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183B1 -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 - Google Patents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183B1
KR100994183B1 KR1020080056283A KR20080056283A KR100994183B1 KR 100994183 B1 KR100994183 B1 KR 100994183B1 KR 1020080056283 A KR1020080056283 A KR 1020080056283A KR 20080056283 A KR20080056283 A KR 20080056283A KR 100994183 B1 KR100994183 B1 KR 10099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diffusion
tableting
sleep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583A (ko
Inventor
박기수
이지화
정창국
이석희
박매솔
박은희
Original Assignee
한국삼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삼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삼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6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1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3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기존의 수면 부유식 농약 제제에 수면 확산용제의 용도로 1-옥틸-2-피로리돈(1-Octyl-2-pyrrolidone)과 부상보조제의 용도로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AG-GBK20)를 부가하고, 정제로써 타정을 해 부상성과 확산성이 증가된 농약 타정제에 관한 것이다. 이 타정제를 논 등에 일정량을 투척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부상하면서 농약원제를 전면적에 걸쳐 고르게 확산 분포시킬 수 있다.
수면 부유, 농약 타정제, 1-옥틸-2-피로리돈(NOP),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AG-GBK20), 확산

Description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floating solid pesticide}
본 발명은 논 등에 일정량을 투척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부상하면서 농약원제를 전면적에 걸쳐 고르게 확산 분포시키는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에 관한 것이다.
농약의 한 형태로 현재 개발된 발포성 정제에 있어 직접 처리제인 정제를 논에 일정량 혹은 개수를 투하하여 유효 성분을 일정면적에 고르게 확산 분포하도록 하는 작용은 발포제의 수중 또는 수면 발포성과 확산용 계면 활성제의 확산성이 가장 큰 역할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발포성 정제의 가장 큰 문제는 발포제들이 수분에 민감하여 장기간 보관 시 정제를 둘러싼 공기와 매질들의 내부 수분에 의한 자연 발포가 서서히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되어 발포성 저하로 수면 확산의 저하를 불러일으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정제의 수분 접촉 문제를 막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는데, 포장용기 내에 실리카겔을 넣어 준다든지, 정제를 구성하고 있는 매질 내 수분의 이동을 흡착 보유하여 발포제의 반응을 억제시켜 주는 안정제를 처방하는 방법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법들만으로 발포저하를 완전히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다른 각도에서 수면 확산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 부유식 농약 정제에 있어서, 경시에 따른 발포성 저하로 수면 확산의 저하를 불러일으키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수면 확산의 저하에 대한 보다 직접적인 해결 방법으로 기존에 업계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수면 확산용제와 부상 보조제를 도입하여 수면 확산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약 원제 5~20중량%, 계면 활성제 0.5~15중량%, 결합제 5~20중량%, 발포제 10~50중량%, 성형 보조제 5~20중량%, 윤활제 0.2~0.6중량%, 유상 흡착제 1~5중량%, 활택제 0.3~1중량%, 발포 안정제 2~7중량%, 방부제 0.1~0.5중량%, 수면 확산 용제 0.5~4 중량% 및 부상 보조제 3~10 중량%를 구성물로 포함하고 지름 1~3cm, 높이 0.3cm~0.7cm의 원반형태로 타정하여 제조되는 특징을 갖는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면 확산 용제는 1-옥틸-2-피롤리돈(1-Octyl-2-pyrrolidone)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상 보조제는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soda lime borosilicate glass)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농약 타정제는 지름 1~3cm, 높이 0.3cm~0.7cm의 원반형태로 타정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는 농약 원제의 수면 확산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것을 논 등에 일정량을 투척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부상하면서 농약원제를 전면적에 걸쳐 고르게 확산 분포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는 경시에 따른 발포성 저하로 수면 확산의 저하를 불러일으키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수면 확산의 저하에 대한 보다 직접적인 해결 방법으로 기존에 업계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수면 확산용제와 부상 보조제를 도입하여 수면 확산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농약 원제 5~20중량%, 계면 활성제 0.5~15중량% ,결합제 5~20중량%, 발포제 10~50중량%, 성형 보조제 5~20중량%, 윤활제 0.2~0.6중량%, 유상 흡착제 1~5중량%, 활택제 0.3~1중량%, 발포 안정제 2~7중량%, 방부제 0.1~0.5중량%, 수면 확산 용제 0.5~4 중량% 및 부상 보조제 3~10 중량%를 포함하고 타정되어 제조된다.
타정이란 약품을 압축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농약 타정제란 압축 성형하여 일정한 정제로 제조한 농약 제제를 말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는 모두 중량 %임을 밝혀둔다.
상기 농약 원제는 벤조비사이클론(Benzobicyclon), 페녹슐람(Penoxsulam), 피라조설퓨론에틸(Pyrazosulfuron-ethyl)등 제초제가 될 수 있고, 이들을 각각 사용하거나, 이 중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5% 미만이면, 농약 고유의 성질인 제초 효과 등을 발휘하기가 어렵고, 20% 초과이면 타 구성물들의 사입 여지를 잃게 한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 또는 고분자 음이온 계면 활성제(Polymeric anionic surfactant) 등이 가능하다. 계면 활성제는 확산성과 현수성을 증가시켜 주고, 수중에 고르게 머무르는 시간을 연장해 주고, 유효성분이 식물체내에 침투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계면 활성제가 0.5%미만인 경우 확산에 미치는 영향과 물에 대한 현수성이 미미하고, 반대로 15%초과 처방하는 경우 타정제의 빠른 수중 붕괴를 일으켜 확산속도가 증가되어 확산 시간 제어를 어렵게 만들 수가 있다. 황산도데실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 고분자 음이온 계면 활성제품인 Tersperse 2700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결합제(binder)는 폴리비닐피로리돈의 호모폴리머(Homopolymers of polyvinylpyrrolidone) 그룹의 결합제로 정제의 결합력을 증대하여 성형의 강도를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물질이고 어그리머 30(Agrimer 30) 등의 제품을 사용 가능하다. 통상 5%이상 20%이하로 사입하며 5%미만인 경우 결합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그로 인한 경도 저하로 유통 중 정제의 성형 붕괴를 가져 올 수 있고 20% 초과로 사용하게 되면 경도가 강화되어 발포가 느리게 진행되며 정제의 수면 부상이 늦어지 고 수중 붕괴시 많은 붕괴시간을 요하므로 20%초과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발포제는 정제의 수면 부상과 확산을 일으킨다. 탄산수소칼륨(Potassium bicarbonate), 구연산(Citr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10%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부상과 확산이 미미하고, 50% 초과일 때에는 타 구성물의 사입 여지를 잃게 한다.
상기 성형 보조제는 미세결정 셀룰로오즈(Cellulose) 등이 사용 가능하고 5% 미만으로 사용되면 균질한 결합 보조 역할을 이룰 수 없고 20% 초과 사용 시 매질간의 응집력으로 인해 정제의 붕괴, 확산을 저해한다.
상기 윤활제는 KNZ(Soybean Oil, Epoxidized), 화이트 카본 등이 사용 가능하다. 윤할제는 타정시 분상 매질과 공이 사이를 매끄럽게 해 주기 위한 윤활 작용을 해 주기 위해 사용되며 0.2% 미만에서는 윤활 효과가 없고, 0.6% 초과시는 타정공이에 달라붙는 현상을 보이므로 부적합하다.
상기 유상 흡착제는 RH-24(Sodium silico aluminate) 등이 사용 가능하다.유상 흡착제는 타정 전 분상의 유동성을 개선하고 유상분(확산 용제 등)을 흡착하는 역할과 타정 시 분상이 공이에 달라붙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위해 사용하며 1% 미만인 경우 유동성, 유상의 흡착, 공이의 달라붙는 것을 막아주지 못하고 5% 초과로 사용하는 경우 결합력을 약화시키므로 정제가 부서지기 쉽고 수화 및 확전이 나빠진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이 사용 가능하다. 활택제는 분립체의 유동성을 좋게 하여 다이(die)로의 충진성을 증가시키고, 분립체 상호간 및 분립체와 다이-펀치(die-punch)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정제의 압축 및 방출을 용이하게 하며 압축시 분립체가 펀치(punch) 및 다이(die)벽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며 0.3% 미만 사용 시에는 펀치(punch) 및 다이(die)벽에 분립체가 달라붙어 원활한 타정이 어렵고 1%초과 사용 시 타정 후 정제의 경도가 약해진다.
상기 발포 안정제는 산화마그네슘(MgO)이 사용 가능하다. 발포 안정제는 유통 중 정제 내 수분을 흡착하여 자연발포를 막아 주기 위해 사용되며 2% 미만 사용 시에는 자연 발포하는 것을 막을 수 없고 7%초과 사용 시 정제를 논에 투여할 경우 수면과 수중에 드립프트가 발생되어 수면 확산 및 수중 수화를 방해하여 유효 성분의 고른 효과를 저해한다.
상기 방부제는 황산수소칼륨(Potassium bisulfate) 등이 사용 가능하고, 정제의 산화를 막아준다. 0.1~0.5%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면 확산 용제는 1-옥틸-2-피로리돈(1-Octyl-2-pyrrolidone)로 사용 가능하다. 0.5% 미만에서는 확산이 미미하므로 용제에 의한 확산을 기대할 수 없고 4%초과 사용 시 정제 내의 유분량이 높아 타정이 어려워지고 타정 후에는 물성변화를 가져오기 쉬워 진다.
1-옥틸-2-피로리돈(1-Octyl-2-pyrrolidone)은 관용적으로 NOP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분자식은 C12H23NO이고, 분자량은 197.36이다. 형상은 무색 액체이다. 분자 구조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8042769145-pat00001
상기 물질은 퍼짐성이 좋아 잉크 내의 구성 물질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퍼짐성을 이용하여 정제의 수면 부유 후 수면 확산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부상보조제는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Soda lime borosilicate glass, AG-GBK20)가 사용 가능하다.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는 가비중이 0.1의 가벼운 소수성 미세 결정의 백색 분상으로 처방 혼합 시 정제의 부상을 용이하게 만들어준다. 3% 이하에서는 부상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10% 이상으로 사용하게 되면 정제의 부피가 늘어나므로 원하는 모양을 만들기 어렵고 성형이 어려워지고 경도도 약해지므로 정제의 원형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진다.
상기 조성물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말상의 제제를 제조하고, 이를 압축 성형하여 타정제로 제조 가능하다.
아래의 표 1의 조성비로 상기 농약 타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표 1] 실시예의 조성비

첨가제의 용도

원.부제명

사입율(%)

농약 원제
Benzobicyclon 8.7
Penoxsulam 1.0
Pyrazosulfuron-ethyl 0.65
계면활성제 NK-SDS
(Sodium dodecyl sulfate)
0.7
Tersperse 2700
(Polymeric anionic surfactant)
3.0
결합제 Agrimer 30(binder) 5.6
발포제 탄산수소칼륨(Potassium bicarbonate) 29.0
구연산(Citric acid) 21.0
성형 보조제 미세결정 셀룰로오즈(Cellulose microcrystalline) 10.0
윤활제 KNZ(Soybean oil, Epoxidized) 0.4
유상 흡착제 RH-24(Sodium silico aluminate) 2.6
활택제 Magnesium stearate 0.6
발포안정제 산화마그네슘(MgO) rest
방부제 황산수소칼륨(Potassium bisulfate) 0.2
수면 확전 용제 NOP(1-Octyl-2-pyrrolidone) 2.4
부상보조제 AG-GBK20(Soda lime borosilicate glass) 6.0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는 지름 1~3cm, 높이 0.3cm~0.7cm의 원반형태로 타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지름 1.7~2.3cm, 높이 0.4~0.6cm로 한다.
지름이 1cm미만인 경우에는 타정제가 너무 작고 가벼워 바람 등에 의해 부유하여 균일한 농약 원제의 확산이 어렵고, 지름이 3cm 초과일 경우에는 타정제가 너무 커서 부유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그대로 바닥에 가라앉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제제의 확산, 부유 효과와 제초 효과에 대한 시험 예를 보인다.
[확산, 부유효과 시험]
[시험 1] 확산 용제 1-옥틸-2-피로리돈(1-Octyl-2-pyrrolidone )의 확산 효과 시험
아래 표 2의 A,B 처방으로 1.5g의 타정제를 시험 제조하여 가로 10m, 세로 1m, 깊이 5cm의 수조에 물을 채워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쪽 끝에서 시험 정제 1개를 투여한 후 유효성분의 확산 도달거리를 측정하였다.
1-옥틸-2-피로리돈(1-Octyl-2-pyrrolidone)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11)는 3.6m, 첨가한 경우(12)는 6.2m 이동하여 첨가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수면 확산능력이 약 1.7배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표 2] 확산 용제 1-옥틸-2-피로리돈(1-Octyl-2-pyrrolidone )의 확산 효과 시험을 위한 처방
구분 정제 성형 구성 유효성분의
도달거리
비 고
정제 성형 구성물 구성비(100질량%)






처방A

1-옥틸-2-피로리돈
미처방품
Benzobicyclon 8.7
Penoxsulam 1.0
Pyrazosulfuron-ethyl 0.65
Sodium dodecyl sulfate 0.7
Polymeric anionic surfactant 3.0
Agrimer 30(binder) 5.6
Potassium bicarbonate 29.0
Citric acid 21.0
Cellulose 10.0
KNZ(Soybean oil, Epoxidized ) 0.4
Sodium silico aluminate 2.6
Magnesium stearate 0.6
MgO rest
Potassium bisulfate 0.2
Soda lime borosilicate glass 6.0








3.6m






계면활성제 + 발포제의 확산 효과






처방B

옥틸피로리돈
처방품
Benzobicyclon 8.7
Penoxsulam 1.0
Pyrazosulfuron-ethyl 0.65
Sodium dodecyl sulfate 0.7
Polymeric anionic surfactant 3.0
Agrimer 30(binder) 5.6
Potassium bicarbonate 29.0
Citric acid 21.0
Cellulose 10.0
KNZ(Soybean oil, Epoxidized ) 0.4
Sodium silico aluminate 2.6
Magnesium stearate 0.6
MgO rest
Potassium bisulfate 0.2
1- Octyl -2- pyrrolidone 2.4
Soda lime borosilicate glass 6.0







6.2m







계면활성제+발포제+확산용제의 확산 효과
[시험 2] 부상 보조제인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AG-GBK20)의 부상 효과시험
아래 표 3의 기준처방에 부상보조제인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AG-GBK20) 를 사입비율 범위를 달리 처방하여 가로 50cm, 세로 40cm, 깊이 10cm의 시험용 밧드에 물을 5cm 높이로 채우고 준비된 정제를 투입한 후 수면 부상 시까지 소요시간 및 부상현상을 관찰한다.
[표 3] 부상 보조제인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AG-GBK20)의 부상 효과시험을 위한 처방
원.부제명 AG-GBK-20
사입 처방율
수면부상
소요시간
부상현상
Benzobicyclon
Penoxsulam
Pyrazosulfuron-ethyl
Sodium dodecyl sulfate
Polymeric anionic surfactant
Agrimer 30(Binder)
Potassium bicarbonate
Citric acid
Cellulose
KNZ(Soybean oil, Epoxidized )
Sodium silico aluminate
Magnesium stearate
MgO
Potassium bisulfate
NOP(1-Octyl-2-pyrrolidone)
AG - GBK -20(0~10%)

처방 하지 않음

부상안됨

수중바닥에 그대로 정체되어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음

3% 이하


부상안됨

수중바닥에 그대로 정체되어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음

3%이상~10% 이하


45초~3초

수중바닥에서 수중으로 2~8회 왕복 후 수면 위로 부상

10% 이상


3초~1초

수중바닥에서 수중으로 1회 왕복 후 수면 위로 부상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3%이상~10%이하의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AG-GBK20)를 처방했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부상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정제의 제초 효과 시험]
[시험 1] 담수직파(표면산파) 시험
5월 8일 써레질 된 4m*3m 시험구에 5월 10일에 1mm로 싹 틔운 볍씨종자를 파종하였다(파종량: 5kg/10a). 1차 처리로 파종후 13일(13DAS; 13 days after seeding)인 5월 23일에 담수심을 5cm로 유지하여 Benzobicyclon+Penoxsulam+Pyrazosulfuron-ethyl인 농약 원제를 이용해 제조한 본 발명의 타정제(이하 BPP 타정제) 2정(기준량; 1X)과 4정(배량; 2X)을 각각의 시험구 중앙에 투척하였으며, 2차 처리는 파종 후 16일(16DAS)인 5월 26일에 서로 다른 시험구에서 1차 처리방법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시험구 내 발생한 잡초엽령은 표 4에 나타내었다. 모든 시험은 세 번 반복으로 수행하였으며 약효와 약해 비교를 위해 무처리구와 손제초구를 두었다.
[표 4] 시험구 내 발생한 잡초엽
물달개비 가막사리 자귀풀 올챙이고랭이
크기 파종후 13일 1.1cm(1.5엽) 4-4.5cm(1.5엽) 2.5-3cm(떡잎) 3-3.5cm 1-1.7cm(2.1엽)
파종후 16일 2.1cm(2.5엽) 8-10cm(2.5엽) 5-8cm(자엽) 5-8cm 2.5-3cm(2.5엽)
약효 및 약해조사는 1차 처리 후 34일(34DAA; 34 days after application)과 2차 처리 후 31일(31DAA)인 6월 26일에 달관조사 하였는데 시험구내 잡초의 생육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도 2의 사진 참고). 도 2는 담수직파 실험에서의 PPB 타정제 처리 후 34일과 31일의 잡초 방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는 1차 처리 후 34일 경과 후의 시험구 내의 생육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b)는 2차 처리 후 31일 경과 후의 시험구 내의 나타낸 것이다. (c)은 무처리구 내의 생육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1차 처리 후 44일인 7월 6일(2차 처리 후 41일) 시험구내 잔존잡초를 채취하여 무처리구를 대조로 하여 그 제초효과를 표로 나타내었다.
[표 5] 무처리구를 대조로 한 시험구 내의 제초효과(잡초방제효과)(담수직파시험)
잡초초종
잡초방제효과(%)
1차 처리(파종 후 13일 처리) 2차 처리(파종 후 16일 처리)
100 100
물달개비 97.1 95.3
가막사리 100 100
사마귀풀 100 93.9
여뀌바늘 81.6 76.8
자귀풀 94.7 97.4
올방개 95.1 98.7
올챙이고랭이 100 100
물고랭이 99.6 100
[시험 2] 어린모 기계 이앙답 시험
5월 23일 써레질 된 4m*3m 시험구에 5월 26일 2.2엽기 15.5cm의 어린 모를 일반 농가의 경종개요에 준하여 이앙하였다. 1차 처리는 이앙 후 10일(10DAT; 10 days after transplanting)인 6월 5일에, 2차 처리는 이앙 후 15일(15DAT)인 6월 10일에 시험 1의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였으며 잡초의 생육상황은 표 6에 나타내었고 시험구 배치는 시험 1과 동일하였다.
[표 6] 잡초의 생육 상황
구분 물달개비 올챙이 고랭이
크기
이앙 후 10일 6cm이내(2.0엽) 3.5cm이내(1.5엽) 2.5cm이내(1.5엽)
이앙 후 15일 14cm이내(2.5엽) 9cm이내(3.0엽) 8cm이내(3.5엽)
약효 및 약해 조사는 1, 2차 타정제 처리 후 29일(29DAA)인 7월 4일과 7월 9일에 달관조사하였는데 기준량 처리구의 제초효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즉 도 3은 어린 모 기계이앙답 시험에서의 PPB 타정제 처리 후 1차 처리 후 41일인 7월 16일(2차 처리후 36일)의 잡초 방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는 1차 처리 후 29일 경과 후의 시험구 내의 생육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b)는 2차 처리 후 31일 경과 후의 시험구 내의 나타낸 것이다. (c)은 무처리구 내의 생육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배량 처리구의 약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아래 표 7에서 시험 1의 방법과 동일시하여 제초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표 7] 무처리구를 대조로 한 시험구 내의 제초효과(잡초방제효과)(어린 모 기계 이앙답 시험)
잡초초종
잡초방제효과(%)
1차 처리(이앙 후 13일 처리) 2차 처리(이앙 후 16일 처리)
100 100
물달개비 99.1 95.7
가막사리 100 100
알방동사니 100 100
여뀌바늘 100 100
올방개 93.7 100
올채이고랭이 94.9 90.2
[시험 3] 확산성 시험
확산성 시험은 이앙 후 15일인 6월 10일에 실시하였다. 상기 시험 2의 처리시기에 시험구의 면적을 7m*12m(84㎡: 14정)로 확대하여 BPP 타정제를 투척방법을 달리하여 확산성을 조사하였다. 도 4는 확산성 실험에서의 BPP 타정제의 투척방법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투척방법은 1) 중앙(A지점)에 투척(a), 2) 가장자리의 중앙(3.5m)에서 수평으로 투척(b), 3) 가장자리의 중앙(6m)에서 수직으로 투척(c)하였으며, 1)의 방법으로 투척한 시험구는 중앙에서 상하좌우 3.5m와 6m지점(4지점)의 Benzobicyclon의 농도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측정하였다. BPP 타정제 처리 당시의 잡초생육상황은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처리 당시 주요잡초 생육상황
구분 물달개비 벗풀 올챙이고랭이
크기 이앙 후 15일 9cm이내(2.5엽) 5cm(2.0엽) 8cm(본엽2개) 6cm(3.5엽)
1)번 처리구의 BPP 타정제의 농약원제인 Benzobicyclon의 시간 경과별 농도를 측정한 결과 중앙에서 3.5m와 6m지점의 농도가 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
[표 9] 1)번 처리구에서의 농약원제인 Benzobicyclon의 시간 경과별 농도
시간 A B C D E
0 hr 0.65 - - - -
1 hr 3.45 1.68 1.64 1.62 1.70
6 hr 1.62 0.37 0.27 0.35 0.32
24 hr 0.32 0.15 0.12 0.22 0.15
BPP 타정제 처리 후 6일(6DAA)에 1)번 방법으로 투척한 시험구의 배량 처리구(28정)에서 어린 모의 약해가 관찰되었지만 처리 후 20일에는 회복되었고 처리 후 29일의 잡초방제효과는 우수하였다(도 5참고). 도 5는 확산성 시험에서의 PPB 타정제 처리시 6일 후의 약해와 29일 후의 잡초 방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는 PPB 타정제 처리 당시의 시험구 내의 생육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b)는 PPB 타정제 처리 6일 후의 배량 처리 시험구 내의 생육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c)는 PPB 타정제 처리 뒤 29일 후의 시험구 내의 생육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정제 처리 후 36일에 시험구 내 잔존 잡초를 채취하여 제초효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는데 1)번 처리구는 균일한 지점의 잡초를 채취하였고 2)번 처리구는 중앙에서 수직으로 상하 3m 지점을 채취하였으며 3)번 처리구는 중앙에서 수평으로 좌우 5m 지점을 채취하였다.
[표 10] BPP 타정제 처리 후 36일의 잡초방제 효과(확산성 실험)

잡초초종
잡초방제효과(%)
1)번
(중앙)
2)번
(3m)
3)번
(5m)
평균값
100 100 92.9 96.9
물달개비 100 90.0 84.0 88.0
가막사리 100 100 100 100
밭뚝외풀 100 100 100 100
알방동사니 100 100 100 100
자귀풀 100 100 100 100
벗풀 95.3 96.8 86.3 92.8
올방개 92.0 80.0 70.0 81.0
올챙이고랭이 100 100 100 100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이것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범위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수면 확산 용제 1-옥틸-2-피로리돈(1-Octyl-2-pyrrolidone )의 확산 효과 시험의 개략도.
도 2는 담수직파 시험에서의 잡초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시험구 내의 생육 상태 사진.
도 3은 어린 모 기계이앙답 시험에서의 잡초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시험구 내의 생육 상태 사진.
도 4는 확산성 실험에서의 BPP 타정제의 투척방법에 대한 개략도.
도 5는 확산성 시험에서의 잡초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시험구 내의 생육 상태 사진.

Claims (4)

  1.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에 있어서,
    농약 원제 5~20중량%, 계면 활성제 0.5~15중량% ,결합제 5~20중량%, 발포제 10~50중량%, 성형 보조제 5~20중량%, 윤활제 0.2~0.6중량%, 유상 흡착제 1~5중량%, 활택제 0.3~1중량%, 발포 안정제 2~7중량%, 방부제 0.1~0.5중량%, 수면 확산 용제 0.5~4 중량% 및 부상 보조제 3~10 중량%를 포함하고 타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면 확산 용제는 1-옥틸-2-피롤리돈(1-Octyl-2-pyrrolidone)이고,
    상기 상기 부상 보조제는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soda lime borosilicate glass)이며,
    상기 농약 타정제는 지름 1~3cm, 높이 0.3cm~0.7cm의 원반형태로 타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56283A 2008-06-16 2008-06-16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 KR10099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283A KR100994183B1 (ko) 2008-06-16 2008-06-16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283A KR100994183B1 (ko) 2008-06-16 2008-06-16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583A KR20090130583A (ko) 2009-12-24
KR100994183B1 true KR100994183B1 (ko) 2010-11-15

Family

ID=4169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283A KR100994183B1 (ko) 2008-06-16 2008-06-16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870A (ko)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농사직설 속방형 농약제제
KR20230115871A (ko)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농사직설 속방형 농약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973B1 (ko) * 2013-03-15 2021-03-23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페녹술람 및 벤조비시클론 또는 클로마존 및 벤조비시클론의 적용으로부터의 상승작용적 잡초 방제
KR101869451B1 (ko) 2016-08-30 2018-06-20 연영흠 수면부상형 입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315A (ja) * 2002-02-07 2003-08-27 Nippon Nohyaku Co Ltd 改良された水面施用農薬組成物
KR100843332B1 (ko) 2006-12-05 2008-07-03 주식회사동방아그로 수면부유확산성을 갖는 중대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315A (ja) * 2002-02-07 2003-08-27 Nippon Nohyaku Co Ltd 改良された水面施用農薬組成物
KR100843332B1 (ko) 2006-12-05 2008-07-03 주식회사동방아그로 수면부유확산성을 갖는 중대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870A (ko)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농사직설 속방형 농약제제
KR20230115871A (ko)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농사직설 속방형 농약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583A (ko)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574B1 (ko) 병충해 예방, 축사 및 양식장의 악취 제거와 살균 효과를 가진 천연 복합 조성물 제조 방법
DE60121565T2 (de) Feuchtigkeitsempfindliche zusammensetzung
CN104186549A (zh) 一种杀菌剂复配组合物制剂
JPS63258401A (ja) 改良された殺虫剤供給組成物及び水性環境下で昆虫の集団を防除するための方法
KR100994183B1 (ko) 수면 부유식 농약 타정제
BR112020022810A2 (pt) composição de nutrição e fortificação granular, composição de nutrição e fortificação de cultura, composição granular dispersível em água, composição de suspensão líquida, processos de preparação da composição, uso da composição e método para melhorar a saúde da planta
CN105611837A (zh) 用于植物抗微生物治疗的包装
CN104322558A (zh) 杀菌组合物及其应用
CN106376570A (zh) 一种含有咯菌腈的种衣剂组合物及其应用
KR100690462B1 (ko)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그의 사용 방법 및 그의제조 방법
CN110463697A (zh) 一种吸附载体助剂及其制备方法
CN103039488B (zh) 杀菌剂组合物及其制剂以及它们的应用
KR100768273B1 (ko) 생력화 발포성 농약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방법
CN104839227A (zh) 解淀粉芽孢杆菌b-1619在防治根结线虫病害中的应用
CN102349533A (zh) 一种防治马铃薯原原种薯土传病害的苗床消毒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8902152B (zh) 一种烟碱缓释剂及其制备方法
CN110800739B (zh) 一种草莓白粉病防治药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1296421A (zh) 一种杀虫杀螨农药组合物及其应用
CN114145311B (zh) 一种除虫脲颗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067352B (zh) 一种用于防治玉米蚜虫的种子处理剂及其制备方法
JP4411161B2 (ja) 土壌の還元消毒方法
CN103314986A (zh) 一种含环氧虫啉和螺虫乙酯的杀虫组合物
CN115251067B (zh) 一种用于养殖环境改善及仔畜接生用干粉剂及其制备方法
KR20150054449A (ko) 다중 캡슐 방제제
WO2021038415A2 (en) Buoyant articles comprising larvicid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