20210114193A KR1020200029562A KR20200029562A KR20210114193A KR 20210114193 A KR20210114193 A KR 20210114193A KR 1020200029562 A KR1020200029562 A KR 1020200029562A KR 20200029562 A KR20200029562 A KR 20200029562A KR 20210114193 A KR20210114193 A KR 2021011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vertical
louver
curta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125B1 (ko
Inventor
권영택
Original Assignee
권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택 filed Critical 권영택
Priority to KR102020002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1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2Travellers; Lamellae suspension stems
    • E06B9/364Operating mechanism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는 한 쌍의 루버 사이에 망사가 제직 또는 편직된 커튼을 복수개로 마련하여 루버가 상호 중첩되어 순차적으로 연이어 연결되도록 루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티컬 커튼 루버 조절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제1행거와 제2행거로 구성되되,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상호 맞대어 결합되면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맞대어진 결합 상태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에 마주보는 면 하부에 형성된 압박부가 겹쳐진 각각의 루버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 변경을 통해 수직 배치된 각각의 루버에 대한 길이 방향의 수직 상태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Vertical Alignment Device of Vertical Curtain}
본 발명은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의 수직 배열 상태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커튼은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거나,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 조절 및 단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최근 들어서는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은 물론, 커튼을 친 상태에서도 외부를 볼 수 있는 버티칼 커튼이 개발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버티칼 커튼은 창문 내측 상단의 천정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 내측에서 좌우 이동되는 캐리어와, 캐리어에 상단이 물린 차광루버와, 차광루버 상단이 물린 캐리어를 이동시키고 좌우 각도를 조절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막대 형태의 제어봉 또는 캐리어 이동코드 및 체인 등으로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한 버티칼 커튼의 작동 방법은 상기 제어봉을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캐리어 이동코드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차광루버가 이동하여 펼쳐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여 차광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봉을 회전시키거나 체인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차광루버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차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버티컬 커튼은 차광 기능, 사생활 보호 기능, 장식, 방음 및 단열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버티컬 커튼은 세탁하기 위해서나, 계절 변화 및 사용자의 기호 변화에 따라 커튼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버티컬 커튼은 커튼만을 교체하기가 불가능하여 실용성과 상품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종래의 버티컬 커튼에 대한 공개된 특허들은 아래와 같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802호(고안의 명칭 : 커튼 겸용 버티컬 커튼)에서는 커튼 블라인드의 투광부(커튼재)와 불투광부(블라인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불투광부와 투광부의 상단, 하단이 클립으로 체결되어 구성되는 커튼 겸용 버티컬 커튼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커튼 겸용 버티컬 커튼은 차광 기능, 사생활 보호 기능, 장식, 방음 효과 및 단열효과를 제공하는 불투광부인 커튼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불투광부의 교체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여 실용성과 상품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블라인드와 함께 설치되는 커튼을 다른 종류 또는 디자인의 커튼으로 교체할 수 있는 커튼 겸용 버티컬 커튼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40270호(발명의 명칭 : 건축물 덮개용 섬유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각각의 블라인드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스트립 형태의 베인이 형성되고, 상기 베인을 상호 접속하는 시트 재료가 포함되어, 상기 각 블라인드 사이를 연결하는 시트재료에 의해 커튼을 겸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축물 덮개용 섬유체(버티컬 커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섬유체(버티컬 커튼)을 착탈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나, 커튼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각 블라인드의 베인으로부터 일일이 시트재료를 탈리한 후 블라인드의 베인에 다른 시트재료를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커튼의 교체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블라인드의 베인으로부터 시트재료가 자연적으로 미끄러져서 이탈하기 쉬우며, 기존의 커튼 제품을 전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531호(고안의 명칭 : 커튼이 부설되는 버티컬 커튼)에서는 차광연결구, 상기 차광연결구의 전면에 종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커튼체, 상기 커튼체와 차광연결구를 결속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버티컬 커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버티컬 커튼은 커튼을 착탈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제로 커튼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차광연결구와 커튼체를 분리 및 장착을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커튼의 교체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다.
특히,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기존의 커튼 제품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커튼의 교체가 가능한 커튼 겸용 버티컬 커튼는 커튼재의 교환이 극히 불편하여 실용화가 매우 곤란하며, 블라인드에서 커튼재가 자연적으로 미끄러져서 이탈하기 쉽고,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기존의 커튼 제품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7101호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부 22에 커튼의 루버 11, 1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분리형으로 설치되어 커튼을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장치는 걸이용행거 110와 연결용행거 130의 사이에 루버가 위치된 상태에서 걸이용행거 110와 연결용행거 130가 맞대어 결합되어 커튼을 고정한다.
그러나, 연결장치에 설치된 제1루버 11와 제2루버 12의 상부에 각도가 어긋날 경우 제1루버 11와 제2루버 12의 하부 방향으로 어긋난 각도가 크게 발생되어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올바른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제1루버 11와 제2루버 12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상태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작업이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커튼의 수직 상태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루버마다 연결장치를 레일 내측에 안치된 캐리어에서 분리시킨 다음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를 다시 떼어내어 제1루버 11 또는 제2루버 12를 제1행어 200와 분리시킨 다음 루버들의 위치와 각도를 일치시켜야 하는 복잡하고 번거로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커튼의 수직 상태를 위한 일치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정되며, 제1루버 11와 제2루버 12의 상부의 각도가 미세하게 어긋날 경우 길이를 갖는 제1루버와 제2루버의 하부는 점진적으로 큰 각도로 벌어지면서 어긋나게 된다.
이렇게 커튼의 수직 상태의 결과는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를 결합하고 케리어에 연결한 후 상태를 살펴보는 일을 반복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연결장치와 루버를 탈부착 하는 과정에서 블라인드 커튼을 훼손하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6822호,(2004년10월27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는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상호 마주보게 맞대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회전에 의해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직 상태가 불일치된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상태 각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 조절에 의해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상태를 일치시킨 다음 제1블럭 또는 제2블럭 중 어느 한 개소를 선택하여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조합된 기준홈과 유동홈에 삽입 및 고정하여 각도 조절된 제1행거와 제2행거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는 한 쌍의 루버 사이에 망사가 제직 또는 편직된 커튼을 복수개로 마련하여 루버가 상호 중첩되어 순차적으로 연이어 연결되도록 루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티컬 커튼 루버 조절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제1행거와 제2행거로 구성되되,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상호 맞대어 결합되면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맞대어진 결합 상태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에 마주보는 면 하부에 형성된 압박부가 겹쳐진 각각의 루버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 변경을 통해 수직 배치된 각각의 루버에 대한 길이 방향의 수직 상태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기준축과 기준공을 각각 형성시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결합을 통해 기준축이 기준공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가이드축와 가이드공을 각각 형성시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결합을 통해 가이드축이 가이드공에 결합하되,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가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가이드축이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여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 변경을 안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행거에는 기준공과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제2행거에는 기준축과 가이드축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박부는 제1행거 및 제2행거의 마주보는 전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압박부에 루버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루버핀과 망사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망사핀이 상호 구분되게 형성하되, 상기 루버핀과 망사핀은 마주하는 다른 루버를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기준축을 통해 회전의 기준이 되는 반대방향의 제2행거의 측면에는 경계턱에 의해 공간이 구분되는 상부홈과 하부홈이 형성되고 제1행거의 측면에는 유동홈을 형성시켜 상부홈과 하부홈과 연통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블럭은 절곡된 형상으로 이음되는 제1돌기와 제2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의 측면에 경사돌기가 돌출되어 상부홈과 하부홈 및 유동홈에 삽입하기 용이하고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블럭은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일치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상부홈과 하부홈에 일치되는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루버의 수직 상태가 각도 조정이 필요 없이 일치된 상태일 경우 상기 제2블럭을 유동홈과 연통된 상부홈 또는 하부홈 중 어느 한 개소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준축은 상단부에 고정돌기를 형성시키고 중앙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한 쌍의 고정돌기가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준공의 단부에 형성한 고정턱에 고정돌기가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행거는 복수의 가이드축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축은 중앙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한 쌍의 고정돌기가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행거에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공에 가이드축이 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공의 걸림턱에 가이드축의 고정돌기가 걸림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는 양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파단홈을 형성시켜 양측면을 선택적인 절단을 가능하도록 하여 루버의 폭에 맞추어 제1행거와 제2행거의 폭 길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행거의 파단홈의 단부에는 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행거의 파단홈의 단부에는 경계턱에 의해 공간이 구분되는 상부홈과 하부홈이 형성되고 제1행거의 측면에는 유동홈을 형성시켜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결합을 통해 상부홈과 하부홈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는 한 쌍의 루버 사이에 망사가 제직 또는 편직된 커튼을 복수개로 마련하여 루버가 상호 중첩되어 순차적으로 연이어 연결되도록 루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티컬 커튼 루버 조절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제1행거와 제2행거로 구성되되,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상호 맞대어 결합되면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맞대어진 결합 상태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에 마주보는 면 하부에 형성된 압박부가 겹쳐진 각각의 루버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 변경을 통해 수직 배치된 각각의 루버에 대한 길이 방향의 수직 상태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상호 맞대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면서 회전된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를 조절한 만큼 제1루버와 제2루버를 연동시켜 불일치된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상태 각도를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버티컬 커튼의 위치 오류를 방지하는 동시에 커튼의 설치 이후 위치 보정을 가능하도록 하여 버티컬 커튼의 관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블럭 또는 제2블럭을 선택적으로 기준홈 및 유동홈에 삽입 및 고정시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조절된 각도를 유지시켜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일치된 수직 상태의 긴밀한 유지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종래 기술의 경우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상태가 불일치할 경우 연결장치를 이동부에서 분리한 후 연결장치의 제1행거와 제2행거를 재분리하여 제1행거와 제2행거에 붙여있는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상태를 작업자의 감각으로 조정한 후 제1행거와 제2행거를 재결합하고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재결합으로 형성된 연결장치의 고리를 이동부의 걸림구조에 연결하여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상태를 판단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일치성을 조정하기 위해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상부 부분만의 수직 일치성을 작업자의 감각으로 조절하여 루버의 전체적인 수직상태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상부에 대한 수직 상태가 미세하게 어긋날 경우 하부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어긋난 각도는 더욱 가중된다.
결국, 제1루버와 제2루버에 대한 상부의 수직 상태를 작업자의 감각으로 조정하는 작업만으로는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전체적인 수직성을 일치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버티컬 커튼이 설치된 상태에서 커튼의 분리 작업 없이 조절부를 통해 손쉽게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각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는 커튼의 수직 각도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한 이후 제1블럭 또는 제2블럭 중 어느 한 개소를 선택하여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조합된 기준홈과 유동홈에 삽입 및 고정하여 각도 조절된 제1행거와 제2행거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일치성이 긴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는 상기 경계턱의 선단은 유동홈 내부면 사이에 형성시킨 틈새에 얇거나 뾰족한 공구를 끼워 넣어 제1행거와 제2행거의 분리를 더욱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버티컬 커튼의 제1실시예에 수직 배열 조절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버티컬 커튼의 제2실시예에 수직 배열 조절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와 커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중 제1행거와 제2행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중 제1행거와 제2행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중 제1행거와 제2행거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2블럭을 이용한 정상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2블럭을 이용한 정상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1블럭을 이용한 변경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1블럭을 이용한 변경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1블럭을 이용한 다른 변경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1블럭을 이용한 다른 변경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1블럭 및 제2블럭을 이용한 정상 각도 및 변경 각도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불일치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불일치 상태를 조정하여 커튼의 각도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이니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버티컬 커튼의 제1실시예에 수직 배열 조절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버티컬 커튼의 제2실시예에 수직 배열 조절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와 커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중 제1행거와 제2행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중 제1행거와 제2행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중 제1행거와 제2행거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2블럭을 이용한 정상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2블럭을 이용한 정상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1블럭을 이용한 변경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1블럭을 이용한 변경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1블럭을 이용한 다른 변경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9b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1블럭을 이용한 다른 변경 각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에서 제1블럭 및 제2블럭을 이용한 정상 각도 및 변경 각도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1a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불일치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불일치 상태를 조정하여 커튼의 각도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는 버티컬 커튼 1에 적용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티컬 커튼 1은 천정에 레일 11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 11에 이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부 12가 설치된다.
복수의 이동부 12는 길이를 갖는 레일봉 11a과 헬리컬 기어 치합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레일봉 11a의 회전을 통해 이동부 12가 연동하여 연결장치 10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레일봉 11a의 회전 또는 이동부 12의 이동은 공지 기술인 제어봉 16a 또는 이동코드 16b 및 체인 16c 등의 제어부 16을 통해 작동된다.
그리고, 각각의 이동부 12에는 걸림 구조로 연결장치 10의 고리 230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장치 10에는 한 쌍의 루버 14와 망사 15로 이루어진 커튼 13이 순차적으로 이음된다.
여기서, 상기 루버 14는 제1루버 14a와 제2루버 1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루버 14a와 제2루버 14b 사이에 망사 15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커튼 13은 복수로 마련되어 제2루버 14b와 다른 커튼 13의 제1루버 14a가 상호 중첩되는 방식으로 순차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루버 14a와 제2루버 14b가 중첩된 상부에는 연결장치 10이 설치되어 제1루버 14a와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를 중첩 상태로 연결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장치 10은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은 상호 맞대어 결합되는 사이에 제1루버 14a와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가 설치된다.
상기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는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호 맞대어 결합되어 회전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에 마주보는 면 하부에는 압박부 150이 형성되어 겹쳐진 루버 14를 고정시킨다.
즉, 상기 압박부 150은 제1행거 100 및 제2행거 20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압박부 150은 루버 14를 관통시키는 복수의 루버핀 151과 망사 15를 관통시키는 복수의 망사핀 152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행거 100의 루버핀 151은 제1루버 14a를 관통하고, 제2행거 200의 루버핀 151은 제2루버 14b를 관통하여 루버 14가 자중에 의해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또한, 망사 15가 변형 또는 손상이 쉬운 얇은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망사핀 152는 루버핀 151의 길이보다 촘촘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망사핀 152는 한 쌍의 망사 15의 중첩된 연결 부위가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압박부 150의 안쪽에 양면 접착제를 붙여 루버핀 151과 망사핀 152와 더불어 각각의 루버 14를 부착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1루버 14a와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는 상호 천의 면 접촉으로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행거 100의 제1루버 14a 및 제2행거 200의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의 접촉 부위가 미끄러운 상태로 접촉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연결장치 10에 루버 14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회전 각도를 변경시키면 수직 방향으로 내려진 1루버 14a와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가 상호 미끄러운 상태로 면 접촉되어 있어 각도 변화가 용이하여 수직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결국,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각도 변경을 통해 제1루버 14a와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의 각도 조절을 수행하여 제1루버 14a와 제2루버 14b의 수직 배열 상태를 손쉽게 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종래 기술에서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수직 상태가 불일치할 경우 연결장치를 이동부에서 분리한 후 연결장치의 제1행거와 제2행거를 재분리한다.
이후, 제1행거에 부착된 제1루버 또는 제2행거에 부착된 이웃하는 커튼의 제2루버를 떼어내어 작업자의 감각으로 수직 상태를 가늠한 다음 제1행거에 부착된 커튼 의 제1루버 또는 제2행거와 이웃하는 커튼의 제2루버를 붙인다.
다음으로 제1행거와 제2행거를 재결합하고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재결합으로 형성된 연결장치의 고리를 이동부의 걸림구조에 결합하면 커튼이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늘어뜨려진 상태가 되고 제1루버와 이웃하는 커튼의 제2루버에 대한 수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커튼의 수직 상태를 일치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수차례 반복 시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경우 루버를 수직으로 일치시키는 작업은 제1행거와 제2행거에 물리는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상부만을 감각으로 일치시키는 작업으로 나머지 전체의 수직 상태를 맞추는 단계로 진행하기 때문에 단 한 번에 루버의 수직 일치 작업을 마무리 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수직 상태 일치 작업은 레일에서 연결장치를 분리한 다음 상기 연결장치에 설치된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상부 부분만의 수직 상태를 일치시켜 나머지 루버의 전체적인 수직 상태를 조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하지만,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상부에 대한 수직 상태를 육안으로 일치시키는 작업이 어려워 루버의 상부에서 미세한 각도 차이가 발생한 경우 루버의 하부로 내려올수록 어긋난 각도는 더욱 증가되어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중첩 상태가 불일치되어 블라인드 커튼의 기능과 형태에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버티컬 커튼이 설치된 상태에서 연결장치 10에서 커튼 13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손쉽게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의 정밀한 각도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여 수직 상태의 조절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제1루버 14a와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의 전체적인 수직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가능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가 맞대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회전이 가능하여 루버 14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 만큼 제1루버 14a와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를 연동시켜 불일치된 제1루버 14a와 제2루버 14b의 수직 상태 각도를 일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기준축 110과 기준공 210을 각각 형성시켜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결합을 통해 기준축 110이 기준공 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제1행거 100에는 기준축 110과 복수의 가이드축 120이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고, 제2행거 200에는 기준공 210과 복수의 가이드공 220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준축 110은 기준공 210에 결합되고, 가이드축 120은 가이드공 220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공 220은 상하로 길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축 120이 가이드공 220 내주연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마주보게 결합된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은 상기 기준축 11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축 120과 가이드공 220이 결합을 통해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결합 상태 유지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된다.
이를 통해, 기준축 110을 중심으로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상하 각도 변경이 가능하고, 가이드축 120과 가이드공 220의 결합을 통해 각도 범위의 한계를 지정한다.
이는, 상기 가이드공 220의 길이에 맞추어 가이드축 120의 이동 거리가 한정되기 때문에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무제한 각도 변화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기준축 110과 가이드축 120은 상단부에 고정돌기 116를 형성시키고 중앙에 절개홈 115가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한 쌍의 고정돌기 116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기준공 210에서 기준축 110의 탄력적인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준공 210 또는 가이드공 220의 입구 단부에 고정턱 221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 116이 걸림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장치 10에서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의 상하각도 변경은 조절부 153을 통해 상하 각도 변경이 가능하다.
즉, 한 쌍의 조절부 153은 작업자가 공구 또는 손을 이용하여 비틀게 되면 기준축 110을 중심으로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가 상호 엇갈리게 회전되면서 각도가 변화된다.
나아가, 상기 조절부 153을 통해 루버 14의 수직 배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제1블럭 300 또는 제2블럭 400을 적용한다.
상기 제1블럭 300은 절곡된 형상으로 이음되는 제1돌기 310과 제2돌기 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 310과 제2돌기 320의 측면에 경사돌기 330이 돌출된 형상이다.
상기 제2블럭 400은 두께가 일정한 정육면체의 형상을 위해 측면에 경사돌기 410이 돌출된 형상으로 삽입의 용이성을 갖는다.
상기에서 언급된 조절부 153, 제1블럭 300 및 제2블럭 400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먼저, 조절부 153은 불일치된 커튼의 수직 상태를 일치시키고자 할 때 연결장치 10에 맞대어 결합된 한 쌍의 조절부 153을 상호 엇갈리게 비틀면 기준축 110을 중심으로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이 회전하여 제1루버 14a와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 수직 상태를 일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블럭 300 또는 제2블럭 400은 조절부 153을 통해 루버 14의 조정된 수직 상태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행거 200의 측면에는 기준홈 201이 형성된다.
상기 기준홈 201은 경계턱 204에 의해 공간이 상하로 구분되는 상부홈 202과 하부홈 203이 포함된다.
그리고, 제1행거 100의 측면에는 유동홈 101이 형성되어 상부홈 202과 하부홈 203이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루버 14의 수직 조절 여부에 따라 제1블럭 300 또는 제2블럭 400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 11에 설치된 루버 14의 수직 상태가 처음부터 일치되어 수직 조절 작업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상기 제2블럭 400을 유동홈 101과 연통된 상부홈 202 또는 하부홈 203 중 어느 한 개소에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이때, 상부홈 202과 하부홈 203의 단부 형상이 직사각형이고, 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블럭 400을 결합하여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이 루버 14의 자중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를 방지한다.
또한, 도 8a, b 및 도 9a,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 11에 설치된 루버 14의 수직 상태 조정이 필요하여 조절부 153을 이용하여 각도를 조정한 다음 유동홈 101과 연통된 상부홈 202 또는 하부홈 203이 상호 어긋나게 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제1블럭 300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블럭 300은 절곡된 형상의 제1돌기 310와 제2돌기 320의 측면에 경사돌기 330이 돌출되어 상부홈 202와 하부홈 203 및 유동홈 101에 삽입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을 통해 고정된 한 쌍의 루버 14 및 망사 15가 정확하게 수직 상태가 일치된 경우 상기의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부홈 202 또는 하부홈 203에 제1블럭 300 또는 제2블럭 400을 결합시킨다.
이를 통해,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이 루버 14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거나 강제적으로 회전되어 상호 엇갈린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도 1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루버 14a와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의 수직 배열 상태가 B° 각도만큼 어긋날 경우 조절부 153을 통해 제1행거 100 또는 제2행거 200을 상부 또는 하부로 상호 엇갈리게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도 1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행거 100 또는 제2행거 200의 각도를 A° 만큼 변경시키면 루버 14의 수직 상태가 일치되고 상부홈 202 또는 하부홈 203 및 유동홈 101에 제1블럭 300 또는 제2블럭 40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블럭 300과 제2블럭 400에는 각각 경사돌기 330, 410이 형성되어 상부홈 202와 하부홈 203 및 유동홈 101에 손쉽게 삽입되고, 결합되는 깊이에 맞추어 고정시킴으로서 경사돌기 330의 각도와 연계하여 제1행거 100 또는 제2행거 200의 조정된 A° 각도를 유지시킨다.
이렇게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을 A° 각도 만큼 조정시키면 제1루버 14a 또는 제2루버 14b가 B° 각도만큼 조정되어 상호 수직 배열 상태를 일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계턱 204의 선단은 유동홈 101 내부면 사이에 형성시킨 틈새에 얇거나 뾰족한 공구를 끼워 넣어 필요시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분리를 더욱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은 양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파단홈 154를 형성시켜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양측을 선택적인 절단할 수 있다.
이는, 루버 14의 폭에 맞추어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폭의 길이를 조절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제1행거 100의 파단홈 154의 단부에는 유동홈 101이 형성되고, 상기 제2행거 200의 파단홈 154의 단부에는 경계턱 204에 의해 공간이 구분되는 상부홈 202과 하부홈 203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파단홈 154을 이용하여 절단하면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의 측면에 유동홈 101과 상부홈 202와 하부홈 203 및 경계턱 204가 노출되어 상기에서 언급된 제1블럭 300과 제2블럭 400을 통해 각도 조절 이후 유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버티컬 커튼용 연결장치 10은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제1루버 14a와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를 연동시켜 불일치된 제1루버 14a와 이웃하는 커튼 13의 제2루버 14b의 수직 상태 각도를 일치시킬 수 있다.
즉, 버티컬 커튼 1이 설치된 상태에서 분리 작업 없이 조절부 153을 통해 제1행거 100과 제2행거 200의 각도를 손쉽게 조절하여 제1루버 14a와, 제2루버 14b의 수직 상태 각도를 버티컬 커튼 1 전체 모양과 기능에 적합한 정도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각도가 조정된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상부홈 202, 하부홈 203 및 유동홈 101에 제1블럭 300 또는 제2블럭 400을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조정된 각도를 긴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계턱 204의 선단은 유동홈 101 내부면 사이에 형성시킨 틈새에 얇거나 뾰족한 공구를 끼워 넣어 필요시 제1행거 100와 제2행거 200의 분리를 더욱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은 버티컬 커튼1의 설치시 버티컬 커튼 1의 수직 불일치 상태의 오류를 간단하게 수정하는 동시에 보정된 수직 상태를 긴밀하게 유지시켜 버티컬 커튼 1의 유지 및 관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 버티컬 커튼 10 : 연결장치
11 : 레일 11a : 레일봉
12 : 이동부 13 : 커튼
14 : 루버 14a : 제1루버
14b : 제2루버 15 : 망사
16: 제어부 50 : 연결행거
100 : 제1행거 101 : 유동홈
110 : 기준축 115 : 절개홈
116 : 고정돌기 120 : 가이드축
150 : 압박부 151 : 루버핀
152 : 망사핀 153 : 조절부
154 : 파단홈 200 : 제2행거
201 : 기준홈 202 : 상부홈
203 : 하부홈 204 : 경계턱
210 : 기준공 220 : 가이드공
221 : 걸림턱 230 : 고리
300 : 제1블럭 310 : 제1돌기
320 : 제2돌기 330 : 경사돌기
400 : 제2블럭 410 : 경사돌기

Claims (12)

  1. 한 쌍의 루버 사이에 망사가 제직 또는 편직된 커튼을 복수개로 마련하여 루버가 상호 중첩되어 순차적으로 연이어 연결되도록 루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티컬 커튼 루버 조절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제1행거와 제2행거로 구성되되,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상호 맞대어 결합되면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맞대어진 결합 상태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에 마주보는 면 하부에 형성된 압박부가 겹쳐진 각각의 루버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 변경을 통해 수직 배치된 각각의 루버에 대한 길이 방향의 수직 상태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기준축과 기준공을 각각 형성시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결합을 통해 기준축이 기준공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 루버 조절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가이드축와 가이드공을 각각 형성시켜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결합을 통해 가이드축이 가이드공에 결합하되,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가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가이드축이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여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각도 변경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거에는 기준공과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제2행거에는 기준축과 가이드축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제1행거 및 제2행거의 마주보는 전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압박부에 루버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루버핀과 망사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망사핀이 상호 구분되게 형성하되, 상기 루버핀과 망사핀은 마주하는 다른 루버를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기준축을 통해 회전의 기준이 되는 반대방향의 제2행거의 측면에는 경계턱에 의해 공간이 구분되는 상부홈과 하부홈이 형성되고 제1행거의 측면에는 유동홈을 형성시켜 상부홈과 하부홈과 연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은,
    절곡된 형상으로 이음되는 제1돌기와 제2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의 측면에 경사돌기가 돌출되어 상부홈과 하부홈 및 유동홈에 삽입하기 용이하고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럭은,
    상기 제2블럭은 제1행거와 제2행거가 일치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상부홈과 하부홈에 일치되는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루버의 수직 상태가 각도 조정이 필요 없이 일치된 상태일 경우 상기 제2블럭을 유동홈과 연통된 상부홈 또는 하부홈 중 어느 한 개소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은 상단부에 고정돌기를 형성시키고 중앙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한 쌍의 고정돌기가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준공의 단부에 형성한 고정턱에 고정돌기가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행거는 복수의 가이드축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축은 중앙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한 쌍의 고정돌기가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행거에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공에 가이드축이 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공의 걸림턱에 가이드축의 고정돌기가 걸림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는 양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파단홈을 형성시켜 양측면을 선택적인 절단을 가능하도록 하여 루버의 폭에 맞추어 제1행거와 제2행거의 폭 길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거의 파단홈의 단부에는 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행거의 파단홈의 단부에는 경계턱에 의해 공간이 구분되는 상부홈과 하부홈이 형성되고 제1행거의 측면에는 유동홈을 형성시켜,
    상기 제1행거와 제2행거의 결합을 통해 상부홈과 하부홈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KR1020200029562A 2020-03-10 2020-03-10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KR102442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62A KR102442125B1 (ko) 2020-03-10 2020-03-10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62A KR102442125B1 (ko) 2020-03-10 2020-03-10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193A true KR20210114193A (ko) 2021-09-23
KR102442125B1 KR102442125B1 (ko) 2022-09-13

Family

ID=7792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562A KR102442125B1 (ko) 2020-03-10 2020-03-10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1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547A1 (ko) 2021-08-27 2023-03-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30045163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596Y2 (ko) * 1984-03-07 1990-03-26
KR200222505Y1 (ko) * 2000-09-26 2001-05-02 임경순 버티컬 블라인드
KR200261897Y1 (ko) * 2001-09-04 2002-01-2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310929Y1 (ko) * 2002-11-01 2003-04-18 (주) 산소블라인드 버티컬 블라인더
KR200366822Y1 (ko) 2004-07-26 2004-11-10 임성황 좌우 양단을 움직일 수 있는 버티컬블라인드
KR20170064766A (ko) *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윈플러스 버티컬 블라인드용 단위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596Y2 (ko) * 1984-03-07 1990-03-26
KR200222505Y1 (ko) * 2000-09-26 2001-05-02 임경순 버티컬 블라인드
KR200261897Y1 (ko) * 2001-09-04 2002-01-26 변태웅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310929Y1 (ko) * 2002-11-01 2003-04-18 (주) 산소블라인드 버티컬 블라인더
KR200366822Y1 (ko) 2004-07-26 2004-11-10 임성황 좌우 양단을 움직일 수 있는 버티컬블라인드
KR20170064766A (ko) *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윈플러스 버티컬 블라인드용 단위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547A1 (ko) 2021-08-27 2023-03-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30045163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125B1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125B1 (ko) 버티컬 커튼의 수직 배열 조절 장치
US6401391B2 (en) Louver control in a movable louver assembly
AU2018404905B2 (en) Light-block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4986332A (en) Fastening track assembly for fabric wallcoverings
US6629481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valance
CA2864861C (en) Architectural covering with repositionable handle assembly
RU2337222C2 (ru) Передаточный рычаг для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приспособлений для окон и дверей
US6810619B2 (en) Light-blocking shutter system
CA2444990A1 (en) Adapter for hanging blinds and curtains
US20110197513A1 (en) Louvre control system
JP4150517B2 (ja) 建築物開口部用の固定羽根付きはしご操作カバー
AU2024202874A1 (en) Curtain-blind
KR20220068569A (ko) 틈새 방지용 블라인드
US20080271378A1 (en) Louvered shutters with side-mounted tilt control
EP2860487B1 (en) A measuring tool for preparation of a window lining, an installation kit comprising such a measuring tool,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of a window lining
KR101204167B1 (ko) 제직과 봉제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US20060101717A1 (en) Formed arch
KR20220068570A (ko) 버티컬 커튼
US4418461A (en) Process for producing slats for a vertical slatted venetian blind
US7607261B2 (en) Toggle bar and shutter
CA2224834C (en) Louver control in a movable louver assembly
JPH044153Y2 (ko)
KR101034597B1 (ko) 목편을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버티컬 블라인드
KR102081018B1 (ko) 블레이드 조립식 블라인드
JP2015101939A (ja) 建築用防潮シャ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