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442B1 -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 Google Patents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442B1
KR100848442B1 KR1020080049609A KR20080049609A KR100848442B1 KR 100848442 B1 KR100848442 B1 KR 100848442B1 KR 1020080049609 A KR1020080049609 A KR 1020080049609A KR 20080049609 A KR20080049609 A KR 20080049609A KR 100848442 B1 KR100848442 B1 KR 10084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m
chamber
filling passag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266A (ko
Inventor
치아 후아 리아오
야오 신 리아오
보 씬 지안
Original Assignee
야오 신 리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오 신 리아오 filed Critical 야오 신 리아오
Publication of KR2008005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4Valve bags, i.e. with valves fo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된 공기밀봉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적층된 두 장의 외막과 상기 두 장의 외막 사이에 개재된 두 장의 내막,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내막을 접착시켜 형성하되 두 장의 외막 일단에 위치하는 공기충진통로, 상기 공기충진통로의 측변에 내막과 한 장의 외막을 열밀봉하여 형성한 완충실,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두 장의 외막을 접착시켜서 형성하되 공기충진통로의 일단에 위치하는 공기실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공기실과 공기충진통로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는 공기 충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실 내의 공기가 완충실로 유입된 후, 완충실의 공기가 두 장의 내막을 압박하여 공기충진통로를 봉쇄함으로써,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공기밀봉체, 외막, 내막, 공기충진통로, 완충실, 공기실

Description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AIR-TIGHTNESS STRENGTHENING AIR ENCLOSURE}
본 발명은 공기 밀봉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화된 공기밀봉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포장할 경우, 대부분 에어버블지(air bubble paper)나 스티로폼(Styrofoam)으로 내용물을 포장하고, 이를 종이상자에 넣음으로써, 물품 운반 과정 중 내용물이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에어버블지는 포장물의 표면에 밀착되어 포장된다 하더라도, 충격방지의 효과는 우수하지 않다. 또한 스티로폼은 가볍지만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어렵고, 소각할 경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발산하게 되므로,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에어버블지와 스티로폼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지막(resin film)을 재료로 하여 제작된 공기포장백이 나오게 되었는데, 열밀봉에 의하여 밀봉형태의 공기 기둥체를 형성하고, 공기 충진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충진구를 구비하여, 공기가 공기충진구를 경유하여 공기 기둥체를 충진하여 팽창시킴으로써, 공기포장백이 내포장재로서 완충재료로 사용되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 공기포장백의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고, 도 2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공기포장백은 상하로 적층된 두 장의 외막(21a, 21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열밀봉하여 두 장의 외막(21a, 21b)을 접착시켜 봉지 형상의 몸체를 형성하고, 또한 열밀봉수단에 의해 공기충진통로(22)와 공기실(23)을 형성한다. 두 장의 외막(21a, 21b) 사이에서 열밀봉점(24a, 24b, 24c, 24d)으로 두 장의 내막(25a, 25b)을 접착시키는데, 상기 두 장의 내막(25a, 25b)은 외막(21a)에 접착되고, 두 장의 내막(25a, 25b) 사이의 접착되지 않은 부분은 공기통로(26)를 형성한다. 공기충진통로(22)의 공기가 공기통로(26)를 경유하여 공기실(23)에 유입되어 충진하여 팽창시키고, 공기실(23) 내의 공기가 두 장의 내막(25a, 25b)을 압박하여 공기실(23)을 봉쇄함으로써, 공기실(23) 내의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706호의 「체크밸브를 구비한 합성수지백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synthetic resin bag with check valve)」, 대만 특허공보 제587049호 「밀봉체의 개폐밸브 설치구조와 상기 개페밸브를 구비한 밀봉체의 제조장치(assembly structure of switch valve of air enclosur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nclosure with switch valve)」, 대만 실용신안공보 M252680호 「역방향 공기 차단 시트를 구비한 공기포장백(air packing bag with reverse air locking sheet)」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공기포장백은 공기가 충진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공기실(23) 내의 공기가 열밀봉점(24b)을 눌러 점차적으로 느슨하게 되고, 두 장의 외막(21a, 21b)과 두 장의 내막(25a, 25b) 사이에 틈(gpa)을 형성한다. 공기실(23)의 공기가 열밀봉점(24b)을 느슨하게 만들면서 형성된 틈(gap)을 통하여, 공기가 공기충진통로(22)까지 흘러 들어가는데, 상기 공기충진통로(22)의 공기가 외부로 새어 나가면서 완충효과를 떨어뜨리게 된다. 상술한 내용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떻게 공기포장백의 구조를 개선시켜, 열밀봉점이 공기의 압력을 받아 점차적으로 느슨해지면서 공기실 내의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 완충효과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포장백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는, 본 발명의 발명자와 본 발명과 상관된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가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실을 구비하여, 공기실 내의 공기가 외부로 새어 나갈 때 공기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고, 또한 직접 완충실을 충진하여 공기밀봉의 성능을 강화한 장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충진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공기 밀봉의 효과가 강화된 공기밀봉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는, 상하로 적층된 두 장의 외막과, 상기 두 장의 외막 사이에 배치된 두 장의 내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내막을 접착하여 두 장의 외막 일단에 공기충진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충진통로의 측변에서 내막과 한 장의 외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완충실을 형성하고, 연이어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외막을 접착하여 공기충진통로의 일단에 공기실을 형성하는데, 공기실과 공기충진통로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공기가 충진 팽창된 후, 완충실의 공기가 내막을 압박하여 공기충진통로를 봉쇄함으로써, 공기실의 공기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밀봉의 기능을 강화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는, 상하로 적층된 상막과 하막 및 상기 상막과 하막 사이에 개재된 한 장의 내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열밀봉수단에 의해 내막과 상막을 접착하여 상막과 하막의 일단에 공기충진통로를 형성하고, 공기충진통로의 측변에서 내막과 하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완 충실을 형성하고, 연이어 열밀봉수단에 의해 상막과 하막을 접착하여 공기충진통로의 일단에 공기실을 형성하는데, 공기실과 공기충진통로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공기가 충진 팽창된 후, 완충실의 공기가 내막을 압박하여 공기충진통로를 봉쇄함으로써, 공기실의 공기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밀봉의 기능을 강화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는, 상하로 적층된 두 장의 외막과 상기 두 장의 외막 사이에 개재된 두 장의 내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내막을 접착하여 두 장의 외막의 중간위치에 공기충진통로를 형성하고, 공기충진통로의 측변에서 내막과 한 장의 외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완충실을 형성하고, 연이어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외막을 접착하여 공기충진통로의 양단에 각각 복수 개의 공기실을 형성하는데, 각 공기실은 모두 공기충진통로와 서로 연통되어 있다. 공기가 충진 팽창된 후, 완충실의 공기가 내막을 압박하여 공기충진통로를 봉쇄함으로써, 공기실의 공기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밀봉의 기능을 강화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는, 상하로 적층된 상막과 하막 및 상기 상막과 하막 사이에 개재된 한 장의 내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열밀봉수단에 의해 내막과 상막을 접착하여 상막과 하막의 중간위치에 공기충진통로를 형성하고, 공기충진통로의 측변에서 내막과 하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완충실을 형성하고, 연이어 열밀봉수단에 의해 상막과 하막을 접착하여 공기충진통로의 양단에 각각 복수 개의 공기실을 형성하는데, 각 공기실은 모두 공기충진통로와 서로 연통되어 있다. 공기가 충진 팽창된 후, 완충실의 공기가 내막을 압박 하여 공기충진통로를 봉쇄함으로써, 공기실의 공기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밀봉의 기능을 강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개시한 구조에서는, 두 장의 내막이 외막 중 어느 하나에 접착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임의의 어느 외막과도 접착하지 않고 내막이 공기실에 현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개시하는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는, 공기충진통로와 공기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간격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간격선이 느슨해져서 공기실의 공기가 완충실까지 새어 나갈 경우에는, 완충실의 공기가 내막을 압박하여 공기충진통로를 봉쇄함으로써, 공기가 공기충진통로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밀봉체 사용 시의 완충효과를 제고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밀봉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 장의 내막 사이는 내열재료가 도포되고,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두 장의 내막을 접착시켜 공기충진통로를 형성하는데, 상기 내열재료는 긴 직선형(linear)이고, 그 길이는 대략 두 장의 내막의 폭보다 짧으며 터널타입(tunnel type)의 공기충진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내열재료는 등거리의 간격을 두고 도포될 수 있는데,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서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구를 형성하여, 공기충진통로와 공기실을 연통하는데 사용하는데, 이를 통해 등거리 결절점식 공기충진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공기실의 공기가 완충실까지 새어 나갈 경우에는, 완충실의 공기가 내막을 압박하여 공기충진통로를 봉쇄함으로써, 공기가 공기충진통로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밀봉체의 사용시의 완충효과를 제고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밀봉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공기충진통로는 하나의 절단구(cutting zone)을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절단구(cutting zone)를 따라 절개하면 공기충진통로 양단에 있는 공기실이 분리되어, 공기밀봉체의 효과가 배가 된다.
본 발명의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는 완충실을 구비하여, 공기실 내의 공기가 외부로 새어 나갈 때 공기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고, 또한 직접 완충실을 충진하여 공기밀봉의 성능을 강화하도록 함으로써, 공기 충진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공기 밀봉의 효과를 강화하였다.
본 발명의 특징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두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3a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이고, 도 3c는 공기실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는, 두 장의 외막(2a, 2b), 두 장의 내막(1a, 1b), 공기충진통로(9), 공기실(11), 공기통로(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두 장의 외막(2a, 2b)은 상하로 적층되어 있다.
두 장의 내막(1a, 1b)은 외막(2a 또는 2b)에 접착되고, 두 장의 내막(1a, 1b) 사이는 내열재료(1c)가 도포되어 있는데, 상기 내열재료(1a, 1b)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열밀봉선(3a,3b,3c,3d,3e)을 따라 열밀봉수단에 의해 열밀봉하되, 두 장의 내막(1a, 1b)의 상단과 하단 사이는 열밀봉수단에 의해 열밀봉하여 간격선(4a)을 형성함으로써, 두 장의 외막(2a, 2b)과 두 장의 내막(1a, 1b)을 접착시켜, 두 장의 내막(1a, 1b)의 상단과 간격선(4a)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충진통로(9)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충진통로(9)는 두 장의 외막(2a, 2b)의 일단에 위치하고, 공기충진통로(9)는 열밀봉선(3e)을 관통하며, 외부공기와 접촉하는 공기충진구(12)를 구비한다. 열접착은 열성형프레싱(hot mould pressing)에 의할 수 있다.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열밀봉 한 후, 두 장의 외막(2a, 2b)의 하단과 간격선(4a) 사이에는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공기실(11)을 형성하고, 두 장의 외막(2a, 2b)의 상단과 간격선(4a) 사이에는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완충실(8)을 형성한다.
두 장의 내막(1a, 1b)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그리고 분리되어 내열재료(1c)가 도포되는데, 예를 들어, 인쇄방식에 의해 열가소성물질이나 인쇄잉크를 인쇄한다.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두 장의 내막(1a, 1b)은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서 공기통로(13)를 형성하고, 간격선(4a) 상에 공기주입구(2e)를 형성하여,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실(11)을 연통하는데 사용한다. 공기통로(13)는 공기주입구(2e)와 연접되어 있고, 그 일단의 폭은 타단보다 더 넓은데, 공기통로(13)의 곡선부위의 공기압력이 양 측면의 공기압력보다 크게 됨으로써, 공기주입구(2e)의 공기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는 있으나 외부로는 빠져 나갈 수 없도록하여, 공기실(11)의 내부압력 증가 시, 공기통로(13)의 곡선부위를 압박하여 차폐 효과를 달성하도록 한다.
공기충진구(12)에 진입한 공기는 공기충진통로(9)를 팽창시키고, 두 장의 내막(1a, 1b)이 외부를 향해 열리게 되고 그에 따라 공기주입구(2e)가 열리게 됨으로써, 공기충진통로(9)의 공기가 공기실(11)을 충진하여 팽창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공기실(11)의 공기 내부압력이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두 장의 외막(2a 또는 2b)에 밀착시키고, 공기통로(13)를 막고 공기실(11)을 봉쇄하여,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차단효과를 달성한다.
공기실(11)의 공기 내부압력이 간격선(4a)을 점차적으로 느슨하게 하면, 공기실(11)의 공기가 간격선(4a)의 틈(gap)을 통과하여 외부로 새나가게 된다. 공기실(11)의 공기가 완충실(8)까지 새어 나간 후, 상기 완충실(8)의 공기가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공기충진통로(9)를 봉쇄함으로써, 공기가 공기충진통로(9)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밀봉체 사용시의 완충효과를 제고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밀봉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두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4a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이고, 도 4c는 공기실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단면도이다.
공기밀봉체는 두 장의 내막(1a, 1b)을 두 장의 외막(2a 또는 2b) 사이에 장착하는데, 두 장의 내막(1a, 1b)이 외막(2a 또는 2b)에 접착되지 않도록 하여, 두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를 형성한다. 두 장의 내막(1a, 1b)이 외막(2a 또는 2b)에 접착되도록 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의 특징은 두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와 동일하다.
상술한 두 장의 내막(1a, 1b)의 상단과 두 장의 외막(2a, 2b)의 상단은 열밀봉수단에 의해 각각 열밀봉하는데, 두 장의 내막(1a, 1b)과 두 장의 외막(2a, 2b) 사이에 완충실(8)을 형성하도록 하거나, 또는 두 장의 내막(1a, 1b)의 상단과 두 장의 외막(2a, 2b)의 상단을 나란히 한 줄로 늘어서게 하거나, 또는 동시에 두 장의 내막(1a, 1b)과 두 장의 외막(2a, 2b)을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열밀봉하여, 두 장의 내막(1a, 1b)과 두 장의 외막(2a, 2b) 사이에 두 개의 완충실(8)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두 장의 외막(2a, 2b)은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등간격으로 접착되어 크기가 서로 동일한 복수 개의 공기실(11)을 형성하거나, 또는 부등간격으로 접착하여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공기실(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한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5a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이고, 도 5c는 공기실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는, 한 장의 상막(2c), 한 장의 하막(2d), 한 장의 내막(1b), 공기충진통로(9), 공기실(11), 공기통로(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장의 상막(2c)과 한 장의 하막(2d)은 상하로 적층되어 있다.
한 장의 내막(1b)은 상막(2c)과 하막(2d)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데, 내막(1b)의 상단과 상막(2c)의 상단이 나란히 한 줄로 늘어서 있고, 내막(1b)과 상막(2c) 사이는 내열재료(1c)가 도포되어 있는데, 상기 내열재료(1c)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열밀봉선(3a,3b,3c,3d,3e)을 따라 열밀봉수단에 의해 열밀봉하되, 내막(1b)의 상단과 하단 사이는 열밀봉수단에 의해 열밀봉하여, 간격선(4a)을 형성함으로써, 내막(1b), 상막(2c) 및 하막(2d)을 접착시켜, 상막(2c)의 상단과 간격선(4a)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충진통로(9)를 형성한다. 공기충진통로(9)는 열밀봉선(3e)을 관통하며, 외부공기와 접촉하는 공기충진구(12)를 구비한다. 열접착은 열성형프레싱(hot mould pressing)에 의할 수 있다.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열밀봉 된 후, 상막(2c), 하막(2d)의 하단과 간격선(4a) 사이에는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공기실(11)을 형성하고, 상막(2c), 하막(2d)의 상단과 간격선(4a) 사이에는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완충실(8)을 형성한다.
내막(1b)과 상막(2c)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그리고 분리되어 내열재료(1c)가 도포되는데, 예를 들어, 인쇄방식에 의해 열가소성물질이나 인쇄잉크를 인쇄한다.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내막(1b)과 상막(2c)은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서 공기통로(13)를 형성하고, 공기통로(13)의 일측에 공기주입구(2e)를 형성한다. 공기통로(13)는 공기주입구(2e)와 연접되어 있고, 그 일단의 폭은 타단보다 더 넓은데, 공기통로(13)의 곡선부위의 공기압력이 양 측면의 공기압력보다 크게 됨으로써, 공기주입구(2e)의 공기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는 있으나 외부로는 빠져 나갈 수 없도록하여, 공기실(11)의 내부압력 증가 시, 공기통로(13)의 곡선부위를 압박하여 차폐 효과를 달성하도록 한다.
공기충진구(12)에 진입한 공기는 공기충진통로(9)를 팽창시키고, 두 장의 내막(1a, 1b)이 외부를 향해 열리게 되고 그에 따라 공기주입구(2e)가 열리게 됨으로써, 공기충진통로(9)의 공기가 공기실(11)을 충진하여 팽창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공기실(11)의 공기 내부압력이 내막(1b)을 압박하여 상막(2c)에 밀착시키고, 공기통로(13)를 막고 공기실(11)을 봉쇄하여,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차단효과를 달성한다.
공기실(11)의 공기 내부압력이 간격선(4a)을 점차적으로 느슨하게 하면, 공기실(11)의 공기가 간격선(4a)의 틈(gap)을 통과하여 외부로 새어나가게 된다. 공기실(11)의 공기가 완충실(8)까지 새어 나간 후, 상기 완충실(8)의 공기가 내막(1b)을 압박하여 상막(2c)에 밀착시키고, 상기 공기충진통로(9)를 봉쇄함으로써, 공기가 공기충진통로(9)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밀봉체 사용시의 완충효과를 제고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밀봉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상막(2c)과 하막(2d)은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등간격으로 접착되어 크기가 서로 동일한 복수 개의 공기실(11)을 형성하거나, 또는 부등간격으로 접착하여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공기실(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통로(13)는 열밀봉된 곡선형상, 멀티포인트형, 쌍호형 또는 직선형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막(2c)과 하막(2d)이 공기충진통로(9)의 일단에서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실(11)을 형성한다는 예를 들었으나, 이 외에 상막(2c)과 하막(2d)은 공기충진통로(9)의 양단에서 각각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 실(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a와 6b는 터널타입의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6a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고, 도 6b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두 장의 내막(1a, 1b) 내면의 일단에는 긴 직선형의 내열재료(1c)를 도포하는데, 그 폭은 약 1 센티미터이고, 그 길이는 두 장의 외막(2a, 2b)의 폭과 서로 동일하다.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열밀봉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를 형성하는데,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내막(1a, 1b)을 접착하여 공기주입구(2e)를 형성하여,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실(11)을 연통하는데 사용한다.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실(11) 사이는 열밀봉수단에 의해 열밀봉하여 간격선(4a)을 형성한다. 공기 충진시, 공기는 순서대로 공기충진구(12)를 경유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를 따라 공기주입구(2e)를 통과하여 각 공기실(11)에 진입하는데, 간격선(4a)의 측변에 있는 공기실(11)을 충진시켜 팽창시킨다. 공기실(11)의 공기 내부압력이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공기를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공기밀봉체가 기밀되도록 한다. 만일 간격선(4a)이 느슨해지면, 공기실(11)의 공기는 간격선(4a)을 통과하여 완충실(8) 내로 유입되는데, 완충실(8)의 공기 내부압력이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주입구(2e)를 봉쇄하도록 하여, 공기밀봉체의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막는 제2 방어선이 되도록 한다.
도 6c와 6d는 또 다른 터널타입의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6c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고, 도 6d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두 장의 내막(1a, 1b) 내면의 일단에는 긴 직선형의 내열재료(1c)를 도포하는데, 그 폭은 약 1 센티미터이고, 그 길이는 두 장의 외막(2a, 2b)의 폭과 서로 동일하다.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열밀봉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를 형성한다. 공기 충진시, 공기는 순서대로 공기충진구(12)를 경유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를 따라 공기주입구(2e)를 통과하여 각 공기실(11)에 진입하는데, 각 공기실(11)을 경유하여 완충실(8)까지 유입되어, 공기실(11)과 완충실(8)을 충진시켜 팽창시킨다. 공기실(11)과 완충실(8)의 공기 내부압력이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주입구(2e)를 봉쇄하도록 하여, 공기실(11)의 공기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밀봉의 기능을 강화한다.
도 7a와 7b는 터널타입의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7a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고, 도 7b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두 장의 내막(1a, 1b) 내면의 일단에는 긴 직선형의 내열재료(1c)를 도포하는데, 그 폭은 약 1 센티미터이고, 그 길이는 두 장의 외막(2a, 2b)의 폭과 서로 동일하다.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열밀봉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를 형성한다.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는 두 장의 외막(2a, 2b)의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의 양단에는 복수 개의 공기실(11)이 형성되는데, 공기충진통로(9) 양단의 공기실(11)은 각자 독립되어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또한 공기 충진통로(9)와 공기실(11) 사이는 열밀봉수단에 의해 열밀봉하여 간격선(4a)을 형성한다. 공기가 충진된 후, 공기는 순서대로 공기충진구(12)를 경유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를 따라 공기주입구(2e)를 통과하여 각 공기실(11)에 진입하여, 간격선(4a)의 측변에 있는 공기실(11)을 충진시켜 팽창시킨다. 공기실(11)의 공기 내부압력이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공기를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공기밀봉체가 기밀되도록 한다. 만일 간격선(4a)이 느슨해지면, 공기실(11)의 공기는 간격선(4a)을 통과하여 완충실(8) 내로 유입되는데, 완충실(8)의 공기 내부압력이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주입구(2e)를 봉쇄하도록 하여, 공기밀봉체의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막는 제2 방어선이 되도록 한다. 또한 공기충진통로(9)의 공기는 동시에 양단에 있는 공기실(11)에 충진되어, 공기실(11)의 충진속도를 향상시켜, 충진시간 단축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7c와 7d는 또 다른 터널타입의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7c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고, 도 7d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두 장의 내막(1a, 1b) 내면에 긴 직선형의 내열재료(1c)를 도포하는데, 그 폭은 약 1 센티미터이고, 그 길이는 두 장의 외막(2a, 2b)의 폭과 서로 동일하다.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열밀봉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를 형성하는데,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는 두 장의 외막(2a, 2b)의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의 양단에는 복수 개의 공기실(11)이 형성된다. 공기 충진 시, 공기는 순서대로 공기충진구(12)를 경유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를 따라 공기주입구(2e)를 통과하여 각 공기실(11)에 진입한다. 각 공기실(11)을 경유하여 완충실(8)까지 유입되는데, 공기실(11)과 완충실(8)을 충진시켜 팽창시킨다. 공기실(11)과 완충실(8)의 공기는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터널타입의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주입구(2e)를 봉쇄하도록 하여, 공기실(11)의 공기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밀봉의 기능을 강화한다. 또한 공기충진통로(9)의 공기는 동시에 양단에 있는 공기실(11)에 충진되어, 공기실(11)의 충진속도를 향상시켜, 충진시간 단축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8a와 8b는 결절점식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8a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고, 도 8b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두 장의 내막(1a, 1b)의 내면에서 열밀봉선(3e)이 공기충진통로(9)를 관통하는 위치에 내열재료(1c)가 도포되는데, 길이 약 1.2 센티미터, 폭 약 1 센티미터의 내열재료(1c)가 등간격으로 도포되어, 열밀봉수단에 의해 접착되지 않는 부분에서 공기주입구(2e)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주입구(2e)는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실(11)을 연통하는데 사용한다.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실(11) 사이는 열밀봉수단에 의해 열밀봉하여 간격선(4a)을 형성한다.
공기 충진 시, 공기는 공기충진통로(9)에 흘러들어가고, 순차적으로 각 공기실(11)의 공기주입구(2e)를 열고, 미리 정해진 공기의 진행노선에 따라 각 공기실(11)에 진입하여, 간격선(4a)의 측변에 있는 공기실(11)을 충진시켜 팽창시킨다. 공기실(11)의 공기 내부압력이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공기를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공기밀봉체가 기밀되도록 한다. 만일 간격선(4a)이 느슨해지면, 공기실(11)의 공기는 간격선(4a)을 통과하여 완충실(8) 내로 유입되는데, 완충실(8)의 공기 내부압력이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주입구(2e)를 봉쇄하도록 하여, 공기를 차단하도록 한다.
도 8c와 8d는 또 다른 결절점식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8c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고, 도 8d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두 장의 내막(1a, 1b)의 내면에서 열밀봉선(3e)이 공기충진통로(9)를 관통하는 위치에, 길이 약 1.2 센티미터, 폭 약 1 센티미터의 내열재료(1c)가 도포된다. 충진 시, 공기는 공기충진통로(9)에 흘러들어가고, 순차적으로 각 공기실(11)의 공기주입구(2e)를 열고, 미리 정해진 공기의 진행노선에 따라 각 공기실(11)에 진입하여, 공기실(11)을 경유하여 완충실(8)까지 유입되는데, 공기실(11)과 완충실(8)을 충진시켜 팽창시킨다. 공기실(11)과 완충실(8)의 공기는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공기를 차단하고,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주입구(2e)를 봉쇄하도록 하여, 공기실(11)의 공기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밀봉의 기능을 강화한다.
도 9a와 9b는 결절점식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9a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고, 도 8b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공기충진통로(9)는 두 장의 외막(2a, 2b)의 중간위치에 위치하고, 두 장의 내막(1a, 1b)의 내면에서 열밀봉선(3e)이 공기충진통로(9)를 관통하는 위치에 내열재료(1c)가 도포되는데, 길이 약 1.2 센티미터, 폭 약 1 센티미터의 내열재료(1c)가 등간격으로 도포되어 공기주입구(2e)를 형성한다. 공기충진통로(9)의 양단에는 복수 개의 공기실(11)이 형성되는데, 공기충진통로(9) 양단의 공기실(11)은 각자 독립되어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또한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실(11) 사이는 열밀봉수단에 의해 열밀봉하여 간격선(4a)을 형성한다.
공기 충진 후, 공기는 순서대로 공기충진구(12)를 경유하여 공기충진통로(9)를 따라 공기주입구(2e)를 통과하여 각 공기실(11)에 진입하는데, 간격선(4a)의 측변에 위치하는 공기실(11)을 충진시켜 팽창시킨다. 공기실(11)의 공기 내부압력은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공기를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공기밀봉체가 기밀되도록 한다. 만일 간격선(4a)이 느슨해지면, 공기실(11)의 공기는 간격선(4a)을 통과하여 완충실(8) 내로 유입되는데, 완충실(8)의 공기 내부압력이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주입구(2e)를 봉쇄하도록 하여, 공기밀봉체의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막는 제2 방어선이 되도록 한다. 또한 공기충진통로(9)의 공기는 동시에 양단에 있는 공기실(11)에 충진되어, 공기실(11)의 충진속도를 향상시켜, 충진시간 단축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9c와 9d는 또 다른 결절점식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9c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고, 도 9d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공기충진통로(9)는 두 장의 외막(2a, 2b)의 중간위치에 위치하고, 공기충진 통로(9)의 양단에는 복수 개의 공기실(11)이 형성되어 있다. 두 장의 내막(1a, 1b)의 내면에서 열밀봉선(3e)이 공기충진통로(9)를 관통하는 위치에 내열재료(1c)가 도포되는데, 길이 약 1.2 센티미터, 폭 약 1 센티미터의 내열재료(1c)가 등간격으로 도포되어 공기주입구(2e)를 형성한다. 공기 충진 시, 공기는 순서대로 공기충진구(12)를 경유하여 공기충진통로(9)를 따라 공기주입구(2e)를 통과하여 각 공기실(11)에 진입하여, 공기실(11)을 경유하여 완충실(8)까지 유입되는데, 공기실(11)과 완충실(8)을 충진시켜 팽창시킨다. 공기실(11)과 완충실(8)의 공기는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공기를 차단하고,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주입구(2e)를 봉쇄하도록 하여, 공기실(11)의 공기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밀봉의 기능을 강화한다.
도 10a와 도 10b는 분할식 공기밀봉체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10a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1)이고, 도 10b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2)이다.
공기충진통로(9) 상에는 두 열밀봉선(3a)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두 간격선(4a)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절단구(cutting zone)(15)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가 충진된 후, 절단구(cutting zone)(15)의 절단선(151)을 따라 절개하면, 공기충진통로(9) 양단에 있는 상기 공기실이 분리되어, 공기밀봉체의 효과가 배가 된다.
본 발명이 개시하는 구조에서는, 두 장의 내막(1a, 1b) 사이에 도포되는 내열재료(1c)는 T형이거나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는데, 공기충진통로(9)로부터 공기실(11)까지 연장되어, 공기충진통로(9)와 공기실(11)을 연통시킨다. 또한 공기충진통로(9)는 하나의 공기주입구(2e)와 연접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공기주입구(2e) 에 연접될 수도 있는다. 각각의 공기실(11)은 하나의 공기통로(13)에 연접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공기통로(13)에 연접될 수 있는데, 각각의 공기실(11) 사이는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진일보하게 하나의 공기통로(13)를 공용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공기통로(13)를 공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든 실시태양에 불과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기포장백의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종래 공기포장백의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두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두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두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로서 공기실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두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두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두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로서 공기실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한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한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한 장의 현수식 공기밀봉체로서 공기실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터널타입의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다.
도 6b는 터널타입의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도 6c는 또 다른 터널타입의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 되기 전의 설명도이다.
도 6d는 또 다른 터널타입의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터널타입의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다.
도 7b는 터널타입의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도 7c는 또 다른 터널타입의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다.
도 7d는 또 다른 터널타입의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도 8a는 결절점식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다.
도 8b는 결절점식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도 8c는 또 다른 결절점식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다.
도 8d는 또 다른 결절점식 일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도 9a는 결절점식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다.
도 9b는 결절점식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도 9c는 또 다른 결절점식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이다.
도 9d는 또 다른 결절점식 양방향 공기충진의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설명도이다.
도 10a는 분할식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1)이다.
도 10b는 분할식 공기밀봉체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설명도(2)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내막 1c : 내열재료 2a, 2b : 외막
2c : 상막 2d : 하막 2e : 공기주입구
3a, 3b, 3c, 3d, 3e : 열밀봉선 4a : 간격선
8 : 완충실 9 : 공기충진통로 11 : 공기실
12 : 공기충진구 13 : 공기통로 15 : 절단구
151 : 절단선 21a, 21b : 외막 22 : 공기충진통로
23 : 공기실 24a, 24b, 24c, 24d : 열밀봉점
25a, 25b : 내막 26 : 공기진입통로

Claims (6)

  1. 한 장의 상막;
    상기 한 장의 상막과 서로 적층된 한 장의 하막;
    상기 상막과 상기 하막 사이에 배치된 한 장의 내막;
    열밀봉수단에 의해 상기 내막과 상기 상막을 접착하여 형성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하나의 공기충진통로;
    상기 공기충진통로의 측변에 위치하고, 열밀봉수단에 의해 상기 상막과 상기 하막을 접착하여 형성된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인 복수 개의 공기실;
    상기 공기충진통로와 상기 공기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간격선;
    상기 내막과 상기 상막 사이에 순차적으로 그리고 분리되어 내열재료가 도포된 후 열밀봉수단에 의하여 상기 내막과 상막을 접착함으로써 상기 간격선 상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충진통로와 상기 공기실을 연통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구; 및
    상기 공기충진통로의 측변에 위치하고, 상기 내막과 상기 하막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완충실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실 내의 공기가 상기 완충실로 유입된 후, 상기 완충실의 공기가 상기 내막을 압박하여 상기 공기충진통로를 봉쇄함으로써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하는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통로는 상기 상막과 상기 하막의 일단 또는 상기 상막과 상기 하막의 중간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재료는 상기 공기충진통로로부터 상기 공기실까지 연장되는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막의 상단과 상기 상막 및 상기 하막의 상단은 나란히 한 줄로 늘어서 있는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통로는 상기 내막과 상기 상막 사이에 내열재료가 도포된 후 열밀봉수단에 의해 상기 내막과 상기 상막이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열재료의 길이는 상기 외막의 폭과 서로 동일한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통로는 하나의 절단구(cutting zon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단구를 따라 절개하여 상기 공기충진통로 양측에 있는 상기 공기실이 분리되는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KR1020080049609A 2006-09-29 2008-05-28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KR100848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36411 2006-09-29
TW095136411A TW200815249A (en) 2006-09-29 2006-09-29 Air enclosure with strengthened air-tightness fun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531A Division KR100869022B1 (ko) 2006-09-29 2007-06-22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266A KR20080053266A (ko) 2008-06-12
KR100848442B1 true KR100848442B1 (ko) 2008-07-28

Family

ID=391548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531A KR100869022B1 (ko) 2006-09-29 2007-06-22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KR1020080049609A KR100848442B1 (ko) 2006-09-29 2008-05-28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531A KR100869022B1 (ko) 2006-09-29 2007-06-22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65609B2 (ko)
JP (1) JP4367961B2 (ko)
KR (2) KR100869022B1 (ko)
DE (1) DE102007046959B4 (ko)
TW (1) TW2008152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23116A (en) * 2006-11-17 2008-06-01 Yao-Sin Liao Air enclosure with independent double-layer air chambers
US20090155507A1 (en) * 2007-12-14 2009-06-18 Yaw-Shin Liao Air sealing body and a check valve device thereof capable of intensifying air-tightness
TW200934698A (en) * 2008-02-05 2009-08-16 Chieh-Hua Liao Inflating bag for strengthening outer film structure
US8360641B2 (en) * 2008-08-25 2013-01-29 Indis Air Corp. Air bag with continuous heat resistance material
WO2010024499A1 (en) * 2008-08-25 2010-03-04 Indis Air Corp. Air bag with pressurization space
JP2010070232A (ja) * 2008-09-19 2010-04-02 Canon Inc 梱包部材
KR100936160B1 (ko) * 2009-03-03 2010-01-12 주식회사 레코 바이패스가 형성된 공기주입로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102300783B (zh) * 2009-06-23 2013-11-13 睿科有限公司 具备形成有支路的进气路的缓冲包装材料及其制造方法
KR100969617B1 (ko) * 2009-07-01 2010-07-14 주식회사 레코 측면 공기유도로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US9623622B2 (en) 2010-02-24 2017-04-18 Michael Baines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JP4673929B1 (ja) * 2010-06-17 2011-04-20 有限会社田中テクニカル シート製の逆止弁構造
TWI399325B (zh) 2010-07-27 2013-06-21 Naturally open the air valve of the air seal
CN104925379B (zh) * 2012-03-06 2017-09-01 上海艾尔贝包装科技发展有限公司 自粘膜止回阀和空气包装装置
CN102599761B (zh) * 2012-04-09 2014-07-09 先驱塑胶电子(惠州)有限公司 一种充气产品组合结构
TWI548570B (zh) * 2014-01-16 2016-09-11 Tai-An Liao Quickly open the air seal of the air inlet
US9138960B1 (en) * 2014-04-14 2015-09-22 Yaw-Shin Liao Airtight sheath having openable air inlets
CN105292768B (zh) * 2014-12-31 2019-02-22 聂会平 流体容器及其截止阀和制造方法
DE102015122961A1 (de) 2015-12-30 2017-07-06 Mondi Ag Luftkammer-Folienverpack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uftkammer-Folienverpackung
JP6985855B2 (ja) * 2017-08-30 2021-12-22 大王製紙株式会社 逆止弁
TWI657014B (zh) * 2018-05-30 2019-04-21 亞比斯包材工場股份有限公司 空氣密封袋
TWI707810B (zh) * 2019-11-08 2020-10-21 亞比斯包材工場股份有限公司 密封結構
CN116929673B (zh) * 2023-09-15 2023-12-12 武汉天运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车用阀类零件检测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851A (ja) * 2001-08-24 2003-03-12 Kiyoshi Takaura 漏れが抑制され屈曲が自在な偏平な気密性袋体
KR200390050Y1 (ko) * 2005-04-28 2005-07-18 홍우식 네일 장식용기 보관용 케이스
JP2005193954A (ja) * 2004-01-08 2005-07-21 Ricoh Co Ltd 事務機器部材及び事務機器用品用の気体バッグ式包材並びに包装方法
KR100547578B1 (ko) 2004-06-04 2006-01-31 (주)에어텍네츄럴 공기주입식 완충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WO2006085478A1 (ja) * 2005-02-12 2006-08-17 Ishido, Yoshiyasu 緩衝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09019A (ko) * 2006-05-09 2007-11-15 (주)에어텍네츄럴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453A (en) 1978-02-27 1979-05-22 Ono Dan D Inflatable grip container
JPH01164142U (ko) * 1987-10-30 1989-11-16
JPH03505855A (ja) 1989-02-10 1991-12-19 レダマン,スティーブン エヌ. クラム状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DE4007128A1 (de) 1989-10-03 1991-04-11 Miele & Cie Aufblasbarer folienbeut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834478A (ja) 1994-05-18 1996-02-06 Idemitsu Petrochem Co Ltd エアバブル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660205A (en) * 1994-12-15 1997-08-26 Epstein; Alan B. One-way valve
JPH10706A (ja) 1996-06-14 1998-01-06 Seisan Nipponsha Kk 逆止弁付合成樹脂製袋体の製造方法
JPH10236533A (ja) 1997-02-25 1998-09-08 Tomematsu Abe 連接袋状緩衝パッドとその製造方法
JP4030333B2 (ja) 2002-03-29 2008-01-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緩衝材
KR20030090050A (ko) 2002-05-21 2003-11-28 이승환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고객데이터 호출방법
JP2004018112A (ja) 2002-06-19 2004-01-22 Yasuzumi Tanaka 複数の密封弁なし単独袋を有する梱包シート
WO2004048077A1 (ja) 2002-11-22 2004-06-10 Kashiwara Seitai Co., Ltd. 密封体における開閉弁の取り付け構造及び開閉弁付密封体の製造装置
JP3639834B2 (ja) * 2003-05-19 200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を用いた梱包方法、及び、梱包部材の製造方法
TW587049B (en) 2003-05-20 2004-05-11 Kashiwabara Seitai Kk Mounting structure for switching valve of hermetic enclosure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hermetic enclosure with switching valve
US8277910B2 (en) 2003-06-28 2012-10-02 Air-Paq, Inc. Structure of fluid contain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fluid container
TWM246317U (en) * 2003-11-19 2004-10-11 Camry Packing Ind Ltd Air packing bag
JP2005162269A (ja) 2003-12-03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緩衝用包装材
TWM252680U (en) * 2004-03-01 2004-12-11 Camry Packing Ind Ltd Air packing bag having film valve
DE202004006032U1 (de) 2004-04-14 2004-09-09 Camry Packing Industrial Ltd., Sindian Luftverpackungsbeutel mit durch Folien gebildetem Rückschlagventi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851A (ja) * 2001-08-24 2003-03-12 Kiyoshi Takaura 漏れが抑制され屈曲が自在な偏平な気密性袋体
JP2005193954A (ja) * 2004-01-08 2005-07-21 Ricoh Co Ltd 事務機器部材及び事務機器用品用の気体バッグ式包材並びに包装方法
KR100547578B1 (ko) 2004-06-04 2006-01-31 (주)에어텍네츄럴 공기주입식 완충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WO2006085478A1 (ja) * 2005-02-12 2006-08-17 Ishido, Yoshiyasu 緩衝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90050Y1 (ko) * 2005-04-28 2005-07-18 홍우식 네일 장식용기 보관용 케이스
KR20070109019A (ko) * 2006-05-09 2007-11-15 (주)에어텍네츄럴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67961B2 (ja) 2009-11-18
US20080080792A1 (en) 2008-04-03
JP2008087855A (ja) 2008-04-17
DE102007046959B4 (de) 2011-03-10
DE102007046959A1 (de) 2008-04-10
TWI313668B (ko) 2009-08-21
TW200815249A (en) 2008-04-01
KR20080029755A (ko) 2008-04-03
KR100869022B1 (ko) 2008-11-17
KR20080053266A (ko) 2008-06-12
US7665609B2 (en) 201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442B1 (ko)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KR100767579B1 (ko) 공기밀봉체
KR100869021B1 (ko) 독립된 복층 공기실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KR100849594B1 (ko) 다단식 공기밀봉체 및 체크밸브 장치
JP4668972B2 (ja) 二層密封袋式空気密封体の製造装置及び方法
KR100907988B1 (ko) 연속 공기 충진을 위한 다단식 공기밀봉체 및 그의 공기밸브 장치
KR100831860B1 (ko) 절공식 공기차단밸브를 구비한 공기밀봉체 및 절공식공기차단밸브
WO2013131388A1 (zh) 自粘膜止回阀和空气包装装置
JP4922913B2 (ja) 真空緊束式気体包装袋及びその包装方法
KR20080063087A (ko) 강화부를 갖는 공기밀봉체 및 그 제작방법
KR20080104297A (ko) 에어-패킹 장치용의 체크 밸브의 구조체
US10173822B2 (en) Air bag packaging arrangement and self-adhesive checking valve
JP5022429B2 (ja) 自然にエアバルブを開く気体密封シート
JPH01153829A (ja) 独立気室連設の気体袋
KR200489549Y1 (ko) 포장팩
JP3112371U (ja) 緩衝包装袋およびその逆止弁
JPH111273A (ja) 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