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362B1 - 향상된 생리활성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 Google Patents

향상된 생리활성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362B1
KR100845362B1 KR1020037003596A KR20037003596A KR100845362B1 KR 100845362 B1 KR100845362 B1 KR 100845362B1 KR 1020037003596 A KR1020037003596 A KR 1020037003596A KR 20037003596 A KR20037003596 A KR 20037003596A KR 100845362 B1 KR100845362 B1 KR 100845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hydrolyzate
whey protein
hydrolysis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442A (ko
Inventor
랄프-크리스티안 슬로트아워
Original Assignee
뉴질랜드 대어리 보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질랜드 대어리 보오드 filed Critical 뉴질랜드 대어리 보오드
Publication of KR2003004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3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 A23J3/32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 A23J3/34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 A23J3/341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of animal proteins
    • A23J3/343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of animal proteins of 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8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mi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Dairy Product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PI 기질로 부터 향상된 맛, 기능성, 그리고 ACE-I 억제 특성을 갖는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관련된 것이다.
유장단백질(whey protein), WPC(whey protein concentrate), WPI(whey protein isolate)

Description

향상된 생리활성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 Improved bioactive whey protein hydrolysate }
본 발명은 쓴맛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고 생리활성 펩티드들을 함유하고 있는 향상된 생리활성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공정에 의한 제품은 소화가 잘 되고 감각적으로 수용하기(organoleptic) 좋은 특성을 갖는다. 본 제품은 상쾌한 맛을 가지고, 미끈미끈하고 묽은 수프같은(soapy and brothy) 맛이 없다.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품들은 기능성 음식물이 될 수 있는 생리활성 펩티드들의 유용한 공급원이 된다.
많은 음식성분이나 식료품들이 우유단백질, 카제인, 유장단백질과 같은 단백질원의 가수분해로 부터 생산된다.
가수분해된 단백질 식료품들은 그렇지않은 것에 비해 여러가지의 의학분야에서 이점을 갖고있다. 예를들어,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된 단백질은 알레르기를 잘 유발하지 않으며, 여타 단백질에 비해 빠르게 소화되고 흡수된다. 가수분해된 단백 질을 함유하는 식료품들은 또한 소화에 관련된 질병을 가진 환자의 영양에도 유용하다.
유장단백질과 카제인의 가수분해과정에서 여러가지 생리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생리활성 펩티드들을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Maubois et al, 1991; EP 4745506). 많은 출판물에 그러한 생리활성 펩티드들에 관해 기재되어 있는데, 가령 고혈압예방의 특성을 가진 ACE 억제 펩티드(ACE inhibiting peptide)는 β-락토글로부린(β-lactoglobulin)과 유장단백질 농축물(whey protein concentrate, WPC)의 효소적처리시 배출된다(Mullally et al, 1997). ACE 억제 펩티드는 또한 신우유나
Figure 112003008533646-pct00001
및 β카제인에서 발견된다.(JP 4282400; Nakamura et al 1994, Yamamoto 1997)
EP 4745506에는 락토페린(lactoferrin)을 배출시키기 위해 유장에 있는 우유단백질 락토페린의 가수분해가 기재되어 있고, 이 락토페린은 인간과 동물의 설사, 무좀, 눈의 감염, 유방염등에 유용한 항균제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음식 단백질의 가수분해는, 특히 유장이나 카제인을 함유하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의 경우에, 쓴맛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것은 특히 생리활성 펩티드 공급원으로 우유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조합하여 입으로 섭취할 수 있는 제품으로 만들려고 할때 소비자의 비위에 맞도록 하는데 문제가 된다.
단백질 가수분해 분야에서 소비자의 입맛에 맞도록 하기위해 단백질 가수분해시 쓴맛을 제거하거나 조절하기 위한 두가지 접근방안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양 방법을 각각 또는 함께 사용한다.
단백질 기질의 광범위한 가수분해(The extensive hydrolysis of the protein substrate)는 우유단백질 가수분해에서 발생되는 쓴맛을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EP 065663; EP 0117047; US 3970520). 이런방법으로 다소 덜 쓴 제품들이 상대적으로 쉽고 값싸게 생산된다. 그러나, 광범위한 가수분해는 중요한 생리활성 펩티드를 포함하여 모든 펩티드들의 연결길이를 감소시킨다. 단백질 기질의 광범위한 가수분해는 중요한 펩티드의 기능적 및 생물학적 활성도를 파괴한다. 게다가 미끈미끈하고 묽은 수프같은(soapy and brothy) 맛이 생겨서 본래의 상쾌한 맛의 단백질 기질과 비교하여 최종 제품의 맛이 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어떤 가수분해물에 있어서는 쓴맛이 단지 부분적으로만 제거되는 불리한 점도 있다(Roy 1992 and 1997).
단백질 가수분해에 있어서 쓴맛을 조절하기위해 일반적으로 쓰이는 두번째 방법은 쓴맛을 제거하는 효소(debittering enzymes), 특히 Aspergillus oryzae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단백질 가수분해에서 쓴맛이 발생하는 것은 커다란 소수성 쓴 펩티드(large hydrophobic 'bitter' peptide)가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쓴맛을 제거하는 효소(debittering enzyme)는 선택적으로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존재하는 쓴 펩티드를 분해한다.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조작 조건과 쓴맛을 제거하는 효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효과적으로 중요한 특정한 생리활성 펩티드는 손상되지 않은 채로 우유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 쓴맛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쓴맛을 제거하는 효소를 사용하는 것은 그 공정비용이 비싸고, 특정한 생리활성 펩티드의 보존은 수월하게, 또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 다른 단점은 쓴맛을 제거하는 효소처리는 자유 아미노 산(free amino acid)이 최종 제품에 포함되게되어 그 결과 가수분해물은 불쾌한 미끈미끈하고 묽은 수프같은(soapy and brothy) 맛이 나게된다.(Roy 1992 and 1997)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쓴 맛을 제거하는 다양한 방법들은 제품을 만드는데 추가적인 공정과 비용을 부가시킨다. 게다가 최종제품은 자유 아미노산을 과다하게 포함하여 그 공급에 있어 불균형을 이루게 된다.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는 과정이 중요한 생리활성 펩티드를 배출하고, 쓴 펩티드나 자유 아미노산의 형성은 제한하여 우유단백질의 상쾌한 맛을 원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면 가장 유익할 것이다.
어떤 생리활성 펩티드들은 - 특히 고혈압에 효과적인 펩티드들 - 상대적으로 단백질 가수분해 과정중에 안정적이고,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우유단백질 기질의 가수분해 동안 매우 빠르게 분리된다.
우유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쓴맛은 당을 첨가하거나 우유단백질 기질에 이미 존재하는 락토스와 같은 자연당(natural sugars)을 가수분해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Bernal and Jelen, 1989). 예를들어 신 유장과 치즈 유장은 β- 갈락토시디아제(β-galactosidease) 와 락토스의 락타제 가수분해에 의해 달콤한 맛이 가미되면 더욱 맛이 좋아진다.
생리활성 펩티드를 함유하는 가수분해된 단백질 제품이 좋은 맛을 내어 소비자들이 수용할 수 있게하려면, 가수분해시 쓴맛의 발생을 막기위한 정확한 컨트롤이 필요하다.
가수분해를 종료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광범위한 주기의 시간동안 통상 90-100℃ 이상의 고온에서의 열에 의한 비활성(thermal deactivation)에 의해 효소를 비활성화시킴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유장단백질의 가수분해를 중단시키기위해 사용될 수는 없는데 그 이유는 혼합물에 남아있는 어떠한 온전한(intact) 가수분해되지않은 유장단백질이 그 성질이 변하여 침전되어 최종제품의 용해도를 떨어뜨리고 음식의 성분으로 사용되기에 부적합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한 문제는 WO99/65326에서 달콤한 유장 또는 달콤한 유장단백질농축물(whey protein concentrate, WPC)의 자극없는 가수분해 공정을 밝혀내어 극복되었는데, 그러한 공정으로 다음에서 기술된 특성을 한가지 또는 그 이상 가지고있는 생리활성 펩티드를 함유하는 가수분해물을 생산할 수 있다.
X 항고혈압성의 ACE-I 활성도
X 활성도를 증진시키는 비피더스(bifidus) 성장
X 들러붙지 않고 쓰지않은(non-gluey, non-bitter) 맛
X 약간 단맛이 나서 유쾌하게 함
X 감각적으로 수용하기(organoleptic) 좋은 특성
본 발명은 WO99/65326에 기재된 가수분해공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지만 상기 과정에서 사용된 것과 다른 유장단백질을 함유한 기질을 사용한다. 놀랍게도 이러한 다른 기질을 사용한 결과 상기 기재된 유장 가수분해물의 특성에 있어서, 특히 항고혈압성의 ACE-I 활성도, 제품의 맛과 기능성에 있어서 주목할만한 향상된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주로 다른 유장단백질을 함유하는 기질의 가수분해 공정과 그 공정을 통해 생산된 새로운 가수분해물에 관한 것이다.
< 발명의 요약 >
본 발명은 유장단백질분리물(whey protein isolate, WPI)을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효소를 가지고 가수분해하여 향상된 생리활성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만드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1) 열에 불안정한(a heat labile) 프로테아제(protease)를 효소로 사용하기 위해 준비하는 공정;
2) 약 30-65℃의 온도에서, 상기 효소가 중성 프로테아제인 경우 pH 약3.5-9.0, 상기 효소가 산성 프로테아제인 경우 pH 약2.5-6.0, 상기 효소가 알카리성 프로테아제인 경우 pH 약5.0-10.0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가수분해 공정;
3) 상기 가수분해는 가수분해의 진행 정도가 약10%이상을 넘지않는 정도까지 진행시키고 종료시키는 공정;
4) 상기 가수분해의 종료를 위해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효소를 비활성화시키는 공정과;
5) 상기 4)공정은 충분히 부드럽게(mild) 진행되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에 존재하는 펩티드나 잔류단백질의 실질적인 변성을 피할 수 있도록 함을 조건으로 하는 공정; 이러한 공정에 의해 생산된 제품들은 높은 가용성을 갖는다.
WPI란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어떤 방법에 의해 생산된 유장단백질분리물(whey protein isolate)을 의미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지하고 있듯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WPI는 치즈, 산성 또는 유즙의(lactic) 유장단백질농축물(whey protein concentrate)과 같은 유장단백질농축물로부터 이온 교환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다.
'열에 불안정한'이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지하고 있듯이 그 효소가 상대적으로 적당한 온도에서 비가역적 비활성화되기 쉬운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효소는 프로테아제 P6, 프로테아제 A, 프로테아제 M, 펩티다제(Peptidase), 뉴트라제(Neutrase), 발리다제(Validase), AFP 2000, 그리고 어떤 다른 열에 불안전한 프로테아제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다.
효소 가수분해 단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지하고 있듯이 특정효소에 대해 적당한 조건하에서 이루어진다.
유장단백질분리물(WPI)은 약 5-35% solids 범위의 농도에서 가수분해되고, 효소나 효소혼합물은 첨가되어 효소대 기질은 약 0.01-3% w/w total solids의 비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1% w/w total solids의 비가 되는 것이 좋다.
산성 프로테아제로 처리된 WPI는 pH 약2.5-6.0, 바람직하게는 pH 약3.0-5.0,의 상태에서 가수분해된다.
중성 프로테아제로 처리된 WPI는 pH 약3.5-9.0, 바람직하게는 pH 약6.0-8.0,의 상태에서 가수분해된다.
알카리성 프로테아제로 처리된 WPI는 pH 약5.0-10.0, 바람직하게는 pH 약6.0-8.0, 상태에서 가수분해된다.
단백질 가수분해는 약 30-65℃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50-60℃의 온도, 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WPI를 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기위해 사용된 한가지 또는 그이상의 효소는 상기 2)단계동안 불활성(inert support) 써포트 물질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이때 상기 불활성 써포트물질이란 Roehm Eupergit, 카라키닌 입자, 키토산 입자, 또는 어떤 다른 적당한 불활성 써포트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효소계는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하기위해, 교반탱크(stirred tank)나 고정판 반응기(fixed bed reactor), 혹은 막(membrane)이나 중공 섬유 반응기(hollow fiber reactor)에 서 사용된다.
가수분해를 위해 사용되는 효소들은 가수분해 반응에 앞서 상기 불활성 써포트에 교차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수분해물은 부드러운(mild) 가수분해물이라 말할 수 있는데, 가수분해 된 정도, 즉 효소작용으로 끊어진 펩티드 결합율은 10% 이하이다. 따라서 비록 가수분해물이 약간 변형된 거대한 펩티드 사슬을 포함하고있다하더라도, 최종 가수분해 제품은 높은 가용성을 갖는다.
WPI 기질의 가수분해 정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3%-10%정도가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가 종료되기전 약 3%-5%정도인 것이 좋다.
가수분해는 효소 비활성 단계 4)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효소 비활성은 열에 의한 비활성으로 이루어진다.
열에 의한 비활성은 상기 가수분해물을 약 10초동안 약 100℃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가수분해가 65℃이하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때는 열 비활성 단계는 약 10초에 서 15분동안 약 65℃에서 70℃의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다른 방법으로, 효소 비활성 단계 4)는 상기 유장단백질을 포함하는 기질의 pH를 상기 프로테아제가 활성되지않은 pH까지 변경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사용된 효소에 의해 결정되는 선택 방법에 따라서, 효소나 효소혼합물은 증발이나 건조 과정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다른 선택 방법으로, 효소나 효소혼합물은 또한 이전의 pH변화를 통해서 혹은 pH변화없이 비활성화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효소들은 단순히 반응혼합물에서 그것들을 제거함으로써 비활성화 된다. 예를들어 WPI를 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기위해 사용되는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효소들이 불활성 써포트에 의해 고정될때, 가령 가수분해 반응에 앞서 상기 불활성 써포트에 교차 결합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효소들은 비활성작용을 달성하기 위해서 막여과(membrane filtration)에 의해 가수분해반응으로부터 그 결과로써 분리되어 나온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일단 가수분해가 완성되면, 효소들은 아주 작은 분자무게의 차단 -약 10-500 kDa의 범위이나 바람직하게는 약 10-200 kDa-을 할 수 있는 초 미세막(ultrafiltration membrane)을 사용하여 가수분해 혼합물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가수분해의 종료는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유장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달성되는데, 그와같은 방법으로는 우선 반응혼합물의 pH에서 효소가 비활성화되거나 잘 활성되지않는 pH로 pH를 변화시키고 또는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효소는 변성되나 기질의 온전한(intact) 유장단백질은 변성되지 않도록 반응혼합물을 비교적 포근한 온도까지 가열하는 방법이 있다. 효소를 변성시키는 적정한 온도 범위는 대략 55-70EC, 바람직하게는 65EC이다.
가수분해와 효소의 선택적 비활성 또는 제거후에는 가수분해물은 선택적으로 염과 물이 가수분해물에서 제거되는 역삼투작용(reverse osmosis)을 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유장단백질, 폴리펩티드, 그리고 생리활성 펩티드로 구성된 정제된 비염의 가수분해물이 얻어진다.
다른 선택 방법으로는 생리활성 펩티드를 미량 함유하고 있는 가수분해된 WPI는 약 5-200kDa 크기를 차단, 바람직하게는 10-50kDa, 할 수 있는 UF(ultrafiltration) 막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생리활성 펩티드와 다른 펩티드들이 투과되어 얻어진다.
또 다른 선택 방법에 따라 이온 교환 이나 소수성 흡착 또는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라피(chromatography) 혹은 이러한 방법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가수분해물에서 가수분해 된 생리활성 부분을 풍부하게 습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SAP (SEQ ID NO: 1), VSLPEW (SEQ ID NO: 5), INYWL (SEQ ID NO: 6), LKPTPEGDLEIL (SEQ ID NO: 7)그리고 LKGYGGVSLPEW (SEQ ID NO: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은 SAP (SEQ ID NO: 1), VSLPEW (SEQ ID NO: 5), INYWL (SEQ ID NO: 6), LKPTPEGDLEIL (SEQ ID NO: 7) 그리고 LKGYGGVSLPEW (SEQ ID NO: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와 결합하여, LIVTQ (SEQ ID NO: 4), MKG (SEQ ID NO: 2) 그리고 ALPMH (SEQ ID NO: 3)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면,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유전적 운반체(pharmaceutical acceptable carrier)와 발명의 과정에서 생산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로 이루어진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는 이때의 생리활성 펩티드는 MKG(SEQ ID NO:2)인 것이 좋다.
또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면,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 있어 고혈압을 치료하거나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발명의 공정에 따라 WPI를 가수분해하여 생산된 생리활성 펩티드를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적정량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면, 본 발명은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고혈압을 치료하거나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약품의 제조에 발명의 공정에 의해 생산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때의 생리활성 펩티드는 MKG(SEQ ID NO:2)인 것이 좋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발명의 공정에 의해 제공된 쓴 맛이 없고, 높은 가용성을 갖는 WPI 가수분해물 제품을 제공하는데, 이 때의 WPI의 가수분해 정도는 약 3%에서 10%이다. 제품에 있어서 유장단백질 입자의 평균 크기는 약 30마이크론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3마이크론 이하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WPI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음식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심장 수축시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필요한 환자에게 발명에 의한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신규한 WPI 가수분해물이나 음식제품을 효과적인 양만큼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나아가 SAP (SEQ ID NO: 1), VSLPEW (SEQ ID NO: 5), INYWL (SEQ ID NO: 6), LKPTPEGDLEIL (SEQ ID NO: 7) 그리고 LKGYGGVSLPEW (SEQ ID NO: 8)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펩티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나아가 SAP (SEQ ID NO: 1), VSLPEW (SEQ ID NO: 5), INYWL (SEQ ID NO: 6), LKPTPEGDLEIL (SEQ ID NO: 7) 그리고 LKGYGGVSLPEW (SEQ ID NO: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와 결합하여, LIVTQ (SEQ ID NO: 4), MKG (SEQ ID NO: 2) 그리고 ALPMH (SEQ ID NO: 3)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가수분해된 WPI 제품들은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X 항고혈압성의 ACE-I 활성도
X 활성도를 증진시키는 균활성(probiotic) 성장
X 들러붙지 않고 쓰지않은(non-gluey, non-bitter) 맛
X 약간 단맛이 나서 기분을 좋게함
X 감각적으로 수용하기(organoleptic) 좋은 특성
X 높은 가용성
X 매우 좋은 거품(foaming) 특성
X 매우 좋은 젤(gelling) 특성
X 향상된 열적 안정도
부드러운 가수분해(mild hydrolysis) 기술을 유장단백질 분리물(WPI)의 기질에 응용시키면 WO 99/65323에 기재된 기질을 함유하는 유장단백질로서 달콤한 유장단백질농축물(WPC)과 비교했을때 최종제품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놀라운 향상된 점을 보여준다.
X 용해도
WPI는 프로테아제 반응을 멈추게하는 열조건에 따라 약간 변성되기는 하여도, 그것때문에 불가용성 물질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 용해도는 상응하는 WPC 기질보다 커서 약 96%정도를 유지한다.
X 열적 안정도
가수분해된 WPI는 가수분해된 WPC에 비해 대단히 열적으로 안정적이다. 120℃, 5% TS에서 10분이 지나면, 용해도는 95%를 유지한다.
X 외관
반응조건을 적절히 선택하면 최종 가수분해물이 용액속에서 하얗게 보일지, 또는 맑게 보이게 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 1에서는 투명한 제품을, 실시예 2와 3에서는 중성의 pH의 용액에서 맑은 제품이 나온다. WPC 가수분해물은 실질적으로 외관에 있어서 모두 하얗다.
X 거품 능력(foaming ability)과 안정도
가수분해된 WPI는 가수분해되지 않은 WPI에 비해 약 두배의 거품능력과 약 네배의 거품의 안정도를 보여준다. 이 점 때문에 생산물은 요쿠르트나 디저트용 제품을 위한 성분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가수분해된 WPI는 또한 WPC 가수분해물에 비해 향상된 거품능력과 안정도를 나타낸다.
X 젤 강도(Gel strength)
부드럽게(mildly) 가수분해된 WPI는 가수분해되지 않은 WPI에 비해 두드러지게 젤 강도가 커진다. 이 점 때문에 생산물은 요쿠르트나 디저트용 제품을 위한 성분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가수분해된 WPI는 또한 WPC 가수분해물에 비해 향상된 젤 강도를 나타낸다.
X 맛
가수분해된 WPI는 자극없이 가수분해 된 WPC 제품에 비해 두두러지게 쓴맛이 적다. 이 쓴맛은 가수분해 과정동안 더 커지는 것은 아니어서, 당해 공정의 컨트롤을 WPC 가수분해보다 수월하게 만든다.
X 생체 밖에서(in vitro)의 ACE-I 활성도
가수분해된 WPI는 자극없이 가수분해 된 WPC에 비해 반응 조건및 추가된 효소양등을 고려할 때, 2배의 생체 밖에서(in vitro)의 ACE-I 활성도를 보여준다.
X 균활성(probiotic) 발효의 가속
가수분해된 WPI가 1.5% 추가될 때, 균활성 요쿠르트 발효시간의 약 40%가 감소된다.
본 발명은 앞서말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또한 이하에서 실시예를 제시하여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리활성 펩티드를 함유하는 가수분해된 WPI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을 제공하며, 이 때 가수분해는 가수분해 동안 생길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맛(즉 쓰고, 미끈미끈하고 묽은 수프같은(soapy and brothy))을 억제하기위해 대단히 높은 정도의 컨트롤하에서 이루어진다. 가수분해는 기회 윈도우(Aopportunity window), 즉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질적인 쓴맛이 나타나기 이전에 종료되며, 감각적으로 수용하기(organoleptic) 좋은 특성과 최고의 생리활성 펩티드들을 제공한다. 도 1에서 가수분해의 진행 정도는 X축위에 정성적으로 나타난다. 기회 윈도우는 X1 과 X2 사이이며, 이것은 사용된 효소에 따라 달라진다. 최적의 조건은 소비자가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쓴 맛에 최대의 생리활성을 갖추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스러운 구현예에 따른 공정은, WPI를 가수분해하는 효소가 열에 불안정하고 프로테아제 P6, 프로테아제 A, 프로테아제 M, 펩티다제(Peptidase), 뉴트라제(Neutrase), 발리다제(Validase), AFP 2000(모두 이 글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의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며, WPI의 가수분해는 고온에서 짧은 시간(약 85-100℃에서 약 1-10초간)에 열처리에 의해 종료되는 것이다. 출원인들은 놀랍게도 상기의 효소들이 (1)상당히 좋은 수준의 생리활성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생산할 수 있고, (2)짧은 시간의 고온 처리에 의해 비활성화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온처리는 단지 가수분해물에 존재하는 유장단백 질의 일부변성만을 유발하여, 외관상 실질적으로 하얗거나 맑게 보이는 제품을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유장단백질의 감각적으로 수용하기 좋은 특징을 놀랍도록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제 ALACENTM 895와 ALACENTM 894를 사용한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예증된다. 상기 ALACENTM 895와 ALACENTM 894( NZDB로 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유장단백질 분리물)는 첨부된 Appendix I에 제품의 상세내용이 나와있다:
도 1은 가로축에 가수분해 정도를 세로축에 쓴맛과 생리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생리활성 펩티드들을 함유하고 가수분해 반응이 쓴 펩티드들을 생산해내기 이전에 소비자가 수용할 수 있는 맛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기회 창(opportunity window)은 x1 과 x2 사이이다.
도 2는 성숙한 본래 고혈압인 쥐들(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s)의 kg 몸무게당 6.0g의 WPC 가수분해물을 투약한 경우 SHRs의 심장 수축시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의 급격하고 단기간의 효과(Acute Short Term Effect)를 보여준다.
도 3은 성숙한 본래 고혈압인 쥐들(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s)의 kg 몸무게당 3.6g의 WPI 가수분해물을 투약한 경우 SHRs의 심장 수축시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의 급격하고 단기간의 효과(Acute Short Term Effect)를 보여준다.
도 4는 성숙한 본래 고혈압인 쥐들(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s)의 kg 몸무게당 165mg의 펩티드 MKG(SEQ ID NO:2)를 투약한 경우 SHRs의 심장 수축시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의 급격하고 단기간의 효과(Acute Short Term Effect)를 보여준다.
실시예 1
WPI 부드러운 가수분해물의 시험적 소규모 생산(pilot plant production)
양이온 교환 기술에 의해 생산된 단백질 성분이 90% w/w이상인 유장단백질 분리물(whey protein isolate)(ALACENTM 895)은 물(50℃)에서 20% total solids로 재구성되었다. 재구성된 ALACENTM 895는 50℃의 150L 탱크로 이동했고, 물(50℃)이 탱크에 첨가되어 최종적으로 4%의 total solids가 되었다. 용액을 젓고, 뉴트라제(E:S 0.9%)가 첨가되었다.
효소가 첨가되고 두시간 후 최초의 가수분해물이 UHT 플랜트를 통해 퍼내어졌다. 효소의 비활성은 직접 증기 주사(direct steam injection)에 의해 88℃까지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졌고, 가수분해물은 이 온도에서 1.5초동안 그대로 유지되었다. 가수분해물은 순간적으로 냉각되고 쉘과 튜브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대기 온도까지 냉각되었다.
가수분해물은 이어서 증발되고, 건조해졌다.
실시예 1의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가수분해물은 다음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용해도 : 95%
열적 안정도 : 5% TS 용해도 95%에서 10분간 120℃
생체 밖에서(in vitro)의 ACE-I 활성도 : 289 mg/L IC50
거품 형성 : 가수분해되지 않은 WPI에 비해 두드러지게 증가됨
맛 : WPC에 기초한 부드러운(mild) 가수분해물에 비해 두드러지게 향상됨
외관 : 투명하고 하얀, 입자 크기 ~0.1㎛
WPI 가수분해물의 용해도, 열적 안정도, 거품 형성, 그리고 외관은 해당분야 의 지식을 가진 통상의 업자에게 알려진 표준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5% total solids(TS) 용액의 용해도는 실내 온도에서 10분간 3000g에서의 원심분리로 결정되었다. 5% TS 용액의 열적 안정도는 10분간 120℃까지 가열하고, 급냉하고, 10분간 700g에서 원심분리로 결정되었다. 상청액과 본래 용액에 있던 TS가 결정되고, 용해도는 상청액상의 TS/ 본래 용액상의 TS로 정의된다. pH 7의 10% TS 용액의 거품형성은 15분간 Hobart 믹서(Model N-50G, Hobart Corporation)로 휘저음으로써 결정되었다. 퍼센트 오버런(percentage overrun)은 해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업자에게 알려진대로 샘플비교에 사용되었다. 5% TS의 외관은 시각적 관찰로 결정되고 입자 크기는 Malvern MasterSizer(Model MSE00SM, Malvern Instruments Ltd)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건조된 제품에 있어서 생체 밖에서(in vitro)의 ACE-I 활성도는 D W Cushman & H S Cheung (1971)의 방법에 따라 기질로서 FAPGG(Product 305-10 ex Sigma Chemical Corporation,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맛은 가수분해물의 쓴맛과 떫은 맛을 참조하여 주관적으로 평가되고, 특히 감각적 평가는 공식적인 감각적 심사위원에 의해 이루어졌다. 5% w/w 샘플들이 다차원적인 스캘링을 이용하여 24℃에서 맛보기가 이루어졌다. 샘플들은 150mm 앵커드 라인(anchored line)위에 평가된 점수가 채점되었다.( 없음(0) 에서 매우 많음(150) 까지)
실시예 2
가수분해 반응은 실시예 1에서(10% total solids, E:S 0.9%, 150L) 언급한대로 반복되었다. 비활성화된 후 가수분해물은 즉시 증발되고 건조되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가수분해물은 상기 실시예 1에서 밝힌 바와 같이 측정되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용해도 : 97%
열적 안정도 : 5% TS 용해도 96%에서 10분간 120℃
생체 밖에서(in vitro)의 ACE-I 활성도 : 503 mg/L IC50
거품 형성 : 가수분해되지 않은 WPI에 비해 두드러지게 증가됨
젤 형성 : 가수분해되지 않은 WPI에 비해 두드러지게 증가됨
맛 : WPC에 기초한 자극적이지 않은 가수분해물에 비해 두드러지게 향상됨
외관 : 투명하고 노란
실시예 3
가수분해 반응은 실시예 1에서(4% total solids, E:S 0.9%, 150L) 언급한대 로 반복되었다. 효소가 첨가되고 4시간이 지나면 최초의 가수분해물이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조건을 사용한 UHT 플랜트를 통하여 퍼내어졌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가수분해물은 상기 실시예 1에서 밝힌 바와 같이 측정되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생체 밖에서(in vitro)의 ACE-I 활성도 : 230 mg/L IC50
거품 형성 : 가수분해되지 않은 WPI에 비해 두드러지게 증가됨
젤 형성 : 가수분해되지 않은 WPI에 비해 두드러지게 증가됨
맛 : WPC에 기초한 자극적이지 않은 가수분해물에 비해 두드러지게 향상됨
외관 : 투명하고 노란
실시예 4
ALACENTM 894(미세하게 여과된) 2% 용액은 pH3.0으로 변경된고, 10℃에서 3,000 돌턴의 아주 작은 분자 크기를 차단할 수 있는 막(CDUF001LB, Millipore Corporation, Bedford)을 통해 초미립의 여과과정(ultrafiltration)을 거쳤다. 농축수(retentate)의 pH는 7.0으로 변경되고 상기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막을 이용하여 10℃에서 초미립 여과과정에 앞서 2% total solids로 묽게만들어졌다. 농축수 의 total solids는 5.0%으로 조절되고, 50℃에서 E:S 0.9% w/w의 뉴트라제(Novo Nordisk, Denmark)로 가수분해 되었다. 4시간후 그 샘플은 88℃에서 3초간 비활성화되고, 이어서 냉동 건조되었다. ACE-I 활성도는 227 mg/L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3으로부터 부드럽게 가수분해된 WPI는 반지방성(half fat) 우유에 첨가되었을 때, 1.5%의 추가비율당 균활성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는 90℃에서 10분간 열 처리되었다. 37℃까지 냉각된 후, 우유에 0.1%의 S. thermophilus 와 2%의 L. rhamnosus HN001(DR20TM )가 첨가 되었다. 필요한 4.4의 pH에 도달하려면 조작의 발효 시간은 20시간이 걸렸다. WPI 가수분해물을 첨가하면 발효시간이 13시간이었다.
실시예 6
WPI 가수분해물에 존재하는 ACE 억제(ACE inhibiting) 펩티드들의 식별
이번 실시예의 목적은 WPI 가수분해물에 존재하는 ACE 억제 펩티드를 고립시키고 식별하는 것이었다.
방법론
X ACE-I 분리를 위한 출발 물질은 실시예 1의 원래의 가수분해물에서 얻어지는 UF 퍼미에이트(UF permeate) 이었다.
X 가수분해물에 존재하는 펩티드는 역상 HPLC를 사용하여 분리되었다.
X 정제된 펩티드들은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대로 ACE 억제 활성도를 위해 개별적으로 평가되었다.
X 각각의 활성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sequence)은 질량 분광측정법과 N 터미널 서열 분석법(mass spectrometry and N-terminal sequence analysis)에 의해 식별되었다.
X 활성 펩티드들의 원천은 그들의 서열을 알려진 우유단백질 서열과 비교하여 결정되었다.
펩티드들, 그들의 원천(origin), 활성도(activity) 및 알려진 유사점들이 아래 표 1에 나타나있다.
(표 1) WPI 가수분해물에서 고립된 ACE 억제(ACE-inhibitor) 펩티드들
Figure 112003008533646-pct00002

1 mg/L
2 WO 99/65326의 WPC 가수분해물에서도 또한 감지됨
3 샘플에는 두 개의 펩티드가 존재한다; 한가지 또는 두가지 다 활성 펩티드다.
X WPI 가수분해물로 부터의 세가지 활성 펩티드들은 이전에 WPC 가수분해물에 있어서도 식별되었다. 즉, b-LG(7-9), b-LG(142-146) 및 b-LG(1-5).
실시예 7
부드럽게(mildly) 가수분해된 WPC 와 가수분해되지 않은 WPI와 비교했을 때 부드럽게(mildly) 가수분해된 WPI의 감각적 비교
WPI는 실시예 1에 나타난대로 가수분해가 이루어졌다.
WPC는 WO 99/65326에 기재된 것에 대해 실시예 1에 나타난대로 가수분해가 이루어졌다. ( ALACENTM 392, 10%, 가수분해되고 2시간 후 비활성화 된다.)
ALATALTM 819는 뉴질랜드 낙농 위원회의 상업 제품이고, 제품의 상세한 사항에 대한 요약은 Appendix I에 첨부되어있다.
맛 심사위원은 150mm 앵커드 라인(anchored line)에 제품의 쓴맛과 떫은 맛에 대해 채점하였다.( 없음(0) 에서 매우 많음(150) 까지)
가수분해된 정도는 Frister et al(1988)에 기재된 수정된 O-phthaldialdehyde(MOPA) 방법에 의해 결정되었다.
(표 2) 공적인 맛 심사위원에 의해 평가된 WPI 와 가수분해물 샘플에 대한 평균점수(/150), 가수분해 진행 정도, 및 표준 WPI와 가수분해된 유장단백질의 ACE-I 활성도
Figure 112003008533646-pct00003

부드럽게(mildly) 가수분해된 WPI 와 부드럽게(mildly) 가수분해된 WPC는 모두 기대했던대로 가수분해되지 않은 WPI제품에 비해 더 쓰고 더 떫은 맛이 났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더욱 격렬하게(vigorously) 가수분해된 ALATALTM 819(뉴질랜드 낙농 위원회 제품, NZ)에 비해서는 훨씬 덜 쓰고 덜 떫었다.
부드럽게 가수분해된 WPI제품들은 부드럽게 가수분해된 WPC(WO 99/65326에 기재된 것)에 비해서는 훨씬 더 소비자가 수용할 수 있는 맛을 가지고, 훨씬 더 높 은 ACE-I 활성도를 가진다.
또한 상기 결과가 나타내듯, 부드럽게 가수분해된 WPI는 같은 WPC에 비해서는, 비록 두 가지 모두 가수분해 진행 정도는 유사하다고 하더라도, 훨씬 덜 쓰고 덜 떫었다. 부드럽게 가수분해된 WPI는 부드럽게 가수분해된 WPC에 비해 더 소비자가 수용할 수 있는 맛을 가지고, 약 2배정도의 ACE-I 활성도를 나타냈다.
WPC를 더 가수분해하면 ACE-I 활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부드럽게 가수분해된 WPI에 비해서는 쓴맛과 떫은 맛의 증가로 인해 맛의 수준을 손상시켜 비약적으로 맛이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8
혈압 측정
혈압은 테일 커프 모니터(tail cuff monitor)와 작은 동물의 혈압을 측정하기위해 고안된 장치[IITC Inc, 239 Victory Blvd., Woodland Hills, CA 91367, USA]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매 시간점은 약 5-10분의 범위내에서 취한 3-5번의 측정치의 평균값이다.
동물 품종
본래 고혈압인 쥐들(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s)의 출처는 Western Australia의 동물 자원 센터(Animal Resource Center) 이다.
샘플 투약
시험용 물질은, 따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Kg 몸무게에 근거하여 개개의 쥐에게 주어졌다. 쥐들이 쉽게 먹을 수 있도록 각각의 투약품은 맛있는 젤리형태로 변형시켰다.
단기 혈압(short term blood pressure) 반응에 대해 측정된 세가지 샘플은 부드럽게 가수분해된 WPC(도 2), 부드럽게 가수분해된 WPI(도 3) 와 표 1로부터 합성된 펩티드, 즉 MKG(SEQ ID NO:2) (도 4) 였다. WPC는 WO 99/65326를 실시예 1에 나와있는 방법에 따라 준비하였다.
작용제의 급격한 또는 단기간의 효과(acute or short term effect of agents)는 다 자란 SHRs에게 작용제로 치료하고, 몇 시간동안 그들의 혈압 반응을 연구하여 알아냈다.
결 과
WPI 가수분해물 3.6g/kg body weight을 SHRs에게 단기간에 투약한 경우, 도 3에 나탄나 바와 같이 대조 표준 쥐들(controls rats)에 비해 혈압이 단기간에 현저하게 감소되었다(p=0.0378). 혈압의 감소는 WPC 가수분해물 6.0g/kg body weight이 투약된 쥐들에게서 나탄난 것과 유사했다. 따라서, WPI 가수분해물은 WPC 가수분해물에 비해 더욱 효력이 있어서 WPC사용량의 약 50%이하의 양으로도 성숙한 SHRs의 비슷한 수치의 혈압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펩티드 MKG 165mg/kg body weight을 SHRs에게 단기간에 투약한 경우(도 4)에는 부드럽게 가수분해된 WPI 가수분해물 이나 부드럽게 가수분해된 WPC 가수분해물에 비해서 뿐만아니라 대조 표준 쥐들(controls rats)에 비해서도 혈압이 훨씬 더 감소되었다(4시간 후에는 p=0.0021; 8시간 후에는 p<0.0001).
결 론
본 발명에 따라서 부드럽게 가수분해 된 WPI는 WO 99/65326의 WPC 가수분해물에 비해 현저한 기능적 향상성을 나타내는 유용한 WPI 가수분해물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WPI 가수분해물은 WPC 가수분해물에 비해서 생체내에서 같은 정도의 혈압을 낮추는데 훨씬 적은 양의 WPI 가수분해물만으로 족한 더욱 활성적인 펩티드 들로 구성된다. WPI는 소비자가 수용할 수 있는 맛을 유지하고, 증가된 ACE-I의 활성도를 유지하면서 좀 더 오래 가수분해 될 수 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은 WO 99/65326의 가수분해물에 비해 맛, ACE-I의 활성도, 기능성에 있어서 향상된 생리활성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은 신규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생산하는데 유용하며, 상기 가수분해물은 현저하게 유용한 특성을 가지며, 항고혈압제로서 음식이나 약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REFERENCES
Bernal V & Jelen P (1989). Effectiveness of lactose hydrolysis in Cottage cheese whey for the development of whey drinks. Milchwissenchqft 44: 222-225
FR 2309154, 30 December 1976 Fromageries Bel La Vache Qui (From), France.
US 3970520, 20 July 1976, General Electric Co, USA.
EP0117047, 29 August 1984, General Foods Corporation, USA.
Maubois J L, Leonil J, Trouve R & Bouhallab S (1991)
Les peptides du lait a activite physiologique III. Peptides du lait a effect cardiovasculaire: activites antithrombotique et antihypertensive. Lait, 71, 249-255.
JP 4282400, 7 October 1992, Calpis Shokuhin Kogyo KK, Japan.
EP065663, 1 December 1982, Miles Laboratories Incorporated, USA.
JP 8056568, 17 August 1994, Morinaga Milk Co Ltd, Japan.
EP4745506, 11 March 1992, Morinaga Milk Co Ltd, Japan.
Mullally M M, Meisel H & FitzGerald R J (1997)
Identification of a novel angiotensin-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corresponding to a tryptic fragment of bovine β-lactoglobulin. Federation of European Biochemical Societies Letters, 402, 99-101.
Nakamura Y, Yamamoto N, Sakai K & Takano T (1994)
Antihypertensive effect of the peptides derived from casein by an extracellular proteinase from Lactobacillus helveticus CP790. Journal of Dairy Science, 77, 917-922.
Roy G (1992). Bitterness: reduction and inhibition.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 : 85-91
Roy G (1997). Modifying bitterness: Mechanism, ingredients and applications. Technomic Publishers, Lancaster, UK.
US 4358464, 9 September 1982, Superior Dairy Company, USA.
Yamamoto N (1997). Antihypertensive peptides derived from food proteins. Biopolymers 43: 129-134.
Frister H, Meisel H & Schlimme E (1988). OPA method modified by use of N,N-dimethyl-2-mercaptoethylammoniumchloride as thiol component. Freesenius Z Anal Chem. 330, 631-633
Cushman D W & Cheung H 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 in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 7-1648.
WO 9965326, 23rd December, 1991, New Zealand Dairy Board, NZ.




SEQUENCE LISTING
<110> NEW ZEALAND DAIRY BOARD
<120> Improved Bioactive Whey Protein Hydrolysate
<130> P425133 CJE
<140>
<141>
<150> NZ 506866
<151> 2000-09-11
<160> 8
<170> PatentIn Ver. 2.1
<210> 1
<211> 3
<212> PRT
<213> Peptide
<400> 1
Ser Ala Pro
1

<210> 2
<211> 3
<212> PRT
<213> Peptide
<400> 2
Met Lys Gly
1

<210> 3
<211> 5
<212> PRT
<213> Peptide
<400> 3
Ala Leu Pro Met His
1 5

<210> 4
<211> 5
<212> PRT
<213> Peptide
<400> 4
Leu Ile Val Thr Gln
1 5

<210> 5
<211> 6
<212> PRT
<213> Peptide
<400> 5
Val Ser Leu Pro Glu Trp
1 5

<210> 6
<211> 5
<212> PRT
<213> Peptide
<400> 6
Ile Asn Tyr Trp Leu
1 5

<210> 7
<211> 12
<212> PRT
<213> Peptide
<400> 7
Leu Lys Pro Thr Pro Glu Gly Asp Leu Glu Ile Leu
1 5 10

<210> 8
<211> 12
<212> PRT
<213> Peptide
<400> 8
Leu Lys Gly Tyr Gly Gly Val Ser Leu Pro Glu Trp
1 5 10



Claims (34)

  1. 유장단백질분리물(whey protein isolate, WPI)을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효소를 가지고 가수분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정은 다음의 특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의해 생산된 제품들은 높은 가용성을 갖는, 생리활성 펩티드들을 함유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1) 상기된 효소는 열에 불안정한(a heat labile) 프로테아제이며;
    2) 상기 가수분해는 30-65℃의 온도에서, 상기 효소가 중성 프로테아제인 경우 pH 3.5-9.0, 상기 효소가 산성 프로테아제인 경우 pH 2.5-6.0, 상기 효소가 알카리성 프로테아제인 경우 pH 5.0-10.0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3) 상기 가수분해는 가수분해의 진행 정도가 10%이상을 넘지않는 정도까지 진행시키고 종료되며;
    4) 상기 가수분해는 상기 가수분해물에 존재하는 펩티드나 잔류단백질의 실질적인 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조건(mild condition)하에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효소를 비활성화킴으로서 종료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프로테아제 P6, 프로테아제 A, 프로테아제 M, 펩티다제(Peptidase), 뉴트라제(Neutrase), 발리다제(Validase), AFP 2000, 그리고 어떤 다른 열에 불안전한 프로테아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공정인 효소 비활성화 공정은 열에 의한 비활성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에 의한 비활성화는 상기 가수분해물을 100℃까지의 온도에 10분까지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가 65℃이하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때는 상기열에 의한 비활성 공정은 10초에서 15분까지동안 65℃에서 7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가 60℃이하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때는 상기열에 의한 비활성화 공정은 10초에서 30분까지동안 60℃에서 65℃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비활성화 공정은 상기 유장단백질을 포함하는 기질의 pH를 상기 프로테아제가 비활성되는 pH까지 변경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비활성화 공정은 제3항의 방법에 의한 열에 비활성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공정인 효소 비활성화 공정은 상기 가수분해물을 10-500kDa의 범위에서 작은 분자무게(nominal molecular weight)의 차단을 할 수 있는 초미세막(ultra filtration membrane)으로 초미세한 여과(ultrafiltration)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막은 10-200kDa의 범위에서 작은 분자무게의 차단을 할 수 있는 초미세막(ultra filtration membrane)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상기 2)공정 가수분해과정 동안 불활성 써포트(inert support)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써포트는 메타크리레이트에 기초한(methacrylate-based) 기능성 폴리머, 카라키닌 입자와 키토산 입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가수분해의 진행 정도는 3%에서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가수분해의 진행 정도는 3%에서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은 SAP (SEQ ID NO: 1), VSLPEW (SEQ ID NO: 5), INYWL (SEQ ID NO: 6), LKPTPEGDLEIL (SEQ ID NO: 7)그리고 LKGYGGVSLPEW (SEQ ID NO: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은 SAP (SEQ ID NO: 1), VSLPEW (SEQ ID NO: 5), INYWL (SEQ ID NO: 6), LKPTPEGDLEIL (SEQ ID NO: 7) 그리고 LKGYGGVSLPEW (SEQ ID NO: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첫번째 생리활성 펩티드와 LIVTQ (SEQ ID NO: 4), MKG (SEQ ID NO: 2) 그리고 ALPMH (SEQ ID NO: 3)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두번째 생리활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17. 약학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유전적 운반체(pharmaceutical acceptable carrier)와 함께 제 1항에 기재된 제조 공정에 의해 생산된 SAP (SEQ ID NO: 1), VSLPEW (SEQ ID NO: 5), INYWL (SEQ ID NO: 6), LKPTPEGDLEIL (SEQ ID NO: 7) 그리고 LKGYGGVSLPEW (SEQ ID NO: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SAP (SEQ ID NO: 1), VSLPEW (SEQ ID NO: 5), INYWL (SEQ ID NO: 6), LKPTPEGDLEIL (SEQ ID NO: 7) 그리고 LKGYGGVSLPEW (SEQ ID NO: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를 포함하며, 약학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유전적 운반체와 함께 생리활성 펩티드 MKG(SEQ ID NO : 2)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9. 삭제
  20. 제 1항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생산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를 이용한 고혈압 치료/예방제 제조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 펩티드는 MKG(SEQ ID NO:2)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혈압 치료/예방제 제조 방법
  22. 제 1항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된, 쓰지않고 가용적인, 생리활성 펩티드를 함유하며, 상기 생리활성 펩티드는 SAP (SEQ ID NO: 1), VSLPEW (SEQ ID NO: 5), INYWL (SEQ ID NO: 6), LKPTPEGDLEIL (SEQ ID NO: 7) 그리고 LKGYGGVSLPEW (SEQ ID NO: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장단백질분리물 가수분해물.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의 유장단백질분리물 가수분해 진행 정도는 3%에서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장단백질분리물 가수분해물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의 유장단백질의 주요 입자 크기(main particle size)는 30마이크론(microns)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장단백질분리물 가수분해물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의 유장단백질의 주요 입자 크기는 3마이크론(microns)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장단백질분리물 가수분해물 제품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은 용액에서 맑거나 하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장단백질분리물 가수분해물
  27. 삭제
  28. 삭제
  29. 제 22항의 유장단백질분리물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음식물
  30. 삭제
  31. 제 22항에 의한 제품을 사용하여 필요한 환자의 고혈압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약품을 제조하는 방법
  32. 약학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유전적 운반체(pharmaceutical acceptable carrier)와 함께 제 22항에 의한 상기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3. SAP (SEQ ID NO: 1), VSLPEW (SEQ ID NO: 5), INYWL (SEQ ID NO: 6), LKPTPEGDLEIL (SEQ ID NO: 7) 그리고 LKGYGGVSLPEW (SEQ ID NO: 8)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두가지 또는 그 이상의 펩티드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수분해물.
  34. SAP (SEQ ID NO: 1), VSLPEW (SEQ ID NO: 5), INYWL (SEQ ID NO: 6), LKPTPEGDLEIL (SEQ ID NO: 7) 그리고 LKGYGGVSLPEW (SEQ ID NO: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첫번째 생리활성 펩티드와 LIVTQ (SEQ ID NO: 4), MKG (SEQ ID NO: 2) 그리고 ALPMH (SEQ ID NO: 3)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두번째 생리활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생리활성 펩티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KR1020037003596A 2000-09-11 2001-09-11 향상된 생리활성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KR100845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506866 2000-09-11
NZ506866A NZ506866A (en) 2000-09-11 2000-09-11 Bioactive whey protein hydrolysate free of bitter flavours wherein the enzyme used is a heat labile protease
PCT/NZ2001/000188 WO2002019837A1 (en) 2000-09-11 2001-09-11 Improved bioactive whey protein hydrolys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442A KR20030046442A (ko) 2003-06-12
KR100845362B1 true KR100845362B1 (ko) 2008-07-09

Family

ID=1992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596A KR100845362B1 (ko) 2000-09-11 2001-09-11 향상된 생리활성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EP (1) EP1317186B1 (ko)
JP (1) JP2004508025A (ko)
KR (1) KR100845362B1 (ko)
CN (1) CN1229031C (ko)
AT (1) ATE494795T1 (ko)
AU (2) AU9037601A (ko)
BR (1) BR0113812A (ko)
CA (1) CA2421714A1 (ko)
DE (1) DE60143846D1 (ko)
DK (1) DK1317186T3 (ko)
ES (1) ES2359789T3 (ko)
HK (1) HK1063132A1 (ko)
HU (1) HUP0302370A2 (ko)
MX (1) MXPA03002109A (ko)
NO (1) NO326072B1 (ko)
NZ (1) NZ506866A (ko)
PE (1) PE20030289A1 (ko)
WO (1) WO2002019837A1 (ko)
ZA (1) ZA2003019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44215T3 (es) 2002-07-29 2014-02-24 Zymtech Production As Método para la producción de péptidos y aminoácidos a partir de material de origen animal que comprende proteínas
TWI317636B (en) * 2002-11-22 2009-12-01 Meiji Dairies Corp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liver disease patients or for patients underhigh levels of invasive stress
US7399496B2 (en) * 2003-02-07 2008-07-15 Glanbia Nutritionals (Ireland) Limited Hydrolyzed whey protein compositions
EP1568707A1 (en) * 2004-02-26 2005-08-31 Puleva Biotech, S.A. Antihypertensive peptides from casein hydrolysates
CN100415768C (zh) * 2004-11-29 2008-09-03 中国农业大学 乳清蛋白酶法生产血管紧张素转化酶(ace)抑制肽的方法
EP1907412B1 (en) * 2005-06-30 2012-04-11 Campina Nederland Holding B.V. Peptides inhibiting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U2007229604A1 (en) * 2006-03-24 2007-10-04 Unilever Plc Healthy food product
US9662368B2 (en) * 2006-06-15 2017-05-30 Murray Goulburn Co-Operative., Limited Formulation comprising whey protein and hydrolysates for improving muscle recovery
EP1967524A1 (en) * 2007-03-06 2008-09-10 Friesland Brands B.V. Methods for producing ACE-inhibitory peptides from whey and peptides obtained thereby
US20090196973A1 (en) * 2008-02-01 2009-08-06 Rich Products Corporation Foam Compositions
DE102008032828A1 (de) * 2008-07-02 2010-01-07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Tryptophanhaltige Peptide aus alpha-Lactalbumin mit blutdrucksenkender und vasoprotektiver Wirkung für biofunktionelle Lebensmittel
US9055752B2 (en) 2008-11-06 2015-06-16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Shelf-stable concentrated dairy liquid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CN101736067B (zh) * 2010-01-08 2012-04-18 中国农业大学 一种乳清蛋白降血压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1829316B (zh) * 2010-04-30 2012-07-11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一种乳清蛋白水解物及其在制备降糖药物中的用途
UA112972C2 (uk) 2010-09-08 2016-11-25 Інтерконтінентал Грейт Брендс ЛЛС Рідкий молочний концентрат з високим вмістом сухих речовин
WO2012075570A1 (en) * 2010-12-09 2012-06-14 Mcgill University Bioactive peptides and proteins containing bioactive peptides, their use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JP5892687B2 (ja) * 2011-07-07 2016-03-23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風味改善ペプチド
CN103695518B (zh) * 2013-12-30 2016-04-06 东北农业大学 利用乳清蛋白肽降低血清胆固醇水平的产品和制备方法
US10639334B2 (en) * 2014-01-07 2020-05-05 Mead Johnson Nutrition Company Pediatric nutritional composition with milk peptides for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CN103805664B (zh) * 2014-03-06 2017-04-05 渤海大学 一种低敏性糖基化乳清蛋白水解物及其制备方法
WO2015169928A1 (en) * 2014-05-07 2015-11-12 Nestec S.A. Foamable dairy product
JP6022738B2 (ja) * 2014-06-16 2016-11-09 キリン株式会社 記憶学習機能及び/又は認知機能を増強するための組成物
JP6262694B2 (ja) * 2014-08-18 2018-01-17 森永乳業株式会社 プロリルオリゴペプチダーゼ阻害剤
ES2837050T3 (es) 2015-10-01 2021-06-29 Frieslandcampina Nederland Bv Composición nutricional líquida que comprende caseína micelar y proteína de suero de leche hidrolizada
CN108137650B (zh) * 2015-11-16 2022-04-08 麒麟控股株式会社 肽组合物及其制造方法
BR112018010672B1 (pt) 2015-12-18 2022-05-10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mposições líquidas esterilizadas por calor com alto teor de proteína, seu processo contínuo de preparação, uso de proteína hidrolisada, e método para controlar a viscosidade e evitar o gosto amargo das ditas composições
CN107136295B (zh) * 2016-03-01 2021-07-27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部分水解乳清蛋白粉及其制备方法
CN107814836A (zh) * 2017-12-01 2018-03-20 浙江熊猫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活性多肽fpgpipns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858394B (zh) * 2017-12-25 2021-09-07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乳清蛋白水解产物的制备方法
ES2964808T3 (es) 2019-05-29 2024-04-09 Arla Foods Amba Hidrolizados de proteína de suero de la leche extensamente hidrolizados apetecibles
CN113061175B (zh) * 2020-12-17 2023-04-21 西北民族大学 以曲拉为原料制备的钙共沉淀蛋白及其制备方法
CN114457137B (zh) * 2022-01-12 2024-05-24 广州舜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循环水解并精准筛选肽分子量的深度水解乳清蛋白的制备方法
CN115669945B (zh) * 2022-10-24 2024-03-08 上海艾斯顿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神经营养作用的脂质体包裹多肽及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9593B1 (en) * 1986-11-25 1992-03-04 Albuglobe Aktiebolag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whey protein
WO1992021248A1 (en) 1991-05-31 1992-12-10 Danmark Protein A/S Method for production of a whey protein hydrolyzate
WO1999065326A1 (en) * 1998-06-17 1999-12-23 New Zealand Dairy Board Bioactive whey protein hydrolysat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589785A (da) * 1985-12-18 1987-06-19 Samuelsson Ernst Gunnar Peptidpraeparat,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deraf samt anvendelse af peptidpraeparatet
DK0518999T3 (da) * 1990-03-09 1995-12-18 Novo Nordisk As Proteinhydrolysater
WO1993004593A1 (en) * 1991-08-30 1993-03-18 Teagasc, The Agriculture And Food Development Authority Hypoallergenic whey protein hydrolysate
DK71292D0 (ko) * 1992-05-27 1992-05-27 Novo Nordisk As
JP3059595B2 (ja) * 1992-11-20 2000-07-04 森永乳業株式会社 沈澱を生じない乳清蛋白質分解物の製造法
WO1996011584A1 (fr) * 1994-10-14 1996-04-25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Melange de peptides et leurs produits_________________
EP0871371B1 (en) * 1995-06-30 2004-03-03 Arla Foods amba A method of producing a peptide mixture
JPH1033115A (ja) * 1996-07-24 1998-02-10 Nouchikusangiyou Shinko Jigyodan ホエー飲料とその製造法
MY129566A (en) * 1999-01-19 2007-04-30 Nestle Sa A hypoallergenic composition containing tolerogenic peptides inducing oral toler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9593B1 (en) * 1986-11-25 1992-03-04 Albuglobe Aktiebolag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whey protein
WO1992021248A1 (en) 1991-05-31 1992-12-10 Danmark Protein A/S Method for production of a whey protein hydrolyzate
WO1999065326A1 (en) * 1998-06-17 1999-12-23 New Zealand Dairy Board Bioactive whey protein hydrolysat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Food Science(1996)Vol.61, pp270-27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31096L (no) 2003-05-07
CN1229031C (zh) 2005-11-30
DK1317186T3 (da) 2011-05-02
HK1063132A1 (en) 2004-12-17
JP2004508025A (ja) 2004-03-18
MXPA03002109A (es) 2004-05-24
EP1317186B1 (en) 2011-01-12
KR20030046442A (ko) 2003-06-12
DE60143846D1 (de) 2011-02-24
NZ506866A (en) 2003-05-30
PE20030289A1 (es) 2003-03-25
BR0113812A (pt) 2005-02-01
ES2359789T3 (es) 2011-05-26
CN1474656A (zh) 2004-02-11
AU9037601A (en) 2002-03-22
NO326072B1 (no) 2008-09-15
CA2421714A1 (en) 2002-03-14
ZA200301982B (en) 2004-06-25
WO2002019837A1 (en) 2002-03-14
AU2001290376B2 (en) 2005-08-25
HUP0302370A2 (hu) 2003-10-28
EP1317186A4 (en) 2006-04-19
ATE494795T1 (de) 2011-01-15
EP1317186A1 (en) 2003-06-11
NO20031096D0 (no) 200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362B1 (ko) 향상된 생리활성 유장단백질 가수분해물
US7148034B2 (en) Bioactive whey protein hydrolysate
AU2001290376A1 (en) Improved bioactive whey protein hydrolysate
CA2452765C (en) Process for the hydrolysis of milk proteins
KR940003938B1 (ko) 펩타이드 제제의 제조방법
AU2002325890A1 (en) Process for the hydrolysis of milk proteins
ES2215940T5 (es) Traccion proteica basica derivada de la leche como agente para reducir la hipertension.
JP2004519204A (ja) 抗高血圧ペプチドの生成のための乳漿タンパク質の酵素処理、得られた産物、および哺乳動物における高血圧の処置
US7582601B2 (en) Use of tryptophan rich peptides
EP0672352B1 (e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glutamine-rich peptides and food preparations made therewith
JP2736829B2 (ja) 不快味のない蛋白質加水分解物の製造法
AU2003204321B2 (en) Bioactive Whey Protein Hydrolysate
JPH025406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