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311B1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311B1
KR100851311B1 KR1020070097916A KR20070097916A KR100851311B1 KR 100851311 B1 KR100851311 B1 KR 100851311B1 KR 1020070097916 A KR1020070097916 A KR 1020070097916A KR 20070097916 A KR20070097916 A KR 20070097916A KR 100851311 B1 KR100851311 B1 KR 10085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optical system
imaging
moving member
imag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518A (ko
Inventor
야스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1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piezoelectric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손떨림 보정 기구를 작게 구성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이를 위해 촬상 광학계(2)와 촬상 소자(14)를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서 손떨림 보정을 행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방향(X)으로 촬상 광학계(2)와 촬상 소자(14)를 상대 이동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8)와; 광축 방향과 직교하고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제 2 방향(Y)으로 촬상 광학계(2)와 촬상 소자(14)를 상대 이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6)와; 제 2 액추에이터(6)가 부착되어 있고, 제 1 액추에이터(8)의 작동에 의해 제 2 액추에이터(6)와 함께 제 1 방향(X)으로 이동하는 제 1 이동 부재(11)를 구비하고; 제 1 액추에이터(8)와 제 2 액추에이터(6)가 T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Figure R1020070097916
촬상 장치, 손떨림 보정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ING DEVICE}
본 발명은 촬영시에 사용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 전화에 탑재되는 카메라 등에 있어서, 촬영시의 손떨림을 보정하는 기능을 갖춘 촬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이 촬상 장치는 베이스 부재에 액추에이터를 통해 이동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이동 부재를 L자형으로 함으로써 촬상 소자의 전체 외주를 둘러싸도록 이동 부재를 고리 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와 비교해 소형화를 도모하려고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 2005-30920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 2005-331399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촬상 장치에 있어도, 이동 부재가 촬상 소자 주위의 반을 둘러싸는 크기가 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를 충분히 소형화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휴대 전화에 탑재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될 수 있는 한 소형화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손떨림 보정 기구를 작게 구성하여 소형화가 도모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는 촬상 광학계와 촬상 소자를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서 손떨림 보정을 행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소자를 상대 이동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와; 광축 방향과 직교하고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소자를 상대 이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 2 액추에이터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2 액추에이터와 함께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 2 액추에이터가 T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액추에이터와 제 2 액추에이터를 T자형으로 배치함으로써 제 1 액추에이터와 제 2 액추에이터의 구동 부분을 근접해서 배치할 수 있고, 제 1 이동 부재를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부재가 상기 촬상 광학계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이동 부재가 촬상 광학계의 측방에 배치됨으로써 제 1 이동 부재와 촬상 광학계가 거의 동일 평면에 나란히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이동 부재가 촬상 광학계의 광축측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장치를 광축 방향으로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고, 상기 촬상 광학계에 대하여 상기 제 1 액추에이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이동 부재를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축과, 제 2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고, 상기 촬상 광학계에 대하여 상기 제 2 액추에이터측에 배치되어 상기 촬상 광학계를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이동 부재를 제 1 지지축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촬상 광학계를 제 2 지지축에 의해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충격을 받았을 경우에도 제 1 액추에이터 및 제 2 액추에이터의 결합 부분이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이 향상되고, 안정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축을 촬상 광학계에 대하여 제 1 액추에이터측에 배치하고, 제 2 지지축을 촬상 광학계에 대하여 제 2 액추에이터측에 배치함으로써 제 1 액추에이터 및 제 2 액추에이터에 의한 이동 기구와 지지 기구를 정리해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지지축 및 제 2 지지축을 배치해도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압전 소자의 작동에 의해 축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손떨림 보정 기능을 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촬상부 및 손떨림 보정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촬상부 및 손떨림 보정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촬상 광학계와 촬상 소자를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서 손떨림 보정을 행하는 것이다. 즉, 손떨림에 따라 촬상 광학계를 이동시키고, 촬상 소자와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한다. 이 촬상 장치는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 전화에 탑재되는 촬상부 등에 적용된다.
우선, 촬상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피사체의 상을 취득하기 위한 촬상 광학계(2)와 촬상 소자(14)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광학계(2)는 촬상 소자(14)에 집광하는 광학계이며, 촬영 렌즈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촬상 광학계(2)는 예컨대 홀더(2a)에 렌즈(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여 구성된다. 촬상 광학계(2)는 하나의 렌즈로 구성해도 좋고, 복수의 렌즈에 의한 렌즈군으로 구성해도 좋다.
촬상 광학계(2)는 제 2 이동 부재(5)에 부착되고, 촬상 소자(14)에 대하여 광축(O)의 방향(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이동 부재(5)는 촬상 소자(14)를 고정하는 촬상 소자 홀더(13)에 수용되어, 구체(球體)(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촬상 소자 홀더(13) 및 촬상 소자(14)에 대하여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광학계(2)는 제 2 이동 부재(5)와 함께 촬상 광학계(2)가 이동함으로써 촬상 소자(14)에 대하여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촬상 광학계(2)를 제 2 이동 부재(5)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 2 이동 부재(5)에 광축 방향으로 향한 지지축(3)을 부착하고, 이 지지축(3)을 따라 촬상 광학계(2)를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다. 촬상 광학계(2)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0)로서는 압전 소자(10a)의 신축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구동축(10b)을 구비한 것이 사용된다. 이 액추에이터(10)는 촬상 광학계(2)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3 액추에이터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압전 소자(10a)가 제 2 이동 부재(5)에 부착되고, 구동 축(10b)이 촬상 광학계(2)에 마찰 결합부(22)에 의해 마찰 결합된다(도 4 참조). 구동축(10b)의 일단은 압전 소자(10a)에 접하여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어 있다. 이 구동축(10b)은 긴 형상의 부재이며, 예컨대 원통형의 것이 이용된다.
마찰 결합 구조로서는 예컨대, 판 스프링에 의해 구동축(10b)을 촬상 광학계(2)의 홀더(2a)에 일정한 압력으로 압접한 상태로 하여 구동축(10b)이 이동할 때에 일정한 마찰력이 생기게 하는 구조로 한다. 이 마찰력을 초과하도록 구동축(10b)이 이동함으로써 관성에 의해 촬상 광학계(2)의 위치가 유지된다. 한편, 이 마찰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역방향으로 구동축(10b)이 이동하면 촬상 광학계(2)도 그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동축(10b)의 왕복 이동을 되풀이함으로써 제 2 이동 부재(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촬상 광학계(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압전 소자(10a)에는 그 신장 속도와 수축 속도를 다르게 하는 전기 신호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된다. 이에 따라, 구동축(10b)이 다른 속도로 왕복 이동하여 촬상 광학계(2)의 이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상 광학계(2)를 제 2 이동 부재(5)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제 2 이동 부재(5)에 대하여 촬상 광학계(2)만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주밍(zooming) 또는 포커싱(focusing)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손떨림 보정 기구 전체를 이동시켜서 주밍 또는 포커싱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주밍 또는 포커싱에 의해 이동하는 부품이 작아지기 때문에 손떨림 보정 기구를 작게 구성할 수 있다.
촬상 소자(14)는 촬영 광학계(2)에 의해 결상된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수단이며, 촬상 소자 홀더(13)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촬상 소자(14)로서는 예컨대 CCD 센서가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제 1 액추에이터(8), 제 2 액추에이터(6), 제 1 이동 부재(11)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액추에이터(8)는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방향(피치 방향)(X)으로 촬상 광학계(2)와 촬상 소자(14)를 상대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이 제 1 액추에이터(8)는 예컨대, 압전 소자(8a)의 신축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구동축(8b)을 구비한 것이 사용된다. 구동축(8b)은 제 1 방향(X)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압전 소자(8a)는 촬상 소자(14)가 고정되는 촬상 소자 홀더(13)에 부착되어 있다. 구동축(8b)은 제 1 이동 부재(11)에 마찰 결합부(21)에 의해 마찰 결합되어 있다(도 4 참조). 구동축(8b)의 일단은 압전 소자(8a)에 접하여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어 있다. 이 구동축(8b)은 긴 형상의 부재이며, 예컨대 원통형의 것이 이용된다.
마찰 결합 구조로서는 예컨대, 판 스프링에 의해 구동축(8b)을 제 1 이동 부재(11)에 일정한 압력으로 압접한 상태로 하여 구동축(8b)이 이동할 때에 일정한 마찰력을 생기게 하는 구조로 한다. 이 마찰력을 초과하도록 구동축(8b)이 이동함으로써 관성에 의해 제 1 이동 부재(11)의 위치가 유지된다. 한편, 이 마찰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역방향으로 구동축(8b)이 이동하면, 제 1 이동 부재(11)도 그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동축(8b)의 왕복 이동을 되풀이함으로써 촬상 소자(14)에 대하여 제 1 이동 부재(11)를 제 1 방향(X)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촬상 소자(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촬상 광학계(2)를 제 1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 다. 압전 소자(8a)에는 그 신장 속도와 수축 속도를 다르게 하는 전기 신호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된다. 이에 따라, 구동축(8b)이 다른 속도로 왕복 이동하여 촬상 광학계(2)의 이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액추에이터(8)는 압전 소자(8a)를 제 1 이동 부재(11)측에 부착하고, 구동축(8b)을 촬상 소자 홀더(13)에 마찰 결합되게 하여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제 2 액추에이터(6)는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요 방향(yaw direction)](Y)으로 촬상 광학계(2)와 촬상 소자(14)를 상대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제 2 방향(Y)은 광축 방향과 직교하고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예컨대 제 1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이 제 2 액추에이터(6)는 예컨대, 압전 소자(6a)의 신축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구동축(6b)을 구비한 것이 사용된다. 구동축(6b)은 제 2 방향(Y)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압전 소자(6a)는 제 2 이동 부재(5)에 부착되어 있다. 구동축(6b)은 제 1 이동 부재(11)에 마찰 결합부(20)에 의해 마찰 결합되어 있다(도 2 참조). 구동축(6b)의 일단은 압전 소자(6a)에 접하여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어 있다. 이 구동축(6b)은 긴 형상의 부재이며, 예컨대 원통형의 것이 이용된다.
마찰 결합 구조로서는 예컨대, 판 스프링에 의해 구동축(6b)을 제 1 이동 부재(11)에 일정한 압력으로 압접한 상태로 하여 구동축(6b)이 이동할 때에 일정한 마찰력을 생기게 하는 구조로 한다. 이 마찰력을 초과하도록 구동축(6b)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관성에 의해 제 2 이동 부재(5)의 위치가 유지된다. 한편, 이 마찰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역방향으로 구동축(6b)이 이동하려고 하면 구동축(6b)은 마찰력에 의해 정지한 채 제 2 이동 부재(5)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동축(6b)의 왕복 이동을 되풀이함으로써 촬상 소자(14)에 대하여 제 2 이동 부재(5)를 제 2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촬상 소자(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촬상 광학계(2)를 제 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압전 소자(6a)에는 그 신장 속도와 수축 속도를 다르게 하는 전기 신호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된다. 이에 따라, 구동축(6b)이 다른 속도로 왕복 이동하여 촬상 광학계(2)의 이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 1 이동 부재(11)에는 상기 마찰 결합에 의해 제 2 액추에이터(6)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액추에이터(8)의 작동에 의해 제 1 이동 부재(11)가 제 1 방향(X)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2 액추에이터(6)도 제 1 방향(X)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 2 액추에이터(6)는 압전 소자(6a)를 제 1 이동 부재(11)측에 부착하고, 구동축(6b)을 제 2 이동 부재(5)에 마찰 결합되게 하여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촬상 장치에는 위치 검출용 자석(9), 홀 소자(15)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검출용 자석(9)은 제 2 이동 부재(5)에 부착된 자석이며, 홀 소자(15)에서 검출될 수 있는 충분한 자계를 발생하는 것이면 족하다. 홀 소자(15)는 위치 검출용 자석(9)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상태에 의거하여 촬상 소자(14)와 촬상 광학계(2)의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이며, 예컨대, 기판(17)에 부착된다. 기판(17)은 촬상 소자 홀더(13)에 부착된 배선 기판이며, 예컨 대 L자형으로 굴곡되어 사용된다. 이 기판(17)에는 압전 소자(6a, 8a, 10a)의 리드 선이 각각 기판(17)에 부착되어 있다.
촬상 장치에는 포토 인터럽터(photo interrupter)(16)가 형성되어 있다. 포토 인터럽터(16)는 촬상 광학계(2)의 위치 검출을 행하는 위치 검출 센서이다. 포토 인터럽터(16)는 기판(17)에 부착되고, 촬상 광학계(2)의 근방 위치에 배치된다. 포토 인터럽터(16)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발광부와 수광부의 사이를 통과하는 이동편(移動片)(2b)의 위치 검출을 통해서 촬상 광학계(2)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동편(2b)은 촬상 광학계(2)의 홀더(2a)에 형성되어 촬상 광학계(2)와 일체가 되어서 이동하는 부재이다.
촬상 장치는 상부 커버(1)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커버(1)는 촬상부 및 손떨림 보정 기구를 수용하는 촬상 소자 홀더(13)의 개구 부분을 커버링하는 커버이며, 피사체상이 입사하기 위한 개구부(1a)를 형성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 부재(11)는 제 1 지지축(12)에 의해 제 1 방향(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지지축(12)은 제 1 방향(X)을 향하여 배치되는 축부재이며, 촬상 소자 홀더(13)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제 1 지지축(12)은 제 1 이동 부재(11)의 베어링부(11a)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이동 부재(11)는 제 1 지지축(12)에 의해 촬상 소자(14)에 대하여 제 1 방향(X)으로만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 1 지지축(12)은 촬상 광학계(2)에 대하여 제 1 액추에이터(8)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지지축(12)은 촬상 광학계(2)를 가로질러 제 1 액추에이터(8)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제 1 액추에이터(8)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액추에이터(8)에 의한 이동 기구와 제 1 지지축(12)에 의한 지지 기구를 정리해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2 이동 부재(5)는 제 2 지지축(7)에 의해 제 2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지지축(7)은 제 2 방향(Y)을 향하여 배치되는 축부재이며, 제 2 이동 부재(5)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제 2 지지축(7)은 제 1 이동 부재(11)의 베어링부(11b)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이동 부재(5)는 제 2 지지축(7)에 의해 제 1 이동 부재(11)에 대하여 제 2 방향(Y)으로만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 2 지지축(7)은 촬상 광학계(2)에 대하여 제 2 액추에이터(6)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지지축(7)은 촬상 광학계(2)를 가로질러 제 2 액추에이터(6)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제 2 액추에이터(6)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액추에이터(6)에 의한 이동 기구와 제 2 지지축(7)에 의한 지지 기구를 정리해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 액추에이터(8)와 제 2 액추에이터(6)는 T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액추에이터(8) 및 제 2 액추에이터(6)는 그 한쪽의 중간 부분에 다른쪽의 선단 부분을 향하여 T자형으로 형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제 1 액추에이터(8)의 중간 부분에 제 2 액추에이터(6)의 선단 부분을 향하여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액추에이터(8)와 제 2 액추에이터(6)의 구동축(8b, 6b)을 근접해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8b) 및 구동축(6b)의 쌍방과 결합되는 제 1 이동 부재(11)를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T자형은 제 1 액추에이터(8) 및 제 2 액추에이터(6)가 완전한 T자형으로 형성된 경우뿐만 아니라, 거의 T자형으로 형성된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컨대, 제 1 액추에이터(8) 및 제 2 액추에이터(6)의 한쪽 중간 부분으로 다른쪽의 선단 부분이 향하여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중간 부분과 선단 부분에 소정의 스페이스가 있을 경우, 또는 그 중간 부분의 중앙에서 제외된 위치에서 선단 부분이 향하여 있는 경우 등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구동축(8b) 및 구동축(6b)의 쌍방과 결합되는 제 1 이동 부재(11)를 작게 구성할 수 있어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기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촬상 장치를 사용해서 촬영을 행할 때에 손떨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관성 센서 등의 손떨림 검출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손떨림을 검출하고, 촬상 소자(14)에 촬상되는 화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제 1 액추에이터(8) 및 제 2 액추에이터(6)에 대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구동 신호가 출력된다.
제 1 액추에이터(8) 및 제 2 액추에이터(6)에는 압전 소자(8a, 6a)의 신장 속도와 수축 속도가 다르도록 구동 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구동축(8b, 6b)이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한다. 제 1 액추에이터(8)의 구동에 의해 촬상 소자(14)에 대하여 제 1 이동 부재(11)가 제 1 방향(X)으로 이동하고, 제 2 액추에이터(6)의 구 동에 의해 제 1 이동 부재(11)에 대하여 제 2 이동 부재(5)와 함께 촬상 광학계(2)가 제 2 방향(Y)으로 이동하고, 촬상 소자(14)와 촬상 광학계(2)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에 손떨림이 발생해도 촬상 소자(14)와 촬상 광학계(2)가 상대적으로 이동 제어되어 촬상 소자(14)의 촬상 화상의 손떨림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 의하면, 제 1 액추에이터(8)와 제 2 액추에이터(6)를 T자형으로 배치함으로써 제 1 액추에이터(8)와 제 2 액추에이터(6)의 구동 부분을 근접해서 배치할 수 있고, 제 1 이동 부재(11)를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형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 광학계(D)의 주위에 제 1 액추에이터(A)와 제 2 액추에이터(B)를 L자형으로 배치한 것이 있다. 이 경우, 제 1 액추에이터(A)와 제 2 액추에이터(B)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거리가 있기 때문에 제 1 액추에이터(A) 및 제 2 액추에이터(B)와 결합되는 이동 부재(C)가 L자형이 되어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충분히 도모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제 1 액추에이터(8)와 제 2 액추에이터(6)가 T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형과 같이 L자형으로 배치할 경우와 비교하면 제 1 액추에이터(8)와 제 2 액추에이터(6)의 구동 부분을 근접해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이동 부재(11)를 작게 구성할 수 있어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 의하면, 제 1 이동 부재(11)가 촬상 광학계(2)의 측방에 배치됨으로써 제 1 이동 부재(11)와 촬상 광학계(2)가 거의 동일 평면에 나란히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이동 부재(11)가 촬상 광학계(2)의 광축측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촬상 장치를 광축 방향으로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 의하면, 제 1 이동 부재(11)를 제 1 지지축(12)에 의해 제 1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촬상 광학계(2)를 제 2 지지축(7)에 의해 제 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촬상 장치가 충격을 받았을 경우에도 제 1 액추에이터(8) 및 제 2 액추에이터(6)의 결합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이 향상되고, 안정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축(12)을 촬상 광학계(2)에 대하여 제 1 액추에이터(8)측에 배치하고, 제 2 지지축(7)을 촬상 광학계(2)에 대하여 제 2 액추에이터(6)측에 배치함으로써 제 1 액추에이터(8) 및 제 2 액추에이터(6)에 의한 이동 기구와 지지 기구를 정리해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지지축(12) 및 제 2 지지축(7)을 배치해도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의 일례를 게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는 이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청구항에 기재된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변형하거나 다른 것에 적용한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떨림 보정 기구로서, 손떨림에 따라 촬상 소자(14)에 대하여 촬상 광학계(2)를 이동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촬상 광학계(2)에 대하여 촬상 소자(14)를 이동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와 마찬가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장치의 액추에이터로서 압전 소자를 이용한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모터 등의 다른 구동 부품을 이용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촬상부 및 손떨림 보정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촬상부 및 손떨림 보정 기구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촬상 장치와 종래 기술의 비교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상부 커버 2 : 촬상 광학계
3 : 지지축 4 : 구체
5 : 제 2 이동 부재 6 : 제 2 액추에이터
7 : 제 2 지지축 8 : 제 1 액추에이터
9 : 위치 검출용 자석 1O : 액추에이터
11 : 제 1 이동 부재 12 : 제 1 지지축
13 : 촬상 소자 홀더 14 : 촬상 소자
15 : 홀 소자 16 : 포토 인터럽터
17 : 기판 20, 21, 22 : 마찰 결합부

Claims (5)

  1. 촬상 광학계와 촬상 소자를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서 손떨림 보정을 행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소자를 상대 이동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와,
    광축 방향과 직교하고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소자를 상대 이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 2 액추에이터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2 액추에이터와 함께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 2 액추에이터가 T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부재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고, 상기 촬상 광학계에 대하여 상기 제 1 액추에 이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이동 부재를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축과,
    제 2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고, 상기 촬상 광학계에 대하여 상기 제 2 액추에이터측에 배치되어 상기 촬상 광학계를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고, 상기 촬상 광학계에 대하여 상기 제 1 액추에이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이동 부재를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축과,
    제 2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고, 상기 촬상 광학계에 대하여 상기 제 2 액추에이터측에 배치되어 상기 촬상 광학계를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 ∼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압전 소자의 작동에 의해 축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70097916A 2006-09-29 2007-09-28 촬상 장치 KR100851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68719 2006-09-29
JP2006268719A JP2008089803A (ja) 2006-09-29 2006-09-29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518A KR20080030518A (ko) 2008-04-04
KR100851311B1 true KR100851311B1 (ko) 2008-08-08

Family

ID=3889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916A KR100851311B1 (ko) 2006-09-29 2007-09-28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40127B2 (ko)
EP (1) EP1906232B1 (ko)
JP (1) JP2008089803A (ko)
KR (1) KR100851311B1 (ko)
CN (1) CN100576053C (ko)
AT (1) ATE511122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9876A (ja) * 2006-09-29 2008-04-17 Fujinon Corp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および撮影装置
JP2008089803A (ja) 2006-09-29 2008-04-17 Fujinon Corp 撮像装置
JP2008089804A (ja) * 2006-09-29 2008-04-17 Fujinon Corp 撮像装置
JP2009047842A (ja) * 2007-08-17 2009-03-05 Sony Corp 駆動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100935312B1 (ko) * 2008-06-09 2010-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손떨림 보정장치
KR100945449B1 (ko) * 2008-06-18 2010-03-05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손떨림 보정장치
KR101022938B1 (ko) * 2009-11-10 2011-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기구
JP2011215349A (ja) * 2010-03-31 2011-10-27 Fujifilm Corp レンズ組立体およびカメラユニット
KR101782999B1 (ko) 2011-06-21 2017-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장치
JP6677118B2 (ja) * 2016-07-29 2020-04-08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6693325B2 (ja) * 2016-07-29 2020-05-13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6743554B2 (ja) * 2016-07-29 2020-08-19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6717100B2 (ja) * 2016-07-29 2020-07-0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7991827B (zh) * 2016-10-26 2020-08-18 Tdk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
JP6863140B2 (ja) * 2017-07-06 2021-04-2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6863146B2 (ja) * 2017-07-14 2021-04-2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7007130B2 (ja) * 2017-08-03 2022-01-24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102508530B1 (ko) * 2018-05-09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떨림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294897B2 (ja) * 2019-06-07 2023-06-20 ミニスイス・ソシエテ・アノニム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3308A (ja) 1996-10-29 1998-05-22 Tec Corp 撮像装置
KR20060061272A (ko) * 2004-12-01 2006-06-07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상흔들림 보정장치를 가진 촬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322A (ja) * 1992-07-24 1994-02-18 Canon Inc 防振機能付撮影装置及び交換レンズ
US6046768A (en) * 1994-06-15 2000-04-04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used for image blur prevention
US5619293A (en) * 1994-06-16 1997-04-08 Nikon Corporation Image blur suppression device of a camera which aligns an image blur suppression lens and actuator based on anticipated sag of supporting members
JPH08136961A (ja) * 1994-11-08 1996-05-31 Minolta Co Ltd 手ぶれ補正装置
US5835799A (en) * 1996-07-10 1998-11-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blur prevention apparatus
JPH1039350A (ja) 1996-07-24 1998-02-13 Minolta Co Ltd 光学装置の手ぶれ補正装置
JP3858308B2 (ja) * 1996-09-10 2006-12-13 株式会社ニコン ブレ補正装置、ブレ補正装置を有するレンズ鏡筒及びブレ補正装置を有するカメラ
JP3480206B2 (ja) * 1996-11-26 2003-12-15 ミノルタ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及びカメラ
JPH10254012A (ja) * 1997-03-11 1998-09-25 Minolta Co Ltd 防振レンズ装置
KR200190490Y1 (ko) 1997-09-30 2000-08-01 윤종용 비디오카메라의손떨림보정구조
JP2000199920A (ja) * 1999-01-06 2000-07-18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の防振装置
JP2001194696A (ja) 2000-01-07 2001-07-19 Canon Inc 振動検出システム
US7436435B2 (en) * 2001-10-01 2008-10-14 Minolta Co., Ltd. Image taking device having image-blur compensator
US6909560B2 (en) * 2003-10-15 2005-06-21 Sheng-Feng Lin Projection lens shifting mechanism
DE502004001467D1 (de) * 2003-12-06 2006-10-26 Diehl Bgt Defence Gmbh & Co Kg Bildgebungsvorrichtung mit einem beweglichen mikrooptischen Linsenfeld zur stabilisierten Abbildung eines Gegenstands auf einen Detektor
JP3829855B2 (ja) * 2004-04-23 2006-10-04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手ぶれ補正機構付き撮像装置
JP2005331549A (ja) * 2004-05-18 2005-12-0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位置検出装置
JP4049125B2 (ja) 2004-05-20 2008-02-20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手振れ補正機構、および撮像装置
JP2005352033A (ja) * 2004-06-09 2005-12-22 Sony Corp レンズ駆動機構及び撮像装置
JP4627640B2 (ja) * 2004-07-09 2011-02-09 Hoya株式会社 ステージ装置及びこのステージ装置を利用した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3922278B2 (ja) * 2004-09-10 2007-05-30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振れ補正機構付きカメラ
KR100594149B1 (ko) * 2004-10-12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0594150B1 (ko) 2004-10-18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떨림 보정 장치
JP2006343699A (ja) * 2005-06-10 2006-12-2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像装置
CN100403774C (zh) * 2005-08-10 2008-07-16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影像感测模块
US7773119B2 (en) * 2006-04-28 2010-08-10 Konica Minolta Opto, Inc. Drive apparatus, image pickup unit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08089804A (ja) * 2006-09-29 2008-04-17 Fujinon Corp 撮像装置
JP2008089803A (ja) 2006-09-29 2008-04-17 Fujinon Corp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3308A (ja) 1996-10-29 1998-05-22 Tec Corp 撮像装置
KR20060061272A (ko) * 2004-12-01 2006-06-07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상흔들림 보정장치를 가진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89803A (ja) 2008-04-17
US7840127B2 (en) 2010-11-23
EP1906232A3 (en) 2009-01-14
KR20080030518A (ko) 2008-04-04
EP1906232A2 (en) 2008-04-02
ATE511122T1 (de) 2011-06-15
CN100576053C (zh) 2009-12-30
EP1906232B1 (en) 2011-05-25
US20080080052A1 (en) 2008-04-03
CN101154015A (zh)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311B1 (ko) 촬상 장치
KR100903357B1 (ko) 촬상 장치
EP1582900B1 (en) Optical apparatus
US7855846B2 (en) Imag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255207B1 (ko)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모듈
EP2259127B1 (en) Optical Image Stabilizer for Camera Module Assembly
WO2010035818A1 (ja) 像振れ補正装置、撮像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ユニット
US20060204233A1 (en) Imag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and camera equipped with same
JP4823837B2 (ja) 撮像装置
JP2010097016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弾性部材の付勢力調整方法
WO2015001952A1 (ja) レンズ駆動装置
WO2015001954A1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1911363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7181261A (ja) 駆動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EP4156668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JP6101641B2 (ja) 撮像装置
JP4958869B2 (ja) 像振れ補正装置、撮像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ユニット
JP2008089805A (ja) 撮像装置
KR100715156B1 (ko) 카메라모듈의 자동초점 액추에이터
KR101119345B1 (ko) 자동초점장치를 갖는 카메라모듈
US20230161227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JP2008225349A (ja) 撮像装置
JP2008236371A (ja) 撮像装置
KR20220039992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09092593A (ja) 位置検出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