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990B1 -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990B1
KR100843990B1 KR1020020057696A KR20020057696A KR100843990B1 KR 100843990 B1 KR100843990 B1 KR 100843990B1 KR 1020020057696 A KR1020020057696 A KR 1020020057696A KR 20020057696 A KR20020057696 A KR 20020057696A KR 100843990 B1 KR100843990 B1 KR 10084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lexible
housing
connector
flexib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683A (ko
Inventor
미우라카즈토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의 접촉부 상에 삽입하여 배치된 가요성 기판을 탄성적으로 유지하여 위치 어긋남 및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 접속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구부(3)에 복수의 콘택트(6)가 소정 피치로 병렬하여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2)과, 개구부(3)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콘택트(6)의 접촉부(8)상에 배치되는 가요성 기판(30)을 접촉부(8)에 가압하는 가압 부재(12)를 구비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에 있어서, 콘택트(6)의 병렬 방향에서의 하우징(2)의 양단 측벽(5, 5)에 설치되고,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되는 보강 금속 부재(20)에, 콘택트(6)의 접촉부(8)상에 배치된 가요성 기판(3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편(25, 25)이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 콘택트, 접촉부, 가요성 기판, 커넥터, 가압 부재, 탄성 지지편

Description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Connector for a flexible circuit bo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와 가요성 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일부 종단 확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콘택트 수용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보강 금속 부재 장착부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대하여 가요성 기판을 삽입하여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설치되는 보강 금속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가요성 기판을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의 콘택트의 접촉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가요성 기판을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의 보강 금속 부재의 탄성 지지편과 가요성 기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가요성 기판을 삽입하여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커넥터에 가요성 기판을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의 보강 금속 부재의 탄성 지지편과 가요성 기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2: 하우징
3: 개구부 4: 콘택트 수용 홈
5: 측벽 6: 콘택트
7: 지지편 8: 접촉편
10: 리드부 12: 가압 부재
13: 끼워맞춤 구멍 14: 회전 지지축부
15: 지지부 20: 보강 금속 부재
21: 지지 아암 22: 납땜부
23: 지지부 24: 연결부
25: 탄성 지지편 26: 볼록 굴곡부
30: 가요성 기판 31: 선단부
32: 결합 구멍 또는 노치부
본 발명은 가요성 기판을 프린트 배선판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요성 프린트 케이블(FPC)이나 가요성 프린트 케이블(FFC) 등의 가요성 기판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공지되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개구부에 복수의 콘택트가 소정 피치로 병렬하여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콘택트의 접촉부 상에 배치되는 가요성 기판을 상기 접촉부에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예를 들면, 일본 실개평6-77186호 공보, 특허 제3029985호 공보, 특허 제3075707호 공보 등 참조).
그리고,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커버 타입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되는 슬라이더 타입으로 대별되고, 또한, ZIF 구조, 즉 무삽입력 타입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Non-ZIF 구조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ZIF 구조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는 가요성 기판을 상기 커넥터의 콘택트의 접촉부 상에 배치한 후, 상기 가압 부재의 커버 또는 슬라이더를 작동 위치에 조작할 때까지 상기 가요성 기판은 조금도 유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은 진동이나 외력이라도 상기 가요성 기판이 장착 위치로부터 어긋나 접촉 신뢰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었다. 이러한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한쪽 손으로 가요성 기판을 장착 위치에 유지하고, 다른쪽 손으로 상기 가압 부재 의 커버 또는 슬라이더를 조작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 나쁘다.
한편, Non-Z1F 구조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라도, 가요성 기판을 장착 위치에 배치한 후, 상기 가압 부재의 커버를 작동 위치에 회전 조작하는 타입으로서는 상기 커버를 조작하기 전에 있어서의 상기 가요성 기판의 유지력은 충분하지 않아, 상기와 같이 가요성 기판이 장착 위치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또한, 어떠한 타입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가요성 기판의 유지력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가요성 기판이 접촉하는 상기 접촉부의 수, 즉 상기 콘택트의 극 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기 가요성 기판에 인발 방향 또는 횡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빠지거나, 어긋날 가능성이 있었다. 특히, 상기 콘택트의 극 수가 작은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서는 유지력이 약하여 상기와 같은 위험성이 높은 것이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가요성 기판의 어긋남 및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요성 기판에 결합 구멍 또는 노치부(notch)를 제공하고, 상기 결합 구멍 또는 노치부에 결합하는 보스(boss) 또는 래치 폴(latch pawl)을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가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0-106694호 공보나 특개2000-18269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래치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는 커다란 인발력이 가해진 경우에, 가요성 기판 또는 커넥터를 파손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커넥터의 콘택트의 접촉부 상에 삽입하여 배치된 상기 가요성 기판을 탄성적으로 유지하여 위치 어긋남 및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 접속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개구부에 복수의 콘택트가 소정 피치로 병렬하여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콘택트의 접촉부 상에 배치되는 가요성 기판을 상기 접촉부에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병렬 방향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 설치되고,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되는 보강 금속 부재에, 상기 콘택트의 접촉부 상에 배치된 상기 가요성 기판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지지편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의 기판 삽입구측에 있어서 상기 보강 금속 부재에 한쪽 지지 구조에 연결 지지되고, 상기 기판 삽입구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안쪽으로 상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동시에, 선단 부분이 하향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는 へ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편이 상기 가요성 기판의 양 단부에 제공한 결합 구멍 또는 노치부에 결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가요성 기판의 어긋남 및 빠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더구나 상기 가요성 기판에 지나친 인발력 등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상기 탄성 지지편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결합이 해제되고, 가요성 기판 및 커넥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보강 금속 부재에는 상기 가압 부재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 같이 상기 보강 금속 부재에 의해 상기 가압 부재를 축 지지(軸支)하면 강도적으로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와 가요성 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일부 종단 확대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콘택트 수용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보강 금속 부재 장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의 하우징(2)은 절연성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고, 전반 부분에 상방으로 향하여 개방된 개구부(3)를 갖고, 복수의 콘택트(6; 도 3 참조)가 소정 피치로 병렬하여 수용되는 콘택트 수용 홈(4)이 개구부(3)에 노출하여 제공되어 있는 동시에, 양단의 측벽(5, 5)에 후술하는 가압 부재(12)가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되고, 또한 보강 금속 부재(20)가 설치된다.
콘택트(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박판을 펀칭 가공하여 제조되어, 서로 대향하는 지지편(7)과 접촉편(8)의 단부가 연결부(9)를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두갈래형으로 형성되고, 연결부(9)에는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리드부(10)가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콘택트(6)는 하우징(2)의 후방으로부터 각 수용 홈(4)에 삽입되어 개별로 수용되고, 지지편(7)에 설치한 돌기(11)를 수용 홈(4)의 내벽에 파고 들어가 고정되는 동시에, 지지편(7)과 접촉편(8)이 개구부(3) 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리드부(10)는 하우징(2)의 후부로부터 외측 하방으로 돌출하여, 커넥터(1)를 프린트 배선판(도시하지 않음)에 실장할 때, 회로 패턴에 납땜된다.
가압 부재(12)는 하우징(2)과 마찬가지로 절연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고, 하우징(2)의 개구부(3)를 덮는 덮개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부재(12)에는, 하우징(2)에 수용되어 유지된 콘택트(6)의 지지편(7)의 선단 훅부(7a)가 결합하는 끼워맞춤 구멍(13)이 콘택트 수용 홈(4)에 대응하여 제공되어 있고, 또한 양단에 짧은 원주형이 형성된 회전 지지축부(14, 14)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2)의 양단 측벽(5, 5)에는,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12)의 지지축부(14, 1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호형 오목 굴곡면을 갖는 지지부(15, 15)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양단 측벽(5, 5)에 설치되는 보강 금속 부재(20)는 금속 박판을 펀칭 가공하여 제조되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3) 전방으로부터 측벽(5)의 안쪽에 제공된 부착 구멍(16; 도 2 참조)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지지 아암(21)과, 상기 지지 아암(21)의 중간 부분 아래쪽에 안쪽으로 구부려 형성되고, 측벽(5)의 저면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되는 납땜부(22)와, 지지 아암(21)의 후측부에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하우징(2)의 지지부(15)와 함께 작동하여 가압 부재(12)의 지지 축부(14)를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하는 반원호형의 오목 굴곡면을 갖는 지지부(23)와, 지지 아암(21)의 후단 부분 아래쪽에 안쪽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연결부(24)와, 상기 연결부(24)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탄성 지지편(25)으 로 이루어지고, 탄성 지지편(25)은 지지 아암(21)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고, 기단 부분이 연결부(24)에 연결된 한쪽 지지 구조를 갖고, 연결부(24)에 대하여 상향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는 본체부(25a)와, 상기 본체부(25a)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는 선단부(25b)와의 사이에 볼록 굴곡부(26)를 갖는 へ자형(또는 역へ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지지 아암(21)의 후단부 위쪽에는 연결부(24)에 대응하는 보강편(27)이 안쪽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에 도시된 보강 금속 부재(20)는 도 1에 있어서 하우징(2)의 오른쪽의 측벽(5)에 설치됨으로써, 좌측의 측벽(5)에 설치되는 보강 금속 부재(20)는 도시한 보강 금속 부재(20)와 대칭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한 2개의 보강 금속 부재(20, 20)가, 각각 그 지지 아암(21)을 하우징(2)의 측벽(5)의 안쪽에 제공된 부착 구멍(16; 도 2 참조)에 삽입하여 장착 고정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지지편(25)은 본체부(25a)가 개구부(3)의 기판 삽입구 측으로부터 하우징(2)의 안쪽으로 상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동시에, 선단부(25b)가 하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배치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12)가 하우징(2)에 대하여 상방의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30)의 선단부(31)를 개구부(3)를 통하여 콘택트(6)의 지지편(7)과 접촉편(8) 사이에 삽입하고, 가요성 기판(30)을 접촉편(8)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30)의 양측단 가장자리 부분이 양측의 탄성 지지편(25, 25)의 탄성력으로 밀려올라가고, 선단부(31)가 하우징(2)의 안쪽의 어깨부(28)에 끼워맞춰진 자세 로 위치 결정 유지된다. 이와 같이 가요성 기판(30)이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상태로, 가압부 부재(12)를 아래 쪽으로 회전하여 가요성 기판(30)을 가압하면, 가요성 기판(30)의 위치 어긋남이 없고, 올바른 위치로 콘택트(6)의 접촉편(8)에 가압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7 및 도 8 참조).
이 때, 가요성 기판(30)의 유지력은 기본적으로는 가압 부재(12)에 의해 가압된 가요성 기판(30)이 가압되어 접촉하는 접촉편(8)의 수, 즉 콘택트(6)의 극 수에 의존하고 있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30)을 개재하여 가압 부재(1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한 양 탄성 지지편(25, 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가요성 기판(30)의 유지력이 높여지고 있다. 이 양 탄성 지지편(25, 25)에 의한 유지력의 강화는 특히 콘택트(6)의 수가 적은 소극의 커넥터(1)의 경우에 유효하고, 항상 일정 이상의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어, 가요성 기판(30)의 위치 어긋남 및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가요성 기판(30)의 양 측단부에 제공된 결합 구멍 또는 노치부(32, 32)에 양 탄성 지지편(25, 25)의 볼록 굴곡부(26, 26)가 결합하도록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하우징(2)에 대한 가요성 기판(30)의 위치 어긋남 및 빠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요성 기판(30)에 과잉된 인발력 혹은 배치력 등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양탄성 지지편(25, 25)이 탄성 변형하여 결합 구멍 또는 노치부(32, 32)에 대한 볼록 굴곡부(26, 26)의 결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30) 또는 커넥터(1)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보강 금속 부재에, 콘택트의 접촉부 상에 배치된 가요성 기판의 양 단부분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편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 및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 접속 시에 있어서의 가요성 기판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 기판의 어긋남 및 빠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잉된 인발력 혹은 배선력 등의 외력에 의한 상기 가요성 기판 또는 상기 커넥터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가압 부재에 대한 하우징의 회전 지지부가 보강 금속 부재에 의해서 강화되고, 강도적으로 유리하다.

Claims (4)

  1. 개구부에 복수의 콘택트가 소정 피치로 병렬하여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콘택트의 접촉부 상에 배치되는 가요성 기판을 상기 접촉부에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병렬 방향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 설치되고,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되는 보강 금속 부재에, 상기 콘택트의 접촉부 상에 배치된 상기 가요성 기판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의 기판 삽입구측으로부터 상기 보강 금속 부재에 한쪽 지지 구조에 의해 연결 지지되고, 상기 기판 삽입구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안쪽으로 상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동시에, 선단 부분이 하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へ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양측 단부에 제공된 결합 구멍 또는 노치부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 설치된 상기 보강 금속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KR1020020057696A 2001-09-25 2002-09-24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KR100843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90911 2001-09-25
JP2001290911A JP3605586B2 (ja) 2001-09-25 2001-09-25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683A KR20030027683A (ko) 2003-04-07
KR100843990B1 true KR100843990B1 (ko) 2008-07-07

Family

ID=1911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696A KR100843990B1 (ko) 2001-09-25 2002-09-24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79713B2 (ko)
JP (1) JP3605586B2 (ko)
KR (1) KR100843990B1 (ko)
CN (1) CN1249857C (ko)
HK (1) HK1056263B (ko)
TW (1) TW5645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38Y1 (ko) * 2009-11-18 2011-12-15 타이완 선케이지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91830B (en) * 2003-05-20 2004-06-11 P Two Ind Inc Flat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JP2005004993A (ja) * 2003-06-09 2005-01-06 Jst Mfg Co Ltd プラグ型コネクタ及びこれを含む電気コネクタ
JP4054741B2 (ja)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CN1879260A (zh) * 2003-10-16 2006-12-13 莫列斯公司 扁平电路连接器
JP4282014B2 (ja) * 2004-08-03 2009-06-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140599B2 (ja) * 2004-11-01 2008-08-27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96424A (ja) * 2005-01-17 2006-07-27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JP4044937B2 (ja) 2005-03-11 2008-02-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44939B2 (ja) 2005-03-24 2008-02-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282346U (en) * 2005-05-06 2005-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387528B2 (en) * 2005-06-23 2008-06-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20070054558A1 (en) * 2005-09-03 2007-03-08 Harlan Tod M Connector with improved pulling portion
TWI307982B (en) * 2006-01-20 2009-03-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299368U (en) * 2006-01-20 2006-10-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214081B1 (en) * 2006-03-24 2007-05-08 Lotes Co., Ltd. Socket for resilient electrical circuit board
JP4657160B2 (ja) * 2006-06-22 2011-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407408B1 (en) * 2006-12-22 2008-08-05 Amphenol Corporation Flexible circuit connector assembly with strain relief
JP5044312B2 (ja) * 2007-07-10 2012-10-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18620B2 (ja) * 2008-04-25 2012-09-05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323266Y (zh) * 2008-10-16 2009-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410306B1 (ja) * 2009-06-03 2010-02-0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41923B2 (ja) * 2010-03-26 2013-02-13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112484B2 (ja) * 2010-08-19 2013-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078222A (ja) 2010-10-01 2012-04-19 Fujifilm Corp 回路基板接続構造体および回路基板の接続方法
JP5195863B2 (ja) 2010-10-12 2013-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088426B2 (ja) 2011-02-22 2012-12-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010043B1 (ja) * 2011-06-13 2012-08-2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10433B2 (ja) 2011-06-29 2014-06-0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2562880A1 (en) 2011-08-22 2013-02-27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8337230B1 (en) 2011-08-30 2012-12-25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929228B2 (ja) * 2012-01-24 2016-06-0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回路装置
JP2013171766A (ja) * 2012-02-22 2013-09-02 Yazaki Corp コネクタ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49081B2 (ja) * 2012-04-17 2016-07-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79418B2 (ja) * 2012-05-15 2016-08-2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387650B1 (ko) * 2012-05-15 2014-04-23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컨넥터 및 케이블과 컨넥터의 조립체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24162B2 (ja) * 2012-07-04 2016-05-2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851918B2 (en) 2012-08-27 2014-10-07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utomatic lock member
EP2717387B1 (en) 2012-10-08 2018-08-01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790681B2 (ja) 2013-03-13 2015-10-0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6100426A (ja) * 2014-11-20 2016-05-30 日立金属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
KR102075612B1 (ko) * 2015-08-26 2020-02-10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7404021B (zh) * 2017-08-07 2023-11-21 安费诺奥罗拉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双弹臂双触点fpc连接器
CN108990357B (zh) * 2018-09-10 2020-05-12 益阳维胜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线路板
USD941244S1 (en) * 2019-06-25 2022-01-18 Kyocera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777A (ko) * 1999-04-30 2001-03-15 요시무라 마사오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707B2 (ja) * 1997-12-24 2000-08-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3574891B2 (ja) * 1999-08-17 2004-10-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TW443641U (en) * 2000-02-02 2001-06-23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472559B2 (ja) * 2001-02-22 2003-12-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777A (ko) * 1999-04-30 2001-03-15 요시무라 마사오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38Y1 (ko) * 2009-11-18 2011-12-15 타이완 선케이지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00370A (ja) 2003-04-04
CN1249857C (zh) 2006-04-05
KR20030027683A (ko) 2003-04-07
CN1409443A (zh) 2003-04-09
HK1056263A1 (en) 2004-02-06
US20030060072A1 (en) 2003-03-27
US6679713B2 (en) 2004-01-20
HK1056263B (zh) 2006-10-13
TW564576B (en) 2003-12-01
JP3605586B2 (ja) 200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990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TWI745923B (zh) 連接器以及連接器組件
KR100847304B1 (ko) 전기 커넥터
KR100572885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KR100504057B1 (ko) 평평한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JP3964583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TWI504079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KR20200043890A (ko) 커넥터
EP1235304B1 (en) Connector for flat circuit member
JP2004165046A (ja)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JP3472559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2025667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4022286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030120B2 (ja) コネクタ
KR100664236B1 (ko) 지프 콘넥터의 에프피시비 이탈 방지장치
US6739903B1 (en) Connector structure
KR20020083125A (ko) 플렉시블 평면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JP2006252844A (ja) コネクタ
JP2001035613A (ja) プリント基板用ソケット
JP600263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JP2001135436A (ja) 端 子
KR101029639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KR100515173B1 (ko)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JP4270418B2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2006134728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