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332B1 - 수면부유확산성을 갖는 중대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면부유확산성을 갖는 중대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332B1
KR100843332B1 KR1020060121940A KR20060121940A KR100843332B1 KR 100843332 B1 KR100843332 B1 KR 100843332B1 KR 1020060121940 A KR1020060121940 A KR 1020060121940A KR 20060121940 A KR20060121940 A KR 20060121940A KR 100843332 B1 KR100843332 B1 KR 100843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pesticide
granules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1229A (ko
Inventor
최용인
변창한
조희수
천광필
강광식
엄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방아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방아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방아그로
Priority to KR102006012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332B1/ko
Publication of KR2008005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약입제의 단일입자의 직경을 7mm이상으로 제조하여 무논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지 않고 논둑에서 투척처리가 가능한 범위가 넓고, 뛰어난 확산성을 부여하여 투척 지점에서 먼 거리까지 확산이 되며 농약입제가 빨리 붕괴되어 바람에 의해 수면부유성 농약입제가 한곳으로 몰려 나타나는 약해 및 약효저조 등의 단점을 개선한 농약입제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스테인리스스틸로 설비가 되지 않은 제조시설에서도 염에 의한 녹발생을 걱정하지 않고 기존 시설 그대로 이용 가능한 장점이 있는 제조 방법이다
수면부유성, 농약입제

Description

수면부유확산성을 갖는 중대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WATER FLOATING AND UNIFOROMLY DIFFUSIBLE GRANULAR AGRICULTURAL CHEMICALS FORMULATION}
기존제형은 보통 3kg/10a 의 처리량을 갖는다. 이를 500g/10a로 줄인 제형으로 처리할 경우 약제무게에 따른 부하를 줄일 뿐만 아니라 처리량이 적어짐에 따라 살포시간이 단축이 되어 획기적인 노동력 절감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기 특허 출원된 제형은 입제의 크기는 동일하고 수용성필름에 포장을 하여 투척처리하는 제형이 대부분이며, 일본국에서 출원된 특허는 입자의 크기를 3mm이상 85%로 명시하고 있으나 5mm이상일 경우의 입자에 대한 효과가 명확하다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농약입제의 단일입자의 직경을 7mm 이상의 대형입자로 제조하여 논둑에서 먼 거리 투척이 가능하며, 무논에 직접 들어가지 않고 처리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졌으며, 입제의 자체 확산 및 빠른 붕괴로 바람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농약입제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무논 등의 수면에 사용하는 농약의 제제는 입제, 분제, 유제, 수화제, 액상수화제 등이 주로 사용이 되었다. 입제나 분제는 통상 300평에 3kg의 제품을 물에 희석하지 않고 살포하는 방식이고, 유제는 물에 희석하여 살포를 하고, 액상수화제는 500ml의 액을 직접 살포하는 방식으로 사용이 된다.
위와 같은 제제는 처리면적이 넓을 경우 많은 양의 약제를 직접 들고 살포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그 무게에 따른 노동력의 부하가 적지 않았으며, 논둑에서 살포 가능한 액상수화제는 약액이 닿는 거리가 짧아 논폭이 10m 이상일 경우 약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반드시 논에 직접 들어가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런 어려움으로 인해 무논투척용 농약 점보제 및 수면부상성 농약입제 등이 개발되고 있고, 공개특허 제1997-0002003호의 수면부상성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공개특허 제2000-0076729호의 수면적용용 농약제제, 공개특허 제2001-0085392호의 무논용 농약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살포방법, 공개특허 제2001-0099683호의 무논용 농약제제, 그의 제조방법 및 살포방법, 공개특허 제1997-0073337호의 무논 투척처리용 농약 점보제 및 그의 제조방법 등은 모두 0.7mm내외의 스크린을 이용해 조립 후 건조하여 수용성필름에 25g내지 50g단위로 포장한 제형으로 수용성필름포장 작업이 추가되어 별도의 시설 투자가 요구되며, 수용성필름의 사용에 따라 수분관리에 부단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수온에 의해 필름의 녹는 시간이 영향을 받아 낮은 온도에서는 필름의 녹는 시간이 증가하고, 필름과 직접 닿은 약제는 붕괴가 늦어 바람에 의해 한곳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약해발생이 우려된다. 또한 증량제로 사용되는 염화칼륨이 철을 부식시키는 성질이 있어 제조설비를 스테인리스스틸로 전면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발포성정제는 통상 수g 혹은 수십g의 정제 형태로 제품중의 성분이 물과 접촉 할 때 격렬하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덩어리상의 농약이 미세한 입자로 환원되는 동시에 먼 거리까지 농약이 퍼져나갈 수 있게 고안된 제형이다. 이러한 제형은 처리지점에 농약이 고농도로 잔류하는 현상을 극복하기 어려우며 투척한 제품이 논토양에 파묻혀 살포된 지점에 약해발생이 일어나기도 하며, 산과 알칼리가 제제 중에 혼재하므로 가수분해 등 화학적으로 분해되기 쉬운 농약에는 적용할 수 없어서 극히 제한적인 수의 농약에 대해서만 제품화가 가능하다. 또한 장기간 보관시 발포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으며, 재료비가 기존 제형에 비하여 매우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일본국에서 출원한 특허(특개평15-026816호)와 유사하나 출원된 특허의 제형은 입자의 직경을 3~5mm로 제조를 하여 포장실험을 하였고, 비록 7mm 입자 제형은 제제예에 언급이 되었으나 포장실험은 진행하지 않고 실내실험만 진행하였다. 또한 실험결과 7mm 이상의 입자에서는 수면아래로 가라앉는 입자가 발생하여 7mm로 제시한 제형이 완전하다 할 수 없다. 아울러 손으로 투척시 살포거리가 3~6m로 논폭이 20m 이내일 경우에만 논둑 살포가 가능하여 수도 원액처리용 액상수화제처럼 처리면적이 한정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증량제로 철을 부식시키는 성질이 있는 염화칼륨을 사용하여 스테인리스스틸로 설비되지 않은 시설에서는 기존 처방으로 입제를 제조시 염에 의한 부식현상이 발생하여 기존설비를 바꿔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제공되던 농약제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철을 부식시키는 염화칼륨을 증량제로 사용하지 않고, 수용성필름포장에 따른 제조설비의 교체나 추가의 부담이 적고 사용자의 입장에서 살포거리를 증가시켜 좀더 개선된 생력화 제형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제제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제형을 만들고자 연구를 한 결과, 수용성의 증량제를 사용하여 염화칼륨을 대치할 수 있었고, 단일입자의 직경을 7mm이상으로 제조하여 낱알살포가 가능하였으며 손 살포시 입자의 비산거리가 10m 이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는, 0.1 내지 15 중량%의 농약활성성분, 1 내지 30 중량%의 계면활성제, 0.1 내지 5 중량%의 보조제, 0.1 내지 5 중량%의 점결제, 0.1 내지 30 중량%의 수면부유성담체, 1 내지 30 중량%의 수용성증량제, 10 내지 80 중량%의 비수용성담체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농약활성성분은 수용성 농약활성성분, 난수용성 농약활성성분 및 비수용성 농약활성성분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농약활성성분의 예로서는, 제초제인 3-(3,4-디클로로페닐)-1-메톡시-1-메틸우레아(리누론), 2,4,6-트리클로로페닐-4'-니트로페닐에테르(CNP), α-(2-나프톡시)-프로피온아닐리드(나프로아닐리드), 5-(2,4-디클로로페녹시)-2-니트로벤조산메틸(비페녹스), O-3-tert-부틸페닐-6-메톡시-2-피리딜-(메틸)-티오카르바메이트(피리부티카르브), (RS)-2-브로모-N-(α,α-디메틸벤질)-3,3-디메틸부틸아미드 (브로모부티드), 2-벤조티아졸-2-일옥시-N-메틸아세토아닐리드(메페나셋트), 1-(α,α-디메틸벤질)-3-(파라트릴)-우레아(다이무론), 메틸-α-(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르바모일술파모일)-O-톨루에이트(벤술프론메틸), 1-(2-클로로이미다졸[1,2-a]피리딘-3-일술포닐)-3-(4,6-디메톡시피리디딘-2-일)-우레아(이마조설푸론), 에틸-5-(4,6-디메톡시피리디딘-2-일카르바모일술파모일)-1-메틸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피라졸술프론에틸), 2-메틸티오-4,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시메트린), 2-메틸티오-4,6-비스-(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프로메토린), 2,4-디클로로페닐-3'-메톡시-4'-니트로페닐에테르(클로메톡시닐), 5-tert-부틸-3-(2,4-디클로로-5-이소프로폭시페닐)-1,3,4-옥사디아졸린-2-온(옥사디아존), 4-(2,4-디클로로벤조일)-1,3-디메틸-5-피라졸릴-p-톨루엔술포네이트(피라졸레이트), 2-[4-(2,4-디클로로 벤조일)-1,3-디메틸피라졸-5-일옥시]-아세토페논(피라족시펜), (RS)-2-(2,4-디클로로-m-토릴옥시)-프로피온아닐리드(클로메프로프), 2-[4-[2,4-디클로로-m-톨루오일]-1,3-디메틸피라졸-5-일옥시]-4'-메틸아세토페논(벤조페나프), 2-클로로-N-(3-메톡시-2-테닐)-2',6'-디메틸아세트아닐리드(테닐크롤), 3-[1-(3,5-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2,3-디히드로-6-메틸-5-페닐-4H-1,3-옥사진-4-온(옥사디클로메폰), 3-(4-클로로-5-시클로펜틸옥시-2-플루오로페닐)-5-이소프로필리덴-1,3-옥사졸리딘-2,4-디온(펜톡사존), 1-(디에틸카르바모일)-3-(2,4,6-트리메틸페닐술포닐)-1,2,4-트리아졸(카펜스트롤), 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1-메틸-4-(2-메틸-2H-테트라졸-5-일)(아짐설푸론), 메틸 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6-[(E)-1-(메톡시이미노)-에틸]-벤조에이트(피리미노박메틸), 4-(2-클로로페닐)-5-옥소-4,5-디히드로 테트라졸-1-카르본산시클로헥실-에틸-아미드(펜트라자미드), 2,4-비스-(에틸아미노)-6-메틸치오-1,3,5-트리아진(씨메트린), (1RS,2RS;1RS,2SR)-1-{3-[(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바모일)-설파모일]-2-피리딜}-2-플루오로프로필메톡시아세테이트(플루세토설푸론) 등을 들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살균제 및 살충제 원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농약제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알킬나프탈렌 포르말린 축합물염, 소디윰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폴리올페티에이시드에스터, 알킬프로필렌글라이콜, 소디윰리그노설포네이트, 소디윰알킬설페이트, 소디윰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알킬렌 아릴페닐에테르, 소디윰설페이트폴리비닐메틸에테르 등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1종 또는 2종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로는 안식향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결제로는 수용성 전분, 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몰토덱스트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돌,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또는 잔탄검 등이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면부유성담체로의 예로서는 경석,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등의 광물질, 또한, 시라수로 이루어진 발포시라수,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로 소성하여 된 필라이트, 규산나트륨 또는 붕사를 발포시킨 마이크로 벌룬, 프라이애쉬, 세라믹 중공체 등의 무기 부유핵, 페놀수지로 된 페놀 마이크로 벌룬, 에폭시 수지로 된 에코스페어, 폴리우레탄으로 된 폴리우레탄 포음, 염화비닐리젠-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된 마이크로스페어 등을 들 수 있다.
삭제
상기 수용성증량제로는 황산암모늄, 요소 등과 같은 무기염이 단독으로 혹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용성담체로는 탄산칼슘, 규조토, 벤토나이트, 클레이, 카오린, 화이트카본, 우레아폼레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는, 특히 1 내지 12 중량%의 농약활성성분, 10 내지 30중량%의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의 보조제, 0.5 내지 5 중량%의 점결제, 15 내지 30 중량%의 수면부유성담체, 10 내지 20 중량%의 수용성증량제 및 5 내지 50 중량%의 비수용성담체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의 제조방법은 농약활성성분과 계면활성제, 비수용성담체를 균일하게 혼합 후 건식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 입경 10㎛ 사이즈로 분쇄한 후 보조제와 수면부유성담체, 수용성증량제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분말혼합단계를 거친다. 분말 혼합 후 적당량의 물을 첨가하여 분말과 반죽을 한다. 상기 분말혼합물의 반죽의 압출성형시 입제조립기에 의하였으며, 입제는 특히 직경 7 내지 10mm의 구멍이 있는 스크린이 달린 수평식 전압출조립기를 사용하여 일정 직경의 입제로 성형할 수 있다. 전압출 조립기로 제품을 제조한 후 일정크기로 제단을 하여 유동층건조기로 수분이 1~3중량%가 되도록 건조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농약활성성분으로 펜트라자마이드 6.0중량%, 이마조설푸론 1.6중량%, 알킬나프탈렌 포르말린 축합물염 5.0중량%, 소디윰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1.5중량%, 폴리올페티에이시드에스터 6.0중량%, 알킬프로필렌글라이콜 6.0중량%, 소디윰리그노설포네이트 5.0중량%와 우레아폼레진 15.9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에어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경 10㎛로 분쇄를 한다. 분쇄분과 폴리비닐알코올 3.0중량%, 안식향산나트륨 3.0중량%, 요소 22.0중량%, 펄라이트 25.0중량%를 혼합 후 리본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을 한다. 1시간 혼합을 한 후 13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을 하여 7mm구멍을 갖는 전압출 조립기로 수면부유확산성 입제를 제조하였다. 입제의 길이는 15mm길이로 제단한 다음 유동층건조기의 온도를 70℃로 맞춘 후 수분이 1.5중량%가 되도록 건조를 하여 완성을 하였다.
실시예2
농약활성성분으로 펜트라자마이드 6.0중량%, 이마조설푸론 1.6중량%, 알킬나프탈렌 포르말린 축합물염 5.0중량%, 소디윰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1.5중량%, 폴리올페티에이시드에스터 6.0중량%, 알킬프로필렌글라이콜 6.0중량%, 소디윰리그노설포네이트 5.0중량%와 우레아폼레진 15.9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에어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경 10㎛로 분쇄를 한다. 분쇄분과 덱스트린 3.0중량%, 안식향산나트륨 3.0중량%, 요소 22.0중량%, 다공성합성실리카 25.0중량%를 혼합 후 리본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을 한다. 1시간 혼합을 한 후 13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을 하여 7mm구멍을 갖는 전압출 조립기로 수면부유확산성 입제를 제조하였다. 입제의 길이는 15mm길이로 제단한 다음 유동층건조기의 온도를 70℃로 맞춘 후 수분이 1.5중량%가 되도록 건조를 하여 완성을 하였다.
실시예3
농약활성성분으로 플루세토설푸론 0.31중량%, 이마조설푸론 1.6중량%, 알킬나프탈렌 포르말린 축합물염 5.0중량%, 소디윰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1.5중량%, 폴리올페티에이시드에스터 6.0중량%, 알킬프로필렌글라이콜 6.0중량%, 소디윰리그노설포네이트 5.0중량%와 우레아폼레진 21.59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에어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경 10㎛로 분쇄를 한다. 분쇄분과 폴리비닐알코올 3.0중량%, 안식향산나트륨 3.0중량%, 요소 22.0중량%, 펄라이트 25.0중량%를 혼합 후 리본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을 한다. 1시간 혼합을 한 후 13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을 하여 7mm구멍을 갖는 전압출 조립기로 수면부유확산성 입제를 제조하였다. 입제의 길이는 15mm길이로 제단한 다음 유동층건조기의 온도를 70℃로 맞춘 후 수분이 1.5중량%가 되도록 건조를 하여 완성을 하였다.
실시예4
농약활성성분으로 아짐설푸론 0.3중량%, 메페나세트 14.0중량%, 알킬나프탈렌 포르말린 축합물염 5.0중량%, 소디윰알킬설페이트 1.5중량%, 소디윰폴리아릴레이트 1.0중량%, 폴리올페티에이시드에스터 6.0중량%, 소디윰리그노설포네이트 3.0중량%와 클레이 18.2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에어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경 10㎛로 분쇄를 한다. 분쇄분과 몰토덱스트린 3.0중량%, 안식향산나트륨 3.0중량%, 요소 20.0중량%, 마이크로스페어 25.0중량%를 혼합 후 리본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을 한다. 1시간 혼합을 한 후 13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을 하여 10mm구멍을 갖는 전압출 조립기로 수면부유확산성 입제를 제조하였다. 입제의 길이는 15mm길이로 제단한 다음 유동층건조기의 온도를 70℃로 맞춘 후 수분이 1.5중량%가 되도록 건조를 하여 완성을 하였다.
실시예5
농약활성성분으로 플루세토설푸론 0.42중량%, 피라졸레이트 9.5중량%, 씨메트린 4.2중량%, 소디윰알킬설페이트 1.5중량%, 소디윰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1.5중량%, 폴리올페티에이시드에스터 6.0중량%, 우레아폼레진 23.88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에어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경 10㎛로 분쇄를 한다. 분쇄분과 폴리비닐알코올 3.0중량%, 안식향산나트륨 3.0중량%, 요소 22.0중량%, 다공성합성실리카 25.0중량%를 혼합 후 리본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을 한다. 1시간 혼합을 한 후 10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을 하여 7mm구멍을 갖는 전압출 조립기로 수면부유확산성 입제를 제조하였다. 입제의 길이는 15mm길이로 제단한 다음 유동층건조기의 온도를 70℃로 맞춘 후 수분이 1.5중량%가 되도록 건조를 하여 완성을 하였다.
실시예6
농약활성성분으로 펜트라자마이드 6.0중량%, 이마조설푸론 1.6중량%, 알킬나프탈렌 포르말린 축합물염 5.0중량%, 소디윰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1.5중량%, 폴리올페티에이시드에스터 6.0중량%, 알킬프로필렌글라이콜 6.0중량%, 소디윰리그노설포네이트 5.0중량%와 우레아폼레진 15.9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에어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경 10㎛로 분쇄를 한다. 분쇄분과 덱스트린 3.0중량%, 안식향산나트륨 3.0중량%, 요소 22.0중량%, 펄라이트 25.0중량%를 혼합 후 리본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을 한다. 1시간 혼합을 한 후 13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을 하여 7mm구멍을 갖는 전압출 조립기로 수면부유확산성 입제를 제조하였다. 입제의 길이는 15mm길이로 제단한 다음 유동층건조기의 온도를 70℃로 맞춘 후 수분이 1.5중량%가 되도록 건조를 하여 완성을 하였다.
비교예1
농약활성성분으로 펜트라자마이드 6.0중량%, 이마조설푸론 1.6중량%, 알킬나프탈렌 포르말린 축합물염 5.0중량%, 소디윰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1.5중량%, 폴리올페티에이시드에스터 6.0중량%, 알킬프로필렌글라이콜 6.0중량%, 소디윰리그노설포네이트 5.0중량%와 우레아폼레진 18.9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에어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경 10㎛로 분쇄를 한다. 분쇄분과 덱스트린 3.0중량%, 염화칼륨 22.0중량%, 펄라이트 25.0중량%를 혼합 후 리본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을 한다. 1시간 혼합을 한 후 13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을 하여 7mm구멍을 갖는 전압출 조립기로 수면부유확산성 입제를 제조하였다. 입제의 길이는 15mm길이로 제단한 다음 유동층건조기의 온도를 70℃로 맞춘 후 수분이 1.5중량%가 되도록 건조를 하여 완성을 하였다.
비교예2
농약활성성분으로 펜트라자마이드 1.5중량%, 이마조설푸론 0.07중량%, 벤토나이트 25.0중량%, 탄산칼슘 71.93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핀밀로 분쇄를 한다. 반죽을 위해 13중량%의 물에 소디윰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1.5중량%를 녹인 후 핀밀로 분쇄한 분말시료와 반죽을 하여 0.7mm구멍을 갖는 압출 조립기로 입제를 제조하였다. 입제의 길이는 5mm길이로 제단한 다음 유동층건조기의 온도를 70℃로 맞춘 후 수분이 1.2중량%가 되도록 건조를 하여 완성을 하였다.
실시예1~6과 비교예1 약제는 500g/10a(300평)의 처리량을 갖도록 제조를 하였고, 비교예2는 통상의 기존 입제 제형으로 3kg/10a(300평)의 처리량을 갖도록 제조하였다.
전압출 조립기의 구멍뚫린 스크린과 리본믹서는 철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시설을 사용하였다. 실시예1에서 실시예6까지 제조를 한 후 1달뒤 관찰한 결과 녹발생 부위는 없었다. 그러나 비교예1로 제조한 후 3일이 지나면서 녹이 슬기 시작하였다.
수면부유성 및 붕괴시간
실시예1의 입제를 가로×세로 5×5m, 높이 10cm의 연못에 물을 5cm로 가둔 후 50알을 살포한 결과 모든입제가 수면위에 부유하였고, 7분안에 모든입제가 붕괴되었다.
실시예2의 입제50알을 살포한 결과 모든입제가 수면위에 부유하였고 모든입제가 6분안에 붕괴되었다.
실시예3의 입제50알을 살포한 결과 모든입제가 수면위에 부유하였고 모든입제가 7분안에 붕괴되었다.
실시예4의 입제50알을 살포한 결과 모든입제가 수면위에 부유하였고 모든입제가 19분안에 붕괴되었다.
실시예5의 입제50알을 살포한 결과 모든입제가 수면위에 부유하였고 모든입제가 6분안에 붕괴되었다.
실시예6의 입제50알을 살포한 결과 모든입제가 수면위에 부유하였고 모든입제가 6분안에 붕괴되었다.
비교예1의 입제50알을 살포한 결과 모든입제가 수면위에 부유하였고 모든입제가 10분안에 붕괴되었다.
비교예2의 입제는 물에 살포 후 곧바로 가라앉았고, 수면위로 떠오르는 입자 또한 없었다.
확산성 시험
폭 1m, 길이 20m의 연못에 물을 10cm 높이로 채운 후 1m지점에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2 입제를 살포하였다. 살포 후 3시간, 8시간, 24시간 후 1m, 5m, 10m, 15m지점의 물 1ℓ를 채취하여 농약활성성분을 분석하였다.
실시예1와 실시예2는 500g/10a의 처리량을 갖고, 비교예2 입제는 약제 처리량이 3kg/10a이다.
[표 1] 시간별 확산거리 시험 결과
약제명 농약활성성분 1m 5m 10m 15m
3시간 실시예1 Fentrazamide 0.90 0.63 0.55 0.51
Imazosulfuron 0.21 0.13 0.11 0.05
실시예2 Fentrazamide 0.83 0.60 0.56 0.49
Imazosulfuron 0.19 0.15 0.12 0.06
비교예2 Fentrazamide 0.21 0.01 0.00 0.00
Imazosulfuron 0.06 0.00 0.00 0.00
8시간 실시예1 Fentrazamide 0.68 0.63 0.60 0.59
Imazosulfuron 0.18 0.16 0.14 0.14
실시예2 Fentrazamide 0.62 0.63 0.61 0.56
Imazosulfuron 0.17 0.17 0.15 0.13
비교예2 Fentrazamide 0.67 0.05 0.00 0.00
Imazosulfuron 0.18 0.03 0.00 0.00
24시간 실시예1 Fentrazamide 0.65 0.64 0.64 0.59
Imazosulfuron 0.16 0.17 0.15 0.13
실시예2 Fentrazamide 0.67 0.67 0.66 0.58
Imazosulfuron 0.18 0.16 0.16 0.14
비교예2 Fentrazamide 0.79 0.08 0.01 0.00
Imazosulfuron 0.29 0.01 0.00 0.00
비교예2의 경우 살포지점에서 5m지점을 벗어나서 유효성분의 검출이 극히 제한적으로 나타나 이동성 및 확산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처리지점의 농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높아져 약해발생의 우려가 농후하게 나타났다. 실험예1, 실험예2 약제를 지점별로 농도를 분석한 결과 8시간 후 유효성분의 확산이 대부분 이루어졌고, 24시간이 지나면 10m지점까지 유효성분함량이 균일하게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처리지점으로부터 15m지점의 유효성분함량은 10m지점 보다 약간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주어 처리지점으로부터 10m가 안전한 사용범위로 볼 수 있었다.
살포거리 측정 시험
논폭이 가로×세로 40×100m이고, 평균수심 5cm인 무논에 실시예1, 실시예2와 비교예2 약제를 논둑에서 손으로 살포하여 약제의 비산거리를 측정하였고, 전체면적을 처리하기 위해 논에 들어가는 횟수와 약제처리에 걸린 총 시간을 측정하였다.
[표 2] 살포비산거리 시험 결과
살포시 비산거리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2
최단거리 4m 2m 1m
최장거리 15m 10m 4m
평균거리 8~10m 4~5m 3m
비교예2의 경우 5m간격으로 총 7번 논에 들어갔고, 약제처리에 걸린시간은 50분이었다.
실시예2 입제는 10m간격으로 총 3번을 들어갔으며 총 30분의 시간이 소요됐으며, 실시예1 입제는 20m지점에서만 논에 들어가서 처리를 하여 총 15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실시예1로 제조하여 입자의 크기를 7mm로 한 결과 약제처리에 소용되는 시간이 비교예2 대비 70% 절약되었고, 실시예2 대비 50%의 시간절약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약효 및 약해 시험
확산성 및 살포거리 측정시험에 사용된 처리구에서 잡초 초종별 약효실험을 수행하였다.
약제살포 후 제초효과는 100%(완전고사)부터 0%(효과없음)로 구분하여 표시하였고 벼에 대한 약해는 0(약해없음)부터 9(완전고사)로 표시하였다.
[표 3] 초종별 약효 및 약해 시험결과
초종 구분 약효 약해
여뀌바늘 물달개비 너도방동사니
실시예1 99.7 99.8 99.9 99.8 0
실시예2 99.5 99.4 100 99.9 0
비교예2 99.8 99.5 99.8 100 0
상기 결과와 같이 일반제형에 비해 노동력시간이 70% 이상 절감이 되었고 약효 또한 우수하게 나타나 제형의 실용화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입제의 크기에 따라 살포거리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인지하여 입제의 직경을 7mm이상으로 제조하여 단일입자의 무게를 증가시켰다. 그로 인해 입자의 살포거리가 10m이상으로 증가하여 논에 직접 들어가지 않고 논둑에서 살포 가능한 논폭의 범위가 40m로 증가하여 약제살포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또한 확산성 및 빠른 붕괴성을 부여하여 낙하지점으로부터 10m지점에도 농약활성성분이 검출되어 고른 살포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실제 논포장 실험에서 제초효과 또한 우수하였다.
또한 수용성증량제로 부식성이 없는 요소를 사용하여 시설을 부식시키는 부작용이 없으며, 기존설비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여 설비변형에 따른 경비 지출이 없으며, 수용성필름의 포장단계가 필요치 않아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0.1 내지 15 중량%의 농약활성성분, 1 내지 30 중량%의 계면활성제, 0.1 내지 5 중량%의 안식향산나트륨 보조제, 0.1 내지 5 중량%의 점결제, 0.1 내지 30 중량%의 수면부유성담체, 1 내지 30 중량%의 황산암모늄 또는 요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증량제 및 10 내지 80 중량%의 비수용성담체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 내지 12 중량%의 농약활성성분, 10 내지 30중량%의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의 안식향산나트륨 보조제, 0.5 내지 5 중량%의 점결제, 15 내지 30 중량%의 수면부유성담체, 10 내지 20 중량%의 황산암모늄 또는 요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증량제 및 5 내지 50 중량%의 비수용성담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활성성분은 수용성 농약활성성분, 난수용성 농약활성성분 및 비수용성 농약활성성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활성성분은 제초제, 살균제 및 살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킬나프탈렌 포르말린 축합물염, 소디윰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폴리올페티에이시드에스터, 알킬프로필렌글라이콜, 소디윰리그노설포네이트, 소디윰알킬설페이트, 소디윰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알킬렌 아릴페닐에테르 및 소디윰설페이트폴리비닐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 조성물.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결제는 수용성 전분, 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몰토덱스트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돌,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및 잔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부유성담체는 경석,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의 광물질, 시라수로 이루어진 발포시라수,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로 소성하여 된 필라이트, 규산나트륨 또는 붕사를 발포시킨 마이크로 벌룬, 프라이애쉬, 세라믹 중공체의 무기 부유핵, 페놀수지로 된 페놀 마이크로 벌룬, 에폭시 수지로 된 에코스페어, 폴리우레탄으로 된 폴리우레탄 포음 및 염화비닐리젠-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된 마이크로스페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담체는 탄산칼슘, 규조토, 벤토나이트, 클레이, 카오린, 화이트카본 및 우레아폼레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 조성물.
  11. 농약활성성분과 계면활성제, 비수용성담체를 균일하게 혼합 후, 건식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 입경 10㎛ 사이즈로 분쇄한 다음, 점결제, 안식향산나트륨 보조제, 황산암모늄 또는 요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증량제 및 수면부유성담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분말혼합단계와;
    상기 분말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하여 분말과 반죽하는 분말반죽단계와;
    상기 분말반죽단계를 거친 분말반죽을 직경 7 내지 10mm의 구멍이 있는 스크린이 달린 수평식 전압출조립기를 사용하여 일정 직경의 입제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와;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거친 성형물을 일정크기로 제단한 다음 유동층건조기로 수분이 1~3중량%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의 제조방법.
  12. 상기 제11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부유확산성 농약입제 조성물.
KR1020060121940A 2006-12-05 2006-12-05 수면부유확산성을 갖는 중대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43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940A KR100843332B1 (ko) 2006-12-05 2006-12-05 수면부유확산성을 갖는 중대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940A KR100843332B1 (ko) 2006-12-05 2006-12-05 수면부유확산성을 갖는 중대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229A KR20080051229A (ko) 2008-06-11
KR100843332B1 true KR100843332B1 (ko) 2008-07-03

Family

ID=3980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940A KR100843332B1 (ko) 2006-12-05 2006-12-05 수면부유확산성을 갖는 중대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3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183B1 (ko) 2008-06-16 2010-11-15 한국삼공주식회사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
KR101158235B1 (ko) 2009-09-30 2012-07-03 성보화학주식회사 우레탄을 이용한 투척발포성 농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CN103891770A (zh) * 2012-12-28 2014-07-02 青岛锦涟鑫商贸有限公司 一种新型花木除草剂
KR20180024362A (ko) 2016-08-30 2018-03-08 연영흠 수면부상형 입제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7811B (zh) * 2010-12-06 2015-09-30 先正达参股股份有限公司 漂浮性可扩散杀虫剂片剂配制品
KR102296447B1 (ko) * 2014-04-18 2021-08-31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면 부유성 대형 농약 입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20354B (zh) * 2015-05-25 2017-11-07 南京农业大学 农药水面油展膜剂及其制备方法
CN105961379A (zh) * 2016-05-04 2016-09-28 南京高正农用化工有限公司 一种防治水稻纹枯病和稻瘟病的组合物漂浮大粒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403A (ja) * 1992-12-04 1994-12-06 Sankyo Co Ltd 拡展性水溶紙分包農薬固形剤
KR970064371A (ko) * 1996-03-15 1997-10-13 무라타 도시카즈 수면살포용 농약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의 포장물 및 이의 사용방법
KR970073337A (ko) * 1996-05-04 1997-12-10 이서봉 무논 투척처리용 농약 점보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80066443A (ko) * 1997-01-24 1998-10-15 손건래 수면부상성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43228A (ko) * 1999-10-28 2002-06-08 구와하라 쥰 비피더스균 함유 발효식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403A (ja) * 1992-12-04 1994-12-06 Sankyo Co Ltd 拡展性水溶紙分包農薬固形剤
KR970064371A (ko) * 1996-03-15 1997-10-13 무라타 도시카즈 수면살포용 농약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의 포장물 및 이의 사용방법
KR970073337A (ko) * 1996-05-04 1997-12-10 이서봉 무논 투척처리용 농약 점보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80066443A (ko) * 1997-01-24 1998-10-15 손건래 수면부상성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25878B1 (ko) 1997-01-24 1999-10-15 조명현 수면부상성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43228A (ko) * 1999-10-28 2002-06-08 구와하라 쥰 비피더스균 함유 발효식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183B1 (ko) 2008-06-16 2010-11-15 한국삼공주식회사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
KR101158235B1 (ko) 2009-09-30 2012-07-03 성보화학주식회사 우레탄을 이용한 투척발포성 농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CN103891770A (zh) * 2012-12-28 2014-07-02 青岛锦涟鑫商贸有限公司 一种新型花木除草剂
KR20180024362A (ko) 2016-08-30 2018-03-08 연영흠 수면부상형 입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229A (ko)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332B1 (ko) 수면부유확산성을 갖는 중대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2815535B2 (ja) 拡展性水溶紙分包農薬固形剤
JPH0248506A (ja) スルホニル尿素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除草剤コンパウンド濃厚物
JP3871230B2 (ja) 農薬粒状組成物及び散布方法
KR100838178B1 (ko) 균일한 확산성 입상 농약 제제 및 그의 살포방법
KR100687514B1 (ko) 수면 시용 농약 조성물
EP2875728A1 (en) Granular hydrating ag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654116B1 (ko) 농원예용 과립 수화제
KR100781143B1 (ko) 농약조성물 및 그의 제조법 그리고 살포방법
JP4988110B2 (ja) 均一拡散性粒状農薬製剤およびその散布方法
JPH10265302A (ja) 水面施用農薬粒剤
KR101402035B1 (ko) 생력화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 방법
JP4824215B2 (ja) 農薬粒状組成物の散布方法および粒状農薬合剤
JP4302232B2 (ja) 水面浮遊性粒状農薬製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散布方法
CN1856247B (zh) 均一扩散性粒状农药制剂
KR100670111B1 (ko) 무논용 농약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살포방법
JP3525499B2 (ja) 固形農薬組成物
KR101130503B1 (ko) 입상 농약제제
JP3514476B2 (ja) 湛水下水田用農薬固形製剤の使用方法
JPH07233002A (ja) 農薬製剤
JP2000319107A (ja) 水面施用製剤
JP4421309B2 (ja) 農園芸用顆粒水和剤
JPH09118602A (ja) 水面浮上性農薬製剤
JP4330322B2 (ja) 水面浮遊性除草製剤
JP2003183106A (ja) 水面浮遊性農薬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