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209Y1 - 블라인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209Y1
KR200279209Y1 KR2020020010203U KR20020010203U KR200279209Y1 KR 200279209 Y1 KR200279209 Y1 KR 200279209Y1 KR 2020020010203 U KR2020020010203 U KR 2020020010203U KR 20020010203 U KR20020010203 U KR 20020010203U KR 200279209 Y1 KR200279209 Y1 KR 200279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bamboo
blind body
kno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금례
Original Assignee
박금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금례 filed Critical 박금례
Priority to KR2020020010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2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209Y1/ko

Link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차광 및 통풍이 원할하고 조립이 간편한 블라인드 조립체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실이나 끈등으로 역어진 대나무살(61)들로 블라인드몸체(60)를 구성하고, 이 브라인드몸체(60)의 상단부에 일정간격으로 행거부재(80)를 결합하고, 브라인드몸체(60)의 양측부 가장자리에 마감부재(100)로 마감하여서 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조립체는 대나무살(61)들이 일정간격으로 엮어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차광 및 통풍이 원할하고, 오염된 부분의 세척에 유리하다. 또한, 대나무살로 엮어지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행거부재(70)에 의하여 구획시킴으로써 접어짐이 가능하게 하여 일체형 블라인드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따라서 조립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한다. 또한, 행거부재(70)에 톱니부(71)(72)를 형성함으로써, 단일부품으로서도 블라인드몸체(60)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므로 조립부품수가 대폭 경감되고 조립이 간편하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조립체{A blind assembly}
본 고안은 창의 빛을 차단하거나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되는 브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대나무 등의 천연목재를 끈으로 전통문양과 같은 매듭으로 결합하여 실내장식 및 빛의 차단과 통풍을 가능하게 한 브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등의 창에 설치하여 빛을 차단하는데 사용되는 브라인드의 소재는 폴리에스텔 등의 합섬섬유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합성 섬유를 이용한 버티컬은 천으로 되어 바람이 있는 날은 창을 열어 놓으면 바람에 날려서 브라인드를 접어야 하므로 빛의 차단과 외부 가리개의 역할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연스런 천연 무늬등의 분위기를 나타낼 수 없으므로 인테리어 소품으로써 한계가 있다.
실내의 인테리어 등을 감안하여 천연 목재를 이용한 브라인드가 한국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20-2000-27000호에 개시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브라인드를 설치하고자 하는 창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와 일정 폭을갖는 박판의 대나무 등의 목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박판목재(1)와, 상기 박판목재(1)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직경이 상기 판재의 두께와 거의 일치하는 대나무 등의 목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원주부재(2)를 구비하고,
상기 박판목재(1)의 폭방향으로 복수의 박판목재를 나열하고 그 박판목재의 사이 사이에 상기 원주부재(2)를 삽입하여 배치한후, 실 또는 끈으로 배열된 박판목재와 원주부재들을 전통 문양을 나타내도록 엮어서 구성된다.
상기 박판목재(1)의 원자재와 원주부재(2)를 교대로 배열하여 끈으로 매듭을 지어가면서 결합시키고, 상기 끈의 매듭부(3)를 접착제 등으로 접착코팅을 하여 접착코팅부를 형성한다.
또한, 버티컬 소재(5)를 체결하기 위한 버티컬 체결 부재(10)와 상기 버티컬 소재(5)를 천정의 레일에 결합시키기 결합부재(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버티컬 체결부재(10)는 하부에 버티컬 소재(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측으로 형성된 홈부를 구성하는 삽입부(11a)(11b)와, 버티컬 소재(5)의 삽입을 제한하는 칸막이부(13)와, 상부에 폭방향으로 절개된 장홀(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일정 길이의 슬라이드부(31a)(31b)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고 버티컬 체결부재(10)의 상측 장홀(15)로 돌출되는 결합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재(20)는 상측에 버티칼 체결부재(10)의 제2홀(14)에 삽입되는 제1 돌기부(21)와 상기 칸막이부(13)를 경계로 하부에 삽입되는 제2 돌기부(22)와 상기 삽입부(11a)(11b)에 밀착되는 커버부(23)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a)(11b)와 삽입된 버티컬 소재(5)를 결착시키기 위한 리벳(40) 등의 결착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버티컬 소재의 양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끼우는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성형한 마감부재(50a)(50b)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브라인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대나무등의 목재로 형성됨으로써 천으로 된 버티컬보다는 자중이 크므로 바람등의 영향으로 유동이 감소되지만, 유동시 버티컬 소재(5) 상호간 충돌로소음이 발생되어 소음공해로 인해 실내채용에 불리하다.
둘째, 버티컬 소재(5)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10), 결합부재(30) 및 커버부재(20)가 구비됨으로써, 관리부품수가 많아 비용 및 제작측면에서 불리하다.
세째, 버티컬 소재(5)가 창문등에 설치될때 리벳(40)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결합부재(3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반복 사용에 따른 수명연장을 위해서는 다수의 리벳(40)으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조립이 번거롭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차광 및 통풍에 유리하고 바람에 의한 충돌소음을 해결한 브라인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조립부품수가 대폭 경감되고 조립이 간편한 브라인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세째, 사용에 따른 오염이 세척이 용이한 브라인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 블라인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조립체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행거부재의 전개도,
도 6은 본 고안 조립체의 일측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블라인드몸체 61...대나무살
70...행거부재 71,72...톱니부
80...문양매듭부 90...매듭부
100...마감부재 110...고정플레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창문 상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개폐되는 블라인드몸체를 가지는 블라인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몸체는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대나무살과, 상기 인접된 대나무살들을 실 또는 끈으로 매듭하여 상호 고정시키는 매듭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라인드몸체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훅크가 형성된 복수의 행거부재와;
상기 블라인드몸체의 측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가장자리의 대나무살이 통과되는 슬릿을 가지는 중공의 마감부재와;
일단이 상기 마감부재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레일 또는 인접된 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라인드몸체의 상단부에 상기 각 대나무살을 천이나 끈으로 매듭하여 표면에 전통무늬가 나타나는 문양매듭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행거부재는 양단부에 상기 각 대나무살과 문양매듭부가 결합되는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라이드몸체 상단부 전후면을 감싸며 상기 훅크가 형성된 커버부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블라인드 조립체는 행거부재가 일정간격으로 블라인드 상단부에 결합됨으로써 행거부재의 폭만큼 순차적으로 접어짐이 가능하고, 톱니부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체결요소를 요구하지 아니하고 블라인드몸체와 결합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조립체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실이나 끈등으로 역어진 대나무살(61)들로 블라인드몸체(60)를 구성하고, 이브라인드몸체(60)의 상단부에 일정간격으로 행거부재(80)를 결합하고, 브라인드몸체(60)의 양측부 가장자리에 마감부재(100)로 마감하여서 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블라인드몸체(60)는 창문 상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개폐되도록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미도시)에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슬라이딩 구조는 통상의 방식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블라인드 조립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블라인드몸체(60)는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대나무살(61)과, 인접된 대나무살(61)들을 실 또는 끈으로 매듭하여 상호 고정시키는 매듭부(90)를 구비한다. 매듭부(90)는 2개의 실 또는 끈이 번갈아가며 바늘로 꿰매듯이 엮는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나무살(61)은 그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등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다.
상기 블라인드몸체(6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각 대나무살(61)을 천이나 끈으로 매듭하여 표면에 전통무늬가 나타나는 문양매듭부(8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행거부재(7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상기 각 대나무살(61)과 문양매듭부(80)가 결합되는 톱니부(71)(72)가 형성되고, 블라인드몸체(60) 상단부 전후면을 감싸며 상기 이동블럭(미도시)에 결합되는 훅크(73a)가 형성된 커버부(73)를 구비한다. 훅크(73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하여 랜싱(lancing)가공으로 커버부(73)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행거부재(70)는 블라인드몸체(60)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양단부의 톱니부(71)(72)을 압압하여 커버부(73)의 소성변형으로 그 형태가 유지되면서 문양매듭부(80) 및 대나무살(6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행거부재(70)는 문양매듭부(80)를 함께 결합시킴으로써 미끄럼이 방지되며, 대나무살(61)의 길이방향으로의 이탈이 수월치 않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블라인드몸체(60)의 측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상기 중공의 마감부재(100)는 블라인드몸체(60) 가장자리의 대나무살(61)이 통과되는 길이방향으로 긴 슬릿(slit;10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대나무살(61)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슬릿(101)의 개구가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마감부재(100)는 매듭부(80)(90)의 손상을 방지시킬 뿐만 아니라, 블라인드몸체(60)의 길이방향으로의 뒤틀림을 방지시킨다.
상기 마감부재(1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또는 이와 인접된 고정부분에 블라인드몸체(60)의 일측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플레이트(11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일단은 체결부재(105)(106)에 의해서 마감부재(100)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또는 고정부분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플레이트(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몸체(60)의 상단 양측부에 마련되어서, 창문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측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번호 111은 상기 체결부재(105)(106)가 관통하는 고정공이고, 참조번호 102는 체결부재(105)(106)가 통과되는 체결공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블라인드 조립체는 각 행거부재(70)의 훅크(73a)를 창문 상단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의 각 이동블럭에 결합시키고블라인드몸체(60)의 일단부를 상기 고정플레이트(110)를 이용하여 창문의 일측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블라인드몸체(60)의 일측부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블라인드몸체(60)를 개폐시킬 수 있으며, 또한 통상과 마찬가지로 블라인드몸체(60)에 개방용와이어(미도시)와 폐쇄용와이어(미도시)를 연결하여서 이를 이용하여 개폐시킬 수 도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부재(70)에 의해 결합된 블라인드몸체(60)의 부분이 뒤틀림없이 형상이 유지되며, 이에따라서 행거부재(70)의 폭만큼 순차적으로 접어짐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블라인드조립체는 설치하고자 하는 창문의 크기에 따라 블라인드몸체(60)의 하단부를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행거부재(70)는 실시예에서 블라인드몸체(60)의 상단부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되었지만 블라이드몸체(60)의 하단부에도 상단부와 대칭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 할 것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대나무살(61)들이 일정간격으로 엮어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차광 및 통풍이 원할하고, 오염된 부분의 세척에 유리하다.
둘째, 종래 대나무로 엮어진 다수의 버티컬소재들을 연결하여 블라인드를 구성하였던 것과는 달리, 대나무살로 엮어지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행거부재(70)에 의하여 구획시킴으로써 접어짐이 가능하게 하여 일체형 블라인드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따라서 조립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한다.
세째, 행거부재(70)에 톱니부(71)(72)를 형성함으로써, 단일부품으로서도 블라인드몸체(60)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므로 조립부품수가 대폭 경감되고 조립이 간편하다.

Claims (2)

  1. 창문 상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개폐되는 블라인드몸체를 가지는 블라인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몸체는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대나무살과, 상기 인접된 대나무살들을 실 또는 끈으로 매듭하여 상호 고정시키는 매듭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라인드몸체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는 훅크가 형성된 복수의 행거부재와;
    상기 블라인드몸체의 측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가장자리의 대나무살이 통과되는 슬릿을 가지는 중공의 마감부재와;
    일단이 상기 마감부재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레일 또는 인접된 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몸체의 상단부에 상기 각 대나무살을 천이나 끈으로 매듭하여 표면에 전통무늬가 나타나는 문양매듭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행거부재는 양단부에 상기 각 대나무살과 문양매듭부가 결합되는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라이드몸체 상단부 전후면을 감싸며 상기 훅크가 형성된 커버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KR2020020010203U 2002-04-04 2002-04-04 블라인드 조립체 KR200279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203U KR200279209Y1 (ko) 2002-04-04 2002-04-04 블라인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203U KR200279209Y1 (ko) 2002-04-04 2002-04-04 블라인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209Y1 true KR200279209Y1 (ko) 2002-06-22

Family

ID=7308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203U KR200279209Y1 (ko) 2002-04-04 2002-04-04 블라인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2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60B1 (ko) 2007-11-28 2008-09-08 차기철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60B1 (ko) 2007-11-28 2008-09-08 차기철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0562A (en) Decoratively covered blind structure
US20060237147A1 (en) Vertical shade
US5775399A (en) Louvered blind with removable cloth shades
CA2391698C (en) Curtain and venetian blind arrangement
JP2002070458A (ja) 窓用の建築用カバー
JPS63502807A (ja) カ−テン及び垂直ブラインド装置
CA2723450C (en) Vertical blind united by weaving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0261897Y1 (ko)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US5988254A (en) Washable window shade with removable components
KR200279209Y1 (ko) 블라인드 조립체
KR200441945Y1 (ko) 결속부재에 의한 결속구조를 갖는 셔터형 롤 스크린
CA2470330C (en) Fabric blind slat for window blind
CN101151436A (zh) 分段式罗马遮光帘
EP1561896A2 (en) Slat
US20030062136A1 (en) Curtain and blind arrangement
KR100904173B1 (ko)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319626Y1 (ko) 방충망 어셈블리
US6662846B1 (en) Washable window shade with removable components
JP6012939B2 (ja) 扉の製造方法
US20060249261A1 (en) Removable vane cover fastened to a conventional vertical blind system
KR102313180B1 (ko) 조립식 블라인드
KR200222505Y1 (ko) 버티컬 블라인드
US20080011431A1 (en) Shade having overlapping slats
KR200222501Y1 (ko) 버티컬 블라인드
KR200242449Y1 (ko) 목재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 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